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0044B1 -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0044B1
KR102540044B1 KR1020210178940A KR20210178940A KR102540044B1 KR 102540044 B1 KR102540044 B1 KR 102540044B1 KR 1020210178940 A KR1020210178940 A KR 1020210178940A KR 20210178940 A KR20210178940 A KR 20210178940A KR 102540044 B1 KR102540044 B1 KR 102540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thin glass
ultra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양환
Original Assignee
(주)피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엔피 filed Critical (주)피엔피
Priority to KR1020210178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0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0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0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2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bend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23Ben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7Fracture or rup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62Shape of the specimen
    • G01N2203/0278Thin specimens
    • G01N2203/0282Two dimensional, e.g. tapes, webs, sheets, strips, disks or membra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58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측에 안착된 초박형 유리를 흡착하고, 흡착된 상기 초박형 유리를 벤딩 시험할 수 있는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는 초박형 유리를 공급하는 로딩부와 공급된 상기 초박형 유리를 벤딩하여 시험하는 벤딩시험부 및 상기 벤딩시험부에서 벤딩 시험된 상기 초박형 유리를 배출시키는 언로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벤딩시험부는 상기 로딩부에서 공급된 초박형 유리를 절곡시켜 벤딩 시험하는 벤딩모듈; 상기 벤딩모듈의 하측에 배치되는 게비지캔모듈; 및 상기 벤딩모듈에서 벤딩 시험된 상기 초박형 유리를 검사하는 검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BENDING TESTING APPARATUS OF ULTRA THIN GLASS FOR DOWNWARD VACUUM SUCTION}
본 발명은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측에 안착된 초박형 유리를 흡착하고, 흡착된 상기 초박형 유리를 벤딩 시험할 수 있는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전자 기술들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새로운 시대적 요구 및 다양한 소비자들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제품이 나오고 있으며, 그 중 화면을 접고 펼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해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유연하면(flexible)서도 굽혀지는(bendable) 유리(글라스)를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응용 제품들에서 사용하기 위해, 플렉서블한 유리 물품(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유연성 있는 플렉서블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배선 등을 형성한 것으로, 종이처럼 휘어져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지만 매우 얇게 제조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요구에 맞추어 초박형 유리가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초박형 유리는 폴더블 디스플레이(folda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벤디드 디스플레이(bended display)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초박형 유리의 기계적인 신뢰성은 초박형 유리의 벤딩 영역을 반복적으로 벤딩시켜 벤딩 영역에 마련된 박막 간의 박리 현상과 박막의 손상(crack) 여부를 확인하는 벤딩 테스트(bending test)를 통해 그 성능을 시험하게 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시험을 위한 장치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0130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테스트 장치가 개시되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2053319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폴딩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들은 상부에 놓여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폴딩(벤딩) 시험할 수 있는 장치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에 대한 스트레스의 한계를 시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벤딩 시험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흡착 고정하는 흡착판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면에 배치된다. 즉, 흡착판의 상부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흡착한 상태에서 좌우 흡착판을 회전동시켜 벤딩 시험이 이루어진다.
