KR102540648B1 -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648B1
KR102540648B1 KR1020210083609A KR20210083609A KR102540648B1 KR 102540648 B1 KR102540648 B1 KR 102540648B1 KR 1020210083609 A KR1020210083609 A KR 1020210083609A KR 20210083609 A KR20210083609 A KR 20210083609A KR 102540648 B1 KR102540648 B1 KR 102540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main body
dust
air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1106A (ko
Inventor
조좌진
Original Assignee
디와이피엔에프 주식회사
조좌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와이피엔에프 주식회사, 조좌진 filed Critical 디와이피엔에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3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648B1/ko
Publication of KR20230001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24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8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injection or suction of gas or liquid into the cyclon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가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원료투입관; 상기 원료투입관의 외측에 마련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 상기 공기유입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원료와 상기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어 혼합되어 하방으로 공급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가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부에 분진과 공기의 배출을 위한 제 1 배출구가 마련되며, 하단에 원료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제 2 배출구가 마련되며, 측부에 2차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부의 하단에 상부콘이 삽입되며, 상기 상부콘 하단의 확장부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대향하여 접근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부콘에 충돌한 원료로부터 1차적으로 분진이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확장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충돌한 원료로부터 2차적으로 분진이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2차공기가 상기 확장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역류하면서 속도가 빨라져서 분진과 함께 상기 제 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내부콘부;를 포함하는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료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분진을 완전하게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충격력과 배출 속도를 제공할 수 있고, 노즐의 단면적 가변에 의해 원료와 분진의 속도를 용량에 적합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원료에 대한 분진 제거 효율이 우수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raw materials}
본 발명은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료로부터 분진의 제거 효율이 뛰어난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진 제거 장치(Elutriator)는 침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이용하여, 입상물의 원료로부터 크기, 모양 및 밀도에 따른 분진을 제거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분진 제거 장치에 의해 분리되는 분진은 대개 1㎛ 보다 작은 입자에 사용되고, 더 작거나 가벼운 입자일수록 최종 침전 속도가 상승하는 유체의 속도보다 낮기 때문에 오버 플로우되어 올라가게 된다.
이와 같은 분진 제거 장치와 관련되는 종래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459560호의 "합성수지 원료의 먼지, 이물질 제거장치"가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원료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 본체와; 호퍼측에 연결되어 원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원료량조절수단과; 상기 본체내의 지지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원료량조절수단에 연통되며, 원료를 순차적으로 정열, 이송시키는 원료정열수단과; 상기 본체내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복수 제1송풍공을 갖는 가이드판의 경사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수단과; 상기 본체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을 따라 이동된 원료를 배출구측으로 이송하는 이송판과; 상기 본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판과 이송판의 내측에 배치되며, 송풍팬에 연결되는 송풍구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원료에 달라붙은 먼지, 이물질 등을 강제로 흡입하는 흡입팬에 연결되는 흡입구와; 상기 원료량조절수단과 가이드판에 설치되며, 원료에 정전기를 제거하는 이온아이져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원료에 붙은 먼지나 이물질 등의 분진을 완전히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충격력과 배출 속도를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분진의 분리 효율이 원하는 수준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료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분진을 완전하게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충격력과 배출 속도를 제공하고, 노즐의 단면적 가변에 의해 원료와 분진의 속도를 용량에 적합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원료에 대한 분진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도록 하는 목적을 가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원료가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원료투입관; 상기 원료투입관의 외측에 마련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 상기 공기유입관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원료와 상기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어 하방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가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부에 분진과 공기의 배출을 위한 제 1 배출구가 마련되며, 하단에 원료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제 2 