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9431B1 -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431B1
KR102539431B1 KR1020220128740A KR20220128740A KR102539431B1 KR 102539431 B1 KR102539431 B1 KR 102539431B1 KR 1020220128740 A KR1020220128740 A KR 1020220128740A KR 20220128740 A KR20220128740 A KR 20220128740A KR 102539431 B1 KR102539431 B1 KR 102539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oiler
legs
hol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김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훈 filed Critical 김명훈
Priority to KR102022012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431B1/ko
Priority to KR1020230068286A priority patent/KR20240049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inorganic inhibitors
    • C23F11/187Mixtures of inorganic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2Softening water by precipitation of the hardness
    • C02F5/04Softening water by precipitation of the hardness using phosph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3Mixing liquids with solids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2Control or regul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system, e.g. torque, speed or power of motors; of the position of mixing device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40Mounting or supporting mixing devices or receptacles; Clamping or holding arrangements therefor
    • B01F35/43Supporting receptacles on frames or st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2Feed mechanisms for feeding fl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6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markedly alkaline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inorganic inhibitors
    • C23F11/182Sulfur, boron or silico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1/00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 C23F11/0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 C23F11/18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by applying inhibitors to the surface in danger of corrosion or adding them to the corrosive agent in other liquids using inorganic inhibitors
    • C23F11/187Mixtures of inorganic inhibitors
    • C23F11/188Mixtures of inorganic inhibitors containing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FNON-MECHANICAL REMOVAL OF METALLIC MATERIAL FROM SURFACE;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MULTI-STEP PROCESSES FOR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INVOLVING AT LEAST ONE PROCESS PROVIDED FOR IN CLASS C23 AND AT LEAST ONE PROCESS COVERED BY SUBCLASS C21D OR C22F OR CLASS C25
    • C23F14/00Inhibiting incrustation in apparatus for heating liquids for physical or chemical purposes
    • C23F14/02Inhibiting incrustation in apparatus for heating liquids for physical or chemical purposes by chem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8Corrosion inhib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취급이 용이한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상의 수산화나트륨 100 중량부 대비, 고상의 메타인산나트륨 30 내지 50 중량부, 고상의 제3인산나트륨 30 내지 50 중량부 및 고상의 아황산나트륨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POWDER TYPE BOILER COMPOUND AND COMP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취급이 용이한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용 보일러는 그 용량이 시간당 생산하는 증기의 양으로 구분되는데, 0.3톤에서 수십톤에 이르는 보일러가 존재한다. 예로 1톤의 보일러는 시간당 1톤의 증기를 생산하는 것이며 이 보일러가 24시간 가동이 된다면 24톤의 증기를 생산했다는 것이다.
24톤의 증기를 생산했다는 것은 최소 24톤의 물이 보일러에서 끓여지고 증발되었다는 것인데, 이때 물속의 불순물이 스케일을 형성하여 수관에 붙으면 연료를 사용하여 열을 가할 때 전도율이 떨어져서 연료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액상의 청관제를 이용하였다.
또한 스팀 보일러는 증기를 생성함에 있어서 열을 가해 보일러 내부에서 고온, 고압을 형성한다. 이때 물의 ph는 중성/약알칼리를 나타내는데 고온, 고압의 조건에서는 철이 부식을 일으킨다. 고온, 고압의 조건에서 스팀 보일러 내부의 수관이 부식을 가장 적게 일으키는 조건이 ph10.5~11.8의 알칼리 조건이다. 이것 또한 보일러 청관제에 의해서 조절되어 부식을 억제한다.
즉, 보일러 청관제란 산업용 스팀 보일러 내부 수관의 부식 및 스케일을 방지하여 연료비 절감과 수명 연장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보일러 청관제의 사용은 스팀 보일러가 가동되는 모든 시간에 주입되며, 예로 365일 24시간 보일러가 가동이 되면 청관제도 그와 동일하게 주입된다.
종래의 기술인 공개특허 제10-2011-0036473호(이하 종래기술)는 보일러 등과 같이 물을 취급하는 시설의 배관 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중성 청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acid)제 0.8 ~ 68.0 중량%, 킬레이트제 0.5 ~ 19.5 중량%로 구성된 약산성 100 중량% 용액과 상기 산성 용액의 pH를 중성으로 맞추기 위하여 완충제로 염기성물질을 사용하고 나머지는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금속 배관에 투입, 분사 또는 함침 적용하여 적녹의 제거 및 적녹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부동태 피막은 보호하는 pH가 중성인 청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청관제가 액상의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되어 취급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관 및 운반 등 취급이 용이한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일러 청관제와 물을 용이하게 교반할 수 있도록 하는 청관액 제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구성 및 특징을 갖는다.
