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524B1 -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524B1
KR102539524B1 KR1020210066503A KR20210066503A KR102539524B1 KR 102539524 B1 KR102539524 B1 KR 102539524B1 KR 1020210066503 A KR1020210066503 A KR 1020210066503A KR 20210066503 A KR20210066503 A KR 20210066503A KR 102539524 B1 KR102539524 B1 KR 102539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dy
fixing
fixing member
slee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546A (ko
Inventor
조현동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06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52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서로 다른 점퍼선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슬리브부와, 내부에 복수개의 슬리브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커넥터바디와, 커넥터바디의 내부로 삽입된 복수개의 슬리브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단자부와, 커넥터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커넥터바디의 내부로 삽입된 슬리브부와 체결되는 고정부 및 커넥터바디와 고정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고정부를 슬리브부로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JUMPER CABLE CONNECTION DEVICE FO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접활선공법에 의해 점퍼선을 상호 접속시킬 수 있는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의 무정전 활선 공사 시에는 배전선로에 연결된 점퍼선을 절분 및 압축하는 공법이 필수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점퍼선의 압축 공법은 슬리브와 같은 접속 기구에 서로 다른 점퍼선의 단부를 삽입한 후,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슬리브에 압축력을 가해 점퍼선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슬리브를 활용한 점퍼선의 압축 공법은 압축 작업을 여러번 수행함에 따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동일 개소에서 점퍼선 절분 및 압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기존 슬리브 압축개소 외에 압축개소가 추가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점퍼선의 단선 발생의 가능성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점퍼선의 경우 별도로 규격화가 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전주별로 점퍼선의 길이가 상이함에 따라 점퍼선의 혼촉에 따른 선간단락 고정의 위험이 상시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36694호(2020.12.08 공개, 발명의 명칭: 간접활선공법용 점퍼선 가이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점퍼선의 분리 및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는: 일측이 서로 다른 점퍼선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슬리브부; 내부에 복수개의 상기 슬리브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커넥터바디;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로 삽입된 복수개의 상기 슬리브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단자부; 상기 커넥터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슬리브부와 체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커넥터바디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슬리브부로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바디는, 상기 슬리브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삽입부; 및 상기 고정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부와 연통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부는, 상기 점퍼선의 단부에 압축되어 고정되는 압축부; 및 상기 압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접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제1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슬리브부와 체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삽입부의 내측면에 접해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작업 공구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슬리브부의 체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고정부재가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삽입부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재의 표면에서 제1색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제1표시부; 및 상기 고정부재가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삽입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고정부재의 표면에서 제2색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고정부재가 타측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소정 각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커넥터바디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 각도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방향지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삽입부로 삽입된 각각의 상기 슬리브부에 개별적으로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의 입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슬리브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커넥터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삽입부를 향해 삽입되는 상기 슬리브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되어 상기 제1삽입부를 개방하는 한 쌍의 유동방지부재; 상기 커넥터바디와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유동방지부재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 및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슬리브부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슬리브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이 상기 탄성부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전면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개방유도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는 슬리브부를 커넥터바디로 삽입 또는 분리하는 동작만으로 점퍼선의 접속 시공을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기존 점퍼선을 절분 및 압축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으며, 반복적인 시공에 의한 점퍼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는 작업자의 과도한 힘을 요하지 않는 고정부의 간편한 조작만으로 접속부를 커넥터바디에 고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는 표시부 및 방향지시부에 의해 작업자가 고정부와 슬리브부의 체결 상태와 고정부의 회전 각도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는 유동방지부에 의해 슬리브부가 고정부에 체결되기 전 슬리브부가 커넥터바디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또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특정 도면에서 언급 또는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그 부호들은 다른 도면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도면에 참조 부호가 표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더라도, 그 부분은 다른 도면들을 토대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도면들에 포함된 세부 구성요소들의 개수, 형상, 크기 및 크기의 상대적인 차이 등은 이해의 편의를 위해 설정된 것으로서,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1)는 슬리브부(100), 커넥터바디(200), 단자부(300), 고정부(400), 가압부(500), 표시부(600), 방향지시부(700), 유동방지부(800)를 포함한다.
