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5221B1 -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5221B1
KR102535221B1 KR1020210001354A KR20210001354A KR102535221B1 KR 102535221 B1 KR102535221 B1 KR 102535221B1 KR 1020210001354 A KR1020210001354 A KR 1020210001354A KR 20210001354 A KR20210001354 A KR 20210001354A KR 102535221 B1 KR102535221 B1 KR 102535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account
output area
advertisement
up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9294A (ko
Inventor
주영
이정아
지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잘론네츄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잘론네츄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잘론네츄럴
Priority to KR102021000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2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인플루언서들이 업로드하는 게시글 등의 콘텐츠에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 컨텐츠를 삽입하여 출력하도록 하되, 게시글별로 이미지 등이 업로드되는 영역의 일정 부분을 광고 영역으로 판매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구현하여, 적은 비용으로 최대한의 마케팅 효율을 얻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 계정 중 광고 콘텐츠인 제1 콘텐츠를 연동 출력할 것으로 계약된 제1 계정으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되는 콘텐츠 중 제1 콘텐츠를 출력할 것으로 제1 계정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결정된 제2 콘텐츠의 출력 영역 일부에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할당하는 광고 구좌 생성 단계; 제2 콘텐츠의 리스트를 광고주 계정에 제공하고,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제2 콘텐츠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고자 함에 따른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구매 요청 수신 단계; 및 구매 요청 수신 단계에 의하여 수신한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1 계정의 승낙 입력에 따라서 구매 요청에 대한 계약을 체결 시, 제2 콘텐츠를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삽입한 새로운 제2 콘텐츠로 대체하는 광고 입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OF ADVERTISEMENT USING INFLUENCER OF SOCIAL NETWORK SERVICE}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있어서 많은 팔로워를 보유한 인플루언서들을 이용한 광고 기술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인플루언서들이 업로드하는 게시글 등의 콘텐츠에 광고주로부터 의뢰받은 광고 컨텐츠를 삽입하여 출력하도록 하되, 게시글별로 이미지 등이 업로드되는 영역의 일정 부분을 광고 영역으로 판매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구현하여, 유저들이 광고를 인식함과 동시에 제품의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적은 비용으로 최대한의 마케팅 효율을 얻도록 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Social Network Service)는 일종의 게시글 공유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유저들이 게시글을 업로드하고, 이에 대해서 다른 유저들이 서로 이를 확인하면서 서로의 공감대를 형성하거나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의 콘텐츠 서비스이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공통적으로 일 유저가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알고 있는 유저들의 콘텐츠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유저를 팔로우(follow)하게 된다. 이 경우 일 유저를 팔로우한 유저는 해당 유저가 콘텐츠를 업로드 시 알림 등을 받고 이를 확인할 수 있거나, 팔로우한 유저들의 콘텐츠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비스되고 있다. 이를 통해서, 유저들은 자신이 원하는 유저 또는 콘텐츠만을 팔로우 등의 방식으로 확인하면서 자신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특징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일상화에 따라서, 최근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광고 기술이 날로 고도화되고 있다. 특히, 상술한 팔로잉 개념의 특징을 이용하여, 유저들에게 맞춤화된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들이 상용화되고 있고, 이는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의 큰 축으로 자리잡았다.
특히 이러한 광고 방식에서는, 팔로워수가 많은 일명 인플루언서(Influencer)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라서 최근의 선행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25966호 등에서는 광고주는 광고 대행사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의 팔로워수, 비용, 분야, 수요자 층 등을 기준으로 매칭 조건을 설정하여, 광고주와 인플루언서를 매칭하여 광고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광고주의 광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에서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식은, 인플루언서가 광고 콘텐츠를 업로드해야 하는 데 있어서, 인플루언서가 실제로 업로드하는 콘텐츠와 이질감이 있어 유저들의 피로감이 증가하게 되는 것과 동시에, 이를 줄이기 위해서 인플루언서가 제품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컨텐츠를 제작 시, 최근에 일명 '뒷광고'와 관련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어, 마케팅과 관련하여 그 효율의 감소 및 반작용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인플루언서가 업로드하는 콘텐츠에 이질감 없이 광고 컨텐츠를 업로드하도록 하는 동시에, 인플루언서가 업로드하는 콘텐츠별로 광고주가 광고 콘텐츠를 삽입하도록 할 수 있되, 인플루언서의 마케팅에 따른 수익을 보장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에 더하여, 광고주의 광고 비용 대비 효율을 최대화하고, 매우 신선한 마케팅용 수익 플랫폼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 계정 중 광고 콘텐츠인 제1 콘텐츠를 연동 출력할 것으로 계약된 제1 계정으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되는 콘텐츠 중 상기 제1 콘텐츠를 출력할 것으로 상기 제1 계정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결정된 제2 콘텐츠의 출력 영역 일부에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할당하는 광고 구좌 생성 단계; 상기 제2 콘텐츠의 리스트를 광고주 계정에 제공하고,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제2 콘텐츠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고자 함에 따른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구매 요청 수신 단계; 및 상기 구매 요청 수신 단계에 의하여 수신한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1 계정의 승낙 입력에 따라서 구매 요청에 대한 계약을 체결 시,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삽입한 새로운 제2 콘텐츠로 대체하는 광고 