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943B1 -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943B1
KR102535943B1 KR1020210042190A KR20210042190A KR102535943B1 KR 102535943 B1 KR102535943 B1 KR 102535943B1 KR 1020210042190 A KR1020210042190 A KR 1020210042190A KR 20210042190 A KR20210042190 A KR 20210042190A KR 102535943 B1 KR102535943 B1 KR 102535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information
user
prescription
anaerob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7098A (ko
Inventor
김재승
황은선
Original Assignee
(의료)길의료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의료)길의료재단 filed Critical (의료)길의료재단
Publication of KR20220117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및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활용한 운동량 측정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운동기구에 설치되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 및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을 분석하여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 및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활용한 운동량 측정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Exercise Prescription using Aerobic Exercise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가진 질환에 대한 진단정보에 따라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운동기구에 설치되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능력을 측정하고, 사용자가 가진 질환에 대한 진단정보 및 측정한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기초하여 각각의 운동항목에 따른 스코어를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사람들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과 자신을 가꾸는 것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피트니스센터 관련 시장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2018년도 기준 국내 피트니스 관련 시장 규모는 약 2조4000억원으로 추정되며, 전국 피트니스센터의 수는 약 7000여개에 달하는 등 피트니스 관련 시장의 양적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시장의 양적인 성장세와는 대조적으로 해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 즉 질에 대한 성장은 더디게 이루어지고 있다.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은 대부분 자신이 임의대로 하고 싶은 운동을 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고, 자신에게 필요한 운동이 무엇인지, 어떤 강도로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경우가 많지 않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개인트레이닝을 받지 않는 이상 자신에게 맞는 운동루틴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일반적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해당하는 인터넷을 통한 검색의 경우에는, 습득한 운동루틴이 보편적인 정보에 해당하므로, 해당 사용자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개인트레이닝을 통해 운동루틴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트레이너의 전문성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에 현저한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일정 수준의 서비스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동루틴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키, 몸무게, BMI 지수 및 체지방률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의학적인 정보, 예를 들어 혈압이나 당뇨 수치 같은 의학적 정보까지 고려하여 더욱더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루틴을 제공하고, 해당 루틴에 따라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수행내역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진 질환에 대한 진단정보에 따라 피트니스 센터에 설치된 운동기구에 설치되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능력을 측정하고, 사용자가 가진 질환에 대한 진단정보 및 측정한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기초하여 각각의 운동항목에 따른 스코어를 부여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신체활동능력에 대한 기설정된 질문세트를 제공하고, 제공한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및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진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질문답변 및 상기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에 대한 제공여부를 판단하는 처방여부판단단계;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반사고정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반사고정핀부의 상부면에 조사된 광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포함하는 무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데이터측정단계;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상기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수축동작단위 및 1 이상의 이완동작단위로 복수의 세부운동구간을 분류하여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사용자의 운동횟수 및 운동무게를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기저장된 사용자의 운동정보, 상기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상기 진단정보 및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에서 도출된 1 이상의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운동수행능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최대능력을 도출하는 최대능력도출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처방여부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운동수행능력정보 및 상기 운동최대능력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될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처방도출단계; 및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송신하는 운동처방제공단계;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동데이터측정단계는, 측정된 상기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거리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되지 않은 제1시간구간의 존재여부 및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오류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된 제2시간구간의 존재여부 중 1 이상을 판별하는 오류신호판별단계; 및 상기 오류신호판별단계에서 상기 제1시간구간 및 제2시간구간 중 1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시간구간 및 상기 제2시간구간의 거리측정반환신호를 보완하는 측정신호보완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비스서버에는 상기 진단정보 각각에 대한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운동항목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운동스코어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운동처방도출단계는, 해당 사용자의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진단정보에 대한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운동항목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하는 스코어로드단계; 상기 스코어로드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1 이상의 상기 운동항목에 대해 로드된 1 이상의 상기 스코어를 합산하여 각각의 상기 운동항목에 대한 합산스코어를 산출하는 합산스코어산출단계; 및 상기 산출된 각각의 운동항목의 합산스코어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운동항목 및 상기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운동수행분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동수행분석단계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가 무산소 운동기구를 통해 수행한 운동수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운동처방정보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수행정보에 기초하여 운동분석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사용자의 운동수행정보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동분석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각각의 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와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의 차이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세부운동구간을 제외하여, 상기 복수의 세부운동구간 중 일부만을 기준세부운동구간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준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유사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숙련도를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동처방도출단계에서는,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도출하여 기설정된 1 이상의 단계별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운동수행분석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운동수행내역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도출된 운동수행내역이 상기 단계별 운동처방정보 중에서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에, 상기 서버시스템은, 기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측정된 운동수행내역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최대능력 및 운동처방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운동 수행에 따라 상기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사용자의 단말기로, 사용자의 운동자가진단에 대한 질문세트를 제공하고, 상기 운동자가진단에 대한 질문세트에 대한 자가진단답변을 수신하는 자가진단정보수신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동처방도출단계에서는, 상기 처방여부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운동최대능력 및 상기 자가진단답변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될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더 이용하여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화면을 촬영하여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수집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운동량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유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유산소운동량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운동데이터측정단계는,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촬영하여 운동량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운동량 이미지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운동량이미지로부터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에 대한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에 의하여 인식한 텍스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를 포함하는 유산소운동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 및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신체활동능력에 대한 기설정된 질문세트를 제공하고, 제공한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및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진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질문답변 및 상기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에 대한 제공여부를 판단하는 처방여부판단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반사고정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반사고정핀부의 상부면에 조사된 광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포함하는 무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데이터측정단계; 및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상기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수축동작단위 및 1 이상의 이완동작단위로 복수의 세부운동구간을 분류하여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사용자의 운동횟수 및 운동무게를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기저장된 사용자의 운동정보, 상기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및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에서 도출된 1 이상의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운동수행능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최대능력을 도출하는 최대능력도출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처방여부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및 상기 운동최대능력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될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처방도출단계; 및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송신하는 운동처방제공단계;를 수행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 및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신체활동능력에 대한 기설정된 질문세트를 제공하고, 제공한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및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진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질문답변 및 상기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에 대한 제공여부를 판단하는 처방여부판단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반사고정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반사고정핀부의 상부면에 조사된 광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포함하는 무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데이터측정단계; 및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상기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수축동작단위 및 1 이상의 이완동작단위로 복수의 세부운동구간을 분류하여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사용자의 운동횟수 및 운동무게를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기저장된 사용자의 운동정보, 상기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및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에서 도출된 1 이상의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운동수행능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최대능력을 도출하는 최대능력도출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처방여부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및 상기 운동최대능력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될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처방도출단계; 및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송신하는 운동처방제공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운동데이터측정단계는, 측정된 상기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거리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되지 않은 제1시간구간의 존재여부 및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오류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된 제2시간구간의 존재여부 중 1 이상을 판별하는 오류신호판별단계; 및 상기 오류신호판별단계에서 상기 제1시간구간 및 제2시간구간 중 1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시간구간 및 상기 제2시간구간의 거리측정반환신호를 보완하는 측정신호보완단계;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질환 등에 대한 진단정보, 신체활동능력에 대한 설문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및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운동을 수행해도 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운동수행능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운동수행능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의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운동처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 맞춤의 목표운동량을 설정하고 운동 중에 운동가이드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목표한 운동을 완료할 수 있도록 하고, 전반적인 운동기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 및 건강 관리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거리측정반환신호의 오류를 판별하고, 