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455B1 -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455B1
KR102535455B1 KR1020220105315A KR20220105315A KR102535455B1 KR 102535455 B1 KR102535455 B1 KR 102535455B1 KR 1020220105315 A KR1020220105315 A KR 1020220105315A KR 20220105315 A KR20220105315 A KR 20220105315A KR 102535455 B1 KR102535455 B1 KR 102535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composite pressure
pressure vessel
heating chamb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관호
정근성
황재식
김세현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22010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on a rotating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60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internal forming surfaces, e.g. mandrels
    • B29C53/60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internal forming surfaces, e.g. mandrels for tubular articles having closed or nearly closed ends, e.g. vessels, tanks,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 B29C70/34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using isostatic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4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isostatic pressure, e.g. pressure difference-moulding, vacuum bag-moulding, autoclave-moulding or expanding rubber-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2037/9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4Barrels, drums, tuns, vats
    • B29L2031/7156Pressure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필름이 복합재 압력용기를 그 형상대로 밀착 가압하므로, 진공압이 복합재 압력용기 구석구석으로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온도상승에 의한 수지의 점도가 낮아지더라도, 라이너에 탄소섬유를 감을 때 들어간 공기가 이동 합체되어 공기층을 형성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공기층에 의해 라이너에 감긴 탄소섬유들이 분리되지 못해, 경화 작업까지 끝나 완성된 복합재 압력용기의 기계적 열적 성능이 매우 우수해진다.

Description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Composite pressure vessel curing device}
본 발명은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합재 압력용기는 수지가 함침된 탄소섬유를 라이너에 감아, 고온에서 회전을 통해 경화시켜 제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화 방법으로는, 복합재 압력용기(2)에 모터축(3)과 회전축(4)을 연결하여 챔버 내에 넣고, 모터축(3)의 일단을 모터(5)와 연결하고 회전축(4)의 일단을 회전치구(6)에 연결한 후, 수지가 자중에 의해 쏠리지 않게, 모터축(3) 및 회전축(4)과 함께 회전시켜 설정된 경화 온도에서 경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빨간색 구부러진 화살표는 가열챔버(1) 내 공기를 가열하는 열을 나타낸다.
그런데, 종래 경화 방법은, 온도상승에 의한 수지의 점도가 낮아짐에 따라, 탄소섬유를 감을 때 들어간 공기가 이동하여 합체되어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층으로 인해 라이너에 감긴 탄소섬유들이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경화 작업까지 끝나 완성된 복합재 압력용기의 기계적 열적 성능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10-2012-0111132)는, 복합재 압력용기의 외부에 하우징을 설치하여 경화 공정 중에 열을 공급하고, 진공 또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압력을 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 및 방법은 기존 오토클레이브 가압 경화 장치 및 방법과 별 다를 바가 없고, 맨드렐 축 각각에 외부 하우징을 설치하고, 그 외부 하우징에는 무기질 오일 순환 연결 라인을 설치하는 등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다.
한국공개특허(10-2012-0111132)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는,
경화될 복합재 압력용기(2)가 내부에 위치되는 가열챔버;
상기 가열챔버의 외부 양측에 각각 위치된 모터와 회전치구;
상기 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가열챔버 안까지 일정깊이 들어온 모터축;
상기 회전치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열챔버 안까지 일정 깊이 들어온 회전축;
상기 회전치구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을 감싸는 베어링;
상기 회전축의 전단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열챔버의 내부에 위치된 진공작용공;
상기 회전축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진공작용공과 일단이 연결된 제1진공인가통로;
상기 회전치구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진공인가통로의 타단과 일단이 연통되는 제2진공인가통로;
상기 제2진공인가통로의 타단과 외부에서 실리콘 튜브로 연결된 진공펌프;
상기 모터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된 상기 복합재 압력용기를 감싸되, 상기 진공작용공까지 감싸는 진공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진공필름이 복합재 압력용기를 그 형상대로 밀착 가압하므로, 진공압이 복합재 압력용기 구석구석으로 균일하게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온도상승에 의한 수지의 점도가 낮아지더라도, 라이너에 탄소섬유를 감을 때 들어간 공기가 이동 합체되어 공기층을 형성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공기층에 의해 라이너에 감긴 탄소섬유들이 분리되지 못해, 경화 작업까지 끝나 완성된 복합재 압력용기의 기계적 열적 성능이 매우 우수해진다.
