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859B1 - 텐셔너 아암 및 편향 부재의 개선된 배열체를 갖는 보기류 구동 텐셔너 - Google Patents

텐셔너 아암 및 편향 부재의 개선된 배열체를 갖는 보기류 구동 텐셔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859B1
KR102538859B1 KR1020177031342A KR20177031342A KR102538859B1 KR 102538859 B1 KR102538859 B1 KR 102538859B1 KR 1020177031342 A KR1020177031342 A KR 1020177031342A KR 20177031342 A KR20177031342 A KR 20177031342A KR 102538859 B1 KR102538859 B1 KR 10253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er
arm
pulley
accessory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4551A (ko
Inventor
매튜 브이. 로버트슨
죠니 루
웨이 마
Original Assignee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filed Critical 리텐스 오토모티브 파트너쉽
Publication of KR2017013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4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0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1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ry fric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16H7/12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 F16H7/1254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1281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of an idle pulley without vibration damping means where the axis of the pulley moves along a substantially 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8Extensio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63Finally actuated members, e.g.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16H2007/0865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1Line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3Circular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89Path of movement of the finally actuated member
    • F16H2007/0897External to internal direction

Abstract

일 양태에서, 텐셔너는 벨트 구동부를 위해 제공되고, 베이스, 베이스에 피벗식으로 장착되는 풀리를 갖는 아암 및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풀리는 아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벨트는 풀리 상에 허브 부하를 인가함으로써 제1 모멘트 아암을 따라 아암 상에 허브 부하 모멘트를 인가한다. 편향 부재는 제1 모멘트 아암의 길이의 적어도 약 50 퍼센트인 제2 모멘트 아암을 따라 아암 상에 편향 부재 모멘트를 인가한다. 텐셔너는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중심 거리를 각각 갖는 체결구를 통해 보기류 프레임에 장착가능하고, 중심 거리는 프레임 바디 직경보다 약 25 mm 미만으로 더 큰 값이다.

Description

텐셔너 아암 및 편향 부재의 개선된 배열체를 갖는 보기류 구동 텐셔너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4월 2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142,300호의 이득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전문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은 무단 구동 부재의 텐셔너, 특히, 차량 엔진에 의해 그 자체가 구동되는 무단 구동 부재에 의해 구동되는 보기류(accessory)의 풀리 둘레에 장착되는 텐셔너에 관한 것이다.
차량 엔진에서 벨트를 포함하는 보기류 구동 시스템을 사용하여 복수의 보기류를 구동하는 것은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텐셔너는 벨트 상의 텐션을 유지하고, 순시적 이벤트 동안 벨트 슬립을 억제하고, 구동 또는 피동 구성요소의 연계된 풀리의 외부로 벨트가 벗어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된다.
비-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엔진은 벨트와 연계된 구성요소를 구동하는 유일한 수단이다. 통상적으로, 이런 경우에 피동 구성요소 중 하나는 교류발전기이며, 이는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기를 생성하기 위해 벨트에 의해 구동된다.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보조 기동 디바이스가 벨트를 구동하기 위해 제공된다. 보조 기동 디바이스(예를 들어, 모터/발전기 유닛(MGU))는 예로서, ISAF(Idle-Stop Accessory Function)라 지칭되는 특징인, 차량이 시간의 짧은 주기에 대해 정지되는 동안(예를 들어, 정지등) 엔진이 일시적으로 오프될 때 벨트를 통해 하나 이상의 보기류를 구동하는 것 같은 다수의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목적은 MGU가 벨트를 통해 엔진을 시동하기 위해 사용되는, 벨트 교류발전기 시동(BAS) 구동 시스템의 일부로서의 용도이다. 또 다른 목적은 때때로 부스트 모드라 지칭되는, 필요시(예를 들어, 차량이 지나친 가속 하에 있을 때) 엔진에 추가적 파워를 공급하는 것이다.
비-하이브리드 및 하이브리드 차량 양자 모두, 특히, 작은 엔진을 갖는 것들에서, 벨트 텐셔너에 대해서는 비교적 작은 공간이 존재한다. 일부 제조자는 교류발전기의 프레임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MGU의 단부 면에 텐셔너 끼워맞춤을 시도하였지만, 성공 정도는 가변적이다. 이런 텐셔너는 때때로 일부 경우에 다른 엔진 구성요소와 간섭하는, 그리고, 따라서, 다수의 엔진 상에 사용할 수 없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이런 텐셔너의 특정 예에는 다른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MGU 또는 교류발전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현재 제안된 텐셔너의 단점 중 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텐셔너가 필요하다.
일 양태에서, 텐셔너가 크랭크샤프트, 크랭크샤프트 풀리,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결합가능한 무단 구동 부재, 프레임 바디 직경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 바디를 갖는 보기류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기류, 보기류 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한 보기류 샤프트 및 보기류 샤프트에 장착되고 보기류 풀리 축 둘레에서 회전가능한 보기류 풀리를 갖는 엔진을 위한 무단 구동 배열체를 위해 제공된다. 텐셔너는 베이스, 그 위에 텐셔너 풀리를 갖는 텐셔너 아암 및 텐셔너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텐셔너 아암은 대체로 오목형이고,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아암 피벗 축을 중심으로 피벗식 이동을 위해 베이스에 피벗식으로 장착된다. 텐셔너 풀리는 아암 피벗 축에 대하여, 그리고, 보기류 풀리 축에 대하여 오프셋된 텐셔너 풀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텐셔너 아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무단 구동 부재는 텐셔너 풀리와 결합하여 텐셔너 풀리 상에 허브 부하를 인가함으로써 아암 피벗 축에 대해 제1 모멘트 아암을 따라 텐셔너 아암 상에 허브 부하 모멘트를 인가한다. 텐셔너 편향 부재는 텐셔너 아암을 무단 구동 부재로 압박하고, 아암 피벗 축에 대해 제2 모멘트 아암을 따른 허브 부하 모멘트에 대치하는 편향 부재 모멘트를 텐셔너 아암에 인가한다. 제2 모멘트 아암은 제1 모멘트 아암의 길이의 적어도 약 50 퍼센트이다. 텐셔너는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중심 거리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체결구를 통해 보기류 프레임에 장착가능하며,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의 체결구 각각을 위한 중심 거리는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0인치의 값 내지 프레임 바디 직경보다 약 25 mm 미만으로 더 큰 값 사이이다.
다른 양태에서, 텐셔너가 크랭크샤프트, 크랭크샤프트 풀리,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결합가능한 무단 구동 부재, 보기류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기류, 보기류 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한 보기류 샤프트 및 보기류 샤프트에 장착되고 보기류 풀리 축 둘레에서 회전가능한 보기류 풀리를 갖는 엔진을 위한 무단 구동 배열체를 위해 제공된다. 텐셔너는 베이스, 그 위에 텐셔너 풀리를 갖는 텐셔너 및 텐셔너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텐셔너 아암은 대체로 오목형이고,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아암 피벗 축을 중심으로 피벗식 이동을 위해 베이스에 피벗식으로 장착된다. 텐셔너 풀리는 아암 피벗 축에 대하여 그리고 보기류 풀리 축에 대하여 오프셋된 텐셔너 풀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텐셔너 아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텐셔너 편향 부재는 텐셔너 아암을 무단 구동 부재로 압박한다. 텐셔너 편향 부재는 압축 스프링이다. 텐셔너는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중심 거리에 각각 위치되는 복수의 체결구를 통해 보기류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의 각 체결구를 위한 중심 거리는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0인치의 값 내지 프레임 바디 직경보다 약 25 mm 미만으로 더 큰 값 사이이다. 아암 피벗 축 및 텐셔너 풀리 축은 보기류 풀리 축을 중심으로 약 135도와 약 225도 사이의 각도 오프셋을 갖는다.
