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661B1 - A gondola for transferring heavyweight material - Google Patents

A gondola for transferring heavyweight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661B1
KR102534661B1 KR1020230020506A KR20230020506A KR102534661B1 KR 102534661 B1 KR102534661 B1 KR 102534661B1 KR 1020230020506 A KR1020230020506 A KR 1020230020506A KR 20230020506 A KR20230020506 A KR 20230020506A KR 102534661 B1 KR102534661 B1 KR 1025346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frame
gondola
eyepie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05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아특수중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아특수중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아특수중량
Priority to KR1020230020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66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6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66B9/187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with a liftway specially adapted for temporary connection to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비작업용 곤돌라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중량물을 거치하여 운반할 수 있는 곤돌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와이어를 매개로 크레인에 의해 인양되어 전방이 건물의 외벽에 형성되는 반입구에 배치되는 곤돌라에 있어서, 상면에 줄량물이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 바닥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는 골조프레임; 바닥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와이어의 단부가 체결되는 인양플레이트; 및 바닥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되어 외벽에 접하는 접안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ndola for doggy work, and more specifically, to a gondola capable of carrying heavy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is a gondola that is lifted by a crane via a wire and disposed at an entrance form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t the front, including a floor plate on which a weigh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 frame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A lifting plate disposed on the rim of the bottom plate to which the end of the wire is fastened; And it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may include an eyepiece frame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Description

도비작업용 곤돌라{A GONDOLA FOR TRANSFERRING HEAVYWEIGHT MATERIAL}Gondola for dobby work {A GONDOLA FOR TRANSFERRING HEAVYWEIGHT MATERIAL}

본 발명은 도비작업용 곤돌라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중량물을 거치하여 운반할 수 있는 곤돌라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ondola for doggy work, and more specifically, to a gondola capable of carrying heavy objects.

일반적으로, 도비작업은 설비, 차량, 선박, 공장 물품과 같이 부피가 크고, 고중량인 중량물의 운반, 이사 작업을 의미한다.In general, dobi work refers to transportation and moving work of bulky and heavy heavy objects such as facilities, vehicles, ships, and factory goods.

특히, 반도체, AMOLED, LCD, PDP, LED, PHEV & EV Battery, 2차전지, 태양광, 원자력발전설비 등과 같이 충격에 민감한 정밀설비와 같은 물품은 운반에 있어서 그 신중함이 요하며, 이를 안정적으로 운반하기 위한 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In particular, items such as semiconductors, AMOLEDs, LCDs, PDPs, LEDs, PHEV & EV batteries, secondary batteries, solar power, nucle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etc., which are sensitive to shocks, require prudence in transporting them. There is a need for equipment for transportation.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물을 거치하여 운반할 수 있는 곤돌라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ondola capable of carrying heavy load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와이어를 매개로 크레인에 의해 인양되어 전방이 건물의 외벽에 형성되는 반입구에 배치되는 곤돌라에 있어서, 상면에 줄량물이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 바닥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는 골조프레임; 바닥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와이어의 단부가 체결되는 인양플레이트; 및 바닥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되어 외벽에 접하는 접안프레임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접안공이 접안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접안프레임에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gondola that is lifted by a crane via a wire and disposed at an entrance form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in front of the gondola, which includes: a floor plate on which a weigh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 frame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A lifting plate disposed on the rim of the bottom plate to which the end of the wire is fastened; And an eyepiece frame install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and a plurality of eyepiece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yepiece frame may be formed in the eyepiece frame.

본 발명은 바닥플레이트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안전펜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fence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본 발명에서 골조프레임은 바닥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모서리프레임; 및 격자 형태로 이루어져서 모서리프레임 간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frame is a corner frame disposed on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it may include a reinforcing frame made of a lattice form and disposed between the corner frames.

