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363B1 -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363B1
KR102540363B1 KR1020220138277A KR20220138277A KR102540363B1 KR 102540363 B1 KR102540363 B1 KR 102540363B1 KR 1020220138277 A KR1020220138277 A KR 1020220138277A KR 20220138277 A KR20220138277 A KR 20220138277A KR 102540363 B1 KR102540363 B1 KR 10254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ssee
lessor
risk
terminal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은 임대인 이름 및 임대인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중개사의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중개 사무소 및 상기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METHOD FOR IDENTIFYING TENANT RISK FACTOR BOFORE LEASE CONTRACT}
본 개시는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단계 별로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차인은 임대차 목적물을 임차하여 점유하고자 하는 사람으로서, 임대차 계약을 진행하기 전에 임대차 계약 관련 리스크 요소들을 사전에 확인할 필요가 있다. 다만, 임대차 계약 시 임차인에 의해 확인되어야하는 리스크 요소들과 관련된 정보들은 복수의 기관들에 분산되어 있어서, 임차인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임대차 계약에 있어서 임차인의 보증금 보호는 중요한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보증금과 관련된 다수의 임대차 계약 요소들(예를 들어, 임대인의 보증금 체납 이력, 보증금 미반환 이력 등)이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로 공개되지 않고 있으므로, 임차인은 임대차 계약 전 다수의 리스크 요소들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현실이다. 임대인의 보증금 체납 이력, 보증금 미반환 이력, 및 세금 체남 이력 등은 임차인의 보증금 회수 가능 여부와 관련하여 중요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로 공개되지 않고 있다.
더불어, 임대차 계약을 중개하는 중개사무소 및 중개사들이 정식으로 등록되지 않은 무허가 사무소 및 무허가 업자인 경우, 임차인은 임대차 계약 시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임대차 계약 시 임대인이 신분증 등을 위조하여 사용하는 경우, 임차인이 신분증의 위조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힘들어 임차인은 임대차 계약 시 리스크에 노출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92036호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 중 하나는 임대차 계약에 있어서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들을 단계 별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로, 임대인 이름 및 임대인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중개사의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중개 사무소 및 상기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대인 이름 및 상기 임대인 주소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대인 이름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전달받은 경우, 임차인 단말에 임대인 이름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임대인 이름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정보를 상기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상기 체납 정보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체납 여부가 인정된 경우 상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하여 상기 임차인 단말에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체납 여부가 인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이 아님으로 판단하여 상기 임차인 단말에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대인 이름 및 상기 임대인 주소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대인 주소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전달받은 경우, 임차인 단말에 임대인 주소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임대인 주소에 기초하여 등기부등본을 상기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임대인 이름을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상기 임대인 이름에 기초하여 상기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정보를 상기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상기 체납 정보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체납 여부가 인정된 경우 상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하여 상기 임차인 단말에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체납 여부가 인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이 아님으로 판단하여 상기 임차인 단말에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임대인 주소를 요청하는 단계 이후 상기 임차인 단말로부터 상기 임대인 주소가 입력된 경우, 임대인 리스크 확인에 대한 비용 결제를 상기 임차인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중개 사무소 및 상기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상기 중개사의 성명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중개 사무소의 상호에 대한 입력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주소의 입력을 임차인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중개 사무소의 현재 영업 상태의 정보를 상기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호출된 정보로부터 상기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임차인 단말에 상기 중개 사무소가 영업 중인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이 아님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임차인 단말에 상기 중개 사무소가 영업 중이 아닌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중개 사무소 및 상기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상기 중개사의 성명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중개사의 성명에 대한 입력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중개사의 성명 및 업무지의 입력을 임차인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중개사의 성명 및 업무지에 기초하여 상기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의 정보를 상기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호출된 정보로부터 상기 중개사가 현재 영업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임차인 단말에 상기 중개사가 영업 중인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이 아님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임차인 단말에 상기 중개사가 영업 중이 아닌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신분증 종류에 대한 입력을 임차인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신분증 종류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경우, 신분증 사진 및 인적 정보를 상기 임차인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신분증 사진 및 상기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상기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신분증이 진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신분증이 진짜임을 알리는 내용을 상기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신분증이 가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신분증이 가짜임을 알리는 내용을 상기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은, 임차인 단말로부터 임대차 계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임대차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특약 사항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약 사항을 사전에 보유된 판례 및 임대차 사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판례 및 상기 임대차 사전 중 상기 특약 사항과 매칭된 내용을 임차인 단말에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임대차 계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임대차 계약서의 사진을 임차인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특약 사항을 판단하는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임대차 계약서 내에 기재된 상기 특약 사항을 광학 문자 판독(OCR)을 통해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이 임대인 이름 및 임대인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어서, 본 개시의 방법은 임대차 계약 전에 임대인 리스크 정보를 임차인에게 미리 제공하여 임대차 계약 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이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중개사의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중개 사무소 및 상기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어서, 본 