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8069B1 - 발 관리용 핸드피스 - Google Patents

발 관리용 핸드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8069B1
KR102538069B1 KR1020200140668A KR20200140668A KR102538069B1 KR 102538069 B1 KR102538069 B1 KR 102538069B1 KR 1020200140668 A KR1020200140668 A KR 1020200140668A KR 20200140668 A KR20200140668 A KR 20200140668A KR 102538069 B1 KR102538069 B1 KR 102538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support
pile
rotational force
hand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009A (ko
Inventor
신정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양
Priority to KR1020200140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80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56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8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8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4Chiropodists' instruments, e.g. pedic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61B2017/00398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solen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61Removing layer of skin tissue, e.g. wrinkles, scars or cancerous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 관리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이는, 회전력을 출력하는 회전력출력부와, 외부로부터 삽입된 파일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 고정한 상태로 상기 회전력출력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척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척킹장치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회전력출력부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수용공간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축부에 파일을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가지고, 다수의 분할슬릿에 의해 분할되며, 상기 관통로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다수의 탄력죠오를 구비한 파일홀더, 상기 분할슬릿에 끼워져 탄력죠오의 오므라짐을 제한하되, 파일의 삽입 시 파일에 밀려 반지름 방향으로 벌어짐으로써 탄력죠오가 오므라져 파일을 물어 고정하게 하는 다수의 지지핀을 구비한 콜렛척과; 상기 구동실린더를 수용 고정하고, 상기 콜렛척에 고정된 상태의 파일을 지지하는 파일지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발 관리용 핸드피스는, 고속 회전하는 각질 제거용 파일을 이용해 각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파일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척킹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 발생이 없다.