본 발명은 와이어를 매개로 크레인에 의해 인양되어 전방이 건물의 외벽에 형성되는 반입구에 배치되는 곤돌라에 있어서, 상면에 줄량물이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 바닥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는 골조프레임; 바닥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와이어의 단부가 체결되는 인양플레이트; 및 바닥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되어 외벽에 접하는 접안프레임을 포함하고, 바닥플레이트의 너비방향을 따라 바닥플레이트에 장공이 형성되고, 접안프레임은 일단이 장공을 관통하는 축결합부; 및 일단이 축결합부의 타단에 절곡 형성되고, 타단이 반입구에 인입되어 외벽에 거치되는 접안부를 포함하고, 곤돌라는 바닥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장공과 연통하는 하우징; 바닥플레이트의 너비방향을 따라 하우징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축결합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회전축; 및 하우징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회전축에 관통되는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gondola that is lifted by a crane via a wire and disposed at an entrance form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at the front, including a floor plate on which a weigh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 frame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loor plate; A lifting plate disposed on the rim of the bottom plate to which the end of the wire is fastened; and an eyepiece frame install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a long hole formed in the bottom plat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and the eyepiece frame having one end penetrating the long hole; and an eyepiece, one end of which is bent to the other end of the shaft coupling part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entrance and mounted on an outer wall, and the gondola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communicates with the long hole; A rotary shaf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and screwed through the shaft coupling part; And i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bearings penetrating the rotating shaf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바닥플레이트의 전방측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댐퍼; 및 상부댐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우징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하부댐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damp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lower damper disposed under the upper damper and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도비작업용 곤돌라는 바닥플레이트에 중량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바닥플레이트가 접안프레임을 통해서 외벽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중량물의 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gondola for doggy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avy objects can be stably seated on the bottom plate, and the floor plate can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through the eyepiece frame, so that the operator can stably carry the heavy objec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비작업용 곤돌라가 크레인에 의해서 건물의 외벽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내지 도 3c는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도비작업용 곤돌라의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5c는 순차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전방프레임, 후방프레임, 수평프레임, 측방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6a,b는 순차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수직프레임의 저면도,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a에 도시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a,b는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인양프레임의 측면도,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안전펜스와 바닥플레이트 간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도비작업용 곤돌라가 건물의 외벽에 접안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12는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비작업용 곤돌라의 전방측 사시도,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A-A' 섹션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회전축, 접안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부분 'A'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하부댐퍼와 하우징 간 분해사시도이다.
도 17a,b는 도 11에 도시된 도비작업용 곤돌라의 측면도로서, 순차적으로 도비작업용 곤돌라가 건물의 외벽에 접안된 상태를 나타낸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gondola for evacuation wor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by a crane.
2 to 3c are a plan view,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of the gondola for gutter work shown in FIG. 1 in sequence.
4A to 5C are bottom views of a front frame, a rear frame, a horizontal frame, and a side frame sequentially shown in FIG. 3A.
6a and b are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sequentially of the vertical frame shown in FIG. 3a.
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shown in FIG. 3A.
8a and b are side views and front views of the lifting frame shown in FIG. 1 in sequenc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etween the safety fence and the bottom plate shown in FIG. 2;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ondola for dobi work shown in FIG. 1 is dock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11 and 12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sequentially of the front side of the gondola for dobill wor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n 'AA' section diagram shown in FIG. 11 .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shaft and the eyepiece frame shown in FIG. 11;
FIG. 15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shown in FIG. 13 .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etween the lower damper and the housing shown in FIG. 11;
17a and b are side views of the gondola for shedding work shown in FIG. 11, sequenti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ondola for shedding work is dock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order to explain in detail to the extent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후술되는 내용에 표현된 방향에 있어서, "전방"은 도 10에 도시된 바닥플레이트(110)를 기준하여 건물(30)의 외벽(31)을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irection described below, "front" is defined as a direction toward the outer wall 31 of the building 30 based on the floor plate 110 shown in FIG.

그리고, "상부"는 도 10에 도시된 바닥플레이트(110)를 기준하여 인양프레임(150) 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정의한다.In addition, "top" is defined as a direction toward the lifting frame 150 based on the bottom plate 110 shown in FIG. 10 .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비작업용 곤돌라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a gondola for dobill wor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비작업용 곤돌라가 크레인에 의해서 건물의 외벽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 내지 도 3c는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도비작업용 곤돌라의 평면도, 저면도, 측면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gondola for scouring wor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an outer wall of a building by a crane, and FIGS. 2 to 3C are sequentially plan views of the gondola for scouring work shown in FIG. 1, It is a bottom view and a side view.

