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534B1 - Fork lift aids for container stacking - Google Patents

Fork lift aids for container stac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534B1
KR101627534B1 KR1020150129999A KR20150129999A KR101627534B1 KR 101627534 B1 KR101627534 B1 KR 101627534B1 KR 1020150129999 A KR1020150129999 A KR 1020150129999A KR 20150129999 A KR20150129999 A KR 20150129999A KR 101627534 B1 KR101627534 B1 KR 10162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forklift
container
load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29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53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5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tool for a forklift vehicle for loading containers. The secondary tool includes: a body unit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adder; a shock absorption unit which is mounted on a side of the body unit and has multiple conveying rollers to easily move in the containers; and a fork coupling unit which is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ody unit and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ork of the forklift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ary tool, which is for the forklift vehicle for loading the containers, is mounted between the forklift vehicle and heavy goods in a process of loading or unloading the heavy goods from the containers to replace a steel ba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quick operations of loading or unloading the heavy goods while preventing accidents and improving work efficiency.

Description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Fork lift aids for container stacking}[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 lift aids for container stacking,

본 발명은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에 제품을 용이하게 상·하차시킬 수 있도록 한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rklift aiding apparatus for loading contain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rklift aiding apparatus for loading containers that can easily lift and lower products.

최근 들어 국가 간에는 많은 물품이 오가는 무역이 성행하고 있으며 상기 무역에는 컨테이너라는 운송수단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eat deal of trade between countries, and many trade vehicles such as containers are being used in the trade.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는 차량 및 선박에 획일적으로 물품을 실을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함으로써, 화물선의 경우 컨테이너의 선적량으로 선급을 나누기도 한다.Here, the container is a sort of a vehicle that can uniformly load an article on a vehicle and a ship, and in the case of a cargo ship, the ship may be divided by the shipment amount of the container.

그리고 컨테이너에 물건을 실을 때는 물건의 주변을 목재로 감싸 파손을 방지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고, 이러한 작업은 별도의 수출포장회사에서 담당하게 된다.When containers are placed in a container, the surrounding area of the goods is covered with wood to prevent damage, and these operations are handled by a separate export packaging company.

여기서 상기 수출포장회사는 각양각색의 물품을 컨테이너에 적재하는 작업을 주로 하고, 부피나 무게가 작은 물품보다는 부피나 무게가 커서 사람의 손으로 작업하기 곤란한 대형 공작물을 주로 포장하게 된다.Here, the exporting packing company mainly packs a large-sized workpiece which is difficult to work with human hands because it is bulky and heavy in weight than a small-sized and small-sized article.

또한 컨테이너는 폭과 높이는 일정하고 길이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길이 역시 13미터를 넘지는 못한다. Containers have a constant width and height, but vary slightly in length but do not exceed 13 meters in length.

이때 상기 컨테이너를 이용해 수출을 하는 경우 화물비는 컨테이너의 길이에도 영향이 있기는 하나 컨테이너의 수에 따라 과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In this case, when the container is used for export, the cost of the cargo is general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ontainers, though it affects the length of the container.

따라서 대형 컨테이너에 물건을 담아 수출하려는 경향이 강하고, 대형 공작물의 경우에도 하나의 컨테이너에 두 개 내지는 네 개까지의 단위물품을 순서대로 적재해서 수출하려는 것이 업체의 일반적인 업무 형태이다.Therefore,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ship goods to large containers, and in the case of large workpieces, it is a general business type of the company to load two or four units of goods in order and export them.

그리고 컨테이너에 중량물을 적재하는 과정에서는 사람의 힘보다는 지게차 등의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In the process of loading heavy objects in containers, equipment such as forklifts is often used rather than human force.

지게차를 이용해 여러 개의 중량물을 컨테이너에 싣는 것을 설명하면, 컨테이너의 입구에 가까운 곳에 중량물을 올려놓고 중량물의 바깥쪽에서 지게차의 포크로 중량물을 밀어 컨테이너의 안쪽으로 중량물을 이동시킨다.When we use a forklift to load several heavy objects into a container, weigh the object close to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and push the object from the outside of the object to the fork of the forklift to move the object inside the container.

