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706B1 -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 Google Patents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706B1
KR102535706B1 KR1020200182007A KR20200182007A KR102535706B1 KR 102535706 B1 KR102535706 B1 KR 102535706B1 KR 1020200182007 A KR1020200182007 A KR 1020200182007A KR 20200182007 A KR20200182007 A KR 20200182007A KR 102535706 B1 KR102535706 B1 KR 102535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wearable device
cardiovascular
heart rate
myocar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2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814A (ko
Inventor
김남균
박경준
Original Assignee
김남균
박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1077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31830A/ko
Application filed by 김남균, 박경준 filed Critical 김남균
Priority to KR102020018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70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61B5/0241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using photoplethysmograph signals, e.g. generated by infrared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2Optical stimulation for exciting neural tiss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euro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웨어러블장치에 내장된 심박수측정센서가 측정한 심박수가 비정상적인 범위에 해당되면 웨어러블장치가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접착된 광선조사기를 무선 제어하여 심근과 심장혈관을 이완시키는 가시광선을 조사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광선조사기를 접착하고 심박수측정센서가 내장된 웨어러블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심박수 비정상 시 언제 어디서나 간단하고 편리하게 심근과 심장혈관을 이완시키는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시킴으로써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Apparatus for relaxing heart muscle and heart artery}
본 발명은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심근과 심혈관을 이완시키는 광선을 조사하는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 각 부분이 그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산소와 영양의 공급이 혈관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온몸 구석구석까지 혈류를 공급하는 펌프의 역할을 하는 심장도 역시 관상동맥이라는 혈관을 통해 필요한 산소와 영양을 공급받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심장근육은 단 한 순간도 쉬지 않고 수축과 이완을 통해 피를 전신으로 공급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심장근육과 심혈관의 수축이완 기능이 정상적으로 잘 작동하도록 평소에 적당한 운동과 심신의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 길이다.
협심증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좁아져서 심장에 필요한 만큼의 혈액이 전달되지 못함에 따라 심장 세포가 충분한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여 발생한다.
심근경색은 심장에 혈액 공급이 중단되면서 심장 세포와 조직, 근육이 죽는 질환으로 돌연사의 가장 큰 원인이 된다.
따라서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과 같은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지 않기 위해서는 심근이나 심혈관을 잘 이완시켜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공급을 활발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심근이나 심혈관을 이완시키는 방법으로는 약물요법과 수술요법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한 약물요법에 사용되는 질산염제제, 베타차단제, 칼슘길항제와 같은 약물들이 있지만 이들 약물은 두통, 저혈압증상, 심부전, 피로감, 발기불능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 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수술요법으로는 경피 경관 관동맥 성형술과 관동맥 우회로 성형술이 있지만 혈전이나 심부전과 같은 부작용 등이 있다.
KR 10-2009-0077535 A KR 10-1231421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러블장치에 내장된 심박수측정센서가 측정한 심박수가 비정상적인 범위에 해당되면 웨어러블장치가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접착된 광선조사기를 무선 제어하여 심근과 심장혈관을 이완시키는 가시광선을 조사하게 하는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는, 케이스의 저면에 형성된 투과창을 통해 광선을 방출하여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할 수 있는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조사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에 광원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판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는 광선조사기;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광원의 구동을 제어도록 상기 제어부와 무선통신하고,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밀착 혹은 부착 또는 접착된 상태에서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심박수측정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심박수측정센서가 측정한 심박수를 저장 및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고, 분석된 심박수가 비정상적인 범위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선조사기로 광선조사신호를 무선 전송하여 상기 광원에서 발생한 광선이 상기 투과창을 통해 정해진 시간 동안 방출되게 하고 정해진 시간이 종료되면 광선 방출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웨어러블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분리 및 결합하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부분에는 방수 밀봉 링이 