또 다른 양태에서, 텐셔너가 크랭크샤프트, 크랭크샤프트 풀리,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결합가능한 무단 구동 부재, 프레임 바디 직경을 갖는 대체로 원통형 바디를 갖는 보기류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기류, 보기류 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한 보기류 샤프트 및 보기류 샤프트에 장착되고 보기류 풀리 축 둘레에서 회전가능한 보기류 풀리를 갖는 엔진을 위한 무단 구동 배열체를 위해 제공된다. 텐셔너는 베이스, 그 위에 텐셔너 풀리를 갖는 텐셔너 아암 및 텐셔너 편향 부재를 포함한다. 텐셔너 아암은 대체로 오목형이고,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아암 피벗 축을 중심으로 피벗식 이동을 위해 베이스에 피벗식으로 장착된다. 텐셔너 풀리는 아암 피벗 축에 대하여 그리고 보기류 풀리 축에 대하여 오프셋된 텐셔너 풀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텐셔너 아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무단 구동 부재는 텐셔너 풀리와 결합하여 텐셔너 풀리 상에 허브 부하를 인가함으로써 아암 피벗 축에 대해 제1 모멘트 아암을 따라 텐셔너 아암 상에 허브 부하 모멘트를 인가한다. 텐셔너 편향 부재는 텐셔너 아암을 무단 구동 부재로 압박하고, 아암 피벗 축에 대해 제2 모멘트 아암을 따른 허브 부하 모멘트에 대치하는 편향 부재 모멘트를 텐셔너 아암에 인가한다. 텐셔너는 다음의 4개 특징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a) 제2 모멘트 아암은 제1 모멘트 아암의 길이의 적어도 약 50 퍼센트이다.
b) 텐셔너 편향 부재는 예로서, 나선형 압축 스프링 같은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c) 텐셔너는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중심 거리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체결구를 통해 보기류 프레임에 장착가능하며,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의 체결구 각각을 위한 중심 거리는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0인치의 값 내지 프레임 바디 직경보다 약 25 mm 미만으로 더 큰 값 사이이다.
d) 아암 피벗 축 및 텐셔너 풀리 축은 보기류 풀리 축을 중심으로 약 135도와 약 225도 사이의 각도 오프셋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텐셔너는 전술한 4개 특징 중 정확히 하나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텐셔너는 전술한 4개 특징 중 정확히 2개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텐셔너는 전술한 특징 중 정확히 3개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텐셔너는 전술한 특징 중 4개 전부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의 더 양호한 이해를 위해, 그리고, 이들이 실행될 수 있는 방식을 더 명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이제, 단지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할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내용의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른 텐셔너를 갖는 엔진의 측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텐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텐셔너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텐셔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텐셔너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텐셔너로부터의 텐셔너 아암에 인가된 힘의 개략적 예시이다.
도 5b는 종래 기술 텐셔너로부터 텐셔너 아암에 인가된 힘의 개략적 예시이다.
도 6a는 도 1a에 도시된 텐셔너로부터의 텐셔너 아암에 대한 굴곡 응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종래 기술 텐셔너로부터의 텐셔너 아암에 대한 굴곡 응력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비제한적 실시예에 따른, 텐셔너를 구비한 엔진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텐셔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텐셔너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선택적 제어 구조를 갖는 도 7에 도시된 텐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어 구조의 단면 입면도이다.
도 12는 선택적 제어 구조를 갖는 도 7에 도시된 텐셔너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어 구조의 단면 입면도이다.
엔진(12)을 위한 무단 구동 배열체(10)를 도시하는 도 1a를 참조한다. 무단 구동 배열체(10)는 엔진(12)과 하나 이상의 보기류(14) 사이에서 파워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엔진(12)은 크랭크샤프트 풀리(17)가 그 위에 장착되는 크랭크샤프트(16)를 갖는다.
보기류(14) 중 예시적 하나, 즉, 교류발전기(18)를 도시하는 도 1b를 참조한다. 도 1b의 예시적 보기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보기류(14)는 보기류 프레임(19), 보기류 프레임(19)에 대해 회전가능한 보기류 샤프트(20) 및 보기류 샤프트(20)에 장착되면서 보기류 풀리 축(AAcc)을 중심으로 보기류 샤프트(20)와 함께 회전가능한 보기류 풀리(22)를 가질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무단 구동 배열체(10)는 보기류 구동 벨트 같은 무단 구동 부재(24)를 포함하고, 이는 크랭크샤프트 풀리(17)에 의해 구동가능하면서 순차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기류(14)의 보기류 풀리(22)를 구동한다. 편의성을 위해, 무단 구동 부재(16)는 벨트(16)라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다른 유형의 적절한 무단 구동 부재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아암 피벗 축과 풀리 축 사이에 편향 부재와의 결합부를 갖는 텐셔너
텐셔너(26)는 무단 구동 부재(16)의 텐션을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텐셔너(26)는 도 2 및 도 3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텐셔너(26)는 텐셔너 베이스(28)(간단히, 편의성을 위해 베이스(28)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 그 위에 텐셔너 풀리(32)를 갖는 텐셔너 아암(30) 및 텐셔너 편향 부재(34)를 포함한다. 텐셔너 베이스(28)는 보기류 프레임(19)에 장착가능하다. 도 1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기류 프레임(19)은 보기류 샤프트(20)가 그로부터 연장하는 단부 면(36)을 갖는다. 보기류 프레임(19)은 장착 귀부(mounting ear)(77) 상에 위치될 수 있는 복수의 제1 체결구 개구(38)를 갖는다. 보기류 프레임(19)은 대체로 원통형이면서 직경(DAcc)을 갖는 보기류 프레임 바디(39)를 추가로 구비한다. 텐셔너 베이스(28)는 복수의 제1 체결구 개구(38)와 정렬되는 복수의 제2 체결구 개구(40)를 포함한다. 볼트(42) 같은 복수의 베이스 장착 체결구(41)(도 3)는 개구(40)를 통해 개구(38) 내로 통과하여 텐셔너 베이스(28)를 보기류 프레임(18)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개구(38)는 이 목적을 위해 체결구(41)를 유지하기 위해 나사형일 수 있다. 개구(38)는 관통 개구일 필요는 없지만, 필요하다면 그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트(42)를 수용하기 위해 너트가 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개구(38)는 볼트(42)가 개구(40, 38) 양자 모두를 통해 너트 내로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 개구이다.