이에, 흡착판의 상부면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흡착하는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하부면이 흡착판에 흡착되어 접촉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흡착력을 제거하여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흡착판에 흡착된 상태로 붙어있게 되어, 이를 다관절로봇모듈이 흡착판 상부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흡착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스크래치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초박형 유리)를 벤딩 시험하는 과정에서 불량의초박형 유리는 깨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흡착판의 상면에 흡착 배치되어 벤딩 시험되는 상향 흡착식 구조는 흡착판의 상부에 초박형 유리가 배치됨에 따라 흡착판의 흡착력을 제거하여도 파손된 초박형 유리가 흡착판의 상면에 잔존하게 되어, 벤딩에 의해 파손된 초박형 유리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벤딩하는 과정에서 초박형 유리를 흡착하는 흡착판에 의해 초박형 유리를 비전카메라 등으로 촬영하여 확인하기가 곤란하고, 더욱이 깨짐 부위가 매우 국소적이여서 깨짐을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0130호(2018. 01. 02.) 등록특허공보 제10-2053319호(2019. 12. 02.)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착판의 하부면을 이용하여 초박형 유리를 흡착하고, 흡착된 초박형 유리를 벤딩 시험할 수 있는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초박형 유리의 깨짐을 검출함으로써, 후속 공정 장치의 건전성을 확보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는 초박형 유리를 공급하는 로딩부와 공급된 상기 초박형 유리를 벤딩하여 시험하는 벤딩시험부 및 상기 벤딩시험부에서 벤딩 시험된 상기 초박형 유리를 배출시키는 언로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벤딩시험부는 상기 로딩부에서 공급된 초박형 유리를 절곡시켜 벤딩 시험하는 벤딩모듈; 상기 벤딩모듈의 하측에 배치되는 게비지캔모듈; 및 상기 벤딩모듈에서 벤딩 시험된 상기 초박형 유리를 검사하는 검사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벤딩모듈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어지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무빙테이블; 상기 무빙테이블의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벤딩베이스와 제2 벤딩베이스; 상기 제1 벤딩베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1 벤딩유닛; 및 상기 제2 벤딩베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벤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벤딩유닛과 제2 벤딩유닛은 하부측에 위치되는 상기 초박형 유리를 흡착하고, 상기 초박형 유리가 흡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벤딩 시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벤딩유닛 및 제2 벤딩유닛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점대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벤딩유닛은 상판; 상기 상판의 양측면 하부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측판; 상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흡착판; 상기 흡착판을 회전시키는 벤딩모터; 및 상기 흡착판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판의 하부면에 진공을 형성하는 흡기 매니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비지캔모듈은 상부가 개방된 커버박스; 상기 커버박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흡인박스; 상기 흡인박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트래시박스; 및 상기 흡인박스에 연결되어 흡인기에서 발생된 흡인력을 인가하는 흡인관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박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벤딩 시험에서 상기 초박형 유리의 깨짐을 검출하는 음향검출모듈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과정에서 초박형 유리가 하면에 배치되어 벤딩 시험을 수행하고, 벤딩 시험이 완료된 초박형 유리를 언로딩부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스크래치 발생을 최소화하여 초박형 유리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초박형 유리의 깨짐에 따라 발생된 파편의 제거가 쉽고, 초박형 유리의 깨짐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초박형 유리의 깨짐에 의해 공정 장치의 유휴시간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가동시간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의 벤딩시험부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의 벤딩시험부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의 벤딩시험부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벤딩모듈의 사시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벤딩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제2 벤딩베이스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제2 벤딩유닛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벤딩유닛의 동작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게비지캔모듈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검사모듈에 대한 사시도,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음향검출모듈의 사시도 및 일부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음향검출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측에 안착된 초박형 유리를 흡착하고, 흡착된 상기 초박형 유리를 벤딩 시험할 수 있는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의 벤딩시험부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벤딩시험장치는 초박형 유리를 벤딩하여 시험하는 벤딩시험부(10)를 포함하여 초박형 유리를 투입시키는 로딩부(도면에 미표시)와 시험된 초박형 유리를 배출시키는 언로딩부(도면에 미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딩부는 초박형 유리가 수용된 카세트가 투입되고, 카세트에 수용된 초박형 유리를 픽업하는 다관절로봇모듈과 상기 다관절로봇모듈에 의해 픽업된 초박형 유리의 외관 검사와 위치를 검출하는 비전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언로딩부는 벤딩시험부(10)에서 벤딩 시험이 완료되어 합격으로 판단된 초박형 유리를 픽업하여 카세트에 수용시키는 다관절로봇모듈과 상기 다관절로봇모듈에 픽업된 초박형 유리의 외관 검사와 위치를 검출하는 비전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로딩부 및 언로딩부에 대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의 벤딩시험부 우측면도이고, 도 3은 벤딩시험부의 일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벤딩시험부(10)는 