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1163B1 -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 Google Patents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1163B1 KR101911163B1 KR1020170016748A KR20170016748A KR101911163B1 KR 101911163 B1 KR101911163 B1 KR 101911163B1 KR 1020170016748 A KR1020170016748 A KR 1020170016748A KR 20170016748 A KR20170016748 A KR 20170016748A KR 101911163 B1 KR101911163 B1 KR 1019111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tient
- shoe
- shoe body
- ankle
- ba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18—Devices for holding overshoes in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4—Insertions or other supports preventing the foot canting to one side , preventing supination or pro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5—Shoe-like orthopaedic devices for protecting the feet against injuries after ope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은,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환자의 발이 삽입되는 신발 몸체; 및 상기 신발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발목 부위를 크로스 형태로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환자의 발목에 안정감을 제공하는 발목 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은, 하지 수술 환자의 발목 부위를 크로스 형태로 감싸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하지 수술 환자들의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발목 통증을 완화시키고 발목에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지 수술 환자의 안정적인 보행 및 재활운동을 위한 하지 수술, 특히 무릎 인공관절 치환 수술 및 발목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땅을 딛고 서거나 걸을 때 발에 신는 물건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그 용도에 따라 운동화(sneakers), 구두, 슬리퍼 등 다양한 형태 및 종류가 있다.
한편, 무릎 관절, 발목 등의 하지 수술 환자들은 수술 후 재활 및 편리한 보행을 위하여 신발을 착용한다. 다시 말해서, 하지 수술 환자들은 수술 후에 수술 부위의 운동능력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도록 재활운동을 실시하여야 하는데, 이때 신발을 착용하고 걷기, 계단오르기 등과 같은 재활운동을 수행한다.
특히, 무릎 인공관절 치환 수술 환자들의 경우 다리의 무게 중심축이 변화되므로 발목에 통증이 발생될 수 있어서 보행 및 재활을 수행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한, 무릎 인공관절 치환 수술 환자들을 포함한 하지 수술 환자들은 수술 후 하지의 부종이 매우 심각하기 때문에 환자가 평소 신던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즉, 하지 수술 환자들은 수술로 인해 발생된 발의 부종으로 인하여 환자가 평소 신던 신발 및 일반적인 형태의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발목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부종이 발생된 상태에 발목 밴드까지 착용하게 되면 환자가 평소 신던 신발 및 일반적인 형태의 신발을 착용하는 것은 상당한 불편감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무릎 인공관절 치환 수술 환자들의 경우에는 다리의 무게 중심축이 수술 후 변하기 때문에 수술 후 초기에 평소 환자가 신던 일반적인 형태의 신발을 신고 걷는 것이 불편하고 둔하게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79376호 (발명의 명칭: 발목보호대 및 이를 이용한 인솔과 신발, 공개일: 2005.08.10.)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지 수술 환자들이 수술 후 초기에 느끼는 발목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발목의 불안정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수술 환자의 발목 부위에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는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환자의 발이 삽입되는 신발 몸체; 및 상기 신발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발목 부위를 크로스 형태로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환자의 발목에 안정감을 제공하는 발목 밴드부를 포함하는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발목 밴드부는, 일단부가 상기 신발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발목 밴드; 및 상기 신발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발목 밴드의 텐션(tension)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목 밴드는, 상기 환자의 발등 부위를 감싸고 상기 환자의 발목 부위를 크로스 형태로 감싼 후 상기 발목 밴드의 타단부가 상기 제1 클립에 끼워져 방향 전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립은, 상기 발목 밴드가 결합되는 상기 신발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발목 밴드는, 상기 신발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신발 몸체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신발 깔창이 놓여지는 상기 신발 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환자의 발바닥 부위를 감싸고, 그 다음 상기 환자의 발등 부위를 감싸고 상기 환자의 발목 부위를 크로스 형태로 감싼 후 상기 발목 밴드의 타단부가 상기 제1 클립에 끼워져 방향 전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발목 밴드는, 상기 환자의 발바닥 부위를 감싸는 부분과 상기 환자의 발등 부위를 감싸는 부분 사이의 부분이 상기 신발 몸체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신발 몸체는, 상기 환자의 착용이 수월하도록 상기 환자의 발등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신발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신발 몸체의 앞쪽 부분에서 상기 신발 몸체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조절 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폭조절 밴드부는, 일단부가 상기 신발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발등 부위를 덮도록 마련되는 폭조절 밴드; 및 상기 신발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폭조절 밴드의 텐션(tension)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폭조절 