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019B1 -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019B1
KR101302019B1 KR1020130051109A KR20130051109A KR101302019B1 KR 101302019 B1 KR101302019 B1 KR 101302019B1 KR 1020130051109 A KR1020130051109 A KR 1020130051109A KR 20130051109 A KR20130051109 A KR 20130051109A KR 101302019 B1 KR101302019 B1 KR 101302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mage
eeg
neuron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1698A (ko
Inventor
문재철
Original Assignee
문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철 filed Critical 문재철
Priority to KR102013005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019B1/ko
Publication of KR2013006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1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5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78Visual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8Acoustic or auditory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iatr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AREA)

Abstract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환자, 치매환자, 게임중독환자, 인터넷중독환자 또는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헤드셋을 통하여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 대해 뇌파 변이도를 측정한 후 뇌파의 종류별로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뇌파 측정부, 상기 측정된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뇌파에 매칭되는 사운드를 선택하는 사운드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사운드를 상기 헤드셋을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생물학적 뉴런의 형상을 이미테이션한 이미지가 랜덤하게 배열된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케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itation neuron using sounds and images}
본 발명은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운드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최적으로 반응하는 사운드를 선택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특정 영상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의 뇌파의 변이도를 향상시키는,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악 요법(Music Therapy)은 스트레스 및 심리적 원인에 의한 질병에 대해 음악을 이용하여 심리적인 제어에 의해 건강을 회복하고 증진시키는 요법으로서, 심인성 질환에 대한 현대의학의 한계를 극복하는 심리치료 요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인간의 뇌는 항시 미세한 전류를 발산시키고 이 전류를 뇌파 측정 장치에서 파형의 형태로 측정하여 보면 뇌의 활동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파형으로 발산하는 것을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한 뇌파를 분석하고 그 뇌파성분 중 주성분만을 분류하면 뇌의 활동과 주파수에 따라 크게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등으로 구분된다.
베타파는 사람이 눈을 뜨고, 걷고, 흥분하는 행위 등 외부세계에 초점을 맞추어 일상 활동을 영위하는 평상적인 상태로서 15Hz 내지 40Hz 대역의 파장을 가지고 있다. 알파파는 약 7Hz 내지 15Hz 대역의 파장으로 사람이 긴장을 풀고 정신적인 집중력을 이완시켰을 때의 상태로서, 알파 리듬이 사람의 뇌파를 지배하면 조용하고 유쾌한 감각을 이끌어 내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알파파의 상태는 뇌의 중립적 또는 이완적 상태로서 건강하고 스트레스가 없는 사람들에게서 알파파의 활동량이 많이 생성되는 경향이 있다. 세타파는 4Hz 내지 7Hz의 파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세타파 영역의 뇌파는 갑작스런 통찰력 또는 아이디어로 연결되고 초능력과 관련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델타파는 4Hz 이하의 파장으로 인간이 잠들어 있거나 또는 무의식의 상태로서, 많은 양의 성장 호르몬을 생성시킨다.
사람의 경우 편안한 자연의 소리나 밝은 빛 혹은 향기 등을 인식하는 행위에 의해 인간의 심신이 안정화될 수 있으며, 이때 뇌파 역시 안정화되어 주파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알파파나 세타파, 델타파 등이 안정화된 상태에서 많이 관측된다고 한다.