입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고 입력 단계는,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이미지 수정 단계;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데이터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문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 수정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수정 단계 및 상기 문자 수정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생성된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및 새로운 문자 데이터를 제1 계정에 전송하여, 제1 계정의 편집 승낙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 계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콘텐츠 수정 인터페이스를 실행한 뒤 제2 콘텐츠를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및 새로운 문자 데이터로 수정하는 제1 콘텐츠 수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고 입력 단계는,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이미지 수정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수정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생성된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제1 계정에 전송하여, 제1 계정의 편집 승낙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 계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콘텐츠 수정 인터페이스를 실행한 뒤 제2 콘텐츠를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로 수정하는 제2 콘텐츠 수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고 입력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로서,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판매 대상을 구매할 수 있는 쇼핑 인터페이스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여 선택 시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고 입력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확인하는 계정인 제2 계정이 상기 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접속함을 감지하는 접속 감지 단계;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의 접속을 감지한 후,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판매 대상에 대한 구매 입력을 수신 시,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로서,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판매 대상의 판매 타입 정보가 공동 구매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매 타입 식별 단계; 상기 판매 타입 식별 단계에 의하여 판단된 판매 타입 정보가 공동 구매 타입인 경우, 제2 계정들의 구매 입력 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구매 입력 수가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로서 공동 구매 인원에 도달된 경우, 제2 계정들에 구매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구매 확정 단계; 및 상기 구매 확정 단계에 포함된 제2 계정들에 상기 판매 대상을 제공하는 판매 대상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판매 대상 제공 단계는,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물품으로서, 상기 판매 대상에 연동된 사은 물품을 상기 판매 대상과 함께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의 구매 금액은,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확인하는 계정인 제2 계정의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의 평균 조회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들의 판매 대상별 평균 조회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의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한 긍정 평가 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 계정 중 광고 콘텐츠인 제1 콘텐츠를 연동 출력할 것으로 계약된 제1 계정으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되는 콘텐츠 중 상기 제1 콘텐츠를 출력할 것으로 상기 제1 계정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결정된 제2 콘텐츠의 출력 영역 일부에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마련하는 광고 구좌 생성부; 상기 제2 콘텐츠의 리스트를 광고주 계정에 제공하고,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제2 콘텐츠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고자 함에 따른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구매 요청 수신부; 및 상기 구매 요청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한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1 계정의 승낙 입력에 따라서 구매 요청에 대한 계약을 체결 시,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삽입한 새로운 제2 콘텐츠로 대체하는 광고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플루언서가 업로드하는 제2 콘텐츠의 출력 영역 내부에 광고 콘텐츠인 제1 콘텐츠를 삽입하여 콘텐츠를 업로드하되, 제1 콘텐츠가 삽입되는 영역을 각각 광고주가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한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가 삽입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프로세스를 따르게 된다. 이에 의하면, 인플루언서가 광고 콘텐츠를 업로드 시, 광고 콘텐츠가 하나의 게시글 콘텐츠가 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 내부에 판매된 영역에 광고 콘텐츠가 출력되기 때문에, 인플루언서가 업로드하는 콘텐츠의 성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콘텐츠별로 인플루언서가 판매하는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삽입할 수 있어, 그 콘텐츠의 성격에 맞는 광고 콘텐츠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마케팅 기술에 비하여, 유저들의 피로감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인플루언서 및 인플루언서가 업로드하는 콘텐츠를 이용함에 따른 광고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플루언서의 측면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의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판매할 수 있어, 합리적이고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잃지 않는 수익 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광고주 측면에서는 콘텐츠별로 광고 영역을 구매할 수 있어, 더욱 타겟팅된 광고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서 비용 대비 마케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의 플로우차트.