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078B1 - 증숙 공정을 이용한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증숙 공정을 이용한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078B1
KR102536078B1 KR1020210170860A KR20210170860A KR102536078B1 KR 102536078 B1 KR102536078 B1 KR 102536078B1 KR 1020210170860 A KR1020210170860 A KR 1020210170860A KR 20210170860 A KR20210170860 A KR 20210170860A KR 102536078 B1 KR102536078 B1 KR 102536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e
dongae
powder
steaming
black sold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0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정병옥
김효정
이소원
이정인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70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078B1/ko
Priority to PCT/KR2022/017950 priority patent/WO202310126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숙 공정을 이용한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동애등에 유충을 특정 온도 및 시간 조건 범위 내에서 증숙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분말화 시 갈변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후처리가 용이하며, 목적하는 조단백질 등 유용 성분을 최적화하여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공방법에 따르면, 증숙 과정에서 수분으로 인해 동애등에 유충 외피가 팽창하여 외피의 주름이 펴짐으로써, 착유 공정 및 분말화 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증숙 공정을 이용한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Processing method for black soldier fly larva using the steaming process}
본 발명은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증숙 공정을 통해 동애등에 유충의 유용 성분을 최적화하여 수득하는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충은 해충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를 방제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 왔으나, 곤충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곤충의 유용성을 발견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예중 하나로서, 동애등에를 이용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기술 및 사육된 동애등에를 식품, 화장품, 가축 사료 등의 분야에 적용하고자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 등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동애등에는 대표적인 환경정화 곤충으로 유충 시기에만 먹이활동을 할 뿐, 성충 시기에는 먹이활동을 하지 않으며, 사람들을 피해 숲으로 이동하고, 축사나 생활쓰레기 및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이 야적되어 있는 곳에서 생활하는 종이다. 동애등에의 알은 25℃ 이상의 온도에서 3 내지 4일 정도 경과 후 부화하게 되고, 유충이 된 후 약 15일 동안 먹이 활동을 하며, 유충 기간이 끝나면 번데기가 된 후, 약 15일 내외에 성충으로 우화하여 교미와 산란을 한다. 교미를 한 성충은 한 번에 약 1,000개의 알을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애등에는 유충 시기 때 왕성한 식욕으로 음식물 쓰레기, 가축분뇨 등을 먹어 분해한다. 동애등에가 성충이 되기까지의 기간은 35 내지 40일 정도로서, 이 중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하는 유충 기간은 약 15일 정도이며, 동애등에 유충 5천 마리에게 10kg의 음식물 쓰레기를 공급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는 부피 58%, 무게 30%가 감소된 양질의 퇴비로 변화된다.
동애등에 유충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한편, 그 자체로도 아르기닌(arginine), 메티오닌(methionine), 라이신(lysine)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고(Zuidhof et al., 2003; Park et al., 2003), 불포화 지방산,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애완동물 사료 및 화장품 원료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시킨 동애등애 유충은 조단백 약 45.36 중량%, 조지방 약 32.36 중량%, 조섬유 약 8.48 중량%, 조회분 약 6.21 중량%, 칼슘 약 1.71 중량%, 인 약 0.77 중량%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동애등에 유충을 상술한 애완동물 사료, 화장품 원료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를 가공하여 필요한 성분으로 분리해내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동애등에 유충을 초음파 분쇄 등 분쇄하여 단순 분말화하거나, 별도의 전처리 없이 착유기를 이용하여 유충을 압착 및 착유함으로써 오일과 케이크를 수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경우 동애등에 유충으로부터 목적하는 성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해내기 어려워 단백질 원료나 화장품 원료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분리과정을 추가로 거쳐야 하는 문제가 있었고, 동애등에 유충에 포함된 조단백질 등 목적 성분을 최적화하여 수득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동애등에 유충을 단순 분말화하거나, 별도의 전처리 없이 착유기를 이용하여 유충을 압착 및 착유함으로써 오일과 케이크를 수득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동애등에 유충을 특정 온도 및 시간 조건 범위 내에서 증숙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분말화 시 갈변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후처리가 용이하며, 목적하는 조단백질 등 유용 성분을 최적화하여 분리할 수 있는 증숙 공정을 이용한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a) 동애등에 유충을 준비하고 선별 및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동애등에 유충을 증숙기에 투입하고, 75 내지 95 ℃ 온도 조건 하에서 20분 내지 40분 간 스팀(steam)으로 증숙하는 단계; c) 상기 증숙 후 얻어진 동애등에 유충을 착유기에 투입하고 88 내지 93 ℃ 온도 조건 하에서 착유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를 통해 얻어진 케이크(cake)를 분쇄 및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a 단계의 세척은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1회 이상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b 단계의 증숙은 88 ℃ 온도 조건 하에서 25 내지 35분 간 스팀(steam)으로 증숙하는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c 단계에서 동애등에 유충 착유기 투입 전 동애등에 유충을 80 ℃ 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방법에 따라 얻어진 동애등에 유충 분말로서, 조단백질 함량이 전체 분말 중량 기준으로 62 중량% 이상인, 동애등에 유충 분말을 제공한다.