텐셔너 아암(30)은 보기류 풀리 축(AAcc)으로부터 오프셋되는 아암 피벗 축(AArm)을 중심으로 피벗 이동하도록 텐셔너 베이스(28)에 피벗식으로 장착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텐셔너 베이스(28)에 대한 텐셔너 아암(30)의 피벗식 연결은 텐셔너 베이스(28)의 개구(46)(도 4)에 압력 끼워맞춤되는, 그리고, 복수의 부싱(48, 50, 52)을 통해 텐셔너 아암(30)을 피벗식으로 지지하는 중공 샤프트 부재(44)에 의해 제공된다. 부싱(48, 50, 52)은 PTFE가 주입된 나일론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부싱(48, 50, 52)은 텐셔너 아암(30)과 함께 중공 샤프트 부재(44)를 중심으로 이들이 피벗하도록 텐셔너 아암(30)에 고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댐핑 구조(54)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는 샤프트 부재(44)에 고착되는 제1 마찰 표면(58)을 그 위에 갖는 제1 댐핑 부재(56)를 포함하고, 부싱(52)의 축방향 외부 면 상에 있는 제2 마찰 표면(60)과 결합한다. 따라서, 부싱(52)은 추가적으로 제2 댐핑 부재라 지칭될 수 있다. 댐핑 구조(54)는 선택된 힘을 갖는 제2 마찰 표면(60)과 결합하도록 제1 댐핑 부재(56)(그리고, 따라서, 제1 마찰 표면(58))를 압박하도록 위치되는 댐핑 구조 편향 구조(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댐핑 구조 편향 구조(62)는 예로서 복수의 벨빌 와셔(64)를 포함할 수 있다. 텐셔너 아암 로킹 부재(66)는 샤프트 부재(44) 상에 텐셔너 아암(30)을 로킹하기 위해 샤프트 부재(44)의 원위 단부 상에 압력 끼워맞춤될 수 있고, 마찰 표면(58, 60)을 서로에 대해 압박하도록 벨빌 와셔(64)가 접하는 기준 표면을 제공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적절한 댐핑 구조(54)의 일 예가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8,591,358호에 도시되어 있다.
텐셔너 풀리(32)는 아암 피벗 축(AArm)에 대하여, 그리고, 보기류 풀리 축(AAcc)에 대하여 오프셋된 텐셔너 풀리 축(ATP)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텐셔너 아암(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텐셔너 아암(30)에 대한 회전가능한 장착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일 수 있다. 예로서, 풀리(32)는 견부 볼트(69)에 장착되는 풀리 베어링(68)을 포함할 수 있고, 견부 볼트는 순차적으로 텐셔너 아암(30)에 장착된다. 먼지 차폐부(70)는 풀리 베어링(68) 내로의 먼지 및 기타 오염물의 이주를 억제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텐셔너 풀리 축(ATP)은 보기류 풀리 축(AAcc)을 중심으로 아암 피벗 축(AArm)에 대해 텐셔너 아암(30)을 따라 약 135도와 약 225도 사이인 오프셋 각도(OA)만큼 각도 오프셋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프셋 각도는 예로서 약 180도일 수 있다. 이 오프셋 각도는 추가로 후술된다.
텐셔너 편향 부재(34)는 텐셔너 아암(30)을 벨트(30) 내로 압박하며, 이는 "자유 아암" 방향이라 지칭될 수 있는 방향이다. 텐셔너 편향 부재(34)는 압축 스프링 같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편향 부재일 수 있다. 텐셔너 편향 부재(34)는 베이스(28) 상의 제1 단부 지지 표면(72)과 결합하는 제1 단부(71) 및 텐셔너 아암(30) 상의 제2 단부 지지 표면(76)과 결합하는 제2 단부(74)를 갖는다. 편향 부재(34)를 위한 적절한 압축 스프링의 예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및 폐쇄-셀 발포체 스프링을 포함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텐셔너(26)는 보기류 프레임(19)에 대한 그 장착이 비교적 작은 모멘트를 인가하고, 따라서, 비교적 낮은 응력이 결과적으로 보기류 프레임에 의해 유발되도록 배열된다. 낮은 응력은 보기류 풀리 축(AAcc)으로부터 0인치의 값 내지 프레임 바디 직경(DAcc)보다 약 25 mm 미만으로 더 큰 값 사이인 보기류 풀리 축(AAcc)으로부터의 중심 거리(도 3에 DC로 도시됨)에 각각 위치되는 복수의 체결구(예를 들어, 볼트(42))를 통해 보기류 프레임(19)에 텐셔너(26)를 장착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는 구성요소 중 어떠한 것도 보기류 프레임 바디(39)로부터 멀리 연장할 필요가 없는 것을 보증하는 텐셔너(26)의 구성요소의 배열의 직접적 결과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체결구(예를 들어, 볼트(42))는 보기류 풀리 축(AAcc)으로부터 0인치의 값 내지 프레임 바디 직경(DAcc)보다 약 8 mm 미만으로 더 큰 값 사이인 중심 거리(DC)에 위치된다.
보기류의 제조자는 특히 보기류가 교류발전기 또는 MGU인 경우, 프레임 바디(39)의 표면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멀리 연장하는 텐셔너 구성요소에 대한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프레임을 수정하는 것을 꺼려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는 결과로서 일부 경우에 프레임의 보강을 필요로 하는, 비용 및 중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프레임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높은 응력에 기인할 수 있다. 이런 프레임 구성의 일 예가 독일 특허 출원 공보 DE 10 2012 019 038 A1의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베이스(28)는 보기류 프레임(19)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텐셔너(26)의 유일한 부분이다. 텐셔너 편향 부재(34)는 베이스(28)와 텐셔너 아암(30) 사이에 장착되고; 텐셔너 아암(30)은 베이스(28)에 장착되고; 텐셔너 풀리(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아암(30)에 장착된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로서, 텐셔너 편향 부재(34)의 하나의 단부는 베이스(28)에 대한 장착 대신 교류발전기 프레임(19) 상의 장착 귀부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보기류 프레임(19) 상에 큰 응력을 유발하도록 위치되는 체결구(예를 들어, 볼트(42))의 중심 거리와는 별개로, 텐셔너(26)의 구성은 텐셔너(26)의 구성요소(예를 들어, 베이스(28), 텐셔너 편향 부재(34) 및 텐셔너 아암(30) 같은)는 프레임 바디 직경(DAcc)을 반경방향으로 현저히 초과하여 연장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베이스(28), 텐셔너 아암(30) 및 텐셔너 편향 부재(34)는 통상적으로 다른 엔진 관련 구성요소와의 간섭 없이 교류발전기(28)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현재 비교적 일반적인 비교적 작은 엔진을 갖는 차량에 특히 유용하며, 그 이유는 때때로 이런 엔진 상에 텐셔너를 위한 공간이 매우 작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의 일부 텐셔너는 또한 반경방향으로 비교적 작은 공간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지만, 소정 결함을 갖는다. 예로서, 일부 경우에, 이런 텐셔너는 텐셔너 풀리가 아치형 아암 상에 장착된다는 개념에서 "궤도" 텐셔너이며, 아치형 아암은 베이스 상의 아치형 경로 상에서 활주되어 텐셔너 풀리가 교류발전기 풀리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아치형 경로를 따르게 한다. 이런 텐셔너는 이들이 그 동작 수명의 과정에 걸쳐 일정한 성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런 텐셔너는 때때로 벨트로 텐셔너 풀리를 압박하기 위해 큰 비틀림 스프링을 채용한다. 이런 큰 비틀림 스프링은 교류발전기 풀리를 벗어나는 것을 필요로 하지만, 그러나, 이는 패키징의 관점에서 이상적이지 못하다. 