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398B1 -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 Google Patents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398B1
KR102540398B1 KR1020210068400A KR20210068400A KR102540398B1 KR 102540398 B1 KR102540398 B1 KR 102540398B1 KR 1020210068400 A KR1020210068400 A KR 1020210068400A KR 20210068400 A KR20210068400 A KR 20210068400A KR 102540398 B1 KR102540398 B1 KR 10254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insulating cap
instrument transformer
holder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323A (ko
Inventor
문정기
민병권
손승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6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3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08Tools for inserting and removin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91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current transfor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홀더에 구비된 절연캡을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또는 절연캡을 계기용 변압기에 체결시키는 절연캡 분리기, 및 퓨즈 홀더에 구비된 퓨즈를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는 퓨즈 흡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APPARATUS FOR EXCHANGING FUSE IN POTENTIAL TRANSFORMER AND FUSE EXCHANG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를 교체하기 위한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 계통의 보호를 위해 인도변의 지상이나 옥외에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지상 개폐기가 설치된다. 이러한 지상 개폐기에는 전압을 일정한 비율로 변경하는 계기용 변압기(PT: Potential Transformer)가 구비되며, 계기용 변압기 및 부하측의 고장 발생에 따른 사고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계기용 변압기의 1차측과 2차측 사이에는 퓨즈가 구비된다.
퓨즈는 계기용 변압기 및 부하측의 고장 발생 시 용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퓨즈를 교체하여 전원을 복구하여야 한다. 퓨즈의 교체 작업은 계기용 변압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진행되므로, 퓨즈의 교체 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3123호(2004.10.06.)의 '퓨즈가 내장된 계기용 변압기 및 그 성형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를 교체하기 위한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홀더에 구비된 절연캡을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또는 상기 절연캡을 상기 계기용 변압기에 체결시키는 절연캡 분리기; 및 상기 퓨즈 홀더에 구비된 퓨즈를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는 퓨즈 흡입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절연캡 분리기는, 상기 절연캡의 외주면에 결속하는 지그; 공압을 통해 상기 지그를 퓨즈 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절연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대; 상기 실린더로 공압을 공급하는 콤프레셔; 상기 지그의 이동 정보를 입력받는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1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지그의 이동 정보에 따라 상기 콤프레셔를 제어하는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퓨즈 흡입기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진공 모터; 퓨즈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 모터를 통해 생성된 흡입력을 통해 퓨즈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 흡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제2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흡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진공 모터를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은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홀더에 구비된 절연캡을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절연캡을 상기 계기용 변압기에 체결시키는 절연캡 분리기; 및 상기 퓨즈 홀더에 구비된 퓨즈를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는 퓨즈 흡입기;를 포함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절연캡 분리기를 상기 계기용 변압기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절연캡 분리기를 이용하여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상기 절연캡을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퓨즈 흡입기를 이용하여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상기 퓨즈를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분리된 퓨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퓨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기존 퓨즈 및 새로운 퓨즈 중 하나를 상기 절연캡 분리기에 결속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캡 분리기를 이용하여 퓨즈가 결속된 절연캡을 상기 퓨즈 홀더에 체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절연캡 분리기를 상기 계기용 변압기로부터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절연캡 분리기는, 상기 절연캡의 외주면에 결속하는 지그; 공압을 통해 상기 지그를 퓨즈 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절연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대; 상기 실린더로 공압을 공급하는 콤프레셔; 상기 지그의 이동 정보를 입력받는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1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지그의 이동 정보에 따라 상기 콤프레셔를 제어하는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퓨즈 흡입기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진공 모터; 퓨즈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 모터를 통해 생성된 흡입력을 통해 퓨즈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 흡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제2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흡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진공 모터를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절연캡을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그를 퓨즈 홀더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지그를 상기 절연캡에 결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절연캡이 결속된 지그를 상기 퓨즈 홀더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퓨즈를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흡입 노즐을 상기 퓨즈 홀더에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진공 모터를 통해 생성된 흡입력을 이용하여 퓨즈를 흡입하는 단계; 및 상기 흡입 노즐을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퓨즈의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퓨즈의 저항에 기반하여 퓨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측정된 퓨즈의 저항에 기반하여 퓨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퓨즈의 저항이 기 설정된 기준 저항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퓨즈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퓨즈 저항이 