슬리브부(100)는 일측이 애자를 매개로 전주(3)의 양측에 고정된 고압전선(4)으로부터 연장되는 점퍼선(2)의 단부에 연결된다. 슬리브부(1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서로 다른 점퍼선(2)에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슬리브부(100)는 점퍼선(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금속 등과 같은 통전 가능한 재질로 구비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부(100)는 압축부(110), 접속부(120), 안착부(130)를 포함한다.
압축부(110)는 슬리브부(100)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고, 점퍼선(2)의 단부에 압축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부(110)는 중공형의 원통의 형태로 형성되어 점퍼선(2)의 단부가 내부로 삽입된다. 압축부(110)는 내부에 점퍼선(2)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압축 공구(미도시) 등에 의해 외주면이 가압됨에 따라 압축 변형되며 내주면이 점퍼선(2)의 단부에 밀착 고정된다.
접속부(120)는 압축부(110)로부터 연장되어 슬리브부(100)의 타측 외관을 형성하고, 후술하는 커넥터바디(200)에 구비되는 제1삽입부(210)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120)는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된 링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압축부(11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접속부(120)는 후술하는 안착부(130)에 의해 압축부(110)와 연결된다. 접속부(120)는 중심축이 압축부(110)의 중심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접속부(120)는 제1삽입부(210)로 삽입된 경우,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부로 후술하는 고정부(400)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결합됨에 따라 커넥터바디(200)의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안착부(130)는 압축부(110)와 접속부(120)의 사이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유동방지부(800)가 안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130)는 양단부가 각각 압축부(110)와 접속부(120)의 외측면에 일체로 연결된다. 유동방지부(800)에 구비되는 유동방지부재(81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안착부(130)의 양측면은 안착부(130)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안착부(130)의 양측면의 구체적인 형상은 유동방지부(800)에 구비되는 유동방지부재(810)의 단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커넥터바디(200)는 내부에 복수개의 슬리브부(100)의 타측과 후술하는 고정부(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슬리브부(100), 단자부(300), 고정부(400), 가압부(500)를 지지한다. 커넥터바디(200)는 볼팅, 용접 등에 의해 전주(3)상에 고정될 수 있고, 전주(3)와 분리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바디(20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박스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바디(200)는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통, 구, 다면체등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커넥터바디(200)의 내부에는 제1삽입부(210)와 제2삽입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삽입부(210)는 커넥터바디(200)의 외측면으로부터 커넥터바디(200)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슬리브부(100)의 타측 즉, 접속부(120)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삽입부(210)는 커넥터바디(200)의 측면에서 커넥터바디(200)의 내부로 수평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삽입부(210)의 일단부는 접속부(120)가 제1삽입부(2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커넥터바디(200)의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의 형태로 형성되어 커넥터바디(200)의 외부 공간과 연통된다. 제1삽입부(210)의 타단부는 접속부(120)가 제1삽입부(210)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 접속부(120)에 형성된 관통홀의 중심축을 고정부(400)의 중심축과 일치시킬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된다.
제1삽입부(210)는 서로 다른 슬리브부(100)의 타측이 개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삽입부(210)의 타단부는 커넥터바디(200)의 내부에서 상호 연통된다. 복수개의 제1삽입부(210)는 커넥터바디(2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삽입부(210)는 복수개의 접속부(120)가 삽입 과정에서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삽입부(210)는 커넥터바디(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삽입부(210)는 내부로 삽입된 복수개의 접속부(120)가 커넥터바디(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동축상으로 적층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제1삽입부(210)가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제1삽입부(210)의 개수 및 구체적인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슬리브부(100)의 개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2삽입부(220)는 커넥터바디(200)의 외측면으로부터 커넥터바디(200)의 내부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부(400)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삽입부(220)는 커넥터바디(200)의 하면에서 커넥터바디(200)의 내부로 수직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삽입부(220)의 일단부는 고정부(400)가 제2삽입부(2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커넥터바디(200)의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의 형태로 형성되어 커넥터바디(200)의 외부 공간과 연통된다. 제2삽입부(220)의 일단부의 직경은 제2삽입부(220)의 나머지 직경보다 작은 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2삽입부(220)의 타단부는 제1삽입부(210)를 향해 수직하게 연장되어 제1삽입부(21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제2삽입부(220)는 내부로 삽입된 고정부(400)를 제1삽입부(210)로 삽입된 접속부(120)와 체결시킬 수 있다.