종래 기술의 일부 다른 텐셔너는 큰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보다 더 소형인 편향 부재를 채용하지만, 이들은 벨트와의 텐셔너 풀리의 결합으로부터 발생하는 텐셔너 아암 상의 허브 부하에 의해 인가되는 모멘트에 비해 비교적 작은 모멘트 아암에서 텐셔너 아암에 모멘트를 인가한다. 모멘트 아암의 큰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이런 경우에 편향 부재는 비교적 높은 스프링 레이트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이는 양호한 격리를 제공하고 가능한 경우 비교적 낮은 벨트 텐션을 유지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유형의 종래 기술 텐셔너는 피벗 아암을 채용하고, 도 5b에 나타나 있다. 이 텐셔너는 피벗 축(AArmOld)을 중심으로 피벗하고 그 위에 풀리(30old에 도시됨)를 갖는 텐셔너 아암(32old에 도시됨)을 채용한다. 34old에 도시된 텐셔너 편향 부재는 풀리(30old)를 벨트(24)로 구동하기 위해 텐셔너 아암(32old)을 압박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엔진-관련 구성요소와의 간섭 가능성이 증가하고, 편향 부재(34old)에 의해 인가되는 모멘트가 모멘트 아암(LHold)에 비해 아암 피벗 축(AArmOld)을 중심으로 비교적 짧은 모멘트 아암(LSold)에 있는 지점에서 아암(30old)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편향 부재(34old)가 외부로 연장한다. 결과적으로, 편향 부재 모멘트와 허브 부하 모멘트 사이의 평형을 달성하기 위해, FSold에 도시된 편향 부재 힘은 일반적으로 높다. 이는 텐셔너 아암(30old)에 비교적 높은 굴곡 응력을 유도한다. 텐셔너 아암(30old)의 길이에 걸친 굴곡 응력은 도 6b에 곡선(80)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편향 부재(34old)의 배향은 그 원위 단부가 그것이 장착되는 보기류 프레임의 원통형 표면으로부터 멀리 위치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를 지지하기 위해, 보기류 프레임의 원통형 표면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연장하는 보기류 프레임 내로 브래킷이 형성된다. 이는 보기류 프레임에 현저한 응력을 도입하고, 이는 이들을 보상하기 위해 보기류 프레임을 보강할 필요가 있게 하며, 이는 바람직하지 못하게 보기류 프레임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텐셔너(26)는 피벗식이고, "궤도식"이 아닌 텐셔너 아암(30)을 채용하고,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는 텐셔너 풀리(32)를 통해 벨트(24)에 의해 인가된 허브 부하 모멘트와 연계된 모멘트 아암(LH)의 크기의 적어도 약 50 퍼센트인 모멘트 아암(LS)을 갖는 모멘트를 텐셔너 아암(30) 상에 인가하는 편향 부재(예를 들어, 편향 부재(34))를 채용하고,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기류 풀리 축(AAcc)으로부터 0인치의 값 내지 프레임 바디 직경(DAcc)보다 약 25 mm 미만으로 더 큰 값 사이인 보기류 풀리 축(AAcc)으로부터의 중심 거리를 갖는 체결구(예를 들어, 볼트(42))를 통해 보기류 프레임에 장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편향 부재(34)는 벨트(24)에 의해 인가되는 허브 부하 모멘트와 연계된 모멘트 아암(LH)의 크기의 적어도 약 80 퍼센트인 모멘트 아암(LS)을 갖는 모멘트를 텐셔너(30)에 인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편향 부재(34)는 벨트(24)에 의해 인가되는 허브 부하 모멘트와 연계된 모멘트 아암(LH)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모멘트 아암(LS)을 갖는 모멘트를 텐셔너(30)에 인가할 수 있다.
도 5a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텐셔너와 연계된 힘 및 모멘트 아암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LS에 도시된 모멘트 아암은 FS에 도시된 스프링 힘의 모멘트 아암이다. 모멘트 아암(LS)은 클 수 있고(예를 들어, FH에 도시된 허브 부하에 대하여 LH에 도시된 모멘트 아암의 적어도 약 50 퍼센트), 이는 도 5b에 나타난 텐셔너를 위한 모멘트 아암과 직접적으로 대조적이다. 달리 말하면, 무단 구동 부재(24)는 텐셔너 풀리(32)와 결합하고, 텐셔너 풀리(32) 상에 허브 부하 힘(FH)을 인가한다. 결과적으로, 무단 구동 부재(24)는 텐셔너 아암(30) 상에 허브 부하 모멘트를 인가하며, 이는 허브 부하 힘(FH)과 아암 피벗 축(AArm)에 대한 제1 모멘트 아암(즉, 모멘트 아암(LH))에 기초한다. 텐셔너 편향 부재(34)는 아암 피벗 축(AArm)에 대한 제2 모멘트 아암(즉, 모멘트 아암(LS))을 따른 허브 부하 모멘트에 대치되는 편향 부재 모멘트를 텐셔너 아암(30)에 인가한다. 제2 모멘트 아암(LS)은 제1 모멘트 아암(LH)의 길이의 적어도 50 퍼센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모멘트 아암(LS)은 제1 모멘트 아암(LH)의 길이의 적어도 80 퍼센트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모멘트 아암(LS)은 제1 모멘트 아암(LH)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편향 부재(34)에 의해 인가된 힘(즉, 힘(FS))은 편향 부재(34old)에 의해 인가되는 힘(즉, 힘(FSold))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텐셔너 아암(30old)에 의해 유발되는 굴곡 응력에 비해 비교적 더 작은 굴곡 응력을 텐셔너 아암(30)에 도입한다. 아암(30)의 길이에 걸친 텐셔너 아암(30)에 대한 굴곡 응력은 도 6a에 곡선(82)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텐셔너 편향 부재(34)는 실질적으로 텐셔너 아암과 축방향으로 완전히 중첩된다는 것을 추가로 알 수 있을 것이다. 달리 말하면, 축방향 방향에서 볼 때, 텐셔너 편향 부재(34)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은닉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텐셔너 아암은 보기류 풀리 축(AAcc)에 대해 오목형이라는 것을 추가로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오목도는 약 135도와 약 225도 사이의 텐셔너 풀리 축(ATP)과 아암 피벗 축(AArm) 사이의 큰 오프셋 각도(OA)와 조합하여 텐셔너 편향 부재(34)가 그 원위 단부(즉, 제1 단부(71))가 보기류 풀리 축(AAcc)에 비교적 근접하게 유지되도록(텐셔너(26)가 전술한 비교적 짧은 중심 거리를 갖는 체결구를 사용하여 보기류(18)에 장착될 수 있도록) 배열될 수 있게 한다.
텐셔너의 설치 이후 부하 정지 핀의 삽입
도 2를 참조하면, 텐셔너(26)는 선택적으로 핀(90)을 포함할 수 있다. 핀(90)은 베이스(28)의 개구(92) 내에 장착되고, 사용 동안 부하 정지 방향으로 텐셔너 아암(3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제한 표면을 제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보기류(14) 상의 텐셔너(26)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벨트(24)를 위한 유극을 제공하기 위해 핀(90)이 위치되는 지점을 지나쳐 텐셔너 아암(30)을 피벗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후, 텐셔너(26)가 설치되고 나면, 아암(30)이 벨트(24)와 결합하도록 자유-아암 방향으로 피벗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아암(30)이 충분히 피벗되고 나서, 핀(90)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92)는 더 이상 아암(30)에 의해 막혀지지 않으며, 핀(90)을 수용할 수 있다. 핀(90)은 압력 끼워맞춤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개구(92) 내로 로킹식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후 아암(30)을 위한 부하 정지부로서 작용할 수 있다.