개시의 방법은 임대차 계약에 있어서 임차인의 중개 사무소 및 중개인 선택의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이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어서, 본 개시의 방법은 임대차 계약에 있어서 임차인의 임대인 선택에 대한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인 이름 및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인 이름 및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인 이름 및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인 이름 및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개 사무소 상호 및 중개사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개 사무소 상호 및 중개사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개 사무소 상호 및 중개사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개 사무소 상호 및 중개사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특약 사항과 관련된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임차인 단말,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 국가 관리 서버, 및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기재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한 통상의 기술자가 자명하게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은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와 관련하여 임대인 리스크를 판단하고,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고, 임대차 계약에 사용되는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여,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들을 단계 별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은 임대인 이름 및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0),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중개사의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200), 및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이 전술한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어서,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이 확인해야하는 리스크 요소들이 단계 별로 신속하게 확인될 수 있고, 상기 임차인은 상기 리스크 요소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의 각 단계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인 이름 및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0a)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인 이름 및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0a)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S100a 단계는, 임대인 이름 및 임대인의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S110a), 임대인 이름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전달받은 경우 임대인 이름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20a), 입력된 임대인의 이름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S130a),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40a), 임대인의 체납이 있는 경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하여 임차인 단말에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150a), 및 임대인의 체납이 없는 경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이 아님으로 판단하여 임차인 단말에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160a)를 포함할 수 있다.
S11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도 13, 20)는 임차인 단말(도 13, 10)에 임대인의 이름 및 임대인의 주소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1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대인 이름을 알고 있나요?"와 같은 임대인 이름 선택 창을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해 제공하여 임차인의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S11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주소지만 알고 있나요?"와 같은 주소지 선택 창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여 임차인의 선택을 요청할 수도 있다.
즉, 임차인은 임차인 단말(10)에 유저 인터페이스로 제공되는 임대인 이름 선택 창 및 주소지 선택 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에 의해 선택된 창에 관련된 정보를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1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임대인의 이름을 모르고 임대인의 주소지만 알고 있는 경우, 임대인 리스크 확인을 위한 S100a 단계의 수행이 유료 서비스로 진행될 수 있음'을 포함하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차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1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임대인의 이름을 모르고 임대인의 주소지만 알고 있는 경우, 임대인 리스크 확인 서비스를 위한 소정의 시간이 소요됨'을 포함하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차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1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임대인 이름을 모르고 임대인의 주소지만 알고 있는 경우, 임대인 리스크 확인을 위한 S100a 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는 경우, 임대인 리스크에 관련된 내용이 어플리케이션의 푸시 메시지 및 이메일로 전달됨'을 포함하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차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S12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이 임차인으로부터 임대인 이름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임차인 단말(10)은 임대인 이름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2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대인의 이름을 기재하는 창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차인에게 제공하여 임차인에게 임대인 이름의 기재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임차인이 임대인의 이름을 임차인 단말(10)에 입력한 경우, 상기 임차인 단말(10)은 임대인의 이름과 관련된 정보를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
S13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도 13, 30)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3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정보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호출 및 편집할 수 있다.
상기 국가 관리 서버(30)는 국가에서 '악성 임대인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관리 서버(30)는 악성 임대인의 이름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국가 기관(예를 들어,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서버일 수 있다. 다만, 국가 관리 서버(30)의 종류는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악성 임대인은 임대차 보증금을 임차인에게 반환하지 않은 이력이 있는 임대인을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악성 임대인은 임대차 보증금을 임차인에게 반환하지 않은 이력이 제1 횟수 이상인 임대인을 지칭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3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국가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 '악성 임대인 리스트'중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과 매칭되는 악성 임대인의 이름과 관련된 정보를 API를 통하여 호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S13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국가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 '악성 임대인 리스트'의 전부를 API를 통해 호출한 후, 상기 악성 임대인 리스트에 기재된 임대인의 이름 및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을 매칭시킬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국가 관리 서버(30)는 국가에서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전술한 '악성 임대인'의 조건을 만족하거나, 전술한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3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국가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중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과 매칭되는 사람의 이름과 관련된 정보를 API를 통하여 호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S13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국가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의 리스트 전부를 API를 통해 호출한 후, 상기 리스트에 기재된 이름 및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을 매칭시킬 수도 있다.