제2삽입부(220)의 내부에는 고정부(400)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221)는 제2삽입부(220)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삽입부(220)의 중심축을 향해 수직하게 돌출되는 단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221)는 제2삽입부(2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됨에 따라 대략 중공형의 링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걸림부(221)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2삽입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걸림부(221)는 고정부(400)에 구비되는 가이드부(420)의 상, 하면에 각각 접해 고정부(400)의 슬라이드 이동 범위를 제한함과 동시에 고정부(400)가 제2삽입부(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넥터바디(200)의 하면을 관통하는 제2삽입부(22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고정부(400)에 구비되는 이동제한부(440)가 제2삽입부(220)로 출입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는 돌출홈부(222)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홈부(222)는 제2삽입부(220)의 일단부 외주면으로부터 제2삽입부(220)의 반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홈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돌출홈부(222)의 단면 형상은 이동제한부(44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돌출홈부(222)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제2삽입부(220)의 일단부 외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단자부(300)는 커넥터바디(200)의 내부로 삽입된 복수개의 슬리브부(100)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킨다. 단자부(300)는 금속 등과 같은 전기적으로 통전 가능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자부(3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제1삽입부(210)의 타단부 내측면에 고정된다. 단자부(300)는 접속부(120)가 제1삽입부(210)로 소정 거리 이상 삽입됨에 따라 접속부(120)의 단부에 접촉되어 복수개의 슬리브부(100)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킨다. 단자부(30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삽입부(210)의 내부에서 복수개의 제1삽입부(210)로 삽입된 각각의 접속부(120)의 단부와 접촉될 수 있는 형상의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고정부(400)는 커넥터바디(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부(400)는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커넥터바디(200)의 내부로 삽입된 슬리브부(100)와 체결되어 슬리브부(100)를 커넥터바디(200)에 고정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400)는 고정부재(410), 가이드부(420), 연결부(430), 이동제한부(44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410)는 제2삽입부(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제2삽입부(22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고정부재(410)는 일측으로 향해 이동됨에 따라 일단부가 제1삽입부(210)로 삽입된 슬리브부(100)와 체결되어 슬리브부(100)를 커넥터바디(200)의 내부에 고정시킨다. 고정부재(410)는 후술하는 이동제한부(44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2삽입부(2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410)는 원통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2삽입부(220)의 내부로 삽입된다. 고정부재(410)는 중심축이 제2삽입부(220)의 중심축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고정부재(410)는 작업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2삽입부(220)의 내부에서 제2삽입부(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과 동시에 제2삽입부(220)의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고정부재(410)의 직경은 제2삽입부(220)의 일단부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410)의 외주면은 제2삽입부(220)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후술하는 가이드부(420)와 이동제한부(440)가 연장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고정부재(410)는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 제2삽입부(220)의 타단부를 향해 이동됨에 따라 일단부가 제1삽입부(210)로 진입되어 접속부(120)에 형성된 관통홀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재(410)는 슬리브부(100)가 커넥터바디(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부재(410)는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되는 경우, 타단부가 커넥터바디(200)의 하면으로 소정 거리 돌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420)는 고정부재(410)로부터 연장되고, 제2삽입부(220)의 내측면에 접해 고정부재(410)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420)는 고정부재(410)의 외주면으로부터 고정부재(410)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다. 가이드부(420)는 고정부재(4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단면이 대략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420)는 외주면이 제2삽입부(220)의 내주면에 슬라이드 및 회전 가능하게 접촉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420)는 고정부재(410)가 중심축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제2삽입부(220)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420)는 고정부재(41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경우 상하면이 각각 한 쌍의 걸림부(221)에 접해 고정부재(4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420)는 고정부재(410)의 일단부가 커넥터바디(200)의 내측면에 강하게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부재(410)가 제2삽입부(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부(430)는 고정부재(410)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작업 공구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430)는 일측이 고정부재(410)의 타단부에 용접, 볼팅 등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이 고정부재(410)로부터 연장된다. 