밴드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클립에 끼워져 방향 전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립은, 상기 환자의 발목 부위나 발등 부위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재활운동용 신발의 왼쪽 신발의 경우에는 상기 신발 몸체의 좌측에 결합되고 상기 재활 운동용 신발의 오른쪽 신발의 경우에는 상기 신발 몸체의 우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은, 하지 수술 환자의 발목 부위를 크로스 형태로 감싸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하지 수술 환자들의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발목 통증을 완화시키고 발목에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은, 발목 밴드를 이용하여 하지 수술 환자의 발바닥 부위, 발등 부위 및 발목 부위를 한번에 감싸기 때문에 하지 수술 환자들의 보행 및 조기 재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의 사용 상태의 정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의 사용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의 사용 상태를 후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에서 발목 밴드 및 폭조절 밴드의 결합이 일부 해제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에서 발목 밴드 및 폭조절 밴드의 결합이 해제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6에 도시한 신발 몸체에서 발목 밴드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의 보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의 사용 상태를 측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의 사용 상태를 후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에서 발목 밴드 및 폭조절 밴드의 결합이 일부 해제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에서 발목 밴드 및 폭조절 밴드의 결합이 해제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6에 도시한 신발 몸체에서 발목 밴드가 결합되어 있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의 보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100, 이하 '재활 운동 신발' 이라 함)을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신발(100)은 하지 수술 환자,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무릎 인공관절 치환 수술 및 발목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의 발목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발목에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신발(100)은 일반인보다는 무릎 인공관절 치환 수술 및 발목 수술 등과 같은 하지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 특화된 신발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 신발(100)은 하지 수술 환자(이하 '환자' 라 함)의 발(1)이 삽입되는 신발 몸체(110) 및 신발 몸체(110)에 결합되고 환자의 발목 부위를 크로스(cross) 형태로 감싸도록 마련되어 환자의 발목에 안정감을 제공하는 발목 밴드부(120)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재활 운동용 신발(100)은 왼쪽 신발을 도시한 것으로, 하기에서 설명하는 재활 운동용 신발(100)은 왼쪽 신발에 해당된다. 또한, 재활 운동용 신발(100)에서 일측은 신발의 바깥쪽 부분에 해당되는 외측부를 의미하고, 타측은 신발의 안쪽 부분에 해당되는 내측부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신발 몸체(110)는 환자의 발(1)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환자의 다양한 발(1) 크기에 적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이즈(size)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재활 운동용 신발(100)의 사이즈는 보편적으로 제조되는 신발의 사이즈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발 사이즈가 수술 전에 240mm였다면, 수술 후에는 240mm 사이즈의 신발을 신을 수 없다. 왜냐하면, 재활 운동 신발(100)을 사용하는 환자들의 대부분은 수술로 인하여 발에 부종이 발생되고, 발목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발목 지지밴드를 착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 운동용 신발(100)은 기성 신발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하여 환자들이 신발을 편리하게 신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발 몸체(110)는 앞쪽(환자의 발등 및 발가락이 삽입 또는 위치되는 부분)의 길이방향 길이(L1)가 뒤쪽(환자의 뒤꿈치가 삽입 또는 위치되는 부분)의 길이(L2) 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부종이 심하고 발목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발목 지지밴드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들이 재활 운동용 신발(100)을 신고 벗는 것이 편리하게 된다.
더욱이, 신발 몸체(110)의 일부분은 매쉬(mash) 소재의 공기 순환부(112)로 마련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순환부(112)는 신발 몸체(110)의 앞쪽, 양 옆쪽 및 뒤쪽에 마련되어 외부의 공기가 신발 몸체(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환자가 재활 운동 신발(100)을 장시간 쾌적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신발 몸체(110)의 상단부에는 개방부(114)가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개방부(114)는 신발 몸체(110)는 신발 몸체(110)에 삽입된 환자의 발(1)의 부위 중에서 발등에 대응되는 부분에 마련된다. 신발 몸체(110)에 개방부(114)가 마련됨으로 인하여 재활 운동용 신발(100)을 환자가 신고 벗을 때 편리하게 되고, 신발을 신고 벗을 때 환자가 느낄 수 있는 통증 및 고통을 경감시켜 줄 수 있다. 참고로, 개방부(114)의 폭은 후술한 폭조절 밴드부(130)를 이용하여 환자의 발(1)의 폭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발 몸체(110)의 굽(111)의 앞축 높이(H1)와 뒷축 높이(H2)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신발 몸체(110)의 굽(111)의 압축 높이(H1)를 뒷축 높이(H2) 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재활 운동 신발(100)을 착용하는 하지 수술 환자의 발(1)의 보행 및 재활운동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참고로, 앞축 높이(H1)와 뒷축 높이(H2)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발목 밴드부(120)는 신발 몸체(110)에 결합되고 환자의 발목 부위를 크로스(cross) 형태로 감싸도록 마련되어 환자의 발(1)의 발목에 안정감을 제공한다. 이러한 발목 밴드부(120)는 발목 밴드(122) 및 제1 클립(124)을 포함한다.