도 1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도비작업용 곤돌라(100, 이하, '곤돌라'라 함)는 와이어(21)를 매개로 크레인(10)에 의해 인양되어 전방이 건물(30)의 외벽(31)에 형성되는 반입구(32)에 배치될 수 있다.1 to 3c, the gondola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gondola') for evacuation work is lifted by the crane 10 via the wire 21, and the front is the outer wall 31 of the building 30 It can be placed in the carrying inlet 32 formed in.

상기 곤돌라(100)는 상면에 줄량물(1)이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110),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하면에 설치되는 골조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gondola 100 may include a bottom plate 110 on which the string material 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a frame frame 120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그리고, 상기 곤돌라(10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21)의 단부가 체결되는 인양플레이트(130),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외벽(31)에 접하는 접안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ondola 100 has a lifting plate 130 disposed on the rim of the bottom plate 110 to which the end of the wire 21 is fastened, and install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110 to lift the outer wall 31 ) may include an eyepiece frame 140 in contact with.

즉,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중량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상기 바닥플레이트(110)가 상기 접안프레임(140)을 통해서 상기 외벽(31)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중량물의 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heavy object can be stably seated on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bottom plate 110 can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31 through the eyepiece frame 140, so that the operator can stably transport can be performed.

상기 바닥플레이트(110), 인양플레이트(130)는 철재, 합금강과 같이 중량물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공지의 소재를 제작될 수 있다.The bottom plate 110 and the lifting plate 130 may be made of a known material capable of withstanding the load of heavy objects, such as steel or alloy steel.

상기 인양플레이트(130)는 와이어체결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21)의 단부가 상기 와이어체결공(131)에 통과하여 볼트, 피스, 클램프, 타이와 같은 공지의 고정부재(이하, '고정부재'라 함)를 매개로 자체 고정될 수 있다.The lifting plate 130 is formed with a wire fastening hole 131, and the end of the wire 21 passes through the wire fastening hole 131 to a known fixing member such as a bolt, piece, clamp, or tie (hereinafter , referred to as 'fixing member') may be self-fixed.

또는, 상기 와이어(21)의 단부가 샤클을 매개로 상기 인양플레이트(13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an end of the wire 21 may be fastened to and fixed to the lifting plate 130 via a shackle.

상기 와이어(21)는 일 예로, 복수 개의 철심이 방사형태로 배치되어 형성되는 평형연로프가 사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ire 21 may be a balanced lead rope formed by radially arranging a plurality of iron cores.

도 4a 내지 도 5c는 순차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전방프레임, 후방프레임, 수평프레임, 측방프레임의 저면도이고, 도 6a,b는 순차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수직프레임의 저면도, 측면도이다.4a to 5c are sequentially bottom views of the front frame, rear frame, horizontal frame, and side frame shown in FIG. 3a, and FIGS. 6a and b are bottom views and side views of the vertical frame sequentially shown in FIG. 3a.

그리고, 도 7은 도 3a에 도시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 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And,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horizontal frame shown in Figure 3a.

도 4a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골조프레임(120)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H빔, 각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4A to 7, the frame frame 120 is a configuration for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bottom plate 110,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n H-beam or square tube using the same material as the bottom plate 110. It can be.

상기 골조프레임(120)은 용접방식 또는 상기 고정부재를 매개로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고정될 수 있다.The skeleton frame 120 may be fixed to the bottom plate 110 by a welding method or the medium of the fixing member.

상기 골조프레임(120)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모서리프레임(121), 격자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모서리프레임(121) 간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keleton frame 120 may include a corner frame 121 disposed on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110 and a reinforcing frame 122 disposed between the corner frames 121 in a lattice shape.

상기 모서리프레임(121)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프레임(121a),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프레임(121b),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전방프레임(121a)과 후방프레임(121b) 간에 배치되는 측방프레임(121c)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rner frame 121 is composed of a pair of a front frame 121a dispos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110 and a rear frame 121b disposed in the rear of the bottom plate 110,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ide frame 121c disposed between the front frame 121a and the rear frame 121b may be included.

