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620B1 -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 - Google Patents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620B1
KR102540620B1 KR1020210112634A KR20210112634A KR102540620B1 KR 102540620 B1 KR102540620 B1 KR 102540620B1 KR 1020210112634 A KR1020210112634 A KR 1020210112634A KR 20210112634 A KR20210112634 A KR 20210112634A KR 102540620 B1 KR102540620 B1 KR 10254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midsole
elastic pressure
disposed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0429A (ko
Inventor
강수경
박주연
조규진
유기평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1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620B1/ko
Publication of KR2023003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은,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 상에 배치되고 스트랩(strap)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갑피, 상기 제1 부분의 둘레를 조정하도록 하는 둘레 조정부, 안창, 겉창, 및 상기 안창과 상기 겉창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밑창, 상기 중창에 포함되는 터널형 구조체, 및 상기 터널형 구조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터널형 구조체를 따라 연장되는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 및 상기 밑창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으로 연장되는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을 포함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SOFT WEARABLE SHOES FOR GAIT ASSISTANCE}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과 관련된다.
걷기 및 달리기 동작은 사람의 이동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동작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들은 사람의 관절 및 인대에 손상을 누적시킬 수 있다. 사람의 이동 동작에 의해 손상이 발생되는 대표적인 부위로는 발과 발목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발 및 발목과 관련된 부상 유형은, 예를 들어, 족저근막염과 아킬레스건 파열이 있을 수 있다.
족저근막과 아킬레스건은 이동 동작 시 반복된 변형 혹은 순간적인 과도한 변형으로 인해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이 반복 및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밑창을 통해 보행 시 발과 지면과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하는 신발이 있을 수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847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은 걷기, 달리기, 및 전력 질주 과정에서 족저근막에 발생할 수 있는 하중을 감소시키고, 아킬레스건을 통해 전달되어야하는 종아리 근육의 힘을 대체하며, 보행 과정을 안전하게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착용형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 상에 배치되고 스트랩(strap)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갑피, 상기 제1 부분의 둘레를 조정하도록 하는 둘레 조정부, 안창, 겉창, 및 상기 안창과 상기 겉창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밑창, 상기 중창에 포함되는 터널형 구조체, 및 상기 터널형 구조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터널형 구조체를 따라 연장되는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 및 상기 밑창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으로 연장되는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창은, 제1 중창 부분, 상기 제1 중창 부분과 이격된 제2 중창 부분, 및 상기 제1 중창 부분과 상기 제2 중창 부분 사이의 제1 이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형 구조체는 상기 제1 중창 부분 내에 배치되는 제1 터널형 구조체, 및 상기 제2 중창 부분 내에 배치되는 제2 터널형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은, 상기 제1 터널형 구조체, 상기 제1 이격 부분 및 상기 제2 터널형 구조체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이격 부분에서 노출 수 있다.
또한, 상기 겉창은, 제1 겉창 부분, 상기 제1 겉창 부분과 이격된 제2 겉창 부분, 및 상기 제1 겉창 부분과 상기 제2 겉창 부분 사이의 제2 이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겉창 부분은 상기 제1 중창 부분과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겉창 부분은 상기 제2 중창 부분과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이격 부분은 상기 제2 이격 부분과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은, 상기 제1 이격 부분 및 상기 제2 이격 부분에서 상기 신발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터널형 구조체의 바닥면은 상기 제1 겉창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2 터널형 구조체의 바닥면은 상기 제2 겉창 부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은, 상기 터널형 구조체 내에서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조정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 밴드의 일측은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조정 밴드의 타측은 상기 둘레 조정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의 아치(arch)형 부위에서의 과신장과 아킬레스건의 과신장을 방지하고, 족저근막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일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타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후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밑창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중창을 아래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편의상 밑창만을 도시하였다.