오류값을 보완하여 운동궤적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운동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자석이 반사판 내부로 수용되어 일측면을 노출함으로써, 반사고정핀부를 무게추에 평행으로 고정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를 로드하는 데 있어서 수신한 각각의 진단정보의 세부내역 또는 경중에 따라 해당 스코어를 가변하여 로드하므로, 사용자의 진단정보의 경중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운동동작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운동궤적정보로부터 사용자의 근육 이완 및 수축의 동작단위를 구분하여 운동동작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진단정보 각각에 대해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운동항목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하고, 로드된 스코어를 각 운동항목 별로 합산하여 도출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므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항목의 비중까지 고려하여 더욱 적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운동기구에서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에 대한 정보를 서버시스템으로 송신하므로, 사용자가 추가적으로 운동을 수행한 내역을 입력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와 사용자의 실제 운동에 따른 운동궤적정보의 상호비교하여 두 그래프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숙련도를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전체적인 시스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의 수행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여부판단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질문세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생성된 운동궤적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데이터측정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데이터측정단계에 의하여 보완된 거리측정반환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정보 및 설문정보와 각 정보에 해당하는 운동항목 및 운동항목에 대한 스코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처방도출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수행분석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수행분석단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수행분석단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수행분석단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자가진단에 대한 질문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가 부착된 유산소 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모듈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고정핀부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고정핀부의 우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모듈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듈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듈 본체가 오른쪽으로 90°회전한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 및 광송수신부의 동작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의 운동정보분석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전체적인 시스템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의 사용자의 단말기는 전술한 사용자 단말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의 단말기는 1 이상의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 및 1 이상의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서버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서버시스템은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1 이상의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 1 이상의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 및 서버시스템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단말기는 서버시스템에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무산소 운동기구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근력운동에 따른 무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는 유산소 운동기구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유산소운동에 따른 유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사용자 각각의 계정으로 상기 서버시스템에 로그인하여 서버시스템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각각 상이한 형태의 계정, 예를 들어, 피트니스 센터의 트레이너 타입의 계정 혹은 피트니스 센터의 고객 타입의 계정으로 상기 서버시스템에 로그인할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각각에는 서로 상이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무산소운동데이터 및 유산소운동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권장되는 운동항목 및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수행시간을 포함하는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전반적인 운동결과를 기록하여 사용자의 운동량관리정보를 저장하고, 측정된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따라 운동처방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수행한 무산소운동데이터 및 유산소운동데이터에 기초하여 측정되어 제공되는 운동량관리정보를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운동량관리정보에 기초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시스템은, 피트니스 센터의 1 이상의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 및 1 이상의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에서 생성된 무산소운동데이터 및 유산소운동데이터에 기초하여 각각의 운동기구들의 사용빈도를 포함하는 상기 운동기구사용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실제로 수행하는 운동데이터 및 사용자의 단말기에 처방된 운동처방정보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운동가이드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 및 서버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시스템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의 수행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고, 상기 서버시스템은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 및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에서 측정한 사용자의 무산소운동데이터 및 유산소운동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운동데이터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방여부판단부(8400), 최대능력도출부(8600); 운동처방도출부(8700); 운동처방정보제공부; 운동수행분석부; 및 DB;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처방여부판단부(8400)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신체활동능력에 대한 기설정된 질문세트를 제공하고, 제공한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및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진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질문답변 및 상기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에 대한 제공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처방여부판단부(8400)는, 사용자의 심장질환 및 근골격계에 대한 설문 항목들을 포함하는 신체활동능력에 대한 기설정된 질문세트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질문답변에 따라 해당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신체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운동처방을 제공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방여부판단부(8400)는,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진단정보를 수신한다. 혹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주치의 혹은 보호자의 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에 상응하는 각각의 진단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에 대한 제공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처방여부판단부(8400)에 의하여, 운동처방정보의 제공여부가 결정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에 NFC태깅 혹은 사용자의 단말기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접속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무산소운동데이터를 기록하고 측정할 수 있다.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를 더 포함하여,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에 의하여 측정된 유산소운동데이터를 기록하고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무산소운동기구에 부착되고, 반사고정핀부를 포함하여 반사고정핀부의 상부면에 조사된 광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포함하는 무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데이터측정단계(S2000)를 수행한다. 상기 운동궤적정보는 시간에 따른 그래프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사용자가 운동을 시작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최초 무게를 설정할 수도 있고, 저장된 사용자의 기본정보(예를 들어, 키, 몸무게, 나이 및 성별 등) 및 기저장된 사용자의 운동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무게를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상기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수축동작단위 및 1 이상의 이완동작단위로 복수의 세부운동구간을 분류하여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사용자의 운동횟수 및 운동무게를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S3000)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궤적정보는 측정된 운동횟수가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에 의하여 사용자의 운동데이터를 측정하고, 측정된 운동데이터에 기초하여 운동수행능력정보가 도출되면, 상기 서버시스템의 최대능력도출부(8600)는, 사용자가 과거에 수행했던 기저장된 사용자의 운동정보, 상기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상기 진단정보 및 1 이상의 무산소운동기구 각각에 대한 운동수행능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최대능력을 도출한다.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횟수를 반복하여 무산소운동기구를 이용하는 동안의 사용자의 운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사용자의 운동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최대능력도출부(8600)는,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무산소 운동의 최대능력(예를 들어, 10RM의 중량, 1RM의 중량 등)을 도출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능력을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적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무산소 운동기구마다 기설정된 무게의 운동횟수를 기설정된 횟수의 세트만큼 측정하여 사용자의 운동능력(10rm)을 도출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w-101.3-2.67123r(w는 운동무게, r은 운동횟수)의 도출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최대능력(1RM)을 도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동처방도출부(8700)는, 상기 처방여부판단부(8400)에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기로 판별된 사용자의 무산소운동데이터, 운동수행능력정보 및 운동최대능력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될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한다.
상기 운동처방제공부(8800)는, 상기 운동처방도출부(8700)에서 도출된 운동처방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송신하여 제공한다.
상기 운동수행정보수신부(8500)는,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 및 상기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에 의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측정된 사용자의 운동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향상 혹은 저하되는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기초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 및 상기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에 의하여 측정되는 무산소운동데이터 및 유산소운동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운동처방정보에 따라 운동기구를 통해 운동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동기구에 부착된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 와 통신을 수행하여,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한 후 운동기구를 사용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운동수행정보수신부(8500)는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로부터 해당 식별정보 및 사용자가 운동기구를 통해 수행한 운동수행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운동처방정보와 수신한 운동수행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수행내역을 도출하고, 도출된 운동수행내역을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시스템의 DB에는, 진단정보카테고리DB, 설문정보카테고리DB, 진단정보 및 설문정보에 상응하는 운동항목DB, 각각의 운동항목에 해당하는 스코어DB, 서버시스템에서 각각의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한 운동처방정보DB, 각각의 사용자의 단말기에 대한 식별정보 및 해당 진단정보를 수행한 주체에 대한 진단자정보DB,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운동을 처방 받는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정보DB 및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 및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가 배치된 운동기구에 대한 식별정보 및 해당 운동기구에서 송신하는 운동수행정보에 대한 운동기구정보DB 등을 포함하고, 상술한 각각의 부에서 요구하는 정보를 호출하는 경우 상응하는 정보를 해당 부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B 혹은 상기 DB에 포함된 각각의 정보 DB들은 상기 서버시스템에 포함되거나 혹은 외부의 별도의 서버(미도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서버시스템 및 상기 별도의 서버는 통신을 수행하여 필요한 정보들을 호출 및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질환 등에 대한 진단정보, 신체활동능력에 대한 설문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 및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운동을 수행해도 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용자의 운동수행능력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운동수행능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개개인의 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운동처방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서버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의 다른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만을 표시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여부판단부(8400)에 의하여 제공되는 질문세트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처방여부판단부(8400)는, 사용자의 단말기에 신체활동능력에 대한 기설정된 질문세트를 제공하고, 상기 신체활동능력에 대한 기설정된 질문세트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심장질환 및 근골격계에 대한 설문일 수 있다. '당신의 의사가 당신에게 심장질환이 있다고 말하거나 의사가 추천한 신체활동만 해야 한다는 말을 한적이 있습니까?', '신체활동을 할 때 가슴에 통증이 있습니까?', '고혈압이나 심장질환으로 처방 받아 복용하는 약(예를 들면, 이뇨제)이 있습니까?' 등과 같이 운동참여자의 체력을 평가하거나 운동부하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개인의 건강상태와 체력상태 및 생활습관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운동수행능력을 측정하기 전에 사용자의 신체 및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질문세트를 제공하여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운동처방을 제공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에 의하여 생성된 운동궤적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반사고정핀부의 상부면에 조사된 광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동궤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궤적정보는, 사용자의 운동동작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해당 무산소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설정한 무게추에 따른 운동궤적정보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횟수에 따라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에 따른 데이터 형태의 운동궤적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운동궤적정보는 이후, 1 이상의 수축동작단위 및 이완동작단위로 세부운동구간이 분류될 수 있다.