한편, 이러한 뇌파를 이용한 뇌파 발생 장치는 집중력이나 기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거나 또는 정신적 치료를 목적으로 하며, 주로 전용 단말기를 이용해 뇌파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방식이거나, 또는 인터넷 상의 뇌파 발생 전용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뇌파 데이터를 다운로드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하였다가 사용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뇌파 발생 장치는 그 목적이 무엇이든 간에 사용자 개개인이 가지는 뇌파의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거나 뇌파 발생 장치에 의해 일률적으로 선택된 사운드나 배경 이미지를 통해 뇌파 발생을 유도한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특정 사운드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 해당하는 뇌파를 분석하여 최적으로 반응하는 사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사운드를 출력함과 동시에 생물학적 뉴런이미지의 형상과 유사한 이미테이션 뉴런 이미지의 형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 헤드셋을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뇌파를 정상수치로 유도하도록 한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환자, 치매환자, 게임중독환자, 인터넷중독환자 또는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헤드셋을 통하여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 대해 상기 뇌파 변이도를 측정한 후 뇌파의 종류별로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뇌파 측정부, 상기 측정된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뇌파에 매칭되는 상기 사운드를 선택하는 사운드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사운드를 상기 헤드셋을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생물학적 뉴런의 형상을 이미테이션한 이미지가 랜덤하게 배열된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케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어부는, 생물학적 뉴런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랜덤하게 배열된 화면의 중앙에 타원 형태의 고리가 배열되는 상기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케어부는, 상기 타원형태의 고리가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상기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케어부는, 파장의 길이에 따른 소리와 색상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사운드의 파장의 길이에 대응하는 색상을 가지는 상기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환자, 치매환자, 게임중독환자, 인터넷중독환자 또는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운드와 영상을 각각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디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헤드셋을 통하여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 대해 상기 뇌파 변이도를 측정한 후 뇌파의 종류별로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뇌파에 매칭되는 상기 사운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운드를 상기 헤드셋을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생물학적 뉴런의 형상을 이미테이션한 이미지가 랜덤하게 배열된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특정 사운드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분석하여 최적으로 반응하는 사운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사운드를 출력함과 동시에 생물학적 뉴런의 형상과 유사한 이미테이션 뉴런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의 뇌파를 정상수치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뉴런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랜덤하게 배열된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이어폰과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헤드셋 장치를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기 전의 뇌파 변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착용한 후의 뇌파 변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는 뇌파 측정부(100), 사운드 선택부(200) 및 케어부(300)를 포함하며, 케어부(300)는 디스플레이부(310)와 음성 출력부(320)를 포함한다.
뇌파 측정부(100)는 헤드셋을 통하여 출력되는 사운드에 반응하는 [0021]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헤드셋은 후술하게 될 케어부(3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머리에 착탈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음성 출력부(320)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장치이다. 헤드셋은 케어부(300)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사용자의 청각 장치로 사운드를 내보내게 된다. 또한, 헤드셋은 케어부(300)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사용자의 눈과 가까운 거리에서 직접 디스플레이 시키는 디스플레이부(3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헤드셋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마운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의 형태로서 이어폰과 같은 음성 출력부(320)와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310)가 함께 구비된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사운드 선택부(200)는 뇌파 측정부(100)에 의해 측정된 뇌파를 분석하여 분석된 뇌파 변이도에 최적으로 조화될 수 있는 사운드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되는 사운드는 사람 뇌파의 다양한 패턴을 분석하여 그룹화하고 그룹화 된 패턴에 최적으로 매칭되는 주파수를 가지는 음파로서 5 내지 50 개 정도의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5 내지 50 개 정도의 사운드마다 고유의 세션 번호가 할당될 수 있는데, 사운드 선택부(200)는 사용자 뇌파의 분석 결과를 근거로 최적으로 매칭된다고 