도 7은 도 1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편의상 밑창만을 도시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밑창의 중창에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이 배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밑창의 중창에 탄성체 압력 전달 수단이 배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신발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일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도 11은 보행 과정에서 아킬레스건 및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일반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나 단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이 실현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전부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및 응용 가능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일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타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후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은, 갑피(110), 둘레 조정부(120), 밑창(130) 및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140)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110)는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에서 밑창(130)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갑피(110)는, 제1 부분(111) 및 제2 부분(112)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110)의 제1 부분(111)은, 밑창(130) 상에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갑피(110)의 제1 부분(111)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을 착용한 경우, 사용자의 발볼, 발등 및 발뒤꿈치를 감싸는 부분일 수 있다. 갑피(110)의 제1 부분(111)은,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갑피(110)의 제2 부분(112)은, 갑피(110)의 제1 부분(1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갑피(110)의 제1 부분(111)은 밑창(130)과 갑피(110)의 제2 부분(1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갑피(110)의 제2 부분(112)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을 착용한 경우, 사용자의 발목의 외주연 전체를 감싸는 부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10)의 제2 부분(112)은,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갑피(110)의 제2 부분(112)은, 직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갑피(110)의 제2 부분(112)은, 스트랩(strap, 11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113)은, 갑피(110)의 제2 부분(112)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트랩(113)은,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트랩(113)을 조정하여, 갑피(110)의 제2 부분(112)이 사용자의 발목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트랩(113)을 조정하여, 갑피(110)의 제2 부분(112)을 헐겁게하고, 이로써 사용자는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둘레 조정부(120)는, 갑피(110)의 제1 부분(111)의 둘레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둘레 조정부(120)는, 예를 들어, 갑피(110)의 제1 부분(111)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둘레 조정부(120)는, 편의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둘레 조정부(120)는, 예를 들어, 다이얼 형태로 구현될 수있다.
둘레 조정부(120)는, 조정 밴드(150)와 연결될 수 있다. 조정 밴드(150)는, 갑피(110)의 제1 부분(111)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조정 밴드(150)의 일측은, 갑피(110)의 제1 부분(111)과 연결될 수 있다. 조정 밴드(150)의 타측은, 둘레 조정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둘레 조정부(120)를 조정하여, 조정 밴드(150)가 사용자의 발볼 및 발등을 단단히 감싸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둘레 조정부(120) 조정하여, 조정 밴드(150)가 사용자의 발볼 및 발등을 헐겁게 감싸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을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둘레 조정부(120)를 조작하여 조정 밴드(150)를 수축 또는 이완시키면서 갑피(110)의 제1 부분(111)의 둘레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 밴드(150)는,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둘레 조정부(120)를 조정하여, 조정 밴드(150)가 사용자의 발볼 및 발등을 단단히 감싸도록 조여준 경우, 발의 횡단 아치를 조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발의 내측세로아치의 강성이 강화되어, 발에 전달되는 하중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190)는, 갑피(11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190)는,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140)의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을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고정부재(190)를 이용하여 이를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부재(190)를 통해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의 탄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이 보행시 보조하는 강도(또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밑창(130)은, 갑피(110)의 제1 부분(11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밑창(130)은, 갑피(110)의 제1 부분(11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밑창(130)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을 착용한 경우, 지면과 맞닿는 부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밑창(130)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중창(133)을 아래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편의상 밑창(130)만을 도시하였다. 도 7은 도 1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 편의상 밑창(130)만을 도시하였다. 도 6 및 도 7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140)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4,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밑창(130)은 안창(insole, 131), 겉창(outsole, 132), 및 중창(midsole, 133)을 포함할 수 있다. 중창(133)은, 터널형 구조체(16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창(131)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을 착용한 경우, 사용자의 발바닥과 닿는 부분일 수 있다.