벤딩모듈(100), 게비지캔(garbage can)모듈(200), 검사모듈(300) 및 음향검출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벤딩모듈(100)은 로딩부에서 공급된 초박형 유리를 절곡시켜 벤딩 시험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전방(로딩부)측에서 후방(언로딩부)측으로 길게 구성되고, 상기 게비지캔모듈(200)은 상기 벤딩모듈(100)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검사모듈(300)은 상기 게비지캔모듈(200)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음향검출모듈(400)은 상기 벤딩모듈(100)이 초박형 유리를 벤딩 시험하는 과정에서 초박형 유리의 깨짐에 따른 음향(소리)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벤딩모듈(100)과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에, 상기 음향검출모듈(400)은 상기 게비지캔모듈(300)의 내측 상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벤딩시험부(10)는 2개의 초박형 유리를 벤딩 시험할 수 있도록 복식 구성의 벤딩시험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벤딩모듈(10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어지는 2개의 벤딩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복식의 벤딩모듈에 따라 게비지캔모듈(200)도 복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검사모듈은 전후방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여 복식으로 구성된 벤딩모듈에서 벤딩 시험된 초박형 유리를 좌우 이동하면서 검사할 수 있게 단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 드롭박스(11)는 불량으로 판단된 초박형 유리가 드롭되어 폐기하기 위한 박스로서, 전방과 후방에 각각 1쌍이 배치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벤딩모듈의 사시도 및 부분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벤딩모듈(100)은 후술되는 게비지캔모듈(200)의 상부측에 배치되기 위해서,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01)과 상기 수직프레임(101)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수평프레임(102)을 이용하여 구성된 프레임틀에 설치된다. 이때,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2개의 초박형 유리를 번갈아 벤딩 시험할 수 있도록 동일한 구성이 2개 배열되는 복식으로 구성되나, 단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에, 복식 구성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벤딩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벤딩모듈(100)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어지는 레일(110), 상기 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는 무빙테이블(120), 상기 무빙테이블(120)의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벤딩베이스(130)와 제2 벤딩베이스(140), 상기 제1 벤딩베이스(13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1 벤딩유닛(150) 및 상기 제2 벤딩베이스(140)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벤딩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빙테이블(120)은 상기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1 벤딩유닛(150) 및 제2 벤딩유닛(160)의 위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초박형 유리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벤딩유닛(150) 및 제2 벤딩유닛(160)의 위치를 게비지캔모듈(200)의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이동하여 벤딩 시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초박형 유리를 흡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벤딩유닛(150) 및 제2 벤딩유닛(160)의 위치를 검사모듈(300)의 상부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 벤딩베이스(130)와 제2 벤딩베이스(140)는 각각 무빙테이블(120)과 벤딩유닛(150, 160) 사이에 배치되는 데, 상기 제2 벤딩베이스(140)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제2 벤딩베이스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7을 참조하면, 제2 벤딩베이스(140)는 상부플레이트(141),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무빙플레이트(142a)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41)의 하부에 결합되는 슬라이더(142), 상기 무빙플레이트(142a)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간극조절모터(143) 및 상기 슬라이더(14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플레이트(142a)와 결합되는 하부프래킷(14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벤딩베이스(140)는 간극조절모터(143)의 회전력에 의해 무빙플레이트(142a)가 제1 벤딩베이스(130)로 접근하거나 이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벤딩베이스(140)의 하부에 결합된 제2 벤딩유닛(160)이 제1 벤딩유닛(150) 측으로 접근하거나 이격되게 되는 데, 이러한 제2 벤딩유닛(16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서 제1 벤딩유닛(150)과 제2 벤딩유닛(160)이 벤딩 시험(접힘)에 대한 초박형 유리의 벤딩 곡률을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제1 벤딩유닛(150) 및 제2 벤딩유닛(160)은 동작에 따라 벤딩되어 초박형 유리를 벤딩 시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벤딩유닛(150) 및 제2 벤딩유닛(160)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서로 점대칭으로 구성되어 벤딩동작에 따른 간섭을 서로 받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제2 벤딩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벤딩유닛(160)은 제2 벤딩베이스(140)의 하부브래킷(144)에 결합되는 상판(161), 상기 상판(161)의 양측면 하부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측판(162, 163), 상기 측판(162, 163)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흡착판(164), 상기 흡착판(164)을 회전시키는 벤딩모터(165) 및 상기 흡착판(164)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판(164)의 하부면에 진공을 형성하는 흡기 매니폴드(1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벤딩유닛의 동작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벤딩유닛(제1 벤딩유닛(150))과 제2 벤딩유닛(160))은 하부측에 위치되는 초박형 유리를 흡착(도 9의 (a))하고, 상기 초박형 유리가 흡착된 상태에서 벤딩유닛 각각에 구성된 벤딩모터의 구동에 따라 각각의 흡착판(154, 164)이 하측 방향으로 회전(도 9의 (b))되게 되며, 이러한 흡착판의 회전에 의해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을 수행하게 된다.