발목 밴드부(120)의 발목 밴드(122)는 신발 몸체(110)의 일측(신발 몸체(110)의 외측부)에 결합되어 환자 발(1)의 발바닥 부위, 발등 부위 및 발목 부위를 감싼다. 이러한 발목 밴드(122)의 크기는 후술할 폭조절 밴드부(130)의 폭조절 밴드(132) 보다 큰 폭, 예컨대 약 2배 내지 약 3배 정도의 폭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환자의 발(1)의 발바닥 부위, 발등 부위 및 발목 부위를 신발 몸체(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7을 참조하면, 발목 밴드(122)가 신발 몸체(110)의 일측(신발 몸체(110)의 외측부)에 결합될 때 발목 밴드(122)의 환자 발(1)의 발바닥 부위와 환자 발(1)의 발등 부위를 감싸는 부분 사이의 부분이 신발 몸체(110)의 타측(신발 몸체(110)의 내측부)에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신발 몸체(110)의 발등 부위의 양쪽을 함께 조여줌으로써 발목 밴드(122)가 신발 몸체(110)와 따로 놀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발목 밴드(122)는 신발 몸체(110)의 일측(신발 몸체(110)의 외측부)에서 결합되어 신발 몸체(11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신발 몸체(110)의 타측(신발 몸체(110)의 내측부)에 결합되며 신발 깔창(미도시)이 놓여지는 신발 몸체(110)의 내측면에서 환자 발(1)의 발바닥 부위를 감싸고, 그 다음, 환자 발(1)의 발등 부위를 감싸고 환자 발(1)의 발목 부위를 크로스 형태로 감싸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환자가 재활 운동용 신발(100)을 신고 걷거나 운동을 할 때 재활 운동용 신발(100)의 발등 부위의 양쪽을 함께 조여줌으로써 발목 밴드(122)가 신발 몸체(110)에 대해 따로 놀지 않도록 하고, 재활 운동용 신발(100)에 대해 환자의 발(1)의 발바닥 부위, 발등 부위, 발목 부위를 감은 발목 밴드(122)가 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발목 밴드(122)가 신발 몸체(110)의 일측(신발 몸체(110)의 외측부) 및 타측(신발 몸체(110)의 내측부)에 각각 결합될 때 박음질을 통하여 결합된다. 그러나, 발목 밴드(122)가 신발 몸체(110)결합되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환자 발(1)의 발바닥 부위, 발등 부위 및 발목 부위를 감싼 후의 발목 밴드(122)는 제1 클립(124)에 끼워져 제1 벨크로(126)에 의해 신발 몸체(110)에 고정된다.
발목 밴드부(120)의 제1 클립(124)은 신발 몸체(110)의 일측(신발 몸체(110)의 외측부)에 결합되고 발목 밴드(122)에 텐션(tension)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한다. 이때, 도 7에 신발 몸체(110)의 일측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부분을 참조하면, 제1 클립(124)은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며 발목 밴드(122)의 일측(신발 몸체(110)의 외측부)에 마련된 제1 클립 고정부(124a)에 의해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클립(124)에는 발목 밴드(122)가 끼워지고, 끼워진 발목 밴드(122)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예컨대, 발목 밴드(122)가 제1 클립(124)의 좌측 방향에서 끼워졌다면 제1 클립(124)을 통과한 발목 밴드(122)는 우측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한편, 제1 클립(124)은 환자 발(1)의 발목 부위나 발등 부위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활 운동용 신발(100)의 왼쪽 신발의 경우에는 신발 몸체(110)의 좌측(신발 몸체(110)의 외측부에 해당됨)에 결합되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재활 운동용 신발(100)의 오른쪽 신발의 경우에는 신발 몸체(110)의 우측(신발 몸체(110)의 외측부에 해당됨)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제1 클립(124)은 다양한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클립(124)이 부착되는 재활 운동용 신발(100)의 크기 및 끼워지는 발목 밴드(122)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목 밴드부(120)의 발목 밴드(122)는 신발 몸체(110)의 내측면에서 환자 발(1)의 발바닥 부위, 발등 부위 및 발목 부위를 차례로 크로스 형태로 감싼 후에, 발목 밴드(122)의 타단부가 제1 클립(124)에 끼워져 방향 전환되어 제1 벨크로(126)에 의해 신발 몸체(110)에 고정됨으로써 발목 밴드(122)는 8자 형태가 되게 된다.
