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132B1 -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132B1
KR101788132B1 KR1020160038117A KR20160038117A KR101788132B1 KR 101788132 B1 KR101788132 B1 KR 101788132B1 KR 1020160038117 A KR1020160038117 A KR 1020160038117A KR 20160038117 A KR20160038117 A KR 20160038117A KR 101788132 B1 KR101788132 B1 KR 101788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tress
user
heart rate
col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3950A (ko
Inventor
유상원
채석현
Original Assignee
에인에이 (주)
주식회사 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인에이 (주), 주식회사 유시스 filed Critical 에인에이 (주)
Priority to KR1020160038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13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3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3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2005/0627Dose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사용자의 활동 상태나 심리 상태에 따라 조도 및 색온도에 변화를 주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빛을 제공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스트레스 자극에 대하여 변화하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광혈류측정 센서로 검출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이 탑재되며, 미리 설정된 심장박동수에 따른 스트레스 지수들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광혈류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스트레스 지수에 대응하는 값을 출력하는 판단부와, 복수의 점등신호가 저장되며, 상기 판단부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점등신호 중 하나의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점등신호 생성부를 갖는 스마트 단말기; 상기 점등신호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하나의 점등신호에 응답하여, 설정된 조도 및 색온도로 점등되는 복수의 LED 조명 기구;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복수의 LED 조명 기구 상호 간을 무선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그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MULTIMODAL EMOTION RECOGNITION BASED AUTONOMOUS SMART LIGHT CARE SYSTEM}
본 발명은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활동 상태나 심리 상태에 따라 조도 및 색온도에 변화를 주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빛을 제공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빛 치유(Light Care)는 붉은 색이 자율신경계의 교감 신경을 촉진하고, 푸른색은 부교감 신경을 촉진한다는 연구가 발표되어 빛이 생화학적인 시스템에 작용하여 치료 효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때, 교감 신경은 뇌파의 0.04 ~ 0.15Hz 대역의 저주파 영역에 해당하며, 육체적인 피로, 체내 에너지소실, 수면부족, 무기력 등과 같이 긴장하거나 흥분한 상태에서 높게 표시된다.
그리고, 부교감 신경은 뇌파의 0.16 ~ 0.4Hz 대역의 고주파 영역에 해당하며, 정신적 및 심리적 피로도, 노화만성 스트레스 등과 같이 분노, 근심, 공포 상태에서 낮게 표시된다.
이러한 빛 치유는 단순히 분위기를 좋아지게 하는 빛에서,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빛과 그 에너지는 눈의 망막에 있는 1억개 이상의 광수용체와 시신경을 통하여 시각중추, 송과선, 시상하부로 전달되며 뇌 호르몬과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에 영향을 미친다.
표 1은 대표적인 7가지 빛의 색에 대한 빛 치유 효과를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16030418007-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밝은 빛은 희망, 환희, 쾌적, 안락 그리고 경쾌한 감정을 일으키며, 어두운 빛은 우울, 불안, 초조, 공포 그리고 침울한 감정이 생기게 한다. 이때, 적색은 심장의 박동을 빠르게 하고, 녹색은 심장의 박동을 느리게 하는데, 이것이 이른바 색채가 가진 생리적인 효과이다. 또한, 녹색은 평온, 적색은 정열, 청색은 안정감을 주는 심리적인 효과를 갖는다.
이때, 스트레스는 감정적이고 심리적인 영역에서 일어나는 현상이지만 신체적인 영역에 영향을 미친다.
현대인의 질환은 70% 이상이 스트레스와 관련되어 발생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또한, 위궤양과 관련된 70%가 스트레스에 의한 것이며, 알코올 중독, 알레르기, 편도염, 불안, 부정맥, 관절염, 기관지염, 카페인 중독, 대장염(colitis), 우울증, 설사, 약물과용, 난독증(Dyslexia), 피로, 통풍(Gout), 두통, 자세불량, 정신분열 등으로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환들을 제시하며 스트레스 케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과도한 스트레스를 방치하면 우리 몸의 모든 기관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관련된 모든 질병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차원에서의 스트레스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생체리듬에 맞추어진 인간중심의 빛 치유 컨텐츠(Light Care contents)는 뇌파에 전달하는 빛의 미세한 파장과 조명 색, 조도 등을 통해 인간의 스트레스를 완화시킬 수 있다.
스트레스에 대한 뇌파와의 연관성 연구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색에서 알파파의 저하된 평균수치가 크게 나타나고 녹색과 청색에서 알파파의 상승된 평균수치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외의 스마트 조명기술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용자의 생체와 주변상태의 인지를 통한 빛 치유 컨텐츠(Light Care Contents)로서의 기능은 없었다. 즉, 종래에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사용자 제어 메뉴제공과 이를 통한 조명 콘트롤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이 주를 이루고 있을 뿐이다.