상기 기준 저항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퓨즈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체결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그를 상기 퓨즈 홀더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퓨즈가 결속된 절연캡을 상기 퓨즈 홀더에 체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간접 활선 작업으로 안전하게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전에 퓨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퓨즈 교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와 더불어 지상 변압기의 본체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캡 제거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흡입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절연캡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퓨즈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퓨즈의 교체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절연캡 및 퓨즈를 퓨즈 홀더에 체결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계기용 변압기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계기용 변압기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계기용 변압기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연캡 제거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흡입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는 절연캡 분리기(100) 및 퓨즈 흡입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는 배전자동화용 지상 개폐기에 포함된 계기용 변압기(PT)의 퓨즈를 교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절연캡 분리기(100)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홀더에 구비된 절연캡을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또는 절연캡 및 퓨즈를 계기용 변압기에 체결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절연캡 분리기(100)는 지그(110), 실린더(120), 고정대(130), 콤프레셔(140), 제1 컨트롤러(150) 및 제1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지그(110)는 절연캡의 외주면에 결속될 수 있다. 지그(110)는 절연캡과 대응되는 형상의 고무 패킹이 포함될 수 있으며, 지그(110)를 절연캡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그(110)를 절연캡의 외주면에 위치시키는 경우 고무 패킹과 절연캡 간의 마찰력에 의해 절연캡이 지그(1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그(110)를 도시하고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110)는 절연캡과 대응되는 개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개구면으로 삽입되는 절연캡과 결속하도록 절연캡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무 패킹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20)는 공압을 통해 지그(110)를 퓨즈 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실린더(120)는 공압을 통해 퓨즈 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도록 퓨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120)를 도시하고 있다.
고정대(130)는 실린더(120)를 절연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고정대(130)는 실린더(120)에 연결된 지그(110)의 왕복 운동 경로 상에 절연캡이 위치하도록 절연캡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실린더(1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대(130)는 상부 고정대 및 하부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 및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고정대 및 하부 고정대를 도시하고 있다.
콤프레셔(140)는 실린더(120)로 공압을 공급할 수 있다. 콤프레서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원리는 주지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프레셔(14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컨트롤러(150)는 지그(110)의 이동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제1 컨트롤러(150)는 지그(110)의 위치를 조종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구비된 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지그(110)의 위치를 조종하기 위한 지그(110)의 이동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지그(110)의 이동 정보는 지그(110)를 퓨즈 홀더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전진 명령, 및 지그(110)를 퓨즈 홀더 반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후진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컨트롤러(15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프로세서(160)는 제1 컨트롤러(150)를 통해 입력된 지그(110)의 이동 정보에 따라 콤프레셔(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프로세서(160)는 제1 컨트롤러(150)를 통해 입력된 지그(110)의 이동 정보에 따라 콤프레셔(140)를 통해 실린더(120)로 공급되는 공압을 제어하여 지그(110)를 퓨즈 홀더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퓨즈 홀더 반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퓨즈 흡입기(200)는 퓨즈 홀더에 구비된 퓨즈를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퓨즈 흡입기(200)는 진공 모터(210), 흡입 노즐(220), 제2 컨트롤러(230) 및 제2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모터(210)는 흡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진공 모터(210)는 임펠러를 회전시켜 흡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진공 모터(2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 원리는 주지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흡입 노즐(220)은 퓨즈 홀더에 연결되어, 진공 모터(210)를 통해 생성된 흡입력(흡입 압력)을 통해 퓨즈를 흡입할 수 있다. 흡입 노즐(220)은 퓨즈에 대응되는 개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개구면에서 발생하는 흡입력을 통해 퓨즈 홀더에 구비된 퓨즈를 흡입하여 흡입 노즐(220)의 내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모터(210)와 흡입 노즐(220)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퓨즈 흡입기(200)는 흡입 노즐(220)과 진공 모터(210)를 서로 연결하는 연장 호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컨트롤러(230)는 흡입력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제2 컨트롤러(230)는 진공 모터(210)를 조종하기 위한 입력 장치로서, 구비된 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진공 모터(210)를 통해 생성되는 흡입력을 조종하기 위한 흡입력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40)는 제2 컨트롤러(230)를 통해 입력된 흡입력 정보에 따라 진공 모터(2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프로세서(240)는 제2 컨트롤러(230)를 통해 입력된 흡입력 정보에 따라 진공 모터(210)의 회전을 제어하여 흡입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절연캡을 분리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퓨즈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퓨즈의 교체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절연캡 및 퓨즈를 퓨즈 홀더에 체결시키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후술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은 계기용 변압기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계기용 변압기의 1차측에 전압이 가압되어 있는 상태로 진행되는 간접 활선 공법이다.
