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008B1 - 감성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성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008B1
KR101455008B1 KR1020130123162A KR20130123162A KR101455008B1 KR 101455008 B1 KR101455008 B1 KR 101455008B1 KR 1020130123162 A KR1020130123162 A KR 1020130123162A KR 20130123162 A KR20130123162 A KR 20130123162A KR 101455008 B1 KR101455008 B1 KR 10145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real time
user
uni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한
Original Assignee
박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한 filed Critical 박재한
Priority to KR1020130123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성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두엽 영역의 혈관 내의 혈중 산소농도와 혈압과 맥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생체 데이터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에 의해 측정한 사용자 감성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체의 감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감성판단부; 및 상기 감성판단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분석된 사용자 감성 상태값을 기초로 하여, 조명등의 색온도 및 조도가 선형적으로 디밍(dimming)되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감성 조명 시스템{SENSITIVE ILLUMINATION SYSTEM}
본 발명은, 감성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혈관 내의 혈중 산소농도와 혈압과 맥파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분석하고,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하여, 적합한 환경으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유도 및 안정시키도록 조명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감성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빠르고 복잡 다변하는 일들을 집중적이고 능률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개인의 잠재된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는 인위적인 환경 조성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중 개인의 감성 상태를 조절해주는 요인 중 임상학적으로 증명되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조명 산업이 급속히 확대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조명 산업의 일 분야로서 감성 조명이 알려져 있다.
감성 조명이란 빛과 인간 사이의 연관성을 찾아내 역으로 조명에 이용함으로써 인간의 생체리듬과 삶의 질을 높이고, 업무 및 휴식의 효율성을 극대화로 높이는 미래의 최첨단 친환경 조명기술이다.
이에, 감성 조명 시스템은 인간의 감성을 자동 인지하고, 사용 상황에 맞게 감성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 감성에 맞추어 조명을 제어한다.
따라서, 인간의 감정에 의해 표출되는 생리 및 심리적 반응(평온, 피로, 졸음, 스트레스, 기쁨, 슬픔, 행복, 흥분, 초조감, 위험 등의 심리감성)을 인식하여 비관적인 감성을 낙관적으로 전환시켜주며, 또한 집중력을 강화하고, 장시간 피로감과 긴장감을 해소하여 개인의 감성 사태를 최적의 상태로 변화 및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감성 조명 시스템은 사용자가 설정하는 몇 단계의 설정모드에 따라 조도와 색상을 출력하는 단순 기능만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용자의 주변 환경 및 신체적 감정 상태에 최적인 조명선택 판단이 어려웠으며, 사용자의 감성 및 신체 상태를 회복시키기 위한 정밀하고 효과적인 조명의 제어에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08330호(공개일자: 2012.01.30.)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정밀하고 효과적인 조명 제어를 통해, 감성 이완, 집중력 향상 등 사용자의 신체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유도할 수 있는 능동적인 감성 조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두엽 영역의 혈관 내의 혈중 산소농도와 혈압과 맥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생체 데이터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한 사용자 감성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체의 감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감성판단부; 및 상기 감성판단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분석된 사용자 감성 상태값을 기초로 하여, 조명등의 색온도 및 조도가 선형적으로 디밍(dimming)되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감성제어를 실시하는 감성 조명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성판단부에 의해 분석된 평온한 감성 상태값을 데이터 베이스화하며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분석된 감성 상태값을 상기 저장된 평온한 감성 상태값과 비교하여 비집중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조명등을 집중모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감성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의 주변 미세혈관들에서 섞여서 들어오는 신호를 걸러내어, 사용자 감성 