상기 보강프레임(122)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이격되어 상기 측방프레임(121c)과 평행하게 상기 측방프레임(121c) 간에 배치되는 수평프레임(122a)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frame 122 may include a horizontal frame 122a that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side frames 121c in parallel with the side frames 121c.

그리고, 상기 보강프레임(122)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호 이격되어 상기 측방프레임(121c)과 수직으로 상기 수평프레임(122a) 간에 배치되거나, 상기 수평프레임(122a)과 측방프레임(121c) 간에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22b)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frames 122 are made of a plurality of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horizontal frames 122a vertically from the side frames 121c, or between the horizontal frames 122a and the side frames 121c. It may include a vertical frame (122b) to b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22b)은 상기 수평프레임(122a) 또는 측방프레임(121c)과 맞물린 상태로 모살용접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vertical frame 122b may be fixed by rough welding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horizontal frame 122a or the side frame 121c.

도 8a,b는 순차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인양프레임의 측면도, 정면도이다.8a and b are side views and front views of the lifting frame shown in FIG. 1 in sequence.

도 8a,b를 참조하면, 상기 곤돌라(100)는 상기 와이어(21)에 설치되는 인양프레임(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A and 8B , the gondola 100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frame 150 installed on the wire 21 .

상기 인양프레임(150)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인양프레임(150)의 양단에 와이어체결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21)가 상기 와이어체결공(131)을 통과하여 상기 인양프레임(150)이 상기 와이어(21)에 거치될 수 있다.The lifting frame 15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loor plate 110, and wire fastening holes 131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ifting frame 150, and the wire 21 is fastened to the wire. The lifting frame 150 may be mounted on the wire 21 through the ball 131 .

즉, 크레인(10)의 체인블록(11)과 상기 인양플레이트(130) 간에 설치되는 상기 와이어(21)에 상기 인양프레임(150)이 거치됨으로써, 상기 곤돌라(100)의 인양 시 상기 와이어(21)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높여줄 수 있다.That is, the lifting frame 150 is placed on the wire 21 installed between the chain block 11 of the crane 10 and the lifting plate 130, so that when lifting the gondola 100, the wire 21 ) can increase the tensile force acting on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안전펜스와 바닥플레이트 간 분해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etween the safety fence and the bottom plate shown in FIG. 2;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곤돌라(10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안전펜스(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gondola 100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fence 112 installed on an edge of the bottom plate 110 .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모서리프레임(121)은 펜스결합공(111)이 형성되고, 상기 안전펜스(112)의 하단이 상기 펜스결합공(1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A fence coupling hole 111 is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corner frame 121, and a lower end of the safety fence 112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ence coupling hole 111.

즉, 상기 안전펜스(112)를 통해 추락가능성을 줄여줄 수 있어서, 작업자가 바닥플레이트(110) 상에서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중량물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possibility of falling can be reduced through the safety fence 112, the operator can safely work on the floor plate 110, and the heavy object can be prevented from overturning.

상기 접안프레임(140)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용접방식 또는 상기 고정부재를 매개로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전방 양측면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The eyepiece frame 14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ttom plate 110, and may be formed as a pair and fixed to both front side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110 by welding or via the fixing member. .

상기 접안프레임(140)의 간격은 상기 반입구(32)의 너비에 대응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접안프레임(140)이 상기 반입구(32)에 인입되어 상기 접안프레임(140)의 하단과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전방측 단부가 상기 외벽(31)에 접할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eyepiece frames 140 corresponds to or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inlet 32, so that the eyepiece frame 140 is inserted into the inlet 32 and the lower end of the eyepiece frame 140 And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1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31).

상기 곤돌라(10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접안플레이트(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ondola 100 may further include an eyepiece plate 160 installed behind the bottom plate 110 .

상기 접안플레이트(16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같은 소재로 제작되고, 너비가 상기 반입구(32)의 너비에 대응하거나,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The eyepiece plate 16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ttom plate 110 and ma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or smaller than that of the carrying port 32 .