일례로, 상기 동애등에 유충 분말은 갈변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에 따르면, 동애등에 유충을 특정 온도 및 시간 조건 범위 내에서 증숙하는 공정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분말화 시 갈변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후처리가 용이하며, 목적하는 조단백질 등 유용 성분을 최적화하여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공방법에 따르면, 증숙 과정에서 수분으로 인해 동애등에 유충 외피가 팽창하여 외피의 주름이 펴짐으로써, 착유 공정 및 분말화 공정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동애등에 유충을 생충 상태에서 분말화하였을 때, 발생하는 갈변 현상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증숙 공정을 수행한 동애등에 유충 및 비교예에 따라 삶음 공정을 수행한 동애등에 유충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얻은 동애등에 케이크 및 오일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이들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어떠한 의미로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동애등에 유충 분말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동애등에(Hermetia illucens)는 파리목의 곤충으로 기후가 온난하거나 더운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동애등에는 조단백질 45%, 조지방 32%, 조회분 6.2%, 조섬유 8.4% 등의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아르기닌(arginine), 메티오닌(methionine), 라이신(lysine)과 같은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고(Zuidhof et al., 2003; Park et al., 2003), 불포화 지방산,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애완동물 사료 및 화장품 원료 등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 가공은 생충 내지 건조 상태로 기계적 분쇄 내지 초음파 분쇄하여 분말화하거나, 착유기 등을 통해 압착하여 오일을 추출한 다음 분쇄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생충 내지 건조 상태로 기계적 분쇄 내지 초음파 분쇄하여 분말화하는 경우, 공기와 접촉 시 산화되어 갈변하게 됨으로써, 가공에 적당하지 않은 상태로 변화하는 문제가 있었다(도 1 등 참조). 또한, 생충 내지 건조 상태로 분쇄하거나 착유기 등을 통해 압착할 경우, 분쇄된 동애등에 유충의 체액과 외피, 오일 등이 뒤섞여 덩어리짐으로써, 분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가공 장치의 고장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는 특히 대량 가공 시 공정의 경제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동애등에 유충을 분말 및 오일로 분리하는 가공 공정 수행 시 동애등에 유충에 대한 특정 온도 및 시간 조건의 증숙 공정을 추가로 수행하는 경우, 분말화 시 갈변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후처리가 용이하다는 점 및 이를 통해 목적하는 조단백질 등 유용 성분을 최적화하여 분리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은 a) 동애등에 유충을 준비하고 선별 및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세척된 동애등에 유충을 증숙기에 투입하고, 75 내지 95 ℃ 온도 조건 하에서 20분 내지 40분 간 스팀(steam)으로 증숙하는 단계; c) 상기 증숙 후 얻어진 동애등에 유충을 착유기에 투입하고 88 내지 93 ℃ 온도 조건 하에서 착유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를 통해 얻어진 케이크(cake)를 분쇄 및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동애등에 유충을 준비하고 선별 및 세척한다(단계 a).