그러나 지게차의 포크의 길이에는 한계가 있어 컨테이너의 안쪽까지 중량물을 이동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지게차의 포크와 중량물의 사이에 두꺼운 강목 등을 위치시키고 중량물을 밀어넣는 경우도 있다.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length of the fork of the forklift, so that it is not possible to move the heavy object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n such a case, a heavy steel is placed between the fork of the forklift and the heavy object.

그러나 강목을 이용하는 경우 중량물과 지게차의 포크 사이에서 강목이 위로 튕겨져 나갈 수 있는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면 작업중인 지게차의 운전자방향이나 컨테이너의 입구에서 지게차 운전자에게 방향을 지시하는 신호수에게 강목이 튕기면서 부딪히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steel gr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avel can be thrown upward between the heavy object and the fork of the forklift. If such an accident occurs, the signal of the direction of the driver of the forklift or the entrance of the container There was a problem that an accident occurred while bouncing.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696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6696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컨테이너에 중량물을 상차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 지게차와 중량물 사이에 강목을 대체하는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를 장착하여 중량물을 상차 또는 하차 작업은 신속하게 하면서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rklift aiding apparatus for loading containers, which replaces steel bars between a forklift and a heavy object, It is aimed at preventing accidents while speeding up.

또한 본체부에 장착되는 포크 결합부를 통해 지게차 포크와 용이하게 결합되면서도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orklift truck which is easy to connect with a forklift fork through a fork coupling part mounted on a main body part and can easily move the forklift truck for loading a contain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인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는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장착되고 컨테이너의 내부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운반롤러가 구비되는 완충부; 상기 본체부의 반대 측에 장착되고 지게차의 포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포크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klift aiding apparatus for a container loading, comprising: a main body formed in a ladder shape; A buffer part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for smoothly mov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a fork engaging portion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fork of the forklift truck.

그리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본체부의 끝단에 장착되는 수직판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운반롤러; 상기 운반롤러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완충 수직판; 상기 수직판과 완충 수직판의 사이에 장착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또는 실린더 또는 유압완충기로 구성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buffering portion includes a transport roller mounted at an interval on a vertical plate mounted on an end of the body portion; A buffering vertical plate mounted at a distance from the conveying roller; And a buffer member mounted between the vertical plate and the buffered vertical plate and configured to include a shock absorbing spring or a cylinder or a hydraulic shock absorber.

또한 상기 포크 결합부는 격자 형상으로 양측에 돌출부가 본체부에 고정결합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지게차 포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되며 하부에는 핀 결합공이 형성되는 포크 결합구간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k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in a lattice shape, and protruding portions are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s on both sides thereof, and a fork coupling portion in which one side is opened and a pin coupling hole is formed so that a forklift fork can be engaged .

이때 상기 포크 결합부를 구성하는 포크 결합구간의 하부에는 삽입되는 지게차 포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포크 고정부가 장착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fork fixing part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fork coupling part constituting the fork coupling part to fix the forklift fork to be inserted.

그리고 상기 포크 고정부는 상기 포크 결합부를 구성하는 포크 결합구간의 하부에 장착되는 힌지구; 상기 힌지구를 중심으로 시소작동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일 측에 장착되는 무게추; 상기 수평바의 반대 측에 장착되고 핀 결합공을 통과하여 지게차 포크의 고정 결합공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nd the fork fixing portion includes a hinge portion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fork coupling portion constituting the fork coupling portion; A horizontal bar operating seesaw around the hinge region; A weigh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bar; And a fixing pin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rizontal bar and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upling hole of the forklift fork through the pin coupling hole.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에 중량물을 상차 또는 하차하는 과정에서 지게차와 중량물 사이에 강목을 대체하는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를 장착하여 중량물을 상차 또는 하차 작업은 신속하게 하면서도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orklift auxiliary device for loading a container that replaces a steel bar between a forklift and a heavy object in a process of loading or unloading a heavy object in the container can be installe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while speeding up or lowering a heavy object But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work efficiency.

또한 한 명의 안전관리자만 주변을 감시하고 있으면 지게차가 작업하는 구역으로 다른 작업자가 진입하지 않아도 되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lso, if only one safety supervisor is monitoring the surrounding area,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because no other worker enters the area where the forklift is working.