한편, 도 5의 (b)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운동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운동궤적정보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생성된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는 각각의 운동시간 및 운동무게를 포함하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는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생성되어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에 송신되고,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에 저장되어 있는 운동처방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무산소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면서 자신에게 처방된 운동처방정보와 자신의 실제 운동 수행능력을 실시간으로 비교하여 피드백정보를 제공받으면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데이터측정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데이터측정단계에 의하여 보완된 거리측정반환신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반사고정핀부의 상부면에 조사된 광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포함하는 무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리측정반환신호는 조사된 광신호가 반환되지 않거나, 혹은 오류값이 측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류신호판별단계 및 측정신호보완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오류신호판별단계에서는,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측정된 상기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거리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되지 않은 제1시간구간의 존재여부 및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오류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된 제2시간구간의 존재여부 중 1 이상을 판별한다. 예를 들어, 거리측정반환신호가 반환되지 않은 경우에는, 측정거리 33,014mm 3,055mm 및 Segnal Quality 1 이상의 측정결과 값이 나타나고, 이와 같은 측정값이 나타난 시간구간의 경우 거리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되지 않은 제1시간구간으로 판별한다. 또한, 거리측정반환신호의 오측정값이 측정된 경우에는, “ER”을 나타내고 이와 같은 측정값이 나타난 시간구간의 경우 오류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된 제2시간구간으로 판별한다. 상기 오류신호판별단계에서는, 상기 제1시간구간 및 상기 제2시간구간의 존재여부를 판별하여 오류신호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측정신호보완단계에서는, 오류신호판별단계에서 상기 제1시간구간 및 제2시간구간 중 1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시간구간 및 상기 제2시간구간의 거리측정반환신호를 보완하는 측정신호보완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거리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되지 않거나, 오측정된 경우에,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측정신호보완단계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측정신호의 미반환 값 혹은 오측정값을 보정하여 거리측정반환신호를 보완하고, 이후, 보완된 거리측정반환신호에 따른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운동횟수 및 운동무게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거리측정반환신호의 오류를 판별하고, 오류값을 보완하여 운동궤적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운동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상기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수축동작단위 및 1 이상의 이완동작단위로 복수의 세부운동구간을 분류하여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사용자의 운동횟수 및 운동무게를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를 수행한다. 도 8의 (a)는 1 이상의 수축동작단위 및 1 이상의 이완동작단위로 분류된 세부운동구간에 따라 측정된 운동횟수를 도시하고, 도 8의 (b)는 세부운동구간 및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세트를 카운트하고, 세트를 모두 수행한 이후, 초기화 된 것을 도시한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수축운동과 이완운동이 교차하는 지점을 확인하여 운동횟수를 카운팅 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의 단말기 혹은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설정된 횟수만큼 해당 운동을 수행한 경우, 해당 세트를 완료하였음을 표시하고, 새로운 세트의 운동 수행 시에 자동으로 초기화하여 다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사용한 무산소 운동기구에 대한 운동횟수 및 운동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정보 및 설문정보와 각 정보에 해당하는 운동항목 및 운동항목에 대한 스코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처방여부판단부(8400)는,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진단정보, 기설정된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방여부판단부(840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생활습관 및 운동습관에 대한 복수의 설문정보카테고리에 따른 각각의 설문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정보카테고리에는 'BMI 지수', '가족력', '혈압수치', '관절상태', '체지방률', '만성질환', '유전자검사'등과 같은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설문정보카테고리에는 '성별, 연령', '흡연', '음주', '수면상태', '식습관'등과 같은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단정보카테고리는 진단을 수행하는 주체가 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판단할 수 있는 항목들을 포함하고, 설문정보카테고리는 사용자의 개인적인 생활습관 및 운동습관 등에 대해 입력할 수 있는 항목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단정보카테고리 및 상기 설문정보카테고리 각각에는 이에 상응하는 스코어들이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성별, 연령'에 대한 설문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설문정보로써 '40대 여성', '혈압수치'에 대한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진단정보로써 '130/85mmHg (고혈압 위험군)'과 같이, 설문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설문정보 및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진단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수신된 설문정보 및 진단정보에 상응하는 운동항목들이 로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별, 연령'에 대한 설문정보카테고리에 대하여 '40대 여성'이라는 설문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40대 여성'에게 필요한 운동항목에 해당하는 '사이클', '트레드밀', '스테퍼', '스쿼트'가 로드될 수 있고, '관절상태'에 대한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하여 '허리디스크 증상 있음'이라는 진단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허리디스크 증상이 있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항목에 해당하는 '크런치', '플랭크', '사이클'이 로드될 수 있다.
또한, 진단정보 및 설문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운동항목이 로드된 후에 상기 각각의 운동항목에 대한 스코어가 로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0대 여성'이라는 설문정보에 대한 운동항목들의 스코어는 1점으로 설정되고, '허리디스크 증상 있음'이라는 진단정보에 대한 운동항목들의 스코어는 3점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더불어 '40대 여성'에 해당하는 운동항목인 '사이클'에 할당된 스코어와 '허리디스크 증상 있음'에 해당하는 운동항목인 '사이클'에 할당된 스코어가 서로 상이한 것과 같이, 동일한 운동항목이더라도 각각의 진단정보카테고리 및 설문정보카테고리에 따라서 스코어가 상이하게 로드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스코어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각의 설문정보카테고리 및 진단정보카테고리별로 스코어를 일괄적으로 적용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20대 여성'과 '40대 여성'에 해당하는 운동항목이 동일하더라도 중요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카테고리내에서도 설문정보 또는 진단정보의 세부내역에 따라서도 스코어가 상이하게 로드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130/85mmHg(고혈압 위험군)'의 진단정보에 해당하는 운동항목 가운데에서도 혈압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는 각각의 운동항목의 효능의 정도 또한 서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진단정보 및 설문정보에 해당하는 각각의 운동항목에 대해서도 개별적인 스코어가 로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생활습관 및 운동습관에 대한 각각의 설문정보를 수신하여, 진단정보 및 설문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므로, 각각의 사용자마다 고유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처방도출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처방도출부(8700)는, 상기 서버시스템에 기저장된 운동스코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진단정보 각각에 대해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운동항목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하는 스코어로드단계(S610); 상기 스코어로드단계(S620)에 의하여 로드된 1 이상의 상기 운동항목에 대해 로드된 1 이상의 상기 스코어를 합산하여 각각의 상기 운동항목에 대한 합산스코어를 산출하는 합산스코어산출단계(S630); 및 상기 산출된 각각의 운동항목의 합산스코어에 따른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운동항목 및 상기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송신하는 운동처방정보제공단계(S6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서버시스템에서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서비스 요청 정보, 바람직하게는 진단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의 송신을 요청하는 정보를 수신하면, 서버시스템은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로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정보를 송신하고,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는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진단을 수행하는 주체가 진단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진단을 수행하는 주체는 상기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해 진단하고자 하는 대상(사용자)에 대한 진단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진단정보카테고리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받을 사용자의 주치의 등의 진단을 수행하는 주체가 보유한 진단단말기로 제공되어, 진단단말기에서의 입력에 따른 진단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진단정보카테고리에는 진단을 수행하는 주체가 진단할 수 있는 의학적인 항목들, 예컨대'관절상태'에 대한 카테고리가 포함될 수 있고, '관절상태'에 대한 카테고리의 후보진단정보에는 '허리디스크', '목디스크', '퇴행성관절염(무릎)', '류마티스관절염(무릎)'과 같은 복수의 후보진단정보가 포함되어, 진단을 수행하는 주체가 진단을 받는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하나의 진단정보를 선택 혹은 입력할 수 있다.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해 기설정된 각각의 복수의 후보진단정보 가운데 선택된 진단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 및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 각각에 대해 기설정된 복수의 후보진단정보들은 DB(8900)의 스코어로드정보DB, 구체적으로는 진단정보카테고리DB에 기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스코어로드단계는 DB(8900)에 기저장된 스코어로드정보DB, 구체적으로 운동항목DB에 기초하여 수신한 상기 진단정보에 해당하는 1 이상의 운동항목을 로드하고, 스코어DB에 기초하여 로드된 각각의 운동항목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운동항목DB는 수신한 상기 진단정보에 해당하는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진단정보수신단계(S100)에서 '관절상태'에 대한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하여 '허리디스크' 라는 진단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스코어로드단계에서는 '허리디스크' 증상에 도움이 되는 운동항목에 해당하는 '크런치', '플랭크' 및 '사이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동항목DB를 통해 로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동항목DB에는 진단정보에 상응하는 운동항목의 관계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다.
