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215B1 -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 Google Patents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215B1
KR102540215B1 KR1020210164295A KR20210164295A KR102540215B1 KR 102540215 B1 KR102540215 B1 KR 102540215B1 KR 1020210164295 A KR1020210164295 A KR 1020210164295A KR 20210164295 A KR20210164295 A KR 20210164295A KR 102540215 B1 KR102540215 B1 KR 102540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cover plate
holes
spaced apart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7243A (ko
Inventor
장민성
김정두
Original Assignee
장민성
김정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성, 김정두 filed Critical 장민성
Priority to KR102021016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215B1/ko
Publication of KR20230077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7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25D17/08Supporting racks, i.e. not for suspen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제1관통공이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게 형성되며 제1관통공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커버 플레이트와, 제1관통공과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게 다수개의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커버 플레이트와, 제1관통공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1관통공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제1커버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와, 제1세미 수납부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제2관통공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2관통공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제2커버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와, 제1커버 플레이트와 제2커버 플레이트의 폭방향의 일측의 끝단에 각각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힌지와, 제1커버 플레이트와 제2커버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일측이나 타측과 폭방향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Stiffener handling tray}
본 발명은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형 카메라 모듈 등에 포함되는 스티프너를 도금 시 다수개의 스티프너가 서로 이격되어 개별적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도금할 수 있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장치는 스마트폰, 탭 및 노트북 등이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단말장치는 소형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장치에 적용된 소형 카메라 모듈은 스티프너(stiffener)가 포함되며, 스티프너는 소형 카메라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어 카메라 모듈로 조사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거나 이물질로부터 카메라 모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스티프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표면에 도금을 실시하여 사용된다. 스티프너는 소형으로 제작됨에 의해 베럴 도금장치를 이용해 도금하며, 베럴 도금장치에 관련된 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38659호(특허문헌 1)에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회전식 바렐 도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렐도금조, 바렐용기, 정류기, 구동모터 및 측판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렐도금조는 전해액이 채워지고, 바렐용기는 바렐도금조에 침지되고 칩부품과 매체가 채워지며, 정류기는 바렐용기와 전해액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음극봉과 양극봉을 갖는다. 구동모터는 바렐용기를 일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며, 측판프레임은 바렐용기의 좌우양측에 각각 배치되되게 구성되어 바렐용기내에 채워진 칩부품을 도금한다. 바렐용기와 측판프레임사이에는 바렐용기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회전지지부가 배치된다. 회전지지부는 음극봉이 삽입되는 내부공을 몸체중앙에 관통형성하고, 부싱축과 부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싱축은 측판프레임에 장착되며, 부쉬는 바렐용기의 좌우양측에 장착되어 몸체중앙에 관통형성된 내부공을 통해 삽입된 부쉬축의 선단일부를 원주방향으로 감싸는 덮개부를 선단부에 갖춘다.
특허문헌 1과 같은 바렐 도금장치는 칩부품과 같이 매우 작은 부품을 도금 시 바렐 용기의 내측에 다수개의 칩부품을 한 번에 수납한 상태에서 도금을 실시한다. 종래의 바렐 용기는 바렐 도금장치에 의해 회전되면서 내측에 수납된 다수개의 칩부품이 도금되도록 하고 있으나 칩부품이 소형 카메라 모듈에 포함되는 스티프너와 같이 매우 박형인 경우에 서로 접하는 부분이 발생되어 부분적으로 도금이 되지 않거나 표면이 고르게 도금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3865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 카메라 모듈 등에 포함되는 스티프너를 도금 시 다수개의 스티프너가 서로 이격되어 개별적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도금할 수 있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스티프너의 도금 시 서로 접촉되거나 접하지 않도록 각각을 개별적으로 수납한 상태에서 도금을 수행함으로써 도금 작업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스티프너의 세정 시 서로 접촉되거나 접하지 않도록 각각을 개별적으로 수납한 상태에서 세정을 수행함으로써 세정 작업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는 다수개의 제1관통공이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제1관통공과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게 다수개의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제1관통공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1관통공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semi reception portion)와, 상기 제1세미 수납부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관통공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2관통공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와,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의 폭방향의 일측의 끝단에 각각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와 제2커버 플레이트가 서로 폭방향의 일측의 끝단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하는 다수개의 힌지와,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일측이나 타측과 폭방향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와 제2커버 플레이트가 서로 상기 다수개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서로 접한 상태에서 고정시켜 상기 제1세미 수납부와 상기 제2세미 수납부 사이에 스티프너(stiffener)가 수납되게 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는 소형 카메라 모듈 등에 포함되는 스티프너를 도금 시 다수개의 스티프너가 서로 이격되어 개별적으로 수납된 상태에서 도금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다수개의 스티프너의 도금 시 서로 접촉되거나 접하지 않도록 각각을 개별적으로 수납한 상태에서 도금을 수행함으로써 도금 작업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다수개의 스티프너의 세정 시 서로 접촉되거나 접하지 않도록 각각을 개별적으로 수납한 상태에서 세정을 수행함으로써 세정 작업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의 A-A선 단면도,
도 6는 도 5에 도시된 제1커버 플레이트와 제2커버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A-A선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제2세미 수납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표.
