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643B1 - 항염 활성, 항균 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알로에 유래 신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항염 활성, 항균 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알로에 유래 신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643B1
KR102538643B1 KR1020220151424A KR20220151424A KR102538643B1 KR 102538643 B1 KR102538643 B1 KR 102538643B1 KR 1020220151424 A KR1020220151424 A KR 1020220151424A KR 20220151424 A KR20220151424 A KR 20220151424A KR 102538643 B1 KR102538643 B1 KR 102538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uab1
lactococcus lactis
culture medium
lactis subspec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1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규석
전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베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베라
Priority to KR1020220151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46Streptococcus ; Enterococcus; Lactococc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Abstract

본 발명은 알로에 유래 신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은 세포독성이 없고, IL-6/STAT3 저해 활성이 뛰어나며, 항생제 내성을 가지지 않고, 용혈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항균 효과가 탁월하고,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를 항염, 항균,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고 안전한 항염 또는 항생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염 활성, 항균 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알로에 유래 신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및 이의 용도{NOVEL 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 STRAIN DERIVED FROM ALOE HAVING ANTI-INFLAMMATORY ACTIVITY, ANTIBACTERIAL ACTIVITY, ACID RESISTANCE AND BILE TOLERANCE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 균주에 관한 것이다.
인터루킨(Interleukin, IL)-6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서 선천성 면역계(Innate immune system)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IL-6의 과도한 생산은 관절염, 아토피, 골다공증, 크론(Crohn)병 등과 같은 면역 관련 염증성 질환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간조직의 단핵구(Monocyte)와 같은 대식세포(Macrophage), 쿠퍼 세포(Kupffer cell), 미세아교세포(Microglia) 등에서 염증 신호가 오면, TNF(Tumor nerosis factor)-α, IL-6, IL-1β 등이 분비된다. 이들은 NF-kB(Nuclear factor kappa-light-chain-enhancer of activated B cells)와 STAT3(Signal transducers and activators of transcription 3)에 의해 활성화되어 COX(Cyclooxygenase)-2,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등을 촉진하고, 염증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IL-6는 IL-6 수용체(receptor)를 통하여 JAK(Janus kinase)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JAK는 불활성화 상태의 STAT3을 p(Phosphorylated)-STAT3로 전환시키며, p-STAT3는 핵으로 이동하여 TNF-α, IL-6, IL-1β, COX-2, iNOS 등 염증성 인자들을 활성화시켜 질환을 악화시키게 된다. 최근 STAT3 신호전달을 억제하는 천연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Wung 등(2005)은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을 이용하여 STAT3 활성 억제 및 IL-6 신호전달 억제를 통한 항염 기작을 발표하였으며, Vingtdeux V 등(2011)은 포도에 함유된 Resveratrol(trans-3,4',5-trihydroxystilbene)이 STAT3의 활성을 억제하고 AMPK(AMP-activated protein kinase)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세포수준에서 연구하여 보고하였다.
한편,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젖산균이라고도 불리운다. 사람이나 동물의 소화관, 우유, 요구르트, 치즈, 김치, 식물 및 토양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인체의 소화계에 공생하며 섬유질 및 복합 단백질들을 분해하여 중요한 영양 성분으로 만드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을 포함한 동물의 위장관 내에서 미생물 환경을 개선하여 면역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등의 유익한 영향을 주는 유산균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면서 일반식품뿐만 아니라 건강식품 및 약품으로써 이용되는 등 그 응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적정량 섭취하였을 때 장 내에 정착하여 장건강, 면역증진 및 콜레스테롤 감소 등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살아있는 균으로 알려져 있으나, 프로바이오틱스는 장에서의 생존을 위해 산과 담즙에 대해 내성이 있어야 하고 장에 정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안전성 측면에서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 용혈성 등을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락토코쿠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균주는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락토코쿠스 속(Lactococcus spp.)에 속하는 유산균 중 하나로서, 치즈나 발효 우유 따위의 발효 유제품의 스타터로 쓰이며, 유제품에서 흔히 볼 수 있고, 특히 최근 락토코쿠스 속 미생물을 생균제, 식품 첨가제 등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항염 또는 항생 효과를 가지는 균주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IL-6 유도 STAT3 활성 저해 효과가 뛰어나고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알로에 유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 균주를 분리하였고, 상기 균주가 8종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지 않고, 용혈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표준균주(수탁번호 KCTC 3768)와 비교하여 항균 효과가 탁월하고,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기능 성분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가 항염, 항균,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고 안전한 항염 또는 항생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또는 항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지시서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축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 