연결부(430)의 타측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활선 스틱 등과 같은 작업 공구에 형성되는 고리와 걸림 결합되거나, 작업 공구에 형성되는 집게에 의해 파지 가능하게 형성된다. 연결부(430)는 작업 공구를 통해 작업자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고정부재(410)로 전달한다. 연결부(430)의 구체적인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작업 공구와 연결 가능한 형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동제한부(440)는 고정부재(410)로부터 연장되며, 고정부재(410)의 회전에 연동되어 고정부재(410)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제한부(440)는 고정부재(410)의 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돌출되는 돌기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44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고정부재(4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440)는 고정부재(410)가 타측 즉, 제2삽입부(220)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됨에 따라 돌출홈부(222)를 통해 커넥터바디(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동제한부(440)는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고정부재(410)가 소정 각도 회전됨에 따라 커넥터바디(200)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고정부재(410)가 일측 즉, 제2삽입부(220)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이동제한부(440)는 고정부재(410)가 접속부(120)와 체결되기에 앞서, 후술하는 가압부(500)의 가압력에 의해 접속부(120)의 제1삽입부(210)로의 삽입 동작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500)는 커넥터바디(200)와 고정부(400)의 사이에 구비되고, 고정부(400)를 슬리브부(100)로 향해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500)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500)는 제2삽입부(220)의 내부에 배치된다. 가압부(500)는 하단부가 한 쌍의 걸림부(221) 중 하측(도 4 기준)에 배치된 걸림부(221)의 상면에 고정된다. 가압부(500)는 상단부가 가이드부(420)의 하면에 접촉된다. 이 경우, 가압부(500)는 고정부재(410)의 회전 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가이드부(420)의 하면에 단순 접촉된다. 가압부(500)는 작업자로부터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부(420)를 가압하여 제1고정부재(410)를 일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제1고정부재(410)의 일단부를 접속부(120)와 체결된 상태로 지지한다. 이에 따라 가압부(500)는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도 제1고정부재(410)의 일단부가 접속부(120)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부(600)는 고정부(400)와 슬리브부(100)의 체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부(600)는 고정부(400)가 제2삽입부(220)로 삽입되는 거리에 따라 외부로 표시되는 색상, 기호등의 시각적인 식별 수단의 형상, 패턴을 가변시킴으로써 작업자에게 고정부(400)와 슬리브부(100)의 체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표시부(600)는 작업자로 하여금 고정부(400)와 슬리브부(100)의 체결 상태를 커넥터바디(200)의 외부에서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600)는 제1표시부(610), 제2표시부(62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서술되는 제1색상과 제2색상은 특정 색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구별 가능한 색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1표시부(610)는 고정부재(410)가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되는 경우, 제2삽입부(220)의 내부에 배치된 고정부재(410)의 표면에서 제1색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고정부재(410)가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되는 것은 고정부재(410)의 일단부가 접속부(120)에 형성된 관통홀에 삽입된 상태,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410)의 일단부가 커넥터바디(200)의 내측면에 접촉되거나, 가이드부(420)의 상면이 한 쌍의 걸림부(221) 중 상측(도 4 기준)에 배치된 걸림부(221)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표시부(610)는 도료, 필름 등 고정부재(410)의 표면에서 제1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 수단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제2표시부(620)는 고정부재(410)가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되는 경우, 제2삽입부(220)의 외부로 노출된 즉, 커넥터바디(20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부재(410)의 표면에서 제2색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된다. 제2표시부(620)는 도료, 필름 등 고정부재(410)의 표면에서 제2색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 수단으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방향지시부(700)는 고정부재(410)의 회전 각도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향지시부(700)는 고정부재(410)의 회전에 따른 이동제한부(440)와 돌출홈부(220)의 상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인 형태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방향지시부(7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부(700)는 작업자로 하여금 이동제한부(440)가 돌출홈부(220)를 통해 제2삽입부(220)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는 상태에 놓여 있는지 여부를 커넥터바디(200)의 외부에서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지시부(700)는 고정부재(410)의 타단부 하면에 배치되고, 고정부재(410)의 반경 방향과 나란하게 연장되는 직선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향지시부(700)는 고정부재(410)와 별도로 제작되어 고정부재(410)의 타단부 하면에 부착 또는 인쇄되거나, 양각 또는 음각의 형태로 고정부재(410)의 타단부 하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방향지시부(700)는 중심축이 이동제한부(440)의 중심축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방향지시부(700)는 고정부재(410)가 소정 각도 회전되어 이동제한부(440)와 돌출홈부(222)가 커넥터바디(2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 중심축이 돌출홈부(222)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위치된다.