상기 접안플레이트(160)는 상기 접안프레임(140)보다 상기 외벽(31)에 접하는 면적이 넓어서 상기 곤돌라(100)의 접안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yepiece plate 160 has a larger area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31 than the eyepiece frame 140, so that the gondola 100 can be docked more stably.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현장조건에 따라서 상기 곤돌라(100)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접안프레임(140) 또는 접안플레이트(160)를 선택할 수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select the eyepiece frame 140 or the eyepiece plate 160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gondola 100 according to the working site conditions.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도비작업용 곤돌라가 건물의 외벽에 접안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ondola for dobi work shown in FIG. 1 is docked on the outer wall of a building.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중량물이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21)를 상기 인양플레이트(130), 인양프레임(150), 체인블록(11)에 순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the operator can sequentially install the wire 21 on the lifting plate 130, the lifting frame 150, and the chain block 11 in a state in which a heavy object is seated on the bottom plate 110. there is.

이후, 크레인(10)에 의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110)가 인양되어 상기 반입구(32)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접안프레임(140)이 상기 반입구(32)에 인입되어 상기 곤돌라(100)의 접안이 완료될 수 있다.Thereafter, the floor plate 110 is lifted by the crane 10 and moved toward the loading port 32, and the eyepiece frame 140 is brought into the loading port 32 to berth the gondola 100 this can be completed.

여기서, 상기 곤돌라(100)의 위치가 불특정 외력에 의해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건물(30)의 내부 바닥면에 임시로 상기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블록(33)이 설치될 수 있다.Here, in order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gondola 100 from being changed by an unspecified external force, a fixing block 33 may be temporarily installed on the inner floor of the building 30 via the fixing member.

그리고, 복수 개의 접안공(140a)이 상기 접안프레임(1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접안프레임(14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eyepiece holes 140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yepiece frame 140 and formed in the eyepiece frame 140 .

즉, 작업자가 상기 접안공(140a)을 택일하여 와이어(22)를 통과시킨 후, 상기 고정부재를 매개로 상기 와이어(22)를 상기 고정블록(33)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곤돌라(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접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after the operator passes the wire 22 through the eyepiece 140a and then fixes the wire 22 to the fixing block 33 via the fixing member, the gondola 100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stable berthed state.

상기 곤돌라(100)가 접안된 상태에서 상기 작업자는 수동윈치를 사용하여 중량물을 인양한 후, 중량물의 하단에 캐스터를 배치할 수 있고, 중량물을 당겨서 상기 반입구(32)를 통해 건물의 내부로 운반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gondola 100 is docked, the operator can lift the heavy object using a manual winch, place a caster at the lower end of the weight object, and pull the weight object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loading port 32. can be transported

이하,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비작업용 곤돌라에 대하여 설명하되, 전술된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1 to 17, the gondola for dobi wor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1,12는 순차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비작업용 곤돌라의 전방측 사시도,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A-A' 섹션도이다.11 and 12 are sequentially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of the front side of a gondola for sheathing wor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n 'A-A' section view shown in FIG. 11 .

그리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회전축, 접안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부분 'A' 확대도이고,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하부댐퍼와 하우징 간 분해사시도이다.And,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ng shaft and eyepiece frame shown in Figure 11, Figure 15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A' shown in Figure 13, Figure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etween the lower damper and the housing shown in Figure 11 .

그리고, 도 17a,b는 도 11에 도시된 도비작업용 곤돌라의 측면도로서, 순차적으로 도비작업용 곤돌라가 건물의 외벽에 접안된 상태를 나타낸다.And, FIGS. 17A and 17B are side views of the gondola for gutter work shown in FIG. 11,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ondola for girder work is sequentially dock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곤돌라(100')는 바닥플레이트(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바닥플레이트(110')에 장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11 to 17, in the gondola 100', a long hole 113 may be formed in the bottom plate 11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110'.

접안프레임(140')은 일단이 상기 장공(113)을 관통하는 축결합부(141), 일단이 상기 축결합부(141)의 타단에 절곡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반입구(32)에 인입되어 상기 외벽(31)에 거치되는 접안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eyepiece frame 140' has one end bent at the shaft coupling portion 141 penetrating the long hole 113, one end bent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coupling portion 141,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carrying port 32. It may include an eyepiece 142 mounted on the outer wall 31.

상기 곤돌라(100)는 전술된 제1실시예의 구성 외에 하기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gondola 100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곤돌라(10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장공(113)과 연통하는 하우징(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gondola 100'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170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110'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ng hole 113.

