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861B1 - 무 세척 및 가공 방법 - Google Patents

무 세척 및 가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861B1
KR102536861B1 KR1020220044285A KR20220044285A KR102536861B1 KR 102536861 B1 KR102536861 B1 KR 102536861B1 KR 1020220044285 A KR1020220044285 A KR 1020220044285A KR 20220044285 A KR20220044285 A KR 20220044285A KR 102536861 B1 KR102536861 B1 KR 102536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sh
roller
washing
peel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현
Original Assignee
오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현 filed Critical 오성현
Priority to KR102022004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8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23N15/04Devices for topping fruit 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 B08B1/001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rushes, or analogous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00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1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8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 B26D3/282Splitting layers from work; Mutually separating layers by cutting by peeling-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2007/007Brush rollers for peeling fruit or veget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무 세척 및 가공 방법에 관한것으로, 가공할 무를 무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이 완료된 무의 껍질을 무 탈피장치를 이용하여 벗기는 탈피단계; 상기 탈피단계에서 껍질이 벗겨진 무의 앞뒤를 절단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정형하는 정형단계; 및 일정한 형상으로 정형된 무를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 세척 및 가공 방법{Radish washing and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무 세척 및 가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Radish)는 배추과의 식용이 가능한 뿌리채소로서, 식자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를 이용하여 식품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세척을 통하여 무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흙을 제거하고, 무의 껍질을 벗겨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농장에서 구입한 무나 당근 등의 구근류는 표면에 묻어있는 흙을 그대로 방치하여 시중에 유통시킨 후 대형 음식점이나 구내식당 또는 가정주부들이 대량으로 구입하여 식당의 주방이나 세척실 또는 집에서 종업 원이나 주부가 일일이 수작업을 통하여 물로 깨끗하게 씻어서 여러 가지 종류의 음식물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척작업은 많은 인원과 시간을 필요로 하기에 고임금 시대인 최근의 실정으로 볼 때, 야채나 과일을 세척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음식가격의 상승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야채 과일 세척기"가 창안되었는데, 야채 과일 세척기는 기계장치에 의하여 야채를 자동으로 씻어주도록 함으로써, 야채 및 과일 세척에 필요한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 이 있는데, 세척수와 세척하고자 하는 야채를 담는 원통상의 세척탱크를 구비하여 세척탱크에 고압의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세척수 분사노즐을 설치하고 세척수 분사노즐과 세척탱크에 각각 파이프를 연결모터로 구동되며 자동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물자동펌프에 연결시켜 이 자동펌프에 의해 세척탱크 내의 물을 뽑아내어 분사노 즐에 압송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하여 세척수를 순환시켜 야채 또는 과일을 세척하여야 하므로 구조도 복잡 하고 많은 양의 야채를 연속적으로 세척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무와 같은 야채를 세척통에서 세척하지 않고 이송하면서 세척할 수 있도록 실용신안등록 제20- 299015호로 공개된 "야채세척기"는 물탱크 내에 수장된 물에 야채를 투입하고 나서 1차로 물 분사노즐로 물 위에 떠있는 야채를 세척한 후 다시 이송벨트에 의해 이송하면서 2차로 물 분사노즐로 야채를 세척하는 구조로서 물에 의해서만 세척할 수 있는 것으로 야채의 전체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완전히 세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물과 브러시로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야채세척기도 개발되었지만, 수조 내에 운송용 컨 베이어를 배치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반송면의 위쪽에 회전 브러시 등의 세척기구를 설치하여 야채 등의 표면에 부착된 더러운 부착물 등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야채의 표면은 완전하게 세척이 가능할지는 모르더라도 야채의 뿌리 면이나 잎이 성장하는 부분 등은 세척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던 것이다. 또한, 야채를 컨베이어로 이송하면서 상부에 설치된 브러시로 세척하게 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원가의 상승을 가져왔던 것이다.