상태값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성판단부에 의해 분석된 감성 상태값에 따라 상기 음향 발생부가 음향을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아로마향을 발생하는 향 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성판단부에 의해 분석된 감성 상태값에 따라 상기 향 발생부가 아로마향을 발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 주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정밀하고 효과적인 조명 제어를 하므로써, 감성 이완, 집중력 향상 등 사용자 신체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조명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색온도와 조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크루이토프(Kruithof)곡선도,
도 3은 LED의 색온도 및 연색 지수에 따른 감성평가 도표,
도 4a 내지 도 4c는 LED 조명의 색온도 변화에 따른 뇌의 기본상태분석 도표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조명 시스템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조명 시스템은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SPO2sensor, 10), 감성판단부(20), 제어부(30)를 포함한다.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10)는 전두엽 영역의 미세혈관 내의 혈중 산소농도와 혈압과 맥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생체 데이터를 검출한다.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10)는 송신용 적외선 다이오드에서 파장이 다른 빛을 미세혈관에 발산하여, 혈액의 산소농도에 따라서 빛이 통과되는 비를 수신용 적외선 다이오드에서 측정하여 혈중 산소농도를 측정한다.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10)는 파장 660nm 와 905nm의 크기를 갖는 송수신 적외선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미세혈관(세동맥)에 투과 또는 반사시켜, 미세혈관에 흐르는 혈액의 산소농도에 따라서 적외선이 돌아 나오는 비로 혈중 산소농도를 측정한다. 즉, 미세혈관에 송신용 적외선 다이오드 광원을 혈액에 조사하면, 산소와 많이 결합한 헤모글로빈은 색깔이 밝아서 적외선 다이오드에서 들어오는 광량을 적게 흡수하여 통과 또는 투과시키고, 산소와 적게 결합한 헤모글로빈은 색깔이 검어서 적외선 다이오드에서 들어오는 광량을 많이 흡수하여 통과 또는 투과시키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미세혈관을 통과 또는 반사하여 돌아 나오는 적외선 양으로 혈중 산소농도를 파악하게 된다. 또한, 미세혈관에 흐르는 혈액의 양은 심장이 혈액을 말초혈관으로 보내줄 때(심방이 닫히면서 피를 뿜어줄 때)와 심방이 열려서 혈액을 심방에 저장할 때 차이가 있는데, 이 혈액의 양에 따라 혈액에 조사하여 돌아 나오는 적외선 양도 차이가 있게 되고, 이 주기를 측정하면 맥박과 혈압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10)를 검지 단말 부위 또는 귓볼에 장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지점들은 사지 단말에 위치하여 많이 노출된 미세혈관이므로 기술적으로 측정하기 쉬운 점은 있지만, 이러한 지점의 미세혈관은 실제 뇌의 감정 상태에 따른 즉각적인 반응 영향이 느리므로,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10)는 생체 감정 변화에 따른 즉각적인 신호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전두엽 영역의 미세혈관들 중에서도 감정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뇌혈관으로 가는 미세혈관 중의 하나인 눈썹 위의 이마 부위에 장착되어, 혈관 내의 혈중 산소농도와 혈압과 맥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생체 데이터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성판단부(20)는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10)에 의해 측정한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인체의 감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한편, 뇌혈관 가까운 곳의 미세혈관들 즉, 이마 부위의 미세혈관들은 외피적으로 잘 노출되어 있지 않아 적당한 측정강도를 얻기가 어렵고, 또한 여러 가닥의 미세혈관이 존재하므로 미세혈관들 상호 간에 신호로 인하여 노이즈화 되어, 정형화된 신호인 생체 데이터를 얻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에, 각 분야에서 실시간 신호 측정시 함께 존재하는 하드웨어적 노이즈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제거하는데 응용하여 사용되는 삼점이동평균 필터링과 메디안 필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주변 미세혈관들에서 섞여서 들어오는 신호들을 걸러내는 노이즈 필터링을 실시한다. 이러한 노이즈 필터링에 대한 본 발명에서의 응용 적용원리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미세혈관 부근에는 여러 종류의 미세혈관들이 존재하고 있어서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10)로 혈중 산소농도, 맥박, 혈압을 실제 측정을 하게 되면, 주위의 혈관에서도 반사 또는 투과되어 들어오는 적외선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신호를 걸러주고 원하는 부위의 미세혈관에서 돌아나오는 값만 취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적 필터링 기법으로서 측정 정확도를 높이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원리를 설명하면, 실시간으로 취득된 3번의 신호의 값 중, 중간 값이 앞전의 값과 이후의 값에 비하여 갑자기 커지거나 아주 작아질 경우, 3번의 값들이 증가 추세에 있는데 그 중간 값이 갑자기 작아지거나, 반대로 3번의 값들이 감소 추세에 있는데 그 중간 값이 갑자기 커질 경우, 이 신호는 노이즈라고 판단하여 제거한 후, 첫 번째 값과 세 번째 값을 평균하여 중간 값으로 대신 치환하여 신호를 처리 하는 것이다. 물론, 그 레벨 크기 차이는 기존에 정상적인 신호를 데이터를 기반으로 데이터 베이스화하여 갖고 있으며, 이와 비교하여 그 범주를 벗어날 때 노이즈 판단 여부를 상기와 같이 하게 된다.