본 발명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단백 약 45.36 중량%, 조지방 약 32.36 중량%, 조섬유 약 8.48 중량%, 조회분 약 6.21 중량%, 칼슘 약 1.71 중량%, 인 약 0.77 중량% 및 수분 잔량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준비된 동애등에 유충은 배설물 및 먹이 성분 등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선별 및 세척 과정을 거치며, 선별 과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체거름망 등을 이용하여 자동 내지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세척 과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1회 이상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일례로 균일하게 미세한 마이크로버블 방식으로 세척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마이크로버블을 동애등에 유충이 담긴 그릇에 공급한 후 4 내지 5 분간 유지시키고 물을 갈아주는 것을 반복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동애등에 유충을 증숙기에 투입하고, 75 내지 95 ℃ 온도 조건 하에서 20분 내지 40분 간 스팀(steam)으로 증숙한다(단계 b).
구체적으로 본 단계는 생충 내지 건조 상태로 기계적 분쇄 내지 초음파 분쇄하여 분말화하거나, 착유기 등을 통해 압착하여 오일을 추출한 다음 분쇄하는 종래 동애등에 유충 가공 방식과 달리, 분말화 시 갈변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후처리가 용이하며, 목적하는 조단백질 등 유용 성분을 최적화하여 분리하기 위한 공정에 해당하며, 스팀(steam) 처리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애등에 생충을 그대로 분쇄하거나, 드라이오븐을 통해 건조시킨 후 분쇄하는 경우, 분쇄물이 공기와의 접촉 시 산화되어 갈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가공 후에도 색이 그대로 유지되게 되므로, 애완동물 사료 및 화장품 원료 등으로도 활용이 어렵거나, 색을 변화시키기 위한 별도 처리를 수행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증숙기에 투입하고 증숙하는 공정을 거친 동애등에 유충은 분쇄하더라도 공기와 접촉하여 산화되지 아니하므로, 별도의 처리과정 없이 애완동물 사료 및 화장품 원료 등으로 직접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증숙 과정에서 수분으로 인해 동애등에 유충 외피가 팽창하여 외피의 주름이 펴짐으로써, 후술할 착유 및 케이크 분쇄 과정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구체적으로 75 내지 95 ℃ 온도 조건 하에서 20분 내지 40분 간 스팀(steam)으로 증숙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더 상세하게는 88 ℃ 온도 조건 하에서 25 내지 35분 간 스팀(steam)으로 증숙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건 미만에서 증숙하는 경우, 증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온도를 초과하여 증숙하는 경우 동애등에 유충 내 포함된 유용 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 미만으로 증숙이 수행되는 경우, 유충 외피가 충분히 팽창하지 않아, 후술할 착유 및 케이크 분쇄 과정이 보다 원활하게 수행되기 어렵고, 상기 시간을 초과하여 증숙이 수행되는 경우, 동애등에 유충 내 포함된 유용 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숙 방식과 달리 끓는 물에 동애등에 유충 생충을 직접 담그어 끓이는 삶음(boiling) 방식으로 전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동애등에 유충에 뜨거운 물이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동애등에 유충의 유용 성분이 뜨거운 물로 빠져나가게 되는 문제가 있고, 구체적으로 최종 제조되는 동애등에 유충 분말 내 조단백질 및 조지방, 조섬유 및 조회분 등 다양한 유용 성분이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증숙 후 얻어진 동애등에 유충을 착유기에 투입하고 88 내지 93 ℃ 온도 조건 하에서 착유한다(단계 c).
상기 단계는 증숙 과정을 거친 동애등에 유충을 오일과 케이크(cake) 성분으로 분리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착유기, 착즙기 등을 통해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계를 통해 분리된 동애등에 오일은 중쇄 지방산인 라우르산(Lauric Acid), 올레산(Oleic Acid), 및 리놀산(Linoleic Acid) 등을 다량 포함하고 있어, 가축 사육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케이크(cake) 성분은 동애등에 유충으로부터 오일을 추출하고 남은 성분을 의미하며, 상기 케이크 내에는 조단백질을 비롯한 다양한 유용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크 성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분쇄 및 건조 과정을 통해 분말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착유 공정은 88 내지 93 ℃ 온도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88 ℃ 온도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 단계에서 동애등에 유충 착유기 투입 전 동애등에 유충을 80 ℃ 온도 이상으로 유지시킨 다음, 착유기에 투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온도 범위 이상을 유지한 상태로 유충이 투입되어야 목적하는 유충 내 오일 성분들이 굳어서 착유기를 통해 착유되지 않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c 단계를 통해 얻어진 케이크(cake)를 분쇄 및 건조하여 분말화한다(단계 d).