또한, 무 표면의 껍질을 벗겨내기 위해서는 칼, 박피기, 필러, 채칼 등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무 표면의 껍질을 벗겨내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무를 대량으로 이용하는 김치 제조업체 및 각종 식품 제조업체에서는 상기한 수작업 도구를 이용하는 경우, 무를 다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반복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하여 작업능률 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기술은 무를 탈피하는 과정에서 무가 한줄로만 투입되어 이송되기 때문에 여전히 많은 양의 무를 신속하게 탈피할 수 없고, 모양 및 크기가 제각각인 무의 껍질을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탈피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를 세척하여 가공 및 포장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무의 전체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완전하게 신속히 세척하고, 많은 양의 무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껍질을 균일하게 탈피할 수 있도록 하는 무 세척 및 가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 세척 및 가공 방법은, 가공할 무를 무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이 완료된 무의 껍질을 무 탈피장치를 이용하여 벗기는 탈피단계; 상기 탈피단계에서 껍질이 벗겨진 무의 앞뒤를 절단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정형하는 정형단계; 및 일정한 형상으로 정형된 무를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 세척장치는, 세척액에 무를 담궈서 보관하는 세척통; 상기 무를 45도 각도로 상승 운반하여 상기 세척통 외부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상기 무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이송롤러 상부에 설치되어 무를 세척하는 브러쉬를 갖는 세척롤러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무를 향해 세척액을 공급하는 분사노즐; 및 다음 가공 단계로 진입하기 위하여 세척이 완료된 무를 이송시키는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롤러의 간격은 40~50mm이며, 상기 브러쉬의 모재는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돌가루 1~5중량부, 인조 다이아몬드 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은 굵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 탈피장치는, 탁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롤러부와 절단부가 배치되되 사각판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컨베이어 2개가 경사지게 V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로 무를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되 절단되어 낙하된 무 껍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이송시키는 배출컨베이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배출컨베이어로부터 수직으로 30cm 이격되어 배치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롤러; 상기 배출컨베이어로부터 수직으로 40cm 이격되고 상기 제1 롤러와 대향하게 설치되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축; 상기 제2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재는, “”모양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직경과 대응되는 고정홀이 존재하고 일측에 제1 탄성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고리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일측은 상기 체결고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며, 무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로 진입할 시 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롤러는 상승하고 상기 제2 롤러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로 무를 이송시키며,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는 총 10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롤러부의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에 장착홀을 포함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 장착홀에 장착되어 껍질칼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제1 껍질칼거치암; 상기 지지대의 타측 장착홀에 장착되는 껍질칼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제2 껍질칼거치암; 및 상기 제1 껍질칼거치암과 상기 제2 껍질칼거치암의 일단에 장착되는 껍질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껍질칼은,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칼날몸체; 상기 칼날몸체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와 결합하는 받침대가 형성된 칼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에 10개가 배치되고 상기 껍질칼 각각은 무 둘레의 18분의 1의 껍질을 중복되지 않도록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무를 세척하여 가공 및 포장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무의 전체 표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완전하게 신속히 세척하고, 많은 양의 무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껍질을 균일하게 탈피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세척 및 가공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세척 및 가공 방법의 무 세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세척장치를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의 롤러부와 절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의 껍질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에 의해 무의 껍질이 벗겨지는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A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세척 및 가공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세척 및 가공 방법의 무 세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세척장치를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의 롤러부와 절단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의 껍질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에 의해 무의 껍질이 벗겨지는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세척 및 가공 방법(10)은, 세척단계(100), 탈피단계(200), 정형단계(300) 및 포장단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단계(100)에서는, 가공할 무(R)를 무 세척장치(1000)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다.
탈피단계(200)에서는, 상기 세척단계(100)에서 세척이 완료된 무(R)의 껍질을 무 탈피장치(2000)를 이용하여 벗길 수 있다.
정형단계(300)에서는, 상기 탈피단계(200)에서 껍질이 벗겨진 무(R)의 앞뒤를 절단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정형할 수 있다.