개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하부케이스와 피부에 접착되는 양면접착테이프나 상기 케이스 전체를 덮어 피부에 접착되도록 일면에만 점착제가 도포된 방수용 접착필름에 의해 피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 OLED(Organic LED), micro LED 중 어느 하나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하거나, LED, OLED(Organic LED), micro LED 중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의 구동 제어용 제어회로와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및 상기 웨어러블장치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광선조사기가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할 수 있는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접착된 상태에서, 400 나노미터 내지 800 나노미터 파장대역의 가시광선으로 해당 가슴의 정해진 부위의 피부표면 아래에 있는 표피(epidermis)층이나 진피(dermis)층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말단(nerve endings)을 정해진 시간동안 자극함으로써 그 자극받은 신경말단과 신경계로 연결된 질소 활성 신경말단(nitrergic nerve terminals)에서 일산화질소(nitric oxide)를 분비토록 유도하여 그 분비된 일산화질소로 질소 활성 신경말단과 접하고 있는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광선조사기가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할 수 있는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접착된 상태에서, 400 나노미터 내지 800 나노미터 파장대역의 가시광선으로 해당 가슴의 정해진 부위의 피부표면 아래에 있는 심근세포 또는 심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s)를 직접 정해진 시간동안 자극함으로써 심근세포 또는 심혈관 내피세포에서 cAMP 또는 일산화질소(nitric oxide)를 분비토록 유도하여 그 분비된 cAMP 또는 일산화질소로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장치는 상기 광선조사기에 내장된 배터리 잔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장치는 광량측정방식 또는 진동측정방식 또는 소리측정방식 또는 가속도측정방식 또는 전기측정방식 중 어느 하나로 된 심박수측정센서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장치는 심박수측정센서가 내장된 스마트워치(smartwatch) 형태 또는 스마트밴드(smartband) 형태 또는 인체 접착형 웨어러블 패치 형태 또는 손가락에 끼우는 반지나 골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선조사기와 상기 웨어러블장치는 저전력 무선통신 방식 중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방식 혹은 LoRa(Long Range and low power)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 혹은 이 둘의 조합으로 무선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광선조사기를 접착하고 심박수측정센서가 내장된 웨어러블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심박수 비정상 시 언제 어디서나 간단하고 편리하게 심근과 심장혈관을 이완시키는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시킴으로써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를 나타낸 실시예.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광선조사기의 분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광선조사기가 가슴 부위에 접착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4는 도 3에 나타낸 광선조사기의 접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5는 도 3에 나타낸 광선조사기의 접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웨어러블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기술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100)는 광선조사기(110)와 웨어러블장치(120)로 구성된다.
상기 광선조사기(110)는 케이스(111)의 저면에 형성된 투과창(112)을 통해 광선을 방출하여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할 수 있는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조사하고, 상기 케이스(111) 내부에 광원(11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4)를 포함하는 기판(115)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6)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1)는 분리 및 결합하는 상부케이스(111a)와 하부케이스(111b)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1a)와 하부케이스(111b)의 결합부분에는 방수 밀봉 링(111c)이 개재한다.
상기 하부케이스(111b)의 저면에는 상기한 투과창(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11)는 하부케이스(111b)와 피부에 접착되는 양면접착테이프(130)(도 4 참조)나 상기 케이스(111) 전체를 덮어 피부에 접착되도록 일면에만 점착제가 도포된 방수용 접착필름(140)(도 5 참조)에 의해 피부에 접착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수용 접착필름(140)으로 기 케이스(111) 전체를 덮어 피부에 접착하면 사용자가 해수욕장이나 실내 수영장, 목욕탕 등지에서도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1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원(113)은 LED, OLED(Organic LED), micro LED 중 어느 하나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하거나, LED, OLED(Organic LED), micro LED 중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광원(113)의 구동 제어용 제어회로와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및 상기 웨어러블장치(120)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장치(예컨대, 무선송수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14)는 광선조사기(110)가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할 수 있는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접착된 상태에서, 400 나노미터 내지 800 나노미터 파장대역의 가시광선으로 해당 가슴의 정해진 부위의 피부표면 아래에 있는 표피(epidermis)층이나 진피(dermis)층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말단(nerve endings)을 정해진 시간동안 자극함으로써 그 자극받은 신경말단과 신경계로 연결된 질소 활성 신경말단(nitrergic nerve terminals)에서 일산화질소(nitric oxide)를 분비토록 유도하여 그 분비된 일산화질소로 질소 활성 신경말단과 접하고 있는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시킨다.