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장치의 구성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유저 및 광고주 단말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판매 대상에 대한 구매가 이루어지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이하의 설명에서의 유저 단말, 광고주 단말 등은, 단말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웹 브라우저를 통한 엑세스(Access) 등을 이용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및 쇼핑몰 서버 등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 통신 기능, 콘텐츠를 출력, 재생 등의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는 출력 수단, 콘텐츠에 대한 제어 및 서비스 조작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포함하는 모든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개인용 컴퓨터 등이 본 발명에서의 '단말'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및 쇼핑몰 서버는, 각 서버가 구동됨에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쇼핑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 또는 단말군을 의미하며, 유저 및 광고주 들의 계정 데이터, 판매 대상 물품(서비스)에 대한 가격, 정보, 재고 등의 판매 데이터, 금융 결제 모듈, 서비스에 필요한 복수의 프로세스에 대한 프로그램 데이터 등 본 발명의 기능 수행 및 이를 위한 주변적 기능 수행을 위해서 관리되는 모든 데이터 및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여, 유저 및 광고주 계정이 자신들의 단말을 이용하여 접속함으로서 일련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종 정보 및 데이터 등이 유저 계정 또는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송출되거나 계정에 수신됨은, 각 계정이 이용하는 단말을 통해 계정이 상술한 서비스들에 로그인 시, 각 단말이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각 계정 정보로서 관리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데, 이는 상술한 유저 단말, 광고주 단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 쇼핑몰 서비스 서버 등과 연동된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전용 단말 또는 상술한 단말 또는 서버에 탑재된 프로그램 그 자체 또는 단말을 의미한다. 또는, 상술한 단말들을 그룹화하여 컴퓨팅 장치로 이해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먼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 계정 중 광고 콘텐츠인 제1 콘텐츠를 연동 출력할 것으로 계약된 제1 계정으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되는 콘텐츠 중 제1 콘텐츠를 출력할 것으로 제1 계정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결정된 제2 콘텐츠의 출력 영역 일부에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할당하는 광고 구좌 생성 단계(S10)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계정이 업로드한 모든 제2 콘텐츠에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계정이 업로드하는 제2 콘텐츠들 중, 광고 컨텐츠를 삽입해도 되는 것으로 제1 계정으로부터 선택된 제2 콘텐츠에 대해서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모든 기능 수행을 위해서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결합되는 API 등의 실행 시, 제2 콘텐츠를 업로드하거나 관리하는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제2 콘텐츠에 광고 콘텐츠(제1 콘텐츠)를 삽입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메뉴가 출력되어, 제1 계정이 이를 확인하고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콘텐츠는, 상술한 인플루언서, 즉 제1 계정이 업로드하는 소셜 네트워크 상의 단위 콘텐츠로서, 일종의 이미지, 게시글, 해시태크(Hash-tag) 등이 독립적 또는 결합적으로 포함된 콘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스타그램의 피드가 단위 콘텐츠의 예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계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계정 로그인하여 제2 콘텐츠를 제작 및 업로드할 수 있으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계정을 팔로우하거나 해당 콘텐츠의 해시 태그 등을 검색한 타 유저, 후술하는 제2 계정이 업로드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플루언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및 기타 온라인 공간에서 영향력이 있는 유저를 지칭하는 단어로서, 본 발명에서는 객관적인 지표를 위해서, 예를 들어 업로드한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확인한 상술한 제2 계정의 수, 업로드한 콘텐츠의 평균 조회 수, 업로드한 콘텐츠의 수,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한 긍정 평가 수 중 어느 하나가 서비스의 운영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임계 수치를 초과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은 하나의 광고 구좌로 이해될 것이며, 이후 컴퓨팅 장치는, 제2 콘텐츠의 리스트를 광고주 계정에 제공하고,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제2 콘텐츠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고자 함에 따른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구매 요청 수신 단계(S20)를 수행한다.
광고주 계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계정 또는 본 발명의 기능 수행에 따른 별도 서비스의 계정일 수 있다. 광고주 계정에는, 제2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이외에, 상술한 본 발명의 모든 기능 수행을 위해서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결합되는 API 등의 실행 시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이 할당되어 광고 콘텐츠를 삽입할 수 있는 제2 콘텐츠들의 리스트를 조회하고 확인할 수 있는 메뉴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기능 수행에 따라서 광고주 계정으로 로그인 한 광고주 단말의 출력 수단에 출력되는 화면(110)의 예이다. 해당 화면(1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든 기능 수행을 위해서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결합되는 API 등의 실행 시 출력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출력 수단에 구현된 것을 의미한다.
화면(110)을 참조하면, 먼저 광고주 계정은 인플루언서, 즉 제1 계정을 기준으로 제2 콘텐츠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계정 선택 메뉴(111)를 활용할 수 있으며, 해당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제2 콘텐츠들 중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이 할당된 제2 콘텐츠를 조회할 수 있는 제2 콘텐츠 선택 메뉴(112)를 활용하여 광고 구좌를 구매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제2 콘텐츠가 선택되면 해당 제2 콘텐츠에 해당하는 콘텐츠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에 출력되는 화면(113)으로서, 예를 들어 이미지 콘텐츠(I1), 해당 이미지 콘텐츠(I1)에서 할당된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Ic), 그 외의 문자 콘텐츠(#xx 등의 해시태그 등)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격 메뉴(114)에서는 Ic에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해서 지불되어야 할 금액이 출력되는데, 도 7의 예와 같이 기간별로 금액이 설정되거나, 그 외에 영역의 크기, 동시 구매 가능한 Ic의 수 등에 따라서 서로 다른 