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536B1 -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536B1
KR102288536B1 KR1020190101422A KR20190101422A KR102288536B1 KR 102288536 B1 KR102288536 B1 KR 102288536B1 KR 1020190101422 A KR1020190101422 A KR 1020190101422A KR 20190101422 A KR20190101422 A KR 20190101422A KR 102288536 B1 KR102288536 B1 KR 102288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
fixing part
foot
fix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1885A (ko
Inventor
이정훈
김성문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1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5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1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1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61F5/0113Drop-foot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2005/0132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 A61F2005/0155Additional features of the articulation with actu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뇌졸증 환자나 편마비 환자의 발 처짐(foot drop)시 발이 처지는 것을 제어하여 들어올리면서 원활하게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는, 발목 위부위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에서 하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신체의 발가락(10)을 부분적으로 감싸고, 양말처럼 발바닥과 발등부위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양말부(300); 및 상기 고정부(100)의 복숭아뼈와 인접한 부위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다이얼(410)이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410)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양말부(300)를 당기거나 들어올려 발 처짐을 보조하는 리프트부(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A WALKING SUPPORT APPARATUS FOR PREVENTION OF FOOT DROP}
본 발명은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뇌졸증 환자나 편마비 환자의 발 처짐(foot drop)시 발이 처지는 것을 제어하여 들어올리면서 원활하게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보호구(身體保護具) 중 하나로서 신발(shoes)의 기본적인 기능은 거친 지표면, 날씨·환경으로부터 발(足)을 보호하고 보행(步行, walking)의 효율을 증진시키는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신발이 보행환경에 적합하지 않을 때에는 여러 가지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예컨대, 개개인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인간은 평생 동안 수십만 Km를 걸으며, 1Km를 걸을 때마다 대략 10~20t 가량의 압력을 받는다고 한다. 또한, 같은 보행이라 하더라도 누구나 똑같이 보행하는 것은 아니며 보행 시에도 오른발과 왼발에 가해지는 충격이 다르거나 비정상적으로 클 수 있다. 이 경우, 보행활동의 저해 및 족저근막염(plantar fasciitis) 등 각종 족부질환의 우려가 있다.
근래 들어 장애인, 고령자 등의 상실되거나 저하된 근골격계 기능을 회복시키는 재활의료기기에 대한 관심이 점차 고조되고 있다. 이는 의학과 점단공학을 접목한 실버, 재활공학이라 새로운 학문의 발전을 촉진하는 외에 산업기술의 고도화와 복지수준 향상에 일조하고 있다. 특히 보행훈련 장치는 삶의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재활의료기기의 하나로 인식된다.
한편, 뇌졸중(腦卒中)은 뇌기능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급속히 발생한 장애가 상당 기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뇌혈관의 병 이외에는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는 상태를 일컫는다.
이러한, 뇌경색이나 뇌출혈 등의 뇌졸중으로 인해 신체의 일부가 마비되는 편마비 환자들의 경우 편마비에 의해 발 한쪽이 처지는 풋드랍(foot drop)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환자들은 보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보행으로 인해 발 및 발목부위에 추가적으로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발 처짐이 발생된 환자의 경우 원활한 보행을 위하여 보행 보조 장치를 착용한 후 보행을 하게 되는데 보행 장치의 무게가 상당하고 그 착용과 탈의가 복잡하여 환자들이 반복 착용 및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발 처짐이 발생되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보행 보조 장치 전체를 교체하거나 부분적으로 교체해야 하는데 발생 되는 비용과 수고가 과하여 보행 보조 장치의 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실용신안 20-042102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는, 발 처짐 현상이 발생된 환자들이 착용하여 사용하면서 발 부위가 편심되게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있게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는, 발 처짐 현상이 발생된 환자들이 간편하게 착용한 후 안전하게 사용하면서도 발 및 발목 부위가 추가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는, 양말처럼 간편하게 신어서 착용하고 무게도 가벼우면서 착용과 탈의가 간편한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는, 