고상의 수산화나트륨 100 중량부 대비, 고상의 메타인산나트륨 고상의 수산화나트륨 100 중량부 대비, 고상의 메타인산나트륨 30 내지 50 중량부, 고상의 제3인산나트륨 30 내지 50 중량부 및 고상의 아황산나트륨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보일러 청관제를 이용한 청관액 제조장치로서, 바디 및 상기 바디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바퀴를 포함하는 이동수단; 상기 바디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보일러 청관제와 물이 수용되는 수용통; 및 선단이 상기 수용통에 연통되고 후단이 상기 보일러에 연통되는 공급호스;를 포함한다.
또한 한 쌍의 제1다리, 상기 제1다리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다리, 한 쌍의 제1다리 및 한 쌍의 제2다리의 하부를 연결하고 상부에 상기 수용통이 안착되는 안착판, 한 쌍의 제1다리 상부를 연결하는 제1거치판, 한 쌍의 제2다리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거치판과 이격 배치되는 제2거치판을 포함하는 거치수단; 및 상기 제1거치판 및 상기 제2거치판 상부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1거치판 및 상기 제2거치판 사이에 배치되는 교반축을 포함하는 교반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통은, 상기 안착판 상부에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상단부, 상기 바닥부 둘레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단부 둘레와 연결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 상단을 덮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일러 청관제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이 관통되는 축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보관 및 운반 등 취급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보일러 청관제 및 물을 용이하게 교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관액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관액 제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감지부 및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감지부가 생성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연통)" 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연통)”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청관제(분말형 보일러 청관제)는 보일러 장치 배관 등의 내부 부식 발생 및 내벽면의 스케일 생성 등을 억제하는 동시에, 보관 및 이동과 같은 취급이 용이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조성물’이라 칭하기로 한다.
본 조성물(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청관제)은 고상의 수산화나트륨, 고상의 메타인산나트륨, 고상의 제3인산나트륨 및 고상의 아황산나트륨을 포함한다.
수산화나트륨은 본 조성물에서 pH 조절제 및 스케일 방지제로 사용된다.
보일러 관수 내에 잘못된 약품 첨가로 알칼리의 농도가 높아서 pH가 12이상의 강알칼리성을 나타낼 경우 철의 산화물을 용해하는 경향이 강하여 알칼리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수산화나트륨은 제삼인산나트륨과 함께 보일러내 관수에서 완충 용액(Buffer Solution) 작용을 하여 어떠한 운전 조건에서도 pH를 강의 침식도가 가장 작아지는 11 전후인 10.5~11.8로 유지시켜준다.
또한 수산화나트륨은 스케일 방지 효과가 탁월한데, 보일러 내의 주요 스케일 성분은 중탄산칼슘, 황산칼슘, 중탄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실리카 등이 있다.
이때 수산화나트륨은 제3인산나트륨과 함께 사용되어 염화마크네슘, 실리카 등을 슬럿지화 하여 스케일 생성을 억제한다.
본 조성물에서 수산화나트륨은 고상 상태이고, 100 중량부가 포함되는데,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조성물의 각 성분들은 수산화나트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메타인산나트륨(sodium metaphosphate, Natriummetaphosphat)은 인산이수소나트륨 또는 피로인산수소나트륨을 가열 탈수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고리 모양 메타인산나트륨(삼메타인산나트륨 및 사메타인산나트륨),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마드렐염 및 쿠롤염) 및 메타인산나트륨 유리(그레이엄염)의 3종류로 크게 나누어진다.
이러한 메타인산나트륨은 수관 내벽에 보호피막을 형성하여 부식인자의 활성을 억제하기 때문에 방청 및 방식 작용이 탁월하다.
즉, 메타인산나트륨은 스케일 및 부식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공업용수 처리, 파이프 방식, 조염제(助染劑), 분산제, 식육 결착제(食肉結着劑), 아이스크림, 치즈의 안정제, 과즙의 침전, 혼탁 방지, 통조림의 스트루브석 방지, 식품의 변색, 비타민 C 분해 등의 저지, 센물 연화, 기타 세정제, 시멘트 경화 촉진제, 추출 촉진제 등의 용도에 사용된다.