유동방지부(800)는 제1삽입부(2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제1삽입부(210)로 삽입된 슬리브부(100)가 고정부(400)와 체결되기에 앞서 제1삽입부(210)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유동방지부(800)는 슬리브부(100)가 고정부(400)와 체결되기 전 제1삽입부(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슬리브부(100)를 제1삽입부(210) 내에서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800)는 유동방지부재(810), 탄성부(820), 미끄럼방지부(830), 개방유도부(840)를 포함한다.
유동방지부재(810)는 커넥터바디(20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유동방지부재(810)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한 쌍의 유동방지부재(81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삽입부(210)를 개폐한다. 유동방지부재(810)는 제1삽입부(210)를 향해 삽입되는 슬리브부(100)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되어 제1삽입부(210)를 개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방지부재(810)는 일측이 제1삽입부(210)를 감싸는 커넥터바디(200)의 내측면에 제1삽입부(210)의 연장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한 쌍의 유동방지부재(810)의 타측 단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 쌍의 유동방지부재(810)는 후술하는 탄성부(820)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삽입부(210)를 폐쇄한다. 한 쌍의 유동방지부재(810)는 슬리브부(100)가 제1삽입부(210)를 향해 삽입되는 경우, 접속부(120)의 단부에 접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삽입부(210)를 개방한다. 유동방지부재(810)는 고정부(4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1삽입부(210)의 입구측, 즉 제1삽입부(210)의 전방측에 배치된다.
탄성부(820)는 커넥터바디(200)와 유동방지부재(810)의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유동방지부재(810)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820)는 길이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820)는 양단부가 각각 유동방지부재(810)의 일측과 커넥터바디(200)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탄성부(820)는 유동방지부재(810)에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며 한 쌍의 유동방지부재(810)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미끄럼방지부(830)는 유동방지부재(81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제1삽입부(210)로 삽입된 슬리브부(100)의 외측면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방지부(830)는 유동방지부재(810)의 타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830)는 고무, 실리콘 등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830)는 슬리브부(100)가 제1삽입부(210)로 완전히 삽입된 경우 안착부(130)에 접해 슬리브부(100)가 제1삽입부(210)의 연장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방유도부(840)는 슬리브부(100)로부터 유동방지부재(810)로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이 탄성부(820)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유동방지부재(810)의 전면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방유도부(840)는 경사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유동방지부재(810)의 타측 단부의 전방 모서리에 배치된다. 개방유도부(84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한 쌍의 유동방지부재(810)에 각각 형성된다. 한 쌍의 개방유도부(840)는 유동방지부재(810)의 전면으로 향할 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1)의 조립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작업자는 지상에서 점퍼선(2)의 일단부에 압축부(110)를 압축 고정시킨 후, 점퍼선(2)의 타단부를 고압전선(4)에 연결한다.
이후, 활선 스틱 등과 같은 작업 공구를 이용하여 커넥터바디(200)를 슬리브부(100)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시킨다.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부(430)에 작업 공구가 연결된 상태에서 고정부재(410)를 회전시킨다.
고정부재(410)는 방향지시부(700)의 중심축이 돌출홈부(222)의 중심축의 연장선상에 위치되는 지점까지 회전된다. 이 경우, 이동제한부(440)는 커넥터바디(2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돌출홈부(222)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후 작업자는 작업 공구를 당겨 고정부재(410)를 하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고정부재(410)가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됨에 따라 이동제한부(440)는 돌출홈부(222)를 통해 제2삽입부(220)의 외부로 노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고정부재(410)를 다시 소정 각도 회전시켜 방향지시부(700)의 중심축을 돌출홈부(222)의 중심축과 서로 다른 직선상에 위치시킨다.
이후 작업 공구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됨에 따라 고정부재(410)는 가압부(500)의 가압력에 의해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동제한부(440)는 커넥터바디(200)의 하면에 접촉되어 고정부재(410)의 일단부가 제1삽입부(210)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접속부(120)의 단부를 개방유도부(840)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슬리브부(100)를 제1삽입부(21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압한다.