따라서, 감성판단부(20)는 혈중 산소 포화도센서(10)의 주변 미세혈관들에서 섞여서 들어오는 신호(생체 데이터)들을 걸러내어, 사용자 감성 상태값을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제어부(30)는 감성판단부(20)에 의해 실시간으로 분석된 감성 상태값을 기초로 하여, 조명등(40)의 색온도 및 조도가 선형적으로 디밍(dimming)되도록 조명등(40)을 제어한다.
제어부(30)는 감성판단부(20)에 의해 분석된 평온한 감성 상태값을 데이터 베이스화하며 저장하고, 또한 제어부(30)는 실시간으로 분석된 감성 상태값을 저장된 평온한 감성 상태값과 비교하여 비집중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조명등(40)을 집중모드로 제어한다.
한편, 인체의 생체 신호들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갑자기 급격히 그 감성 상태값들이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졸음이 올 경우 혈중산소 농도는 서서히 떨어지면서 더불어 맥박은 점차 느려지게 되는데, 제어부(30)는 이 변화 추이를 기존에 정상적인 상태의 데이터 베이스화된 기반과 비교하여 졸음이 올 것이라고 예상하게 되며, 따라서 졸음이 더 이상 깊어지기 전에 사전에 조명으로 졸음을 깨워주도록 조명등(40)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30)는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10)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한 생체 데이터에 대한 인체의 감성값의 변화를 통계화하여, 향후 감정 상태의 변화 방향을 추론하여 좋지 않은 감정 상태로의 변화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퍼지(FUZZY)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조명등(40)을 제어하는 감성 조명을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조명 시스템은 조명등(40)으로서, R(red), G(green), B(blue) 엘이디(LED)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R,G,B 엘이디는 각각 펄스폭 변조(PWM) 방식으로 구동하여 각각의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R,G,B 엘이디 각각의 밝기가 다르게 되고 이 광원을 합하게 되면 원하는 컬러를 얻게 된다. 즉, 이론상으로는 3가지 색깔을 조합하면 256종류의 컬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0)는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10)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된 생체 데이터를 감성판단부(20)에 의해 실시간으로 분석한 감성 상태값에 의거하여, R,G,B 엘이디로 이루어진 조명등(40)을 각각 펄스폭 변조방식으로 구동하여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조명등(40)의 색온도 및 조도는 선형적으로 디밍(dimming)하도록 제어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조명 시스템의 제어부(30)는 감성판단부(20)에 의해 분석된 감성 상태값들을 사용자의 감성 상태별로 즉, 집중 상태 또는 비집중 상태별로 데이터 베이스화 하며 저장한다. 이에, 제어부(30)는 실시간으로 분석된 감성 상태값이 저장된 감성 상태값과 비교하여 비집중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조명등(40)을 집중모드로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수리영역(수학, 과학 등), 언어영역(국어, 외국어, 국사, 윤리 등), 창의영역(작문, 미술, 음악 등)을 각각 학습할 때,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조명 시스템의 사용에 대해 설명한다.