상기 제어부(114)는 광선조사기(110)가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할 수 있는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접착된 상태에서, 400 나노미터 내지 800 나노미터 파장대역의 가시광선으로 해당 가슴의 정해진 부위의 피부표면 아래에 있는 심근세포 또는 심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s)를 직접 정해진 시간동안 자극함으로써 심근세포 또는 심혈관 내피세포에서 cAMP 또는 일산화질소(nitric oxide)를 분비토록 유도하여 그 분비된 cAMP 또는 일산화질소로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시킨다.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상기 제어부(114)가 상기 광원(113)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부(114)와 무선통신하고,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밀착 혹은 부착 또는 접착된 상태에서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심박수측정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심박수측정센서가 측정한 심박수를 저장 및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고, 분석된 심박수가 비정상적인 범위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선조사기(110)로 광선조사신호를 무선 전송하여 상기 광원(113)에서 발생한 광선이 상기 투과창(112)을 통해 정해진 시간 동안 방출되게 하고 정해진 시간이 종료되면 광선 방출이 종료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상기 광선조사기(110)에 내장된 배터리 잔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내장한다.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광량측정방식 또는 진동측정방식 또는 소리측정방식 또는 가속도측정방식 또는 전기측정방식 중 어느 하나로 된 심박수측정센서를 내장한다.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심박수측정센서가 내장된 스마트워치(smartwatch) 형태 또는 스마트밴드(smartband) 형태 또는 인체 접착형 웨어러블 패치 형태 또는 손가락에 끼우는 반지나 골무 형태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어러블장치(120)가 인체 접착형 웨어러블 패치 형태인 경우는 상기 광선조사기(110)가 상기 웨어러블장치(120)안에 내장될 수도 있고, 그러한 경우는 상기 광선조사기(110)에서 무선통신장치를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장치(120)와 상기 광선조사기(110)가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장치(120)안에 상기 광선조사기(110)가 내장되는 경우는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와치를 이용하여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나 상기 광선조사기(110)를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상기 광선조사기(110)와 저전력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방식 혹은 LoRa(Long Range and low power)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 혹은 이 둘의 조합으로 무선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웨어러블장치(120)의 작동 과정(S100)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광선조사기(110)를 접착하고 심박수측정센서가 내장된 웨어러블장치(120)를 사용하기 시작하면,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먼저 상기 광선조사기(110)에 내장된 배터리 잔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상기 광선조사기(110)에 내장된 배터리 잔량을 파악한다(S110).
이때, 파악된 상기 광선조사기(110)의 내장 배터리 잔량은 웨어러블장치(120)의 표시장치에 그림이나 문자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만약, 상기 광선조사기(110)의 내장 배터리 잔량이 정해진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표시장치에 그림이나 문자로 상기 광선조사기(110)의 내장 배터리(116) 교체 경보를 표시하거나, 상기 웨어러블장치(120)의 스피커를 통해 상기 광선조사기(110)의 내장 배터리(116) 교체 경보를 음성메시지로 안내한다.
이와 달리, 상기 광선조사기(110)의 내장 배터리 잔량이 정해진 기준값 미만인 경우,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내장된 심박수측정센서가 측정한 심박수를 저장한다(S120).
이어서,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측정한 심박수를 사용자의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예방을 위해 미리 정한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고, 분석된 심박수가 비정상적인 범위에 해당되는지 판단한다(S130).
만약, 분석된 심박수가 정상적인 범위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상기한 S110 과정으로 리턴한 후 사용자가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광선조사기(110)를 접착하고 심박수측정센서가 내장된 웨어러블장치(120)를 사용하는 동안 상기한 S120 과정 내지 S130 과정을 반복한다.
만약, 상기한 S130 과정에서 분석된 심박수가 비정상적인 범위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상기 광선조사기(110)로 광선조사신호를 무선 전송하여 상기 광원(113)에서 발생한 광선이 상기 투과창(112)을 통해 정해진 시간 동안 방출되게 하고 정해진 시간이 종료되면 광선 방출이 종료되도록 제어한다(S140).