배출구가 마련되며, 측부에 2차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구가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부의 하단에 상부콘이 삽입되며, 상기 상부콘 하단의 확장부가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대향하여 접근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부콘에 충돌한 원료로부터 1차적으로 분진이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확장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충돌한 원료로부터 2차적으로 분진이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2차공기가 상기 확장부와 상기 본체의 내측면을 역류하면서 속도가 빨라져서 분진과 함께 상기 제 1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내부콘부;를 포함하는,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원료투입관은, 하부에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제 1 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관은, 공기의 유입을 위한 제 1 유입구가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관부에 대응하여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제 2 축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배출구가 상기 노즐부의 측부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유입구가 상기 내부콘부의 하부에 대응하도록 측부에 마련되는 제 2 유입구와 상기 내부콘부의 상부에 대응하도록 측부에 마련되는 제 3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는, 하부에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 1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콘부는, 상기 상부콘의 상부가 상기 제 1 확관부의 내측에 유격을 가지도록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확관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 2 확관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부콘부는, 상기 확장부로부터 하방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하부콘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콘의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내부콘부와 상기 본체 사이에 마련되는 내부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관부는, 상기 하부콘과 상기 가이드부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단이 상기 본체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하부콘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제 4 축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 4 축관부의 하단에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노즐부를 상기 본체 내에서 승강시킴으로써, 하단의 통로 단면적을 가변시키도록 하는 높이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공기유입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부의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관; 상기 노즐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연결판; 상기 연결판 상에 수직되게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상단을 통과하는 조절볼트; 및 상기 조절볼트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연결판과 함께 상기 노즐부의 높이를 가변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조절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에 의하면, 원료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분진을 완전하게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충격력과 배출 속도를 제공할 수 있고, 노즐의 단면적 가변에 의해 원료와 분진의 속도를 용량에 적합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원료에 대한 분진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노즐부 승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를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노즐부 승강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100)는 원료투입관(110), 공기유입관(120), 노즐부(130), 본체(140) 및 내부콘부(1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용접이나 플랜지 이음 또는 볼팅 등에 의해 서로 연결 내지 결합될 수 있다.
원료투입관(110)은 원료가 상부로부터 투입되도록 하고, 수직되게 설치됨으로써 상방으로 투입되는 원료가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원료는 분진의 제거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입상물일 수 있다.
원료투입관(110)은 하부에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제 1 축관부(111)가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원료의 배출시 속도를 높임으로써, 하측에서 공기와의 혼합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공기유입관(120)은 원료투입관(110)의 외측에 마련되고,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공기유입관(120)은 공기의 유입을 위한 제 1 유입구(121)가 측부에 형성되고, 제 1 축관부(111)에 대응하여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제 2 축관부(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유입관(120)은 상단이 원료투입관(110)과의 결합에 의해 차단되고, 측부에 마련되는 제 1 유입구(121)를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어 하방으로 배출되도록 하고, 제 2 축관부(122)에 의한 유속의 증가로 인해 공기와 원료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노즐부(130)는 공기유입관(120)의 하측에 마련되고, 원료와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어 하방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노즐부(130)는 하부에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 1 확관부(131)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배출되는 원료가 후술하게 될 내부콘부(150)의 상부콘(151)에 원활하게 충돌하여 분진의 분리 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본체(140)는 노즐부(130)가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부에 분진과 공기의 배출을 위한 제 1 배출구(143)가 마련되며, 하단에 원료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제 2 배출구(144)가 마련되며, 측부에 2차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45,146)가 마련된다.