S14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S130a 단계에서 호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4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과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된 '악성 임대인 리스트' 중 어느 한 명이 매칭된 경우 상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14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과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된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 중 어느 한 명이 매칭된 경우 상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4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이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된 '악성 임대인 리스트'의 어느 한 명과도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이 아님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14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이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된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 중 어느 한 명과도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이 아님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4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한 경우,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임을 포함하는 내용이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S15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입력한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임을 알리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S14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임대인이 국가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악성 임대인 리스트'및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의 리스트'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칭됨을 확인한 경우, S15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입력한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임을 알리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4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하지 않은 경우,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이 아님을 포함하는 내용이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S16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입력한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이 아님을 알리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S14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임대인이 국가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악성 임대인 리스트'및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의 리스트'와 매칭되지 않음을 확인한 경우, S16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입력한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이 아님을 알리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S100a 단계가 전술한 S110a 내지 S160a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어서, 본 개시의 S100a 단계는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임차인에게 임대인 리스크 정보를 임대차 계약 전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차인은 임대차 계약 전에 임대인 리스크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임대차 계약 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인 이름 및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0b)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인 이름 및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0b)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S100b 단계는, 임대인 이름 및 임대인의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S110b), 임대인 주소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전달받은 경우, 임대인 주소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120a), 임대인 리스크 확인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S130b), 임대인 리스크 확인에 대한 결제가 수행된 경우 임대인 주소에 기초하여 등기부등본을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이름을 확인하는 단계(S140b), 확인된 임대인의 이름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S150b),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 판단하는 단계(S160b), 임대인의 체납이 있는 경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하여 임차인 단말에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170b), 및 임대인의 체납이 없는 경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이 아님으로 판단하여 임차인 단말에 관련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S180b)를 포함할 수 있다.
S11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에 임대인의 이름 및 임대인의 주소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할 수 있다. S110b와 관련된 내용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S110a 단계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S110b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임대인의 이름을 모르고 임대인의 주소지만 알고 있는 경우, 임대인 리스크 확인을 위한 S100a 단계의 수행이 유료 서비스로 진행될 수 있음'을 포함하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차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10b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임대인의 이름을 모르고 임대인의 주소지만 알고 있는 경우, 임대인 리스크 확인을 위한 소정의 시간이 소요됨'을 포함하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차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10b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임대인 이름을 모르고 임대인의 주소지만 알고 있는 경우, 임대인 리스크 확인을 위한 S100b 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는 경우, 임대인 리스크에 관련된 내용이 어플리케이션의 푸시 메시지 및 이메일로 전달됨'을 포함하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차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S120b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이 임차인으로부터 임대인 주소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임차인 단말(10)은 임대인 주소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20b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대인의 주소를 기재하는 창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차인에게 제공하여 임차인에게 임대인 주소의 기재를 요청할 수 있다. 즉, 임차인이 임대인의 주소를 임차인 단말(10)에 입력한 경우, 상기 임차인 단말(10)은 임대인의 주소와 관련된 정보를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에 전달할 수 있다.
S13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을 통해 임대인 리스크 확인에 대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차인이 임대인의 이름은 모르지만 임대인의 주소를 알고 있는 경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대인 주소를 이용하여 등기부등본을 발급하고, 발급된 등기부등본을 활용하여 소유주의 이름을 확인하고, 확인된 소유주의 이름에 기반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등의 체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수행해야하므로, S100b 단계는 임대인 리스크 확인에 대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S1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130b 단계 이후 임대인 리스크 확인에 대한 결제가 수행된 경우, S14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에서 입력된 임대인 주소에 기초하여 등기부등본을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국가 관리 서버(30)는 주소지에 기반하여 등기부등본을 제공하는 국가 기관의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관리 서버(30)는 대한민국이 제공하는 인터넷 등기소일 수 있으며, 상기 국가 관리 서버(30)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4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임대인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임대인 주소와 매칭되는 등기부등본을 API를 통하여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
또한, S14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된 등기부등본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이름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상기 등기부등본의 이미지에 대하여 광학 문자 판독(optical character reader, OCR)을 수행하여 임대인의 이름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의 임대인 이름 획득 방법은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S15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5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정보를 API로 호출 및 편집할 수 있다.