즉, 본 조성물은 메타인산나트륨을 포함하여 보일러의 배관 등의 부식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메타인산나트륨은 고상 상태로 고상 상태의 수산화나트륨 등과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수산화나트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50 중량부가 사용될 수 있다.
메타인산나트륨이 30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보호피막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부식 발생 효과가 충분치 않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부식 발생 효과의 상승 정도는 미미한데 비해 본 조성물의 제조 비용을 지나치게 상승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제3인산나트륨(Na3PO4)은 상기한 수산화나트륨과 같이 사용되어 보일러 내의 관수의 pH를 조절하고 관내의 스케일 발생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3인산나트륨은 수산화나트륨과 함께 사용되어 pH를 상기한 10.5~11.8로 유지한다. 또한 스케일 성분 중 황산칼슘 등과 만응하여 슬럿지를 생성하므로 스케일 생성을 억제한다.
제3인산나트륨은 본 조성물에서 마찬가지로 고상 상태로 수산화나트륨 등과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제3인산나트륨은 수산화나트륨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50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30 중량부 미만일 사용될 경우, 보일러 내 관수의 pH가 12를 초과하게 되며, 동시에 황산칼슘의 슬럿지화가 충분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3인산나트륨이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금속 표면의 군데군데 푸르스름한 색깔이 나타나거나 침전물이 형성되는 단점이 있다.
아황산나트륨(sodium sulfite)은 나트륨의 수용성 화합물로서, 배연탈황 과정의 일부인 이산화황 가스세정의 생산물이다. 또한 무색 결정으로, 비중 1.59이고, 37℃ 이상에서는 무수염이 된다. 무수염은 무색의 결정 또는 분말이며, 가열에 의해 분해된다. 공기 중에서는 서서히 산화되나, 7수화염보다는 안정하다.
이러한 아황산나트륨은 탄산나트륨 수용액에 이산화황(아황산가스)을 통과시켜 아황산수소나트륨 용액을 만들고, 이것을 당량(當量)의 탄산나트륨으로 중화시켜 37℃ 이하에서 증발·농축하면 얻는다. 또 수산화나트륨의 진한 용액을 냉각시키면서, 이것에 이산화황을 통과시켜 중화해도 생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보일러 내 수관은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 제1철의 보호피막을 생성하지만, 물속에 용존산소가 존재하면 이 보호피막은 파괴되어 부식(점식)을 발생시킨다.
이때 아황산나트륨은 보일러 장치의 물에 용해된 용존산소와 반응하여 황산나트륨을 생성시켜, 물에 용해된 용존산소를 제거하므로, 보일러의 관 등에 부식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아황산나트륨은 마찬가지로 본 조성물에서 고상 상태로 수산화나트륨 등과 혼합될 수 있으며, 10 내지 3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아황산나트륨이 10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용존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으며, 아황산 나트륨이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용존산소 제거능의 상승효과는 미미한 반면 본 조성물의 제조 비용을 지나치게 증대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조성물은 고상의 수산화나트륨, 고상의 메타인산나트륨, 고상의 제3인산나트륨 및 고상의 아황산나트륨을 포함하여, 종래의 액상의 청관제(청관액)와 비교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관액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관액 제조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관액 제조장치(D)(청관장치)(이하 ‘본 장치’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장치는 상술한 본 조성물을 이용한 청관액 제조장치, 상술한 본 조성물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장치는 이동수단(1), 수용통(2) 및 공급호스(3)를 포함한다.
이동수단(1)은 바디(11) 및 바디(11) 하부에 구비되는 이동바퀴(12)(캐스터)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1)는 후술하는 수용통(2) 또는 후술하는 거치수단(4)이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수용통(2)은 상기 바디(11) 상부에 배치되고, 상의 수산화나트륨 100 중량부 대비, 고상의 메타인산나트륨 30 내지 50 중량부, 고상의 제3인산나트륨 30 내지 50 중량부 및 고상의 아황산나트륨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보일러 청관제와 물이 수용된다. 상기 보일러 청관제는 수용통(2)에서 물에 용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바디(11) 상부에 후술하는 거치수단(4)이 배치되고, 상기 거치수단(4)의 후술하는 안착판(43) 상에 상기한 수용통(2)이 배치될 수 있다.