Description

발 관리용 핸드피스{Handpiece for foot care}
본 발명은 발 관리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 회전하는 파일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척킹 구조가 간단하며 고장 발생이 없는, 발 관리용 핸드피스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여러 부위 중 발바닥은 체중의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고 다른 부분에 비해 신경을 덜 쓰는 관계로 각질층이 생기기 쉽다. 각질은 체내의 수분이 필요 이상 증발하는 것을 막아주고, 이물질이 피부 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순기능을 하기는 하지만, 각질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지거나 심하게 건조되는 경우, 갈라져 통증을 유발하고 미관상 지저분하게 보인다는 문제를 갖는다.
각질의 제거는, 보통, 발을 뜨거운 물에 담가 불린 다음 돌이나 칼날 또는 전용 각질제거기를 이용해 벗겨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의 각질 제거방식은, 정상피부를 자극하여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또한 발을 더운 물에 담가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동력식 각질제거기가 제안된 바 있으며, 그 중에는,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94838호를 통해 개시된 전동식 각질제거기도 있다. 개시된 각질제거기는, 발의 각질을 제거하기 위한 전동식 각질 제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청소용솔 보관통과 모터구동 및 속도조절용 스위치와 전원연결용 커넥터로 구성되는 손잡이부와;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각질흡입을 위한 회전날개와 각질이 튀는 것을 막아주는 가드링 및 연마판이 회전 도중에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가대로 구성되는 몸체부와; 각질을 모을 수 있는 집진필터를 포함하고, 공기구멍이 형성된 집진부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연마판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자석과 고정용홈에 의하여 연마판을 고정시켜주는 회전판 및 돌출된 돌기에 의해 각질 제거가 가능한 연마판으로 구성된 연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594838호 (전동식 각질제거기)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1008 (피부의 각질 제거용 핸드피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각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파일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척킹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 발생이 없는, 발 관리용 핸드피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발 관리용 핸드피스는, 회전력을 출력하는 회전력출력부와, 외부로부터 삽입된 파일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 고정한 상태로 상기 회전력출력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척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척킹장치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회전력출력부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수용공간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축부에 파일을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가지고, 다수의 분할슬릿에 의해 분할되며, 상기 관통로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다수의 탄력죠오를 구비한 파일홀더, 상기 분할슬릿에 끼워져 탄력죠오의 오므라짐을 제한하되, 파일의 삽입 시 파일에 밀려 반지름 방향으로 벌어짐으로써 탄력죠오가 오므라져 파일을 물어 고정하게 하는 다수의 지지핀을 구비한 콜렛척과; 상기 구동실린더를 수용 고정하고, 상기 콜렛척에 고정된 상태의 파일을 지지하는 파일지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파일은; 일정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직선 연장된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각질을 제거하는 커팅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핀은; 분할슬릿에 끼워진 상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삽입되는 파일의 연장로드에 밀려 벌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관통로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탄력죠오는; 후방으로 갈수록 오므라져, 분할슬릿에 끼워져 있는 지지핀의 단부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한다.
아울러, 상기 분할슬릿은, 파일홀더의 주연부로부터 관통로로 갈수록 좁아지며, 지지핀과 선접촉하는 내향 경사지지면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경사지지면은 지지핀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며, 경사지지면의 최소간격은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핀은 일정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직선 연장된 환봉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구동실린더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핀을 수용하며 콜렛척이 구동실린더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내주홈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파일의 연장로드가 파일홀더의 관통로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로드와 지지핀, 지지핀과 내주홈부는 동시에 선접촉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발 관리용 핸드피스는, 고속 회전하는 각질 제거용 파일을 이용해 각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파일의 장착 및 분리를 위한 척킹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 발생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관리용 핸드피스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척킹장치를 따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척킹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콜렛척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콜렛척의 척킹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발 관리기용 핸드피스는, 가령 발뒤꿈치에 붙어 있는 각질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회전력을 출력하는 회전력출력부와, 외부로부터 삽입된 파일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 고정한 상태로 상기 회전력출력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척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척킹장치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회전력출력부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수용공간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축부에 파일을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가지고, 다수의 분할슬릿에 의해 분할되며, 상기 관통로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다수의 탄력죠오를 구비한 파일홀더, 상기 분할슬릿에 끼워져 탄력죠오의 오므라짐을 제한하되, 파일의 삽입 시 파일에 밀려 반지름 방향으로 벌어짐으로써 탄력죠오가 오므라져 파일을 물어 고정하게 하는 다수의 지지핀을 구비한 콜렛척과; 상기 구동실린더를 수용 고정하고, 상기 콜렛척에 고정된 상태의 파일을 지지하는 파일지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 관리용 핸드피스(10)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 관리용 핸드피스(10)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케이스(21)와, 케이스(21) 내에 설치되는 회전력출력부(22) 및 척킹장치(30)를 포함한다.