발처짐 환자가 착용 및 사용하면서 환자의 발 처짐 상태가 호전되거나 상태가 변화될 경우, 그 상태에 맞도록 간편하게 제어하여 발 처짐을 보조할 수 있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는, 발목 위부위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에서 하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신체의 발가락(10)을 부분적으로 감싸고, 양말처럼 발바닥과 발등부위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양말부(300); 및 상기 고정부(100)의 복숭아뼈와 인접한 부위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다이얼(410)이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410)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양말부(300)를 당기거나 들어올려 발 처짐을 보조하는 리프트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고정부(100)에 형성되어 발목 부위에 형성되는 목말뼈(30)를 직접적으로 가압하여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목말뼈(30)가 아킬레스 힘줄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여 발의 들어 올림이 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띠 형태로 형성되는 목말뼈밴드(120)와, 상기 목말뼈밴드(120)가 발뒤꿈치와 발목부위를 감싼 후 발목 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암밸크로(130)와, 상기 암밸크로(13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목말뼈밴드(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숫밸크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고정부(100)의 내면에 형성되면서 발목 위부위에 밀착되어 밀착력으로 인해 고정부(100)가 발목 위부위에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면(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말부(300)는, 착용자의 다섯 개의 발가락(10)에 각각 착용되면서 발가락(10)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발가락면(310)과, 상기 발가락면(310)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100)와 연결되는 부위까지 사용자의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양말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400)는, 상기 다이얼(410)에 연결되면서 상기 고정부(100)와 양말부(300)에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다이얼(410)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장력이 발생되는 와이어(420)와, 상기 와이어(420)가 고정부(100)와 양말부(3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100)와 양말부(300) 상에 다수 개가 배치되면서 와이어(420)와 연결되는 고정편(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420)는, 상기 다이얼(410) 양측에서 발등 부위의 양말부(300)에 장력을 발휘하는 내측와이어(422)와, 상기 내측와이어(422)에 연결되면서 엄지발라락과 새끼발가락 부위의 양말부(300)에 장력을 발휘하는 외측와이어(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는, 사용자의 발이 고정부(100)로 진입시 개구되고, 사용자의 발이 고정부(100)로 진입 후 폐쇄되도록 하는 지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말부(300)는, 상기 양말부(300)에 구비되면서 상기 와이어(420)와 연결되어 양말부(300)에 와이어(420)의 장력이 전달될 경우 양말부(300)가 부분적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판 형태의 경질의 경화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다이얼(410)의 고정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부(100) 내부에 고정되면서 다이얼(410)과 연결되는 경질의 다이얼고정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말부(300)는, 사용자의 발가락 부위를 감싸는 상기 양말부(300)를 감싸면서 형성되면서 상기 와이어(420)의 장력이 양말부(300)에 발휘되면 양말부(300)가 부분적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보조하는 양말밴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는, 사용자의 발이 고정부(100)로 진입 된 후 상기 고정부(100)의 외면에서 고정부(100)의 상부를 감싸면서 압박하는 압박밴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는, 발 처짐 현상이 발생된 환자들이 착용하여 사용하면서 발 부위가 편심되게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있게 들어올려져 발을 들어올리면서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는, 발처짐 현상이 발생된 환자들이 간편하게 착용한 후 안전하게 사용하면서도 발 및 발목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는, 양말처럼 간편하게 신어서 착용하고 무게도 가벼우면서 착용과 탈의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는, 발처짐 환자가 착용 및 사용하면서 환자의 발 처짐 상태가 호전되거나 상태가 변화될 경우, 그 상태에 맞도록 간편하게 제어하여 발 처짐을 보조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뇌졸증 환자나 편마비 환자의 발 처짐(foot drop)시 발이 처지는 것을 제어하여 들어올리면서 원활하게 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특히, 리프트부]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는, 발목 위부위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에서 하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신체의 발가락(10)을 부분적으로 감싸고, 양말처럼 