한편, 스코어DB는 상기 운동항목DB에 기저장되어 있는 각각의 운동항목에 대한 스코어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다. 상기 스코어는 해당 운동항목의 중요도를 정량적으로 할당한 값에 해당하며, 상기 스코어는 하나의 운동항목에 대해 하나의 스코어로 매칭되어 기저장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운동항목에 대해 복수의 스코어가 매칭되어 상기 진단정보에 상응하는 스코어가 로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지방률'에 대한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하여 '체지방률 20%(정상수치보다 약간 높은 정도)' 라는 진단정보에 해당하는 운동항목에는 유산소 운동에 해당하는 '사이클'이 포함될 수 있고, '허리디스크'라는 진단정보에 해당하는 운동항목에도 동일하게 '사이클'이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이한 진단정보에 해당하는 운동항목이 서로 동일하더라도, 질병에 해당하는 '허리디스크'에 대한 '사이클'의 스코어가 '체지방률 20%'에 대한 '사이클'의 스코어보다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일한 운동항목이라고 하더라도 진단정보카테고리 및 진단정보에 따라 복수의 스코어가 하나의 운동항목에 매칭되어 상기 스코어DB에 저장되었다가, 해당 진단정보에 따라 적합한 스코어가 로드될 수 있다.
따라서, 진단정보카테고리 및 진단정보에 따라 운동항목의 필요정도에 따라 스코어가 세분화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코어로드단계는, 상기 진단정보수신단계에서 수신한 각각의 상기 진단정보의 세부내역에 따라 상기 운동항목에 대한 스코어를 가변하여 로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압수치'에 대한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한 진단정보로써 '130/85mmHg(정상보다 다소 높은 정도)'및 '145/90mmHg(고혈압에 해당하는 수치)'와 같은 세부내역에 따라 운동 강도가 달라져야 하므로, 해당 세부내역에 따라서도 스코어는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스코어를 가변하기 위하여 각각의 세부내역에 따른 스코어가 매핑되어 스코어DB에 기저장되었다가 해당 세부내역에 따른 스코어를 로드하거나, 특정 세부내역에 대한 스코어 값을 기준으로 하고 세부내역이 변화됨에 따라 스코어 값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코어를 로드하는 데 있어서 수신한 각각의 진단정보의 세부내역 또는 경중에 따라 해당 스코어를 가변하여 로드하므로, 사용자의 진단정보의 경중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더욱 적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산스코어산출단계는, 각각의 진단정보에 대해 로드된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각각의 운동항목에 대한 스코어를 각각의 운동항목 별로 합산하여 합산스코어를 도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운동처방정보제공단계는, 상기 합산스코어산출단계에서 산출된 각각의 운동항목에 대한 합산스코어에 따라서 각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쿼트'에 대한 합산스코어가 '5점'이고, '데드리프트'에 대한 합산스코어가 '2점'인 경우, '스쿼트'는 '1.5kg의 덤벨을 사용하여 3 세트씩, 세트당 15회, 주당 3회'의 운동량이 도출되어 '데드리프트'와 비교하여 더 많은 양의 운동을 수행하도록 운동량이 설정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해당 단계에서는 모든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을 산출할 수도 있으나, 기설정된 합산스코어의 값을 초과하는 운동항목 혹은 기설정된 순위를 초과하는 운동항목에 대해서만 운동량을 산출하도록 하여, 서버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스코어에 따른 운동량에 대한 정보 및 운동 효율을 위한 운동항목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는 DB의 운동항목DB에 기저장되거나 혹은 별도의 DB(미도시)에 기저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동처방제공단계는, 합산스코어가 도출된 운동항목 및 해당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진단을 수행하는 주체가 진단단말기를 통해 해당 운동처방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해당 진단단말기로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동처방정보는 합산스코어가 높은 운동항목 순으로 운동 순서를 도출하여 포함하거나, 합산스코어가 도출된 각각의 운동항목 및 운동량을 비교하여 운동 효율이 좋은 순서대로 운동 순서를 도출하여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처방제공단계에서 도출된 운동처방정보는 운동처방정보DB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운동처방정보DB에는 각각의 운동항목의 순서에 따른 운동 효율에 대한 정보가 기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처방도출단계에서는,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도출하여 기설정된 1 이상의 단계별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운동수행분석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운동수행정보 및 운동분석정보 중 1 이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수행정보 혹은 운동분석정보가 상기 단계별 운동처방정보 중에서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에, 상기 서버시스템은, 기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측정된 운동수행정보 혹은 운동분석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최대능력 및 운동처방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단말기 혹은 진단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진단정보 각각에 대해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운동항목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하고, 로드된 스코어를 각 운동항목 별로 합산하여 도출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므로, 사용자에게 필요한 운동항목의 비중까지 고려하여 더욱 적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수행분석단계의 세부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S810단계 내지 S840단계에 상응하는 운동수행분석단계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S810단계에서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한다. 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무산소 운동기구에 부착된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에 NFC태깅을 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서버시스템에 해당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S82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무산소 운동기구를 통해 수행한 운동수행정보를 수신한다.
S830단계에서는,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운동처방정보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수행정보에 기초하여 운동분석정보를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각각의 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와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의 차이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세부운동구간을 제외하여, 상기 복수의 세부운동구간 중 일부만을 기준세부운동구간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준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유사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숙련도를 도출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사용자의 운동숙련도를 포함하는 운동분석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도출한 운동분석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S840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운동수행정보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송신한다.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수행정보는 서버시스템으로 송신되어 이후, 운동처방정보를 생성하고, 업데이트 하는데 기초가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수행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고 있는 와중에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와 사용자의 실제 운동수행정보를 비교하여 분석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보다 정확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4는 운동수행분석단계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운동수행분석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운동수행분석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 및 해당 사용자에게 처방된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운동궤적정보를 1 이상의 수축동작단위 및 이완동작단위로 복수의 세부운동구간을 분류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바람직하게 제시된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와 비교할 때 운동기구가 미숙하고 운동법을 정확하게 숙지하지 못한 사용자들의 운동궤적정보는 상이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와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를 각각 사용자의 움직임단위로 수축동작단위 및 이완동작단위로 세부운동구간을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실제 운동에 따른 운동궤적정보는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와 궤적의 모양은 유사하나, 시간길이 등에 있어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DTW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시간길이의 차이에 관계없이 상기 궤적의 유사도를 도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사도는, DTW알고리즘에 의하여 도출되는 복수의 DTW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DTW(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은, 시계열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는 알고리즘으로서 비교할 두 시계열 데이터간의 시간의 길이를 고려하지 않고, 두 시계열 데이터간의 유사성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두 시계열 데이터의 시간길이가 다르더라도, DTW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두 시계열 데이터의 패턴의 유사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DTW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운동수행분석단계에 의하여 생성된 운동궤적정보를 세부운동구간별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간격을 가지고 복수의 피크를 갖는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 및 운동처방정보에 따른 운동궤적정보의 세부운동구간을 도출한다.