도 10은 도 9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흡기 매니폴드(156, 166)에 의해 각각의 흡착판(154, 164)의 하부에는 진공이 형성되고, 형성된 진공에 의해서 상기 흡착판(154, 164)의 하부에 위치된 초박형 유리(Ultra Thin Glass)는 상기 흡착판(154, 164)의 하부면에 흡착(도 10의 (a))되게 된다.
초박형 유리(UTG)가 흡착판에 흡착된 상태에서 벤딩모터의 구동에 의해 흡착판(154, 164)이 회전되어 하부면이 서로 근접되면, 상기 흡착판(154, 164)에 흡착된 초박형 유리(UTG)는 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벤딩(도 10의 (b))되게 된다.
종래 벤딩 시험장치에서는 흡착판이 초박형 유리의 하부에 배치되어 벤딩 시험하는 구성이었으나, 이러한 구성은 흡착판에 초박형 유리를 안착하는 과정에서 다관절로봇모듈이 초박형 유리를 흡착판에 안착시켜야 하고, 벤딩유닛이 상하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착판(154, 164)이 하부에 위치된 초박형 유리를 흡착하는 방식으로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벤딩모듈이 초박형 유리가 안착된 위치로 이동하여 흡착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서, 벤딩모듈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승강 동작이 생략되기 때문에 벤딩 시험이 간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벤딩은 상기 흡착판(154, 164)이 게비지캔모듈(200)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게비지캔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게비지캔모듈(200)은 벤딩모듈(100)의 벤딩유닛(150, 160)의 벤딩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초박형 유리가 깨지는 경우, 깨짐에 따른 초박형 유리 파편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깨진 파편들을 수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게비지캔모듈(200)은 벤딩모듈(100)의 설치 개수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벤딩모듈(100)이 복식으로 설치되는 경우 상기 게비지캔모듈(200)도 복식으로 설치된다.
각각의 게비지캔모듈(200)은 동일하게 구성되는 하나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게비지캔모듈(200)은 상부가 개방된 커버박스(210), 상기 커버박스(2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흡인박스(220), 상기 흡인박스(2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트래시박스(220) 및 상기 흡인박스(220)에 연결되어 흡인기(도면에 미표시)에서 발생된 흡인력을 인가하는 흡인관(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흡인기의 동작에 따라 상기 흡인박스(220) 및 커버박스(210)의 내측에는 부압이 발생되고, 이 내부 공간에서 발생된 비산되는 파편들은 상기 흡인기로 유입되게 된다.
즉, 상기 벤딩모듈(100)의 벤딩 시험 과정에서 초박형 유리가 깨지는 경우, 초박형 유리의 깨짐에 의해 발생된 파편은 상기 흡인기를 통해 흡인되게 되어 공기 중으로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인기에 흡인되지 못하는 비교적 큰 파편들은 낙하되어 트래시박스(230)에 수용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벤딩모듈(100)에 의한 벤딩 시험은 상기 게비지캔모듈(200)은 상부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벤딩 시험에서 초박형 유리의 깨짐을 검출하는 음향검출모듈(400)은 상기 커버박스(210)의 내측면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검출모듈(400)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다음으로, 검사모듈(3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검사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검사모듈(300)은 벤딩 시험된 초박형 유리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벤딩 시험 후 초박형 유리의 이상 여부를 검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면, 검사모듈(30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검사레일(310), 상기 검사레일(310)에서 슬라이딩되는 검사박스(320), 상기 검사박스(32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검사유닛(330) 및 상기 검사박스(32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유닛(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검사모듈(300)은 상기 벤딩모듈(100)이 벤딩 시험을 완료한 후, 상기 벤딩모듈(100)이 이동하여 상기 검사모듈(300)의 상부에 위치하면, 상기 검사모듈(300)은 상기 벤딩모듈(100)에 흡착된 상태의 초박형 유리를 촬영하여 이상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 검사모듈(300)의 검사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벤딩모듈(100)은 흡착된 초박형 유리를 언로딩부로 이송하여 다관절로봇모듈에 의해 카세트에 수용되고, 검사 결과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벤딩모듈(100)은 흡착된 초박형 유리를 드롭박스(11)에 낙하시켜 폐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검사모듈(300)은 검사레일(31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복식으로 구성된 벤딩모듈(100)에 흡착된 초박형 유리를 검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벤딩모듈(100)이 벤딩 시험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초박형 유리가 깨지는 경우가 발생되는 데, 초박형 유리를 흡착한 흡착판(154, 164)에 의해 벤딩 부분을 영상장치로 촬영하기가 곤란하고, 깨지는 과정에서의 파편의 분산되기 때문에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초박형 유리의 깨짐을 검출하기 위해 음향검출모듈이 구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음향검출모듈(400)은 게비지캔모듈(200)의 커버박스(210)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나, 벤딩모듈 부근에 설치되어 초박형 유리의 깨짐 발생시 음향을 검출할 수 있는 위치면 어느 곳이나 무관하다.
