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3933B1 -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3933B1
KR100563933B1 KR1020050135123A KR20050135123A KR100563933B1 KR 100563933 B1 KR100563933 B1 KR 100563933B1 KR 1020050135123 A KR1020050135123 A KR 1020050135123A KR 20050135123 A KR20050135123 A KR 20050135123A KR 100563933 B1 KR100563933 B1 KR 100563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on
company
consignmen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원식
강동구
이준형
김철진
Original Assignee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5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9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심위탁기업과 추심업체 간의 파트너 관계관리를 위한 추심위탁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추심위탁기업 단말과 추심업체 단말간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추심위탁 및 추심결과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에 있어서,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저장된 사고번호, 구상번호 및 추심위탁 관련정보를 전송하면 추심관리서버는 이 정보를 DB상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등록된 추심업체 목록으로부터 추심업체 지정기준에 의해 추심업체를 지정하는 단계; 추심관리서버에서 DB상의 수발신함 영역에 추심위탁 관련정보를 저장하여 추심업체에 통지하는 단계; 추심업체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접속 후 DB상의 수발신함 영역에 저장된 추심위탁 관련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추심업체 단말이 추심진행 데이터를 추심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 또는 갱신하는 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추심진행 데이터를 조회한 후, 추심관리서버에 추심종료의 내용을 전송하여 추심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과,
추심위탁기업 단말과 추심업체 단말 간에 추심위탁 및 추심관련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추심관리서버와 접속될 수 있는 추심위탁기업 및 추심업체 단말기; 단말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된 네트워크 통신망; 상기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추심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추심위탁기업과 추심업체간의 유기적 정보교환을 통한 업무효율의 향상과 양방향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심위탁, 구상채권, 추심업체

Description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Management System and the Method for Collective Consignment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심위탁에 대한 업무흐름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구상채권발생시 추심위탁기업에서의 업무 흐름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추심위탁과정의 업무흐름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추심을 행사하는 과정의 업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 추심위탁을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조회가능한 판결문 이미지를 나타낸 화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 재산조사 의뢰 등록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위탁기업의 채무자 재산조사 의뢰에 대해 추심업체의 조사결과 등록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게 추심위탁 상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의견을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추심위탁기업에게 추심상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의견을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 입금내역 확인요청을 한 건에 대하여 추심업체가 입금자를 확인해 주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추심위탁기업에게 추심위탁건 추심진행중 채무감면요청을 나타낸 화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추심위탁기업에게 추심위탁건의 종결사항을 통보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추심 재위탁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추심위탁기업에게 추심비용을 청구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가 추심업체 가상계좌에 입금된 내역을 조회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추심업체 단말 20 : 추심위탁기업 단말
30 : 네트워크 40 : 추심관리서버
50 : 데이터베이스(DB)
본 발명은 채권자가 추심업체에 채권추심을 위탁하는 경우 그에 대한 업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추심위탁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 고객을 대상으로 영업활동을 하는 회사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고객관계 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CRM)가 중요하지만, 최근 들어 고객관계 관리 뿐만 아니라 파트너 관계관리(Partner Relationship Management ; PRM) 또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특히 보험회사의 경우에는 업무의 특성상, 교통사고 후의 보상처리 및 가해자에 대한 구상권 행사에 있어서 채권추심위탁에 관하여 추심업체와 파트너 관계로서 이러한 중요성이 대두된다.
추심위탁기업과 추심업체간의 파트너관계관리 체계의 구축 없이 구상업무를 행할 때에는, 구상건 각 사안별로 다양하고 복잡한 구상조건으로 인해 문서관리와 이력관리가 되지않아 업무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구상권의 행사시의 관리 미흡으로 장기악성 구상채권 증가, 구상미결의 장기화 및 지속적 증가 등의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추심 위탁 후의 추심경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되지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추심위탁업무상의 문제점 및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과 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위탁정보를 입력하면 추심업체에서는 입력된 추심에 관련된 자료를 조회하고 채무자의 재산 정보 등을 수집하여 채권회수를 위한 기초정보를 수집하고 실제로 추심 이후 경과나 실적에 대해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추심위탁기업과 추심업체간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으며 추심위탁한 내용 및 추심결과에 대한 내용에 대한 현황관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추심업체의 추심실적을 여러가지 인자로 관리하여 향후 추심위탁시 우수한 업체를 선정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추심위탁기업에서 기업의 채권을 추심업체에 위탁시 추심위탁에 대한 업무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심위탁 관리시스템은,