즉, 제어부(30)는 사용자가 수리영역, 언어영역, 창의영역을 각각 학습할 때, 각 영역별로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는 집중모드에 대한 감성 조명의 색온도 및 조도의 조건을 저장한다.
먼저, 제어부(30)는 각 사용 영역별 최적의 집중모드에 대한 색온도 범위를 일 예로, 수리 영역일 경우 6000~7500K, 언어 영역일 경우 3500~4800K, 창의 영역일 경우 2200~3000K로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30)는 각 사용 영역별 최적의 집중모드에 대한 조도 범위를 일 예로, 수리 영역일 경우 290~890lux, 언어 영역일 경우 430~1320lux, 창의 영역일 경우 210~670lux로 저장한다.
이로써, 제어부(30)는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10)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한 생체 데이터를 감성판단부(20)에 의해 실시간으로 분석한 감성 상태값과 특정 영역의 집중모드에 대해 저장된 기준 감성 상태값을 비교하여, 비집중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는 상기와 같은 해당 영역의 색온도 범위 및 조도 범위 내에서 조명등(40)의 색온도 및 조도를 선형적으로 디밍(dimming)되도록 제어하여 감성 조명을 출력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집중모드인 감정 상태로 유도 및 안정시킨다.
일 예로, 사용자가 수리 영역을 학습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의 감성 상태값이 졸린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는 조명등(40)의 색온도를 7500K로 제어하고 조도를 890lux로 이성적으로 인식이 깨어날 수 있도록 수리영역 조명 범위 중 가장 높은 출력조명인 밝고 차가운 블루 계통의 조명 컬러를 조사하여 최대의 감성제어 효과를 토출할 수 있는 감성 조명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수리 영역을 학습하기 위한 적합한 차분한 환경으로 빠른 시간내에 유도 및 안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감성 상태값이 평온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는 조명등(40)의 색온도를 7000K로 제어하고 조도를 750lux로 최적의 평균값으로 제어하여,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수리 영역을 학습하기 위한 지속적인 적합한 환경으로 감성 조명을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의 감성 상태값이 흥분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30)는 조명등(40)의 색온도를 6000K로 제어하고 조도를 290lux로 감성이 빠른 시간내에 평온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수리영역 조명 범위 중 가장 낮은 출력조명인 어둡고 따뜻한 블루 계통의 조명 컬러를 조사하여 최대의 감성제어 효과를 토출할 수 있는 감성 조명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수리 영역을 학습하기 위한 적합한 환경으로 유도 및 안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사용자의 감성 상태에 따라 각 사용 영역별로 그 범위를 세분화하여 정해진 영역의 컬러와 밝기 구간을 실시간으로 조명등(40)의 색온도와 조도를 선형적으로 조절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도 2에는 색온도별 조도의 편안함을 분석한 크루이토프(Kruithof)곡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LED의 색온도 및 연색 지수에 따른 감성평가 도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소 높은 온도의 색온도는 집중력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반응을 가장 극대화시키는 색온도는 5800K이었으며, 다음으로 8300K이었다. 또한,안정감을 주는 색온도는 3800K. 활동성은 8300K 대역에서 뚜렷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에는 LED 조명의 색온도 변화에 따른 뇌의 기본상태분석 도표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조명의 색온도 2300K, 4000K, 6000K 세가지 조건을 측정하였을 때, 색온도가 낮을수록 편안함과 안락함을 느끼고, 4000K 조건으로 시험했을 때 우뇌의 기능이 활성화되어 주의력 지수가 상승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조명 시스템은 인체의 감성제어수단인 시각, 청각, 후각을 총체적으로 자극하여 감성제어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조명(시각) 은 물론 음향(청각)을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50)와 아로마향(후각)을 발생하는 향 발생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감성판단부(20)에 의해 분석된 감성 상태값에 따라 음향 발생부(50)가 음향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음향은 자연의 소리로서 물소리, 바람소리, 새소리, 파도소리, 숲속의 소리인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자연의 소리는 산만한 β파의 뇌파를 α파로 유도되게 하여, 긴장을 이완시키고 집중력을 높여 학습 효율을 극대화시켜 주며, 스트레스 해소와 피로회복에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제어부(30)는 감성판단부(20)에 의해 분석된 감성 상태값에 따라 