금액이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가격 산정 기준 화면(115)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Ic), 즉 광고 구좌의 구매 시, 각 금액은 서로 다른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인플루언서별로 서로 다른 금액이 책정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확인하는 계정인 제2 계정(즉 제1 계정의 팔로워)의 수,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의 평균 조회 수,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들의 판매 대상별 평균 조회 수,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의 수,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한 긍정 평가 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콘텐츠들의 판매 대상별 평균 조회 수라 함은, 자동 또는 관리자 계정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제2 콘텐츠와 판매 대상의 연관성을 기준으로 제2 콘텐츠들 중 판매 대상에 따라서 제2 콘텐츠를 그룹화하고, 각 그룹 중 광고 콘텐츠에 매칭되는 그룹에 대한 평균 조회 수를 의미한다. 이는, 각 제1 계정 당 팔로워가 많은 이유를 판단하여, 제1 계정이 유명해진 콘텐츠가 어떤 판매 대상에 관련되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광고 금액을 책정하기 위함이다. 또한 긍정 평가는, 해당 콘텐츠에 대한 속칭 '좋아요'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Ic가 출력되는 영역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고주 계정이 해당 Ic 영역에 자신의 광고 콘텐츠를 삽입 시의 예상 화면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로서, 예를 들어 광고 콘텐츠를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방식으로 Ic에 입력하는 방식의 메뉴 툴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구매 요청 시, 광고주 계정은 도 7의 화면(1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해당 광고 콘텐츠를 제1 계정이 수정하여 편집할 수 있는지를 선택할 수 있는 권한 부여 메뉴를 확인하고 이를 선택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S20 단계에 있어서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함은, 도 7에 도시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구매하고자 하는 제2 콘텐츠의 식별 정보, 구매 기간 등의 형태, 구매 요청 입력 등을 모두 포함하여 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후 컴퓨팅 장치는, S20 단계에 의하여 수신한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1 계정의 승낙 입력에 따라서 구매 요청에 대한 계약을 체결 시, 제2 콘텐츠를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삽입한 새로운 제2 콘텐츠로 대체하는 광고 입력 단계(S30)를 수행한다.
제1 계정의 승낙 입력은, 예를 들어 S20 단계의 수행 시 수신한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 시, 함께 수신한 광고 콘텐츠와 함께 구매 요청을 제1 계정에 전송하여 구매 요청이 있음을 알리고, 이에 대해서 제1 계정이 해당 제2 콘텐츠에 대한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해당 광고 콘텐츠의 출력 영역으로 판매하고자 하여 승낙을 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이 경우, 광고 콘텐츠는 하나의 제2 콘텐츠로 입력되어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제2 콘텐츠와 동일한 지위를 갖는 것이 아니라, 제1 계정이 직접 업로드한 제2 콘텐츠의 상술한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삽입된 상태로 제2 콘텐츠가 가공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마케팅 기술에 비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2 콘텐츠와 별도로 확인하게 됨에 따라, 제1 계정이 해당 판매 대상에 대한 광고를 직접 제작하지 않는 경우 제1 계정이 실제로 업로드하는 콘텐츠와의 이질감에 따라서 유저들의 피로감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인플루언서 및 인플루언서가 업로드하는 콘텐츠를 이용함에 따른 광고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플루언서의 측면에서는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의 일부를 광고 영역으로 판매할 수 있어, 합리적이고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잃지 않는 수익 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광고 입력 단계(S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삽입하여 제2 콘텐츠가 수정된 콘텐츠를, 원래의 제2 콘텐츠에 대체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S30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는 먼저 제2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정지 이미지, 다수의 이미지 및 동영상 이미지 포함)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정지 이미지, 다수의 이미지 및 동영상 이미지 포함)를 삽입하여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이미지 수정 단계(S31)를 수행한다.
이후, 제2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데이터(문자, 숫자, 해시태그 등을 포함)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문자 데이터(문자열 등)를 생성하는 문자 수정 단계(S32)를 수행한다.
이후, S31 및 S32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생성된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및 새로운 문자 데이터를 제1 계정에 전송하여, 제1 계정의 편집 승낙 입력에 따라서 제1 계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콘텐츠 수정 인터페이스를 실행한 뒤 제2 콘텐츠를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및 새로운 문자 데이터로 수정하는 제1 콘텐츠 수정 단계(S33)를 수행한다.
이때 제2 콘텐츠를 수정하는 S33 단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연동되어 단말에서 직접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구동 프로그램에 결합된 본 발명의 기능 수행을 위한 API가 실행되고, 실행된 프로그램이 제1 계정의 로그인 상태에서 제1 계정 대신 자동으로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한편, 예를 들어 인스타그램의 경우, 이미지만이 업로드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S31 단계와 S33 단계만이 수행될 것이며, 편의 상 이미지만이 업로드될 때 S31 단계는 제2 이미지 수정 단계, S33 단계는 제2 콘텐츠 수정 단계로 지칭될 수 있다.
다시 도 1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와서, 이와 같이 광고 콘텐츠에는 이미지 데이터 및 문자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화면(100)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 시 확인할 수 있는 단위 콘텐츠의 조회 화면인데, 이때 제2 콘텐츠의 이미지 데이터(I1)를 포함하여 문자 데이터(103)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콘텐츠가 삽입되는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 역시 이미지 데이터의 출력 영역(Ic)과 문자 데이터의 출력 영역(104)으로 구분되는데, 예를 들어 문자 데이터의 출력 영역(104)은 문자 데이터가 해시 태그인 경우, 제2 콘텐츠의 문자 데이터(103) 중 해시 태그가 출력되는 영역에 인접된 영역, 그렇지 않은 경우 랜덤하거나 최 앞단 또는 뒷단의 어느 한 미리 결정된 영역일 수 있다.