상기 국가 관리 서버(30)는 국가에서 '악성 임대인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관리 서버(30)는 악성 임대인의 이름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국가 기관(예를 들어,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서버일 수 있다. 다만, 국가 관리 서버(30)의 종류는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악성 임대인은 임대차 보증금을 임차인에게 반환하지 않은 이력이 있는 임대인을 지칭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악성 임대인은 임대차 보증금을 임차인에게 반환하지 않은 이력이 제1 횟수 이상인 임대인을 지칭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5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국가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 '악성 임대인 리스트'중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과 매칭되는 악성 임대인의 이름과 관련된 정보를 API를 통하여 호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S15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국가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 '악성 임대인 리스트'의 전부를 API를 통해 호출한 후, 상기 악성 임대인 리스트에 기재된 임대인의 이름 및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을 매칭시킬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국가 관리 서버(30)는 국가에서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전술한 '악성 임대인'의 조건을 만족하거나,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의 조건을 만족하는 사람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5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국가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중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과 매칭되는 사람의 이름과 관련된 정보를 API를 통하여 호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S15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국가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의 리스트 전부를 API를 통해 호출한 후, 상기 리스트에 기재된 이름 및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을 매칭시킬 수도 있다.
S16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S150b 단계에서 호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인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6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과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된 '악성 임대인 리스트' 중 어느 한 명이 매칭된 경우 상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16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과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된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 중 어느 한 명이 매칭된 경우 상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6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이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된 '악성 임대인 리스트'의 어느 한 명과도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이 아님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S16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임대인의 이름이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된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 중 어느 한 명과도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이 아님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6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한 경우,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임을 포함하는 내용이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S170b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입력한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임을 알리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S16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임대인이 국가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악성 임대인 리스트'및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의 리스트'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매칭됨을 확인한 경우, S170b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입력한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임을 알리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16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하지 않은 경우,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이 아님을 포함하는 내용이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S180b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입력한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이 아님을 알리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즉, S16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임대인이 국가 관리 서버(30)가 제공하는'악성 임대인 리스트'및 '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의 리스트'와 매칭되지 않음을 확인한 경우, S180b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입력한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이 아님을 알리는 내용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S100b 단계가 전술한 S110b 내지 S180b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어서, 본 개시의 S100b 단계는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임대인이 부실 임대인인지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여 임차인에게 임대인 리스크 정보를 임대차 계약 전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차인은 임대차 계약 전에 임대인 리스크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임대차 계약 시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개 사무소 상호 및 중개사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200a)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도 7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개 사무소 상호 및 중개사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200a)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개시의 S200a 단계는,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중개사의 성명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S210a), 중개 사무소의 상호에 대한 선택을 전달받은 경우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주소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220a), 입력된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주소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의 현재 영업 상태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S230a), 호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240a),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인 경우 해당 정보를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250a), 및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이 아닌 경우 해당 정보를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260a)를 포함할 수 있다.
S21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중개사 성명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유도하는 선택 창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임차인은 임차인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중개사 성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S210a 단계 이후, 임차인이 임차인 단말(10)을 통해 중개 사무소의 상호를 선택한 경우, S22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주소의 입력을 요청하는 창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22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중개 사무소의 주소(예를 들어, 시/도, 시/군/구)의 입력을 위해 제공되는 선택 창 및 중개 사무소의 상호의 입력을 위해 제공되는 창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임차인은 임차인 단말(10)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창을 이용하여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S23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주소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의 현재 영업 상태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주소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의 현재 영업 상태에 대한 정보를 API로 호출 및 편집할 수 있다.
상기 국가 관리 서버(30)는 국가가 제공하고 부동산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조회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국가 관리 서버(30)는 부동산 중개업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 공간 정보 포털일 수 있다. 다만, 국가 관리 서버(30)의 종류는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S24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된 중개 사무소의 현재 영업 사태의 정보에 기초하여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S24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임으로 판단한 경우, S25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상기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임을 알리는 정보를 임차인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입력한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임을 알리는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25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중개 사무소의 영업 상태가 현재 영업, 업무 정지, 및 휴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임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S24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이 아님으로 판단한 경우, S260a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상기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이 아님을 알리는 정보를 임차인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입력한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이 아님을 알리는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260a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중개 사무소가 국가 공간 정보 포털의 부동산 중개업에 등록되지 않은 사무소임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S200a 단계가 전술한 S210a 내지 S260a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어서, 임대차 계약의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인지 자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대차 계약에 있어서 임차인의 중개 사무소 선택의 리스크가 감소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개 사무소 상호 및 중개사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200b)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도 9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중개 사무소 상호 및 중개사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200b)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본 개시의 S200b 단계는,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중개사의 성명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S210b), 중개사의 성명에 대한 선택을 전달받은 경우 중개사 성명 및 업무지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S220b), 입력된 중개사 성명 및 업무지에 기초하여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S230b), 호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S240b),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인 경우 해당 정보를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250b), 및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이 아닌 경우 해당 정보를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260b)를 포함할 수 있다.