풀리 축과 편향 부재와의 결합부 사이에 아암 피벗 축을 갖는 텐셔너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텐셔너(100)를 도시하는 도 7을 참조한다. 텐셔너(100)는 베이스(28)와 유사할 수 있는 텐셔너 베이스(128)(편의성을 위해 베이스(128)라고도 지칭됨), 텐셔너 아암(30)과 유사하면서 그 위에 풀리(32)와 유사한 텐셔너 풀리(132)를 갖는 텐셔너 아암(130) 및 편향 부재(34)와 유사한 텐셔너 편향 부재(134)를 포함한다. 텐셔너(100)는 도 1b에 도시된 텐셔너(26)가 보기류 프레임(19)에 대한 장착을 위해 체결구(42)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베이스(128) 내의 제2 개구(140)를 통해 제1 개구(38) 내로 통과하는 볼트(142) 같은 체결구(141)를 통해 보기류 프레임(19)에 장착가능하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기류 프레임(19) 상의 개구(38)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의 텐셔너 편향 부재(34)에 비해 텐셔너 편향 부재(134)의 상이한 배열을 수용하기 위해 다르게 배열된다.
텐셔너(100)는 다수의 견지에서 텐셔너(26)와 유사할 수 있다. 예로서, 텐셔너 아암(130)은 피벗하고 "궤도식"이 아니며,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서, 아암 피벗 축(AArm)과 텐셔너 풀리 축(ATP)(도 8) 사이의 보기류 풀리 축(AAcc)에 대한 오프셋 각도(OA)는 텐셔너 아암(30)을 따라 약 135도와 약 225도 사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프셋 각도는 예로서 약 180도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텐셔너 아암(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기류 풀리 축(AAcc)으로부터 0인치의 값 내지 프레임 바디 직경(DAcc)보다 약 25 mm 미만으로 더 큰 값 사이인 보기류 풀리 축(AAcc)에 대한 중심 거리(DC)를 갖는 체결구(141)(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볼트(142))를 통해 보기류 프레임에 장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체결구(예를 들어, 볼트(42))는 보기류 풀리 축(AAcc)으로부터 0인치의 값 내지 프레임 바디 직경(DAcc)보다 약 8 mm 미만으로 더 큰 값 사이인 중심 거리(DC)에 위치된다. 추가적으로, 텐셔너 편향 부재(134)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편향 부재(34)와 유사한 방식의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편향 부재(134)를 위한 적절한 압축 스프링의 예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 폐쇄-셀 발포체 스프링 또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텐셔너 편향 부재(134)는 베이스(128) 상의 제1 단부 지지 표면(172)과 결합하는 제1 단부(171) 및 텐셔너 아암(130) 상의 제2 단부 지지 표면(176)과 결합하는 제2 단부(174)를 갖는다.
텐셔너(100)와 텐셔너(26) 사이의 차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편향 부재(134)가 텐셔너(26)의 나머지에 관한 편향 부재(34)에 비해 텐셔너(100)의 나머지에 관해 상이한 장소에 배열된다.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텐셔너 아암(130) 상의 제2 단부 지지 표면(176)은 텐셔너 풀리 축(ATP)과 아암 피벗 축(AArm) 사이의 범위의 외측에 있다.
텐셔너(100)는 댐핑 구조(54)와 유사할 수 있는 댐핑 구조(154) 및 중공 샤프트(44) 및 부싱(48, 50, 52)과 유사한, 중공 샤프트(144) 상에 제공되는 부싱(148, 150, 152)을 채용할 수 있다.
텐셔너(26, 100)는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의 일부가 아닌 엔진 상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때문에, MGU 등이 벨트(24)를 구동하기 위해 별개의 수단으로서 제공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엔진이 벨트(24)를 구동할 때 교류발전기(18)의 '상류' 측부 상의 벨트 스팬은 일반적으로 교류발전기(18)의 '하류' 측부 상의 벨트 스팬에 비해 이완되고, 엔진의 동작 전반에 걸쳐 벨트(24)의 이완 스팬을 유지한다. 패시브 텐셔너일 수 있으면서 하나의 아암과 하나의 풀리를 갖는 도 1a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들 같은 실시예에서, 텐셔너(26 또는 100)는 항상 엔진이 벨트(24)를 구동하는 기동 디바이스인 비-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유압 스트러트를 갖는 텐셔너
편향 부재(134)가 200에 도시된 텐셔너 스트러트의 부분을 형성하는 텐셔너(100)를 도시하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한다. 본 경우의 텐셔너(100)는, 보기류(14)가 교류발전기가 아니고 대신 MGU인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비교적 이완되어 있는 것으로서 나타나 있는 벨트 스팬은 MGU에 파워가 공급되어 벨트(24)를 구동할 때 더 팽팽한 벨트 스팬이 된다. 텐셔너 스트러트(200)는 복수의 선택가능한 위치 중 임의의 것에서 텐셔너 스트러트(200)의 압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동안 제어가능하다. 선택적으로, 텐셔너 스트러트(200)는 유압식으로 제어될 수 있고, 주 피스톤 챔버(202), 저장소(204), 그리고, 주 피스톤 챔버(202)를 저장소(204)에 연결하는 제1 및 제2 유체 통로(206, 208)를 포함할 수 있다. 주 피스톤(210)은 주 피스톤 챔버(202) 내에서 이동가능하다. 체크 밸브(212)는 제2 통로(208)를 통한 저장소(204)와 주 피스톤 챔버(202) 사이의 제1 유체 흐름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방지하고 제2 유체 통로(208)를 통한 주 피스톤 챔버(202)와 저장소(204) 사이의 대치 유체 흐름 방향으로의 유체 흐름을 허용하도록 위치된다. 제어 밸브(214)는 제1 유체 통로(206) 내에 위치되고, 제어 밸브(214)를 통한 제1 흐름 저항을 제공하기 위한 제1 위치와 제어 밸브(214)를 통한 제2 흐름 저항을 제공하기 위한 제2 위치(점선으로 도시됨)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제1 흐름 저항은 제2 흐름 저항보다 낮다. 이동가능한 저장소 부재(216)(예를 들어, 압축가능한 공기 블래더)는 저장소(204)에 제공되고, 저장소(204) 내에 존재하는 유체의 양에 기초하여 저장소(204)의 체적을 변화시키도록 이동가능하며, 그래서, 저장소(204), 주 피스톤 챔버(202), 그리고, 제1 및 제2 통로(206, 208)는 함께 유압 오일 같은 비압축성 유체를 포함하면서 공기 같은 임의의 압축가능한 유체가 실질적으로 없는 유체 회로에 포함된다. 이런 스트러트는 그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PCT 특허 출원공보 WO2015/192253에 예시 및 설명되어 있다.
작동기-구동 조정가능 부하 정지 부재를 갖는 텐셔너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유압식으로 제어되는 스트러트(200) 대신, 텐셔너 편향 부재(134)는 텐셔너(100)가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해지게 하는 스트러트(300)의 부분이며, 여기서, 보기류(14)는 교류발전기가 아니고 대신 MGU이며, 벨트 스팬은 비교적 이완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나타나있는 벨트 스팬은 벨트(24)를 구동하도록 MGU에 파워가 공급될 때 더 팽팽한 벨트 스팬이 된다.
