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9829A - 발 밀착형 구두 - Google Patents

발 밀착형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9829A
KR20230129829A KR1020220026944A KR20220026944A KR20230129829A KR 20230129829 A KR20230129829 A KR 20230129829A KR 1020220026944 A KR1020220026944 A KR 1020220026944A KR 20220026944 A KR20220026944 A KR 20220026944A KR 20230129829 A KR20230129829 A KR 20230129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hoe
reinforcing material
elastic band
pa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우
Original Assignee
박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우 filed Critical 박윤우
Priority to KR1020220026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9829A/ko
Publication of KR2023012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982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6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 A43B23/027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having different properties in different directions with a part of the upper particularly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7Lining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8Heel stiffe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발 밀착형 구두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발 밀착형 구두는 탑라인을 따라 탄성을 갖는 신축성의 탄성 밴드가 구비되며, 힐컵의 외피와 내피 사이에 보강재와 패딩이 구비된다. 이때, 패딩은 상기 보강재의 상단에 구비되는데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며, 탄성 밴드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보강재에 대해 앞, 뒤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착용시 사용자의 발 모양에 맞춰 늘어나 밀착되므로 구두가 족형에 맞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으며,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용하지 않고 벗어두었을 때에도 그 모양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심미적인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 밀착형 구두 {stretch-to-fit shoes}
본 발명은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시 구두의 일 부위가 사용자의 발 모양에 맞도록 늘어나 밀착됨으로써, 보행할 때 구두가 헐렁거리거나, 뒤꿈치가 까지거나, 양말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 밀착형 구두에 관한 것이다.
구두는 라스트(last)에 갑피를 씌워 구두의 형태를 잡아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두는 그 부위별로 구두의 앞쪽 상단 부분인 뱀프(vamp)(15)와, 구두의 앞 코 부분인 토캡(toe cap)(12)과, 구두의 안쪽에서 착용자의 발등을 감싸는 텅(tongue)(16)과, 구두의 측면을 형성하는 쿼터(quarter)(13)와, 구두의 뒷부분을 감싸는 힐컵(heel cup)(14), 상기 쿼터(13)와 힐컵(14)의 상단으로서 구두를 신는 입구 부분인 탑라인(top line)(17)과, 구두의 밑창으로 보행할 때 지면에 닿는 아웃솔(outsole)(11)로 구성된다.
그런데, 모든 사람의 족형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족형에 두루 맞는 구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대부분의 수요자들은 자신의 족형을 잘 모를 뿐 아니라, 구두들의 라스트에 대해서까지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족형에 꼭 맞는 구두를 구입하여 착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자신의 족형에 맞지 않는 구두를 장시간 신으면 족저근막염이 발생하거나, 보행시 구두가 헐렁거리거나, 양말이 벗겨지거나, 발뒤꿈치가 까지는 일이 발생한다.
또한, 발볼이 넓은 착용자가 발의 길이에 맞게 구두를 구입하면 대부분 구두 양옆의 공간이 좁아서 구두의 뱀프(15)와 쿼터(13) 부분이 발가락이나 발등을 압박하여 고통을 유발하고, 착용자의 발 폭에 맞게 구두를 구입하면 구두의 길이가 길어서 보행시 구두가 덜렁거리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06941호, "쿠션 및 접착부를 갖는 구두용 보형물"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713700호, "쿠션 및 걸림턱부를 갖는 구두용 뒤꿈치 보형물"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1272호, "치수 조절 구두" 문헌 4.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2012호, "밴드타입 구두용 발등 신축조절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구두 착용시 구두의 일 부위가 늘어나 착용자의 발에 밀착됨으로써, 장시간 보행에도 발이 피곤하지 않고, 구두가 발을 압박하지 않아 편안한 발 밀착형 구두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 밀착형 구두는 쿼터(13), 힐컵(14) 및 탑라인(17)을 구비하되, 상기 탑라인(17)에는 탄성 변형하는 탄성 밴드(101)가 체결된다.