이하,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는 제1커버 플레이트(110), 제2커버 플레이트(120),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semi reception portion)(130),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140), 다수개의 힌지(150) 및 다수개의 고정부재(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커버 플레이트(110)는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이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게 형성되며 제1관통공(111)과 이격되게 형성된다. 제2커버 플레이트(120)는 제1관통공(111)과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게 다수개의 제2관통공(121)이 형성된다.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semi reception portion)(130)는 각각 제1관통공(111)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 사이에 위치되며 제1커버 플레이트(11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140)는 각각 제1세미 수납부(130)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제2관통공(121)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2관통공(121) 사이에 위치되며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다수개의 힌지(150)는 각각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폭방향(X)의 일측의 끝단에 각각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가 서로 폭방향(X)의 일측의 끝단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한다. 다수개의 고정부재(160)는 각각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Y)의 일측이나 타측과 폭방향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가 서로 다수개의 힌지(15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서로 접한 상태에서 고정시켜 제1세미 수납부(130)와 제2세미 수납부(140) 사이에 스티프너(stiffener)(170: 도 5에 도시됨)가 수납되게 한다.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는 각각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이나 다수개의 제2관통공(121)이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M×N 행렬로 배열되게 형성되고, 'M'과 'N'은 각각 2 이상의 자연수가 사용되며, 도 3에 도시된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는 각각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이나 다수개의 제2관통공(121)이 9×5 행렬로 배열되게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M×N 행렬로 배열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이나 다수개의 제2관통공(121)은 각각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를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서로 접하게 접혔을 때 하나의 제1관통공(111)과 하나의 제2관통공(121)이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며 제1커버 플레이트(110)나 제2커버 플레이트(120)를 두께방향(Z)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는 접거나 펼칠 때 각각 다수개의 힌지(15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서로 접하게 접혀지며,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가 각각 다수개의 힌지(15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서로 접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고정부재(160)에 의해 고정 시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과 다수개의 제2관통공(121)이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제1관통공(111)과 제2관통공(121)이 서로 연통된다.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서로 접하게 접혀진 상태에서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과 다수개의 제2관통공(121)이 서로 연통됨으로써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를 액체 상태의 스티프너(170)의 도금액이나 스티프너(170)의 세정액에 투입하여 회전 시 도금액이나 세정액이 균일하게 통과하여 스티프너(170)를 도금하거나 세정 시 부분적으로 도금이나 세정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과 다수개의 제2관통공(121)의 단면은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며, 제1관통공(111)과 제2관통공(121)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과 다수개의 제2관통공(121)은 각각 도 3에서와 같이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서로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도 1에서와 같이 제1관통공(111)과 제2관통공(121)이 도 1에서와 같이 서로 연통된다. 제1관통공(111)과 제2관통공(121)은 서로 연통됨으로써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를 액체 상태의 스티프너(170)의 도금액이나 세정액에 투입하여 회전 시 도금액이나 세정액이 균일하게 통과하여 스티프너(170)를 도금하거나 세정 시 부분적으로 도금이나 세정이 불균일해지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는 각각 도 1, 도 3,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원통형 삽입홈(112)이나 다수개의 원통형 돌출부재(122)가 형성된다. 즉, 제1커버 플레이트(110)는 상측에 제1관통공(111)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 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내측에 제1커버 플레이트(110)를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1세미 수납부(130)가 연결되는 제1수납공(113: 도 6에 도시됨)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형 삽입홈(112: 도 6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제2커버 플레이트(120)는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접하게 접혔을 때 원통형 삽입홈(112)에 삽입되게 위치되고 내측에 제2커버 플레이트(120)를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2세미 수납부(140)와 연결되는 제2수납공(123: 도 6에 도시됨)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형 돌출부재(122: 도 6에 도시됨)가 형성된다. 