본 발명은 기존 경화 장비에서, 챔버 내에 설치된 회전축을 진공작용공이 형성된 회전축으로 교체하고, 진공작용공에 진공압을 작용시키는 진공펌프를 추가하고, 복합재 압력용기를 진공필름으로 감싸는 것으로, 경화 준비를 끝낸다. 따라서, 기존 오토클레이브 경화 장치 및 방법이나, 한국공개특허(10-2012-0111132)에 개시된 경화 장치 및 방법에 비해, 매우 간단하고 저렴하게 경화 장치를 마련하여 경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방법이 구현되는 경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경화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기본적으로 참조한다. 도 1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방법은,
수지가 함침된 탄소섬유가 라이너에 감긴, 상기 수지가 미경화 상태인 복합재 압력용기의 양단 각각에, 모터축과 회전축을 각각 연결하는 제1단계(S11);
상기 모터축과 상기 회전축 각각이 양단 각각에 연결된 상기 복합재 압력용기를 챔버에 넣고, 상기 모터축과 상기 회전축 각각을, 상기 챔버 내에서 모터와 회전치구에 각각 연결하는 제2단계(S12);
상기 복합재 압력용기를 진공필름으로 감싸되, 상기 진공필름 안으로 진공압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진공작용공까지 감싸는 제3단계(S13);
상기 진공작용공으로 진공압이 작용하여 상기 진공필름이 수축하면서, 상기 진공필름이 상기 복합재 압력용기를 상기 복합재 압력용기의 형상대로 밀착 가압하는 제4단계(S14); 및
진공 분위기가 조성되고 수지 경화 온도를 유지하는 상기 챔버 내에서, 상기 복합재 압력용기가 상기 진공필름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모터축과 상기 회전축과 상기 복합재 압력용기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상기 수지가 경화되는 제5단계(S15)로 구성된다.
이하, 제1단계(S11)를 설명한다.
수지가 함침된 탄소섬유가 라이너에 감긴 복합재 압력용기(2) 양단 각각에 모터축(3)과 회전축(14)을 각각 연결한다. 여기서, 수지는 미경화 상태다.
이하, 제2단계(S12)를 설명한다.
가열챔버(1)는 수지가 경화될 수 있는 온도 (125~250℃)로 가열챔버(1) 내 공기를 가열하고, 그 온도를 유지한다. 가열챔버(1) 내에는 온도센서가 설치된다. 가열챔버(1) 바깥에는 모터(5)와 회전치구(16)가 설치된다.
모터축(3)은 모터(5)에 연결되고, 모터(5)는 모터축(3)을 회전시킨다.
회전축(14)은 회전치구(1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 회전치구(16)의 전단에는 회전축(14)을 감싸는 베어링(B)이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4)은 베어링(B)의 중심을 통과하여, 회전치구(16)의 내부까지 일정 깊이 들어온다.
회전축(14)의 전단 표면에는 진공작용공(14a)이 형성된다. 회전축(14)의 내부에는 진공작용공(14a)과 일단이 연결되는 제1진공인가통로(14b)가 형성된다.
회전치구(16)의 내부에는 제1진공인가통로(14b)의 타단과 일단이 연통되는 제2진공인가통로(16b)가 형성된다.
진공씰(17)은 베어링(B)의 후측으로 회전치구(16) 내부에 설치된다.
진공씰(17)은 제1진공인가통로(14b)의 타단과 제2진공인가통로(16b)의 일단의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축(14)이 회전하는 상태에서, 연통된 제1진공인가통로(14b)의 타단과 제2진공인가통로(16b)의 일단 사이에서 진공압이 새지 않게 제1진공인가통로(14b)의 타단과 제2진공인가통로(16b)의 일단 사이 틈을 없앤다. 진공씰(17)을 거쳐 제2진공인가통로(16b)에 인가된 진공압이 제1진공인가통로(14b)로 전달되도록, 진공씰(17)은 가운데가 뚫려 있는 도넛형상을 가진다.
진공씰(17)은 내마모성 및 자기 윤활성이 뛰어나며, 진공압이 새지 않는 밀도 1.5g/㎤ 이상으로 밀도화된 탄소-탄소복합재로 만들어진다.