또한, 발목 밴드(122)는 환자의 발(1)과 접촉하는 부분이므로 부드러운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목 밴드(122)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분에 스펀지(sponge), 실리콘(silicone) 등과 같은 재질을 발목 밴드(122)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하여 볼륨감이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환자가 재활 운동용 신발(100)을 장시간 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발목 밴드부(120)의 제1 벨크로(126)는 환자 발(1)의 발바닥 부위, 발등 부위 및 발목 부위를 감싸고 제1 클립(124)을 통과한 발목 밴드(122)를 신발 몸체(110)에 부착시킨다. 이러한 제1 벨크로(126)는 발목 밴드(122)의 타단부에 마련되어 발목 밴드(122)를 신발 몸체(110)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제1 벨크로(126)는 갈고리 및 걸림고리의 한쌍으로 마련되는 벨크로(velcro) 형태로 마련된다. 즉, 발목 밴드(122)의 타단부에 마련되는 제1 벨크로(126)는 제1 클립(124)을 통과하여 방향이 전환되어 발목 밴드(122)의 타단부와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폭조절 밴드부(130)는 신발 몸체(110)에 결합되어 신발 몸체(110)의 앞쪽 부분에서 신발 몸체(110)의 폭을 조절한다. 다시 말해서, 폭조절 밴드부(130)는 신발 몸체(110)에 삽입된 환자의 발(1)의 폭에 맞추어 신발 몸체(110)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신발 몸체(110)에 삽입된 환자의 발(1)이 불편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폭조절 밴드부(130)는 폭조절 밴드(132) 및 제2 클립(134)을 포함한다.
폭조절 밴드부(130)의 폭조절 밴드(132)는 일단부가 신발 몸체(110)의 일측(신발 몸체(110)의 외측부)에 결합된다. 이때, 폭조절 밴드(132)는 신발 몸체(110)에 삽입된 환자 발(1)의 발등이 위치된 부분에 마련되어 환자 발(1)의 발등 부위를 덮고 신발 몸체(110)의 폭을 조절한다. 이때, 폭조절 밴드(132)는 고무줄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밴드(band) 형태로 마련되어 환자 발(1)의 폭 크기에 따라 폭조절 밴드(132)를 당기거나 놓음으로써 텐션을 조절하여 신발 몸체(110)의 폭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폭조절 밴드부(130)의 제2 클립(134)은 신발 몸체(110)의 타측(신발 몸체(110)의 내측부)에 결합되어 폭조절 밴드(132)의 텐션을 조절하여 신발 몸체(110)에 대한 폭조절 밴드(132)의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한다. 이때, 제2 클립(134)에는 폭조절 밴드(132)가 끼워지며, 끼워진 폭조절 밴드(132)의 방향을 전환한다. 예를 들어, 폭조절 밴드(132)가 신발 몸체(110)의 외측부에서 신발 몸체(110)의 내측부에 마련된 제2 클립(134)에 끼워지면, 제2 클립(134)을 통과한 폭조절 밴드(132)는 다시 신발 몸체(110)의 외측부 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다. 이러한 제2 클립(134)은 상술한 제1 클립(124)과 같은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고, 신발 몸체(110)의 타측(신발 몸체(110)의 내측부)에 마련된 제2 클립 고정부(134a)에 의해 신발 몸체(110)의 타측(신발 몸체(110)의 내측부)에 고정 결합된다.