케이스(21)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취급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며, 외측부에 스위치(21c)를 구비한다. 스위치(21c)는 회전력출력부(22)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사용자는 케이스(21)를 파지한 상태로 스위치(21c)를 조작하여 회전력출력부(22)를 온오프 할 수 있다.
회전력출력부(22)는 케이스(21)의 내부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력에 의해 동작하여 구동샤프트(22a)를 축회전 시킨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구동샤프트(22a)는 스위치(21c)의 조작에 의해 축회전 한다. 이러한 작동 방식은, 치과병원에서 사용하는 치아 치료용 핸드피스와 동일하며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척킹장치(30)는 커넥터(23)를 통해 구동샤프트(22a)에 연결된 상태로, 베어링(26)에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척킹장치(30)가 구동샤프트(22a)와 동시에 축회전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척킹장치(30)는, 도 2에 도시한 형상을 취하며, 외부로부터 진입한 파일(12)의 연장로드(12a)를 수용 고정한다.
파일(12)은, 일정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직선 연장된 연장로드(12a)와, 연장로드(12a)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커팅헤드(12b)로 이루어진다. 커팅헤드(12b)는, 각질을 제거하는, 말하자면, 다공성 숫돌이다. 연장로드(12a)는 케이스(21)의 선단부로 개방되어 있는 파일지지구멍(61)을 통해 케이스(21)의 내측방향으로 진입하여 후술할 콜렛척(50)에 물려 고정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척킹장치(3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척킹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3의 콜렛척(5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콜렛척(50)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척킹장치(30)는, 구동실린더(40), 콜렛척(50), 하우징(60)을 포함한다.
구동실린더(40)는, 후단부에 커넥터고정부(41f)를 가지며 전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41a)을 제공한다. 전방이라 함은 도 1에 도시한 커팅헤드(12b)가 위치하는 방향이다. 당연히, 후방은 커팅헤드(12b) 방향의 반대 방향이다.
커넥터고정부(41f)는 커넥터(도 1의 23)가 결합하는 부분이다. 커넥터(23)의 회전토크는 커넥터고정부(41f)를 통해 척킹장치(30)로 유입한다.
또한 수용공간(41a)은 콜렛척(50)을 수용 지지하는 공간으로서 내주면에 3개의 내주홈부(41e)을 갖는다. 내주홈부(41e)는, 구동실린더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120도 각도로 형성된 홈으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핀(53)을 수용한다. 내주홈부(41e)는 지지핀(53)이 화살표 r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설계 적용된 것이다.
콜렛척(50)은, 하나의 파일홀더(51)와 세 개의 지지핀(53)으로 구성된다.
지지핀(53)은 일정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직선 연장된 환봉형 부재로서, 파일홀더(51)에 마련되어 있는 분할슬릿(51f)에 끼워진다. 지지핀(53)은 분할슬릿(51f)의 경사지지면(51e)에 접한 상태로 탄력죠오(51c)의 오므라짐을 제한하되, 파일(12)의 삽입 시 파일에 밀려 반지름 방향(도 8의 화살표 e방향)으로 벌어짐으로써, 탄력죠오(51c)가 오므라져 파일을 물어 고정하게 한다.
파일홀더(51)는, 일정직경의 링의 형상을 취하며 중심축부에 관통로(51a)를 갖는 지지링부(51b)와, 지지링부(51b)에 일체를 이루고 후방으로 연장된 세 개의 탄력죠오(51c)를 갖는다. 탄력죠오(51c)는, 관통로(51a)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120도 각도로 배치되고, 특히 내측방향(도 7의 화살표 f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 된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탄력죠오(51c)의 후단부가 서로에 대해 근접하려는 성향을 갖는 것이다.
각 탄력죠오(51c)의 사이에는 분할슬릿(51f)이 형성된다. 분할슬릿(51f)은 이웃하는 탄력죠오(51c)의 사이 공간으로서 지지핀(53)을 수용 지지한다. 분할슬릿(51f)의 내향면은 경사지지면(51e)으로서 지지핀(53)의 외주면에 선접촉한다.
상호 대향하는 경사지지면(51e)은 파일홀더(51)의 외부에서 관통로(51a)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대향하는 경사지지면(51e)의 최소간격이 지지핀(53)의 직경보다 작음은 물론이다. 또한 분할슬릿(51f)의 폭도,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진다. 즉, 분할슬릿 전방의 폭(W1)에 비해 후방의 폭(W2)가 상대적으로 좁은 것이다.
지지핀(53)은 각 분할슬릿(51f)에 끼워져 양측 경사지지면(51e)에 선접촉한 상태로 탄력죠오(51c)의 오므라짐을 제한한다. 특히 지지핀(53)은 분할슬릿(51f)에 수용된 상태로 일부분이 관통로(51a)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핀(53)은 연장로드(12a)가 관통로(51a)의 내부로 진입할 때, 연장로드(12a)에 밀려 도 8의 화살표 e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연장로드(12a)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로드(12a)와 지지핀(53)과 내주홈부(41e)는 선접촉하며 지지핀(53)은 움직이지 않는다.
또한 지지핀(53)이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력죠오(51c)는 내재하고 있는 탄성력에 의해 오므라져 연장로드(12a)를 화살표 p방향으로 가압 지지한다. 파일(12)이 콜렛척(50)에 물려 고정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파일(12)을 끼워 장착한 상태에서 핸드피스를 구동하여 각질을 제거한 후, 파일(12)을 핸드피스(10)로부터 빼내기 위해서는, 이를테면, 한손으로 핸드피스(10)를 잡고 반대편 손으로 파일(12)을 잡아, 파일(12)을 힘으로 인출하면 된다. 파일(12)의 연장로드(12a)가 탄력죠오(51c)로부터 빠져나가면, 각 지지핀(53)이 분할슬릿(51f)으로 원 위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60)은, 콜렛척(50)이 내장된 구동실린더(40)를 수용 고정하는 것으로서, 선단부에 파일지지구멍(61)을 갖는다. 파일지지구멍(6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21)의 선단부로 개방되며, 파일의 연장로드(12a)를 콜렛척(50)으로 유도하는 통로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핸드피스 12:파일 12a:연장로드
12b:커팅헤드 21:케이스 21c:스위치
22:회전력출력부 22a:구동샤프트 23:커넥터
26:베어링 30:척킹장치 40:구동실린더
41a:수용공간 41e:내주홈부 41f:커넥터고정부
50:콜렛척 51:파일홀더 51a:관통로
51b:지지링부 51c:탄력죠오 51e:경사지지면
51f:분할슬릿 53:지지핀 60:하우징
61:파일지지구멍