먼저, 도 4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은 S100 내지 S80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100 단계에서, 절연캡 분리기(100)를 계기용 변압기에 설치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고정대(130)를 이용하여 실린더(120)를 절연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a는 절연캡 분리기(100)가 계기용 변압기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S200 단계에서, 절연캡 분리기(100)를 이용하여 퓨즈 홀더로부터 절연캡을 분리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S200 단계는 S210 내지 S23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10 단계에서, 지그(110)를 퓨즈 홀더 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50)를 통해 지그(110)의 이동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지그(110)를 퓨즈 홀더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b는 제1 컨트롤러(150)를 통해 지그(110)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S220 단계에서, 지그(110)를 절연캡에 결속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50)를 통해 지그(110)를 절연캡의 외주면에 위치시킴으로써 지그(110)를 절연캡에 결속시킬 수 있다. 도 5c는 지그(110)를 절연캡에 결속시키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S230 단계에서, 절연캡이 결속된 지그(110)를 퓨즈 홀더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50)를 통해 지그(110)의 이동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지그(110)를 퓨즈 홀더 반대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d는 절연캡이 결속된 지그(110)를 퓨즈 홀더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S300 단계에서, 퓨즈 흡입기(200)를 이용하여 퓨즈 홀더로부터 퓨즈를 분리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S300 단계는 S310 내지 S33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흡입 노즐(220)을 퓨즈 홀더에 연결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e는 흡입 노즐(220)을 퓨즈 홀더에 연결시키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S320 단계에서, 진공 모터(210)를 통해 생성된 흡입력을 이용하여 퓨즈를 흡입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컨트롤러(230)를 통해 흡입력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흡입 노즐(220)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퓨즈 홀더 내부에 구비된 퓨즈가 흡입 노즐(220)로 흡입될 수 있다. 도 5f는 흡입 노즐(220)에 의해 포즈가 흡입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S330 단계에서, 흡입 노즐(220)을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즉, 퓨즈 홀더에 연결된 흡입 노즐(220)을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S400 단계에서, 퓨즈의 교체 여부를 결정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S400 단계는 S410 내지 S42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분리된 퓨즈의 저항을 측정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퓨즈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도 5g는 퓨즈의 저항을 측정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S420 단계에서, 측정된 퓨즈의 저항에 기반하여 퓨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측정된 퓨즈의 저항이 기 설정된 기준 저항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퓨즈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측정된 퓨즈의 저항이 기준 저항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퓨즈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500 단계에서, 퓨즈의 교체 여부에 따라 기존 퓨즈 및 새로운 퓨즈 중 하나를 절연캡 분리기(100)의 지그(110)에 결속된 절연캡에 결속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절연캡의 일측에는 퓨즈가 결속되는 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퓨즈는 절연캡에 구비된 홈에 결속될 수 있다. 도 5h는 절연캡 분리기(100)의 지그(110)에 결속된 절연캡에 퓨즈가 결속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S600 단계에서, 절연캡 분리기(100)를 이용하여 퓨즈가 결속된 절연캡을 퓨즈 홀더에 체결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S600 단계는 S610 내지 S62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610 단계에서, 지그(110)를 퓨즈 홀더 측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50)를 통해 지그(110)의 이동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지그(110)를 퓨즈 홀더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i는 퓨즈가 결속된 절연캡을 퓨즈 홀더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S620 단계에서, 퓨즈가 결속된 절연캡을 퓨즈 홀더에 체결시키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50) 통해 지그(110)를 퓨즈 홀더 측으로 끝까지 이동시킴으로써 퓨즈가 결속된 절연캡을 퓨즈 홀더에 체결시킬 수 있다. 도 5j는 절연캡을 퓨즈 홀더에 체결시키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상에서는 퓨즈를 절연캡에 결속시킨 상태에서 절연캡을 퓨즈 홀더에 체결시키는 실시예로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절연스틱을 이용하여 퓨즈를 퓨즈 홀더에 삽입한 후, 절연캡 분리기(100)를 이용하여 절연캡을 퓨즈 홀더 체결시킬 수도 있다.