진공압이 새지 않게 회전축(14)의 타단이 진공씰(17)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축(14)은 마모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진공인가통로(16b)의 타단은 실리콘 튜브(T)의 일단과 연결된다. 실리콘 튜브(T)의 타단은 진공펌프(P)와 연결된다. 진공펌프(P)는 진공압을 발생시킨다. 진공압은 실리콘 튜브(T)와 제2진공인가통로(16b)와 제1진공인가통로(14b)를 거쳐 진공작용공(14a)에 작용한다.
작업자가 가열챔버(1) 내 출입구(미도시)를 열고, 복합재 압력용기(2)의 양단 각각에 모터축(3)과 회전축(14) 각각을 연결하여 가열챔버(1)에 넣는다. 모터축(3)과 회전축(14) 각각을, 가열챔버(1) 내에서 모터(5)와 회전치구(16) 각각에 연결한다.
이하, 제3단계(S13)를 설명한다.
복합재 압력용기(2)를 진공필름(20)으로 감싼다. 진공필름(20) 안으로 진공압이 작용할 수 있게, 회전축(14)에 진공작용공(14a)까지 감싼다. 진공필름(20)은 진공압에 의해 수축된다. 진공필름(20)은 가열챔버(1) 내 열에 견디고, 복합재 압력용기(2)에 열을 전달하고, 수축할 수 있는 재질이면, 금속이나 합성수지재 등 어떤 것도 될 수 있다.
한편, 진공필름(20)과 복합재 압력용기(2) 사이에는, 천공필름과 필플라이가 순서대로 적층된다. 이를 위해, 복합재 압력용기(2)를 진공필름(20)으로 감싸기 전에, 복합재 압력용기(2)를 천공필름(미도시)으로 감싸고 그 위에필플라이(미도시) 또는 부직포(미도시)로 감싼다. 천공필름은 복수 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 일종의 이형 필름이고, 필플라이 또는 부직포는 수지가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하, 제4단계(S14)를 설명한다.
작업자는 가열챔버(1) 내 출입구(미도시)를 닫는다.
가열챔버(1)는 복합재 압력용기(2)의 미 경화 수지가 경화될 수 있는 온도 (125~250℃)로 가열챔버(1) 내 공기를 가열하고, 그 온도를 유지한다. 도 4에 도시된 빨간색 구부러진 화살표는 가열챔버(1) 내 공기를 가열하는 열을 나타낸다.
진공펌프(P)는 진공압을 발생한다. 진공압은 도 4에 도시된 하늘색 화살표 방향으로, 실리콘 튜브(T)와 제2진공인가통로(16b)와 제1진공인가통로(14b)를 거쳐 진공작용공(14a)에 작용한다.
도 4에 도시된 보라색 화살표 방향으로 진공필름(20)이 수축하면서, 복합재 압력용기(2)의 구석구석까지 밀착된다. 진공필름(20)이 복합재 압력용기(2) 전체에 진공압을 골고루 균일하게 가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진공압에 의한 진공필름(20)의 수축력을 복합재 압력용기(2)의 구석구석으로 균일하게 가한다.
이하, 제5단계(S15)를 설명한다.
가열챔버(1) 내에서 복합재 압력용기(2)가 진공필름(20)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빨간색 회전 화살표 방향으로, 복합재 압력용기(2)가 모터축(3)과 회전축(14)과 동시에 회전한다. 복합재 압력용기(2)의 미경화 수지가 경화된다.