또한, 이때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미리 지정된 의료기관에 사용자의 상태를 문자푸시알림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심장 질환 발병 시의 골든타임(예컨대, 3시간)을 놓치지 않고 심박수가 비정상 범위에 해당하여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으로 의심되는 사용자에 대한 의료 조치가 시의적절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광선조사기(110)를 접착하고 심박수측정센서가 내장된 웨어러블장치(120)를 사용하는 동안 심박수 비정상 시 언제 어디서나 간단하고 편리하게 심근과 심장혈관을 이완시키는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시킴으로써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을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100: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110: 광선조사기
111: 케이스 112: 투과창
113: 광원 114: 제어부
115: 기판 116: 배터리
111a: 상부케이스 111b: 하부케이스
111c: 방수 밀봉 링 120: 웨어러블장치
130: 양면접착테이프 140: 방수용 접착필름

Claims (12)

  1. 케이스(111)의 저면에 형성된 투과창(112)을 통해 광선을 방출하여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함으로써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을 치료할 수 있는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조사하고, 웨어러블장치(120)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케이스(111) 내부에 광원(11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4)를 포함하는 기판(115)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16)가 장착되어 있는 광선조사기(110); 및 상기 제어부(114)가 상기 광원(113)의 구동을 제어도록 상기 제어부(114)와 무선통신하고,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신체의 정해진 부위에 밀착 혹은 부착 또는 접착된 상태에서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는 심박수측정센서를 내장하고 상기 심박수측정센서가 측정한 심박수를 저장 및 기준값과 비교 분석하고, 분석된 심박수가 비정상적인 범위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선조사기(110)로 광선조사신호를 무선 전송하여 상기 광원(113)에서 발생한 광선이 상기 투과창(112)을 통해 정해진 시간 동안 방출되게 하고 정해진 시간이 종료되면 광선 방출이 종료되도록 제어하는 웨어러블장치(120);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14)는 광선조사기(110)가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할 수 있는 가슴의 정해진 부위에 접착된 상태에서, 400 나노미터 내지 800 나노미터 파장대역의 가시광선으로 해당 가슴의 정해진 부위의 피부표면 아래에 있는 표피(epidermis)층이나 진피(dermis)층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말단(nerve endings)을 정해진 시간동안 자극함으로써 그 자극받은 신경말단과 신경계로 연결된 질소 활성 신경말단(nitrergic nerve terminals)에서 일산화질소(nitric oxide)를 분비토록 유도하여 그 분비된 일산화질소로 질소 활성 신경말단과 접하고 있는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시키거나, 400 나노미터 내지 800 나노미터 파장대역의 가시광선으로 해당 가슴의 정해진 부위의 피부표면 아래에 있는 심근세포 또는 심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s)를 직접 정해진 시간동안 자극함으로써 심근세포 또는 심혈관 내피세포에서 cAMP 또는 일산화질소(nitric oxide)를 분비토록 유도하여 그 분비된 cAMP 또는 일산화질소로 심근 또는 심혈관을 이완시키고,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는 상기 광선조사기(110)에 내장된 배터리 잔량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응용프로그램이 내장된 것으로, 광량측정방식 또는 진동측정방식 또는 소리측정방식 또는 가속도측정방식 또는 전기측정방식 중 어느 하나로 된 심박수측정센서가 내장된 스마트워치(smartwatch) 형태 또는 스마트밴드(smartband) 형태 또는 인체 접착형 웨어러블 패치 형태 또는 손가락에 끼우는 반지나 골무 형태이고, 인체 접착형 웨어러블 패치 형태인 경우는 상기 광선조사기(110)가 상기 웨어러블장치(120)안에 내장되어 상기 웨어러블장치(120)와 상기 광선조사기(110)를 상기 웨어러블장치(120)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스마트와치로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11)는 분리 및 결합하는 상부케이스(111a)와 하부케이스(111b)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11a)와 하부케이스(111b)의 결합부분에는 방수 밀봉 링(111c)이 개재하는 것으로, 하부케이스(111b)와 피부에 접착되는 양면접착테이프(130)나 상기 케이스(111) 전체를 덮어 피부에 접착되도록 일면에만 점착제가 도포된 방수용 접착필름(140)에 의해 피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113)은 LED, OLED(Organic LED), micro LED 중 어느 하나를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하거나, LED, OLED(Organic LED), micro LED 중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광원(113)의 구동 제어용 제어회로와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및 상기 웨어러블장치(120)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선조사기(110)와 상기 웨어러블장치(12O)는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방식 혹은 LoRa(Long Range and low power) 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 혹은 이 둘의 조합으로 무선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00182007A 2018-09-17 2020-12-23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KR102535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2007A KR102535706B1 (ko) 2018-09-17 2020-12-23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771A KR20200031830A (ko) 2018-09-17 2018-09-17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KR1020200182007A KR102535706B1 (ko) 2018-09-17 2020-12-23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771A Division KR20200031830A (ko) 2018-09-17 2018-09-17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814A KR20200145814A (ko) 2020-12-30