관련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9157호(2014.01.27. 공고)가 있으며, 상기 문헌에는 LED 광원을 이용한 피부 치료 시스템 및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활동 상태나 심리 상태에 따라 조도 및 색온도에 변화를 주어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빛을 제공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스트레스 자극에 대하여 변화하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광혈류측정 센서로 검출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으로 상기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의 광혈류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미세심박변화율을 분석하여 스트레스 정도와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지수화한 후, 기준 스트레스 지수와 비교 판별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에 부합하는 점등 신호를 생성하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기; 상기 점등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에 부합하도록 설정된 조도 및 색온도로 점등되는 복수의 LED 조명 기구;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복수의 LED 조명 기구 상호 간을 무선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그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된 광혈류측정 센서를 통하여 미세심박변화율(Heart Rate Variability : HRV)을 분석하여 빛 치유 컨텐츠 정보를 위한 스트레스 정도와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지수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 상태나 심리 상태에 따라 조도 및 색온도를 선택적으로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빛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 치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은 아동발달 및 집중력(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을 개선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 완화뿐만 아니라, 임산부의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안정적 휴식과 이성적 판단 업무에 적합한 차가운 빛 모드를 구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신체적 활력과 감성적 활동에 적합한 따뜻한 빛 모드 구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100)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120), 스마트 단말기(140), 복수의 LED 조명 기구(160) 및 지그비(18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12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스트레스 자극에 대하여 변화하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광혈류측정 센서로 검출한다.
이때, 광혈류측정 센서는 LED 광원을 말초혈관에 조사하여 흡수 및 반사되는 양을 신호로 변환분석하며, 빛의 흡수율은 심장박동 수축기 혈압의 최대기를 이완기 혈압의 최소치로 나타낸다. 이 결과, 심박출의 세기와 혈관 탄성도, 잔혈량을 파악할 수 있으며, 누적 스트레스 및 외부환경 저항성 정도를 맥박의 변화로 파악하고 연령대 평균과 비교한 교감 부교감 신경의 이완상태 및 자율신경의 균형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스트레스 지수는 광혈류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미세심박변화율을 분석하여 나타내게 된다.
즉,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120)에 내장된 광혈류측정 센서를 통하여 미세심박변화율(Heart Rate Variability : 이하 HRV라 약칭함.)을 분석하여 빛 치유 컨텐츠 정보를 위한 스트레스 정도와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지수화하게 된다.
이때, HRV는 박동과 박동 사이에 존재하는 미세한 변화로부터 자율신경의 활동을 분석하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광혈류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광혈류 측정 신호의 PPI(Peak to Peak Interval)는 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간격으로 스트레스 상태에서는 심장 박동수가 증가하므로 PPI는 감소하고, 이완 상태에서는 심장 박동수가 감소하므로 PPI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스마트 단말기(140)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12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이 탑재된다. 이러한 스마트 단말기(140)는 저장부(142), 판단부(144) 및 점등신호 생성부(146)를 포함한다.
저장부(142)는 미리 설정된 심장박동수에 따른 스트레스 지수들이 저장된다. 이때, 미리 설정된 심장박동수에 따른 스트레스 지수들은 성별 및 연령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18 ~ 25세의 성인 남성의 경우, 70 ~ 73bpm(beats per minute)의 심장박동수는 스트레스 지수 0으로 저장되어 있고, 74 ~ 76bpm의 심장박동수는 스트레스 지수 1로 저장되어 있으며, 67 ~ 69bpm의 심장박동수는 스트레스 지수 -1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달리, 26 ~ 35세의 성인 여성의 경우, 73 ~ 76bpm의 심장박동수는 스트레스 지수 0으로 저장되어 있고, 75 ~ 77bpm의 심장박동수는 스트레스 지수 1로 저장되어 있으며, 70 ~ 72bpm의 심장박동수는 스트레스 지수 -1로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 지수들은 -30 ~ 30으로 61 등급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등급으로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판단부(144)는 광혈류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입력받아 저장부(142)에 저장된 스트레스 지수에 대응하는 값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즉, 판단부(144)는 광혈류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입력받아 저장부(142)에 저장된 스트레스 지수들과 비교 판별하여 사용자의 심장박동수에 해당하는 스트레스 지수에 대응하는 값을 출력하게 된다.