본체(140)는 제 1 배출구(143)가 노즐부(130)의 측부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140)는 유입구(145,146)가 내부콘부(150)의 하부에 대응하도록 측부에 마련되는 제 2 유입구(145)와 내부콘부(150)의 상부에 대응하도록 측부에 마련되는 제 3 유입구(14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및 제 3 유입구(145,146)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2차 공기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체(140)는 제 1 확관부(131)에 대응하는 부분에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 2 확관부(141)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콘부(150)는 본체(140) 내에 마련되고, 노즐부(130)의 하단에 상부콘(151)이 삽입되며,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콘(151) 하단의 확장부(153)가 본체(140)의 내측면에 대향하여 접근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부콘(151)에 충돌로 인한 1차 충격에 의해 원료로부터 분진이 분리되도록 하고, 노즐부(130)와 상부콘(151)의 간격이 점점 좁아짐으로써, 원료의 배출 속도를 증가시키며, 확장부(153)와 본체(140)의 내측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충돌로 인한 2차 충격에 의해 원료로부터 분진이 분리되도록 하며, 유입구(145,146)로부터 유입되는 2차 공기가 확장부(153)와 본체(140)의 내측면을 역류하면서 속도가 빨라져서 분진과 함께 제 1 배출구(14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내부콘부(150)는 상부콘(151)의 상부가 제 1 확관부(131)의 내측에 유격을 가지도록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확관부(131)를 통해 배출되는 원료가 상부콘(151)의 상측에 충돌하여, 원료로부터 분진의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내부콘부(150)는 확장부(153)로부터 하방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하부콘(152)이 마련될 수 있고, 하부콘(152)의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어 유체의 흐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4)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콘부(150)와 본체(140) 사이에는 내부관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내부관부(160)는 하부콘(152)과 가이드부(154)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단이 본체(140)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고, 하부콘(152)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제 4 축관부(16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 4 축관부(161)의 하단에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162)가 마련될 수 있다.
노즐부(130)를 본체(140) 내에서 승강시킴으로써, 하단의 통로 단면적을 가변시키도록 하는 높이조절부(170)가 마련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170)는 공기유입관(120)에 연결되도록 본체(140)의 상단에 마련되어 노즐부(130)의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관(171)과, 노즐부(13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연결판(172)과, 연결판(172) 상에 수직되게 다수로 마련되고, 본체(140)의 상단을 통과하는 조절볼트(173)와, 조절볼트(173)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에 의해 연결판(172)과 함께 노즐부(130)의 높이를 가변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조절너트(17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에 따르면, 원료는 1차적으로 내부콘부(150)의 상부콘(151)에 충돌하여, 노즐부(130)의 하부에서 배출 속도가 빨라지는데, 이때, 하부에서 올라오는 공기와 서로 역류하는 원료에 붙어 있던 분진 일부를 분리시키게 된다. 낙하하는 원료의 속도는 올라오는 와싱(washing)용 공기의 속도에 의해 감속하지만, 속도차와 중력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고, 분리된 분진만 제 1 배출구(143)로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원료와 분진을 분리하는 중요한 역할로서, 충격을 2단계로 가해 원료와 분진이 잘 분리되도록 하는데, 1차적으로 내부콘부(150)의 상부콘(151)에서 중력과 부가되는 공기의 힘으로 충격을 주고, 2차적으로 노즐부(130)에서 나온 원료와 분진이 본체(140)의 내부벽면에 부딪히게 되어 분리 효율을 높인다. 즉 본 발명은 원료의 속도보다 충격에 초점을 맞추게 됨으로서, 충격이 가해지는 부분을 2단계로 나뉘어지도록 설계한다.