판단되는 사운드의 세션 번호를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케어부(300)는 사운드 선택부(200)에 의해 선택된 사운드를 전술한 헤드셋에 구비된 음성 출력부(320)를 통해 사용자의 청각 기관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특정 영상을 상기 헤드셋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 기관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리와 색상은 파장의 길이를 비교함으로써 상호 상관관계를 알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소리의 속도가 15℃ 온도에서 초당 340m라고 한다면, 0.736cm 파장의 길이를 가지는 라음(A음)은 이에 대응되는 파장의 길이를 가지는 연붉은색에 대응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0.413cm 파장의 길이를 가지는 솔음(G음)은 보라색에 대응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파장의 길이의 비교에 따른 소리와 색상의 상관 관계에 따라 케어부(300)는 사운드 선택부(200)에 의해 선택된 사운드와 파장의 길이가 비슷한 색상을 가지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영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물학적 뉴런의 형상을 이미테이션한 적갈색 계통의 이미지가 랜덤하게 배열된 화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적갈색은 심리적 자극제라 할 정도로 신체 내 교감 신경계의 중계자 역할을 하는데, 이 색은 사람의 호흡을 일정하게 하고 피의 순환과 뇌에 산소 공급을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물론, 생물학적 뉴런의 형상을 이미테이션한 적갈색 계통의 이미지가 랜덤하게 배열된 화면을 사용하는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형상과 다른 색상을 가지는 영상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이 화면의 중앙에는 타원 형태의 고리가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원 형태의 고리의 중앙에는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케어가 시작된 시점부터의 시간을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가 현재까지의 케어 시간과 앞으로의 남은 케어 시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케어부(300)에 의해 출력된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파가 안정된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뇌파 측정부(100)는 뇌파 케어를 받고 있는 사용자의 뇌파 변이도를 측정하여 뇌파의 종류별로 측정 결과를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헤드셋의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뇌파의 종류인 알파(Alpha)파, 베타(Beta)파, 델타(Delta)파, 세타(Theta)파 등으로 분류하여 각 뇌파마다 다른 색깔로 구분하여 뇌파의 분포와 진폭의 크기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 대해 뇌파 변이도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케어부(300)에 의한 뇌파의 케어 결과 사용자의 뇌파가 얼마나 개선되었는지를 도 4a와 도 4b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기 전의 뇌파 변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착용한 후의 뇌파 변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4a와 도 4b에서 왼쪽의 그래프는 사용자의 좌뇌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오른쪽의 그래프는 사용자의 우뇌의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뇌파의 세기는 서파일수록 진폭이 크고 속파일수록 진폭이 작다. 각성시에는 서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아야 하고 속파쪽으로 가면서 완만한 곡선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급격한 단면을 나타내는 것은 뇌활동의 부조화를 의미한다고 알려져 있다. 지나치게 약한 뇌파는 뇌기능 저하를 의미한다고 알려져 있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뇌는 전반적으로 뇌파 세기가 약하므로 푸른색의 형태를 가지게 되며, 불안정하고 비효율적인 뇌는 전반적으로 뇌파 세기가 강하므로 붉은색을 가지게 된다.
이를 근거로 상기 도 4a와 도 4b의 뇌파 변이도 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펴보면, 상기 도 4a에서는 푸른색보다는 붉은색의 뇌파가 월등히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음에 반하여, 도 4b에서는 푸른색의 분포가 많이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뇌파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한 케어 결과, 좌뇌와 우뇌 모두에서 뇌파가 불안 상태에서 안정 상태로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는것이다.
또한, 케어부(3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따라 뇌파 변이도의 측정을 자동으로 종료시킬 수 있다.
이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뇌파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방법의 전체 흐름도이다.
먼저, 뇌파 측정부(100)는 5 내지 50번까지의 세션 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사운드를 순서대로 청취하는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한다(S110).
다음으로, 사운드 선택부(200)는 측정된 뇌파를 분석하여 분석된 뇌파에 최적으로 매칭되는 사운드를 선택한다(S120).
다음으로, 케어부(300)는 사운드 선택부(200)에 의해 선택된 사운드를 헤드셋에 구비된 음성 출력부(320)를 통해 사용자의 청각 기관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특정 영상을 상기 헤드셋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 기관으로 디스플레이 한다(S130).
이로써, 사용자는 헤드셋에 구비된 음성 출력부(320)를 통해 자신의 뇌파에 최적으로 매칭된 사운드를 청취하면서 눈으로는 상기 헤드셋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뉴런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랜덤하게 배열된 화면의 중앙에 타원 형태의 고리가 확장과 축소를 반복하는 영상을 계속적으로 보게 된다.
이러한 케어를 받고 있는 사용자의 뇌파가 안정된 방향으로 개선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뇌파 측정부(100)는 뇌파 케어를 받고 있는 사용자의 뇌파 변이도를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 대해 각각 측정하게 된다(S140).
이와 같은 측정 결과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헤드셋의 디스플레이부(310)를 통해 표시한다(S150).