S210b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중개사 성명 중 어느 하나의 선택을 유도하는 선택 창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임차인은 임차인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중개사 성명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S210b 단계 이후, 임차인이 임차인 단말(10)을 통해 중개사 성명을 선택한 경우, S220b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중개사의 성명 및 업무지 주소의 입력을 요청하는 창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220b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업무지의 주소(예를 들어, 시/도, 시/군/구)의 입력을 위해 제공되는 선택 창 및 중개사의 성명의 입력을 위해 제공되는 창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즉, 임차인은 임차인 단말(10)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창을 이용하여 중개사의 성명 및 업무지 주소를 입력할 수 있다.
S23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중개사 성명 및 업무지 주소에 기초하여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중개사의 성명 및 업무지 주소에 기초하여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에 대한 정보를 API로 호출 및 편집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국가 관리 서버(30)는 국가가 제공하고 부동산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조회할 수 있는 서버일 수 있다.
S24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국가 관리 서버(30)로부터 호출된 중개사의 현재 영업 사태의 정보에 기초하여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중개사가 개업 공인 중개사인지, 소속 공인 중개사인지, 중개 보조원인지 판단할 수도 있다.
S24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임으로 판단한 경우, S25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상기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임을 알리는 정보를 임차인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입력한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임을 알리는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S25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중개사가 개업 공인 중개사인지, 소속 공인 중개사인지, 중개 보조원 중 어느 하나임을 임차인 단말(10)에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임차인 단말(10)은 해당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임차인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임차인 단말(10)은 중개사의 등록 번호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임차인에게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S24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이 아님으로 판단한 경우, S260b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상기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이 아님을 알리는 정보를 임차인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입력한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이 아님을 알리는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S200b 단계가 전술한 S210b 내지 S260b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어서, 임대차 계약을 담당하는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인지, 국가에 등록된 중개사인지 자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대차 계약에 있어서 임차인의 중개사 선택의 리스크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의 흐름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이다. 또한, 도 1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면, S300 단계는, 신분증 종류에 대한 입력을 임차인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S310), 신분증 종류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경우 해당 신분증에 대한 사진 및 인적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320),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40)로부터 호출하는 단계(S330), 호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를 판단하는 단계(S340), 신분증이 진짜로 판단된 경우 임차인 단말(1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50), 및 신분증이 가짜로 판단된 경우 임차인 단말(10)에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60)를 포함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신분증의 종류에 대한 선택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차인에게 요청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310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및 외국인등록증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창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임차인에게 요청할 수 있다.
즉, 임차인은 임차인 단말(10)에 제공된 신분증 종류에 대한 복수의 선택 창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차인에 의해 주민등록증이 선택된 경우, 임차인 단말(10)은 성명, 생년월일, 발급일 등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임차인에 의해 운전 면허증이 선택된 경우, 임차인 단말(10)은 성명, 생년월일, 면허번호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임차인에 의해 여권이 선택된 경우, 임차인 단말(10)은 성명, 여권번호, 발급일자, 만료일자, 생년월일 등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임차인에 의해 외국인 등록증이 선택된 경우, 임차인 단말(10)은 외국인 등록 번호, 및 발급 일자 등의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에 의해 신분증의 종류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경우, S320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선택된 종류의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를 임차인에게 요청할 수 있다.
즉, 임차인은 임차인 단말(10)에 신분증의 사진 및 해당 신분증과 관련된 인적 정보를 상기 임차인 단말(10)의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임차인 단말(10)은 제공된 신분증 사진 및 인적 정보를 자체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임차인 단말(10)은 제공된 신분증 사진 및 인적 정보를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에 전달할 수도 있다.
S320 단계 이후, 임차인 단말(10)이 임차인으로부터 신분증 사진 및 인적 정보를 전달받은 경우, S330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신분증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신분증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40)로부터 호출할 수 있다.