공급호스(3)는 선단이 수용통(2)에 연통되고 후단이 상기 보일러에 연통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선단 및 후단은 공급호스(3)에서 보일러 청관제 및 물이 혼합된 청관액의 이동 경로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상기한 청관액은 공급호스(3)의 선단 측에서 후단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공급호스(3)에는 공지된 기술인 펌프 등이 연결 및 연통되고, 상기 수용통(2)의 청관액은 펌프에 의해 공급호스(3)를 통해 보일러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보일러 청관제와 물이 수용되는 수용통(2)과 상기한 수용통(2)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1)을 포함함으로써, 청관액을 보일러 근처에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 청관제를 분말형의 고상으로 제조한 상태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많이 나가는 상기한 청관액을 보일러 측으로 이동시키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장치는 상기 바디(11)의 상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다리(41) 및 상기 바디(11)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다리(41)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다리(42)를 포함하는 거치수단(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방(우측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A’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좌측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상기 ‘A’방향의 역 방향을 의미한다.
제1다리(41) 및 제2다리(42) 모두 수직 방향과 평행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제1다리(41) 및 제2다리(42)는 하단이 상기 바디(11) 상부에 지지된 상태로 세워져 배치될 수 있다.
거치수단(4)는 한 쌍의 제1다리(41) 및 한 쌍의 제2다리(42)의 하부를 연결하고 상부에 상기 수용통(2)이 안착되는 안착판(4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다리(41) 및 한 쌍의 제2다리(42) 각각은 그 하부가 안착판(4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거치수단(4)은 한 쌍의 제1다리(41) 상부를 연결하는 제1거치판(44) 및 한 쌍의 제2다리(42) 상부를 연결하고 제1거치판(44)과 전후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제2거치판(4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상기 제1거치판(44) 및 제2거치판(45) 상부에 배치되는 구동부(51), 및 상기 구동부(51)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51)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1거치판(44)과 상기 제2거치판(45) 사이에 배치되는 교반축(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동부(51)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한 교반축(52)은 상기한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51)는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 동작을 제어하여 샤프트를 회전(ON) 또는 비회전(OFF)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교반수단(5)는 상기 교반축(52)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교반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거치판(44) 및 제2거치판(45)이 전후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제1거치판(44) 및 제2거치판(45) 상부에 배치되는 구동부(51)에 연결되는 교반축(52)이 제1거치판(44) 및 제2거치판(45) 사이에 배치(평면상에서 봤을 때를 기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통(2)은 상기 안착판(43) 상부에 배치되는 바닥부(미도시), 상기 바닥부(미도시)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상단부(22) 및 상기 바닥부 둘레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단부(22) 둘레와 연결되는 측벽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닥부(미도시)와 상단부(22)는 평면상에서 봤을 때 원형일 수 있으며, 따라서 수용통(2)은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수용통(2)은 상기 상단부(22)를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일러 청관제와 물이 투입되는 투입구(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일러 청관제와 물은 상기 투입구(23)를 통해 상기 바닥부와 측벽부(21)가 형성하는 수용통(2)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용통(2)은 상기 상단부(22)를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52)이 관통되는 축공(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공(24)은 교반축(52)이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장치는 교반축(52)의 하부가 투입구(23)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배치되지 않고 축공(24)을 통해 수용공간에 배치되므로, 교반축(52)이 투입구(23)를 가리지 않아 보일러 청관제와 물 등을 상기 수용공간으로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보일러 청관제와 물은 교반수단(5)에 의해 수용통(2)에서 교반되어 상기한 청관액으로 제조되고, 청관액은 공급호스(3)를 통해 보일러로 투입될 수 있다.
도 4는 감지부 및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감지부가 생성하는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개폐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용통으로 물을 공급하는 유입호스(6)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호스(6)는 예시적으로 선단이 물탱크와 연통되고 후단이 상기 수용통(2)과 연통될 수 있다.