중창(133)은, 안창(131)과 겉창(1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중창(133)은, 제1 중창 부분(171), 제2 중창 부분(172) 및 제1 이격 부분(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창 부분(171)과 제2 중창 부분(172)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이격 부분(173)은, 제1 중창 부분(171)과 제2 중창 부분(172)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중창(133)은, 터널형 구조체(160)를 포함할 수 있다. 터널형 구조체(160)는, 중창(13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터널형 구조체(160)는, 중창(133)의 일부가 제거되어 움푹한 부분일 수 있다. 터널형 구조체(160)는, 제1 터널형 구조체(161) 및 제2 터널형 구조체(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널형 구조체(161)는, 제1 중창 부분(17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널형 구조체(161)는 제1 중창 부분(171) 내에서, 밑창(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1 터널형 구조체(161)는, 예를 들어, 밑창(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중창 부분(171)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터널형 구조체(161)는 일측이 막혀있는 터널 형태일 수 있다. 제1 터널형 구조체(161)는 제1 이격 부분(173)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터널형 구조체(161)의 밑면은, 제1 겉창 부분(18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 터널형 구조체(161)의 측면 및 윗면은, 제1 중창 부분(17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제1 터널형 구조체(161)의 밑면이 제1 겉창 부분(181)에 의해 정의된다는 것은 단순히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며,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터널형 구조체(161)는 제1 중창 부분(17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제1 터널형 구조체(161)의 밑면은 제1 중창 부분(171)의 내주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 터널형 구조체(162)는, 제2 중창 부분(17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널형 구조체(162)는 제2 중창 부분(172) 내에서, 밑창(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터널형 구조체(162)는, 예를 들어, 밑창(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중창 부분(172)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터널형 구조체(162)는, 예를 들어, 밑창(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중창 부분(172)을 관통할 수 있다. 제2 터널형 구조체(162)는, 제1 이격 부분(173)으로부터 밑창(130)의 끝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터널형 구조체(162)는 양측이 뚫려있는 터널 형태일 수 있다.
제2 터널형 구조체(162)의 밑면은, 제2 겉창 부분(18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 터널형 구조체(162)의 측면 및 윗면은, 제2 중창 부분(17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터널형 구조체(162)의 밑면이 제2 겉창 부분(182)에 의해 정의된다는 것은 단순히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며, 실시예들이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터널형 구조체(162)는 제2 중창 부분(172)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제2 터널형 구조체(162)의 밑면은 제2 중창 부분(172)의 내주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겉창(132)은, 제1 겉창 부분(181), 제2 겉창 부분(182) 및 제2 이격 부분(18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겉창 부분(181)과 제2 겉창 부분(182)은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이격 부분(183)은, 제1 겉창 부분(181)과 제2 겉창 부분(182) 사이의 공간일 수 있다. 제1 겉창 부분(181)은, 제1 중창 부분(171)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겉창 부분(182)은, 제2 중창 부분(172)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격 부분(183)은, 제1 이격 부분(173)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은,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14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140)은, 밑창(130) 내에서 연장되고, 갑피(110)의 제2 부분(112)까지 연장될 수 있다.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140)은,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과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140)은, 예를 들어,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140)은, 예를 들어, 고무 재질일 수 있다.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140)은, 예를 들어, 케이블의 형태일 수 있다.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과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은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은, 밑창(130)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의 일부는,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의 일부는 제1 이격 부분(173) 및 제2 이격 부분(18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의 일측은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의 일측과 연장될 수 있다.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 타측은,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전측(예: 제1 중창 부분(도 4의 171))과 연결될 수 있다.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전측(예: 제1 중창 부분(도 4의 171))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을 착용한 경우, 사용자의 발볼이 위치하는 부분과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을 착용한 경우,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이 신장되도록 탄성 변형되어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은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후측을 향해 압력이 가해지면,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은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을 따라 이동되면서 신장 즉, 늘어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 때,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전측(예: 제1 중창 부분(도 4의 171))이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을 따라 후측으로 이동되어,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전측(예: 제1 중창 부분(도 4의 171))은 