균주는 세포독성이 없고, IL-6/STAT3 저해 활성이 뛰어나며, 항생제 내성을 가지지 않고, 용혈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항균 효과가 탁월하고,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를 항염, 항균,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고 안전한 항염 또는 항생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알로에 유래 유산균 7종의 세포독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알로에 유래 유산균의 IL-6/STAT3 저해 활성을 확인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 균주 및 표준균주(수탁번호 KCTC 3768)의 용혈 활성을 확인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는 한국 주식회사 유니베라에서 개발한 유산균으로서, 알로에로부터 분리되었고, 서열번호 1의 16S rDNA 염기서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는 인터루킨(Interleukin, IL)-6 유도 STAT3(Signal transducers and activators of transcription 3)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항염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는 항생제에 대하여 감수성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암피실린(Ampicillin), 카나마이신(Kanamycin),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반코마이신(Vancomyicin), 아모시실린(Amoxicillin), 클라불란산(Clavulanic acid) 및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에 대하여 감수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는 용혈 활성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는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플렉스네리 이질균(Shigella flexneri)에 대해 항균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는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IL-6 유도 STAT3 활성 저해 효과가 뛰어나고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알로에로부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였고, 상기 균주의 항생제 내성, 용혈 활성, 항균 효과, 내산성 및 내담즙성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표준균주(수탁번호 KCTC 3768)와 비교한 결과, 상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가 8종의 항생제에 내성을 가지지 않고, 용혈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항균 효과가 탁월하고,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를 항염, 항균,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고 안전한 항염 또는 항생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은 시판되는 것, 또는 공지된 제조법으로 제조된 것 중 어느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다.
또한, 상기 배양액은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를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용한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배양 여과액, 상기 배양 여과액의 농축액 또는 상기 배양 여과액의 건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것, 배양한 후 균주를 제거한 배양액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항생용 조성물”은 약제 형태로 동물에게 제공되어 균을 사멸시킬 수 있는 제제를 의미하며, 방부제, 살균제, 항생제 및 항균제를 총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항염은 IL-6 유도 STAT3의 활성화 저해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유효성분으로서 균주를 106 내지 1013 CFU/㎖의 함량으로 포함하거나, 동등한 수의 생균을 가진 배양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성분인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의 유효량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통상적인 담체 또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첨가제를 선택하여 통상적인 제형의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방부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항산화제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희석제로는 유당(lactose monohydrate), 트레할로스(Trehalose), 옥수수 전분(cornstarch), 콩기름(soybean oil), 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또는 만니톨(D-mannitol)이 좋고,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또는 탈크(talc)가 바람직하며, 결합제로는 폴리비닐 피롤리돈(PVP:polyvinyl pyrolidone) 또는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hydroxypropylcellulose) 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Ca-CMC: carboxymethylcellulose calcium), 전분글리콜산나트륨(sodium starchglycolate), 폴라크릴린칼륨(polacrylin potassium) 또는 크로스포비돈(cross-linkedpolyvinylpyrrolidone)중에서 선택함이 바람직하고,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소르비톨(sorbitol) 또는 아스파탐(aspartame) 중에서 선택되고,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Na-CMC: carboxymethylcellulosesodium), 베타-싸이크로덱스트린(β-cyclodextrin), 백납(white bee's wax) 또는 잔탄검(xanthan gum) 중에서 선택되며,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methyl p-hydroxy benzoate, methylparaben),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propylp-hydroxybenzoate, propylparaben), 또는 소르빈산칼륨(potassium sorbate)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항염, 항균,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여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의 수득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생용 조성물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내용을 원용하고, 이하에서는 약학 조성물의 특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 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또한,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및 이의 중증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과 같은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 20 내지 1,000 mg/kg/일, 약 50 내지 1,000 mg/kg/일, 약 100 내지 1,000 mg/kg/일, 약 200 내지 1,000 mg/kg/일, 약 400 내지 1,000 mg/kg/일, 약 600 내지 1,000 mg/kg/일, 약 800 내지 1,000 mg/kg/일, 약 20 내지 60 mg/kg/일, 약 20 내지 100 mg/kg/일, 약 20 