유입호스(6)는 예시적으로 공지된 기술인 펌프와 연결 및 연통될 수 있고, 유입호스(6)에서 물은 상기한 펌프 등에 의해 선단에서 후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유입호스(6)를 개폐하는 개폐부(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7)는 예시적으로 후술하는 제어부(9)의 전자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전자밸브(예시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드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통(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통의 수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감지부(8)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8)는 예시적으로 수위감지센서 등일 수 있으며, 상단이 상기 하우징(11)에 고정 설치된 상태로 하부가 상기 수용통(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수위감지센서는 상기 수용통(2)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1기준높이 미만일 경우 미만신호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수용통(2)의 수위가 기 설정된 제2기준높이를 초과할 경우 초과신호를 포함하는 감지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8)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에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다양한 제어 구성 또는 컴퓨팅 장치(예를 들면, 컴퓨터, 프로세서 등의 다양한 전자 장치 또는 전자 모듈)가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9)는 그에 포함된 프로그램이나 알고리즘에 따라 생성된 신호나 명령을 개폐부(8) 후술하는 발광부 등에 전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는 구동부(51) 또는 감지부(8) 또는 개폐부(7)에에 포함(설치)되는 내재적 구성이거나, 구동부(51), 감지부(8), 개폐부(7)와 이웃하는 위치에 구동부(51), 감지부(8), 개폐부(7)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구동부(51), 감지부(8), 개폐부(7)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독립적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8)는 상기 미만신호를 수신할 경우 개방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에는 LED 램프 등을 포함하는 발광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장치의 발광부는 상기 개방신호를 수신할 경우 발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개폐부(8)는 상기 미만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유입호스(6)가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8)는 상기 초과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교반축(52)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51)의 모터를 동작시키는 교반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본 조성물은 기능성첨가재(G)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내피재(G1) 0.2 중량부 대비, 헥사데케인(hexadecane)을 포함하는 열완충재(G2) 0.1 중량부,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또는 폴리에스터로 구성되는 이루어지는) 흡음재(G3) 0.3 중량부,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0.2 중량부, 스프링강을 포함하는(또는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G5) 0.2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피재(G1)는 상기 열완충재(G2)를 감싸는 구형이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내피재(G1)를 감싸되 외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고,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상기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되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탄성체(G5)의 내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마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5)는 코일 형상이며 상기 삽입홈에 내측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흡음재(G3)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내측이란 상기 기능성첨가재(G)의 후술하는 단위체(GU)의 중심측을 의미하며, 외측은 상기 중심측에서 방사상 방향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여, 기능성첨가재(G)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내피재(G1)는 구 형상이며, 알루미늄 재질이고, 내측에 후술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한 내피재(G1)는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내피재(G1)가 0.2 중량부를 초과 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키며, 0.2 중량부 미만인 경우 후술하는 열완충재(G2)를 충분히 감싸지 못해 열완충재(G2)가 소실될 우려가 있다.
흡음재(G3)는 상기한 내피재(G1) 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폴리에스터를 포함하여 소리 음파를 흡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음재(G3)는 외면(표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어서, 소리 음파와 접촉 면적이 많기 때문에 흡음 성능이 보다 향상된다.
흡음재(G3)는 0.3 중량부가 포함되는데, 흡음재(G3)가 0.3 중량부 미만일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흡음 성능이 떨어지고 0.3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기능성첨가재(G)의 분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피재(G1)가 상기한 흡음재(G3)의 내측에 구비되기 때문에, 흡음재(G3)를 통과하는 소리 음파가 내피재(G1)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한 흡음재(G3)의 내측에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내피재(G1)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수용공간에 채워지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헥사데케인을 포함할 수 있다.
헥세데케인(C16H34)는 융점이 약 18.2℃인 상변화물질(Phase Change Material, PCM)이다.
상변화물질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라 상(Phase)이 변할 때, 온도의 변화 없이 잠열(Latent heat)의 형태로 외부 요인 없이 능동적으로 열을 저장·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상변화가 일어날 때 온도변화 없이 출입하는 열인 잠열(Latent heat)은, 상변화를 수반하지 않고 온도변화를 보이며 출입하는 열인 현열(Sensible heat)에 비해서 현저하게 높은 열량을 갖는다. 이 특징을 이용해서 높은 양의 열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온도를 유지 시키는데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융점을 변화시키기 위해 헥세데케인 이외에 운데칸(Undecane), 도데칸(Dodecane), 트리데칸(Tridecane), 테트라데칸(Tetradecane), 펜타데칸(Pentadecane), 헥사데칸(Hexadecane), 헵타데칸(Heptadecane), 옥타데칸(Octadecane), 노나데칸(Nonadecane) 및 에이코산(Eicosane), 트라이아콘테인(Triacontane)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완충재(G2)의 융점은 상온인 15~25℃ 범위 내에서 조절 될 수 있다.