그리고, 상기 곤돌라(10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70)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축결합부(141)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회전축(171), 상기 하우징(17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71)에 관통되는 베어링(1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ondola 1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7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rotating shaft 171 penetrates the shaft coupling part 141 and is screwed together; Bearings 172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70 and penetrating the rotating shaft 171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하우징(170)은 상기 전방프레임(121a)의 전방에 배치되고, 내부가 빈 육면체로서,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상면이 제거되어 내부가 상기 장공(113)과 연통될 수 있다.The housing 17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frame 121a and is a hexahedron with an empty inside. can be connected with

상기 회전축(171)은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와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172)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17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rotating shaft 171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ottom plate 110', and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housing 170 via the bearing 172.

상기 접안프레임(14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회전축(171)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축(171)에 결합되는 나선방향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eyepiece frames 140' are formed as a pair and are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171, and a spiral direction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171 may be formed in an opposite direction.

즉, 상기 접안프레임(140')은 상기 회전축(171)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 시, 상기 회전축(171)을 따라 선형이동하며 상호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다.That is, when the eyepiece frame 140' rotates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171, it linearly moves along the rotation shaft 171, and the distance between them may widen or narrow.

여기서, 상기 장공(113)의 폭과 상기 축결합부(141)의 폭은 상호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회전축(171)의 회전 시 상기 접안프레임(140')이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걸려서 상기 회전축(171)과 동조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회전축(171)을 따라 선형이동할 수 있다.Here, the width of the long hole 113 and the width of the shaft coupling part 141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eyepiece frame 140' is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110' when the rotating shaft 171 rotates. It is prevented from being caught and rota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otational shaft 171, so that it can linearly move along the rotational shaft 171.

작업자는 상기 반입구(32)의 너비에 맞게 상기 접안프레임(140')의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곤돌라(100')의 접안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반입구(32)의 너비에 따라 별도의 상기 곤돌라(100')를 제작하지 않아도 된다.Since the operator can perform berthing of the gondola 100' by adjusting the spacing of the eyepiece frame 140'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carrying port 32, a separate It is not necessary to manufacture the gondola 100'.

상기 곤돌라(100')는 상기 회전축(171)의 단부에 설치되는 손잡이(173)를 더 포함하고, 작업자는 상기 손잡이(173)를 통해서 보다 용이하게 상기 회전축(171)을 회전시켜서 상기 접안프레임(14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The gondola 100' further includes a handle 173 installed at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171, and the operator rotates the rotation shaft 171 more easily through the handle 173 to move the eyepiece frame ( 140') can be adjusted.

상기 곤돌라(100')는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전방측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댐퍼(180), 상기 상부댐퍼(18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70)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하부댐퍼(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ondola 100' includes an upper damper 180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110' and a lower damper disposed below the upper damper 180 and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housing 170 (190) may be further included.

상기 상부댐퍼(180), 하부댐퍼(190)는 육면체 형태로서, 고무와 같이 일정 탄성을 띤 공지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The upper damper 180 and the lower damper 190 have a hexahedral shape and may be manufactured using a known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certain elasticity such as rubber.

상기 상부댐퍼(180)는 상기 고정부재를 매개로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댐퍼(190)는 상기 하우징(170)에 슬라이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The upper damper 180 is fixed to the bottom plate 110 via the fixing member, and the lower damper 190 can be slidab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housing 170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댐퍼(190)의 후방측면에 가이드돌기(191)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170)의 전방측면에 슬라이드홈(174)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191)가 삽입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guide protrusion 191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lower damper 19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housing 17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110'. ) A slide groove 174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191 can be inserted.

즉, 상기 하부댐퍼(190)와 하우징(170) 간 결합구조를 통해서 작업가가 상기 하부댐퍼(19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That is, through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lower damper 190 and the housing 170, a worker can easily replace the lower damper 190.

여기서, 상기 상부댐퍼(180)의 후방측면에 상기 가이드돌기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110')의 전방측면에 상기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 분리될 수도 있다.Here, the guide protrusion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upper damper 180, and the slide groov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ttom plate 110' so that they can be mutually coupled or separated.