발바닥과 발등부위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양말부(300); 및 상기 고정부(100)의 복숭아뼈와 인접한 부위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다이얼(410)이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410)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양말부(300)를 당기거나 들어올려 발 처짐을 보조하는 리프트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00)는, 사용자의 발목 위 부위에 원형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되면서, 상기 리프트부(400)의 일부와 연결되어 리프트부(400)의 동작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발목 위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고정부(100)의 내면에 형성되면서 발목 위부위에 밀착되어 밀착력으로 인해 고정부(100)가 발목 위부위에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면(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유동방지면(110)을 통하여 고정부(100)의 상부가 사용자의 발목 위 부분인 종아리 부위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방지면(110)은 고정부(100)의 내면에 구비되어 고정부(100)의 상부가 종아리 부위를 견고하게 감싸면서 밀착력을 통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00)는, 탄력 있는 합성수지나, 면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유동방지면(110)은 고무나 실리콘 또는 경화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고정부(100)에 형성되어 발목 부위에 형성되는 목말뼈(30)를 직접적으로 가압하여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목말뼈(30)가 아킬레스 힘줄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여 발의 들어 올림이 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띠 형태로 형성되는 목말뼈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목말뼈밴드(120)가 발뒤꿈치와 발목부위를 감싼 후 발목 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암밸크로(130)와, 상기 암밸크로(13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목말뼈밴드(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숫밸크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말뼈밴드(120)는, 상기 목말뼈밴드(120)의 일측이 바깥쪽 복숭아뼈 위에서 시작해서 아킬레스 힘줄(tendon)을 지나면서 발뒤꿈치에 감긴 후에 목말뼈가 있는 발등 쪽에서 상기 목말뼈밴드(120)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말뼈밴드(120)는, 뇌졸중 환자의 발 처짐(foot drop)을 방지하기 위하여 목발뼈(Talus)를 아킬레스 힘줄(tendon) 쪽으로 미끄러질 수(gliding) 있는 힘을 만들어 처지는 발을 들어 올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목말뼈밴드(120)는, 상기 목말뼈(30)를 직접 가압하면서 사용자의 발목과 발등 및 발뒤꿈치를 감싼 후 고정되기 때문에 목말뼈(30)가 아킬레스건의 위치로 미끄러져 발이 처진 후 들어 올려지는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목말뼈밴드(120)는, 상기 목말뼈밴드(120)가 발목의 앞쪽 부분에서 양쪽으로 갈라지게 시작해서 양쪽이 각각 발뒤꿈치에서 감겨진 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목말뼈밴드(12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암밸크로(130)와, 상기 암밸크로(13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목말뼈밴드(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숫밸크로(140)가 상호 연결되게 된다.
즉, 상기 상기 암밸크로(130)와 숫밸크로(140)는, 상기 목말뼈밴드(120)가 발목 부위에서 발뒤꿈치를 감은 후 상기 목말뼈(30)가 형성되는 발등 부위에 연결되면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기 암밸크로(130)와 숫밸크로(140)는 일 실시 예일 뿐, 상기 목말뼈밴드(120)가 사용자의 발 처짐을 보조하기 위하여 발목과 발뒤꿈치 및 발등 부위를 감싼 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면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상기 고정부(100)는, 사용자의 발이 고정부(100)로 진입 된 후 상기 고정부(100)의 외면에서 고정부(100)의 상부를 감싸면서 압박하는 압박밴드(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박밴드(170)는 밸크로가 사용될 수 있고 원형 띠 형태의 탄성 밴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압박밴드(170)는, 상기 고정부(100)의 외면에 구비되어 고정부(100)를 압박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발목과 종아리 부위를 압박함으로 인해 고정부(100)의 상부가 사용자의 발목 위 부분인 종아리 부위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유동방지면(110)은 상기 고정부(100)의 내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목 및 종아리 부위에 직접 밀착된 채로 상기 고정부(100)의 상부가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압박밴드(170)는 상기 고정부(100)의 외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목 및 종아리 부위에 간접적으로 밀착된 채로 상기 고정부(100)의 상부가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말부(300)는, 착용자의 다섯 개의 발가락(10)에 각각 착용되면서 발가락(10)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발가락면(310)과, 상기 발가락면(310)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100)와 