제1수납공(113)과 제2수납공(123)의 직경은 서로 연통되게 동일하게 형성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는 각각 다수개의 힌지(15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서로 접하게 접혀 다수개의 고정부재(160)에 의해 고정 시 원통형 돌출부재(122)가 원통형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를 도금이나 세정을 위해 움직이거나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제1세미 수납부(130)와 제2세미 수납부(140) 사이에 수납된 스티프너(170)가 가 작은 경우에도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된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semi reception portion)(130)는 각각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1관통공(111)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1관통공(111) 사이에 위치되고 제1수납공(113)의 내주면과 연결되며 제1커버 플레이트(110)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여기서 상측은 제1커버 플레이트(110)나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두께방향(Z)을 기준으로 상측방향을 나타낸다.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140)는 각각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1세미 수납부(130)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제2관통공(121)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2관통공(121) 사이에 위치되며 제2수납공(123)의 내주면과 연결되며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하측은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두께방향(Z)을 기준으로 하측방향을 나타낸다.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130)와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140)는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가 서로 다수개의 힌지(15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접한 상태에서 다수개의 힌지(150)에 의해 고정 시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하나의 제1세미 수납부(130)와 하나의 제2세미 수납부(140)가 서로 연통되어 도 2나 도 5에서와 같이 하나의 스티프너(170)를 수납하는 하나의 스티프너 수납부(100)를 형성한다.
스티프너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의 크기는 도 5 및 도 7에서와 같이, 스티프너(170) 수납부의 내부 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스티프너(170)가 상하방향과 수평방향으로 각각 360도(degree) 회전되게 설정되거나 스티프너(170)의 길이방향의 일측이나 타측의 끝단이 상하방향으로는 30 내지 60도로 회전되고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전되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스티프너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의 크기는 도 5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스티프너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기 위해 점선으로 도시한 확대도에서와 같이, 점선으로 도시된 스티프너(170)는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스티프너(170)와 같이 제1커버 플레이트(110)나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두께방향(Z)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는 30 내지 60도로 회전되고 제1커버 플레이트(110)나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폭방향(X)이나 길이방향(Y)을 기준 즉, 수평방향으로는 360도 회전되게 설정된다. 스티프너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의 크기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스티프너 수납부(100)의 내부 공간의 크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기 위해 점선으로 도시한 확대도에서와 같이, 점선으로 도시된 스티프너 수납부(100)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스티프너 수납부(100)와 같이 제1커버 플레이트(110)나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폭방향(X), 길이방향(Y)이나 두께방향(Z)을 기준으로 360도 회전되게 설정된다. 도 5 및 도 7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스티프너(170)는 점선으로 도시된 스티프너(170)가 상하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는 스티프너의 도금이나 세정 시 모든 방향으로 회전이나 회동시키거나 도금이나 세정 시 필요한 경우에 어느 한 방향의 회전이나 회동을 제한할 수 있어 도금이나 세정 작업 시 필요한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를 선택하여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130)와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140)는 각각 도 4, 도 6 및 도 8에서와 같이, 스티프너 커버원판(10)과 중공형 원통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은 제1커버 플레이트(110)의 하측이나 제2커버 플레이트(120)와 상측에 배치되고, 중공형 원통부재(20)는 스티프너 커버원판(10)과 일측의 끝단이 연결되고 제1커버 플레이트(110)의 상측에 형성된 원통형 삽입홈(112)의 내측에 형성된 제1수납공(113)이나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상측에 형성된 원통형 돌출부재(122)의 내측에 형성된 제2수납공(123)의 내주면과 타측의 끝단이 연결된다. 즉, 스티프너 커버원판(10)과 중공형 원통부재(20)는 각각 제1커버 플레이트(110)의 하측이나 제2커버 플레이트(120)와 상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의 직경은 상기 제1수납공(113)이나 제2수납공(123)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공형 원통부재(20)가 스티프너 커버원판(10)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스티프너 커버원판(10)과 중공형 원통부재(20)는 각각 도 8에서와 같이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이나 중공형 원통부재(20)를 관통하여 도금액이나 세정액이 입출할 수 있는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30)가 형성되며,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30)의 내측의 최대 폭은 스티프너(170)의 최소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액체 입출구(30)의 내측의 최대 폭은 액체 입출구(30)의 내경이 타원형으로 형성된 경우에 타원형 중 가장 폭이 작은 부분의 길이이며, 스티프너(170)의 최소 폭은 스티프너(170)에서 절곡된 부분을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베이스 표면(도시 않음) 중 폭이 가장 작은 부분을 나타낸다.