내지 200 mg/kg/일, 약 20 내지 400 mg/kg/일, 약 20 내지 500 mg/kg/일, 약 20 내지 800 mg/kg/일, 약 100 내지 600 mg/kg/일, 또는 약 200 내지 400 mg/kg/일의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 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비독성의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투여 경로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 및 지시서를 더 포함하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예를 들어,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식품, 차, 젤리, 즙, 엑기스,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가공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면서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를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 시에는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으므로 유효성분은 상기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얼음과자, 아이스크림류, 우유, 우유 대용품, 크림, 버터, 버터 밀크, 요구르트, 요거트, 치즈를 포함하는 낙농제품, 각종 수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외의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는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는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의 수득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항염 또는 항생용 조성물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내용을 원용하고, 이하에서는 화장료 조성물의 특유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상기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제,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화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파운데이션, 왁스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지방족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지방산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셀룰로오스, 알루미늄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 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축은 개, 고양이, 토끼, 양, 염소, 돼지, 말, 당나귀, 소, 젖소, 오리, 닭 또는 거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사료 첨가제는 사료에 첨가되는 물질을 의미하고, 대상 개체의 생산성 향상이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사료 첨가제는 사료 관리법상 보조사료에 해당할 수 있고, 시판되는 기본 사료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기본 사료는 가축의 성장을 위한 필수 영양소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및 추가적인 광물질, 비타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료는 개체가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는, 적당한 임의의 천연 규정식, 인공 규정식, 한끼식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및 곡물 부산물류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식물성 사료일 수 있고,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및 음식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동물성 사료일 수 있으며, 상기 식물성 사료 및 동물성 사료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축 사료 첨가제에는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결착제, 유화제, 보존제 등이 있고, 효용 증대를 위하여 사료에 첨가하는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효소제, 향미제, 비단백질태질소화합물, 규산염제, 완충제, 추출제, 올리고당 등이 있다. 그 외에도 사료 혼합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의 분리 및 선별
<1-1> 알로에로부터 균주의 분리 및 배양
알로에로부터 균주는 다음과 같이 분리 및 배양하였다.
구체적으로, 증류수로 세척한 뒤 음건한 알로에 잎의 껍질을 제거한 후 잘게 자르고 멸균 생리식염수인 0.85 %의 염화나트륨(NaCl)으로 희석한 다음 BCP(Bromo cresol purple) 첨가 평판측정용 한천(BCP plate count agar, EIKEN, 일본) 배지에 접종하였다. 그다음 상기 배지를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나타난 콜로니(colony)에 노란색 환을 형성하는 균주만을 분리하였다.
이어 상기 알로에로부터 순수 분리한 균주를 5 %의 혈액을 첨가한 65℃로 식힌 멸균 TSA(Tryptone soy agar, Difco, 미국) 배지 및 MRS 한천(MRS agar, Difco, 미국) 평판배지에 도말하고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이때 형성된 콜로니를 30% 글리세롤(glycerol)을 사용해 글리세롤 스탁(glycerol stock)으로 제조 후 -80℃의 온도에서 보관하였다.
그 결과, 알로에로부터 총 15종의 유산균 및 미생물 총 15종이 분리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중 필요한 유산균 7종(AL-7, AL-8, UAB1, UAB10, AL-10, AL-11, AL-13)을 선별하였다.
<1-2> 알로에로부터 분리한 균주의 세포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한 균주 15종 중 선별한 유산균 7종에 대하여 세포독성 유무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 line을 세포 농도가 5×105 cells/㎖가 되도록 현탁한 후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고,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 후 선별한 유산균 7종을 각각 10, 30 및 60 ㎍/㎖의 농도로 처리한 다음 24시간 동안 배양한 뒤 MTT assay kit 및 Cytotoxicity LDH assay kit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로에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7종 모두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1-3> 알로에로부터 분리한 균주의 인터루킨(Interleukin, IL)-6 유도 STAT3(Signal transducers and activators of transcription 3) 루시퍼라제(luciferase) 활성 저해 확인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한 균주 15종 중 선별한 유산균 7종에 대하여 유효 유산균을 선별하기 위한 IL-6 유도 STAT3 루시퍼라제 활성 저해 효과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STAT3 활성에 의존적으로 루시퍼라제 유전자를 발현하는 Hep3B 세포에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 후 선별한 유산균 7종을 각각 10, 30 및 60 ㎍/㎖의 농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한 다음 STAT3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IL-6 10 ng/㎖를 18시간 동안 처리하여 루시퍼라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로에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7종 중 유효한 STAT3 전사(transcription)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후보군으로 UAB1을 본 발명에서 사용하였다.