Claims (6)

  1. 회전력을 출력하는 회전력출력부와, 외부로부터 삽입된 파일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 고정한 상태로 상기 회전력출력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는 척킹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척킹장치는,
    커넥터를 통해 상기 회전력출력부에 연결되고, 전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구동실린더와;
    상기 구동실린더의 수용공간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축부에 파일을 통과시키는 관통로를 가지고, 다수의 분할슬릿에 의해 분할되며, 상기 관통로측으로 탄성 바이어스 되는 다수의 탄력죠오를 구비한 파일홀더와, 상기 분할슬릿에 끼워져 탄력죠오의 오므라짐을 제한하는 다수의 지지판을 구비한 콜렛척과;
    상기 구동실린더를 수용 고정하고, 상기 콜렛척에 고정된 상태의 파일을 지지하는 파일지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탄력죠오의 분할 슬릿은 상기 지지핀의 양면과 접촉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경사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서로 대항하는 경사지지면은 상기 파일홀더의 외부에서 상기 관통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상기 다수의 지지핀은, 상기 파일의 삽입 시 파일에 밀려 상기 구동 실린더 방향으로 밀려나짐으로써 상기 탄력죠오가 오므라져 파일을 물어 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삽입된 파일이 빠져나가면 상기 다수의 지지핀이 상기 경사지지면을 타고 상기 관통로 방향으로 이동하여서 상기 오므라진 탄력죠오가 벌어지는,
    발 관리용 핸드피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일정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직선 연장된 연장로드와, 상기 연장로드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각질을 제거하는 커팅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핀은;
    분할슬릿에 끼워진 상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고, 삽입되는 파일의 연장로드에 밀려 벌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관통로 내부로 돌출되며,
    상기 탄력 죠오는:
    후방으로 갈수록 오므라져, 분할슬릿에 끼워져 있는 지지핀의 단부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발 관리용 핸드피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슬릿은,
    파일홀더의 주연부로부터 관통로로 갈수록 좁아지며, 지지핀과 선접촉하는 내향 경사지지면을 제공하는,
    발 관리용 핸드피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지지면은 지지핀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향하며, 경사지지면의 최소간격은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발 관리용 핸드피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은 일정직경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직선 연장된 환봉의 형상을 취하고,
    상기 구동실린더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핀을 수용하며 콜렛척이 구동실린더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내주홈부가 형성된,
    발 관리용 핸드피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의 연장로드가 파일홀더의 관통로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장로드와 지지핀, 지지핀과 내주홈부는 동시에 선접촉하는,
    발 관리용 핸드피스.
KR1020200140668A 2020-10-27 2020-10-27 발 관리용 핸드피스 KR102538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668A KR102538069B1 (ko) 2020-10-27 2020-10-27 발 관리용 핸드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668A KR102538069B1 (ko) 2020-10-27 2020-10-27 발 관리용 핸드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009A KR20220056009A (ko) 2022-05-04
KR102538069B1 true KR102538069B1 (ko) 2023-05-30

Family

ID=8158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668A KR102538069B1 (ko) 2020-10-27 2020-10-27 발 관리용 핸드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80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342B1 (ko) 2007-05-16 2008-02-27 박성환 발의 각질 제거기
KR101482009B1 (ko) * 2014-01-28 2015-01-21 주식회사 세양 공구 척 및 이를 구비한 핸드피스
KR101697608B1 (ko) * 2015-07-08 2017-01-18 이헌욱 피부 각질 제거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1008A (ko) 2002-07-26 2004-02-05 주식회사 옥시백 피부의 각질제거용 핸드피스
KR100594838B1 (ko) 2004-04-30 2006-06-30 조경수 전동식 각질제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342B1 (ko) 2007-05-16 2008-02-27 박성환 발의 각질 제거기
KR101482009B1 (ko) * 2014-01-28 2015-01-21 주식회사 세양 공구 척 및 이를 구비한 핸드피스
KR101697608B1 (ko) * 2015-07-08 2017-01-18 이헌욱 피부 각질 제거기능을 갖는 핸드피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009A (ko)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3546B2 (en) Pedicure sander having shock-absorbing unit
US6123713A (en) Hair removal device with vibrating assembly
NO310054B1 (no) Roterende tannbörste
JP2014520647A (ja) 皮膚トリートメント装置
JP2005510259A5 (ko)
JP3198295B2 (ja) クレンジング部材及び歯の電動クレンジング装置
CA2669077C (en) Teeth cleaning apparatus
US20110230804A1 (en) Apparatus for stimulating fresh skin
KR102538069B1 (ko) 발 관리용 핸드피스
US7347211B1 (en) Electrically operated sander for removing calluses and increasing circulation
CN215307372U (zh) 耳垢去除装置
JPH05500170A (ja) 自蔵動力式の歯科用歯苔除去装置
US20120003906A1 (en) Device for the cleaning and care of shaving devices
KR102300398B1 (ko) 전동식 각질제거기
KR101337308B1 (ko) 핸드피스의 저진동 스핀들구조
CN214207528U (zh) 一种洗刷工具
KR101741326B1 (ko) 전동 칫솔
KR20050105061A (ko) 전동식 각질제거기
KR102110898B1 (ko) 의료용 세이버 탈부착용 클램프
KR101324984B1 (ko) 전동식 손톱정리장치
KR101117659B1 (ko) 핸드피스의 공구 척킹장치
JPS5816662Y2 (ja) 電動歯ブラシ
KR200278499Y1 (ko) 수술용 회전면봉
EP2145741A1 (en) Combined shaving device
CN217907849U (zh) 一种改进型磨皮磨甲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