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30)는 도 8에 도시된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와 다양한 형성으로 형성하여 도금액이나 세정액이 균일하게 제1세미 수납부(130)와 제2세미 수납부(140)로 입출되어 스티프너(170)를 균일하게 도금하거나 세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30)의 제1실시예는 다수개의 분할원형 관통구(31)와 다수개의 측면관통구(31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개의 분할원형 관통구(31)는 각각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중심과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을 관통하며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다수개의 측면관통구(31a)는 각각 분할원형 관통구(31)와 이격된 상태에서 일측이 스티프너 커버원판(10)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10)과 연통되며 타측이 제1커버 플레이트(110)의 하측이나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상측과 연통되게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이나 중공형 원통부재(20)를 관통하며 중공형 원통부재(2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30)의 제2실시예는 다수개의 분할원형 관통구(32), 다수개의 원형 관통구(32a) 및 다수개의 측면관통구(3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개의 분할원형 관통구(32)는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중심과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을 관통하며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다수개의 원형 관통구(32a)는 각각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의 외주면과 분할원형 관통구(32) 사이에 위치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을 관통하며 각각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다수개의 측면관통구(32b)는 원형 관통구(32a)와 이격되어 중공형 원통부재(20)를 관통하며 각각 중공형 원통부재(2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30)의 제3실시예는 다수개의 분할원형 관통구(33), 다수개의 원형 관통구(33a) 및 다수개의 측면관통구(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개의 분할원형 관통구(33)는 각각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중심과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을 관통하며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다수개의 원형 관통구(33a)는 분할원형 관통구(33)와 이격되며 스티프너 커버원판(10)과 중공형 원통부재(20)가 연결된 부분에 중심이 위치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10)과 중공형 원통부재(20)를 관통하며, 각각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다수개의 측면관통구(33b)는 각각 원형 관통구(33a)와 일측이 이격되어 중공형 원통부재(20)를 관통하며 각각 중공형 원통부재(2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30)의 제4실시예는 다수개의 원통형 관통구(34) 및 다수개의 측면관통구(34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수개의 원통형 관통구(34)는 각각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중심과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을 관통하며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다수개의 측면관통구(34a)는 각각 원통형 관통구(34)와 이격된 상태에서 일측이 스티프너 커버원판(10)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10)과 연통되며 타측이 제1커버 플레이트(110)의 하측이나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상측과 연통되게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이나 중공형 원통부재(20)를 관통하며 중공형 원통부재(2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다수개의 힌지(150)는 각각 도 1,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폭방향(X)의 일측의 끝단에 각각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가 서로 폭방향(X)의 일측의 끝단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한다. 이러한 다수개의 힌지(150)는 각각 힌지 가이드(hinge guide)(151)와 힌지핀(hinge pin)(1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힌지 가이드(151)는 제1커버 플레이트(110)의 폭방향(X)의 일측의 끝단에 형성되며, 힌지핀(152)은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폭방향(X)의 일측의 끝단에 형성되는 힌지 가이드에 회동되게 삽입되어 체결된다. 여기서, 힌지 가이드(151)는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체결구(151a)가 형성되어 체결구(151a)를 통해 힌지핀(152)의 삽입에 의해 체결되고, 다수개의 힌지(150) 중 하나의 힌지(150)에 포함되는 힌지 가이드(151)는 체결구(151a)가 다른 힌지(150)에 포함되는 힌지 가이드(151)에 형성된 체결구(151a)와 방향이 엇갈리게 형성된다. 즉, 다수개의 힌지 가이드(151) 중 실선으로 도시된 힌지 가이드(151)에 형성된 체결구(151a)가 제1커버 플레이트(110)나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두께방향(Z)의 상측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되면 점선으로 도시된 힌지 가이드(151)에 형성된 체결구(151a)는 실선으로 도시된 힌지 가이드(151)에 형성된 체결구(151a)와 엇갈리게 두께방향(Z)의 하측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되게 형성됨에 의해 힌지핀(152)이 힌지 가이드(151)에 견고하게 체결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가 서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을 가이드한다.