향 발생부(60)가 아로마향을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감성 조명의 출력과 함께 아로마향을 추가로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의 정신을 맑게 해주어 집중력 및 기억력을 향상시키고, 불안감 및 초조감 등의 정신적 장애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아로마향은 라임향, 로즈마리향, 레몬향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청각을 자극해주는 음향 발생부(50)와, 사용자의 후각을 자극해주는 향 발생부(60)를 구비하고, 감성 조명의 출력과 함께 음향 및 아로마향을 발생함으로써, 사용 유형별로 보조적으로 청각 및 후각을 자극하여 사용자는 최상의 심신상태에서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감성 조명 시스템은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10) 주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센서(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 측정센서(70)에서 측정된 주변환경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 농도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30)는 사용 유형별로 사용자는 최상의 심신상태에서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명등(40)의 색온도 및 조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두엽 영역의 혈관 내의 혈중 산소농도와 혈압과 맥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인체의 감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한 후, 분석된 감성 상태값을 기초로 하여 조명등의 색온도 및 조도를 선형적으로 디밍(dimming)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정밀하고 효과적인 조명 제어를 하고, 감성 이완, 집중력 향상 등 사용자 신체를 최상의 컨디션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혈중 산소포화도 센서 20 : 감성판단부
30 : 제어부 40 : 조명등
50 : 음향 발생부 60 : 향 발생부
70 : 이산화탄소 측정센서

Claims (6)

  1. 660nm 및 905nm의 파장의 빛을 발생시키는 적외선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전두엽 영역의 혈관 내의 혈중 산소농도와 혈압과 맥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생체 데이터를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한 사용자 감성 생체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체의 감성 상태를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감성판단부;
    상기 센서부 주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센서;
    상기 이산화탄소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농도값의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 및 상기 감성판단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분석된 사용자 감성 상태값을 기초로 하여, RGB LED로 이루어진 조명등을 펄스폭 변조 방식으로 구동하여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조명등의 색온도 및 조도가 선형적으로 디밍(dimming)되도록 상기 조명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물소리, 바람소리, 새소리 및 파도소리 중 적어도 하나의 음향을 발생하는 음향 발생부; 및
    라임향, 로즈마리향 및 레몬향 중 적어도 하나의 아로마향을 발생하는 향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성판단부에 의해 분석된 평온한 감성 상태값을 데이터 베이스화하며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실시간으로 분석된 감성 상태값을 상기 저장된 평온한 감성 상태값과 비교하여 비집중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조명등을 집중모드로 제어하고,
    상기 조명등을 집중모드로 제어하는 것은, 미리 정해진 색온도 범위 및 조도의 범위 내에서 상기 조명등의 색온도 및 조도가 선형적으로 디밍되도록 제어하는 것이고,
    상기 감성판단부는 상기 센서부의 주변 미세혈관들에서 섞여서 들어오는 신호를 메디안 필터링하여, 사용자 감성 상태값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성판단부에 의해 분석된 감성 상태값에 따라 상기 음향 발생부가 음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성판단부에 의해 분석된 감성 상태값에 따라 상기 향 발생부가 아로마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메디안 필터링하는 것은, 실시간으로 취득된 3회의 신호의 값으로서 첫 번째 값, 두 번째 값 및 세 번째 값을 포함하는 3회의 신호의 값에 대하여, 3회의 값들이 증가 추세에 있는데 두 번째 값이 상기 증가 추세에 맞지 않게 작아지거나, 3회의 값들이 감소 추세에 있는데 두 번째 값이 상기 감소 추세에 맞지 않게 커질 경우, 해당 두 번째 값 신호를 상기 센서부의 주변 미세혈관들에서 섞여서 들어오는 신호라고 판단하여 제거한 후, 첫 번째 값과 세 번째 값을 평균한 중간 값으로 해당 두 번째 값 신호를 치환하여 처리하는 것인, 사용자 감성제어를 실시하는 감성 조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30123162A 2013-10-16 2013-10-16 감성 조명 시스템 KR10145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162A KR101455008B1 (ko) 2013-10-16 2013-10-16 감성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162A KR101455008B1 (ko) 2013-10-16 2013-10-16 감성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008B1 true KR101455008B1 (ko) 2014-11-03