상기한 열완충재(G2)는 상기한 내피재(G1)의 온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라서 열완충재(G2)가 고온에서 팽창하거나 또는 저온에서 수축하여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내피재(G1)의 균열에 따른 열완충재(G2)의 소실 억제와, 소리 음파 반사능의 저하를 억제하여 기능성첨가재(G)의 흡음 성능을 온도 변화에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피재(G1) 및 상기한 흡음재(G3)가 상기한 열완충재(G2)와 연교환을 하여 결과적으로 열완충재(G2)와 본 조성물의 다른 성분 또는 물 등(GS)과 열교환을 이루도록 하여, 본 조성물의 다른 성분 또는 물 등(GS)의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 및 팽창에 따른 균열, 손상, 변형 발생 등을 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열완충재(G2)는 상술한 바와 같이 0.1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는데, 열완충재(G2)가 0.1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내피재(G1)가 특정 온도(예시적으로 15~25℃ 또는 약 18.2℃)에서 벗어나는 걸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없으며, 열완충재(G2)가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상술한 내피재(G1)의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피-스티렌술포닉산을 포함 할 수 있는데, 더하여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피-스티렌술포닉산과 하이드로겔 프레-폴리머를 혼합(1:19 비율)하고 UV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흡음재(G3) 외측에 구비된다.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0.2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2 중량부 미만이 사용될 경우 음전하가 충분하지 않으며, 0.2 중량부가 초과되는 경우 기능성첨가재(G)의 무게를 지나치게 증대시켜 분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조성물에 기능성첨가재(G)의 단위체(GU)가 다수 포함될 수 있는데, 교반 또는 이동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단위체(GU)간 정전기적 척력에 의해 상호 밀어내어 본 조성물에서 다수의 단위체(GU)들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이웃하는 단위체(GU)간의 충돌 또는 본 조성물의 다른 물질과의 충돌을 억제하여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G5)는 상기한 흡음재(G3)의 외부(외면, 표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스프링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음재(G3)는 마루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3)는 내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구조적을 안정되게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G3)는 코일 형상이며 흡음재(G3)의 마루 외측단부에 구비되어 단위체(GU)의 탄성을 부가한다.
따라서 다수의 단위체(GU)가 포함된 본 조성물을 교반하는 과정에서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충돌함에 따라 단위체(GU)가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고, 코일 형상의 탄성체(G5)가 압축되어 탄성 복원됨에 따라 이웃하는 단위체(GU)가 상호 멀어지도록 하여 본 조성물에서 단위체(GU)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청관액 제조장치: D
이동수단: 1 바디: 11
이동바퀴: 12 수용통: 2
측벽부: 21 상단부: 22
투입구: 23 축공: 24
거치수단: 4 제1다리: 41
제2다리: 42 안착판: 43
제1거치판: 44 제2거치판: 45
교반수단: 5 구동부: 51
교반축: 52 유입호스: 6
개폐부: 7 감지부: 8
제어부: 9

Claims (4)

  1. 고상의 수산화나트륨 100 중량부 대비, 고상의 메타인산나트륨 30 내지 50 중량부, 고상의 제3인산나트륨 30 내지 50 중량부 및 고상의 아황산나트륨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기능성첨가재(G)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능성첨가재(G)는,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내피재(G1) 0.2 중량부 대비, 헥사데케인(hexadecane)을 포함하는 열완충재(G2) 0.1 중량부, 폴리에스터를 포함하는 흡음재(G3) 0.3 중량부, 피-스티렌술포닉산(p-styrenesulfonic acid, SSNa)을 포함하는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 0.2 중량부, 스프링강을 포함하는 탄성체(G5) 0.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피재(G1)는 상기 열완충재(G2)를 감싸는 구형이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내피재(G1)를 감싸되 외면이 반구형의 마루와 골이 반복되는 요철 형상이고, 상기 음이온성 폴리머 물질(G4)은 상기 흡음재(G3)의 골에 구비되고, 상기 흡음재(G3)는 상기 탄성체(G5)의 내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마루에서 내측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G5)는 코일 형상이며 상기 삽입홈에 내측 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흡음재(G3)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청관제.