<1-4> 알로에로부터 분리한 UAB1의 16S rDNA 분석
상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에서 분리 및 선별된 UAB1을 동정하기 위하여 16S rRNA 분석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에서 분리 및 선별된 UAB1으로부터 서열번호 2의 16S rDNA 분절 5'-TCC GTA GGT GAA CCT GCG G-3'을 프라이머(primer)세트로 PCR을 수행하여 증폭시키고 증폭산물을 정제한 후 자동염기서열 분석 장치(Model 373A automatic sequencer, Applied biosystems, 미국) 및 키트(BigDye terminator cycle sequencing kit, Applied biosystems, 미국)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한 다음, 이의 결과를 토대로 NCBI의 BLAST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Genbank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유전자 염기서열과 상동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UAB1 균주는 표준균주인 락토코쿠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와 가장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본 발명의 UAB1 균주를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이라 명명하고, 2021년 11월 16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 14775BP를 부여받았다.
<실험예 1>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의 항생제 내성 확인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의 항생제 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및 선별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및 표준균주(수탁번호 KCTC 3768) 0.5%를 각각 MRS 한천배지 100 ㎖에 접종 후 37℃에서 6시간 동안 배양하고, 625㎚에서 0.08 내지 0.13 정도의 흡광도가 되도록 멸균 생리식염수에 희석한 희석액을 MRS 한천배지에 도말한 다음 총 8종의 항생제인 암피실린(Ampicillin), 카나마이신(Kanamycin),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반코마이신(Vancomyicin), 아모시실린(Amoxicillin), 클라불란산(Clavulanic acid) 및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을 분주한 항생제 감수성 평가 디스크를 로딩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균생장 저해 범위(clear zone)의 직경을 측정하여 항생제 감수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은 상기 8종의 항생제에 대해 모두 항생제 내성을 가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분 항생제
종류
농도 내성 중간 감수성 표준균주
(KTCT 3768)
UAB1
(단위: ㎜)
1 암피실린 10 ㎍ 13 이하 14-16 17 이상 30 34
28 이하 19 이상
16 이하 17 이상
19 이하 20 이상
18 이하 19-21 22 이상
24 이상
2 카나마이신 30 ㎍ 13 이하 14-17 18 이상 13 -
3 에리트로마이신 15 ㎍ 15 이하 16-20 21 이상 22 26
13 이하 14-22 23 이상
4 테트라사이클린 30 ㎍ 18 이하 19-22 23 이상 24 34
25 이하 26-28 29 이상
30 이하 31-37 38 이상
14 이하 15-18 19 이상
5 반코마이신 30 ㎍ 14 이하 15-16 17 이상 28 21
15 이상 15 이상
17 이상 17 이상
6 아모시실린 20 ㎍ 19 이하 14-17 20 이상 26 40
7 클라불란산 10 ㎍ 13 이하 14-17 18 이상 26 40
8 독시사이클린 30 ㎍ 12 이하 13-15 16 이상 24 30
<실험예 2>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의 용혈 활성 확인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의 용혈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및 선별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및 표준균주(수탁번호 KCTC 3768)를 5 %의 멸균된 면양혈액(Sheep blood)이 첨가 TSA 배지에 접종하여 용혈반응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및 표준균주 모두 콜로니 주위에 변화가 관찰되지 않아 용혈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의 항균성 확인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의 항균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및 선별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및 표준균주(수탁번호 KCTC 3768) 0.5 %를 각각 MRS 한천배지 10 ㎖에 접종 후 37℃에서 전배양하고, 전배양된 UAB1 및 표준균주를 MRS 한천배지에 1 ㎕씩 분주한 뒤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다음 배양된 UAB1 및 표준균주를 TSA 배지에 도말한 후 37℃에서 배양하고, 배양된 콜로니를 BHI(Brain heart infusion, Difco, 미국)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한 뒤 멸균하여 45 내지 50℃로 식힌 1 % BHI 한천배지에 플렉스네리 이질균(Shigella flexneri, 수탁번호 KCTC 22192) 배양액 1 %를 접종한 다음 10 ㎖씩 UAB1 및 표준균주 위에 점적하고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균생장 저해 범위(Clear zone)의 직경을 측정하여 항균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이 표준균주에 비하여 플렉스네리 이질균(Shigella flexneri, 수탁번호 KCTC 22192)에 대한 항균 효과가 탁월한 것을 확인하였다.