연결되는 부위까지 사용자의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양말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가락면(310)은, 사용자가 장시간 양말부(300)를 착용하면서 발생되는 땀과 통풍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섯 개의 발가락을 일부 감싸고, 다른 일부가 노출됨으로 인해 발가락에 통풍이 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양말면(320)은 사용자의 발바닥과 발등을 견고하게 감싸면서 상기 리프트부(400)를 통하여 양말부(300)가 들어올려질 경우 사용자의 처진 발을 균형있고 자연스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양말부(300)는, 탄력을 갖으면서도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진 면이나 합성수지, 고무,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프트부(400)는, 상기 다이얼(410)에 연결되면서 상기 고정부(100)와 양말부(300)에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다이얼(410)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장력이 발생되는 와이어(420)와, 상기 와이어(420)가 고정부(100)와 양말부(3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100)와 양말부(300) 상에 다수 개가 배치되면서 와이어(420)와 연결되는 고정편(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420)는, 상기 다이얼(410) 양측에서 발등 부위의 양말부(300)에 장력을 발휘하는 내측와이어(422)와, 상기 내측와이어(422)에 연결되면서 엄지발라락과 새끼발가락 부위의 양말부(300)에 장력을 발휘하는 외측와이어(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얼(410)은 상기 와이어(420)의 장력을 이용하여 발이 처진 사용자의 발을 감싸고 있는 상기 양말부(300)를 들어올릴 때 장력이 편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내측 및 외측의 복숭아뼈 위 부분에 각각 배치되게 된다.
즉, 한 쌍의 상기 다이얼(410)에 와이어(420)가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어(420)가 상기 양말부(300)의 상면에 연결된채로 상기 다이얼(410)에서 감기면서 사용자의 처진 발의 발등을 균형있고 자연스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이얼(410)은 상기 와이어(420)가 다이얼(410) 내에서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고, 와이어(420)가 다이얼(410)에 감긴 후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다이얼(410)과 와이어(420)의 감김 후 고정과 풀림되는 구성은 공지된 구성으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편(430)은, 상기 와이어(420)가 양말부(300)에 균형있게 장력을 발휘 할 수 있도록 상기 발가락면(310)와 양말면(320)에 다수 개가 고르게 배치되게 된다.
즉, 상기 고정편(430)은, 상기 와이어(420)의 내측와이어(422)와 외측와이어(424)가 상기 발가락면(310)와 양말면(320) 상에서 연결된 위치를 유지하면서 상기 발가락면(310)와 양말면(320)에 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내측와이어(422)와 외측와이어(424)가 위치된 상기 발가락면(310)와 양말면(320) 상에 다수 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와이어(420)는 상기 내측와이어(422)와 외측와이어(424)가 상기 고정편(430)에 연결되면서 상기 내측와이어(422)와 외측와이어(424)가 장력을 발휘할 경우 고정편(430)을 당기면서 상기 양말부(300)가 전체적으로 들어 올려지도록 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다이얼(410)의 고정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부(100) 내부에 고정되면서 다이얼(410)과 연결되는 경질의 다이얼고정판(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쌍의 상기 다이얼(410)은 상기 와이어(420)를 감는 과정에서 상기 양말부(300)가 들어올려지는 동안 발생되는 장력을 버티면서 상기 고정부(10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이때, 상기 다이얼고정판(160)은, 상기 다이얼(410)이 상기 와이어(420)를 감으면서 발생 되는 장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100)가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다이얼고정판(160)은, 상기 다이얼(410)이 배치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100) 내부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판 형태로 형성된 경화 합성수지 또는 탄력을 갖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양말부(300)는, 상기 양말부(300)에 구비되면서 상기 와이어(420)와 연결되어 양말부(300)에 와이어(420)의 장력이 전달될 경우 양말부(300)가 부분적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판 형태의 경질의 경화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경화판(330)은 양말부(300)의 발가락면(310)에 발등을 감싸면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측와이어(422)와 외측와이어(424)는 상기 발가락면(310)에 위치되면서 상기 경화판(330) 상에 상기 고정편(430)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측와이어(422)와 외측와이어(424)는 상기 다이얼고정판(160)에 견고하게 고정지지된 상기 다이얼(410)의 회전에 의해 감기면서 양말부(300)에 장력을 발휘하고 경화판(330)에 고정편(340)을 통해 연결된 상기 내측와이어(422)와 외측와이어(424)는 경화판(330)을 당기면서 양말부(300)가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일 실시예로, 편마비로 인해 발처짐 현상이 발생한 사용자가 발을 상기 고정부(10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진입시켜 상이 양말부(300)를 관통하여 발가락(10)이 돌출되도록 하면 착용이 완료된다.