추심위탁기업 단말; 추심업체 단말;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의 인적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저장영역, 기업에서 업무상 생긴 채권의 내용이 저장되는 구상채권정보 저장영역,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을 위탁하는 추심업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추심업체정보 저장영역,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 추심을 위탁할 경우 추심 상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추심위탁정보 저장영역, 추심 상에 관련된 의견내용 및 추심내용, 회수금액, 추심완료일, 추심비용 등의 추심결과 등이 저장되는 추심결과정보 저장영역, 그리고 추심위탁기업과 추심업체 간의 추심철회 등의 의견정보교환 내용이 저장되는 수발신함정보 저장영역을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추심관리서버; 및 상기 서버와 단말들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된 통신네트워크; 를 포함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추심위탁기업 및 추심업체의 단말기는 개인용 컴퓨터, PDA, 노트북 등을 말하며, 네트워크는 인터넷 통신망, LAN 등을 포함한 유무선 망을 말한다. 추심위탁기업은 교통사고 후의 선보상에 의해 가해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하는 보험회사뿐만 아니라 대출업무를 하는 은행과 제 2 금융권 및 일반 기업도 포함된다. 추심업체는 채권자로부터 채권을 양도받아 채무자에게 채권자의 채권 등을 제시하여 변제를 독촉하고 채권을 행사하는 업체를 말한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추심위탁 관리방법의 일 실시예는,
추심위탁기업 단말과 추심업체 단말간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추심위탁 및 추심결과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에 있어서,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사고번호, 구상번호 및 추심위탁 관련 정보를 전송하면 추심관리서버는 이 정보를 DB상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하는 추심위탁 제1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등록된 추심업체 목록으로부터 소정의 추심업체 지정기준에 의해 추심업체를 지정하는 추심위탁 제2단계; 추심관리서버가 DB상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추심위탁 관련정보를 DB상의 수발신함 영역에 복사하는 추심위탁 제3단계; 추심업체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접속하여 DB상의 수발신함 영역에 저장된 상기 추심위탁 관련정보를 조회하는 추심위탁 제4단계; 추심업체 단말이 추심진행 데이터를 추심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 또는 갱신하는 추심위탁 제5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상기 추심진행 데이터를 조회한 후 추심관리서버에 추심종료의 내용을 전송하여 추심을 종료하는 추심위탁 제6단계;
를 포함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만일, 추심업체 단말로부터 추심재위탁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제6단계 이후에, 추심업체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추심재위탁 요청사항을 전송하면 추심관리서버가 이를 DB에 저장하는 추심재위탁 제1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상기 추심재위탁 요청내용에 대해 조회한 후 추심재위탁 정보 및 연장된 추심위탁 만료일을 포함한 추심재위탁 관련정보를 전송하면 추심관리서버는 이 정보를 DB상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하는 추심재위탁 제2단계; 추심업체 단말이 재위탁 받은 추심건에 대해 추심진행 데이터를 추심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 또는 갱신하는 추심재위탁 제3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상기 추심진행 데이터를 조회 한 후, 추심관리서버에 추심종료의 내용을 전송하여 추심을 종료하는 추심재위탁 제4단계;
를 더 포함하여 추심위탁업무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추심종료 후 추심비용을 정산하는 방법은,
추심위탁 제6단계 또는 추심재위탁 제4단계 이후에, 추심업체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추심비용정보를 전송하여 DB에 저장하는 비용정산 제1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상기 추심비용정보를 조회하는 비용정산 제2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상기 추심비용에 대한 입금정보를 전송하여 DB에 저장하는 비용정산 제3단계; 추심업체 단말이 상기 입금정보를 조회하는 비용정산 제4단계;
를 더 포함하여 추심위탁업무를 관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추심위탁업무 및 추심업무를 관리하기 위한 추심관리서버(40)가 구축된다. 또한 상기 서버(40)에는 사용자정보 저장영역, 구상채권정보 저장영역, 추심업체정보 저장영역, 추심위탁정보 저장영역, 추심결과정보 저장영역, 수발신함정보 저장영역을 가지는 데이터베이스(50)가 구비된다.
사용자정보 저장영역에는 상기 서버(40)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의 ID, 패스워드, 성명, 이메일주소, 휴대폰번호 및 추심업체의 경우 가상계좌번호 등의 인적정보가 저장된다. 구상채권정보 저장영역에는 기업에서 업무상 생긴 채권의 실질적인 내용이 저장되는 곳이며, 추심업체정보 저장영역에는 추심업체명, 전화번호, 대표자명, 주소, 계좌번호 등이 저장된다. 추심위탁정보 저장영역에는 사고번호, 구상번호, 채무자 성명, 주소, 전화번호 등의 인적사항, 판결문 및 사고사진 이미지 등이 포함된다. 추심결과정보 저장영역에는 채무자의 재산조사결과와 추심 상에 관련된 의견내용 및 추심내용, 회수금액, 추심완료일, 추심재위탁 사항 등의 추심결과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수발신함정보 저장영역에는 추심위탁기업과 추심업체간의 의견정보교환 내용이 저장되는 곳으로서, 이는 추심위탁기업과 추심업체간의 이력관리를 위해 저장된 내용에 대해 수정 또는 삭제가 불가능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심위탁에 대한 업무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업 등에서 채권 발생시 구상금액이 일정금액 이상이거나 추심위탁이 필요한 경우이면 추심업체에 추심을 위탁(S200)하게 된다. 추심업체 단말(10)에서는 추심위탁기업 단말(20)로부터 위탁된 내용에 대해 추심을 하게 되며(S300) 추심종료시 구상이 종료된다. 그러나 실질적인 추심이 종료되지 않았을시 추심업체 단말(10)로부터 추심재위탁 요청을 받게 되면 추심위탁기업 단말(20)에서는 추심업체에 추심을 다시 위탁하게 된다. 여기에서 추심위탁기업 단말(20)에서 추심업체에게 추심을 위탁(S200)하고 추심업체에서 추심을 행사(S300)하 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추심업체의 추심결과에 따라 추심위탁기업 단말(20)이 서버(40)상의 추심결과가 저장되는 영역을 조회한 후 추심의 종료 또는 추심의 종료 후 재위탁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추심업체 단말(10)로부터 추심 재위탁이 요청되었을 경우 추심위탁기업의 단말(20)에서 요청사항에 대한 조회 후, 추심재위탁 사항을 전송하여 추심업체에게 다시 추심위탁하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구상채권발생시 추심위탁기업에서의 업무 흐름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교통사고 등으로 인한 기업의 구상채권 발생(S100)시 추심위탁기업 단말(20)을 통해 서버(40)에의 접속을 요청하면 상기 서버(40)에 저장된 사용자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확인 후 이를 허가한다. 그리고 사고번호(S110), 사고사진 이미지(S120), 피해자 및 채무자의 성명, 전화번호, 주소 등의 인적 정보를 입력하면 서버(40)에서는 이를 DB(50)의 구상채권정보 영역에 저장한다.(S130).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추심 위탁과정의 업무흐름도이다.