시험균주 균생장 저해범위(Clear zone)의 직경 (단위: ㎜)
표준균주(KTCT 3768) UAB1
Shigella flexneri
(수탁번호 KCTC 22192)
18 22
<실험예 4>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의 내산성 확인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의 내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및 선별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및 표준균주(수탁번호 KCTC 3768) 0.5 %를 각각 MRS 한천배지 10 ㎖에 접종 후 37℃에서 배양하고, 배양된 UAB1 및 표준균주 50 ㎕를 염화 수소(HCl)로 pH를 각각 2.0, 2.5, 3.0 및 3.5로 조정하여 멸균한 MRS 액체(broth) 배지 5 ㎖에 접종한 다음 37℃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한 후 펩톤 식염 완충액(Buffered peptone water)으로 희석하여 ㎖당 균수를 측정하였다. 그다음 UAB1 및 표준균주의 균수를 측정한 뒤 0.01을 곱한 값을 대조군(Control)으로 하고, 대조군 균수를 100 %로 계산하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이 표준균주에 비하여 높은 내산성을 보여 체내에서 위액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장까지 도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pH 표준균주(KTCT 3768) UAB1
cfu/㎖ 생존율(%) cfu/㎖ 생존율(%)
대조군 1.5×107 100 1.48×108 100
2.0 - ND 2.92×104 0.02
2.5 - ND 2.7×107 18.24
3.0 - ND 6.4×107 43.24
3.5 1.0×107 66.67 9.8×107 66.22
<실험예 5>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의 내담즙성 확인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의 내담즙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 및 선별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및 표준균주(수탁번호 KCTC 3768) 0.5 %를 각각 MRS 한천배지 10 ㎖에 접종 후 37℃에서 배양하고, 황소 담즙(ox gall)을 0.3 % 및 0.5 %씩 각각 첨가한 MRS 한천배지를 제조하였으며, 대조군(control)으로는 황소 담즙을 첨가하지 않은 MRS 한천배지를 사용하였다. 배양된 UAB1 및 표준균주을 희석하여 상기에서 제조한 MRS 한천배지에 도말한 후 37℃에서 2일 동안 배양한 다음 각 콜로니를 계수하고 대조군의 균수를 100 %로 계산하여 생존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이 표준균주에 비하여 높은 내담즙성을 보여 장내에서 담즙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생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황소 담즙 농도
(%)
표준균주(KTCT 3768) UAB1
cfu/㎖ 생존율(%) cfu/㎖ 생존율(%)
0 2.1×109 100 9.2×109 100
0.3 - ND 9.1×109 98.91
0.5 - ND 7.9×109 86.81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은 세포독성이 없고, IL-6/STAT3 저해 활성이 뛰어나며, 항생제 내성을 가지지 않고, 용혈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항균 효과가 탁월하고,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여 천연생물 자원 유래 기능성 소재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9)

  1.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UAB1)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DNA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인,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알로에로부터 분리된 것인, 균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인터루킨(Interleukin, IL)-6 유도 STAT3(Signal transducers and activators of transcription 3) 활성을 저해하는 것으로서, 항염, 항생제 감수성, 항균 활성, 내산성, 내담즙성 및 장부착성 증가 효과를 모두 갖는 것인, 균주.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는 암피실린(Ampicillin), 카나마이신(Kanamycin),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반코마이신(Vancomyicin), 아모시실린(Amoxicillin), 클라불란산(Clavulanic acid) 및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항생제인 것인, 균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용혈 활성을 보이지 않는 것인, 균주.