이어서, 상기 리프트부(400)의 상기 다이얼(410)을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420)가 다이얼(410)에 감기게 되면 상기 고정부(100)와 양말부(300)의 외면에 배치되는 상기 내측와이어(422)와 외측와이어(424)에 장력이 발생되면서 양말부(300)를 끌어올리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의 발을 감싸고 있는 상기 양말부(300)가 상기 내측와이어(422)와 외측와이어(424)의 장력에 의해 끌어올려지면 사용자의 발도 자연스럽게 들어올려져 발처짐 현상을 극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발처짐 정도에 따라 상기 다이얼(410)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내측와이어(422)와 외측와이어(424)가 상기 양말부(300)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는, 발목 위부위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에서 하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신체의 발가락(10)을 부분적으로 감싸고, 양말처럼 발바닥과 발등부위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양말부(300); 및 상기 고정부(100)의 복숭아뼈와 인접한 부위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다이얼(410)이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410)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양말부(300)를 당기거나 들어올려 발 처짐을 보조하는 리프트부(4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고정부(100)의 내면에 형성되면서 발목 위부위에 밀착되어 밀착력으로 인해 고정부(100)가 발목 위부위에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면(11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고정부(100)는, 사용자의 발이 고정부(100)로 진입시 개구되고, 사용자의 발이 고정부(100)로 진입 후 폐쇄되도록 하는 지퍼(1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발은 상기 고정부(100)의 개구된 상부를 통하여 고정부(100) 내부로 진입 후 상기 양말부(300)를 통해 발까락 부위만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00)의 배면에 배치되는 상기 지퍼(150)를 통하여 사용자의 발은 상기 고정부(1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고정부(100)의 지퍼(150)를 내리게 되면 상기 고정부(100)의 개구된 상부의 직경이 넓어지게 되고, 사용자의 발이 양말부(300)에 진입되어 발가락이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지퍼(150)를 올려 상기 고정부(100)의 개구구된 상부의 직경이 좁아져 상기 고정부(100)의 상부가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를 밀착한 채로 감싸는 형태가 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지퍼(150)를 올려 상기 고정부(100)의 상부가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를 밀착한 채로 감싸게 될 경우, 상기 고정부(100) 상부의 내면에 구비되는 상기 유동방지면(110)은 사용자의 종아리에 완전하게 밀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100)의 상부는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를 압박하게 되고, 상기 유동방지면(110)은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 밀착압박 됨으로써, 상기 와이어(420)에 장력이 양말부(300)에 발휘 되더라고 고정부(100)가 사용자의 종아리 부위에서 흘러내리는 것이 최소화 되게 된다.