KR102535706B1 true KR102535706B1 (ko) 2023-05-24

Family

ID=8654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2007A KR102535706B1 (ko) 2018-09-17 2020-12-23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215B1 (ko) * 2021-04-12 2021-10-27 (주)이지템 가상 심박동 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457B1 (ko) * 2011-01-10 2012-06-18 주식회사 칼라세븐 인체의 평활근 이완장치
KR101349680B1 (ko) * 2012-09-06 2014-01-1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부착형 치료 장치
KR101557701B1 (ko) 2013-12-16 2015-10-06 주식회사 칼라세븐 기도와 기관지 이완장치
KR101885678B1 (ko) * 2018-02-21 2018-08-06 주식회사 칼라세븐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의 축적 억제용 광선조사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535A (ko) 2008-01-11 2009-07-1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심혈관계 질환 진단장치
KR101225135B1 (ko) * 2011-06-13 2013-01-22 주식회사 칼라세븐 충전식 색광 치료용 패치
KR101231421B1 (ko) 2011-08-18 2013-02-07 김경식 비 침습에 의한 심혈관질환에 대한 건강검진 시스템
KR101642839B1 (ko) * 2014-10-06 2016-07-27 주식회사 칼라세븐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팜스 기술기반의 피부접착식 저출력광선조사기 시스템
KR20160054423A (ko) *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칼라세븐 Cox-2효소를 억제하는 피부접착식 광선 조사 전극
KR101788132B1 (ko) * 2016-03-30 2017-10-20 에인에이 (주)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457B1 (ko) * 2011-01-10 2012-06-18 주식회사 칼라세븐 인체의 평활근 이완장치
KR101349680B1 (ko) * 2012-09-06 2014-01-1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부착형 치료 장치
KR101557701B1 (ko) 2013-12-16 2015-10-06 주식회사 칼라세븐 기도와 기관지 이완장치
KR101885678B1 (ko) * 2018-02-21 2018-08-06 주식회사 칼라세븐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의 축적 억제용 광선조사 제어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Rong Zhang외 9명. Near infrared light protects cardiomyocytes from hypoxia and reoxygenation injury by a nitric oxide dependent mechanism, Journal of Molecular and Cellular Cardiology. 2009 Janua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814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3346B1 (en) Multi-mode microcurrent stimulus system with safety circuitry and related methods
WO2005007236A3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antable pulse generator with multiple treatment protocols
US20050070977A1 (en) Light and magnetic emitting mask
US20130204169A1 (en) Pain Management Device and System
DE602005023886D1 (de) Ikels beim pumpen von blut
AT510679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physikalischen stimulation von menschlichem gewebe
WO2004096343A9 (en) Light and magnetic emitting mask
DE60313559D1 (de) Gerät zur Behandlung von Herzversagen
IL174573A0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xtra-systolic stimulation (ess) therapy using ischemia detection
DE602004001682D1 (de) Defibrillatoren angepasst an vorgesehene patienten
CN105073190A (zh) 医疗设备、系统及方法
KR102535706B1 (ko)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EP1340521A3 (en) Medical light therapy apparatus
KR20220077129A (ko) 의료 치료 장치
KR102169133B1 (ko) 수면 유도 장치
KR20190101633A (ko) 펄스 자기장을 이용한 미주신경 자극 방법 및 장치
KR20200031830A (ko)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CN109939328B (zh) 睡眠调节方法及设备
CN109475732A (zh) 用于自动化补偿针对诸如昼夜节律之类的时间波动的经皮电神经刺激的装置和方法
JP3192362U (ja) 針灸モジュール
KR101642839B1 (ko)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한 팜스 기술기반의 피부접착식 저출력광선조사기 시스템
KR20210023919A (ko) 뇌를 자극하기 위한 자기장 자극기를 장착한 마사지 장치 및 방법
JP2023528392A (ja) 生体組織における異物反応の光ベースの調節の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関連する方法
KR102241384B1 (ko) 수면유도장치 및 상기 장치를 이용한 수면유도방법
Thomas et al. Subthreshold vestibular reflex effects in seated humans can contribute to soleus activation when combined with cutaneous inpu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