도 13 및 도 1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음향검출모듈의 사시도 및 일부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에 적용된 음향검출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음향검출모듈(400)은 기저부의 베이스기판(410), 상기 베이스기판(410)에 설치되는 마이크(420), 증폭기(430), 밴드패스필터(440), 감지유닛(450) 및 가변저항(460)과 상기 베이스기판(410)의 일측면을 커버하는 집음커버(470)를 포함하여 포함된다.
상기 마이크(420)는 초박형 유리의 깨짐으로 발생된 음향(소리)을 검출하고, 검출된 음향에 대한 신호 즉, 음향신호는 증폭기(430)에서 증폭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420)를 통해 검출되는 음향에는 벤딩시험부에서 발생되는 모터 등의 구동소음과 외부 노이즈 등을 포함하여 검출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밴드패스필터(440)는 증폭기(430)에서 증폭된 신호에서 초박형 유리가 깨질는 경우 발생되는 음향신호의 주파수 영역만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된다.
감지유닛(450)은 상기 증폭기(440)에서 증폭되어 출력된 음향신호가 초박형 유리의 깨짐에 의해 발생된 음향신호이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초박형 유리의 깨짐에 의해 발생된 음향신호인 것으로 판단하면, 깨짐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감지유닛에서 출력된 깨짐신호는 게비지캔모듈의 동작신호로 입력될 수 있다. 즉, 깨짐신호에 따라 게비지캔모듈(200)의 흡인기가 동작되고, 상기 흡인기의 동작에 따라 상기 흡인박스 및 커버박스의 내측에서 비산되는 초박형 유리 파편들을 흡인기로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상기 흡인기는 초박형 유리의 깨짐신호에만 동작되도록 구성하여, 흡인기의 흡인동작에 따른 소음에 의해 상기 음향검출모듈에서 검출된 음향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변저항(460)은 상기 증폭기(440)의 증폭량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가변저항의 조절에 따라 상기 증폭기(440)에서 출력되는 주파수의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 환경에 적합한 주파수로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집음커버(470)는 하부측과 하부 전방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되어, 낙하되는 초박형 유리의 파편들이 그 내부로의 유입을 방지하면서, 개부된 측으로는 음향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과정에서 초박형 유리의 깨짐을 검출하여 초박형 유리의 깨짐을 바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초박형 유리의 깨짐을 즉각적으로 제공함에 따라 조각 파편이 후속 공정 장치로 유입됨을 방지하여 초박형 유리의 깨짐에 의해 공정 장치의 유휴시간을 최소화하여 최적의 가동시간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 및 발명의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100: 벤딩모듈 110: 레일
120: 무빙테이블 130: 제1 벤딩베이스
140: 제2 벤딩베이스 150: 제1 벤딩유닛
160: 제2 벤딩유닛 200: 게비지캔모듈
210: 커버박스 220: 흡입박스
230: 트래시박스 240: 흡입관
300: 검사모듈 400: 음향검출모듈
410: 베이스기판 420: 마이크
430: 증폭기 440: 밴드패스필터
450: 감지유닛 460: 가변저항
470: 집음커버

Claims (5)

  1. 초박형 유리를 공급하는 로딩부와 공급된 상기 초박형 유리를 벤딩하여 시험하는 벤딩시험부 및 상기 벤딩시험부에서 벤딩 시험된 상기 초박형 유리를 배출시키는 언로딩부를 포함하는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벤딩시험부는,
    상기 로딩부에서 공급된 초박형 유리를 절곡시켜 벤딩 시험하는 벤딩모듈;
    상기 벤딩모듈의 하측에 배치되는 게비지캔모듈; 및
    상기 벤딩모듈에서 벤딩 시험된 상기 초박형 유리를 검사하는 검사모듈;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벤딩모듈은,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이어지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무빙테이블;
    상기 무빙테이블의 하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벤딩베이스와 제2 벤딩베이스;
    상기 제1 벤딩베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1 벤딩유닛; 및
    상기 제2 벤딩베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제2 벤딩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벤딩유닛과 제2 벤딩유닛은 하부측에 위치되는 상기 초박형 유리를 흡착하고, 상기 초박형 유리가 흡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벤딩 시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벤딩유닛 및 제2 벤딩유닛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점대칭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벤딩유닛은,
    상판;
    상기 상판의 양측면 하부측으로 각각 결합되는 측판;
    상기 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흡착판;
    상기 흡착판을 회전시키는 벤딩모터; 및
    상기 흡착판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판의 하부면에 진공을 형성하는 흡기 매니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게비지캔모듈은,