한편,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양말부(300)는, 착용자의 다섯 개의 발가락(10)에 각각 착용되면서 발가락(10)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발가락면(310)과, 상기 발가락면(310)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100)와 연결되는 부위까지 사용자의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양말면(32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양말부(300)는, 상기 양말부(300)에 구비되면서 상기 와이어(420)와 연결되어 양말부(300)에 와이어(420)의 장력이 전달될 경우 양말부(300)가 부분적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판 형태의 경질의 경화판(33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양말부(300)는, 사용자의 발가락 부위를 감싸는 상기 양말부(300)를 감싸면서 형성되면서 상기 와이어(420)의 장력이 양말부(300)에 발휘되면 양말부(300)가 부분적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보조하는 양말밴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양말밴드(350)는 상기 양말부(300)의 상기 발가락면(3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420)가 상기 경화판(33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양말밴드(350)는 사용자의 발바닥과 발등 부위를 압박하며 감쌈으로써 상기 와이어(420)가 발가락면(310)에 넓게 퍼져있는 것을 좁혀지도록 하여 와이어(420)의 장력 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양말밴드(350)는 벨크로(미도시)를 통하여 상기 발가락면(310)을 압박하면서 발가락면(310)을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양말밴드(350)가 상기 발가락면(310)을 감싸면서 압박함으로 인해 상기 와이어(420)의 장력은 상기 발가락면(310)을 전체적으로 균일한 힘으로 효과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발휘되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발 처짐 현상이 발생된 환자들이 착용하여 사용하면서 발 부위가 편심되게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있게 들어올려져 발을 들어올리면서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발처짐 현상이 발생된 환자들이 간편하게 착용한 후 안전하게 사용하면서도 발 및 발목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양말처럼 간편하게 신어서 착용하고 무게도 가벼우면서 착용과 탈의가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발처짐 환자가 착용 및 사용하면서 환자의 발 처짐 상태가 호전되거나 상태가 변화될 경우, 그 상태에 맞도록 간편하게 제어하여 발 처짐을 보조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발가락 30 : 목말뼈
100 : 고정부 110 : 유동방지면
120 : 목말뼈밴드 130 : 암밸크로
140 : 숫밸크로 150 : 지퍼
160 : 다이얼고정판 170 : 압박밴드
300 : 양말부 310 : 발가락면
320 : 양말면 330 : 경화판
350 : 양말밴드
400 : 리프트부 410 : 다이얼
420 : 와이어 422 : 내측와이어
424 : 외측와이어
430 : 고정편

Claims (11)

  1. 발목 위부위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에서 하 방향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신체의 발가락(10)을 부분적으로 감싸고, 양말처럼 발바닥과 발등부위를 감싸면서 형성되는 양말부(300); 및
    상기 고정부(100)의 복숭아뼈와 인접한 부위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쌍의 다이얼(410)이 구비되어, 상기 다이얼(410)의 제어를 통하여 상기 양말부(300)를 당기거나 들어올려 발 처짐을 보조하는 리프트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다이얼(410)의 고정위치가 유지될 수 있도록 고정부(100) 내부에 고정되면서 다이얼(410)과 연결되는 경질의 다이얼고정판(160)을 더 포함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고정부(100)에 형성되어
    발목 부위에 형성되는 목말뼈(30)를 직접적으로 가압하여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목말뼈(30)가 아킬레스 힘줄 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여 발의 들어 올림이 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띠 형태로 형성되는 목말뼈밴드(120)와,
    상기 목말뼈밴드(120)가 발뒤꿈치와 발목부위를 감싼 후 발목 부위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100)의 외면에 형성되는 암밸크로(130)와,
    상기 암밸크로(13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목말뼈밴드(120)의 내면에 형성되는 숫밸크로(140)를 포함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고정부(100)의 내면에 형성되면서 발목 위부위에 밀착되어 밀착력으로 인해 고정부(100)가 발목 위부위에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면(110)을 포함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말부(300)는,
    착용자의 다섯 개의 발가락(10)에 각각 착용되면서 발가락(10)이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발가락면(310)과,
    상기 발가락면(310)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부(100)와 연결되는 부위까지 사용자의 발바닥과 발등을 감싸면서 형성되는 양말면(320)을 포함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부(400)는,
    상기 다이얼(410)에 연결되면서 상기 고정부(100)와 양말부(300)에 동시에 연결되고, 상기 다이얼(410)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장력이 발생되는 와이어(420)와,
    상기 와이어(420)가 고정부(100)와 양말부(3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부(100)와 양말부(300) 상에 다수 개가 배치되면서 와이어(420)와 연결되는 고정편(430)을 포함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420)는,