포장단계(400)에서는, 일정한 형상으로 정형된 무(R)를 포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세척단계(100)에서 가공할 무(R)의 겉면에 부착되어 있는 흙, 모래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무 세척장치(1000)에 통과시켜 제거한다. 이후 세척된 무(R)를 연결 컨베이어를 통해 무 탈피장치(2000)로 이송시킨 후 무(R)의 껍질을 빈틈없이 벗긴다. 탈피된 무는 연결 컨베이어를 통해 정형단계(300)로 이동되고, 정형단계(300)에서 작업자들은 직접 무(R)의 앞뒤를 절단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정형한다. 이렇게 일정한 형상으로 정형된 무(R)는 연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후 박스나, 팔레트, 비닐 등의 포장용기에 포장되어 출하된다.
일 실시예에서, 무 세척장치(1000)는, 세척통(1100), 제1 컨베이어(1200), 제1 프레임(1300), 제2 프레임(1400), 분사노즐(1500), 제2 컨베이어(1600)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통(1100)은, 양면이 절곡된 바구니 모양으로 형성되어 무(R)를 담궈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세척통(100)의 내부에는 세척액이 저장될 수 있고 여기에 다량의 무(R)가 담궈질 수 있다.
제1 컨베이어(1200)는, 상기 세척통(1100)에 담궈진 무(R)를 45도 각도로 상승 운반하여 상기 세척통(1100) 외부로 이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단이 세척통(1100)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액에 잠기고 타단은 세척통(1100)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무(R)를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1 프레임(1300)은, 상기 제1 컨베이어(1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무(R)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1310)를 포함하여 바닥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컨베이어(1200)의 타단측에는 제1 프레임(1300)이 인접하게 설치되고, 제1 프레임(1300) 상에는 다수의 이송롤러(13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롤러(1310)는, 상기 컨베이어(1200)로부터 이송되어 온 무(R)를 이송시키고, 그 외주면에는 무(R)의 표면에 접하는 브러쉬가 설치되어 이송되는 무(R)를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롤러(1310)에는 이송롤러(131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서 이송되는 무(R)의 체류시간을 연장시키는 역이송롤러(1320)가 이송롤러(1310)의 사이 사이에 교번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송롤러(1310)간의 간격은 40~50mm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역이송롤러(1320)는, 이송롤러(1310)와는 별도로 구동되는 구동원을 갖추고 있고, 이 구동원의 회전수(rpm)는 이송롤러(1310)의 회전수보다 작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역이송롤러(1320)는 이송롤러(1310)보다 낮은 회전수로서 회전 구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례로서, 상기 역이송롤러(1320)를 후술하는 첫번째의 세척롤러(1410) 이후의 이송롤러(1310) 사이에 설치하였고, 이는 본 출원인이 무(R)의 이송속도와 체류시간 등을 고려하여 여러차례에 실험을 한 결과, 세척효과가 가장 높은 위치를 찾은 것이다.
상기 역이송롤러(1320)는 그 외주면에 무(R)의 표면에 접하여 세척하는 브러쉬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이송롤러(1310)와 역회전롤러(1320)의 브러쉬는 후술하는 세척롤러(1410)의 브러쉬(1410a)보다 짧게 형성되는 바, 이는 무(R)와 직접 맞닿는 이송롤러(1310)와 역이송롤러(1320)에 짧은 브러쉬를 형성하여 세척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 것이다.
제 2프레임(1400)은, 상기 이송롤러(1310)의 상부에 설치되고 무(R)를 세척하는 브러쉬(1410a)를 갖는 세척롤러(1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척롤러(1410)는, 이송롤러(131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는 무(R)의 표면에 접하여 이송되는 무(R)를 세척하는 브러쉬(1410a)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1410a)의 모재는,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돌가루 1~5중량부, 인조 다이아몬드 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1300)과 상기 제2 프레임(1400)의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은 굵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치 개수를 30개로 가정할 때, 첫 줄의 브러쉬(1410a) 모재의 굵기가 4개는 1.4㎜이고, 다음 6개는 1.2㎜이며, 다음 10개는 1.0㎜이고, 나머지 10개는 0.8㎜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수지는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돌가루는 브러쉬(1410a) 모재의 강도 증대 및 혼합성의 향상을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돌가루는 규사, 일반 모래 및 시멘트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채집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돌가루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돌가루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돌가루 사용에 따른 세척 효과가 미미하고, 브러시 모재의 강도가 약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돌가루의 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인조 다이아몬드는 분말 형태이며, 흑연 따위를 원료로 하여 인공적으로 합성한 것으로, 천연 다이아몬드와 외관상으로도 비슷하며, 주로 공업용으로 쓰인다.