스트러트(300)는 텐셔너 아암(130)과 고정 부재(예를 들어, 베이스(128)) 중 하나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연장가능한 부재(302), 텐셔너 아암(130)과 고정 부재(예를 들어, 베이스(128)) 중 다른 하나에 피벗식으로 연결된 하우징(304), 작동기(306)(도 11) 및 조정가능한 부하-정지 부재(308)를 포함한다. 작동기(306)는 연장가능한 부재(302)를 향해 조정가능한 부하 정지 부재(308)를 구동하도록 조정가능한 부하 정지 부재(308)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트러트(300)는 그 내용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되어 있는 PCT 공보 제WO2013/159181A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연장가능한 부재(302)는 하우징(304) 내에 활주가능하게 배치된다. 연장가능한 부재(302) 및 하우징(304).
조정가능한 부하 정지 부재(308)는 연장가능한 부재(302)가 하우징(304) 내로 수축될 수 있는 깊이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부하 정지 부재(308)는 조정가능한 부하 정지 부재(308)를 연장가능한 부재(302)를 향해(그리고, 선택적으로 그로부터 멀어지게) 구동하도록 부하 정지 구동 배열체(310)를 통해 조정가능한 부하 정지 부재(308)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작동기(306)에 의해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정가능한 부하 정지 부재(308)는 연장가능한 부재(302)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종방향으로 로드(308)를 구동하도록 나사형 보어(314) 내에서 회전가능한 나사형 로드 부분(312)을 포함한다. 구동 배열체(310)는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중 하나는 부하 정지 부재(308)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하도록 성형되지만 부하 정지 부재(308)의 종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작동기(306)는 양방향 전기 모터 같은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작동기일 수 있다. 작동기(306)는 풀리(132) 상에 벨트(24)에 의해 인가되는 허브 부하에 대항하여 풀리(132)를 벨트(24)(도 7) 내로 구동하여 벨트 텐션이 필요에 따라 증가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조정가능한 부하-정지 부재(308)를 연장가능한 부재(302) 내로 구동하기에 충분하게 강할 수 있다.
나사형 로드 부분(312) 및 대응하는 나사형 보어(314)의 사용은 고유하게 로드(312)의 역구동을 방지함으로써 작동기(306)가 파워 공급되지 않은 상태일 때에도 스트러트의 압축을 방지할 수 있다.
텐셔너(100) 대신 텐셔너(26)와 함께 사용하도록 스트러트(200 또는 30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편향 부재(34)는 편향 부재(134) 대신 스트러트(200) 또는 스트러트(300)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제조자는 차량이 비-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 구성될 때 도 1a 내지 도 9에 도시된 단일 아암형 텐셔너가 사용될 수 있도록, 그리고, 차량이 하이브리드 차량으로서 구성될 때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매우 유사한 텐셔너(100)가 사용될 수 있도록 그들의 차량에 후드 아래쪽의 비교적 균일한 구성요소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텐셔너(26, 100)에 대한 다른 장점은 텐셔너 아암(30)(또는 텐셔너 아암(130)의 단위 피벗 정도(degree) 당 벨트 권취의 양이 비교적 높을 수 있고, 아암(30)의 단위 이동 정도 당 약 2 mm를 초과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편향 부재(34)(또는 134)의 비교적 미소한 압축이 발생하고, 따라서, 비교적 작은 힘(FS)의 변화가 발생한다. 텐셔너(26)(또는 100)에 대하여 비교적 평탄한 텐션/위치 곡선을 초래할 수 있고, 이는 종래 기술의 일부 텐셔너에 비해 텐셔너 아암(30)(또는 130)의 상이한 위치에 걸쳐 벨트(24)에서 비교적 균일한 텐션을 유지하는 것이 더 용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는 그 수명에 걸쳐 더 적은 신장을 받는 비교적 짧은 벨트(24)에 대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텐셔너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벨트 길이의 예는 1200 mm이다. 이러한 벨트 길이는 벨트가 하나의 지점에서 절단되어 직선으로 배치되는 경우의 벨트(24)의 길이에 대응한다. 무단 구동 배열체의 구성요소의 특정 레이아웃에 따라 다른 벨트 길이도 고려된다.
텐셔너(26, 100)는 보행자와의 충돌이 후드 아래의 임의의 '경질' 표면을 보행자가 타격할 낮은 가능성을 초래하는 것을 보증하도록 큰 후드 분쇄 구역(즉, 후드 아래의 많은 양의 공간)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차량에서 유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도 5b에 도시된 텐셔너는 후드에 근접하는 방식으로 스프링(30old)의 원위 단부를 위치설정할 수 있어서, 보행자에 대한 손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텐셔너(26, 100)가 보기류의 단부 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보기류 프레임(19)의 임의의 부분에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고정 부재에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가능한 더욱 더 많은 대안적 구현예 및 수정이 존재한다는 것 및 전술한 예가 하나 이상의 구현예의 예시일 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범주는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Figure 112017107057901-pct00001

Figure 112017107057901-pct00002

Figure 112017107057901-pct00003

Claims (25)

  1. 크랭크샤프트, 크랭크샤프트 풀리,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결합가능한 무단 구동 부재, 프레임 바디 직경을 갖는 원통형 바디를 갖는 보기류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기류, 보기류 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한 보기류 샤프트, 및 보기류 샤프트에 장착되고 보기류 풀리 축 둘레에서 회전가능한 보기류 풀리를 갖는 엔진을 위한 무단 구동 배열체를 위한 텐셔너이며,
    베이스,
    텐셔너 풀리를 그 위에 구비하는 텐셔너 아암으로서, 텐셔너 아암은 오목형이고,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아암 피벗 축을 중심으로 피벗 이동하도록 베이스에 피벗식으로 장착되며, 텐셔너 풀리는 보기류 풀리 축에 대해 그리고 아암 피벗 축에 대해 오프셋된 텐셔너 풀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텐셔너 아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무단 구동 부재는 텐셔너 풀리와 결합하여 텐셔너 풀리 상에 허브 부하를 인가함으로써 아암 피벗 축에 대해 제1 모멘트 아암을 따라 텐셔너 아암 상에 허브 부하 모멘트를 인가하는, 텐셔너 아암, 및
    텐셔너 아암을 무단 구동 부재 내로 압박하고 아암 피벗 축에 대해 제2 모멘트 아암을 따라 허브 부하 모멘트에 대치되는 편향 부재 모멘트를 텐셔너 아암 상에 인가하는 텐셔너 편향 부재로서, 제2 모멘트 아암은 제1 모멘트 아암의 길이의 50 퍼센트 이상인, 텐셔너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텐셔너는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중심 거리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체결구를 통해 보기류 프레임에 장착가능하며,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의 체결구 각각을 위한 중심 거리는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0인치의 값 내지 프레임 바디 직경보다 25 mm 미만으로 더 큰 값 사이이고,
    텐셔너 편향 부재는 텐셔너 아암과 축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중첩되는 압축 스프링인, 텐셔너.
  2. 제1항에 있어서, 제2 모멘트 아암은 제1 모멘트 아암의 길이의 80 퍼센트 이상인, 텐셔너.
  3. 제1항에 있어서, 제2 모멘트 아암은 제1 모멘트 아암의 길이와 같은, 텐셔너.
  4. 제1항에 있어서, 텐셔너 풀리 축은 보기류 풀리 축을 중심으로 아암 피벗 축에 대해 텐셔너 아암을 따라 180도인 오프셋 각도만큼 각도 오프셋되는, 텐셔너.
  5. 제1항에 있어서, 텐셔너 아암은 보기류 풀리 축에 대해 오목한, 텐셔너.