    상기 다이얼(410) 양측에서 발등 부위의 양말부(300)에 장력을 발휘하는 내측와이어(422)와, 상기 내측와이어(422)에 연결되면서 엄지발라락과 새끼발가락 부위의 양말부(300)에 장력을 발휘하는 외측와이어(424)를 포함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는,
    사용자의 발이 고정부(100)로 진입시 개구되고, 사용자의 발이 고정부(100)로 진입 후 폐쇄되도록 하는 지퍼(150)를 포함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양말부(300)는,
    상기 양말부(300)에 구비되면서 상기 와이어(420)와 연결되어 양말부(300)에 와이어(420)의 장력이 전달될 경우 양말부(300)가 부분적으로 당겨질 수 있도록 하는 판 형태의 경질의 경화판(330)을 포함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9. 삭제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양말부(300)는,
    사용자의 발가락 부위를 감싸는 상기 양말부(300)를 감싸면서 형성되면서 상기 와이어(420)의 장력이 양말부(300)에 발휘되면 양말부(300)가 부분적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보조하는 양말밴드(350)를 더 포함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는,
    사용자의 발이 고정부(100)로 진입 된 후 상기 고정부(100)의 외면에서 고정부(100)의 상부를 감싸면서 압박하는 압박밴드(170)를 더 포함하는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KR1020190101422A 2019-08-19 2019-08-19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KR102288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22A KR102288536B1 (ko) 2019-08-19 2019-08-19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22A KR102288536B1 (ko) 2019-08-19 2019-08-19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885A KR20210021885A (ko) 2021-03-02
KR102288536B1 true KR102288536B1 (ko) 2021-08-09

Family

ID=75169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422A KR102288536B1 (ko) 2019-08-19 2019-08-19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53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4427A1 (en) * 2005-09-30 2007-04-05 Ponsi Lawrence G Heel ulcer prevention and cushioning boot
CN201022762Y (zh) * 2007-04-04 2008-02-20 张爱莲 防止足下垂固定套
JP5528610B1 (ja) 2013-06-12 2014-06-25 淳司 藤田 足サポータ
US20140276318A1 (en) * 2013-03-12 2014-09-18 Footmind, Inc. Orthotic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addressing foot dro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021Y1 (ko) 2006-02-09 2006-07-07 주식회사 에이치비 기능성 안창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4427A1 (en) * 2005-09-30 2007-04-05 Ponsi Lawrence G Heel ulcer prevention and cushioning boot
CN201022762Y (zh) * 2007-04-04 2008-02-20 张爱莲 防止足下垂固定套
US20140276318A1 (en) * 2013-03-12 2014-09-18 Footmind, Inc. Orthotic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addressing foot drop
JP5528610B1 (ja) 2013-06-12 2014-06-25 淳司 藤田 足サポ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885A (ko) 202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2304B2 (en) Orthopedic device for mechanical treatment of hallux valgus
US20230117491A1 (en) Foot ankle orthoses
KR102118571B1 (ko) 풋드랍을 방지하고 보행을 보조하는 발 보조 장치
US10898403B2 (en) Device and methods for movement assistance
KR20090065734A (ko) 발목 고정 보조기
KR200437328Y1 (ko)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KR100975991B1 (ko) 보행보조신발
US7967768B2 (en) Ankle-foot orthosis
US20160100973A1 (en) Flexible Wearable Foot Sling
KR102288536B1 (ko) 풋드랍을 방지하는 보행 보조장치
KR101579926B1 (ko) 발가락 교정기와 압박수단을 구비한 하지(下地) 착용물
KR200442354Y1 (ko) 보행보조 기능을 구비한 근육 인대 보호구
US11246730B2 (en) Flexible wearable foot sling
EP2555719B1 (en) A device for providing support of a foot
KR100867845B1 (ko) 보행 보조신발
US20170100274A1 (en) Drop Foot Assistive Device
US20220071807A1 (en) Flexible Wearable Foot Sling
CN219720978U (zh) 一种踝足矫形器
KR101911163B1 (ko) 하지 수술 환자를 위한 재활 운동용 신발
CN216021686U (zh) 一种足底筋膜康复袜
US20120005925A1 (en) Orthotic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RU79776U1 (ru) Корректор стопы
US10307282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plantar fasciitis
Garrison Conservative Treatment of Peroneal Tendon Injuries: Immobilization/Bracing/Orthotics
GB2400562A (en) Ankle-foot ortho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