S700 단계에서, 절연캡 분리기(100)를 계기용 변압기로부터 해체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고정대(130) 및 실린더(120)를 계기용 변압기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절연캡 분리기(100)를 계기용 변압기로부터 해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접 활선 작업으로 안전하게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전에 퓨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퓨즈 교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계기용 변압기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계기용 변압기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의 계기용 변압기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S300 단계 이후 및 S600 단계 이전에, 계기용 변압기의 상태를 진단하는 단계인 S800 단계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상태를 진단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S800 단계는 S810 단계 내지 S83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810 단계에서, 계기용 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 권선저항을 측정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계기용 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 권선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며, S810 단계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기용 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 권선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2a는 계기용 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 권선저항을 측정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810 단계에서 멀티미터를 계기용 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에 연결하여 계기용 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 권선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S820 단계에서, 계기용 변압기를 역가압한 상태에서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 전류를 측정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2b는 계기용 변압기를 역가압한 상태에서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 전류를 측정하는 장면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820 단계에서 계기용 변압기를 역가압한 상태에서 멀티미터를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에 연결하여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S830 단계에서, 측정된 계기용 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 권선저항과, 계기용 변압기를 역가압한 상태에서 측정된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 전류에 기반하여 계기용 변압기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S830 단계에서, 측정된 계기용 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 권선저항이 기 설정된 기준 저항 범위에 포함되고, 계기용 변압기를 역가압한 상태에서 측정된 계기용 변압기의 2차측 전류가 기 설정된 기준 전류(예를 들어, 0A) 이하인 경우 계기용 변압기의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전술한 경우 이외의 경우에는 계기용 변압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600 단계는 계기용 변압기의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으며, 계기용 변압기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계기용 변압기를 교체하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은 간접 활선 작업으로 안전하게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전에 퓨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불필요한 퓨즈 교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와 더불어 계기용 변압기의 본체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절연캡 분리기 110: 지그
120: 실린더 130: 고정대
140: 콤프레셔 150: 제1 컨트롤러
160: 제1 프로세서 200: 퓨즈 흡입기
210: 진공 모터 220: 흡입 노즐
230: 제2 컨트롤러 240: 제2 프로세서

Claims (11)

  1.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홀더에 구비된 절연캡을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거나, 또는 상기 절연캡을 상기 계기용 변압기에 체결시키는 절연캡 분리기; 및
    상기 퓨즈 홀더에 구비된 퓨즈를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는 퓨즈 흡입기;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캡 분리기는,
    상기 절연캡의 외주면에 결속되는 지그;
    공압을 통해 상기 지그를 퓨즈 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절연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대;
    상기 실린더로 공압을 공급하는 콤프레셔;
    상기 지그의 이동 정보를 입력받는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1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지그의 이동 정보에 따라 상기 콤프레셔를 제어하는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흡입기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진공 모터;
    퓨즈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 모터를 통해 생성된 흡입력을 통해 퓨즈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
    흡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제2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흡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진공 모터를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4.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홀더에 구비된 절연캡을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고, 상기 절연캡을 상기 계기용 변압기에 체결시키는 절연캡 분리기, 및 상기 퓨즈 홀더에 구비된 퓨즈를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는 퓨즈 흡입기를 포함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절연캡 분리기를 상기 계기용 변압기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절연캡 분리기를 이용하여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상기 절연캡을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퓨즈 흡입기를 이용하여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상기 퓨즈를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분리된 퓨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퓨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기존 퓨즈 및 새로운 퓨즈 중 하나를 상기 절연캡 분리기에 결속시키는 단계;