이는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로 추심위탁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먼저 추심위탁기업 단말(20)을 통해 서버(40)로의 접속을 요청하면 상기 서버(40)에 구비된 사용자정보와의 일치여부를 확인 후 이를 허가한다. 그리고 사고정보 및 채무자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는 DB(50)의 구상채권정보 영역의 내용의 조회를 요청한 후(S210) 미리 저장된 추심업체 리스트로부터 추심업체를 지정한다(S220). 그리고 채무자 정보, 사고번호, 구상번호, 판결문 및 사고사진 이미지 등을 입력하면 서버(40)에서는 상기 내용을 DB(50)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시켜 추심업체에 추심위탁하게 된다.
추심업체 지정 및 추심위탁에 대한 데이터가 DB(50)에 저장이 되면 상기 서버(40)에서는 저장과 동시에 지정된 추심업체에게 추심위탁내용을 발신(S230)하며, 상기내용은 DB(50)의 수발신함 영역에 저장된다. 그리하여 추심위탁기업의 발신함 및 추심업체 수신함에 저장시키게 된다. 그러나 수신처에서 수신 전에는 발신처에서 상기 내용에 대해 철회가 가능하며 이 경우 DB(50)에 저장되었던 내용은 삭제된다.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 추심을 위탁하였다는 정보는 DB(50)상의 사용자정보가 저장되는 영역의 휴대폰 번호, 사용자 ID 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이용하여 SMS 문자메시지, 컴퓨터상의 팝업창 또는 자동으로 전송되는 이메일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메시지 전달방법은 공지기술로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추심업체의 단말(10)을 통해 서버(40)에 접근 후 수신함의 내용을 조회하면(S240) 추심위탁기업 발신함의 내용과 추심업체의 수신함의 내용은 추심위탁기업과 추심업체의 이력관리를 위해 수정 또는 삭제가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추심업체의 단말(10)을 통한 발신 후, 추심위탁기업의 수신함에 저장된 내용에 대해 수신하게 되는 경우에도 상기의 경우와 같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추심을 행사하는 과정의 업무 흐름도이다.
이는 추심업체에서 행한 추심상의 내용 및 결과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먼저, 추심업체의 단말(10)을 통해서 서버(40)에 접근 후, 추심위탁기업단말(20)에서 위탁한 채무자 정보, 추심기한, 추심요청 금액, 사고번호, 판결문 이미지 등이 DB(50)상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대해 조회한다. 그리고 채무자의 재산조사 결과(S310) 및 추심내용, 회수금액, 추심완료일, 추심결과 및 추심상의 의견내용 등에 대해 추심업체 단말(10)을 통해 전송하면 상기 내용은 DB(50)의 추심결과정보 영역에 저장과 동시에 추심업체 발신함에 저장되며, 이는 상기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다.
이하 도 3부터 도 13은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컴퓨터 화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 추심위탁을 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 추심을 위탁(S200)하기 위해서는 DB(50)에 위탁내용을 저장시켜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추심위탁기업 단말(20)을 통해 서버(40)에 접속 후, 구상채권정보 영역의 조회를 요청하면 서버(40)에서는 DB(50)에 저장된 구상건 내역의 조회를 허용한다(S210). 이때, 추심위탁기업 단말(20)에서 따로 순번을 입력하지 않으면 가장 최근의 구상번호 혹은 사고번호를 맨위에 디 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추심위탁기업의 단말(20)에서 디스플레이된 구상번호 혹은 사고번호 중 추심업체에 위탁할 구상건을 지정하고 DB(50)상의 추심업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영역에서 추심업체를 지정하면(S220) 구상정보 및 지정된 추심업체 정보가 DB(50)상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되게 된다.