  6. 제1항에 있어서, 아암 피벗 축 및 텐셔너 풀리 축은 보기류 풀리 축을 중심으로 135도와 225도 사이의 각도 오프셋을 갖는, 텐셔너.
  7. 제1항에 있어서, 텐셔너 아암의 이동을 댐핑하기 위해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텐셔너 아암 댐핑 부재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8. 제7항에 있어서, 댐핑 부재를 마찰 표면과 결합하게 편향시키도록 위치된 댐핑 부재 편향 구조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9. 제1항에 있어서, 아암 피벗 축을 중심으로한 자유 아암 방향으로의 텐셔너 아암의 피벗은 무단 구동 부재의 권취를 초래하며, 아암 피벗 축과 텐셔너 풀리 축은 텐셔너 아암의 단위 이동 정도 당 무단 구동 부재의 권취의 밀리미터 수의 비율이 2보다 크도록 위치되는, 텐셔너.
  10. 제9항에 있어서, 무단 구동 부재는 1200mm 길이인, 텐셔너.
  11. 제9항에 있어서, 베이스는 보기류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장착가능한 텐셔너의 유일한 부분이며, 텐셔너 편향 부재는 베이스와 텐셔너 아암 사이에 장착되는, 텐셔너.
  12. 크랭크샤프트, 크랭크샤프트 풀리, 크랭크샤프트 풀리와 결합가능한 무단 구동 부재, 보기류 프레임을 포함하는 보기류, 보기류 프레임에 대해 회전가능한 보기류 샤프트, 및 보기류 샤프트에 장착되고 보기류 풀리 축 둘레에서 회전가능한 보기류 풀리를 갖는 엔진을 위한 무단 구동 배열체를 위한 텐셔너이며,
    베이스,
    텐셔너 풀리를 그 위에 구비하는 텐셔너 아암으로서, 텐셔너 아암은 오목형이고,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오프셋된 아암 피벗 축을 중심으로 피벗 이동하도록 베이스에 피벗식으로 장착되며, 텐셔너 풀리는 보기류 풀리 축에 대해 그리고 아암 피벗 축에 대해 오프셋된 텐셔너 풀리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텐셔너 아암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텐셔너 아암, 및
    텐셔너 아암을 무단 구동 부재 내로 압박하는 텐셔너 편향 부재로서, 텐셔너 편향 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텐셔너 편향 부재를 포함하고,
    텐셔너는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중심 거리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복수의 체결구를 통해 보기류 프레임에 장착가능하며,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의 체결구 각각을 위한 중심 거리는 보기류 풀리 축으로부터 0인치의 값 내지 프레임 바디 직경보다 25 mm 미만으로 더 큰 값 사이이고,
    아암 피벗 축 및 텐셔너 풀리 축은 보기류 풀리 축을 중심으로 135도와 225도 사이의 각도 오프셋을 갖는, 텐셔너.
  13. 제12항에 있어서, 텐셔너 편향 부재는 제1 단부를 가지며, 추가로 텐셔너 아암 상의 제2 단부 지지 표면으로 편향 힘을 전달하도록 위치되는 제2 단부를 갖고,
    제2 단부 지지 표면은 텐셔너 풀리 축과 아암 피벗 축 사이의 범위 외측에 있는, 텐셔너.
  14. 제12항에 있어서, 텐셔너 편향 부재는 제1 단부에서 베이스와 결합되며, 제2 단부에서 텐셔너 아암과 결합되는, 텐셔너.
  15. 제12항에 있어서, 텐셔너 아암 편향 부재는 복수의 선택가능한 위치 중 임의의 위치에서 텐셔너 스트러트의 압축을 방지하도록 사용 동안 제어가능한 텐셔너 스트러트의 부분인, 텐셔너.
  16. 제12항에 있어서, 텐셔너 스트러트는 고정 부재와 텐셔너 아암 중 하나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연장가능한 부재, 텐셔너 아암과 고정 부재 중 다른 하나에 피벗식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작동기, 및 조정가능한 부하-정지 부재를 포함하며,
    작동기는 조정가능한 부하 정지 부재를 연장가능한 부재를 향해 구동하기 위해 조정가능한 부하 정지 부재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텐셔너.
  17. 제16항에 있어서, 작동기는 무단 구동 부재의 텐션을 증가시키기 위해 풀리를 무단 구동 부재 내로 구동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조정가능한 부하 정지 부재를 연장가능한 부재 내로 구동하도록 구동가능한, 텐셔너.
  18. 제12항에 있어서, 텐셔너 아암의 이동을 댐핑하기 위해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텐셔너 아암 댐핑 부재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19. 제18항에 있어서, 댐핑 부재를 마찰 표면과 결합하게 편향시키도록 위치된 댐핑 부재 편향 부재를 더 포함하는, 텐셔너.
  20. 제12항에 있어서, 아암 피벗 축을 중심으로한 자유 아암 방향으로의 텐셔너 아암의 피벗은 무단 구동 부재의 권취를 초래하며, 아암 피벗 축과 텐셔너 풀리 축은 텐셔너 아암의 단위 이동 정도 당 무단 구동 부재의 권취의 밀리미터 수의 비율이 2보다 크도록 위치되는, 텐셔너.
  21. 제20항에 있어서, 무단 구동 부재는 1200mm 길이인, 텐셔너.
  22. 제12항에 있어서, 텐셔너 풀리 축은 보기류 풀리 축을 중심으로 아암 피벗 축에 대해 텐셔너 아암을 따라 180도인 오프셋 각도만큼 각도 오프셋되는, 텐셔너.
  23. 제12항에 있어서, 텐셔너 편향 부재는 텐셔너 아암과 축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완전히 중첩되는, 텐셔너.
  24. 삭제
  25. 삭제
KR1020177031342A 2015-04-02 2016-04-04 텐셔너 아암 및 편향 부재의 개선된 배열체를 갖는 보기류 구동 텐셔너 KR1025388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42300P 2015-04-02 2015-04-02
US62/142,300 2015-04-02
PCT/CA2016/050388 WO2017152255A1 (en) 2015-04-02 2016-04-04 Accessory drive tensioner with improved arrangement of tensioner arm and biasing mem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4551A KR20170134551A (ko) 2017-12-06
KR102538859B1 true KR102538859B1 (ko) 2023-06-01

Family

ID=5978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1342A KR102538859B1 (ko) 2015-04-02 2016-04-04 텐셔너 아암 및 편향 부재의 개선된 배열체를 갖는 보기류 구동 텐셔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93238B2 (ko)
EP (1) EP3277979B1 (ko)
KR (1) KR102538859B1 (ko)
CN (1) CN109154366B (ko)
ES (1) ES2893698T3 (ko)
HU (1) HUE056864T2 (ko)
PL (1) PL3277979T3 (ko)
WO (1) WO2017152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5812B4 (de) * 2015-08-19 2020-03-26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panner
WO2020068532A1 (en) * 2018-09-25 2020-04-02 Borgwarner Inc. Belt tensioner with a damper that acts on two belt strands
KR102552020B1 (ko) * 2018-10-19 2023-07-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용 텐셔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0894A1 (en) * 2012-12-26 2014-07-03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Orbital tension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8156C (de) 1930-09-24 Georg Schwabe Maschinenfabrik Spannrollengetriebe
US976115A (en) * 1910-11-15 Burke Electric Company Power mechanism.