상기 단계는 증숙 처리된 동애등에 유충으로부터 오일을 착유하고 남은 케이크를 분쇄 및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과정으로서, 상기 증숙 처리를 통해 유충이 어느정도 수분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분쇄가 보다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종래 방식과 같이 증숙 처리 등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라면 분말화를 위한 분쇄 공정 간 분쇄가 고르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분쇄 공정을 거친 이후에는, 열풍 건조, 드라이오븐을 통한 건조 등을 통해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동애등에 유충 분말을 수득하게 된다.
상기 방법을 통해 얻은 동애등에 유충 분말은, 분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조단백질 함량이 약 62 중량% 이상으로, 이는, 동애등에 유충을 단순히 분쇄하여 얻은 유충 분말의 조단백질 함량인 9 중량%, 삶음 방식의 전처리를 수행하고 이를 분쇄하여 얻은 유충 분말의 조단백질 함량인 60 중량% 대비 향상된 조단백 함량 값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동애등에 유충 분말은, 분말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조지방 함량은 약 13 중량% 이상, 조섬유 함량은 약 13 중량% 이상, 조회분 함량은 약 8 중량% 이상으로, 상술한 종래 방식들 대비 향상된 함량 값을 가진다.
실시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예시하고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1
푸디웜 초평 공장에서 부화후 열흘된 동애등에 생충 5kg을 준비하고, 이를 체거름 방식으로 분변 및 먹이 등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고, 건강한 유충만 선별한 다음, 마이크로버블을 채우고 약 5분 대기한 후, 물을 갈아주는 방식으로 2회 세척하여,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과정을 통해 선별 및 세척된 생충 100 g을 찜기에 넣고, 약 85℃ 온도로 유지한 다음 30분간 증숙 공정을 실시하였다. 상기 증숙 공정을 통해 외피가 완전히 팽창된 것을 확인한 다음, 이를 80℃ 이상의 온도로 유지한 상태에서 착유기(휴롬 HH-SBF11)를 이용하여 착유를 실시하였다. 착유 공정 간 온도는 약 88℃를 유지한 상태로 착유를 수행하였다.
다음으로, 오일이 분리되고 남은 케이크(cake) 성분을 믹서기(Philips Type HR2140)를 이용하여 약 5분간 분쇄하여 분말화 공정을 진행하고, 다음으로, 분쇄 공정이 완료된 다음, 드라이오븐 내에서 90 ℃ 온도 이상을 유지하여 분쇄된 케이크를 완전히 건조하여 동애등에 유충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세척 이후 증숙 공정을 진행하지 않은 것만 달리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세척 이후 증숙 공정이 아닌, 95℃ 이상의 끓는 물에 동애등에 유충을 넣고 30분간 끓인 다음, 얻은 동애등에 유충을 착유 및 분말화한 것만 달리하였다.
비교예 3-1 내지 3-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증숙 공정을 20분 수행한 것(비교예 3-1), 증숙 공정을 40분간 수행한 것(비교예 3-2)만 달리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착유 공정 전 온도를 80℃ 이상의 온도로 유지한 것이 아닌 실온 25℃으로 식힌 후 착유 공정을 진행한 것만 달리하였다.
[실험 1: 외관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른 동애등에 유충 분말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에 따라 얻어진 동애등에 유충 분말은 공기와 접촉하여 검게 변하는 갈변 현상이 관찰되었다(도 1 참조). 반면,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동애등에 유충 분말은 갈변 현상이 관찰되지 아니하였다.
[실험 2: 성분 측정]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얻은 동애등에 유충 분말의 성분을 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아래의 표 1에서 나타내었다.