세부운동구간이 도출되면, 도출된 세부운동구간에 따라 운동수행분석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실제 운동을 수행한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및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이 상응하는 구간을 비교하여 운동숙련도 및 이완수축평가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의 이완동작 및 수축동작에 따른 운동궤적정보의 구간을 분류하여 구간별로 사용자에게 제공된 운동처방정보와 비교함으로써, 보다 세밀하고 정확한 피드백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분석정보를 도출하는 단계의 세부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S900 내지 S920단계의 수행으로 운동숙련도를 도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900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각각의 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와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의 차이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세부운동구간을 제외하여, 상기 복수의 세부운동구간 중 일부만을 기준세부운동구간으로 추출한다. 도 14의 (a)는 사용자의 실제 운동에 따른 운동궤적정보 및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를 비교한 그래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그래프의 1회의 운동에 해당하는 그래프를 참조하면,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시간길이보다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시간길이가 더 긴 것이 도시되었다. 이는 보다 사용자의 운동동작이 운동처방정보에서 요구하는 운동동작에 비해 느린 것을 의미하고, 사용자에게는 보다 한번의 동작에 대한 운동시간을 빠르게 할 것이 피드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분류된 각각의 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와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의 차이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세부운동을 제외하여, 복수의 세부운동구간 중 일부만을 기준세부운동구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S910단계에서는, 상기 복수의 기준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유사도를 도출한다. 도 14의 (b)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가 설치된 운동기구를 10회를 한세트로 운동한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유사도를 나타낸 표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운동수행분석단계에서는, 상기 S910단계에서 추출한 복수의 기준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유사도를 도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사도는, 복수의 상기 기준세부운동구간 각각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이에 상응하는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에 대하여 DTW알고리즘에 의하여 도출되는 복수의 DTW값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DTW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도출한 DTW값은 0 내지 1사이의 값일 수 있고, 0에 가까울수록 비교하는 두 운동궤적정보가 유사한 것을 의미하고, 1에 가까울수록 두 운동궤적정보가 유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해당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는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에 대하여 1번째, 9번째 및 10번째의 세부운동구간에서의 궤적의 시간길이의 차이가 기설정된 기준 이상이 되어 1, 9, 및 10번째 세부운동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세부운동구간이 기준세부운동구간으로 추출되었고, 각각의 기준세부운동구간에서의 유사도가 도출되었음이 도시된다.
이후, S920단계에서는,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숙련도를 도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S910단계에서 도출된 각각의 기준세부운동구간에 대한 유사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운동숙련도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4의 (c)는 유사도의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도출되는 운동숙련도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S110단계에서 도출된 각각의 세부운동구간에서의 유사도의 기설정된 기준(예를 들어, 평균값)에 따라 운동숙련도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4의 (b)에 도시된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는 0.1+0.1+0.3+0.4+0.2+0.1+0.1/7 = 0.1857 이 도출될 수 있고, 0.1857의 유사도값을 도 14의 (c)에 도시된 표와 같은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숙련도는 A로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무산소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대해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와 시간길이의 차이를 비교하여 비슷한 시간길이를 갖는 기준세부운동구간을 추출하여 기준세부운동구간을 기준으로 유사도를 도출하여 운동숙련도를 도출함으로써, 보다 사용자의 운동동작에 대하여 정확한 운동숙련도를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자가진단에 대한 질문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운동 수행에 따라 상기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사용자의 단말기로, 사용자의 운동자가진단에 대한 질문세트를 제공하고, 상기 운동자가진단에 대한 질문세트에 대한 자가진단답변을 수신하는 자가진단정보수신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운동처방도출단계에서는, 상기 처방여부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운동최대능력 및 상기 자가진단답변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될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에 의하여 사용자의 운동수행정보가 측정된 후 상기 서버시스템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동자가진단에 대한 질문세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고 이에 대한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운동처방도출단계에서는, 상기 처방여부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운동최대능력, 운동수행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운동자가진단에 대한 자가진단답변을 고려하여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가 부착된 유산소 운동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를 더 이용하여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도 16의 (a)는 런닝머신에 부착된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를 도시하고, 도 16의 (b)는 싸이클머신에 부착된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를 도시한다.
상기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는, 사용자식별부 및 유산소운동량측정부를 포함한다. 도 16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식별부는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식별부는, NFC모듈(21100)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NFC태깅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고, 카메라모듈(21200)을 포함하여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화면을 촬영하여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량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운동량이미지는 유산소 운동기기의 일부면에 설치되는 유산소운동량측정부(22000)로 송신되어, 운동량이미지에 기초하여 유산소운동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유산소운동정보를 서버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는, 사용자식별부 및 유산소운동량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식별부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NFC태깅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NFC모듈(21100);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화면을 촬영하여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량이미지를 수집하는 카메라모듈(21200);을 포함한다.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22000)는, 상기 운동량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상기 유산소운동정보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산소운동량측정부(22000)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유산소운동정보를 서버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식별부 및 유산소운동량측정부는 유선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은 S21000단계 및 S25000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S21000단계에서는, 상기 NFC모듈(21100)에 의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NFC태깅을 통해 사용자를 식별한다. 유산소 운동기구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사용자식별부에 태깅하여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20000)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S22000단계에서는, 상기 카메라모듈(21200)에 의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촬영하여 운동량이미지를 획득한다.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식별부의 카메라모듈(21200)은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화면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모듈(21200)은 기설정된 시간간격으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촬영한 운동량이미지를 획득하거나, 사용자의 운동이 시작된 시점 및 종료된 시점에 운동량이미지를 획득하는 등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운동량이미지를 획득한다.
S23000단계에서는,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22000)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상기 운동량이미지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22000)는 수신한 운동량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인식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해당 이미지의 기울기 혹은 색상 등의 전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24000단계에서는,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22000)에 의하여,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운동량이미지로부터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에 대한 텍스트를 인식한다. 상기 운동량이미지에는 사용자가 유산소 운동을 수행한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22000)는,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에 상응하는 텍스트를 인식한다.