GB773398A (en) * 1954-10-20 1957-04-24 Stothert & Pitt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ibratory rollers
FR2183356A6 (ko) * 1972-05-04 1973-12-14 Peugeot & Renault
US4108013A (en) * 1977-03-28 1978-08-22 Sragal Richard F Constant tension apparatus for flexible endless drive means
US4299583A (en) * 1979-10-31 1981-11-10 Dyneer Corporation Hydraulic belt tensioner construction
US4500303A (en) * 1981-12-31 1985-02-19 Cummins Engine Company, Inc. Idler mechanism
US4571223A (en) * 1984-06-15 1986-02-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atic belt tensioner
US4758208A (en) * 1987-07-13 1988-07-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atic belt tensioner for vehicle combined starter-generator
US4822321A (en) * 1988-07-18 1989-04-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Combination water pump and belt tensioner
DE19631507A1 (de) 1996-08-03 1998-02-0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S5938552A (en) * 1998-06-02 1999-08-17 The Gates Corporation Tensioner with damping shoe activated by compression spring
DE19926615A1 (de) * 1999-06-11 2000-12-14 Schaeffler Waelzlager Ohg Spanneinrichtung für Zugmittel wie Riemen oder Ketten
DE10146612B4 (de) * 2001-09-21 2016-09-0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US7118504B2 (en) * 2002-02-07 2006-10-10 Dayco Products, Llc Hydraulic asymmetric damped belt tensioner
US6652401B2 (en) * 2002-02-11 2003-11-25 The Gates Corporation Method of tuning a belt drive system
BR0314607A (pt) * 2002-09-20 2005-07-26 Gates Corp Tensor de correia
KR100628289B1 (ko) * 2002-09-20 2006-09-27 더 게이츠 코포레이션 벨트 텐셔너
EP1464871B1 (en) * 2003-04-02 2008-05-28 DAYCO EUROPE S.r.l. Two-arm belt tensioner
US7494434B2 (en) * 2005-06-15 2009-02-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Belt alternator starter accessory drive with dual tensioner
FR2918127B1 (fr) * 2007-06-29 2011-03-18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positif de demarrage d'un moteur thermiqu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8025552B4 (de) 2008-05-28 2020-06-10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für Starter-Generator-Anwendung
US7951030B2 (en) * 2008-12-04 2011-05-31 The Gates Corporation Tensioner
US8568259B2 (en) * 2009-09-11 2013-10-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ngine accessory drive with belt tensioner and same plane idler
US9133762B2 (en) * 2009-09-18 2015-09-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rive belt tensioner for motor generator unit
US8602930B2 (en) * 2009-09-18 2013-12-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Drive belt tensioner for motor generator unit
DE102011082764A1 (de) 2010-10-13 2012-04-1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Zugmitteltrieb eines Verbrennungsmotors
KR101241209B1 (ko) * 2011-01-06 2013-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벨트 시스템
WO2013003937A1 (en) * 2011-05-13 2013-01-10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Intelligent belt drive system and method
DE102011082330B4 (de) 2011-08-12 2014-08-0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DE102011053869B4 (de) * 2011-09-22 2020-03-26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Aggregatanordnung mit Riemenspannvorrichtung
DE102011084680B3 (de) 2011-10-18 2012-11-22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DE102011088652A1 (de) 2011-12-15 2013-06-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WO2013159181A1 (en) * 2012-04-28 2013-10-31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Adjustable tensioner
DE102012019038A1 (de) 2012-09-27 2014-03-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Generator zur Erzeugung von elektrischem Strom in einem Kraftfahrzeug und Kraftfahrzeug
DE102012223086A1 (de) 2012-12-13 2014-06-1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iemenspanner
DE112013005989A5 (de) 2012-12-13 2015-08-2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panner
DE102013002993A1 (de) 2013-02-22 2014-08-2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Startergenerator - Riemenspanner
DE102013203957B3 (de) * 2013-03-08 2014-02-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iemenspanner
DE102013102562B4 (de) * 2013-03-13 2021-05-27 Muhr Und Bender Kg Verwendung einer Feder in einer Riemenspannvorrichtung, Riemenspannvorrichtung und Aggregatanordnung
DE102013206010B3 (de) * 2013-04-05 2014-08-07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Riemenspanner
DE102013005884A1 (de) 2013-04-06 2014-10-09 Daimler Ag Riemenspanner für einen Riemen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eines Kraftfahrzeugs
DE102013206101A1 (de) 2013-04-08 2014-10-3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Lagerring und Dämpfungshülse
US9140338B2 (en) * 2014-02-06 2015-09-22 Gates Corporation Tensioner
US20150300462A1 (en) * 2014-02-06 2015-10-22 Gates Corporation Tensioner
DE102014206716A1 (de) * 2014-04-08 2015-10-08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US20150308545A1 (en) * 2014-04-28 2015-10-29 The Gates Corporation Orbital tensioner
EP3158229B1 (en) * 2014-06-20 2019-05-01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Tensioner with hydraulic locking feature
DE102014117094A1 (de) * 2014-11-21 2016-05-25 Muhr Und Bender Kg Riemenspannvorrichtung
US9651122B2 (en) * 2015-02-05 2017-05-16 Gates Corporation Dual arm tensio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0894A1 (en) * 2012-12-26 2014-07-03 Litens Automotive Partnership Orbital tension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2255A1 (en) 2017-09-14
WO2017152255A8 (en) 2017-10-19
EP3277979B1 (en) 2021-08-04
CN109154366A (zh) 2019-01-04
ES2893698T3 (es) 2022-02-09
PL3277979T3 (pl) 2022-01-10
US20180066733A1 (en) 2018-03-08
KR20170134551A (ko) 2017-12-06
EP3277979A4 (en) 2018-08-15
CN109154366B (zh) 2021-10-15
EP3277979A1 (en) 2018-02-07
HUE056864T2 (hu) 2022-03-28
US10393238B2 (en)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1468B1 (en) Tensioner and endless drive arrangement
CN107208755B (zh) 使用具有非轨道臂的双臂张紧器的用于混合动力车辆的环形传动装置
CN107076278B (zh) 环式传动装置和用于环式传动装置的改进的双臂张紧系统
DE102010045340B4 (de) Antriebsriemenspanner für eine Motor/Generator-Einheit
EP2938905B1 (en) Orbital tensioner assembly
JP6503385B2 (ja) 軌道テンショナアセンブリ
US11041549B2 (en) Tensioning device
KR102538859B1 (ko) 텐셔너 아암 및 편향 부재의 개선된 배열체를 갖는 보기류 구동 텐셔너
DE102011053869A1 (de) Riemen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Aggregatanordnung mit Riemenspannvorrichtung
CN109219714B (zh) 连续传动装置及用于连续传动装置的张紧系统
KR102137279B1 (ko) 벨트 전동 시스템
FR2635569A1 (fr) Dispositif de serrage automatique pour galet tendeur
DE102012209028A1 (d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Riementrieb und Elektromaschine mit einer derartigen Spannvorrichtung
DE10044125A1 (de) Mechanische Riemenspanneinheit mit hydraulischer Unterstützung
WO2006055255A2 (en) Belt tensioner system
WO2014085917A1 (en) Tensioner and endless drive arrangement
US8485539B2 (en) Enclosed decoupling stabilizer
DE202017104860U1 (de) Spannvorrichtungs-Anordnung mit Riemenscheiben-Einstellstruktur
DE102004006907A1 (de) Spannsystem für einen Zugmitteltrieb
DE102010007470A1 (de) Spanneranordnung für einen Drehantrieb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