한편, 제2 클립(134) 및 제2 클립 고정부(134a)가 신발 몸체(110)의 타측(신발 몸체(110)의 내측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신발 몸체(110)의 일측(신발 몸체(110)의 외측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참고로, 제2 클립(134)은 다양한 소재 및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클립(134)이 결합되는 재활 운동용 신발(100)에 따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2 클립(134)의 크기 및 형태는 폭 조절 밴드(132)의 크기 및 재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참고로, 제2 클립(134)는 상술한 제1 클립(124)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폭조절 밴드부(130)의 제2 벨크로(136)는 환자 발(1)의 폭에 맞게 신발 몸체(110)의 개방부(114)의 폭을 조절한 폭조절 밴드(132)를 신발 몸체(110)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제2 벨크로(136)는 상기한 제1 벨크로(126)와 같이 갈고리 및 걸림고리가 한 쌍으로 이루어진 벨크로 형태로 마련되며, 갈고리 및 걸림고리가 폭조절 밴드(132)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폭조절 밴드(132)가 제2 클립(134)에 끼워져 방향 전환되면 제2 벨크로(136)를 통해 신발 몸체(110)에 부착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자가 재활 운동용 신발(100)을 착용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신발 몸체(11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되어 신발 몸체(110)의 내측면에 놓여진 발목 밴드(122) 위로 신발 깔창(미도시)를 위치시킨다. 이때, 신발 깔창(미도시)는 환자의 발(1)의 상태에 따라 일반적인 깔창을 깔 수도 있고, 특수한 깔창을 깔 수도 있다.
그 다음, 환자의 발(1)을 신발 몸체(110)에 삽입한다.
그 다음, 발목 밴드부(120)의 발목 밴드(122)를 이용하여 환자 발(1)의 발바닥 부위, 발등 부위 및 발목 부위를 크로스 형태 즉, 8자 형태가 되도록 깜싼다. 환자 발(1)의 발바닥 부위, 발등 부위 및 발목 부위를 감싼 후에 발목 밴드(122)는 제1 클립(124)에 끼워서 방향 전환시킨 후에 제1 벨크로(126)를 통해 고정시킨다.
그 다음, 폭조절 밴드부(130)의 폭조절 밴드(132)를 이용하여 환자의 발(1)이 신발 몸체(110)의 내부에 불편함이 없이 위치되도록 신발 몸체(110)의 개방부(114)의 폭을 조절하고, 폭조절 밴드(132)를 제2 클립(134)에 끼운 후에 방향 전환하여 제2 벨크로(136)를 통해 신발 몸체(110)에 고정시킨다.
참고로, 환자는 폭조절 밴드부(130)의 폭조절 밴드(132)를 신발 몸체(11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발목 밴드부(120)의 발목 밴드(122)를 신발 몸체(110)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을 통해 재활 운동용 신발(100)을 벗을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100)은, 하지 수술 환자의 발목 부위를 크로스 형태로 감싸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하지 수술 환자들의 수술 후 생길 수 있는 발목 통증을 완화시키고 발목에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100)은, 발목 밴드(120)를 이용하여 하지 수술 환자의 발바닥 부위, 발등 부위 및 발목 부위를 한번에 감싸기 때문에 하지 수술 환자들의 보행 및 조기 재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재활 운동 신발
110: 신발 몸체 111: 굽
112: 공기 순환부 114: 개방부
120: 발목 밴드부 122: 발목 밴드
124: 제1 클립 124a: 제1 클립 고정부
126: 제1 벨크로 130: 폭조절 밴드부
132: 폭조절 밴드 134: 제2 클립
134a: 제2 클립 고정부 136: 제2 벨크로
110: 신발 몸체 111: 굽
112: 공기 순환부 114: 개방부
120: 발목 밴드부 122: 발목 밴드
124: 제1 클립 124a: 제1 클립 고정부
126: 제1 벨크로 130: 폭조절 밴드부
132: 폭조절 밴드 134: 제2 클립
134a: 제2 클립 고정부 136: 제2 벨크로
Claims (9)
-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환자의 발이 삽입되는 신발 몸체; 및
상기 신발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발목 부위를 크로스 형태로 감싸도록 마련되어 상기 환자의 발목에 안정감을 제공하는 발목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목 밴드부는,
일단부가 상기 신발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는 발목 밴드; 및
상기 신발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발목 밴드의 텐션(tension)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클립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클립은, 상기 신발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발목 밴드는, 상기 신발 몸체의 일측에서 상기 신발 몸체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신발 깔창이 놓여지는 상기 신발 몸체의 내측면에서 상기 환자의 발바닥 부위를 감싸고, 그 다음 상기 환자의 발등 부위를 감싸고 상기 환자의 발목 부위를 크로스 형태로 감싼 후 상기 발목 밴드의 타단부가 상기 제1 클립에 끼워져 방향 전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밴드는, 상기 환자의 발바닥 부위를 감싸는 부분과 상기 환자의 발등 부위를 감싸는 부분 사이의 부분이 상기 신발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몸체는, 상기 환자의 착용이 수월하도록 상기 환자의 발등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신발 몸체의 앞쪽 부분에서 상기 신발 몸체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폭조절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절 밴드부는,