점등신호 생성부(146)는 복수의 점등신호가 저장된다. 이러한 점등신호 생성부(146)는 판단부(144)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응답하여 복수의 점등신호 중 하나의 점등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점등신호는 RGB 광색혼합이론을 적용하여 조도 및 색온도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점등신호는 3,000 ~ 9,000K의 색온도 및 500 ~ 70,000lux의 조도로 LED 조명 기구를 점등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로, 점등신호 생성부는 스트레스 지수가 0일 경우에는 5,000K의 색온도 및 1,000lux의 조도로 LED 조명 기구를 점등하도록 설정된 제1 점등신호가 저장되어 있고, 스트레스 지수가 1일 경우에는 5,100K의 색온도 및 1,050lux의 조도로 LED 조명 기구를 점등하도록 설정된 제2 점등신호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복수의 LED 조명 기구(160)는 점등신호 생성부(146)로부터 출력되는 하나의 점등신호에 응답하여, 설정된 조도 및 색온도로 점등된다. 이때, 복수의 LED 조명 기구(160)는 천장 고정형, 벽면 반사형, 스탠드형 및 스트립형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실내에 설치된다.
지그비(180, Zigbee)는 스마트 단말기(140)와 복수의 LED 조명 기구(160) 상호 간을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그비(180)는 2400 ~ 2483.5MHz 대역의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뇌의 심장혈관 중추는 신체활동에 따른 변화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자극에 따라 교감 신경, 부교감 신경 및 호르몬을 통하여 심장 박동수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스트레스 상태에서는 교감 신경이 흥분하고, 이완 상태에서는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되어 심장 박동수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스트레스 상태에서는 증가된 심장 박동수로 인하여 PPG 신호의 PPI가 감소하고, 이완 상태에서는 심장 박동수가 감소하므로 PPI가 증가한다.
따라서, 심장 박동수의 변화에 따라 검출되는 PPI의 변화를 바탕으로 스트레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트레스 자극에 대하여 변화하는 심장 박동수를 PPG 센서로 검출하고, 적절한 신호처리로 심장 박동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표 2는 HRV 신호의 FFT 주파수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2]
Figure 112016030418007-pat00002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HRV 신호의 분석 방법과 표준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HRV 신호의 FFT 주파수 분석을 통해 저주파(LF)와 고주파(HF)로 나누어 지수화할 수 있다.
한편, 스트레스 여부를 판단하는 알고리즘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신호잡음 제거를 위한 효과적인 신호처리 방안과 동작잡음을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잡음제거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PPG 신호의 샘플링 주기나 이동평균 필터의 윈도우 크기의 설정 또한 PPG 신호의 활성주파수 대역 분석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PPI나 활성주파수 대역을 분석하기 전에 PPG 신호에 대한 효과적인 신호처리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PPG 신호는 심장박동신호와 함께 검출되는 피실험자의 측정환경에 따른 동작잡음 고려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휴식기에 성인의 평균 심장박동은 70bpm(beats per minute)이지만 심장박동의 정상적인 범위는 광범위하다. 즉, 휴식상태에서 운동선수는 심장 박동수를 50bpm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반면, 흥분해 있거나 근심이 쌓여 있을 때 심장박동은 125bpm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할 수 있으므로, 피실험자 테스트를 통해 스트레스 지수의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적절하다.
한편, 도 3은 안정적 휴식과 이성적 판단 업무에 적합한 차가운 빛 모드를 구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신체적 활력과 감성적 활동에 적합한 따뜻한 빛 모드 구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는 안정적 휴식과 이성적 판단 업무에 적합한 차가운 빛을, 그리고 도 4에는 신체적 활력과 감성적 활동에 적합한 따뜻한 빛을 점등한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사용자의 활동 상태나 심리 상태에 따라 조도 및 색온도에 변화를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빛이 조명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 결과, 태양 빛과 함께 자연의 리듬에 가까운 빛을 제공하여 스트레스 치유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표 3은 사용자의 주변상황인지에 따라 PPG를 통한 HRV 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요소를 융합하여 레벨화 및 지수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표 3]
Figure 112016030418007-pat00003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주변상황인지에 따라 PPG를 통한 HRV 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요소를 융합하여 레벨화 및 지수화하게 된다. 즉, 앞서 확보된 사용자의 심박 센싱(PPG)을 통한 HRV 분석 스트레스 센싱 지수를 사용자 주변의 온도 및 습도에 따른 요소지수를 융합하여 레벨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색온도 및 CMS(color management system) 제어는 RGB 광색혼합이론을 적용하여 색온도 알고리즘을 설계 적용하게 된다. 즉, RGB에 대한 자극치 X, Y, Z 함수를 이용하여 색도좌표 x, y값으로 표현하게 된다.
RGB LED의 색도좌표(x,y) 및 휘도계수(Y)가 정해지면 이로부터 혼합광에 대한 색도좌표를 가법혼색이론을 적용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광색의 LED를 일정한 듀티비(duty ratio) Ti(i=r,g,b)로서 디밍하고, 듀티비로 광색을 제어하게 된다.
표 4는 날씨에 따른 색온도 및 외부 조도에 대한 기본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표 4]
Figure 112016030418007-pat00004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 치유 컨텐츠 정보는 주변조도(낮의 햇빛, 실내 타 조명 등)에 대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우선 조도의 변화조건을 동일하게 한 이후 색의 변화에 따른 조정제어가 필요하다.