상기 인조 다이아몬드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무에 대한 세척 성능이 저하되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세척 성능은 일부 증가하지만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분사노즐(1500)은, 상기 제2 프레임(14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무(R)를 향해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고 하나의 공급관에서 이격된 다수개로 분기되어 세척액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컨베이어(1600)는, 다음 가공 단계로 진입하기 위하여 세척이 완료된 무를 상기 무 탈피장치(20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 탈피장치(2000)는, 본체프레임(2100), 지지플레이트(2200), 공급컨베이어(2300) 및 배출컨베이어(2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프레임(2100)은, 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무 탈피장치(2000)를 바닥에 지지시킬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2200)는, 상기 프레임(2100)의 후면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롤러부(22100)와 절단부(22200)가 배치되되 사각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급컨베이어(2300)는, 컨베이어 2개가 경사지게 V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22100)로 세척이 완료된 무(R)를 공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V자 모양으로 형성된 공급컨베이어(2300)의 V자 홈부에 무(R)가 안착되어 이송되고, 공급컨베이어(2300)의 단부에서 이송되는 무(R)는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된 첫번째 한 쌍의 롤러부로 안착되어 롤러부(22100)를 통한 이동을 계속하게 된다.
배출컨베이어(2400)는, 상기 프레임(2100)의 상면에 배치되되 절단되어 낙하된 무 껍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이송시킬 수 있고 상기 공급컨베이어(2300)와 반대방향으로 무 껍질을 이송하여 배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롤러부(22100)는, 제1 롤러(22110), 제2 롤러(22120), 제1 회전축(22130), 제2 회전축(22140), 결합부재(22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롤러(22110)는, 상기 배출컨베이어(2400)로부터 수직으로 30cm 이격되어 배치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무를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롤러(22120)는, 상기 배출컨베이어(2400)로부터 수직으로 40cm 이격되고 상기 제1 롤러(22110)와 대향하게 설치되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무를 이송시킬 수 있다.
제1 회전축(22130)은, 상기 제1 롤러(22110)의 중앙에 삽입되어 제1 롤러(22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회전축(22140)은, 상기 제2 롤러(22120)의 중앙에 삽입되어 제2 롤러(22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결합부재(22150)는, 상기 제1 회전축(22130)과 상기 제2 회전축(22140)을 상기 지지플레이트(2200)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2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부재(22150)는, “C”모양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제1 회전축(22130)과 상기 제2 회전축(22140)의 직경과 대응되는 고정홀(22152)이 존재하고 일측에 제1 탄성부재(22156)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고리(22154)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탄성부재(22156)는 일측은 상기 체결고리(22154)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플레이트(2200)에 결합될 수 있다.
세척된 무가 상기 제1 롤러(22110)와 상기 제2 롤러(22120) 사이로 진입할 시 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부재(22156)에 의하여 상기 제1 롤러(22110)는 상승하고 상기 제2 롤러(22120)는 하강하여 다양한 무의 크기에 따라 롤러부(22100)가 유동적으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롤러부(22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무의 부드러운 이송을 가능하게 하며, 정해진 위치를 후술하는 절단부(22200)가 정확히 절단하도록 하여 무 탈피장치(2000)의 효율성과 품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롤러부(22100)는 상기 제1 롤러(22110)와 상기 제2 롤러(22120) 사이로 무를 이송시키며, 상기 제1 롤러(22110)와 상기 제2 롤러(22120)는 총 10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단부(22200)는, 지지대(22210), 제1 껍질칼거치암(22220), 제2 껍질칼거치암(22230), 껍질칼(2224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2210)는, 지지플레이트(2200)로부터 상기 롤러부(22100)의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에 장착홀(22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껍질칼거치암(22220)은, 상기 지지대(22210)의 일측 장착홀(22211)에 장착되어 껍질칼(22240)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제2 껍질칼거치암(22230)은, 상기 지지대의 타측 장착홀(22212)에 장착되는 껍질칼(22240)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껍질칼거치암(22220) 및 제2 껍질칼거치암(22230)은,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일단에 껍질칼(22240)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홀(22221, 222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되는 각도는 껍질칼(22240)이 결합될 위치와 사용될 각도를 고려하여 다양한 각도로 절곡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예에서, 껍질칼(22240)은, 칼날몸체(22242), 제2 탄성부재(22244) 및 칼날(22246)을 포함할 수 있다.