또한 본체부에 장착되는 포크 결합부를 통해 지게차 포크와 용이하게 결합되면서도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fork coupling part mounted on the main body part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forklift fork, and the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for loading a container can be easily moved and a heavy object can be easily transpor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를 구성하는 포크 결합부 및 포크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for loading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for loading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a fork coupling part and a fork fixing part constituting a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for loading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를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를 구성하는 포크 결합부 및 포크 고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for loading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ottom surface of a bottom surface of a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for loading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fork coupling portion and a fork fixing portion constituting a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for loading contain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원발명인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는 본체부(20), 상기 본체부(20)의 일 측에 장착되는 완충부(30), 상기 본체부(20)의 반대 측에 장착되고 지게차 포크(3)와 결합되는 포크 결합부(40), 상기 포크 결합부(40)에 삽입된 지게차 포크를 고정하는 포크 고정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ainer supporting fork lift assisting mechanism (10) comprising a main body part (20), a cushion part (30)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20) And a fork fixing part 50 for fixing the forklift fork inserted into the fork joining part 40. [

상기 본체부(20)는 사다리 형상으로 다수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형성된다. The main body 20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rames in a ladder shape.

즉 상기 본체부(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길이 프레임(22)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폭 프레임(24)을 용접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That is, the body portion 20 is formed by welding a width frame 24 with a gap inside a length frame 2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여기서 상기 본체부(20)의 길이는 컨테이너의 크기를 고려하여 6 ~ 10m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Here, it is effective that the length of the main body 20 is formed to be about 6 to 10 m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container.

더불어 상기 길이 프레임(22)과 폭 프레임(24)을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And that the length frame 22 and the width frame 24 can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완충부(30)는 본체부(20)의 일 측에 장착되고 컨테이너의 내부 또는 외부로 원활하게 이동하면서도 완충역할을 하게 된다. The buffer part 3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20 and smoothly moves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container, but functions as a buffer.

이를 위해 상기 완충부(30)는 본체부(20)의 끝단에 장착되는 수직판(32)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운반롤러(31)와 상기 운반롤러(31)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완충 수직판(33)과 상기 수직판(32)과 완충 수직판(33)의 사이에 장착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또는 실린더 또는 유압완충기로 구성되는 완충부재(34)로 이루어진다. The buffer 30 may include a conveying roller 31 spaced from the vertical plate 32 mounted at an end of the main body 20 and a buffering roller 31 mounted at a distance from the conveying roller 31, And a cushioning member 34 which is mounted between the vertical plate 32 and the buffering vertical plate 33 and is composed of a spring or a cylinder or a hydraulic shock absorber for absorbing impact.

즉 상기 완충부(30)는 본체부(20)의 끝단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운반롤러(31)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를 컨테이너 내부 또는 지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충부재(34)를 통해 완충 수직판(33)을 통해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도 중량물을 포장한 포장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buffering part 30 can be mounted on the end of the main body part 20 to stably move the container supporting fork lift assisting mechanism 10 through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31 in the container or on the ground The shock absorbing member 34 absorbs impact transmitted through the buffering vertical plate 33 through the buffer member 34 and prevents the packing material packed with the heavy material from being damaged.

상기 포크 결합부(40)는 본체부(20)의 반대 측에 장착되고 지게차 포크(3)와 결합 또는 분리된다. The fork engaging portion 40 is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0 and is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forklift fork 3.

이를 위해 상기 포크 결합부(40)는 격자 형상으로 양측에 돌출부(41)가 본체부(20)에 고정결합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지게차 포크(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되면서 하부에는 핀 결합공(43)이 형성되는 포크 결합구간(42)이 일체로 형성된다. To this end, the fork engaging portion 40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and the projecting portions 41 are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20 on both sides, and one side is opened so that the forklift fork 3 can be engaged And a fork coupling section 42 in which a pin coupling hole 43 is formed is integrally formed.

즉 상기 포크 결합부(40)는 본체부(20)의 반대 측에 견고하게 결합되면서 포크 결합구간(42)에 지게차 포크(3)가 결합되어 상기 지게차 포크(3)의 작동에 따라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를 전, 후 및 좌, 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fork coupling portion 40 is firmly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0, and the fork coupling fork 3 is coupled to the fork coupling portion 42, So that the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10 can be moved forward, backward, leftward and rightward.