일단부가 상기 신발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환자의 발등 부위를 덮도록 마련되는 폭조절 밴드; 및
상기 신발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폭조절 밴드의 텐션(tension)을 조절하여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폭조절 밴드의 타단부는 상기 제2 클립에 끼워져 방향 전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립은,
상기 환자의 발목 부위나 발등 부위와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재활운동용 신발의 왼쪽 신발의 경우에는 상기 신발 몸체의 좌측에 결합되고 상기 재활 운동용 신발의 오른쪽 신발의 경우에는 상기 신발 몸체의 우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6748A KR101911163B1 (ko) | 2017-02-07 | 2017-02-07 |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
PCT/KR2017/001656 WO2018147487A1 (ko) | 2017-02-07 | 2017-02-15 |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6748A KR101911163B1 (ko) | 2017-02-07 | 2017-02-07 |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1488A KR20180091488A (ko) | 2018-08-16 |
KR101911163B1 true KR101911163B1 (ko) | 2018-10-23 |
Family
ID=6310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6748A KR101911163B1 (ko) | 2017-02-07 | 2017-02-07 |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1163B1 (ko) |
WO (1) | WO201814748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47981A (en) * | 1984-04-27 | 1985-10-22 | William Thais | Shoe with ankle protector |
US7334354B2 (en) * | 2004-06-04 | 2008-02-26 | Nike, Inc. | Adjustable ankle support for an article of footwear |
KR20110003819A (ko) * | 2009-07-06 | 2011-01-13 | 정은채 | 환자 및 장애인용 신발 |
KR200457048Y1 (ko) * | 2011-03-08 | 2011-12-02 | 홍정환 |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
KR20130006328U (ko) * | 2012-04-24 | 2013-11-01 | 플러스 메디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 발목 보호대 |
-
2017
- 2017-02-07 KR KR1020170016748A patent/KR10191116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2-15 WO PCT/KR2017/001656 patent/WO2018147487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1488A (ko) | 2018-08-16 |
WO2018147487A1 (ko) | 2018-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548806B (zh) | 具有整体的旋后肌装置的运动鞋和类似物品 | |
US12053406B2 (en) | Foot ankle orthosis | |
US20050038365A1 (en) | Ankle-foot orthotic device and method | |
US6926687B2 (en) | Ankle-foot orthosis | |
KR20160147227A (ko) | 크기 조절 가능한 맞춤 신발 | |
KR20090065734A (ko) | 발목 고정 보조기 | |
US10874173B2 (en) | Adjustable anti-slippage shoe sling | |
KR101911163B1 (ko) |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 |
KR200378623Y1 (ko) | 무지외반증 교정기 | |
JP3225362U (ja) | 靴用足首サポーター | |
CN213250107U (zh) | 一种内置矫正器的矫正靴 | |
KR102462175B1 (ko) | 발가락 스트레칭기 | |
KR102288536B1 (ko) |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 |
EP3906801A1 (en) | Footwear invention | |
KR102670970B1 (ko) | 무지외반과 소지내반을 위한 발가락 스트레칭 밴드를 갖는 신발 | |
KR20110003819A (ko) | 환자 및 장애인용 신발 | |
CN212465119U (zh) | 一种扁平足矫正鞋 | |
TWM342766U (en) | Hallux valgus correction shoe | |
US20220362047A1 (en) | Foot brace | |
JPH11196902A (ja) | 運動機能補助構造 | |
KR200343114Y1 (ko) | 아킬레스건 신장구 | |
KR20230129829A (ko) | 발 밀착형 구두 | |
JP2009050425A (ja) | 下肢装具用オーバーシューズ | |
KR200265399Y1 (ko) | 슬리퍼 | |
JPH11169205A (ja) | 健康靴およびその中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