    상부가 개방된 커버박스;
    상기 커버박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흡인박스;
    상기 흡인박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트래시박스; 및
    상기 흡인박스에 연결되어 흡인기에서 발생된 흡인력을 인가하는 흡인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커버박스의 내측면에는,
    상기 벤딩 시험에서 상기 초박형 유리의 깨짐을 검출하는 음향검출모듈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
KR1020210178940A 2021-12-14 2021-12-14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 KR102540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940A KR102540044B1 (ko) 2021-12-14 2021-12-14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8940A KR102540044B1 (ko) 2021-12-14 2021-12-14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0044B1 true KR102540044B1 (ko) 2023-06-05

Family

ID=8676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8940A KR102540044B1 (ko) 2021-12-14 2021-12-14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004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9136A (ja) * 2015-03-13 2016-09-23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20180000130A (ko) 2016-06-22 2018-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테스트 장치
KR102053319B1 (ko) 2018-03-26 2019-12-09 주식회사 포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폴딩장치
KR20210063908A (ko) * 2019-11-25 2021-06-02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벤딩 장치 및 벤딩 방법
KR20210145669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이미지센서를 이용한 초박형 유리의 검출방법
KR20210145627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장치
KR20210145626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9136A (ja) * 2015-03-13 2016-09-23 AvanStrate株式会社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20180000130A (ko) 2016-06-22 2018-0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벤딩 테스트 장치
KR102053319B1 (ko) 2018-03-26 2019-12-09 주식회사 포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폴딩장치
KR20210063908A (ko) * 2019-11-25 2021-06-02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벤딩 장치 및 벤딩 방법
KR20210145669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이미지센서를 이용한 초박형 유리의 검출방법
KR20210145627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장치
KR20210145626A (ko) * 2020-05-25 2021-12-02 (주) 피엔피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7037B2 (ja) 欠陥検査装置
JP2007163453A (ja) イメージセンサーパッケージの検査装置、その検査ユニット及び検査方法
KR100829892B1 (ko) 표시용 패널의 검사장치
TW200819355A (en) Adhesion inspection apparatus and adhesion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862638B1 (ko) 클리닝 수단이 일체로 구비된 반도체 소자의 검사 장치 및그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검사 방법
KR101074394B1 (ko) 엘시디 검사장치
CN215466247U (zh) 一种电池外观检测设备
KR20130018221A (ko) 기판 반송 기구 및 편광 필름의 접합 장치에서의 반전 기구
KR101346048B1 (ko) 기판 검사 장치
CN209400439U (zh) 一种pcb电镀磨板后板面检验装置
CN112816490A (zh) 一种电子产品的自动检测设备及自动检测方法
KR101772849B1 (ko) 트레이 불량검사 장치 및 불량검사 방법
KR102540044B1 (ko) 하향 흡착식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
KR102540043B1 (ko) 깨짐 검출 기능을 구비한 초박형 유리 벤딩 시험장치
JP4818767B2 (ja) 外観検査装置
KR20150068015A (ko) 곡면 커버에 필름을 부착하는 방법
KR102407618B1 (ko)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방법
KR20070016197A (ko) 클램프 타입 편광필름 정밀 자동검사기
JP4082104B2 (ja) パターン検査装置
JP2007114146A (ja) 表示用パネルの点灯検査装置
CN109696437B (zh) 一种半导体料片的整平装置及其方法
TW202127003A (zh) 移載裝置、光學檢測設備及光學檢測方法
CN216560298U (zh) 一种电子产品的自动检测设备
KR102415289B1 (ko) 초박형 유리의 벤딩 시험장치
CN107884417A (zh) 一种基板边缘检查机及边缘检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