이때, 상기 탄성 밴드(101)는 'U' 형태로 힐컵(14) 상단을 중심으로 탑라인(17)을 따라 좌, 우 양측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밴드(101)는 쿼터(13)와 힐컵(14)의 상단 외피(20)가 구두 내측으로 접히면서 내피(21)에 박음질 되며 외피(20)가 탄성 밴드(101)를 감싸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쿼터(13)는 여러 가죽 중에서 탄성이 높은 염소 가죽을 소재로 성형함으로써, 탄성 밴드(101)의 신축에도 쿼터(13) 부분과 탑라인(17)이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힐컵(14)의 외피(20)와 내피(21) 사이에는 보강재(13)를 삽입하고, 상기 보강재(13) 상부에 패딩(10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딩(102)은 탄성 밴드(101)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보강재(103)에 대해 앞, 뒤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패딩(102)이 사용자의 뒤꿈치 부분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딩(102)은 보강재(103)와 소정 간격(D) 이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재(103)의 상부 가운데 부분이 하향으로 소정 깊이(h) 함몰된 함몰부(104)를 구성하고, 상기 보강재(103)의 하부 가운데 부분이 상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하부 함몰부를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두의 탑 라인을 따라 수납 구비된 탄성 밴드의 탄성력으로 구두를 신으면 구두가 착용자의 발에 밀착되고, 구두의 힐컵 상부에 위치하는 패딩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착용자의 족형에 맞추어 발뒤꿈치에 밀착되므로 장시간 보행에도 발이 피곤하지 않고, 구두가 발을 압박하지 않아 편안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착용하지 않고 벗어두었을 때에도 탑 라인의 모양이 무너지지 않고 대체로 V자 형태를 이루며 일정하게 유지되어 심미적인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구두의 구성을 도시는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 밀착형 구두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구두의 힐컵 부분에 삽입되는 패딩과 보강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구두의 힐컵 부분에 삽입되는 패딩과 보강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구두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힐컵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 밀착형 구두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구두(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두(10)의 탑라인(17)을 따라 탄성 밴드(101)가 삽입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탑라인(top line)(17)은 발의 옆면 및 뒷면과 접촉되는 갑피의 상단 부분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쿼터(13) 및 힐컵(14)의 외피(20) 상단을 구두 내측으로 접어 내피(21)에 박음질하여 구성되는데, 외피(20)가 내측으로 접히는 부분에 탄성 밴드(101)를 삽입한다.
상기 탄성 밴드(101)는 힐컵(14) 상단을 중심으로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는 형태 즉, 'U'자 형태로 배열한 다음 박음질 하여 구성된다.
이때, 텅(16) 방향으로 탑라인(17) 끝 부분으로부터 힐컵(14) 상단까지의 거리(이하 'L'이라 한다)의 70% 내지 90%의 길이로 탄성 밴드(101)를 준비하고, 탄성 밴드(101)를 탑라인(17) 내부에 삽입할 때 탄성 밴드(101)를 늘린 상태에서 탑라인(17)에 삽입,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탄성 밴드(101)를 늘린 상태(인장력을 가한 상태)에서 탑라인(17)에 삽입하여 박음질하면, 탄성 밴드(101)의 탄력에 의해 도 2의 L 길이가 줄어든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구두를 신으면 발 크기에 맞게 탄성 밴드(101)가 탄성 변형하면서 L 길이가 늘어나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빠르고 간편하게 구두를 신을 수 있다.
사용자가 구두를 신은 후에는 탑라인(17)의 탄성 밴드(101)가 탄성 복원하면서 L 길이가 줄어들면서 힐컵(14)이 사용자의 뒤꿈치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족형에 맞도록 조절된다.
이때, 구두의 쿼터(quarter)(13)는 염소(goat) 가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밴드(101)가 탄성 복원할 때 그 탄력에 의해 쿼터(13) 상부가 쭈글거릴 수 있는데, 염소 가죽으로 쿼터(13)를 구성하면 구두의 쿼터(13)가 쭈글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죽은 탄성이 적기 때문에 일반 가죽으로 쿼터(13)를 구성할 경우 쭈글거리는데, 염소 가죽은 여러 가죽 가운데 높은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탄성 밴드(101)에 의한 쭈글거림을 방지한다.