이때, 추심위탁기업에서의 추심업체 지정기준은 이전의 추심실적을 바탕으로 가장 우수한 실적의 추심업체가 자동으로 지정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전의 추심실적을 바탕으로 가장 우수한 실적의 추심업체 순으로 조회 되도록 하여 추심위탁기업의 단말(20)의 사용자가 직접 지정할 수도 있다.
이중 가장 우수한 실적의 추심업체가 자동으로 지정되는 추심업체 지정기준은, DB(50)에 저장된 추심업체별 추심요청금액 대비 추심실적금액, 추심요청 기한 대비 실제추심 기간, 채무자 재산조사 실적 건수 등의 이전의 추심실적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값을 우선순위로 하여 지정되게 할 수도 있고, 각 항목별로 추심위탁기업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해 가중치가 부여된 실적에 대해 추심실적이 수치로 환산하여 환산값이 가장 높은 값의 추심업체가 지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 이외의 추심업체 지정기준은 이전의 추심실적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값을 우선순위로 하되, DB(50)에 저장된 추심업체의 주소와 채무자의 주소를 비교하여 채무자 주소 인근의 추심업체가 우선순위로 지정되게 하는 방법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DB(50)상의 사용자 정보 영역에 저장된 추심업체의 주소와 추심위탁정보에 저장된 채무자의 주소를 비교하여 같은 시, 도에 있는 경우 채무자 주소의 인근에 있 는 추심업체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전의 추심실적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값을 우선순위로 하되, 최근 일정기간 이내에 추심위탁을 받은 업체를 제외한 업체 중에서 우선순위로 지정되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근 1달 이내에 추심위탁받은 있는 추심업체의 경우, 상기 추심업체는 추심위탁이 제외될 수 있다. 이는 서버(40)에서 추심위탁일 현재를 기준으로 1달 이내에 추심위탁한 추심정보를 조회하여 이 기간 이내에 위탁된 업체의 정보를 추심위탁 제외하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의 규모와 역량을 고려하여 그 기간을 추심위탁기업의 선택에 따라 달리 정할 수도 있다.
그 이외에 이전의 추심실적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값을 우선순위로 하되, 현재 진행 중인 수탁 추심건수가 일정 건수 이상인 업체를 제외한 업체 중에서 우선순위로 지정되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현재 진행중인 추심건수가 5건 이상의 업체는 추심업체 선정시 제외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서버(40)에서 추심위탁일 현재 추심위탁 후 추심종료되지 아니한 추심건수가 5건 이상인 업체의 정보를 검색하여 추심위탁시 제외하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의 규모와 역량을 고려하여 그 건수를 추심위탁기업의 선택에 따라 달리 정할 수도 있다.
만일, 추심위탁할 추심업체가 지정될 때 서버(40)에서 동일사고로 다른 구상번호가 있는 경우에는 지정된 구상번호는 이미 다른 추심업체에 위탁되어 있다는 내용의 메세지를 추심위탁기업 단말(20)에 전송하여 추심위탁업무를 2 이상의 추심업체에 위탁되지 않도록 한다. 추심위탁시 DB(50)상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되는 내용 중 위탁만료예정일은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 추심위탁시 위탁종료예정일을 말하는 것으로서, 추심위탁기업의 단말(20)로부터 임의적으로 지정한 날짜가 저장되거나, 또는 일괄적으로 추심위탁일로부터 일정기간 이후의 날이 지정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추심위탁일로부터 6개월이 되는 날이 속한 달의 마지막날을 위탁만료 예정일로 지정할 수 있다. 상기 내용에 대해 추심위탁기업의 단말(20)에서 저장을 요청하면 상기 내용은 DB(50)에 저장과 동시에 추심위탁기업 발신함에 저장되며, 이는 상기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조회가능한 판결문 이미지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3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DB(50)상의 추심위탁정보 저장영역에는 추심위탁시에 제공되는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DB(50)에는 이미지 파일 등에 대해서도 저장이 가능하다. 도 3a는 추심업체에서 상기 DB(5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의 조회가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추심업체 단말(10)로부터 서버(40)에 접속 후 상기 DB(50)의 내용 조회요청시 서버(40)에서는 다른 추심위탁정보와 함께 사고사진 이미지 파일 및 판결문 이미지 파일의 내용에 대해서도 조회를 허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게 재산조사 의뢰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게 채무자의 재산조사 의뢰를 하는 경우, 먼저 서버(40)에 접근 후 구상건 내역의 조회 및 추심업체, 회신요청일, 채무자 정보, 추심위탁금액, 추심위탁만료예정일 및 추심수수료 금액을 선택한 후 입력 요청하면 상기 서버(40)에서는 입력요청한 내용을 DB(50)상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한다.
만일 채무자가 바뀌게 되는 경우 추심위탁기업 단말(20)로부터 채무자 변경을 요청하면, 상기 서버(40)에서는 상기 DB(50)에 저장된 사항 중 전 채무자에 대한 인적정보를 바뀐 채무자의 인적정보로 변경하여 저장한다.