칼날몸체(22242)는,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22244)는, 상기 칼날몸체(22242)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될 수 있다.
칼날(22246)은, 상기 제2 탄성부재(22244)와 결합하는 받침대(22248)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22248)와 대응되게 세로로 칼날(22246)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대(22248)는 이동중인 무를 받치는 역할을 하며 칼날(22246)은 무의 껍질측으로 형성되어 무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껍질이 벗겨지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받침대(22248)와 칼날(22246)은 전체적으로 감자칼 형상으로, 무의 껍질을 벗기기에 효율적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22200)는,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에 10개가 배치되고 상기 껍질칼(22240) 각각은 무 둘레의 18분의 1의 껍질을 중복되지 않도록 절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절단부(22200)의 제1 껍질칼거치암(22220) 및 제2 껍질칼거치암(22230)은 10쌍 모두가 각각 길이과 절곡된 각도가 달라 무의 둘레를 빈틈없이 껍질칼(22240)이 깎을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껍질칼(22240)은, 모든 무의 두께와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제2 탄성부재(22244)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 무가 이동함에 따라 칼날(22246)과 받침대(22248)를 이동 방향으로 밀게 되는데, 이때, 제2 탄성부재(22244)에 의해 받침대(22248)와 칼날(22246)도 무의 이동방향에 따라 굽혀져 무의 다양한 두께와 크기에도 불구하고, 칼날(22246)이 무의 표면에 밀착하여 껍질을 깎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22248)와 칼날(22246)은 제2 탄성부재에 의해 무의 껍질이 모두 벗겨져 빠져나가는 순간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 탈피장치(2000)는, 상기 탁자 모양으로 형성된 프레임(2100)의 기둥 하부에 바닥과의 밀착고정을 위한 밀착고정부(2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고정부(21000)는, 상단고정바(21002), 상단체결부(21003), 중앙 체결부(21004), 체결돌기(21005), 중앙고정바(21006), 하단고정바(21008), 관통홀(21007) 및 하단밀착부(2100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고정부(21000)가 결합되는 바닥과 맞닿는 받침판(21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단고정바(21002)는 밀착고정부(21000)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단체결부(21003)는 상단고정바(21002)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단고정바(21002)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중앙체결부(21004)는 상단고정바(21002)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되 상단체결부(21003)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되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상단연결부(21003)의 외측면과 맞닿아 회전하며 고정될 수 있다.
체결돌기(21005)는 중앙체결부(21004)의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한쌍 또는 2개가 서로 이웃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원기둥, 사각기둥 또는 삼각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중앙체결부(21004)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체결돌기(21005)는 스위치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외부의 압력에 의하여 중앙체결부(21004)의 내부로 삽입되었다가 외부의 압력이 멈추는 경우 중앙체결부(21004)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밀착고정부(21000)의 중앙에는 각 밀착고정부(21000)를 서로 연결해주는 체인부(21010)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체인부(21010)는 받침판(21100)의 상단면 각 모서리에 위치되어 있는 밀착고정부(21000)의 중앙에 연결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밀착고정부(21000)를 연결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체인부(21010)는 밀착고정부(21000)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는 중앙체결부(21004)는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중앙체결부(21004)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체인부(21010)는 중앙체결부(21004)의 외측면에 마련되어 있는 체결돌기(21005)가 삽입 가능한 체인홈(210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체결돌기(21005)는 체인부(21010)에 형성되어 있는 체인홈(21011)과 서로 결합 가능한 크기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체인부(21010)는 적어도 한 쌍의 체결돌기(21005)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신축성이 우수한 고무재질 또는 철판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체결돌기(21005)와 끼움 결합하는 체인 등으로 사용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중앙고정바(21006)는 중앙체결부(21004)의 하단에 밀착 고정되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단고정바(21002)와 동일한 너비로 형성되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체결부(21003)가 중앙체결부(21004)의 내측면을 회 전하여 고정함에 따라 중앙고정바(21006)의 내부로 관통할 수 있다.