이때 문자 데이터는 광고 문구,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판매 대상을 구매할 수 있는 링크 문자열 정보,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광고주 업체 및 판매 대상에 대해서 선택된 키워드 등의 해시태그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것이다.
링크 문자열 정보는 예를 들어 판매 대상을 구매할 수 있는 링크가 포함된 정보이다. 이와 같이 S30 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광고 콘텐츠에는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판매 대상을 구매할 수 있는 쇼핑 인터페이스의 링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상술한 문자 데이터 이외에, 이미지 데이터에 이를 삽입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삽입 시, 해당 출력 영역을 선택 시 쇼핑 인터페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 인터페이스, 즉 해당 이미지 또는 영역에 쇼핑 인터페이스의 링크 정보를 연동한 링크 인터페이스를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대해서 유저가 선택 입력을 수행 시, 자동 또는 유저의 승낙 입력 하에 쇼핑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상술한 예들에 있어서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의 구매 금액으로서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과금된 금액은 일정한 수수료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계정과 제1 계정이 분배받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 인터페이스의 실행에 의한 쇼핑 인터페이스의 출력 및 이에 의한 구매가 이루어지는 경우, 이에 따라서 구매 금액의 일부가 제1 계정 및 본 발명의 서비스를 운영하는 업체의 계정에 분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계정은 다수의 제2 계정이 팔로우하는 계정인데, 이 경우 제2 계정들은 제1 계정에 대한 상술한 광고 콘텐츠를 확인 시, 이를 함께 구매할 확률이 높다. 이때 해당 구매 확률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련의 프로세스가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확인하는 계정인 제2 계정이 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접속함을 감지하는 접속 감지 단계(S40)를 수행한다.
이후, 쇼핑 인터페이스의 접속을 감지한 후,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판매 대상에 대한 구매 입력을 수신 시,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로서,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판매 대상의 판매 타입 정보가 공동 구매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매 타입 식별 단계(S50)를 수행한다.
S50 단계의 수행은 예를 들어, 판매 대상에 대한 쇼핑 인터페이스 자체의 구매 슬롯(Slot)이 공동 구매 방식으로 설정되어 있어 해당 쇼핑 인터페이스에 대한 접속 감지 방식을 사용하거나, 상술한 링크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링크 정보에 공동 구매 여부를 식별하는 태그 또는 헤더가 삽입되어 있고, 이를 로그 정보에서 감지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공동 구매 여부는 광고주 계정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 입력 또는 광고 콘텐츠에 포함되어 설정될 수 있다.
S50 단계가 수행되면, 컴퓨팅 장치는 판단된 판매 타입 정보가 공동 구매 타입인 경우, 제2 계정들의 구매 입력 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구매 입력 수가 광고 콘텐츠에 포함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쇼핑 인터페이스에 설정된 판매 관련 정보로서 공동 구매 인원에 도달된 경우, 제2 계정들에 구매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구매 확정 단계(S60)를 수행한다. 제2 계정들에 구매 완료 정보를 전송함은 공동 구매 조건(공동 구매 인원)을 만족함을 알리고, 해당 판매 대상이 제공될 예정임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함을 의미할 것이다.
S60 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컴퓨팅 장치는 구매 확정 단계(S60)에 포함된 제2 계정들, 즉 공동 구매 인원에 포함된 제2 계정들에 상기 판매 대상을 제공하는 판매 대상 제공 단계(S70)를 수행한다. S70 단계는 예를 들어 판매 대상이 물품인 경우 이를 배송하도록 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진행하거나, 판매 대상이 서비스인 경우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진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S70 단계를 수행함에 있어서 공동 구매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컴퓨팅 장치는 예를 들어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되도록 입력되거나 별도로 입력된 물품으로서, 판매 대상에 연동된 사은 물품을 판매 대상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매의 흐름에 대한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현에 따라서 판매 대상에 대한 구매가 이루어지는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콘텐츠(100)의 Ic를 선택 시, 링크 인터페이스의 실행에 따라서 쇼핑 인터페이스(120)가 실행된다. 이때 제2 계정들은 구매 메뉴(121)를 통해 판매 대상을 구매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술한 공동 구매 조건을 충족 시, Ic에 해당하는 판매 대상 및 사은품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다른 도면들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내용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장치(10)는, 광고 구좌 생성부(11), 구매 요청 수신부(12) 및 광고 입력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 5를 참조하면, 광고 장치(10)에는 쇼핑 연동부(14)가 포함되거나 별도로 연동되며, 쇼핑 연동부(14)에는 접속 감지부(141), 판매 타입 식별부(142), 구매 확정부(143) 및 판매 대상 제공부(144)가 포함될 수 있다.