  8. 삭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활성은 플렉스네리 이질균(Shigella flexneri)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인, 균주.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이질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은 IL-6 유도 STAT3 활성 저해에 의한 것인, 항염 또는 이질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이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지시서를 더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이질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
  15.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16.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용 조성물.
  17.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18.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9. 제1항 내지 제4항, 제6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탁번호 KCTC 14775BP의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이의 배양액, 이의 발효물, 상기 배양액의 농축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물 또는 이들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가축 사료 첨가제.
KR1020220151424A 2022-11-14 2022-11-14 항염 활성, 항균 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알로에 유래 신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38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424A KR102538643B1 (ko) 2022-11-14 2022-11-14 항염 활성, 항균 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알로에 유래 신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1424A KR102538643B1 (ko) 2022-11-14 2022-11-14 항염 활성, 항균 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알로에 유래 신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8643B1 true KR102538643B1 (ko) 2023-06-01

Family

ID=86770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1424A KR102538643B1 (ko) 2022-11-14 2022-11-14 항염 활성, 항균 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알로에 유래 신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6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9339A (ja) * 2006-03-13 2009-08-20 アブリンクス エン.ヴェー. Il−6を標的とするアミノ酸配列およびそれを含みil−6介在シグナル伝達に関連する疾患および疾病を治療するポリペプチド
JP2013530187A (ja) * 2010-06-17 2013-07-25 ザ ユナイテッド ステイツ オブ アメリカ アズ リプレゼンティッド バイ ザ シークレタリー デパートメント オブ ヘルス アンド ヒューマン サービシーズ 炎症性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20150046813A (ko) * 2013-10-22 2015-05-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 세포 표적형 mIL-6 분비 Lactococcus lactis IL1403 재조합 유산균주
KR101599769B1 (ko) * 2012-08-10 2016-03-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락토코쿠스 종 균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29339A (ja) * 2006-03-13 2009-08-20 アブリンクス エン.ヴェー. Il−6を標的とするアミノ酸配列およびそれを含みil−6介在シグナル伝達に関連する疾患および疾病を治療するポリペプチド
JP2013530187A (ja) * 2010-06-17 2013-07-25 ザ ユナイテッド ステイツ オブ アメリカ アズ リプレゼンティッド バイ ザ シークレタリー デパートメント オブ ヘルス アンド ヒューマン サービシーズ 炎症性疾患を治療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KR101599769B1 (ko) * 2012-08-10 2016-03-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락토코쿠스 종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50046813A (ko) * 2013-10-22 2015-05-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 세포 표적형 mIL-6 분비 Lactococcus lactis IL1403 재조합 유산균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ishitani, Y. et al, Bioscience Microflora (2010) Vol. 29 (4), 169-178 *
Nishitani, Y. et al,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009) 9:1444-145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8917B2 (ja) 新規なラクトバチルス・プランタラム及びこれを含む組成物
KR102503163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63757B1 (ko) 가드네렐라 바기날리스 및 칸디다 알비칸스에 항균 효과를 갖는 질염 치료 또는 개선용 유산균
KR20120100608A (ko) 면역관련 및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활성을 갖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K101
KR102084973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6564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cvl-001 균주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34487B1 (ko)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질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25837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1074B1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유산균 조성물
CN102811720A (zh) 亚氨基环醇类作为上皮细胞细菌粘附抑制剂的用途
KR101467698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183841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562507B1 (ko) 항염증 효과가 뛰어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아종 톨러란스 WiKim0148 및 이의 용도
KR102230517B1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31823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38643B1 (ko) 항염 활성, 항균 활성, 내산성 및 내담즙성을 가지는 알로에 유래 신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538644B1 (ko) 항염 활성, 항균 활성, 내산성, 내담즙성 및 장부착성을 가지는 알로에 유래 신규 락토코쿠스 락티스 아종 호르드니아에 uab10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90239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b4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34486B1 (ko)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갖는 질 유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vg.q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0865075B1 (ko) 장내 정착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속 sm1 균주 및이들이 생산하는 생균제
KR102465484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75223B1 (ko) 아르테수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090130136A (ko) 헬리코박터ㆍ파일로리 제균제
KR102210092B1 (ko)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05 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40899A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n4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