상기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40)는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40)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도 있고, 기업에서 유료 서비스 또는 무료 서비스로 운영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S330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전달받은 신분증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에 대한 정보를 API로 호출 및 편집할 수 있다.
S340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S330 단계에서 신분증 진위 서버(40)로부터 호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임차인 단말(10)에 제공된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340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신분증이 진짜로 판단된 경우, S350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상기 신분증이 진짜임을 알리는 정보를 임차인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업로드한 신분증 사진이 진짜임을 알리는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S340 단계에서 임차인 단말(10)에 입력된 신분증이 가짜로 판단된 경우, S360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상기 신분증이 가짜임을 알리는 정보를 임차인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차인 단말(10)은 임차인이 업로드한 신분증 사진이 가짜임을 알리는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S300 단계가 전술한 S310 내지 S360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어서, 임대차 계약 시 임대인의 신분증의 진위 여부가 자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대차 계약에 있어서 임차인의 임대인 선택에 대한 리스크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특약 사항과 관련된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S400)를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예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400)은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임대차 계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임대차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특약 사항을 판단하는 단계, 특약 사항을 사전에 보유된 판례 및 임대차 사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매칭시키는 단계, 판례 및 임대차 사전 중 특약 사항과 매칭된 내용을 임차인 단말(10)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대차 사전은 임대차와 관련되어 임차인에게 제공 가능한 다수의 데이터들의 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례 및 임대차 사전은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에 사전에 저장된 데이터들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임대차 계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임대차 계약서의 사진을 임차인 단말(1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대차 계약 만료일을 획득하는 단계는 임대차 계약서에 기재된 특약 사항을 광학 문자 판독(OCR)을 통해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400 단계에서, 임대차 계약서의 사진에 기재된 문자 이미지 및 숫자 이미지의 특징을 빛을 이용하여 추출하고 사전에 축적된 문자 및 숫자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문자 이미지 및 상기 숫자 이미지를 텍스트로 변환시키는 단계, 변환된 텍스트 중 '특약'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특약'과 인접하게 배치된 문구들을 추출하여 특약 사항을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400 단계에서, 광학 문자 판독을 통해 추출된 특약 사항을 사전에 보유한 판례들 및 임대차 사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매칭시키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약 사항과 관련하여 '반려 동물'이 판단된 경우, S400 단계에서 복수의 판례들 및 임대차 사전의 내용 중 '반려 동물'과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판례 및 임대차 사전의 내용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S400 단계에서, '반려 동물'과 관련된 확장 단어들(강아지, 고양이, 반려견, 반려묘 등)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확장 단어들을 포함하는 판례들 및 임대차 사전의 내용을 획득하는 단계가 더 수행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S400 단계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특약 사항과 매칭된 판례 및 임대차 사전의 내용을 임차인 단말(1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임차인의 특약 사항과 관련된 판례 중 중요 부분을 하이라이트(예를 들어, 빨간색 강조)하여 임차인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고, 특약 사항과 관련된 판례 및 임대차 사전의 내용을 임차인 단말(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특약 사항과 관련되어 임차인에게 도움될 수 있는 특약 문구를 임차인 단말(10)에 더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의 각 단계들(S100 내지 S300)의 수행 순서는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S100 단계 내지 S300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역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S200 단계가 먼저 수행된 이후, S100 단계 및 S300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임차인 단말(10),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 국가 관리 서버(30), 및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4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임차인 단말(10),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 국가 관리 서버(30), 및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40)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을 수행하는 장치들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임차인 단말(10) 및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유무선으로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차인 단말(10) 및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무선 통신 망은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나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임차인 단말(10)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을 이용하는 임차인에 의해 운용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임차인 단말(1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랩탑(Laptop), PC(Personal Computer),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 통신 가능한 각종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을 운용하는 서버(server) 및 상기 서버를 운용하는 운용 컴퓨터 등을 통칭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웹사이트,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개시의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을 운용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가 하는 동작은 실제로 서버에 내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동작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은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의 웹사이트, 및 어플리케이션 등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운용될 수 있다.