하단고정바(21008)는 상단고정바(21002)와 동일한 너비로 형성되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단체결부(21003)가 중앙체결부(21004)의 내측면을 회전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부로 관통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단체결부(21003)를 수용할 수 있는 관통홀(21007)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하단밀착부(21009)는 하단고정바(21008)의 하단에 하단고정바(21008)와 밀착 고정되어 마련되어 있을 수 있고, 평평한 원판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어 받침판(21100)에도 밀착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밀착고정부(21000)의 구성을 통해 본 무 탈피장치(2000)의 내구성을 향상하고, 무 탈피장치(20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바닥으로 분산시켜 보다 정밀한 무의 이동과 탈피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무 세척 및 가공 방법
100. 세척단계
200. 탈피단계
300. 정형단계
400. 포장단계
1000. 무 세척장치
2000. 무 탈피장치

Claims (3)

  1. 가공할 무를 무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세척단계;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이 완료된 무의 껍질을 무 탈피장치를 이용하여 벗기는 탈피단계;
    상기 탈피단계에서 껍질이 벗겨진 무의 앞뒤를 절단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정형하는 정형단계; 및
    일정한 형상으로 정형된 무를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 세척장치는,
    세척액에 무를 담궈서 보관하는 세척통;
    상기 무를 45도 각도로 상승 운반하여 상기 세척통 외부로 이송하는 제1 컨베이어;
    상기 제1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상기 무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상기 이송롤러 상부에 설치되어 무를 세척하는 브러쉬를 갖는 세척롤러를 포함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송중인 무를 향해 세척액을 공급하는 분사노즐; 및
    다음 가공 단계로 진입하기 위하여 세척이 완료된 무를 이송시키는 제2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롤러의 간격은 40~50mm이며,
    상기 브러쉬의 모재는 열가소성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돌가루 1~5중량부, 인조 다이아몬드 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출구측으로 갈수록 점차 작은 굵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무 탈피장치는,
    탁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롤러부와 절단부가 배치되되 사각판 모양으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컨베이어 2개가 경사지게 V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롤러부로 무를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 및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되 절단되어 낙하된 무 껍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이송시키는 배출컨베이어;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배출컨베이어로부터 수직으로 30cm 이격되어 배치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롤러;
    상기 배출컨베이어로부터 수직으로 40cm 이격되고 상기 제1 롤러와 대향하게 설치되며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축;
    상기 제2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축; 및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을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C”모양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상기 제1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직경과 대응되는 고정홀이 존재하고 일측에 제1 탄성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고리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탄성부재는 일측은 상기 체결고리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되며,
    무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로 진입할 시 무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 롤러는 상승하고 상기 제2 롤러는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롤러부는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 사이로 무를 이송시키며,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는 총 10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롤러부의 한 쌍의 롤러 사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에 장착홀을 포함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측 장착홀에 장착되어 껍질칼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제1 껍질칼거치암;
    상기 지지대의 타측 장착홀에 장착되는 껍질칼의 위치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제2 껍질칼거치암; 및