광고 구좌 생성부(11)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 계정 중 광고 콘텐츠인 제1 콘텐츠를 연동 출력할 것으로 계약된 제1 계정으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되는 콘텐츠 중 제1 콘텐츠를 출력할 것으로 제1 계정이 접속한 제1 단말(20)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결정된 제2 콘텐츠의 출력 영역 일부에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마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설명에서 S10 단계에 대한 모든 설명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구매 요청 수신부(12)는 제2 콘텐츠의 리스트를 광고주 단말(40)을 통해 접속한 광고주 계정에 제공하고,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제2 콘텐츠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고자 함에 따른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S20 단계에 대한 모든 설명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광고 입력부(13)는 구매 요청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한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1 계정의 승낙 입력에 따라서 구매 요청에 대한 계약을 체결 시, 제2 콘텐츠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삽입한 새로운 제2 콘텐츠로 대체하도록 소셜 네트워크 서버(5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S30 단계 및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쇼핑 연동부(14)의 접속 감지부(141)는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확인하는 계정인 제2 계정이 그들의 제2 단말(30)을 이용하여 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쇼핑 인터페이스, 즉 쇼핑몰 서버(60)에 접속함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S4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판매 타입 식별부(142)는 쇼핑 인터페이스의 접속을 감지한 후,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판매 대상에 대한 구매 입력을 수신 시,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로서,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판매 대상의 판매 타입 정보가 공동 구매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S5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구매 확정부(143)는 판단된 판매 타입 정보가 공동 구매 타입인 경우, 제2 계정들의 구매 입력 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구매 입력 수가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로서 공동 구매 인원에 도달된 경우, 제2 계정들에 구매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S6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판매 대상 제공부(144)는 구매가 확정된 제2 계정들에 상기 판매 대상을 제공하는 기능, 추가적으로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물품으로서, 상기 판매 대상에 연동된 사은 물품을 상기 판매 대상과 함께 제공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S70 단계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9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 계정 중 광고 콘텐츠인 제1 콘텐츠를 연동 출력할 것으로 계약된 제1 계정으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되는 콘텐츠 중 상기 제1 콘텐츠를 출력할 것으로 상기 제1 계정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결정된 제2 콘텐츠의 출력 영역 일부에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할당하는 광고 구좌 생성 단계;
    상기 제2 콘텐츠의 리스트를 광고주 계정에 제공하고,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제2 콘텐츠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고자 함에 따른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구매 요청 수신 단계; 및
    상기 구매 요청 수신 단계에 의하여 수신한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1 계정의 승낙 입력에 따라서 구매 요청에 대한 계약을 체결 시,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삽입한 새로운 제2 콘텐츠로 대체하는 광고 입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계정의 승낙 입력은,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 시, 함께 수신한 광고 콘텐츠와 함께 구매 요청을 제1 계정에 전송하여 구매 요청이 있음을 알리고, 이에 대해서 제1 계정이 해당 제2 콘텐츠에 대한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해당 광고 콘텐츠의 출력 영역으로 판매하고자 하여 승낙을 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입력 단계는,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이미지 수정 단계;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데이터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문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 수정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 수정 단계 및 상기 문자 수정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생성된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및 새로운 문자 데이터를 제1 계정에 전송하여, 제1 계정의 편집 승낙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 계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콘텐츠 수정 인터페이스를 실행한 뒤 제2 콘텐츠를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및 새로운 문자 데이터로 수정하는 제1 콘텐츠 수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입력 단계는,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이미지 수정 단계; 및
    상기 제2 이미지 수정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생성된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제1 계정에 전송하여, 제1 계정의 편집 승낙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 계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콘텐츠 수정 인터페이스를 실행한 뒤 제2 콘텐츠를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로 수정하는 제2 콘텐츠 수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입력 단계는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삽입하여 제2 콘텐츠가 수정된 콘텐츠를, 원래의 제2 콘텐츠에 대체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광고 콘텐츠는 하나의 제2 콘텐츠로 입력되어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제2 콘텐츠와 동일한 지위를 갖는 것이 아니라, 제1 계정이 직접 업로드한 제2 콘텐츠의 상기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삽입된 상태로 제2 콘텐츠로 가공되되,