S25000단계에서는,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22000)에 의하여, 인식한 텍스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를 포함하는 유산소운동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유산소운동정보는 서버시스템으로 송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유산소운동 수행에 따라 유산소 운동을 수행한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를 포함하는 유산소운동정보를 생성하여 서버시스템으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본체모듈(1100); 및 반사고정핀부(120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모듈(1100)은, 상기 본체모듈(1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모듈(1130);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의 상부면에 광신호를 조사하여 거리측정반환신호를 센싱하고, 상기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운동횟수, 무게추 중량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운동정보를 도출하는 측정모듈(1110); 운동기구의 무게추프레임(2000)에 고정되어 상기 측정모듈(1110)을 부착하고, 상기 측정모듈(1110)과 상기 운동기구 사이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는 부착모듈(1120); 및 상기 측정모듈(1110)에서 도출된 운동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모듈(1113(f));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을 참조하면,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상기 배터리모듈(1130), 상기 측정모듈(1110), 상기 부착모듈(1120),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13(f))을 포함하는 상기 본체모듈(1100)과, 반사고정핀부(120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는 운동기구는 무게추프레임(2000), 무게추(3000), 풀링와이어(4000), 및 무게추연결부(500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모듈(1100)은, 상기 배터리모듈(1130), 상기 측정모듈(1110), 및 상기 부착모듈(1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모듈(1130)이 상기 측정모듈(1110)의 측면부에 장착되고, 상기 측정모듈(1110)이 상기 부착모듈(1120)에 의해 상기 무게추프레임(2000)에 부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정모듈(1110)은 우측면에 상기 배터리모듈(1130)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홈은 네 개의 꼭지점에 기설정된 곡률이 있는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모듈(1130)이 삽입되어 장착된 상기 측정모듈(1110)은 다수의 샤프트 및 다수의 너트에 의해 상기 부착모듈(1120)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부착모듈(1120)에 고정된 상기 측정모듈(1110)이 상기 무게추프레임(2000)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모듈(1100)은, 상기 측정모듈(1110)의 전면부에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13(f))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착모듈(1120)은, 필요에 따라, 상기 무게추프레임(2000)이 고정되어 있는 운동기구의 상단 프레임에도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착모듈(1120)이 운동기구의 상단 프레임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부착모듈(1120)에 고정되는 상기 측정모듈(1110)도 상기 상단 프레임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모듈(110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운동기구의 상단 프레임에 부착하여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는, 상기 무게추(3000) 중심에 구비된 원형 형태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장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도 3 및 도 4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무게추연결부(5000) 및 상기 풀링와이어(4000)와 연결된 상기 무게추(3000)가 상하로 왕복운동 할 수 있고, 상기 무게추(3000)의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가 함께 상하로 왕복운동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운동기구는, 상기 무게추(3000)를 저항하는 힘으로 운동하는 기기이고, 프레스 머신, 랫 풀다운 머신, 암 컬 머신, 케이블로우 머신, 플라이 펙 덱 머신,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및 레그 익스텐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고, 중량을 이용하여 운동을 수행하는 모든 무산소 운동기구에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를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모듈(1100)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모듈(1100)은, 전면케이스(1160), 디스플레이커버(1150), 스피커(1180),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13(f))을 전면부에 구비할 수 있고, 전원스위치(1190)를 하부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150)는 상기 전면케이스(1160) 위에 덮어져 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케이스(1160) 위에 탈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150)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13(f))의 내부 장치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150)는 좌측 중심부에 상기 스피커(1180)를 구비할 수 있다. 구비된 상기 스피커(118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13(f))이 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스피커(1180)를 통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모듈(1100)은, 상기 전원스위치(1190)를 하부면에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전원스위치(1190)를 켬으로써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가 사용자의 운동량을 수집하여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13(f))이 상기 본체모듈(1100)에 구비되고 상기 스피커(1180)가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150)에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무산소 운동기구를 이용하면서 수행한 운동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고정핀부(1200)의 평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고정핀부(1200)의 우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는, 원기둥 형태이고, 상기 운동기구의 무게추(3000) 중심에 삽입되는 고정핀(1210); 일측에 상기 고정핀(1210)을 수용하는 플레이트 형태이고, 상기 측정모듈(1110)로부터 조사되는 상기 광신호를 반사하는 반사판(1220); 및 상기 반사판(1220)의 측면에 배치되는 고정자석(12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석(1230)이 금속재질의 상기 무게추(3000)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플레이트 형태의 반사판(1220)의 각도를 상기 광신호의 조사방향에 정렬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는 상기 고정핀(1210), 상기 반사판(1220), 및 상기 고정자석(12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는 상기 무게추(3000) 중심에 구비된 원형 형태의 상기 관통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가 상기 무게추(3000)에 구비된 상기 관통홀에 장착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하중을 선택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핀(1210)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가 상기 무게추(3000)에 고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무게추(3000)가 상하로 왕복운동할 때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가 함께 상하로 왕복운동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운동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반사판(1220)은 무게추(3000)와 평행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무게추(3000)가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경우, 상하로 작용되는 힘에 의해 일반적인 고정핀(1210)에 구비된 반사판(1220)은 평행을 이루지 못하고 한 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가 상기 고정자석(1230)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더라도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가 상기 무게추(3000)와 평행을 유지할 수 있어, 정확한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판(1220)은 직사각형의 상기 고정자석(123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고, 일측면이 노출된 상기 고정자석(1230)이 상기 무게추(3000)에 부착되어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를 평행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자석(1230)이 상기 반사판 내부로 수용되고 일측면을 노출함으로써,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를 상기 무게추(3000)에 평행으로 고정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운동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모듈(1100)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모듈(1100)은 도 20에서 전술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1150), 상기 전면케이스(1160), 및 후면케이스(1170)로 둘러싸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상기 본체모듈(1100)을 보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케이스(1160) 및 상기 후면케이스(1170)가 상기 본체모듈(1100)의 상기 측정모듈(1110), 및 상기 배터리모듈(113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듈(1110)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도 2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듈(1110) 본체가 오른쪽으로 90°회전한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측정모듈(1110)은,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의 상부면에 광신호를 조사하고 제1거리측정반환신호를 센싱하는 제1광송수신모듈(1112(a)); 및 기설정된 주기로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의 상부면에 광신호를 조사하고 제2거리측정반환신호를 센싱하는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의 주기를 기준으로, 상기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의 주기가 기설정된 시간만큼 시프트되어 거리측정반환신호를 교차로 센싱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측정모듈(1110)은, 측정모듈본체(1111), 광송수신부(1112), 제1기판(1113(a)), 제2기판(1113(b)), 및 측정모듈케이스(11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모듈본체(1111)는,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 상기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이 구비된 광송수신부(1112), 제1기판(1113(a)), 및 제2기판(1113(b))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송수신부(1112)는,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 및 상기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송수신부(1112)로부터 송신되는 광신호가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의 상부면을 조사하고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의 상부면에 반사된 광신호가 상기 광송수신부(1112)에 수신됨으로써, 상기 광송수신부(1112)가 거리측정반환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이 상기 광신호를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에 구비된 상기 반사판(1220)의 상부면에 기설정된 주기로 조사하고, 상기 광신호가 상기 반사판(1220)의 상부면에서 반사되고,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이, 반사된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여 제1거리측정반환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이, 상기 광신호를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에 구비된 상기 반사판(1220)의 상부면에 기설정된 주기로 조사하고, 상기 광신호가 상기 반사판(1220)의 상부면에서 반사되고, 상기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이, 반사된 상기 광신호를 수신하여 제2거리측정반환신호를 센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무게추(3000)에 끼워진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가 상하 왕복운동을 할 수 있고,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과 상기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이 상기 반사고정핀부(1200)로 상기 광신호를 조사하여 반사된 광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상기 무게추(3000)의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제1거리측정반환신호와 상기 제2거리측정반환신호를 센싱하여 운동량을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이 상기 광신호를 상기 반사판(1220)의 상부면에 기설정된 주기로 조사하는 경우, 상기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이 상기 광신호를, 상기 반사판(1220)의 상부면에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의 주기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시간만큼 시프트된 주기로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의 기설정된 주기인 상기 시프트된 주기가,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의 기설정된 주기의 한 주기 구간 범위에서 시프트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이 첫 번째 광신호를 송신하고 난 뒤 두 번째 광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이 첫 번째 광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 및 상기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이 각각 첫 번째 광신호를 송신한 이후부터, 각 모듈의 기설정된 주기에 의해 상기 광신호를 반복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의 기설정된 주기 및 상기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의 시프트된 주기를 포함하는 상기 광송수신부(1112)의 모든 주기는, 오차가 발생될 수 있으나, 가변적이지 않고 일정하게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송수신부(1112)에 구비된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1112(a)) 및 상기 제2광송수신모듈(1112(b))이 상기 제1거리측정반환신호 및 상기 제2거리측정반환신호를 교차로 센싱함으로써,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발생되는 운동 정보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의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기판(1113(a)) 및 상기 제2기판(1113(b))은, 상기 측정모듈본체(1111)와 인접하게 배치되어, 수신된 상기 거리측정반환신호를 