다수개의 고정부재(160)는 각각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Y)의 일측이나 타측과 폭방향(X)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가 서로 다수개의 힌지(150)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서로 접한 상태에서 고정시켜 제1세미 수납부(130)와 제2세미 수납부(140) 사이에 스티프너(stiffener)(170)가 수납되게 한다. 다수개의 고정부재(160)는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Y)의 일측이나 타측에는 각각 한 개가 배치되어 형성되고, 폭방향(X)의 타측에는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있으나,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길이방향(Y)의 일측이나 타측과 폭방향(X)의 타측에 각각 한 개 이상 추가로 배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수개의 고정부재(160)는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를 서로에 대해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 도 3 및 도 6에서와 같이, 각각 고정블럭(161)과 걸림판(1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블럭(161)은 제1커버 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Y)의 일측이나 타측과 폭방향의 타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측에 걸림턱(161a)이 형성된다. 걸림판(162)은 제2커버 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Y)의 일측이나 타측과 폭방향의 타측에서 내측으로 들어가게 형성된 가이드홈부(162a)의 일측에 형성된다. 고정블럭(161)은 걸림턱(161a)이 상기 가이드홈부(162a)를 통과해 상기 걸림판(162)에 결합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110)를 제2커버 플레이트(120)에 고정시킨다.
전술한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는 다수개의 스티프너(170)를 수납한 상태에서 스티프너(170)의 도금이나 세정을 위해 사용되는 트레이로 사용됨으로 전체적으로 절연재질로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의 제1커버 플레이트(110), 제2커버 플레이트(120),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130),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140), 다수개의 힌지(150) 및 다수개의 고정부재(160)는 서로 동일한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절연재질은 플라스틱 70 내지 80wt%과 GF(Glass Fiver) 20 내지 30wt%를 혼합하여 형성한다. 예를 들어, 절연재질은 플라스틱 80wt%과 GF 20wt%를 혼합하여 형성하거나 플라스틱 75wt%과 GF 25wt%를 혼합하여 형성하거나 플라스틱 70wt%과 GF 30wt%를 혼합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플라스틱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PA66(Polyamide66), PA6(Polyamide6),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ACETAL(아세탈), PC(Polycarbonate) 중 하나가 사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를 이용한 스티프너(170)의 도금이나 세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는 다수개의 스티프너(170)를 한 번에 도금하거나 세정작업을 위해 사용되며, 다수개의 스티프너(170)를 한 번에 도금하거나 세정하기 위해 다수개의 스티프너 수납부(100)를 포함한다. 다수개의 스티프너 수납부(100)는 각각 하나의 스티프너(170)가 수납되며, 하나의 제1세미 수납부(130)와 하나의 제2세미 수납부(140)로 구성된다. 제1세미 수납부(130)는 제1커버 플레이트(110)에 다수개가 배열되어 형성되며, 제2세미 수납부(140)는 제2커버 플레이트(120)에 다수개가 배열되어 형성된다.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130)나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140)가 각각 형성된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는 다수개의 힌지(150)를 이용해 회동되도록 체결된다.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는 각각 힌지(150)를 이용해 서로 접하여 접히거나 펼쳐지며 스티프너(170)의 수납은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를 도 3에서와 같이 펼친상태에서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130)나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140) 중 어느 하나에 스티프너(170)를 수납한다. 여기서, 한 개의 스티프너(170)는 하나의 제1세미 수납부(130)과 하나의 제2세미 수납부(140) 중 어느 하나에 수납한다.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130)나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140) 중 어느 하나에 스티프너(170)가 수납되면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는 도 1이나 도 2에서와 같이 서로 접하여 원통형 삽입홈(112)에 원통형 돌출부재(122)가 삽입되게 접은 후 다수개의 고정부재(160)에 고정되게 체결시킨다. 고정부재(160)에 의해 제1커버 플레이트(110)와 제2커버 플레이트(120)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고정되면 원통형 삽입홈(112)에 원통형 돌출부재(122)가 삽입되어 하나의 제1세미 수납부(130)와 하나의 제2세미 수납부(140)는 하나의 스티프너 수납부(100)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원통형 삽입홈(112)에 원통형 돌출부재(122)가 체결되어 하나의 스티프너 수납부(100)를 구성하고, 하나의 스티프너 수납부(100)에 하나의 스티프너(170)를 개별적으로 수납함으로써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를 움직이거나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스티프너(170)가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된다.