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프로세서(21) 및 메모리(2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다른 범용적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컴퓨팅 시스템일 수 있고, 프로세서(21) 및 메모리(22) 외 스토리지 장치, 파워 서플라이, 및 입출력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는 본 개시의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에 수행되는 특정 계산들 및 태스크들(tasks)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1)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1)는 어드레스 버스(address bus), 제어 버스(control bus) 및 데이터 버스(data bus) 등과 같은 버스를 통하여 메모리(22), 스토리지 장치, 및 입출력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는 주변 구성요소 상호연결(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PCI) 버스와 같은 확장 버스에도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22)는 본 개시의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의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는 디램(DRAM), 모바일 디램, 에스램(SRAM), 피램(PRAM), 에프램(FRAM), 알램(RRAM) 및/또는 엠램(MRA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30)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씨디롬(CD-ROM)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메모리(22)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의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국가 관리 서버(30) 및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4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20)는 API를 통해 국가 관리 서버(30) 및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4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호출하여 편집 및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국가 관리 서버(30)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의 수행에 사용되는 서버로서 국가에서 관리 및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국가 관리 서버(30)는 국가에서 ‘악성 임대인 리스트’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국가 관리 서버(30)는 악성 임대인의 이름을 리스트 형태로 제공하도록 구성된 국가 기관(예를 들어,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국가 관리 서버(30)는‘국세 및 지방세 등의 세금의 체납 이력이 있는 사람의 리스트’를 제공하는 국가 기관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국가 관리 서버(30)는 국가가 제공하는 서버로서, 부동산 중개 사무소 및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가 조회가능한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국가 관리 서버(30)는 부동산 중개업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가 공간 정보 포털일 수 있다. 다만, 국가 관리 서버(30)의 종류는 전술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40)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S10)의 수행에 사용되고,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서버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40)는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서버일 수 있다. 상기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40)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서버일 수도 있고, 기업에서 유료 서비스 또는 무료 서비스로 운영하는 서버일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임대인 이름 및 임대인 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의 정보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중개사의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중개 사무소 및 상기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신분증의 사진 및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 여부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임대차 계약 정보에 기초하여 특약 사항과 관련된 판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임대차 계약 정보에 기재된 텍스트 중 특약의 텍스트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특약의 텍스트와 인접하게 배치된 문구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추출된 상기 문구와 관련된 확장 단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획득된 확장 단어를 포함하는 판례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획득된 상기 판례에서 상기 확장 단어를 포함하는 문구를 강조 표시하여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특약 사항과 관련된 판례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임대인 이름 및 상기 임대인 주소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임대인 이름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전달받은 경우, 임차인 단말에 임대인 이름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임차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임대인 이름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정보를 상기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체납 정보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체납 여부가 인정된 경우 상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하여 상기 임차인 단말에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체납 여부가 인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이 아님으로 판단하여 상기 임차인 단말에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인 리스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임대인 이름 및 상기 임대인 주소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임대인 주소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전달받은 경우, 임차인 단말에 임대인 주소의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임차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임대인 주소에 기초하여 등기부등본을 상기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상기 임대인 이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확인된 상기 임대인 이름에 기초하여 상기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정보를 상기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체납 정보에 기초하여 임대인의 보증금 및 세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체납 여부가 인정된 경우 상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으로 판단하여 상기 임차인 단말에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체납 여부가 인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임대인을 부실 임대인이 아님으로 판단하여 상기 임차인 단말에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인 주소를 요청하는 단계 이후 상기 임차인 단말로부터 상기 임대인 주소가 입력된 경우,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임대인 리스크 확인에 대한 비용 결제를 상기 임차인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사무소 및 상기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상기 중개사의 성명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중개 사무소의 상호에 대한 입력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주소의 입력을 임차인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임차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중개 사무소의 현재 영업 상태의 정보를 상기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호출된 정보로부터 상기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임차인 단말에 상기 중개 사무소가 영업 중인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중개 사무소가 현재 영업 중이 