기반으로 운동정보를 수집하고, 운동 횟수를 측정하고, 무게추(3000)의 중량을 측정하고, 운동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광송수신부(1112)와 상기 제1기판(1113(a)) 및 상기 제2기판(1113(b))을 포함하는 기판부(1113) 간의 동작 시스템은 도 8에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측정모듈케이스(1114)는, 상기 측정모듈본체(1111)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모듈케이스(1114)는 상기 본체모듈(1100)의 상기 전면케이스(1160) 및 상기 후면케이스(1170)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1113) 및 광송수신부(1112)의 동작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기판부(1113)는, 통신모듈(1113(c)), 전원부(1113(d)), 제어부(1113(e)), 및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13(f))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1113(c))은, 거치대(1115)에 거치된 사용자의 단말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기기정보 및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상기 거치대(1115)에 거치하면, 상기 통신모듈(1113(c))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블루투스, 및 비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폰, 및 스마트워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NFC 또는 RFID를 읽을 수 있는 기능이 있는 모든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1113(c))은, 상기 거치대(1115)를 통한 사용자정보 및 기기정보를 게이트웨이(1116)로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이름, 나이, 성별, 운동시작시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요구된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1116)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부(1113(d))는, 상기 기판부(1113)에 구비되어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113(d))는 상기 배터리모듈(1130)을 포함하는 모든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113(d))는 상기 본체모듈(1100)의 하단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모듈(1100)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전원공급의 제어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운동정보수집부(1113(e).10), 운동횟수측정부(1113(e).20), 무게추중량측정부(1113(e).30), 운동정보분석부(1300)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정보수집부(1113(e).10)는, 상기 제1광송수신모듈 및 상기 제2광수신모듈을 포함하는 상기 광송수신부로부터 반사고정핀부의 상부면에 조사된 광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거리측정반환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운동횟수측정부(1113(e).20)는 수집된 상기 거리측정반환신호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무게추중량측정부(1113(e).30)는, 사용자가 무산소 운동을 수행할 때 이용한 무게추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운동정보분석부(1300)는, 측정된 운동횟수 및 무게추의 중량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운동동작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113(f))은 상기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된 사용자의 운동동작에 대한 운동숙련도 및 이완수축평가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으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은 상기 스피커가 구비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를 통해 화면을 표시함과 동시에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광송수신부와 상기 기판부 간의 상호 동작에 의해, 상기 무산소 운동량측정기기가 부착하여 설치된 운동기구로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함에 따라 실시간으로 자신의 운동동작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부의 운동정보분석부(130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기판부의 운동정보분석부(1300)는, 운동궤적정보생성부(1310), 운동구간도출부(1320), 운동숙련도도출부(1330), 이완수축평가정보도출부(1340), 및 피드백제공부(13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동궤적정보생성부(1310)는, 수집된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운동구간도출부(1320)는, 상기 운동궤적정보 및 기저장된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에 대하여 1 이상의 수축동작단위 및 이완동작단위로 복수의 세부운동구간을 분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운동궤적정보는 측정된 운동횟수가 기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운동숙련도도출부(1330)는, 상기 운동구간도출부(1320)에 의하여 분류된 상기 세부운동구간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유사도를 도출하고,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숙련도를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사도는, DTW(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에 의하여 도출되는 복수의 DTW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DTW(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은, 시계열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는 알고리즘으로서 비교할 두 시계열 데이터간의 시간의 길이를 고려하지 않고, 데이터 간의 유사성을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비교할 데이터의 시간길이가 각각 다르더라도. DTW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두 시계열 데이터의 패턴의 유사성을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동작과 운동처방정보의 바람직한 운동동작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DTW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간의 유사도를 도출할 수 있다. 이후, 운동숙련도도출부(1330)는 도출된 유사도에 따라 기설정된 기준으로 사용자의 운동숙련도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이완수축평가정보도출부(1340)는, 상기 운동구간도출부(1320)에 의하여 분류된 상기 세부운동구간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이에 상응하는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이완동작 및 수축동작에 대한 이완수축평가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완수축평가정보는, 각각의 수축시의 운동세부구간별로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이에 상응하는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의 차이가 기설정된 제1기준이 이상인 경우의 수에 따른 느린수축빈도수 및 기설정된 제2기준 이하인 경우의 수에 다른 빠른수축빈도수를 포함하는 실패수축빈도정보 및 각각의 이완시의 운동세부구간별로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이에 상응하는 운동처방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의 차이가 기설정된 제3기준 이상인 경우의 수에 따른 느린이완빈도수 및 기설정된 제3기준 이하인 경우의 수에 따른 빠른이완빈도수를 포함하는 실패이완빈도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완수축평가정보도출부(1340)는,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운동동작이 운동처방정보와 비교시에 사용자의 이완동작 및 수축동작에 대한 이완수축평가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제공부(1350)는, 운동숙련도도출부(1330)에 의하여 도출된 운동숙련도 및 상기 이완수축평가정보도출부(1340)에 의하여 도출된 이완수축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동작에 대한 피드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드백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을 통해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시각적 표시, 영상, 및 음성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드백제공부(1350)는, 상기 피드백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음성피드백제공부(1351) 및 상기 서버시스템으로 사용자의 운동숙련도 및 이완수축평가정보를 포함하는 피드백정보를 송신하는 서버피드백제공부(1352)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피드백제공부(1351)는, 음성으로 피드백을 주도록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에는 서버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측정된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는 기저장된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운동숙련도 및 이완수축평가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운동정보분석부(1300)는 도시된 구성요소 외의 다른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운동가이드를 제공하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10000)와 관련된 구성요소들만을 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되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신체활동능력에 대한 기설정된 질문세트를 제공하고, 제공한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및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진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질문답변 및 상기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에 대한 제공여부를 판단하는 처방여부판단단계;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반사고정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반사고정핀부의 상부면에 조사된 광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포함하는 무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데이터측정단계;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수축동작단위 및 1 이상의 이완동작단위로 복수의 세부운동구간을 분류하여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사용자의 운동횟수 및 운동무게를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기저장된 사용자의 운동정보, 상기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상기 진단정보 및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에서 도출된 1 이상의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운동수행능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최대능력을 도출하는 최대능력도출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처방여부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운동수행능력정보 및 상기 운동최대능력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될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처방도출단계; 및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송신하는 운동처방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운동수행분석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동수행분석단계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가 무산소 운동기구를 통해 수행한 운동수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운동처방정보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수행정보에 기초하여 운동분석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사용자의 운동분석정보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분석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각각의 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와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의 차이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세부운동구간을 제외하여, 상기 복수의 세부운동구간 중 일부만을 기준세부운동구간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준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유사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숙련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더 이용하여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화면을 촬영하여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량이미지를 수집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운동량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유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유산소운동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데이터측정단계는,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촬영하여 운동량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운동량 이미지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운동량이미지로부터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에 대한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에 의하여 인식한 텍스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를 포함하는 유산소운동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동데이터측정단계는,
측정된 상기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거리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되지 않은 제1시간구간의 존재여부 및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오류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된 제2시간구간의 존재여부 중 1 이상을 판별하는 오류신호판별단계; 및
상기 오류신호판별단계에서 상기 제1시간구간 및 제2시간구간 중 1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시간구간 및 상기 제2시간구간의 거리측정반환신호를 보완하는 측정신호보완단계;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에는 상기 진단정보 각각에 대한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운동항목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운동스코어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운동처방도출단계는,
해당 사용자의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진단정보에 대한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운동항목에 대한 스코어를 로드하는 스코어로드단계;
상기 스코어로드단계에 의하여 로드된 1 이상의 상기 운동항목에 대해 로드된 1 이상의 상기 스코어를 합산하여 각각의 상기 운동항목에 대한 합산스코어를 산출하는 합산스코어산출단계; 및
상기 산출된 각각의 운동항목의 합산스코어에 따라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운동항목 및 상기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삭제