즉, 기온이 영상 아래로 내려가거나 비가 오면 조도를 높이거나, 파란색 계열의 빛 치유 컨텐츠 정보를 제시하는 등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서의 외부조도와 날씨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은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에 내장된 광혈류측정 센서를 통하여 미세심박변화율(Heart Rate Variability : HRV)을 분석하여 빛 치유 컨텐츠 정보를 위한 스트레스 정도와 신체적 및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지수화함으로써, 사용자의 활동 상태나 심리 상태에 따라 조도 및 색온도를 선택적으로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빛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 치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은 아동발달 및 집중력(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을 개선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 완화뿐만 아니라, 임산부의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기술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빛 치유 시스템 120 :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140 : 스마트 단말기 142 : 저장부
144 : 판단부 146 : 점등신호 생성부
160 : LED 조명 기구 180 : 지그비

Claims (3)

  1.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스트레스 자극에 대하여 변화하는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광혈류측정 센서로 검출하는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이 탑재되며, 미리 설정된 심장박동수에 따른 스트레스 지수들이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광혈류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심장박동수를 입력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스트레스 지수에 대응하는 값을 출력하는 판단부와, 복수의 점등신호가 저장되며, 상기 판단부로부터 출력되는 값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점등신호 중 하나의 점등신호를 생성하는 점등신호 생성부를 갖는 스마트 단말기;
    상기 점등신호 생성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하나의 점등신호에 응답하여, 설정된 조도 및 색온도로 점등되는 복수의 LED 조명 기구;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와 복수의 LED 조명 기구 상호 간을 무선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그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점등신호는 3,000 ~ 9,000K의 색온도 및 500 ~ 70,000lux의 조도로 상기 복수의 LED 조명 기구를 점등하도록 설정되되, 상기 스트레스 지수들에 따라 상기 색온도 및 조도가 변화되며,
    상기 광혈류측정 센서는 LED 광원을 말초혈관에 조사하여 흡수 및 반사되는 양을 신호로 변환분석하며, 빛의 흡수율은 심장박동 수축기 혈압의 최대기를 이완기 혈압의 최소치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LED 조명 기구는 천장 고정형, 벽면 반사형, 스탠드형 및 스트립형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실내에 설치되고,
    상기 지그비는 2400 ~ 2483.5MHz 대역의 주파수 영역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KR1020160038117A 2016-03-30 2016-03-30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KR101788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17A KR101788132B1 (ko) 2016-03-30 2016-03-30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117A KR101788132B1 (ko) 2016-03-30 2016-03-30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50A KR20170113950A (ko) 2017-10-13
KR101788132B1 true KR101788132B1 (ko) 2017-10-20

Family

ID=6013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117A KR101788132B1 (ko) 2016-03-30 2016-03-30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706B1 (ko) * 2018-09-17 2023-05-24 김남균 심근과 심혈관 이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604B1 (ko) * 2013-09-30 2015-03-17 길영준 착용형 실시간 혈압 추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604B1 (ko) * 2013-09-30 2015-03-17 길영준 착용형 실시간 혈압 추정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3950A (ko) 201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5921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RU2468838C2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стимуляции
EP2164568B1 (en) System for providing illumination and physiological stimuli
JP6559910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及び被験者の皮膚電位を決定する方法
KR101788133B1 (ko) 스트레스 해소와 업무 및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US20070118026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lighting control,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2100299B1 (ko) 상호작용형 스마트 홈케어 조명 제어방법
US20220395186A1 (en) Apparatus for, method of,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having program of displaying biological information
CN104121515A (zh) 调节睡眠的灯具及方法
CN105212945A (zh) 一种使用生命体征监护手环针对高原反应的健康分析方法
CN204233134U (zh) 一种反射式血氧饱和度测量探头
TW201941216A (zh) 光照護系統以及光照護方法
Hu et al. Research on the light comfort characterization method based on visual evoked potential energy
KR101788132B1 (ko)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US11197975B2 (en) Light health care system and light health care method
CN203289685U (zh) 一种具有生理节律调节功能的led照明系统
KR101455008B1 (ko) 감성 조명 시스템
KR20120017873A (ko) 바이오피드백에 의한 조명제어 장치
JP6580353B2 (ja) 照明付き建物
Varkevisser et al. Nonvisual effects of led coloured ambient lighting on well-being and cardiac reactivity: preliminary findings
CN108495421A (zh) 一种基于脑血氧参数的色温调节照明系统
Shriram et al. Application of high & low brightness LEDs to human tissue to capture photoplethysmogram at a finger tip
CN109538951A (zh) 一种由红外led补充红外光的led照明灯具设计方法
JP2003031379A (ja) 照明制御方法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20120040097A (ko) 컬러 테라피 시스템을 이용한 색조명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