이때 상기 지게차 포크(3)가 삽입되는 포크 결합구간(42)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도 상기 지게차 포크(3)의 힘의 균등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단면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k coupling section 42 into which the forklift fork 3 is inserted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so that the force of the forklift fork 3 can be uniformly transmitted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더불어 상기 포크 결합부(40)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면 환경 및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fork engaging portion 4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 and it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purpose, and the like.

상기 포크 고정부(50)는 포크 결합부(40)를 구성하는 포크 결합구간(42)에 장착되어 상기 포크 결합구간(42)에 삽입되는 지게차 포크(3)를 고정 또는 분리시키게 된다. The fork fixing part 50 is fixed to the fork coupling part 42 constituting the fork coupling part 40 and fixes or separates the forklift fork 3 inserted into the fork coupling part 42. [

즉 상기 포크 고정부(50)는 컨테이너의 접촉이나 지면 접촉시에는 지게차 포크(3)와 분리되고, 상기 컨테이너와 미접촉이나 지면의 미접촉시에는 지게차 포크(3)와 결합되어 상기 지게차 포크(3)와 포크 결합부(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fork fixing part 50 is separated from the forklift fork 3 when the contain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or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When the fork fixing part 50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And the fork coupling portion 40 can be fixed.

이때 상기 지게차 포크(3)에는 핀 결합공(43)을 통해 삽입되는 고정핀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고정 결합공(5)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forklift forks 3 are formed with fixing holes 5 so as to be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fixing pins inserted through the pin coupling holes 43.

그리고 상기 포크 고정부(50)는 포크 결합부(40)를 구성하는 포크 결합구간(42)의 하부에 장착되는 힌지구(51)와, 상기 힌지구(51)를 중심으로 시소작동하는 수평바(52)와, 상기 수평바(52)의 일 측에 장착되는 무게추(53)와, 상기 수평바(52)의 반대 측에 장착되고 핀 결합공(43)을 통과하여 지게차 포크(3)의 고정 결합공(5)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핀(54)으로 구성된다. The fork fixing section 50 includes a hinge section 51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fork engaging section 42 constituting the fork engaging section 40, A weighing bar 53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bar 52 and a weighing bar 53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rizontal bar 52 and passing through the pin joining hole 43, And a fixing pin 54 which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upling hole 5 of the motor.

즉 상기 포크 고정부(50)는 힌지구(51)를 중심으로 시소작동하는 수평바(52)의 일 측에 무게추(53)를 반대 측에는 고정핀(54)를 장착하여, 상기 무게추(53)의 위치에 따라 고정핀(54)의 위치를 조절하여 지게차 포크(3)의 고정 결합공(5)과 고정핀(54)이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at is, the fork fixing part 50 is provided with a fixing pin 54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eight 53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bar 52 which seesaw the center of the hinge 51, The fixing pin 54 of the forklift fork 3 can be fixed or separat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pin 54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ing pin 54. [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포크 고정부(50)는 무게추(53)가 컨테이너 또는 지면의 미접촉시 상기 무게추(53)는 힌지구(51)를 중심으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평바(52)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핀 결합공(43)을 관통하여 지게차 포크(3)의 고정 결합공(5)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More specifically, when the weights 53 are not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or the ground, the weights 53 move downward about the hinge region 51, (52) moves upward and can be coupled to the fixed engaging hole (5) of the forklift fork (3) through the pin engaging hole (43)

상기 무게추(53)가 컨테이너 또는 지면의 접촉시 상기 무게추(53)는 힌지구(51)를 중심으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평바(52)는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핀 결합공(43) 및 지게차 포크(3)의 고정 결합공(5)에 분리될수 있도록 한 것이다. When the weight 53 contacts the container or the ground, the weight 53 moves upward in the hinge region 51 and the horizontal bar 52 moves in the downward direction, 43 and the fixed coupling hole 5 of the forklift fork 3, respectively.