또한, 노즐부(130)는 높이조절부(170)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해짐으로써, 노즐부(130) 하단의 통과 단면적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고, 이로 인해 통과하는 원료와 분진의 속도를 용량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10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원료공급밸브(210)와 배출밸브(220)가 설치되는데, 이 때, 에어공급장치인 브러워(Blower)에서 들어오는 공급 가스의 유실을 최소화시켜주며, 제 1 배출구(143)로의 원활한 유동을 유도한다. 또한, 제 1 배출구(143)의 배출측에는 분진에 대한 필터링을 통한 정화를 위한 더스트필터(2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에 의하면, 원료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의 분진을 완전하게 분리시키기에 충분한 충격력과 배출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노즐의 단면적 가변에 의해 원료와 분진의 속도를 용량에 적합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원료에 대한 분진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1 : 제 1 축관부 120 : 공기유입관
121 : 제 1 유입구 122 : 제 2 축관부
130 : 노즐부 131 : 제 1 확관부
140 : 본체 141 : 제 2 확관부
142 : 제 3 축관부 143 : 제 1 배출구
144 : 제 2 배출구 145 : 제 2 유입구
146 : 제 3 유입구 150 : 내부콘부
151 : 상부콘 152 : 하부콘
153 : 확장부 154 : 가이드부
160 : 내부관부 161 : 제 4 축관부
162 : 연장부 170 : 높이조절부
171 : 결합관 172 : 연결판
173 : 조절볼트 174 : 조절너트
210 : 원료공급밸브 220 : 배출밸브
230 : 더스트필터

Claims (10)

  1. 원료가 상부로부터 투입되는 원료투입관(110);
    상기 원료투입관(110)의 외측에 마련되고,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120);
    상기 공기유입관(120)의 하측에 마련되고, 상기 원료와 상기 공기가 내측으로 유입되어 하방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노즐부(130);
    상기 노즐부(130)가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부에 분진과 공기의 배출을 위한 제 1 배출구(143)가 마련되며, 하단에 원료와 공기의 배출을 위한 제 2 배출구(144)가 마련되며, 측부에 2차 공기가 유입되도록 유입구(145,146)가 마련되는 본체(140); 및
    상기 본체(140) 내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부(130)의 하단에 상부콘(151)이 삽입되며, 상기 상부콘(151) 하단의 확장부(153)가 상기 본체(140)의 내측면에 대향하여 접근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부콘(151)에 충돌로 인한 1차 충격에 의해 원료로부터 분진이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노즐부(130)와 상기 상부콘(151)의 간격이 점점 좁아짐으로써, 원료의 배출 속도를 증가시키며, 상기 확장부(153)와 상기 본체(140)의 내측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충돌로 인한 2차 충격에 의해 원료로부터 분진이 분리되도록 하며, 상기 유입구(145,146)로부터 유입되는 2차공기가 상기 확장부(153)와 상기 본체(140)의 내측면을 역류하면서 속도가 빨라져서 분진과 함께 상기 제 1 배출구(14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내부콘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40)는,
    상기 제 1 배출구(143)가 상기 노즐부(130)의 측부에 대응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노즐부(130)는,
    하부에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 1 확관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콘부(150)는,
    상기 상부콘(151)의 상부가 상기 제 1 확관부(131)의 내측에 유격을 가지도록 삽입되고,
    상기 내부콘부(150)는,
    상기 확장부(153)로부터 하방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하부콘(152)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콘(152)의 하단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부(154)가 마련되며,
    상기 내부콘부(150)와 상기 본체(140) 사이에는,
    내부관부(160)가 마련되고,
    상기 내부관부(160)는,
    상기 하부콘(152)과 상기 가이드부(154)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단이 상기 본체(140)의 내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하부콘(152)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제 4 축관부(161)가 마련되며, 상기 제 4 축관부(161)의 하단에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연장되는 연장부(162)가 마련되고,
    상기 노즐부(130)를 상기 본체(140) 내에서 승강시킴으로써, 하단의 통로 단면적을 가변시키도록 하는 높이조절부(170)를 더 포함하는,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료투입관(110)은,
    하부에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제 1 축관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입관(120)은,
    공기의 유입을 위한 제 1 유입구(121)가 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축관부(111)에 대응하여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제 2 축관부(122)가 형성되는,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40)는,