Family

ID=5228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162A KR101455008B1 (ko) 2013-10-16 2013-10-16 감성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00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5421A (zh) * 2018-05-25 2018-09-04 昆山人因健康工程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基于脑血氧参数的色温调节照明系统
KR102020299B1 (ko) * 2019-05-08 2019-09-10 (주)새빛테크놀러지 감성인식을 통해 감성치유서비스를 제공하는 led 테라피 장치
WO2020111401A1 (ko) * 2018-11-29 2020-06-04 주식회사 조인트리 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한 감성제어 시스템
KR102592067B1 (ko) * 2023-03-29 2023-10-20 주식회사 나로텍 스마트 실내 조명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990B1 (ko) * 1999-12-28 2002-08-17 주식회사 키트론 자동차 실내환경 평가를 위한 감성지수 측정 시스템 및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8990B1 (ko) * 1999-12-28 2002-08-17 주식회사 키트론 자동차 실내환경 평가를 위한 감성지수 측정 시스템 및제어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5421A (zh) * 2018-05-25 2018-09-04 昆山人因健康工程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基于脑血氧参数的色温调节照明系统
CN108495421B (zh) * 2018-05-25 2024-04-05 昆山人因健康工程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基于脑血氧参数的色温调节照明系统
WO2020111401A1 (ko) * 2018-11-29 2020-06-04 주식회사 조인트리 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한 감성제어 시스템
KR102020299B1 (ko) * 2019-05-08 2019-09-10 (주)새빛테크놀러지 감성인식을 통해 감성치유서비스를 제공하는 led 테라피 장치
KR102592067B1 (ko) * 2023-03-29 2023-10-20 주식회사 나로텍 스마트 실내 조명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1088B2 (ja) 照明装置
KR101455008B1 (ko) 감성 조명 시스템
US20100174345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llumination and physiological stimuli
JP2007130182A (ja) 照明制御装置、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および照明制御プログラム
JP2005519714A (ja) 携帯用医療装置において信号を発生するための省電力順応型システム
US20100331606A1 (en) Relaxation system
CN107198529B (zh) 具有led电流调制的血氧饱和传感器
JP2009266484A (ja) 照明装置
WO2014170880A1 (en) Light therapy apparatus and method
CN112244792A (zh) 多维应激管理系统及方法
US20030171643A1 (en) Respiration leading system
KR101788133B1 (ko) 스트레스 해소와 업무 및 학습 효율 향상을 위한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KR101391687B1 (ko) 뇌파를 이용한 감성조명 디밍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58470A (ja) 瞑想誘導装置
JP5201617B2 (ja) 可視光照明用遠隔制御システム
CN108495421A (zh) 一种基于脑血氧参数的色温调节照明系统
Lasauskaite et al. Lighting color temperature impacts effort-related cardiovascular response to an auditory short-term memory task
JP2015502813A (ja) 照明信号、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142944B2 (ja) 照明装置、照明制御装置および照明制御方法
Cai et al. The effects of indoor light environment on mood and alertness through physiological measurements
CN208190972U (zh) 一种基于脑血氧参数的色温调节照明系统
KR101302019B1 (ko)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20046367A (ko)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뇌파 변이 장치 및 방법
KR101788132B1 (ko) 멀티모달 감성인지 기반의 자율지능형 빛 치유 시스템
CN114099895A (zh) 一种睡眠改善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