    상기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의 구매 금액은,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확인하는 계정인 제2 계정의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의 평균 조회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들의 판매 대상별 평균 조회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의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한 긍정 평가 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결정되되,
    상기 판매 대상별 평균 조회 수는,
    자동 또는 관리자 계정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제2 콘텐츠와 판매 대상의 연관성을 기준으로 제2 콘텐츠들 중 판매 대상에 따라서 제2 콘텐츠를 그룹화하고, 각 그룹 중 광고 콘텐츠에 매칭되는 그룹에 대한 평균 조회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입력 단계는,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로서,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판매 대상을 구매할 수 있는 쇼핑 인터페이스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여 선택 시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입력 단계의 수행 후,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확인하는 계정인 제2 계정이 상기 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에 접속함을 감지하는 접속 감지 단계;
    상기 쇼핑 인터페이스의 접속을 감지한 후,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판매 대상에 대한 구매 입력을 수신 시,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로서,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판매 대상의 판매 타입 정보가 공동 구매 타입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매 타입 식별 단계;
    상기 판매 타입 식별 단계에 의하여 판단된 판매 타입 정보가 공동 구매 타입인 경우, 제2 계정들의 구매 입력 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구매 입력 수가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정보로서 공동 구매 인원에 도달된 경우, 제2 계정들에 구매 완료 정보를 전송하는 구매 확정 단계; 및
    상기 구매 확정 단계에 포함된 제2 계정들에 상기 판매 대상을 제공하는 판매 대상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 대상 제공 단계는,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입력된 물품으로서, 상기 판매 대상에 연동된 사은 물품을 상기 판매 대상과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7. 삭제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 계정 중 광고 콘텐츠인 제1 콘텐츠를 연동 출력할 것으로 계약된 제1 계정으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되는 콘텐츠 중 상기 제1 콘텐츠를 출력할 것으로 상기 제1 계정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결정된 제2 콘텐츠의 출력 영역 일부에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마련하는 광고 구좌 생성부;
    상기 제2 콘텐츠의 리스트를 광고주 계정에 제공하고,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제2 콘텐츠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고자 함에 따른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구매 요청 수신부; 및
    상기 구매 요청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한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1 계정의 승낙 입력에 따라서 구매 요청에 대한 계약을 체결 시,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삽입한 새로운 제2 콘텐츠로 대체하는 광고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계정의 승낙 입력은,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 시, 함께 수신한 광고 콘텐츠와 함께 구매 요청을 제1 계정에 전송하여 구매 요청이 있음을 알리고, 이에 대해서 제1 계정이 해당 제2 콘텐츠에 대한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해당 광고 콘텐츠의 출력 영역으로 판매하고자 하여 승낙을 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입력부는,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이미지 수정부;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데이터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문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 수정부; 및
    상기 제1 이미지 수정부 및 상기 문자 수정부의 수행에 따라서 생성된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및 새로운 문자 데이터를 제1 계정에 전송하여, 제1 계정의 편집 승낙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 계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콘텐츠 수정 인터페이스를 실행한 뒤 제2 콘텐츠를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및 새로운 문자 데이터로 수정하는 제1 콘텐츠 수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입력부는,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이미지 수정부; 및
    상기 제2 이미지 수정부의 수행에 따라서 생성된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제1 계정에 전송하여, 제1 계정의 편집 승낙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 계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콘텐츠 수정 인터페이스를 실행한 뒤 제2 콘텐츠를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로 수정하는 제2 콘텐츠 수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입력부는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삽입하여 제2 콘텐츠가 수정된 콘텐츠를, 원래의 제2 콘텐츠에 대체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광고 콘텐츠는 하나의 제2 콘텐츠로 입력되어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제2 콘텐츠와 동일한 지위를 갖는 것이 아니라, 제1 계정이 직접 업로드한 제2 콘텐츠의 상기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삽입된 상태로 제2 콘텐츠로 가공되되,
    상기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의 구매 금액은,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확인하는 계정인 제2 계정의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의 평균 조회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들의 판매 대상별 평균 조회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의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한 긍정 평가 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결정되되,
    상기 판매 대상별 평균 조회 수는,
    자동 또는 관리자 계정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제2 콘텐츠와 판매 대상의 연관성을 기준으로 제2 콘텐츠들 중 판매 대상에 따라서 제2 콘텐츠를 그룹화하고, 각 그룹 중 광고 콘텐츠에 매칭되는 그룹에 대한 평균 조회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장치.