사용자의 발볼을 조여주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전측(예: 제1 중창 부분(도 4의 171))에는 사용자의 족저근막이 위치될 수 있으므로,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은 사용자의 족저근막 및 아치를 조여주게 되어, 사용자의 족저근막의 과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은 사용자의 횡단아치(transverse arch)를 조여주도록 하여, 내측세로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의 강성이 강화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체중의 몇 배에 해당하는 하중을 보다 안전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은, 밑창(130)의 외부로 노출되고, 갑피(110)의 제1 부분(111)으로부터 갑피(110)의 제2 부분(11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은, 예를 들어,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후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의 일측은,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후측을 따라 밑창(130)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의 타측은, 고정부재(19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의 일측은, 밑창(130)에 형성된 공간(예: 제2 터널형 구조체(도 4의 162)) 내로 삽입되어,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이 밑창(130)에 형성된 공간(예: 제2 터널형 구조체(도 4의 162)) 내로 안내되므로,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은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후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을 착용한 경우, 고정부재(190)와 연결된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의 타측을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이 신장되도록 외부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이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고정부재(190)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발뒤꿈치는, 사용자의 아킬레스건이 수축되는 방향인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후측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보행하는 도중, 사용자가 사용자의 아킬레스건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이동시키면,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이 신장되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사용자의 아킬레스건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어, 사용자의 아킬레스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분담하고, 아킬레스건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밑창(130)의 중창(133)에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140)이 배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을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으로, 일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도 3, 도 8,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은 터널형 구조체(160) 내에 배치되고, 터널형 구조체(16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은, 제1 터널형 구조체(161), 제1 이격 부분(173) 및 제2 터널형 구조체(162)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은, 제1 이격 부분(173)에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격 부분(173)과 제2 이격 부분(183)은 대응되도록 배치되므로,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은 제1 이격 부분(173) 및 제2 이격 부분(183)에서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의 일측은, 제1 터널형 구조체(161) 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은, 제1 터널형 구조체(161) 내에서 신장 및 수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은, 제1 터널형 구조체(161) 내에서 슬라이딩되며 신장 및 수축을 반복할 수 있다.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은, 밑창(130)의 외부로 노출되고, 갑피(110)의 제1 부분(111)으로부터 갑피(110)의 제2 부분(112)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은, 예를 들어, 밑창(130)으로부터 갑피(110)의 제2 부분(112)까지,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후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은, 예를 들어,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보다 스트랩(113)과 더 가까울 수 있다.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은, 예를 들어, 고정부재(190)를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중창(133) 및 겉창(132)은 각각 제1 이격 부분(173) 및 제2 이격 부분(183)을 기준으로 나뉘어져 있어,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140)이 터널형 구조체(160) 내에서 슬라이딩 될 때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이 유연하게 구부러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앞 발 닿기의 보행 과정에서 아킬레스건 및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앞 발 닿기(forefoot strike)의 보행시의 발의 형태는, 착지(Landing) 상태에서 지지 중기(Midstance) 상태로, 그리고 지지 중기 상태에서 발끝 밀기(Push-off) 상태로 변화된다. 발의 형태가 착지 상태에서 지지 중기 상태로 변화될 때, 아킬레스건(A)은 점차 신장되는 방향으로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으며, 족저근막(P)은 점차 수축되다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다.
아킬레스건(A)이 신장되는 방향으로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100)의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은 아킬레스건(A)이 신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므로, 아킬레스건(A)이 부담해야 하는 스트레스를 분담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의 탄성력은 족저근막(P)이 과신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발의 형태가 지지 중기 상태에서 발끝을 뗄 때인 발끝 밀기로 변화될 때, 아킬레스건(A)이 수축되면서 발과 지면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앞으로 전진하는 힘을 받게 된다. 이때,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은 탄성력은 아킬레스건(A)이 수축될 때 필요한 힘을 일부 부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아킬레스건(A)이 수축될 때 필요한 힘의 일부를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의 탄성력이 부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부담되는 스트레스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과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2)의 탄성력은 관절 운동이 용이해지도록 스트레스를 분담하고, 이로 인해 착용자의 보행을 적절하게 보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주기(Mid-stance)에서 발끝을 뗄 때인 발끝밀기(push off)로 이동될 때,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141)이 터널형 구조체(160) 내에서 슬라이딩 되어 신장됨으로써 사용자의 발의 아치 부분을 지지해주고 족저근막(P)의 하중을 감소시켜므로, 족저근막(P)의 과신장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 상에 배치되고 스트랩(strap)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갑피;