추심위탁기업의 단말(20)에서 수정된 데이터 정보를 조회한 후 저장하면 상기 내용은 DB(50)에 저장과 동시에 추심위탁기업 발신함에 저장되며 이는 상기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위탁기업의 채무자 재산조사 의뢰에 대해 추심업체가 조사결과 등록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채무자의 재산을 조사하는 이유는 채무자의 변제를 촉구하고 미변제시의 집행을 위한 자료의 확보를 위해서이다. 추심업체의 단말(10)에서 채무자의 재산조사 결과를 입력하는 경우, 먼저 서버(40)에 접근 후 추심위탁기업에서 위탁한 위탁 내역을 조회한다. 이때, 구상번호 혹은 사고번호로 조회가 허용되며 피구상처, 판결문이나 사진 등의 이미지 등의 구상건에 대한 내역의 조회 또한 허용한다. 채무자 재산조사 후 입력되는 정보는 채무자의 주민등록 등초본 징구여부, 추심업체에서 조사한 채무자 부동산 및 동산 등의 재산 상황 등이며 추심업체 단말(10)로부터 상기의 정보에 대한 입력을 요청하면 상기 서버(40)에서는 이에 대해 DB(50)상의 추심결과정보 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정보 입력 후 새로운 내용에 대해 DB(50)에 저장시에는 저장한 차수를 발생시켜 갱신시킴으로서 추심업체에서 입력요청한 추심내용 및 결과에 대해 이력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용은 DB(50)에 저장과 동시에 추심업체 발신함에 저장되며 이는 상기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게 추심위탁상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의견을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로 추심 요청상의 의견을 송신하는 경우, 먼저 추심위탁기업 단말(20)에서 서버(40)에 접속 후 이미 추심업체에서 추심에 대해 이미 입력한 내용 및 결과에 대해 조회가 가능하다. 상기 내용 및 결과에 대해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로 전송할 의견이 있으면 먼저 추심위탁기업 단말(20)을 통해 업무구분을 선택하고 추심위탁기업의 의견을 전송하면 서버(40)에서는 이를 DB(50)상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한다.
의견 전송시 전송할 의견의 종류에 따라 의견송부, 채무감면요청에 대한 회신, 종결통보에 대한 회신, 입금확인요청, 위탁만료일 통보, 철회통보, 종결통보 등의 목록 중 하나를 지정한 후 의견내용을 입력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버(40)에서는 의견 내용과 함께 상기 목록도 함께 저장한다.
채무자가 임의변제가 있거나, 기타 구상의 필요성이 소멸한 경우처럼 추심을 종료시키는 경우에도 추심위탁 철회를 통보하게 되는데, 이때 목록상의 철회통보 지정과 함께 내용입력을 요청하게 되며 서버(40)에서는 상기 목록 및 내용에 대해서도 DB(50)상의 구상채권정보 영역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추심업체의 추심실적이 저조하여 추심위탁을 철회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추심위탁기업에서 임의적으로 추심업체에 위탁한 추심에 대해 철회하는 방법이 있는 반면, 서버(40)에서 자동으로 추심위탁을 철회하는 방법도 있다.
즉,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위탁한 날로부터 일정기간 이내에 추심업체로부터 채무자 재산조사결과 또는 추심실적의 내용이 저장되지 않아 DB(50)상의 추심결과가 저장되는 영역에 데이터에 변화 없을 경우, 상기 서버(40)에서는 추심위탁을 자동으로 철회하고 추심철회의 내용을 추심업체의 수신함으로 발신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일정기간은 1개월로 한다. 기존 추심업체에 추심위탁이 상기의 이유로 철회되면 추심위탁기업에서는 도 3에서의 기재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추심업체에 대해 추심위탁하게 된다.
또한 추심위탁기업 단말(20)에서 추심위탁한 날로부터 일정기간 이내에 추심업체로부터 채무자 재산조사결과 또는 추심실적이 추심위탁금액의 일정액에 미달될 경우, 상기 서버(40)에서는 추심위탁을 자동으로 철회하고 추심철회의 내용을 추심업체의 수신함으로 발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일정기간은 3개월로 하고, 상기의 일정액은 추심위탁금액의 20%로 한다. 기존 추심업체에 추심위탁이 상기의 이유로 철회되면 추심위탁기업에서는 도 3에서의 기재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추심업체 에 대해 추심위탁하게 된다.