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의 다수개의 스티프너 수납부(100)에 스티프너(170)가 수납되면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는 도금이나 세정액을 위해 도금조(도시 않음)나 세정조(도시 않음)의 내측에 투입된 후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를 움직이거나 회전시키면서 도금이나 세정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의 다수개의 스티프너 수납부(100)에 수납된 스티프너(170)의 표면으로 도금액이나 세정액이 균일하게 접하여 스티프너(170)가 균일하게 도금이나 세정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130)와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140)는 각각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30)를 형성한다.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30)는 내경이 원형, 타원형이나 곡선으로 이루어지며 관통되는 위치를 도 8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4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30)를 통해 스티프너(170)의 표면으로 도금액이나 세정액이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도금이나 세정작업을 안정적이며 신뢰성이 있게 수행하여 도금 작업이나 세정 작업의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는 스티프너(170)를 도금이나 세정 시 사용하기 위해 플라스틱 70 내지 80wt%과 GF 20 내지 30wt%를 혼합하여 형성하며,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는 제1관통구(111), 제2관통구(121)이나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30)를 형성함으로써 다수개를 랙(도시 않음)을 이용해 다단으로 적재해 사용할 수 있어 소형이면서 박형의 스티프너(170)의 도금이나 세정 작업의 생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는 휴대 단말장치에 포함되는 스티프너와 같은 소형이면서 박형의 도금 대상물을 도금하거나 세정하는 장치의 제조 산업 분야 적용된다.
100: 스티프너 수납부 110: 제1커버 플레이트
111: 제1관통공 112: 원통형 삽입홈
113: 제1수납공 120: 제2커버 플레이트
121: 제2관통공 122: 원통형 돌출부재
123: 제2수납공 130: 제1세미 수납부
140: 제2세미 수납부 150: 힌지
151 힌지 가이드 152: 힌지핀
160: 고정부재 161: 고정블럭
162: 걸림판 162a: 가이드홈부
170: 스티프너

Claims (12)

  1. 다수개의 제1관통공이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과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1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제1관통공과 각각 대응되게 위치되며 서로 이격되어 배열되게 다수개의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제2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제1관통공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1관통공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semi reception portion)와,
    상기 제1세미 수납부와 대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관통공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2관통공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와,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의 폭방향의 일측의 끝단에 각각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와 제2커버 플레이트가 서로 폭방향의 일측의 끝단을 기준으로 회동되게 하는 다수개의 힌지와,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일측이나 타측과 폭방향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와 제2커버 플레이트가 서로 상기 다수개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서로 접한 상태에서 고정시켜 상기 제1세미 수납부와 상기 제2세미 수납부 사이에 스티프너(stiffener)가 수납되게 하는 다수개의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다수개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상기 다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시 상기 다수개의 제1관통공과 상기 다수개의 제2관통공이 각각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도록 형성되어 연통되며, 상기 다수개의 제1관통공과 상기 다수개의 제2관통공의 각각의 단면은 원형으로 형상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는 제1관통공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1관통공 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내측에 제1커버 플레이트를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1세미 수납부가 연결되는 제1수납공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형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는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와 접하게 접혔을 때 원통형 삽입홈에 삽입되게 위치되고 내측에 제2커버 플레이트를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2세미 수납부와 연결되는 제2수납공이 각각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형 돌출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수납공과 상기 제2수납공의 직경은 서로 연통되게 동일하게 형성되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는 각각 상기 제1관통공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1관통공 사이에 각각 위치되고 제1수납공과 