    상기 제1 껍질칼거치암과 상기 제2 껍질칼거치암의 일단에 장착되는 껍질칼;을 포함하고,
    상기 껍질칼은,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칼날몸체;
    상기 칼날몸체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되는 제2 탄성부재; 및
    상기 제2 탄성부재와 결합하는 받침대가 형성된 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한 쌍의 롤러 사이에 10개가 배치되고 상기 껍질칼 각각은 무 둘레의 18분의 1의 껍질을 중복되지 않도록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는 바닥과의 밀착 고정을 위한 밀착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착고정부는,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마련되는 상단고정바;
    상기 상단고정바의 하단에 마련되어 상기 상단고정바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형성되며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단체결부;
    상기 상단고정바의 너비보다는 작은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체결부의 너비보다는 넓은 너비로 형성되며, 원기둥 형태에서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체결부의 외측면과 맞닿아 회전하며 고정되는 중앙체결부;
    상기 중앙체결부의 외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한쌍 또는 2개가 서로 이웃하게 돌출 형성되고 원기둥, 사각기둥 또는 삼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중앙체결부의 내부로 이동하는 체결돌기;
    상기 중앙체결부의 하단에 밀착 고정되어 마련되고 상기 상단고정바와 동일한 너비로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는 중앙고정바;
    상기 상단고정바와 동일한 너비로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체결부가 상기 중앙체결부의 내측면을 회전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내부로 관통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단체결부를 수용할 수 있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하단고정바; 및
    상기 하단고정바의 하단에 밀착 고정되어 마련되고 평평한 원판 모양으로 형성되고 받침판에 밀착 고정되는 하단밀착부;를 포함하는, 무 세척 및 가공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044285A 2022-04-11 2022-04-11 무 세척 및 가공 방법 KR102536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285A KR102536861B1 (ko) 2022-04-11 2022-04-11 무 세척 및 가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4285A KR102536861B1 (ko) 2022-04-11 2022-04-11 무 세척 및 가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861B1 true KR102536861B1 (ko) 2023-05-26

Family

ID=86536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4285A KR102536861B1 (ko) 2022-04-11 2022-04-11 무 세척 및 가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86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981U (ko) * 1998-07-31 2000-02-25 천왕욱 생무우 절단기의 생무우 공급장치
KR200365598Y1 (ko) * 2004-07-29 2004-10-26 학교법인 제주교육학원 무우 세척장치
KR101989508B1 (ko) * 2018-04-27 2019-06-14 티이티 주식회사 무 박피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981U (ko) * 1998-07-31 2000-02-25 천왕욱 생무우 절단기의 생무우 공급장치
KR200365598Y1 (ko) * 2004-07-29 2004-10-26 학교법인 제주교육학원 무우 세척장치
KR101989508B1 (ko) * 2018-04-27 2019-06-14 티이티 주식회사 무 박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604B1 (ko) 드럼식 과일 세척기
KR101163096B1 (ko) 김치 속 공급용 김치 제조장치와 그 제조방법
CN214184472U (zh) 一种用于饮料生产的饮料瓶清洗装置
CN103919082A (zh) 用于生产土豆块的设备
KR101904650B1 (ko) 패각류 자동 세척장치
US3602280A (en) Vegetable peeler
KR101235875B1 (ko) 배추김치 양념 속 넣기 기계장치
KR102536861B1 (ko) 무 세척 및 가공 방법
CN106417505A (zh) 薯片薯条加工线体
KR100778188B1 (ko) 고압수 분사에 의한 대파의 탈피 장치
CN216123817U (zh) 一种农产品加工用清洗槽
KR20200016462A (ko) 자동세척용 롤러브러시 장치
CN110788099B (zh) 一种听装油罐表面清理系统
KR102063156B1 (ko) 식기와 식판을 세척하고 분리하는 식기식판 세척분리시스템
CN108887703B (zh) 香菇清洗设备
KR100768400B1 (ko) 무 세척기
KR101222944B1 (ko) 대파탈피기
US20050204937A1 (en) Apparatus for peeling and scrubbing produce
CN110140749B (zh) 一种秘鲁鱿鱼切片机
CN2708674Y (zh) 连续自动喷淋式清洗消毒装置
KR102531608B1 (ko) 피클무 제조 방법
KR20120021511A (ko) 식판 자동공급장치가 부착된 식판 세척기
CN214047506U (zh) 一种果蔬清洗装置
CN213404804U (zh) 一种土豆去泥用清洗装置
CN203884618U (zh) 用于生产土豆块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