상기 내용이 DB(50)에 저장과 동시에 추심위탁기업 발신함에 저장되며 이는 상기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추심위탁기업에게 추심상 필요한 사항에 대하여 의견을 송신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추심업체에서 추심위탁기업으로 의견송신을 하는 경우 먼저 추심업체 단말(10)에서 서버(40)에 접근 후, 의견송신과 관련된 구상번호 혹은 사고번호로 구상건 내역 조회를 요청하면 서버(40)에서는 이를 허용한다. 추심업체 단말(10)에서 추심과 관련된 내용의 입력 이전에 이미 추심위탁기업에서 입력한 의견의 내용이 DB(50)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기의 내용에 대해서도 조회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DB(50)에 저장된 내용에 대해 조회한 후 상기 내용에 대한 추심업체의 의견 입력하면 의견 입력 내용은 DB(50)상의 추심결과정보 영역에 저장된다. 추심업체의 의견입력시 의견내용에 따라 의견송부, 채무감면요청, 종결통보, 입금확인, 재산조사의뢰 회신, 위탁만료통보 등으로 구분하여 의견의 입력이 가능하며 이 경우 상기 목록 및 내용에 대해 DB(50)에 저장과 동시에 추심업체 발신함에 저장되며 이는 상기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 입금내역 확인요청을 한 건에 대하여 추심업체가 입금자를 확인해 주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 이다. 먼저 추심업체 단말(10)을 통해 서버(40)에 접근 후, 채권회수금액, 회수일, 은행계좌번호, 입금자, 전부환입여부 등의 입력을 요청하면 상기 내용은 DB(50)상의 추심결과정보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내용이 저장과 동시에 추심업체 발신함에 저장되며 이는 상기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추심위탁기업에게 추심위탁건 추심진행중 채무감면요청을 나타낸 화면이다.
추심업체에서 추심행위를 하다가 추심상의 변경사항이 있으면 추심위탁기업과 협의가 가능하며 채무자의 변제능력이 추심위탁금액에 비해 미달될 때, 추심업체는 추심위탁기업과 협의하여 채무감면을 요청할 수 있다. 추심업체에서 채무감면요청을 하는 경우, 먼저 추심업체 단말(10)을 통해 서버(40)에 접근 후, 채무감면요청액, 회신요청일, 채무감면요청사유, 지연이자, 전체구상대상금액, 회수시작일예정일, 회수종료예정일에 대해 입력을 요청하면 상기 서버(40)에서는 이를 DB(50)상의 추심결과정보 영역에 저장하고 저장과 동시에 추심업체 발신함에 저장되며 이는 상기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추심위탁기업에게 추심위탁건의 종결사항을 통보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추심위탁기업에서 위탁한 추심을 완료한 경우 추심업체에서 종결통보를 하게 되는데, 먼저 추심위탁기업 단말(20)을 통해 서버(40)에 접근 후, 종결통보내용, 구상원금, 회수금액에 대해 입력요청하면 서버(40)에서는 상기 내용에 대해 DB(50)상의 구상채권정보 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내용이 DB(50)에 저장과 동시에 추심업체 발신함에 저장되며 이는 상기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다.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의 종결통보 내용을 조회하는 경우에는 먼저 추심위탁기업 단말(20)을 통해 상기 서버(40)에 접근 후, 추심업체에서 의견송부된 내용을 확인한 후 종결등록을 요청하면 서버(40)에서는 이를 허가하며 상기 구상내용은 종결되어 DB(50)에 종결된 추심정보가 저장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추심 재위탁을 요청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추심업체에서 추심 재위탁요청을 하는 경우, 먼저 추심업체 단말(10)을 통해 서버(40)에 접근 후, 재위탁요청사유, 구상원금, 회수금액에 대해 입력요청하면 상기 서버(40)에서는 상기 내용에 대해 DB(50)상의 추심결과정보 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내용이 DB(50)에 저장과 동시에 추심업체 발신함에 저장되며 이는 상기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다.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로부터 추심 재위탁 요청된 내용을 조회할 경우, 먼저 추심위탁기업 단말(20)을 통해 서버(40)에 접근 후, 추심업체에서 입력한 추심 재위탁 요청 사항에 대해 조회를 요청하면 상기 서버(40)에서는 이를 허가한다. 추심위탁기업 단말(20)을 통해 상기 내용에 대해 조회 후 추심위탁만료일을 연장하여 추심재위탁 내용에 대해 입력요청하면 서버(40)은 상기 내용을 DB(50)상의 추심 위탁정보 영역에 저장시킨다. 상기 내용이 DB(50)에 저장과 동시에 추심위탁기업 발신함에 저장되며 이는 상기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에서 추심위탁기업에게 추심비용을 청구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을 나타낸다.
먼저 추심업체 단말(10)을 통해 서버(40)에 접근 후, 지정된 구상번호 또는 사고번호에 해당되는 비용, 즉 위탁수수료, 재산조사수수료, 기타비용 등 업무구분을 선택하고 발생된 비용에 대해 입력요청하면 서버(40)에서는 상기 내용에 대해 DB(50)상의 구상채권정보 영역에 저장한다. 상기 내용이 DB(50)에 저장과 동시에 추심업체 발신함에 저장되며 이는 상기 도 2b의 경우에서와 같다.
그리고 추심업체에서 청구하는 추심비용을 자동으로 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서버(40)에서는 추심종료 요청된 추심건에 대한 추심요청 금액대비 실적금액을 비교하여 추심비용을 자동으로 산정하는 방법이다. 재산조사수수료와 기타비용은 추심업체 단말(10)로부터 입력된 실비를 그대로 저장하되, 위탁수수료는 추심요청금액 대비 추심실적금액과 비례하여 지급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40)에서 이를 계산하여 지급한다. 바람직하게는 위탁수수료의 계산방식은,
위탁수수료 = 추심수수료 금액*{0.5+0.5*(추심실적금액/추심요청금액)}.