연결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의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는 상기 제1세미 수납부와 대응되고 상기 제2관통공과 이격되게 다수개의 제2관통공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제2수납공과 연결되어 제2커버 플레이트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와 상기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는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가 서로 상기 다수개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서로 접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하나의 제1세미 수납부와 하나의 제2세미 수납부가 서로 연통되어 하나의 스티프너를 수납하는 하나의 스티프너 수납부를 형성하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 수납부의 내부 공간의 크기는 스티프너 수납부의 내부 공간의 중심을 기준으로 스티프너가 모든 방향으로 360도(degree) 회전되게 설정되거나 스티프너의 길이방향의 일측이나 타측의 끝단이 상하방향으로 30 내지 60도 회전되고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전되게 설정되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와 상기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는 각각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의 하측이나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와 상측에 배치되는 스티프너 커버원판과,
    상기 스티프너 커버원판과 일측의 끝단이 연결되고 제1커버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된 원통형 삽입홈의 내측에 형성된 제1수납공이나 제2커버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된 원통형 돌출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제2수납공의 내주면과 타측의 끝단이 연결되는 중공형 원통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티프너 커버원판의 직경은 제1수납공이나 제2수납공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공형 원통부재가 스티프너 커버원판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내경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스티프너 커버원판과 상기 중공형 원통부재는 각각 스티프너 커버원판이나 중공형 원통부재를 관통하여 도금액이나 세정액이 입출할 수 있는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의 내측의 최대 폭은 스티프너의 최소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는 상기 스티프너 커버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중심과 외주면에서 각각 이격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을 관통하며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할원형 관통구와, 상기 분할원형 관통구와 이격된 상태에서 일측이 스티프너 커버원판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과 연통되며 타측이 제1커버 플레이트의 하측이나 제2커버 플레이트의 상측과 연통되게 스티프너 커버원판이나 중공형 원통부재를 관통하며 각각 중공형 원통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면관통구를 포함하거나
    상기 스티프너 커버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중심과 외주면에서 각각 이격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10)을 관통하며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할원형 관통구와, 상기 스티프너 커버원판의 외주면과 분할원형 관통구 사이에 위치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을 관통하며 각각 스티프너 커버원판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형 관통구와, 상기 원형 관통구와 이격되어 중공형 원통부재를 관통하며 각각 중공형 원통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면관통구를 포함하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액체 입출구는 상기 스티프너 커버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게 중심과 외주면에서 각각 이격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을 관통하며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분할원형 관통구와, 상기 분할원형 관통구와 이격되며 스티프너 커버원판과 중공형 원통부재가 연결된 부분에 중심이 위치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과 중공형 원통부재를 관통하며 각각 스티프너 커버원판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형 관통구와, 상기 원형 관통구와 일측이 이격되어 중공형 원통부재를 관통하며 각각 중공형 원통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면관통구를 포함하거나,
    상기 스티프너 커버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중심과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각각 스티프너 커버원판을 관통하며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원통형 관통구와, 상기 원통형 관통구와 이격된 상태에서 일측이 스티프너 커버원판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어 스티프너 커버원판과 연통되며 타측이 제1커버 플레이트의 하측이나 제2커버 플레이트의 상측과 연통되게 스티프너 커버원판이나 중공형 원통부재를 관통하며 각각 중공형 원통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측면관통구를 포함하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힌지는 각각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의 폭방향의 일측의 끝단에 형성되는 힌지 가이드(hinge