    상기 유입구(145,146)가 상기 내부콘부(150)의 하부에 대응하도록 측부에 마련되는 제 2 유입구(145)와 상기 내부콘부(150)의 상부에 대응하도록 측부에 마련되는 제 3 유입구(146)를 포함하는,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40)는,
    상기 제 1 확관부(131)에 대응하는 부분에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제 2 확관부(141)가 마련되는,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170)는,
    상기 공기유입관(120)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140)의 상단에 마련되어 상기 노즐부(130)의 상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관(171);
    상기 노즐부(13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연결판(172);
    상기 연결판(172) 상에 수직되게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140)의 상단을 통과하는 조절볼트(173); 및
    상기 조절볼트(173)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어, 조임과 풀림에 의해 상기 연결판(172)과 함께 상기 노즐부(130)의 높이를 가변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조절너트(174);
    를 포함하는,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
KR1020210083609A 2021-06-28 2021-06-28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 KR102540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609A KR102540648B1 (ko) 2021-06-28 2021-06-28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609A KR102540648B1 (ko) 2021-06-28 2021-06-28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06A KR20230001106A (ko) 2023-01-04
KR102540648B1 true KR102540648B1 (ko) 2023-06-07

Family

ID=84925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609A KR102540648B1 (ko) 2021-06-28 2021-06-28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6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03121A1 (en) * 2013-01-24 2014-07-24 Lp Amina Llc Classifier
JP2015517049A (ja) 2012-03-26 2015-06-18 エムジーアイ・クーティエ サイクロン分離器
JP2017185426A (ja) * 2016-04-01 2017-10-12 株式会社アコー 粉体等の分離装置
KR101942894B1 (ko) * 2018-03-06 2019-01-28 함순식 건식 모래 미분 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8545A (ja) * 1994-06-09 1995-12-19 Aiki Denko Kk 粉粒体分級装置
EP2031078A1 (en) * 2007-08-29 2009-03-04 Paul Wurth S.A. Dust catcher for blast furnace gas
KR101805980B1 (ko) * 2015-07-27 2017-12-07 안재용 수지원료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51378B1 (ko) * 2018-02-12 2019-12-04 보평그린(주) 미세먼지 제거, 가습, 탈취를 위한 초미세 액적 사이클론 포그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517049A (ja) 2012-03-26 2015-06-18 エムジーアイ・クーティエ サイクロン分離器
US20140203121A1 (en) * 2013-01-24 2014-07-24 Lp Amina Llc Classifier
JP2017185426A (ja) * 2016-04-01 2017-10-12 株式会社アコー 粉体等の分離装置
KR101942894B1 (ko) * 2018-03-06 2019-01-28 함순식 건식 모래 미분 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106A (ko) 202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2216B2 (en) Method apparatus for separating unwanted matter from granular material
JPS61501716A (ja) 繊維懸濁液の脱インキ処理用浮選装置
KR101997303B1 (ko) 공압식 재료 이송시스템을 위한 분리기구 및 방법
JP5736142B2 (ja) 微粉除去装置
US20090197753A1 (en) Cyclone separator for blast furnace gas
US2708033A (en) Fractionator
JP4907655B2 (ja) 気流分級機および分級プラント
KR102540648B1 (ko) 원료의 분진 제거 장치
EP3417945A1 (en) Hydrocyclone separator
US20100236199A1 (en) Dust collector
FI123014B (fi) Pyörrepuhdistimen pohjalaimenninrakenne ja menetelmä pyörrepuhdistimen pohjalaimenninrakenteessa
US3415373A (en) Particle size class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105129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sorting objects
JP4509086B2 (ja) 粉粒体の固気分離装置
KR100799447B1 (ko) 재활용품 풍력선별기
KR100773604B1 (ko) 하,폐수 처리장의 침사물 이송장치
CN106584708A (zh) 一种物料分选系统
TW202102306A (zh) 用於處理散料之設備、配套工件組與方法
CN109414708B (zh) 用于颗粒分离器的进料装置、颗粒分离器和颗粒分离方法
AU2015255200B2 (en) Apparatus for classifying particulate material
WO2000044474A1 (en) Filter device
CN115121480B (zh) 一种碎玻璃颗粒筛分设备的控制方法
JP2011230326A (ja) 分離装置
CN113365736B (zh) 离心清理器的废料室和离心清理器
CN219816620U (zh) 一种颗粒材料分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