수분(wt%) 조단백질(wt%) 조지방(wt%) 조섬유(wt%) 조회분(wt%) 기타
실시예 1 1.05 62.68 13.35 13.87 8.15 잔량
비교예 1 3.77 54.22 9.63 9.75 20.08 잔량
비교예 2 1.27 60.48 10.03 13.41 7.85 잔량
상기 표 1의 결과에 비추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증숙 공정을 수행한 다음 제조한 동애등에 유충 분말의 경우 분말 내에서 비교예들 대비 유용 성분인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등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 실시예 1 대비 수분 함량이 증가하여 건조 공정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유용 성분이 삶음 과정에서 물로 빠져나가 실시예 1 대비 유용 성분 수율이 떨어진느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3: 증숙 공정 조건 변화에 따른 수율 측정]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3-1 내지 3-2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 제조 공정 변화에 따른 수율 변화 및 착유 및 분쇄 공정의 원활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수분(wt%) 조단백질(wt%) 조지방(wt%) 조섬유(wt%) 조회분(wt%) 기타
실시예 1 1.05 62.68 13.35 13.87 8.15 잔량
비교예 3-1 1.02 55.29 13.98 12.88 7.72 잔량
비교예 3-2 1.01 49.19 9.09 8.71 20.26 잔량
상기 표 2 및 실험 결과에 비추어보면, 비교예 3-1에서는 증숙 공정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아, 앞선 실험 1과 같이 갈변 현상이 관찰되는 한편, 유충 내 수분 함량이 낮아 착유 및 분쇄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3-2의 경우 과도한 증숙 공정으로 인해 유용 성분이 오히려 파괴되어 유용 성분에 대한 수율이 오히려 좋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 4: 착유 수율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4에 기초하여, 착유 공정을 수행한 후 얻어진 동애등에 유충 오일의 양 및 상기 오일 내 포함된 유용 성분의 양을 사료표준분석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박 무게(kg) 액상 무게(kg) 조단백질(wt%) 조지방(wt%) 조섬유(wt%) 조회분(wt%)
실시예 1 1.46 2.66 62.68 13.35 13.87 8.15
비교예 4 1.26 3.10 60.48 10.03 13.41 7.85
상기 표 3의 결과를 참조하면, 착유 전 증숙된 동애등에 유충의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되지 않는 경우, 비교예 4와 같이, 오일 성분이 원활하게 수득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오일 성분이 굳어져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그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인 예시들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도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다.

Claims (6)

  1. a) 부화 후 10일령의 동애등에 유충 생충을 준비하고 체거름 방식으로 이물질을 분리 제거하여 유충을 선별하는 단계;
    b) 상기 선별된 동애등에 유충에 마이크로버블을 공급하고 4 내지 5분간 유지시킨 후 물을 교체하는 것을 1회로 하여 총 2회 이상 세척하는 단계;
    c) 상기 세척된 동애등에 유충을 증숙기에 투입하고, 상기 동애등에 유충 100 g을 기준으로 85 내지 88 ℃ 온도 조건 하에서 25분 내지 35분 간 스팀(steam)으로 증숙한 다음, 상기 증숙된 동애등에 유충의 외피 팽창 정도를 확인하여, 외피 팽창 및 주름 펴짐이 충분히 진행되도록 85 내지 88 ℃ 온도 조건 하에서 추가로 스팀 증숙을 수행하되, 총 증숙시간의 합이 25분 이상 내지 40분 미만이 되도록 증숙하는 단계;
    d) 상기 증숙 후 얻어진 동애등에 유충을 80 ℃ 이상의 온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착유기에 투입하고 88 내지 93 ℃ 온도 조건 하에서 착유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를 통해 얻어진 케이크(cake)를 분쇄하고, 오븐에서 90 ℃ 이상의 온도를 유지하여 상기 분쇄된 케이크를 건조하여 분말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들에 의해 제조된 분말이 전체 분말 중량을 기준으로 조단백질 62% 이상 및 조회분 8%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의 방법에 따라 얻어진 동애등에 유충 분말로서,
    전체 분말 중량 기준으로 조단백질 함량이 62 중량% 이상 및 조회분 함량이 8 중량 % 이상인, 동애등에 유충 분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애등에 유충 분말은 갈변 현상이 발생하지 않은 것인, 동애등에 유충 분말.