삭제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동처방도출단계는,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도출하여 기설정된 1 이상의 단계별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운동수행분석단계에서 도출된 상기 운동수행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도출된 운동수행정보가 상기 단계별 운동처방정보 중에서 기설정된 레벨 이상인 경우에, 상기 서버시스템은, 기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측정된 운동수행내역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최대능력 및 운동처방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운동 수행에 따라 상기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가 수행된 이후에, 사용자의 단말기로, 사용자의 운동자가진단에 대한 질문세트를 제공하고, 상기 운동자가진단에 대한 질문세트에 대한 자가진단답변을 수신하는 자가진단정보수신단계;를 더 수행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운동처방도출단계는,
상기 처방여부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운동최대능력 및 상기 자가진단답변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될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삭제
삭제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 및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신체활동능력에 대한 기설정된 질문세트를 제공하고, 제공한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및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진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질문답변 및 상기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에 대한 제공여부를 판단하는 처방여부판단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반사고정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반사고정핀부의 상부면에 조사된 광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포함하는 무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데이터측정단계; 및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수축동작단위 및 1 이상의 이완동작단위로 복수의 세부운동구간을 분류하여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사용자의 운동횟수 및 운동무게를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기저장된 사용자의 운동정보, 상기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및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에서 도출된 1 이상의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운동수행능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최대능력을 도출하는 최대능력도출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처방여부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및 상기 운동최대능력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될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처방도출단계; 및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송신하는 운동처방제공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운동수행분석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운동수행분석단계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가 무산소 운동기구를 통해 수행한 운동수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운동처방정보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수행정보에 기초하여 운동분석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사용자의 운동분석정보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분석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각각의 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와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의 차이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세부운동구간을 제외하여, 상기 복수의 세부운동구간 중 일부만을 기준세부운동구간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준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유사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숙련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더 이용하여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화면을 촬영하여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량이미지를 수집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운동량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유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유산소운동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데이터측정단계는,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촬영하여 운동량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운동량 이미지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운동량이미지로부터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에 대한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에 의하여 인식한 텍스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를 포함하는 유산소운동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버시스템 및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신체활동능력에 대한 기설정된 질문세트를 제공하고, 제공한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및 복수의 진단정보카테고리에 대한 각각의 진단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질문답변 및 상기 진단정보에 기초하여 운동처방정보에 대한 제공여부를 판단하는 처방여부판단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반사고정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반사고정핀부의 상부면에 조사된 광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된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운동에 따른 무게추의 운동궤적정보를 포함하는 무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운동데이터측정단계; 및
상기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운동궤적정보에 기초하여 1 이상의 수축동작단위 및 1 이상의 이완동작단위로 복수의 세부운동구간을 분류하여 해당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사용자의 운동횟수 및 운동무게를 포함하는 운동수행능력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기저장된 사용자의 운동정보, 상기 질문세트에 대한 질문답변 및 운동수행능력판별단계에서 도출된 1 이상의 무산소운동기구에 대한 운동수행능력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최대능력을 도출하는 최대능력도출단계;
상기 서버시스템에 의하여, 처방여부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및 상기 운동최대능력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될 1 이상의 운동항목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항목에 대한 운동량정보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도출하는 운동처방도출단계; 및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송신하는 운동처방제공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운동데이터측정단계는,
측정된 상기 거리측정반환신호에 기초하여 거리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되지 않은 제1시간구간의 존재여부 및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는 오류측정반환신호가 측정된 제2시간구간의 존재여부 중 1 이상을 판별하는 오류신호판별단계; 및
상기 오류신호판별단계에서 상기 제1시간구간 및 제2시간구간 중 1 이상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시간구간 및 상기 제2시간구간의 거리측정반환신호를 보완하는 측정신호보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에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운동수행분석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운동수행분석단계는,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버시스템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운동처방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가 무산소 운동기구를 통해 수행한 운동수행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에 상응하는 운동처방정보 및 상기 1 이상의 운동수행정보에 기초하여 운동분석정보를 도출하는 단계;
사용자의 운동분석정보를 상기 서버시스템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분석정보를 도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각각의 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와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궤적의 시간길이의 차이가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 세부운동구간을 제외하여, 상기 복수의 세부운동구간 중 일부만을 기준세부운동구간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기준세부운동구간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과 상기 운동처방정보의 운동궤적정보의 궤적의 유사도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도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숙련도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더 이용하여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는,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화면을 촬영하여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운동량이미지를 수집하는 카메라모듈; 상기 운동량이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유산소운동데이터를 생성하는 유산소운동량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동데이터측정단계는,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유산소 운동기구의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촬영하여 운동량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운동량 이미지를 수신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에 의하여, 상기 전처리를 수행한 운동량이미지로부터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에 대한 텍스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유산소운동량측정부에 의하여 인식한 텍스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시간 및 운동거리를 포함하는 유산소운동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210042190A 2021-02-15 2021-03-31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535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19753 2021-02-15
KR1020210019753 2021-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098A KR20220117098A (ko) 2022-08-23
KR102535943B1 true KR102535943B1 (ko) 2023-05-26

Family

ID=83092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2190A KR102535943B1 (ko) 2021-02-15 2021-03-31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9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876B1 (ko) * 2006-04-21 2007-09-06 최대혁 웨이트 운동 기구의 운동 처방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313B1 (ko) * 2000-09-19 2005-09-09 김양수 맞춤 운동 처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475632B1 (ko) * 2002-02-07 2005-03-10 (주) 지우솔루션 지능형 전문가 시스템을 이용한 지식 기반 운동 처방 방법및 장치
KR101931724B1 (ko) * 2016-06-24 2019-03-20 이민석 헬스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02156626B1 (ko) * 2018-07-16 2020-09-17 주식회사 셀바스에이아이 운동 처방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31974A (ko) * 2019-05-15 2020-11-25 송주희 맞춤형 실시간 운동 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876B1 (ko) * 2006-04-21 2007-09-06 최대혁 웨이트 운동 기구의 운동 처방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098A (ko)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4626B2 (en) Fitness systems and methods
US7931563B2 (en) Virtual trainer system and method
CN106934750B (zh) 一种健身房管理系统
US8612244B2 (en) Method, apparatus and data processor program product capable of enabling administration of a levels-based athleticism development program data
US6746370B1 (en) Method, apparatus and data processor program product capable of enabling administration of a levels-based athleticism development program
US107701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lth management
CN102213957A (zh) 一种提供虚拟私人运动教练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系统
US20210358577A1 (en) Variational auto encoder for mixed data types
Radhakrishnan et al. ERICA: enabling real-time mistake detection & corrective feedback for free-weights exercises
CN113011835A (zh) 一种校园健康数据管理方法及系统
CN116705233A (zh) 一种面向老年群体的运动处方推荐系统
KR20160147297A (ko)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KR20160090113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JP7166663B2 (ja) 健康管理システム
KR102535943B1 (ko)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이용한 운동처방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26196A (ko) 유저 반응형 운동처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동처방 프로그램 제공 방법
KR20100052951A (ko) 일체형 헬스케어 장치
KR20210087165A (ko) 피트니스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모바일 피트니스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6777992A (zh) 体测数据分析管理系统及方法
KR20200055243A (ko) 운동 검사 연동 피트니스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
KR102454758B1 (ko) 운동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69482B1 (ko) 운동 가이드를 제공하는 근력 운동 머신 운동량 분석 및 자동측정 기기
KR102033062B1 (ko) 사물인터넷 플랫폼을 이용한 생활 운동 권장 관리 시스템
EP4147173A1 (en) Variational auto encoder for mixed data types
KR102491536B1 (ko) 무산소 운동량 측정기기 및 유산소 운동량 측정기기를 활용한 운동량 측정관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