접속부(120)의 단부를 통해 개방유도부(840)로 전달되는 외력의 방향은 개방유도부(840)의 경사 각도에 의해 탄성부(820)를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유도된다.
탄성부(820)가 길이 방향으로 압축됨에 따라 한 쌍의 유동방지부재(81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삽입부(210)를 개방한다.
접속부(120)는 제1삽입부(210)의 타단부를 향해 삽입되고, 접속부(120)에 형성된 관통홀은 커넥터바디(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동축상으로 적층된다.
접속부(120)의 단부는 단자부(300)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복수개의 접속부(120)는 단자부(3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접속부(120)가 제1삽입부(210)로 완전히 삽입됨에 따라 한 쌍의 유동방지부재(810)는 탄성부(820)에 의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유동방지부재(810)의 단부에 형성된 미끄럼방지부(830)는 접속부(120)와 압축부(110)의 사이에 배치된 안착부(130)에 안착되고, 마찰력에 의해 슬리브부(100)가 제1삽입부(210)의 연장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작업자는 고정부재(410)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방향지시부(700)의 중심축을 돌출홈부(222)의 중심축과 동일한 직선상에 위치시킨 후 연결부(430)에 가해지는 외력을 제거한다.
연결부(43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됨에 따라 고정부재(410)는 가압부(500)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 경우, 이동제한부(440)는 돌출홈부(220)를 통해 제2삽입부(220)의 내부로 삽입되고, 고정부재(410)의 일단부는 제1삽입부(210)의 내부로 진입된다.
제1삽입부(210)의 내부로 진입된 고정부재(410)의 일단부는 접속부(120)에 형성된 관통홀의 내부로 삽입되며 슬리브부(100)와 체결된다.
고정부재(410)가 슬리브부(100)와 완전히 체결된 경우, 제1표시부(610)는 제2삽입부(2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표시부(620)만이 제2삽입부(2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제2색상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고정부재(410)와 슬리브부(100)의 체결 상태를 외부에서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1)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1)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1)는 커넥터바디(200)에 형성된 복수개의 제1삽입부(210)의 타단부가 연통되지 않고 상호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제2삽입부(22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타단부가 각각의 제1삽입부(210)에 개별적으로 연통된다.
고정부(4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의 제2삽입부(22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복수개의 고정부(400)는 복수개의 제1삽입부(210)로 삽입된 슬리브부(100)에 개별적으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제1삽입부(210)로 삽입된 접속부(120)에 형성된 관통홀을 동축상으로 정렬시키지 않고도 슬리브부(100)를 고정부(400)와 체결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2 : 점퍼선
3 : 전주 4 : 고압전선
100 : 슬리브부 110 : 압축부
120 : 접속부 130 : 안착부
200 : 커넥터바디 210 : 제1삽입부
220 : 제2삽입부 221 : 걸림부
222 : 돌출홈부 300 : 단자부
400 : 고정부 410 : 고정부재
420 : 가이드부 430 : 연결부
440 : 이동제한부 500 : 가압부
600 : 표시부 610 : 제1표시부
620 : 제2표시부 700 : 방향지시부
800 : 유동방지부 810 : 유동방지부재
820 : 탄성부 830 : 미끄럼방지부
840 : 개방유도부

Claims (13)

  1. 일측이 서로 다른 점퍼선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슬리브부;
    내부에 복수개의 상기 슬리브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커넥터바디;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로 삽입된 복수개의 상기 슬리브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단자부;
    상기 커넥터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슬리브부와 체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커넥터바디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슬리브부로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바디는,
    상기 슬리브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삽입부; 및
    상기 고정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부와 연통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제1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슬리브부와 체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삽입부의 내측면에 접해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작업 공구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슬리브부의 체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부는,
    상기 점퍼선의 단부에 압축되어 고정되는 압축부; 및
    상기 압축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단부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고정부재가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삽입부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고정부재의 표면에서 제1색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제1표시부; 및
    상기 고정부재가 일측으로 완전히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삽입부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고정부재의 표면에서 제2색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7. 일측이 서로 다른 점퍼선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슬리브부;
    내부에 복수개의 상기 슬리브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커넥터바디;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로 삽입된 복수개의 상기 슬리브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단자부;
    상기 커넥터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슬리브부와 체결되는 고정부; 및
    상기 커넥터바디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슬리브부로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바디는,
    상기 슬리브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삽입부; 및