KR1020210170860A 2021-12-02 2021-12-02 증숙 공정을 이용한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 KR102536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860A KR102536078B1 (ko) 2021-12-02 2021-12-02 증숙 공정을 이용한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
PCT/KR2022/017950 WO2023101263A1 (ko) 2021-12-02 2022-11-15 증숙 공정을 이용한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0860A KR102536078B1 (ko) 2021-12-02 2021-12-02 증숙 공정을 이용한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078B1 true KR102536078B1 (ko) 2023-05-30

Family

ID=8652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0860A KR102536078B1 (ko) 2021-12-02 2021-12-02 증숙 공정을 이용한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36078B1 (ko)
WO (1) WO202310126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023A (ko) * 2014-12-31 2017-09-18 와이엔섹트 딱정벌레 분말
JP2020532308A (ja) * 2017-09-06 2020-11-12 インセクト 飼育下の魚類のストレスを防止又は減少するための昆虫粉末
KR102251197B1 (ko) * 2020-07-14 2021-05-14 (주)앤피에스 유충 건조 장치, 유충 건조 방법 및 유충 사육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963A (ko) * 2019-07-25 2021-02-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쌍별귀뚜라미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이의 활용
KR20210054892A (ko) * 2019-11-06 2021-05-14 농업회사법인 푸디웜 주식회사 동애등에 유래 키토산을 이용한 창상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5023A (ko) * 2014-12-31 2017-09-18 와이엔섹트 딱정벌레 분말
JP2020532308A (ja) * 2017-09-06 2020-11-12 インセクト 飼育下の魚類のストレスを防止又は減少するための昆虫粉末
KR102251197B1 (ko) * 2020-07-14 2021-05-14 (주)앤피에스 유충 건조 장치, 유충 건조 방법 및 유충 사육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263A1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1047B1 (ko) 동애등에 분말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37634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ищевой муки из семян масличных культур, в частности семян льна (варианты)
US3747564A (en) Method of preparing animal litter
KR20110078550A (ko) 생강 분말 및 생강정의 제조 방법
KR102536078B1 (ko) 증숙 공정을 이용한 동애등에 유충 가공방법
CN104146170A (zh) 一种仔猪饲料
RU2292166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орошка из сахарной свеклы
KR102566754B1 (ko) 식용 굼벵이 냄새제거방법
DE1300820B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Protein und Kohlenhydrate sowie unerwuenschte Geruchs- und Geschmacksstoffe enthaltenden Pflanzenmehlen
JP5679832B2 (ja) 西洋カボチャ種子油の製造方法
KR20040041737A (ko) 마늘 분말 및 마늘정의 제조 방법
Sangha et al. Influence of curing parameters on quality and yield of turmeric (Curcuma longa)
DE2704743C2 (de) Verfahren zum Entgiften von Rapsschrot
DE406170C (de) Verfahren zur Veredlung von Sojabohnen
KR102593153B1 (ko) 곤충의 성충과 유충을 사용한 단미 사료 제조 방법
SU1357003A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ухих животных кормов из отходов м с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RU2629109C1 (ru) Способ сушки зеленых раст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СВЧ-обработки
DE2244692C3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flanzlichen proteinhaltigen Produkts
DE4143416C2 (de) Verfahren zum Aufbereiten und Konservieren von Futterstoffen und/oder feuchten Erntegüter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CN105851609A (zh) 一种用于黑天鹅开食的辅助性调理饲料
JPH0712284B2 (ja) 養殖魚用飼料の製造方法
Kweon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activity
KR20220160961A (ko) 굼벵이 환의 제조 방법
JP2023075640A (ja) コオロギ油脂の製造方法、及びコオロギ油脂並びにコオロギ由来の粉末組成物
CN112586679A (zh) 一种动物肾脏烘焙粉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