상기 곤돌라(100')는 상기 하부댐퍼(190)의 전방측면에 형성되는 탄성체홈(192)에 삽입되어 후방측 단부가 상기 탄성체홈(192)에 고정되는 탄성체(193), 상기 탄성체(193)의 전방측 단부에 설치되어 외부에 노출되는 완충부재(1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ondola 100' is inserted into the elastic body groove 192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lower damper 190, and the rear end is fixed to the elastic body groove 192, the elastic body 193, the elastic body 193 It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end of the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194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탄성체(193)는 일 예로, 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를 매개로 상기 탄성체홈(192), 완충부재(194)에 고정되고, 상기 완충부재(194)는 상기 상부댐퍼(180)와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elastic body 193 may be, for example, a coil spring, and is fixed to the elastic body groove 192 and the buffer member 194 via the fixing member, and the buffer member 194 is the upper damper 180. ) can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상기 곤돌라(100')의 접안 시, 상기 접안프레임(140')이 상기 반입구(32)에 인입되고, 상기 완충부재(194)가 상기 외벽(31)에 접함과 동시에 상기 탄성체홈(192)에 인입될 수 있다.When the gondola 100' is docked, the eyepiece frame 140' is inserted into the loading port 32, the buffer member 194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wall 31, and the elastic groove 192 can be inserted into

그리고, 상기 탄성체(193)가 압축 변형되어 상기 곤돌라(100')에 전달되는 충격을 1차 완충시켜주고, 이후, 상기 상부댐퍼(180), 하부댐퍼(190)가 상기 외벽(31)에 접하여 상기 곤돌라(100')에 전달되는 충격을 2차 완충시켜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body 193 is compressed and deformed to first buffer the impact transmitted to the gondola 100', and then the upper damper 180 and the lower damper 190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wall 31 to A shock transmitted to the gondola 100' can be secondarily buffered.

즉, 상기 상부댐퍼(180), 하부댐퍼(190), 완충부재(194), 탄성체(193)를 통해 상기 곤돌라(100)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줄 수 있어서, 상기 곤돌라(100')의 접안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바닥플레이트(110), 골조프레임(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gondola 100 can be alleviated through the upper damper 180, the lower damper 190, the buffer member 194, and the elastic body 193, so that the gondola 100' This can be performed more stably, and damage to the bottom plate 110 and the frame frame 120 can be prevented.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비작업용 곤돌라는 바닥플레이트에 중량물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바닥플레이트가 접안프레임을 통해서 외벽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어서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중량물의 운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gondola for doggy work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eavy objects can be stably seated on the bottom plate, and the bottom plate can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through the eyepiece frame, so that the operator can stably transport the heavy weight. work can be done.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timal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s.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100' : 도비작업용 곤돌라 110,110' : 바닥플레이트
120 : 골조프레임 130 : 인양플레이트
140,140' : 접안프레임 150 : 인양프레임
160 : 접안플레이트 170 : 하우징
180 : 상부댐퍼 190 : 하부댐퍼
100,100': gondola for dobi work 110,110': floor plate
120: frame frame 130: lifting plate
140,140': eyepiece frame 150: lifting frame
160: eyepiece plate 170: housing
180: upper damper 190: lower damper

Claims (8)