또한, 구두를 벗었을 때 탄성 밴드(101)가 그 탄력으로 힐컵(14) 부분을 당기므로 도 1 및 도 2와 같이 힐컵(14) 상단이 뾰족하게 접히면서 탑라인(17)이 'V' 형상을 이룬다.
따라서, 탄성 밴드(101)의 탄력에도 탑라인(17)이 쭈글거리지 않으면서도, 힐컵(14) 상단을 중심으로 탑라인(17)이 뾰족한 'V' 형상을 이루므로 신발을 장시간 보관할 때도 구두의 형상이 무너지지 않고 오랫동안 구두의 형상이 유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구두는 힐컵(14)의 내피(21)와 외피(20) 사이에 패딩(102)과 보강재(103)가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구두의 힐컵(14) 부분에 삽입되는 패딩(102)과 보강재(103)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구두의 힐컵(14) 부분에 삽입되는 패딩(102)과 보강재(10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패딩(102)은 연약한 발뒤꿈치를 보호하기 위해 푹신한 소재로 성형된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말발굽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보강재(103)는 신발의 형상을 유지하고, 구두의 뒷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삽입되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와 같이 평단면이 'U' 형태로 성형되고 상부 중앙이 하향으로 소정 깊이(h) 함몰된 형태로 함몰부(104)가 형성된다.
상기와 패딩(102)과 보강재(103)는 힐컵(14)의 내피(21)와 외피(20) 사이에 삽입되는데, 도 4 및 도 6과 같이 보강재(103)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D) 이격된 위치로 패딩(102)이 구성된다.
이때, 패딩(102)은 보강재(103) 상단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 상태가 되고, 패딩(102)은 상술한 탄성 밴드(101)에 의해 탄력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패딩(102)은 탄성 밴드(101)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보강재(103)와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므로, 탄성 밴드(101)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패딩(102)은 구두의 앞, 뒤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때, 도 6과 같이 탄성 밴드(101)가 패딩(102)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구성하여 탄성 밴드(101)가 패딩(102)을 사용자의 발 방향으로 탄력을 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구두를 신으면 탄성 밴드(101)의 탄력에 의해 패딩(102)이 당겨지고, 패딩(102)이 사용자의 뒤꿈치에 밀착되면서 구두가 사용자의 족형에 맞도록 밀착되므로 보행 중에 구두가 헐렁거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재(103)의 상부 가운데 부분이 하향으로 함몰된 함몰부(104)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보강재(103)에 함몰부(104)를 형성하면 구두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패딩(102)을 보강재(103)와 소정 간격 이격시켜 설치하지 않아도, 함몰부(104)에 의해 패딩(102)과 보강재(103) 사이에 자연스럽게 이격되므로 제작과정이 매우 수월해진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함몰부(104)와 대칭되도록 보강재(103)의 하부 중앙이 상향으로 함몰된 하부 함몰부(미도시)를 구성할 수도 있다.