    상기 절연캡 분리기를 이용하여 퓨즈가 결속된 절연캡을 상기 퓨즈 홀더에 체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절연캡 분리기를 상기 계기용 변압기로부터 해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캡 분리기는,
    상기 절연캡의 외주면에 결속되는 지그;
    공압을 통해 상기 지그를 퓨즈 홀더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를 절연캡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대;
    상기 실린더로 공압을 공급하는 콤프레셔;
    상기 지그의 이동 정보를 입력받는 제1 컨트롤러; 및
    상기 제1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지그의 이동 정보에 따라 상기 콤프레셔를 제어하는 제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흡입기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진공 모터;
    퓨즈 홀더에 연결되어, 상기 진공 모터를 통해 생성된 흡입력을 통해 퓨즈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
    흡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제2 컨트롤러; 및
    상기 제2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된 흡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진공 모터를 제어하는 제2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캡을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그를 퓨즈 홀더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지그를 상기 절연캡에 결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절연캡이 결속된 지그를 상기 퓨즈 홀더 반대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를 분리시키는 단계는,
    상기 흡입 노즐을 상기 퓨즈 홀더에 연결시키는 단계;
    상기 진공 모터를 통해 생성된 흡입력을 이용하여 퓨즈를 흡입하는 단계; 및
    상기 흡입 노즐을 상기 퓨즈 홀더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퓨즈의 저항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퓨즈의 저항에 기반하여 퓨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퓨즈의 저항에 기반하여 퓨즈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퓨즈의 저항이 기 설정된 기준 저항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퓨즈의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측정된 퓨즈 저항이 상기 기준 저항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상기 퓨즈의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그를 상기 퓨즈 홀더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퓨즈가 결속된 절연캡을 상기 퓨즈 홀더에 체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KR1020210068400A 2021-05-27 2021-05-27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KR10254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00A KR102540398B1 (ko) 2021-05-27 2021-05-27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400A KR102540398B1 (ko) 2021-05-27 2021-05-27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323A KR20220160323A (ko) 2022-12-06
KR102540398B1 true KR102540398B1 (ko) 2023-06-12

Family

ID=8440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400A KR102540398B1 (ko) 2021-05-27 2021-05-27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3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51B1 (ko) 2007-05-25 2008-01-22 주식회사 일렉콤 고체절연형 파워퓨즈용 홀더
KR101019744B1 (ko) 2010-06-30 2011-03-08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교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867B1 (ko) * 2000-09-25 2003-04-11 평일산업 주식회사 변압기용 퓨즈내장 엘보접속재
US9989579B2 (en) * 2016-06-20 2018-06-05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thermal-mechanical strain fatigue in an electrical fus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851B1 (ko) 2007-05-25 2008-01-22 주식회사 일렉콤 고체절연형 파워퓨즈용 홀더
KR101019744B1 (ko) 2010-06-30 2011-03-08 한국전력공사 컷아웃 스위치의 퓨즈홀더 교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323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0398B1 (ko) 계기용 변압기의 퓨즈 교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퓨즈 교체 공법
CN105659720A (zh) 引线切割及敲弯装置
JP4983523B2 (ja) 電源回路及びこの電源回路を用いた漏電遮断器
CN1821933A (zh) 作业处理装置
US20080163508A1 (en) Angle testing apparatus
JP6467447B2 (ja) 停電確認回路部材
US9820614B1 (en) Welding ground detection system and method
US11185808B2 (en) Separator and method of operating a separator
JPH0536815A (ja) ウエハ搬送装置
CN105459162A (zh) 一种用红外线定位的剪刀
KR101912699B1 (ko) 직류 기중차단기
CN105762034A (zh) 模制外壳断路器的瞬时脱扣装置
KR20150011867A (ko) 종단접속재 교체장치
JP2006052660A (ja) 空気圧縮機及びそれを用いたブレーカ作動防止システム
KR100628702B1 (ko) 와이어 본딩장치
JP5990415B2 (ja) ブレーキ操作検出装置
US10312792B2 (en) Projection apparatus, powe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management thereof
KR102450403B1 (ko) 전동압축기 인버터의 모터 오픈상태 검출회로 및 검출방법
MXPA02003353A (es) Metodo y aparato de termostato con acoplamiento optico para controlar un ventilador.
CN207651268U (zh) 一种可固定的电位器
KR102413102B1 (ko)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
KR20230127055A (ko) 정션 블록 검사 장치 및 방법
CN109417288B (zh) 电源切断装置
US20090262310A1 (en) Picture corr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0435245B1 (ko) 공압 연마기에 의한 전기청소기 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