와이어를 매개로 크레인에 의해 인양되어 전방이 건물의 외벽에 형성되는 반입구에 배치되는 곤돌라에 있어서,
상면에 줄량물이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는 골조프레임;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체결되는 인양플레이트;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외벽에 접하는 접안프레임;
을 포함하고,
복수 개의 접안공이 상기 접안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접안프레임에 형성되는 도비작업용 곤돌라.
In the gondola, which is lifted by a crane via a wire and placed at the entrance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bottom plate on which the weigh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 frame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 lifting plate disposed on an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fastened to an end of the wire; and
an eyepiece frame install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including,
A gondola for dobill work in which a plurality of eyepiece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yepiece frame and formed on the eyepiece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테두리에 설치되는 안전펜스를 더 포함하는 도비작업용 곤돌라.
According to claim 1,
A gondola for dobi work further comprising a safety fence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floor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조프레임은,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모서리프레임; 및
격자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모서리프레임 간에 배치되는 보강프레임;
을 포함하는 도비작업용 곤돌라.
According to claim 1,
The skeleton frame,
a corner frame disposed on an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A reinforcing frame formed in a lattice shape and disposed between the corner frames;
A gondola for dobby work that includes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와이어를 매개로 크레인에 의해 인양되어 전방이 건물의 외벽에 형성되는 반입구에 배치되는 곤돌라에 있어서,
상면에 줄량물이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는 골조프레임;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체결되는 인양플레이트; 및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외벽에 접하는 접안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너비방향을 따라 상기 바닥플레이트에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접안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축결합부; 및
일단이 상기 축결합부의 타단에 절곡 형성되고, 타단이 상기 반입구에 인입되어 상기 외벽에 거치되는 접안부;
를 포함하고,
상기 곤돌라는,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장공과 연통하는 하우징;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너비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축결합부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관통되는 베어링;
을 더 포함하는 도비작업용 곤돌라.
In the gondola, which is lifted by a crane via a wire and placed at the entrance form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 bottom plate on which the weigh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A frame fram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 lifting plate disposed on an edge of the bottom plate and fastened to an end of the wire; and
an eyepiece frame install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and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including,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bottom plat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The eyepiece frame,
Shaft coupling part having one end penetrating the long hole; and
an eyepiece having one end bent at the other end of the shaft coupling part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carrying hole and mounted on the outer wall;
including,
The gondola,
a housing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ng hole;
a rotating shaft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and screwed through the shaft coupling part; and
bearing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penetrating the rotating shaft;
A gondola for dobby work further comprising 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플레이트의 전방측 단부에 설치되는 상부댐퍼; 및
상기 상부댐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하부댐퍼;
를 더 포함하는 도비작업용 곤돌라.
According to claim 7,
an upper damper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bottom plate; and
a lower damper disposed below the upper damper and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housing;
A gondola for dobby work further comprising a.
KR1020230020506A 2023-02-16 2023-02-16 A gondola for transferring heavyweight material KR10253466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506A KR102534661B1 (en) 2023-02-16 2023-02-16 A gondola for transferring heavyweight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0506A KR102534661B1 (en) 2023-02-16 2023-02-16 A gondola for transferring heavyweight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661B1 true KR102534661B1 (en) 2023-05-30

Family

ID=8652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0506A KR102534661B1 (en) 2023-02-16 2023-02-16 A gondola for transferring heavyweight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66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896A (en) * 2014-05-07 2015-11-18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A safty container gondola of docking jig moving type for distribu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896A (en) * 2014-05-07 2015-11-18 주식회사 삼덕티엘에스 A safty container gondola of docking jig moving type for distribu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79012C (en) Cask transport assembly
KR100724715B1 (en) Hoist for Low Space Cranes
KR101800147B1 (en) Tower crane with safety means
US11124391B2 (en) Lifting shipping containers
KR102534661B1 (en) A gondola for transferring heavyweight material
WO2023033678A1 (en) Container for transporting steel rolls
US9988246B2 (en) Elastic fins for container coupling elements
TW593116B (en) Elevator device
KR100635216B1 (en) Fastening device for transporting concrete structures
WO2008142202A2 (en) Method and stand for loading reels onboard a ship and shipping arrangement
CN213297194U (en) Vertical transport system
AU20122121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large off-highway truck-truck bodies
KR101156098B1 (en) Variable construction method of aerial cableway and variable aerial cableway
KR20200082192A (en) A safty container gondola for falling prevention
KR101734024B1 (en) Reinforcement and transfer deck for complement work of overhead crane girder
KR20120132044A (en) Apparatus for parking hook of crane
KR20150027989A (en) Assistant tool for crane
CN206767367U (en) A kind of high security construction equipment suspends transport guide rails in midair
CN221318877U (en) Automatic hoisting equipment for precast slabs
KR20170115114A (en) Shipping rack for tower module sections of wind turbine
CN113415751B (en) Crane movable pulley block fixing tool and fixing method
KR101627534B1 (en) Fork lift aids for container stacking
KR200394650Y1 (en) Load Testing Device for Hoist
KR20120058108A (en) Weight for Testing Load of Trolley
CN219174020U (en) Building material lifting machine for building engineering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3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