아님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임차인 단말에 상기 중개 사무소가 영업 중이 아닌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사무소 및 상기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를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여 현재 영업 중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중개 사무소의 상호 및 상기 중개사의 성명 중 어느 하나의 입력에 대한 선택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중개사의 성명에 대한 입력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중개사의 성명 및 업무지의 입력을 임차인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임차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중개사의 성명 및 업무지에 기초하여 상기 중개사의 현재 영업 상태의 정보를 상기 국가 관리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호출된 정보로부터 상기 중개사가 현재 영업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임차인 단말에 상기 중개사가 영업 중인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중개사가 현재 영업 중이 아님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임차인 단말에 상기 중개사가 영업 중이 아닌 내용을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분증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신분증의 종류에 대한 입력을 임차인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신분증의 종류에 대한 정보가 입력된 경우, 신분증 사진 및 인적 정보를 상기 임차인 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임차인 단말로부터 입력된 상기 신분증 사진 및 상기 인적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에 대한 정보를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호출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신분증 진위 판단 서버로부터 전달된 정보에 기초하여 신분증의 진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신분증이 진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신분증이 진짜임을 알리는 내용을 상기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임차인 리스크 확인 서버에 의해, 상기 신분증이 가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신분증이 가짜임을 알리는 내용을 상기 임차인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220138277A 2022-09-06 2022-10-25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 KR102540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12897 2022-09-06
KR1020220112897 2022-09-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363B1 true KR102540363B1 (ko) 2023-06-07

Family

ID=8676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277A KR102540363B1 (ko) 2022-09-06 2022-10-25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165B1 (ko) * 2023-08-11 2023-12-29 주식회사 아이엔 개인 신용 정보 및 부동산 목적물 등기 정보에 기초하여임대차 계약의 리스크를 제공하는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7162A (ja) * 2015-02-23 2016-09-01 株式会社ボルテックス 区分所有オフィス投資管理システム、区分所有オフィス投資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区分所有オフィス投資管理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200046684A (ko) * 2018-10-25 2020-05-07 한국감정원 허위매물 검증방법 및 허위매물 검증모듈부가 구비된 부동산 매물정보 검증 및 제공시스템
KR102210619B1 (ko) * 2020-04-09 2021-02-03 김영혁 부동산 거래 위험도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92036B1 (ko) 2021-05-03 2022-04-27 김경희 부동산 사기 거래 방지 시스템
KR102439212B1 (ko) * 2021-12-22 2022-09-02 주식회사 아이엔 학습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임대차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439204B1 (ko) * 2021-12-22 2022-09-02 주식회사 아이엔 학습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임대차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7162A (ja) * 2015-02-23 2016-09-01 株式会社ボルテックス 区分所有オフィス投資管理システム、区分所有オフィス投資管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区分所有オフィス投資管理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200046684A (ko) * 2018-10-25 2020-05-07 한국감정원 허위매물 검증방법 및 허위매물 검증모듈부가 구비된 부동산 매물정보 검증 및 제공시스템
KR102210619B1 (ko) * 2020-04-09 2021-02-03 김영혁 부동산 거래 위험도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92036B1 (ko) 2021-05-03 2022-04-27 김경희 부동산 사기 거래 방지 시스템
KR102439212B1 (ko) * 2021-12-22 2022-09-02 주식회사 아이엔 학습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상에서 임대차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439204B1 (ko) * 2021-12-22 2022-09-02 주식회사 아이엔 학습된 뉴럴 네트워크를 이용한 임대차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165B1 (ko) * 2023-08-11 2023-12-29 주식회사 아이엔 개인 신용 정보 및 부동산 목적물 등기 정보에 기초하여임대차 계약의 리스크를 제공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4398B2 (ja) エイリアスを使用したモバイル・ペイメント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447700B2 (en) Transaction authorization service
US83523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horization of transactions
US201802257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tabase management of transaction information and payment data
US8315945B1 (en) Transferring money using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2540363B1 (ko) 임대차 계약 전 임차인의 리스크 요소를 확인하는 방법
JP5550630B2 (ja) 電子マネーサーバ、電子マネー処理方法及び電子マネー処理プログラム
US20100241461A1 (en) Loss Mitigation Analysis
WO2016131084A1 (en) Bill payment system
KR100980850B1 (ko) 전세 대출 시스템, 전세 대출 방법, 권원 관리 시스템,권원 관리 방법,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저장매체
KR20100088419A (ko) 부동산 거래 중개 방법
US202201479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funds transfer and bill payment
US2013019124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e loan-based transactions
JP5852636B2 (ja) マンション管理会社向け振込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86003B1 (ko) 부동산 정보를 기초로 이중 계약을 판별하는 부동산 리스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부동산 리스크 관리 서버
KR100448846B1 (ko) 연체 관리 방법
KR20200057659A (ko) 블록체인 기반 거래의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619179B1 (ko) 부동산 임대차 목적물의 전-전대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619165B1 (ko) 개인 신용 정보 및 부동산 목적물 등기 정보에 기초하여임대차 계약의 리스크를 제공하는 방법
KR20140006692A (ko) 대출조건 및 대출한도 산출 시스템과 그 방법
US20230042992A1 (en) Disbursement authorization data object processing system utilizing real-time status data and authentication keys
KR100792551B1 (ko) 모바일 메시지를 이용한 지로 요금 결제 방법 및 그 시스템
JP6982876B2 (ja) 定期借家契約管理システム
US202300355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ayments via text messages
KR100563933B1 (ko)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