    상기 제1 부분의 둘레를 조정하도록 하는 둘레 조정부;
    안창, 겉창, 및 상기 안창과 상기 겉창 사이에 배치되는 중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밑창;
    상기 중창에 포함되는 터널형 구조체;
    상기 터널형 구조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터널형 구조체를 따라 연장되는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 및
    상기 밑창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제1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2 부분으로 연장되는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중창은, 제1 중창 부분, 상기 제1 중창 부분과 이격된 제2 중창 부분, 및 상기 제1 중창 부분과 상기 제2 중창 부분 사이의 제1 이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형 구조체는 상기 제1 중창 부분 내에 배치되는 제1 터널형 구조체, 및 상기 제2 중창 부분 내에 배치되는 제2 터널형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은, 상기 제1 터널형 구조체, 상기 제1 이격 부분 및 상기 제2 터널형 구조체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이격 부분에서 노출되고,
    상기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과 상기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은 서로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 및 상기 제2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 각각은 탄성을 갖고,
    상기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은, 상기 터널형 구조체 내에서, 탄성에 의해 신장 및 수축되는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겉창은, 제1 겉창 부분, 상기 제1 겉창 부분과 이격된 제2 겉창 부분, 및 상기 제1 겉창 부분과 상기 제2 겉창 부분 사이의 제2 이격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겉창 부분은 상기 제1 중창 부분과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겉창 부분은 상기 제2 중창 부분과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이격 부분은 상기 제2 이격 부분과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탄성체 압력 전달수단 부분은, 상기 제1 이격 부분 및 상기 제2 이격 부분에서 상기 신발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널형 구조체의 바닥면은 상기 제1 겉창 부분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2 터널형 구조체의 바닥면은 상기 제2 겉창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조정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 밴드의 일측은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조정 밴드의 타측은 상기 둘레 조정부와 연결되는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

KR1020210112634A 2021-08-25 2021-08-25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 KR10254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634A KR102540620B1 (ko) 2021-08-25 2021-08-25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634A KR102540620B1 (ko) 2021-08-25 2021-08-25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429A KR20230030429A (ko) 2023-03-06
KR102540620B1 true KR102540620B1 (ko) 2023-06-07

Family

ID=8551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2634A KR102540620B1 (ko) 2021-08-25 2021-08-25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62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4868A (ja) * 2016-10-21 2018-04-26 金一 千葉 歩行補助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847Y1 (ko) 2014-10-02 2016-11-29 (주) 거림케미칼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KR20190108386A (ko) * 2018-03-14 2019-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작 편의성이 향상된 신발 고정 유닛을 구비하는 근력 보조 로봇
KR102322466B1 (ko) * 2019-12-05 2021-11-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신발 형태의 발목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4868A (ja) * 2016-10-21 2018-04-26 金一 千葉 歩行補助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429A (ko) 202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5212A (en) Orthotically dynamic footwear
US7513880B2 (en) Ankle-foot orthosis having an orthotic footplate
EP1906783B1 (en) Shoe sole
US8529484B2 (en) Orthotic foot brace
AU2014236761B2 (en) Orthopedic walking brace having a curved sole
KR101693750B1 (ko) 발목 강성 보조를 위한 신발 결합형 착용기
US11278439B2 (en) Ankle-foot orthosis
KR101696771B1 (ko) 발목 추진 보조를 위한 착용형 장비
KR101650095B1 (ko) 착용형 발목 가변 강성 장치 및 작동 방법
KR102540620B1 (ko) 보행 보조 소프트 웨어러블 신발
KR101649335B1 (ko) 발목관절 보조기
US20210330027A1 (en) Shoe sole for a running sports shoe or shoe
US11020263B2 (en) Reverse insole
KR102013061B1 (ko) 족저근막염 보호대
WO2018155741A1 (ko) 탄성력을 이용한 기능성 인솔
CN111387636A (zh) 一种拇外翻主动式矫正鞋
KR102448897B1 (ko) 착용형 보행 보조 장치
KR200202448Y1 (ko) 저굴 내반족 보조기
JP7078993B2 (ja) 短下肢装具
JP3225362U (ja) 靴用足首サポーター
CN212437517U (zh) 一种拇外翻主动式矫正鞋
US20160235154A1 (en) Orthopedic footwear with dynamic medial longitudinal arch support
KR101911163B1 (ko)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US10667574B2 (en) Functional orthotic support structure for footwear
KR20220005113A (ko) 추진력 증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