1: 챔버 2: 복합재 압력용기
3: 모터축 5: 모터
4,14: 회전축 6,16: 회전치구
17: 진공씰 20: 진공필름
B: 베어링 C: 제어부
P: 진공펌프 T: 실리콘 튜브

Claims (3)

  1. 경화될 복합재 압력용기(2)가 내부에 위치되는 가열챔버(1);
    상기 가열챔버(1)의 외부 양측에 각각 위치된 모터(5)와 회전치구(16);
    상기 모터(5)에 연결되며, 상기 가열챔버(1) 안까지 일정깊이 들어온 모터축(3);
    상기 회전치구(1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가열챔버(1) 안까지 일정 깊이 들어온 회전축(14);
    상기 회전치구(16)의 전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4)을 감싸는 베어링(B);
    상기 회전축(14)의 전단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열챔버(1)의 내부에 위치된 진공작용공(14a);
    상기 회전축(14)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진공작용공(14a)과 일단이 연결된 제1진공인가통로(14b);
    상기 회전치구(16)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진공인가통로(14b)의 타단과 일단이 연통되는 제2진공인가통로(16b);
    상기 제2진공인가통로(16b)의 타단과 외부에서 실리콘 튜브(T)로 연결된 진공펌프(P);
    상기 모터축(3)과 상기 회전축(14)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연결된 상기 복합재 압력용기(2)를 감싸되, 상기 진공작용공(14a)까지 감싸는 진공필름(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20105315A 2022-08-23 2022-08-23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 KR102535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315A KR102535455B1 (ko) 2022-08-23 2022-08-23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315A KR102535455B1 (ko) 2022-08-23 2022-08-23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455B1 true KR102535455B1 (ko) 2023-05-26

Family

ID=86536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315A KR102535455B1 (ko) 2022-08-23 2022-08-23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4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0834A (ja) * 2003-05-16 2007-01-18 コリア アドバンスト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ハイブリッド複合材料ジャーナルベアリング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有するジャーナルベアリングの製造方法
KR20120111132A (ko) 2011-03-31 2012-10-10 박찬희 습식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으로 제작된 압력용기의 진공 또는 가압 경화 공정
CN104149365A (zh) * 2014-06-27 2014-11-19 南京航空航天大学 复合材料轴类零件的微波固化方法及装置
KR20160000646A (ko) * 2014-06-25 2016-01-05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열 경화성 복합재료 성형장치
JP2017114120A (ja) * 2015-12-25 2017-06-29 翁慶隆 複合材料チューブの作製方法と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0834A (ja) * 2003-05-16 2007-01-18 コリア アドバンスト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ハイブリッド複合材料ジャーナルベアリング構造およびその構造を有するジャーナルベアリングの製造方法
KR20120111132A (ko) 2011-03-31 2012-10-10 박찬희 습식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으로 제작된 압력용기의 진공 또는 가압 경화 공정
KR20160000646A (ko) * 2014-06-25 2016-01-05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열 경화성 복합재료 성형장치
CN104149365A (zh) * 2014-06-27 2014-11-19 南京航空航天大学 复合材料轴类零件的微波固化方法及装置
JP2017114120A (ja) * 2015-12-25 2017-06-29 翁慶隆 複合材料チューブの作製方法とその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6795A (en) Electrical cable splicing system
US5322653A (en) Method of repairing buried sewage pipes
US4091062A (en) Cable molding method
KR102535455B1 (ko) 복합재 압력용기 경화 장치
US4145176A (en) Cable molding apparatus for accomplishing same
US5151148A (en) System for retreading tires
JP4672949B2 (ja) 電気機械の巻線棒の絶縁物体を含浸する装置
CN107972290B (zh) 叶片的制造方法和叶片
US7926516B2 (en) Internal composite repair apparatus
US10958145B2 (en) Process for over-moulding an outer stator
US3377657A (en) Apparatus for molding a reinforced hollow plastic article
KR20120111132A (ko) 습식 필라멘트 와인딩 공법으로 제작된 압력용기의 진공 또는 가압 경화 공정
JP2020062875A (ja) 複合構造体を製造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EP0844065A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ipe liner bag
CN111555567A (zh) 叠片式压圈的制造方法及其设备
US56309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obbins
GB2534171A (en) Assembly for forming a composite material part
USH1088H (en) Process for installing liner in pressure vessel
JPS58167151A (ja) 圧力ホ−スの製造方法
EP0886342A1 (en) Cable joint
KR102223131B1 (ko) 여과집진기의 여과효율 향상을 위한 재봉부 무용제 심실링 적용 필터 및 이의 제조 공법
JPH06109194A (ja) 管路補修方法
US20080069992A1 (en) Submergible Motor Protector Bag
KR102640757B1 (ko) 압력용기 성형용 맨드릴의 유체 순환 시스템
US5302338A (en) Method for hooping and maintaining in compression a core by a sheath made of a composit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