    상기 고정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부와 연통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삽입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일단부가 상기 제1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슬리브부와 체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삽입부의 내측면에 접해 상기 고정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작업 공구와 연결 가능하게 구비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2삽입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고정부재가 일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고정부재가 타측으로 소정 거리 이상 이동됨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고정부재가 소정 각도 회전됨에 따라 상기 커넥터바디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회전 각도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방향지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제1삽입부로 삽입된 각각의 상기 슬리브부에 개별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11. 삭제
  12. 일측이 서로 다른 점퍼선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슬리브부;
    내부에 복수개의 상기 슬리브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커넥터바디;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로 삽입된 복수개의 상기 슬리브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단자부;
    상기 커넥터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커넥터바디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슬리브부와 체결되는 고정부;
    상기 커넥터바디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를 상기 슬리브부로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바디는,
    상기 슬리브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1삽입부; 및
    상기 고정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부와 연통되는 제2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슬리브부의 유동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커넥터바디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삽입부를 향해 삽입되는 상기 슬리브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 연동되어 상기 제1삽입부를 개방하는 한 쌍의 유동방지부재;
    상기 커넥터바디와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유동방지부재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 및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삽입부로 삽입된 상기 슬리브부의 외측면에 접촉되는 미끄럼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상기 슬리브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의 방향이 상기 탄성부가 압축되는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상기 유동방지부재의 전면에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개방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KR1020210066503A 2021-05-24 2021-05-24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KR102539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03A KR102539524B1 (ko) 2021-05-24 2021-05-24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6503A KR102539524B1 (ko) 2021-05-24 2021-05-24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546A KR20220158546A (ko) 2022-12-01
KR102539524B1 true KR102539524B1 (ko) 2023-06-05

Family

ID=8444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6503A KR102539524B1 (ko) 2021-05-24 2021-05-24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5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394B1 (ko) * 1995-12-27 1999-11-01 정몽규 케이블 터미널 연결장치
KR101324735B1 (ko) * 2013-08-01 2013-11-05 대한전기감리(주) 전주 상부 지지대
KR101607650B1 (ko) * 2015-12-21 2016-03-30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설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394B1 (ko) * 1995-12-27 1999-11-01 정몽규 케이블 터미널 연결장치
KR101324735B1 (ko) * 2013-08-01 2013-11-05 대한전기감리(주) 전주 상부 지지대
KR101607650B1 (ko) * 2015-12-21 2016-03-30 주식회사 현대이앤아이 지중배전라인의 안정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설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546A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5414B1 (en)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CN106233541B (zh) 具有联接机构的连接器
CN101340039B (zh) 具有可视指示器的高压电连接器
US20180337501A1 (en) Travel adapter
CN108432053A (zh) 高速板连接器
JP5059710B2 (ja) 差込み可能なプリントクリップ
CN101521331B (zh) 电插座
CN104348027A (zh) 快速连接电力连接器隔离系统
CN101635236B (zh) 熔断器模块及接线装置和形成熔断器夹持件的方法
KR102098381B1 (ko) 배전선로의 접속 연결장치
CA2595997C (en) Terminal contact for electric conductors
KR102539524B1 (ko) 배전선로용 점퍼선 연결 장치
CN106233542B (zh) 具有联接机构的连接器
US5413498A (en) Self-locking female receptor for electrical cord
EP2143175A1 (de) Elektrischer verbinder
CN101989683A (zh) 电缆系统
US7380322B2 (en) Device for insertion of contacts into connector insulator cavities
DE10346916A1 (de) Verbinder und Verbinderanordnung
US9466937B2 (en) Crimping pliers
US7611372B2 (en) Rotatably locking plug and connector
US20080166913A1 (en) View portal seating indicator
US20070197094A1 (en) Contacts For Use In Monitoring Connection Patterns In Data Ports
US4772226A (en) Socket for a round plug having the same contact pattern
CN115021005A (zh) 一种线缆连接器
CN107112705B (zh) 复合模、压痕压接模组合以及具有这样的模组合的压接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