  9.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는,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 계정 중 광고 콘텐츠인 제1 콘텐츠를 연동 출력할 것으로 계약된 제1 계정으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업로드되는 콘텐츠 중 상기 제1 콘텐츠를 출력할 것으로 상기 제1 계정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결정된 제2 콘텐츠의 출력 영역 일부에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마련하는 광고 구좌 생성 단계;
    상기 제2 콘텐츠의 리스트를 광고주 계정에 제공하고,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제2 콘텐츠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출력하고자 함에 따른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구매 요청 수신 단계; 및
    상기 구매 요청 수신 단계에 의하여 수신한 구매 요청에 대응하는 제2 콘텐츠를 업로드한 제1 계정의 승낙 입력에 따라서 구매 요청에 대한 계약을 체결 시, 상기 제2 콘텐츠를 상기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주 계정으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삽입한 새로운 제2 콘텐츠로 대체하는 광고 입력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계정의 승낙 입력은,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신 시, 함께 수신한 광고 콘텐츠와 함께 구매 요청을 제1 계정에 전송하여 구매 요청이 있음을 알리고, 이에 대해서 제1 계정이 해당 제2 콘텐츠에 대한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을 해당 광고 콘텐츠의 출력 영역으로 판매하고자 하여 승낙을 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입력 단계는,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이미지 수정 단계;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데이터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문자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문자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 수정 단계; 및
    상기 제1 이미지 수정 단계 및 상기 문자 수정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생성된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및 새로운 문자 데이터를 제1 계정에 전송하여, 제1 계정의 편집 승낙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 계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콘텐츠 수정 인터페이스를 실행한 뒤 제2 콘텐츠를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 및 새로운 문자 데이터로 수정하는 제1 콘텐츠 수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입력 단계는,
    상기 제2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의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상기 광고 콘텐츠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를 삽입하여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이미지 수정 단계; 및
    상기 제2 이미지 수정 단계의 수행에 따라서 생성된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를 제1 계정에 전송하여, 제1 계정의 편집 승낙 입력에 따라서 상기 제1 계정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콘텐츠 수정 인터페이스를 실행한 뒤 제2 콘텐츠를 상기 새로운 이미지 데이터로 수정하는 제2 콘텐츠 수정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광고 입력 단계는 제1 콘텐츠의 출력 영역에 광고 콘텐츠를 삽입하여 제2 콘텐츠가 수정된 콘텐츠를, 원래의 제2 콘텐츠에 대체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광고 콘텐츠는 하나의 제2 콘텐츠로 입력되어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제2 콘텐츠와 동일한 지위를 갖는 것이 아니라, 제1 계정이 직접 업로드한 제2 콘텐츠의 상기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에 삽입된 상태로 제2 콘텐츠로 가공되되,
    상기 제1 콘텐츠 출력 영역의 구매 금액은,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확인하는 계정인 제2 계정의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의 평균 조회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들의 판매 대상별 평균 조회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의 수, 상기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콘텐츠에 대한 긍정 평가 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결정되되,
    상기 판매 대상별 평균 조회 수는,
    자동 또는 관리자 계정에 의하여 결정되는 제1 계정이 업로드한 제2 콘텐츠와 판매 대상의 연관성을 기준으로 제2 콘텐츠들 중 판매 대상에 따라서 제2 콘텐츠를 그룹화하고, 각 그룹 중 광고 콘텐츠에 매칭되는 그룹에 대한 평균 조회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210001354A 2021-01-06 2021-01-0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535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354A KR102535221B1 (ko) 2021-01-06 2021-01-0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354A KR102535221B1 (ko) 2021-01-06 2021-01-0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294A KR20220099294A (ko) 2022-07-13
KR102535221B1 true KR102535221B1 (ko) 2023-05-22

Family

ID=8240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354A KR102535221B1 (ko) 2021-01-06 2021-01-06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2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57B1 (ko) * 2011-03-07 2012-01-11 김성찬 온라인 콘텐츠를 이용한 광고서비스 시스템과 광고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340A (ko) * 2010-10-13 2012-04-23 석철숙 광고를 결합한 온-오프라인 무료 컨텐츠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80120571A (ko) * 2017-04-27 2018-11-06 권민성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마케팅 시스템
KR20200097554A (ko) * 2019-02-08 2020-08-19 김영훈 Sns 정량적 광고성과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557B1 (ko) * 2011-03-07 2012-01-11 김성찬 온라인 콘텐츠를 이용한 광고서비스 시스템과 광고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294A (ko) 2022-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217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provider-driven shopping
KR101960877B1 (ko) 3d 프린팅에서의 연합 프린터 액세스 기법
US11308544B2 (en) System and method to generate shoppable content and increase advertising revenue in social networking using contextual advertising
US9818129B2 (en) Methods for calculating advertisement effectiveness
US20130185198A1 (en) Incremental Content Purchase And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70323335A1 (en) Method for advertising or selling products on basis of user's social network service activity
US20190378166A1 (en) Attention application user classification privacy
US9430796B1 (en) Direct purchase from user-received advertisement
CN106030641A (zh) 对于用户生成的游戏内容的微支付补偿
JP6275189B2 (ja) コンテンツにリンク情報を登録するサービス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535221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인플루언서를 이용한 광고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445594B1 (ko) 상품 홍보에 대한 광고 계정의 영향도 및 홍보 기여율을 확인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기록 매체
US2024001503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horizing transactions based on a derived public key
US2022019803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rotecting recipient privacy
US20160225020A1 (en) Identfying mobile users to receive advertisements
KR102300609B1 (ko) 소셜 플랫폼을 통해 동영상 콘텐츠 및 동영상 콘텐츠와 관련된 부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406161B1 (ko) 리뷰 커뮤니티를 통한 판매 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210158397A1 (en) Dynamic real-time budget wallet tool
US11232514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uctions and real-time bidding for users of platforms operating on a rewards-based, universal, integrated code base
KR102550253B1 (ko) 병행수입제품 데이터에 대한 크롤링 기법 기반 매입 의사 결정의 자동화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20335509A1 (en) Systems and methods to generate shoppable content and increase advertising revenue in social platforms using contextual advertising
US2023036003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ynamic update to access control rules in a computing system based on blockchain monitoring
US202302980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redemption of unique digital asset utility
US2024002068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ple gating verifications based on a blockchain wallet
US2024007853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usage-conditioned access control based on a blockchain w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