과 같은 방식으로 한다. 추심수수료금액은 도 3의 설명에서의 기재와 같이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 추심 위탁시 전부추심에 성공시에 지급을 약정하는 의미이다. 상기 방식은 추심업체의 이전 추심실적이나 실제추심기간 등을 고려하여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하다.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가 청구한 비용을 조회하고 입금하기 위해서는 먼저, 추심위탁기업 단말(20)을 통해 상기 서버(40)에 접근 후, 추심업체에서 입력한 수수료 등의 비용에 대해 조회를 요청하면 상기 서버(40)에서는 DB(50)로의 접근을 허용하여 이의 내용에 대해 조회를 허가하게 된다. 추심위탁기업에서는 상기 금액에 대해 무통장 입금, 인터넷 뱅킹 등의 방법으로 입금한 후 입금정보를 입력요청하면 상기 서버(40)에서는 상기 입금정보를 DB(50)상의 추심업체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의 추심업체의 가상계좌번호를 조회하여 입금정보를 DB(50)에 저장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추심업체가 추심업체 가상계좌에 입금된 내역을 조회하는 과정을 나타낸 화면이다.
추심업체가 자신의 가상계좌에 입금된 내역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먼저 추심업체 단말(10)을 통해 서버(40)에 접근 후, 추심업체의 가상계좌번호와 조회기간을 입력 후 조회를 요청할 수 있으며 서버(40)에서는 DB(50)에의 접근을 허가하여 요청한 기간동안 해당 추심업체의 가상계좌에 입금된 내역의 조회를 허가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심위탁업무 관리 방법에 대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 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롬(ROM), 램(RAM), 씨디-롬(CD-ROM), 자기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추심위탁기업과 추심업체 간의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방법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인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기업의 채권을 추심업체에 위탁하는 경우에 방대한 양의 문서의 전달 및 회수가 필요 없게 되어 이로 인한 서류 분실방지, 업무효율화를 기할 수 있다.
또한 추심위탁기업에서는 추심위탁 방법을 오프라인 위탁방법에서 온라인 위탁방법으로 개선하여 추심위탁업체에서는 진행상황 피드백 및 추심위탁업무의 진행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함으로써 구상 환입 금액을 증대시키고, 추심업체에서는 추심상의 문제점에 대해 추심위탁기업과 실시간 대화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추심위탁기업에서는 추심업체를 추심성공률, 추심기간단축률 등의 추심업체 지정기준을 설정 및 관리하여 추심업체의 실적관리도 가능하게 하여 추심실적이 좋은 업체에게 추심을 위탁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업무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추심위탁기업 단말과 추심업체 단말간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추심위탁 및 추심결과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에 있어서,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사고번호, 구상번호 및 추심위탁 관련정보를 전송하면 추심관리서버는 이 정보를 DB상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하는 추심위탁 제1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등록된 추심업체 목록으로부터 소정의 추심업체 지정기준에 의해 추심업체를 지정하는 추심위탁 제2단계;
    추심관리서버가 DB상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추심위탁 관련정보를 DB상의 수발신함 영역에 복사하는 추심위탁 제3단계;
    추심업체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접속하여 DB상의 수발신함 영역에 저장된 상기 추심위탁 관련정보를 조회하는 추심위탁 제4단계;
    추심업체 단말이 추심진행 데이터를 추심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 또는 갱신하는 추심위탁 제5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상기 추심진행 데이터를 조회한 후 추심관리서버에 추심종료의 내용을 전송하여 추심을 종료하는 추심위탁 제6단계;
    를 포함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단계 이후에, 추심업체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추심재위탁 요청사항을 전송하면 추심관리서버가 이를 DB에 저장하는 추심재위탁 제1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상기 추심재위탁 요청내용에 대해 조회한 후 추심재위탁 정보 및 연장된 추심위탁 만료일을 포함한 추심재위탁 관련정보를 전송하면 추심관리서버는 이 정보를 DB상의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하는 추심재위탁 제2단계;
    추심업체 단말이 재위탁 받은 추심건에 대해 추심진행 데이터를 추심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 또는 갱신하는 추심재위탁 제3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상기 추심진행 데이터를 조회한 후, 추심관리서버에 추심종료의 내용을 전송하여 추심을 종료하는 추심재위탁 제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지막 단계 이후에, 추심업체 단말이 추심관리서버에 추심비용정보를 전송하여 DB에 저장하는 비용정산 제1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상기 추심비용정보를 조회하는 비용정산 제2단계;
    추심위탁기업 단말이 상기 추심비용에 대한 입금정보를 전송하여 DB에 저장 하는 비용정산 제3단계;
    추심업체 단말이 상기 입금정보를 조회하는 비용정산 제4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심위탁 관련정보는 채무자명, 주소, 전화번호, 추심위탁금액, 위탁만료예정일, 채무자 재산조사의뢰, 사고사진 이미지 파일 및 판결문 이미지 파일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심업체 지정기준은, DB의 추심결과 영역에 저장된 추심업체별 추심위탁금액 대비 추심실적금액, 추심요청 기한 대비 실제추심 기간, 채무자 재산조사 실적 건수 등 이전의 추심실적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값을 우선순위로 하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심업체 지정기준은, 이전의 추심실적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값을 우선 순위로 하되, DB의 사용자정보 영역에 저장된 추심업체의 주소와 추심위탁정보 영역에 저장된 채무자의 주소를 비교하여 채무자 주소 인근의 추심업체 중에서 우선순위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심업체 지정기준은, 이전의 추심실적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값을 우선순위로 하되, 최근 일정기간 이내에 추심위탁을 받은 업체를 제외한 업체 중에서 