마지막으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또는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에 미리 입력되어 있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뇌파 변이도의 측정이 자동으로 종료된다(S16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방법은 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서도 구현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뇌파 측정부
200: 사운드 선택부
300: 케어부
310: 디스플레이부
320: 음성

Claims (8)

  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환자, 치매환자, 게임중독환자, 인터넷중독환자 또는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운드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헤드셋을 통하여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 대해 뇌파 변이도를 측정한 후 뇌파의 종류별로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뇌파 측정부;
    상기 측정된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뇌파에 매칭되는 사운드를 선택하는 사운드 선택부; 및
    상기 선택된 사운드를 상기 헤드셋을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생물학적 뉴런의 형상을 이미테이션한 이미지가 랜덤하게 배열된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케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부는,
    생물학적 뉴런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랜덤하게 배열된 화면의 중앙에 타원 형태의 고리가 배열되는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부는,
    상기 타원형태의 고리가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부는,
    파장의 길이에 따른 소리와 색상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사운드의 파장의 길이에 대응하는 색상을 가지는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5.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환자, 치매환자, 게임중독환자, 인터넷중독환자 또는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사운드와 영상을 각각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디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헤드셋을 통하여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에 반응하는 사용자의 좌뇌와 우뇌에 대해 뇌파 변이도를 측정한 후 뇌파의 종류별로 측정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뇌파를 분석하여 상기 뇌파에 매칭되는 사운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사운드를 상기 헤드셋을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생물학적 뉴런의 형상을 이미테이션한 이미지가 랜덤하게 배열된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생물학적 뉴런의 형상을 가지는 이미지가 랜덤하게 배열된 화면의 중앙에 타원 형태의 고리가 배열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상기 타원형태의 고리가 확장과 수축을 반복하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파장의 길이에 따른 소리와 색상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사운드의 파장의 길이에 대응하는 색상을 가지는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30051109A 2013-05-07 2013-05-07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302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109A KR101302019B1 (ko) 2013-05-07 2013-05-07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1109A KR101302019B1 (ko) 2013-05-07 2013-05-07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7970A Division KR20120046367A (ko) 2010-11-02 2010-11-02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뇌파 변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698A KR20130061698A (ko) 2013-06-11
KR101302019B1 true KR101302019B1 (ko) 2013-08-30

Family

ID=4885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1109A KR101302019B1 (ko) 2013-05-07 2013-05-07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074A1 (ko) * 2022-01-28 2023-08-03 (주)뉴로니어 눈과 뇌의 교차신경을 이용한 치매 개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800B1 (ko) * 2017-11-28 2019-12-05 (주)블라우비트 복합 생체 정보를 이용한 정신 질환 치료 콘텐츠의 평가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67B1 (ko) 2006-04-13 2007-07-30 이순혁 유발 전위를 이용한 두뇌 분석/계발 장치
KR100868026B1 (ko) 2007-05-28 2008-11-10 (주)드리맥스 뇌파 유도신호 발생장치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67B1 (ko) 2006-04-13 2007-07-30 이순혁 유발 전위를 이용한 두뇌 분석/계발 장치
KR100868026B1 (ko) 2007-05-28 2008-11-10 (주)드리맥스 뇌파 유도신호 발생장치를 구비한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6074A1 (ko) * 2022-01-28 2023-08-03 (주)뉴로니어 눈과 뇌의 교차신경을 이용한 치매 개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1698A (ko)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2681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dulating stimuli to the brain with biosensors
CN113631212B (zh) 用于经皮振动的造波的系统和方法
US112028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wakefulness
JP6470743B2 (ja) 睡眠中の感覚刺激のタイミングを決定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9152917B (zh) 监管装置和相关联方法
CN101969841B (zh) 修改对象的心理生理状态
CN110167630A (zh) 多功能闭环神经反馈刺激设备及其方法
US20160008568A1 (en) Relax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480536B1 (ko) 헤어밴드 타입의 휴대용 뇌파 측정 장치를 포함한 뇌파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면 관리 방법
KR102114373B1 (ko) 청각 자극 기반 수면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Hinterberger The sensorium: a multimodal neurofeedback environment
JP2004222818A (ja) 生理状態誘導装置および生理状態誘導方法
JP2021503339A (ja) ユーザの認知領域を強化するためにユーザに感覚刺激を供給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302019B1 (ko)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이미테이션 뉴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20046367A (ko) 사운드와 영상을 이용한 뇌파 변이 장치 및 방법
US20240001068A1 (en) Mood adjus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real-time biosensor signals from a subject
Jovanov On physiological bases of states of expanded consciousness
CN114748078A (zh) 神经调控系统和方法
CN109549643B (zh) 智力训练仪
Fachner et al. Ethno Therapy, Music and Trance: an EEG investigation into a sound-trance induction
Sato et al. Studies on five senses treatment
CN110477944A (zh) 用于转换身体信号的方法和装置
US20230372662A1 (en) Stress treatment by non-invasive, patient-specific, audio-based biofeedback procedures
Nawrot Wireless Wearable Device for the Acquisition of Bioelectrical Signals for Applications in Sleep Monitoring and Lucid Dream Induction
Imamura et al. Profound haemodynamic response in the prefrontal cortex induced by musical stimu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