  2. 삭제
  3. 청구항 1에 기재된 보일러 청관제를 이용한 청관액 제조장치로서,
    상기 보일러 청관제와 물이 수용되는 수용통; 및
    선단이 상기 수용통에 연통되고 후단이 상기 보일러에 연통되는 공급호스;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관액 제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한 쌍의 제1다리, 상기 제1다리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2다리, 한 쌍의 제1다리 및 한 쌍의 제2다리의 하부를 연결하고 상부에 상기 수용통이 안착되는 안착판, 한 쌍의 제1다리 상부를 연결하는 제1거치판, 한 쌍의 제2다리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거치판과 이격 배치되는 제2거치판을 포함하는 거치수단; 및
    상기 제1거치판 및 상기 제2거치판 상부에 배치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1거치판 및 상기 제2거치판 사이에 배치되는 교반축을 포함하는 교반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통은, 상기 안착판 상부에 배치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상단부, 상기 바닥부 둘레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단부 둘레와 연결되는 측벽부, 상기 측벽부 상단을 덮는 상단부, 상기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보일러 청관제가 투입되는 투입구, 상기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교반축이 관통되는 축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관액 제조장치.
KR1020220128740A 2022-10-07 2022-10-07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 KR10253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740A KR102539431B1 (ko) 2022-10-07 2022-10-07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
KR1020230068286A KR20240049142A (ko) 2022-10-07 2023-05-26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740A KR102539431B1 (ko) 2022-10-07 2022-10-07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286A Division KR20240049142A (ko) 2022-10-07 2023-05-26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431B1 true KR102539431B1 (ko) 2023-06-01

Family

ID=867705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740A KR102539431B1 (ko) 2022-10-07 2022-10-07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
KR1020230068286A KR20240049142A (ko) 2022-10-07 2023-05-26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286A KR20240049142A (ko) 2022-10-07 2023-05-26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3943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7705A (ja) * 2006-04-06 2007-11-15 Nippon Steel Corp 表面処理金属部材
KR102246330B1 (ko) * 2021-01-21 2021-04-28 김재성 고압 배관 세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7705A (ja) * 2006-04-06 2007-11-15 Nippon Steel Corp 表面処理金属部材
KR102246330B1 (ko) * 2021-01-21 2021-04-28 김재성 고압 배관 세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142A (ko)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3601T3 (es) Uso de sales de cerio para inhibir la deposición de manganeso en sistemas acuosos.
KR101530499B1 (ko) 스크러버 시스템 및 방법
US3723347A (en) Corrosion inhibition compositions containing substituted diamine phosphonates and processes for using the same
US8277662B2 (en) Steam boiler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0472266B2 (en) Multiple uses of amine salts for industrial water treatment
JP5946363B2 (ja) 水系におけるシリカ系スケールの防止方法及びスケール防止剤、並びにシリカ系スケールを抑制するとともに金属の腐食を抑制する水処理方法及び水処理剤
CN101746899A (zh) 一种新缓蚀阻垢剂
CN101195919B (zh) 一种成膜缓蚀剂及其应用
JPH07500286A (ja) 水組成物
JP2010202893A (ja) 腐食及びスケール防止用液体組成物ならびに腐食及びスケールの防止方法
NZ237800A (en) Treatment of water to control deposits and corrosion by adding carbon dioxide together with other corrosion and scale inhibitors
CN107138030A (zh) 湿法脱硫系统增效阻垢重金属去除剂及其制备方法
KR102539431B1 (ko) 분말형 보일러 청관제 및 청관액 제조장치
JP5128839B2 (ja) 開放循環式冷却水系の水処理方法及び開放循環式冷却水系用水処理剤
NZ248862A (en) Corrosion preventative for aqueous systems comprising orthophosphate, an azole, polyepoxysuccinc acid and a copolymer of acrylic acid and allyl hydroxypropyl sulphonate ether
AU2005206737A1 (en) Process for reducing plume opacity
CN105980317A (zh) 蒸气产生设备的垢去除方法和垢去除剂
JP5901831B1 (ja) スケール防止剤の製造方法及びスケール防止方法
JPH05230676A (ja) 炭素鋼の腐食抑制用のケイ酸ナトリウムとオルトリン酸塩の相乗作用組合せ
CN101880885A (zh) 镀锌设备专用清洗剂及其使用方法
AU649149B2 (en) Inhibition of scale formation and corrosion by sulfonated organophosphonates
Matson et al. Zero discharge of cooling water by sidestream softening
IT8322635A1 (it) Composizione e metodo per impedire la formazione di incrostazioni
JP4140673B2 (ja) ポリエポキシコハク酸誘導体又はその水溶性塩及び水系におけるスケール防止剤
AU634457B2 (en) A method of inhibiting corrosion and scale formation in aqueous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