우선순위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심업체 지정기준은, 이전의 추심실적정보를 수치로 환산한 값을 우선순위로 하되, 추심업체에서 추심위탁일 현재 진행 중인 수탁 추심건수가 일정 건수 이상인 업체를 제외한 업체 중에서 우선순위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심위탁 제3단계 이후에, DB의 사용자정보 영역에 저장된 추심업체의 휴대폰 번호, 사용자 ID 또는 이메일 주소 등을 이용하여 SMS 문자메시지, 컴퓨터상의 팝업창 또는 자동으로 전송되는 이메일을 통해 통지하는 추심위탁 제3-2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추심업체 단말이 추심관리서버로 전송하여 저장 또는 갱신하는 상기 데이터는 채무자 재산조사 결과, 추심상의 의견, 추심금액, 추심완료일, 채무감면요청, 위탁만료통보 및 추심비용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심비용은 추심위탁기업의 추심위탁금액 대비 추심업체에서 실제 행한 추심실적금액과 비례하여 자동으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추심위탁기업 단말에서 입력되는 상기 추심종료의 내용은 추심철회 통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탁만료 예정일은, 추심위탁일로부터 일정기간 이후의 날이 자동으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심철회 통보는, 추심위탁한 날로부터 일정기간 이내에 추심업체 단말로부터 채무자 재산조사결과가 저장되지 않거나, 저장된 추심실적이 추심위탁금액의 일정액에 미달할 경우 추심관리서버에서 자동으로 추심위탁을 철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방법.
  15. 추심위탁기업 단말;
    추심업체 단말;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람의 인적정보가 저장되는 사용자정보 저장영역, 기업에서 업무상 생긴 채권의 내용이 저장되는 구상채권정보 저장영역,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을 위탁하는 추심업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추심업체정보 저장영역, 추심위탁기업에서 추심업체에 추심을 위탁할 경우 추심 상에 필요한 정보가 저장되는 추심위탁정보 저장영역, 추심 상에 관련된 의견내용 및 추심내용, 회수금액, 추심완료일, 추심비용 등의 추심결과 등이 저장되는 추심결과정보 저장영역, 그리고 추심위탁기업과 추심업체 간의 추심철회 등의 의견정보교환 내용이 저장되는 수발신함정보 저장영역을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 추심관리서버;
    및 상기 서버와 단말들 상호간에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연결된 통신네트워크;
    를 포함하는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16. 제 1 항에서 제 14 항까지의 청구항들 중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050135123A 2005-12-30 2005-12-30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3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123A KR100563933B1 (ko) 2005-12-30 2005-12-30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5123A KR100563933B1 (ko) 2005-12-30 2005-12-30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933B1 true KR100563933B1 (ko) 2006-03-23

Family

ID=3717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5123A KR100563933B1 (ko) 2005-12-30 2005-12-30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9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253B1 (ko) 2022-06-20 2023-01-31 이안희 채권 추심 정보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253B1 (ko) 2022-06-20 2023-01-31 이안희 채권 추심 정보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1877B2 (en) Insurance claim processing
US8069113B2 (en) Financial account management
US772993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surance coverage
US20180075555A1 (en) Mobile Platform for Legal Process
KR100449786B1 (ko) 인터넷을 이용하여 개인재무관리를 수행하기 위한개인재무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816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release tracking
WO2006110674A2 (en) Decision support system for litigation evaluation
US20010034675A1 (en) Legal expense tracking and approval methods and systems
JP2008517405A (ja) 取引成立促進方法及びシステム
WO2007067675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al property transactions
KR101444272B1 (ko) 주소록을 이용하여 대차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0563933B1 (ko) 추심위탁업무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1054087A (ja) 借り換え処理サーバ及び借り換え処理システム
TWI668661B (zh) A reservation method, a reservation system, a computer program product,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toring a reservation method, and an operator terminal device used in the method
KR20060108846A (ko) 인터넷상의 원격 제어지원을 이용한 세금계산 및 신고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세금계산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기록매체
JP2004199525A (ja) 前払可能な支払方法及びサーバ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20034001A (ko) 네트워크를 통한 대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9219738A (ja) 債務顧客管理システム、債務顧客管理方法及び債務顧客管理プログラム
JP7341535B1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1677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providing a payment
JP7282415B1 (ja) 不動産費用の保証システム
JP6982876B2 (ja) 定期借家契約管理システム
JP6461400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18452A (ko) 임대차 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0097313A (ja) 小口融資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