guide)와,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의 폭방향의 일측의 끝단에 형성되어 힌지 가이드에 회동되게 삽입되어 체결되는 힌지핀(hinge pin)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가이드는 길이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개방되는 체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구를 통해 힌지핀의 삽입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다수개의 힌지 중 하나의 힌지에 포함되는 힌지 가이드에 형성된 체결구는 다른 힌지에 포함되는 힌지 가이드에 형성된 체결구와 방향이 엇갈리게 형성되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고정부재는 각각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일측이나 타측과 폭방향의 타측에서 상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측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의 일측이나 타측과 폭방향의 타측에서 내측으로 들어가게 형성된 가이드홈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블럭은 걸림턱이 상기 가이드홈부를 통과해 상기 걸림판에 결합되어 제1커버 플레이트를 제2커버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플레이트, 상기 제2커버 플레이트, 상기 다수개의 제1세미 수납부, 상기 다수개의 제2세미 수납부, 상기 다수개의 힌지 및 다수개의 고정부재는 동일한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절연재질은 플라스틱 70 내지 80wt%과 GF(Glass Fiver) 20 내지 30wt%를 혼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플라스틱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PA66(Polyamide66), PA6(Polyamide6),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ACETAL(아세탈), PC(Polycarbonate) 중 하나가 사용되는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KR1020210164295A 2021-11-25 2021-11-25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KR102540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295A KR102540215B1 (ko) 2021-11-25 2021-11-25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4295A KR102540215B1 (ko) 2021-11-25 2021-11-25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243A KR20230077243A (ko) 2023-06-01
KR102540215B1 true KR102540215B1 (ko) 2023-06-02

Family

ID=8675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295A KR102540215B1 (ko) 2021-11-25 2021-11-25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2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0751A (ja) 2009-04-30 2010-11-18 Ohara Inc 浸漬用部材、保持部材及び保持部材ユニット
CN203878232U (zh) 2014-06-04 2014-10-15 昆山久顺电子科技有限公司 太阳能电池片电镀夹具
JP2016522322A (ja) 2013-04-30 2016-07-28 ウニベルソ・エス アー マイクロメカニカル部品を処理するための支持体
CN211999963U (zh) 2020-04-01 2020-11-24 深圳市睿昌盛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5g塑料天线振子电镀后的下挂治具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659B1 (ko) 2004-10-21 2006-10-30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식 바렐도금장치
KR20120006453U (ko) * 2011-03-10 2012-09-20 박경이 도금용 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0751A (ja) 2009-04-30 2010-11-18 Ohara Inc 浸漬用部材、保持部材及び保持部材ユニット
JP2016522322A (ja) 2013-04-30 2016-07-28 ウニベルソ・エス アー マイクロメカニカル部品を処理するための支持体
CN203878232U (zh) 2014-06-04 2014-10-15 昆山久顺电子科技有限公司 太阳能电池片电镀夹具
CN211999963U (zh) 2020-04-01 2020-11-24 深圳市睿昌盛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5g塑料天线振子电镀后的下挂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7243A (ko)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0215B1 (ko) 스티프너 핸들링 트레이
JP2019002051A (ja) めっき装置
CN103286089A (zh) 基板清洗装置以及清洗方法
JP6040092B2 (ja) 基板めっき装置及び基板めっき方法
CN1904146B (zh) 镀层装置和镀层方法
CN109652851B (zh) 镀覆装置以及镀覆方法
WO2022137277A1 (ja) めっき装置及びめっき液の撹拌方法
CN209810868U (zh) 一种用于批量浸泡试管的装置
JP2017033843A (ja) 洗浄装置
US3205159A (en) Portable plating barrel
JPH10273799A (ja) 自動メッキ方法並びに装置
JP5878957B2 (ja) めっき用バレル
JP6911243B2 (ja) メッキ装置
CN212348486U (zh) 胶水搅拌杆及涂胶铜箔胶水搅拌设备
CN221043381U (zh) 一种改善化学浸泡效果的装置
JP4433927B2 (ja) めっき装置
KR101739449B1 (ko) 시료 용기
JP7180345B2 (ja) めっき用バレル、めっき装置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CN215087292U (zh) 一种新型载玻片架
CN117203748A (zh) 用于固持基底的框架系统
KR102553048B1 (ko) 기판 홀더, 도금 장치 및 도금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1107297A (ja) バレルメッキ方法及び装置
CN214438669U (zh) 一种用于旋涡混匀器上的稳定装置
CN209759618U (zh) 一种电泳槽
KR940007228A (ko) 가공물의 표면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