구두를 신는 과정이나, 구두를 신고 보행하는 과정에서 힐컵(14)의 보강재(103)는 사용자의 뒤꿈치를 압박하는데, 보강재(103)에 하부 함몰부를 구성하면 구들 신는 과정이나 보행할 때 보강재(103)가 뒤꿈치를 감싸는 방향으로 휘어 변형하면서 뒤꿈치 압박이 감소되므로 더욱 편안하게 구두를 착용하고 보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두(10)의 탑 라인(17)에 수납된 탄성 밴드(101)의 탄력으로 구두를 신으면 구두가 착용자의 발에 밀착되고, 구두의 힐컵 상부에 위치하는 패딩이 전, 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착용자의 족형에 맞추어 발뒤꿈치에 밀착되므로 장시간 보행에도 발이 피곤하지 않고, 구두가 발을 압박하지 않아 편안하다.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 : 구두 11 : 아웃솔
12 : 토캡 13 : 쿼터
14 : 힐컵 15 : 뱀프
16 : 텅 17 : 탑라인
20 : 외피 21 : 내피
101 : 탄성 밴드 102 : 패딩
103 : 보강재 104 : 함몰부

Claims (6)

  1. 쿼터(13), 힐컵(14) 및 탑라인(17)을 구비한 구두에 있어서
    상기 탑라인(17)을 따라 탄성을 갖는 신축성의 탄성 밴드(101)가 구비되며,
    상기 힐컵(14)의 외피(20)와 내피(21) 사이에 보강재(13)가 삽입되어 구비되며, 상기 보강재(13) 상부에 패딩(102)이 구비되되,
    상기 패딩(102)은 상기 탄성 밴드(101)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보강재(103)에 대해 앞, 뒤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밀착형 구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102)은 보강재(103)와 소정 간격(D)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밀착형 구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밴드(101)는 'U' 형태로 힐컵(14) 상단을 중심으로 탑라인(17)을 따라 좌, 우 양측으로 대칭되는 형태이며,
    상기 탄성 밴드(101)는 쿼터(13)와 힐컵(14)의 상단 외피(20)가 구두 내측으로 접혀 탄성 밴드(101)를 감싸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밀착형 구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03)의 상부 가운데 부분이 하향으로 소정 깊이(h) 함몰된 함몰부(10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밀착형 구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03)의 하부 가운데 부분이 상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하부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밀착형 구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쿼터(13)는 염소 가죽을 소재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 밀착형 구두.
KR1020220026944A 2022-03-02 2022-03-02 발 밀착형 구두 KR20230129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944A KR20230129829A (ko) 2022-03-02 2022-03-02 발 밀착형 구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944A KR20230129829A (ko) 2022-03-02 2022-03-02 발 밀착형 구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9829A true KR20230129829A (ko) 2023-09-11

Family

ID=88020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944A KR20230129829A (ko) 2022-03-02 2022-03-02 발 밀착형 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982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700B1 (ko) 2007-02-15 2007-05-04 권용국 쿠션 및 걸림턱부를 갖는 구두용 뒤꿈치 보형물
KR200441272Y1 (ko) 2007-03-15 2008-08-04 전진배 치수 조절 구두
KR20090006941U (ko) 2008-01-04 2009-07-08 김새암 쿠션 및 접착부를 갖는 구두용 보형물
KR20110012012U (ko) 2010-06-23 2011-12-29 심상옥 밴드타입 구두용 발등 신축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700B1 (ko) 2007-02-15 2007-05-04 권용국 쿠션 및 걸림턱부를 갖는 구두용 뒤꿈치 보형물
KR200441272Y1 (ko) 2007-03-15 2008-08-04 전진배 치수 조절 구두
KR20090006941U (ko) 2008-01-04 2009-07-08 김새암 쿠션 및 접착부를 갖는 구두용 보형물
KR20110012012U (ko) 2010-06-23 2011-12-29 심상옥 밴드타입 구두용 발등 신축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592B2 (en) Article of footwear
KR102416454B1 (ko) 샌들이나 슬리퍼로 변환되는 신발
US20230284748A1 (en) Footwear heel counter for easier foot entry or removal
CN112105274A (zh) 刺激足部反射按摩的鞋具
US20130117948A1 (en) Shoe shaper and insert
CA2957924C (en) Shoe with flexible upper
KR20230129829A (ko) 발 밀착형 구두
KR100420766B1 (ko) 구두용 누드 양말
KR102303738B1 (ko) 갑피 후방이 분리된 펌프스 슈즈
AU2024202508A1 (en) Footwear counter for easier entry and removal
AU2023203319A1 (en) Footwear counter for easier entry and removal
KR20190066717A (ko) 발뒤꿈치 보강단이 신축성을 갖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