이때 상기 무게추(53)의 무게는 고정핀(54)의 무게보다 무겁게 형성됨은 당연한 것이고 전방에는 원활한 작동 및 안내를 위하여 무게추 경사면(53a)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weight 53 is heavier than the weight of the fixing pin 54, and the weight is inclined 53a for smooth operation and guidance at the fron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of the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for loading container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먼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길이 프레임(22)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폭 프레임(24)을 용접결합하여 형성되는 본체부(20)를 형성한다. First, a body portion 20 is formed by welding a width frame 24 with a gap inside a length frame 2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그리고 상기 본체부(20)의 일 측으로 본체부(20)의 끝단에 장착되는 수직판(32)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운반롤러(31)와 상기 운반롤러(31)와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완충 수직판(33)과 상기 수직판(32)과 완충 수직판(33)의 사이에 장착되고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또는 실린더 또는 유압완충기로 구성되는 완충부재(34)로 이루어진 완충부(30)를 장착한다. A conveying roller 31 mount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20 and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plate 32 mounted at an end of the main body 20; A cushioning portion 30 composed of a vertical plate 33 and a cushioning member 34 mounted between the vertical plate 32 and the buffering vertical plate 33 and composed of a spring or a cylinder or a hydraulic shock absorber for absorbing the impact, .

다음으로 상기 본체부(20)의 반대 측에 격자 형상으로 양측에 돌출부(41)가 본체부(20)에 고정결합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지게차 포크(3)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되면서 하부에는 핀 결합공(43)이 형성되는 포크 결합구간(42)이 일체로 형성되는 포크 결합부(40)를 장착한다. A protruding portion 41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20 on both sides in a lattice shap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0 so that one side of the forklift fork 3 can be coupled And a fork engaging portion 40 in which a fork engaging portion 42 in which a pin engaging hole 43 is formed is integrally formed.

그리고 상기 포크 결합부(40)를 구성하는 포크 결합구간(42)의 하부로 포크 결합부(40)를 구성하는 포크 결합구간(42)의 하부에 장착되는 힌지구(51)와, 상기 힌지구(51)를 중심으로 시소작동하는 수평바(52)와, 상기 수평바(52)의 일 측에 장착되는 무게추(53)와, 상기 수평바(52)의 반대 측에 장착되고 핀 결합공(43)을 통과하여 지게차 포크(3)의 고정 결합공(5)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핀(54)으로 구성되는 포크 고정부(50)를 각각 장착하면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A hinge section 51 mounted below the fork engaging section 42 constituting the fork engaging section 40 below the fork engaging section 42 constituting the fork engaging section 40, A weight bar 53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bar 52 and a weight bar 53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rizontal bar 52, The fork fixing part 50 constituted by the fixing pin 54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upling hole 5 of the forklift fork 3 through the through hole 43 of the forklift fork 3, Is completed.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Herein, the assembling procedure of the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for loading a container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above.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ext, the use state of the above-described forklift auxiliary apparatus for loading a container will be described.

먼저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를 구성하는 포크 고정부(50)는 포크 결합부(40)가 지면이나 컨테이너 상에 놓여진 상태에서는 무게추(54)가 지면이나 컨테이너의 내면에 접촉하여 상승하면서 고정핀(53)이 핀 결합공(43)에서 분리된다. The fork fixing part 50 constituting the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10 for loading a container is configured such that the weight weight 54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or the ground when the fork coupling part 40 is placed on the ground or the container, And the fixing pin 53 is separated from the pin coupling hole 43.

그리고 상기 포크 결합부(40)의 포크 결합구간(42)으로 지게차 포크(3)가 내부 끝단까지 원활하게 삽입된다. The fork coupling portion 42 of the fork coupling portion 40 smoothly inserts the forklift fork 3 to the inner end.

다음으로 상기 지게차 포크(3)에 의하여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가 상승되면, 상기 포크 고정부(50)의 무게추(54)는 하부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Next, when the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10 for loading a container is lifted by the forklift fork 3, the weight 54 of the fork fixing part 50 moves downward.

이때 상기 수평바(52)는 힌지구(51)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더불어 상기 수평바(52)의 끝단에 위치한 고정핀(53)도 상승하여 핀 결합공(43)을 통과한 후 지게차 포크(3)의 결합공(5)에 결합된다. At this time, the horizontal bar 52 is rotated around the hinge region 51, and the fixing pin 53 located at the end of the horizontal bar 52 is also lifted up to pass through the pin coupling hole 43, 3). ≪ / RTI >

이후 지게차는 다른 인력의 도움 없이 혼자서 중량물을 컨테이너의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게 된다. The forklift can then push the heavy objects into the container alone without the help of other personnel.

그리고 중량물을 컨테이너의 내부로 밀어넣는 과정에서 지게차가 후진으로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를 컨테이너 외부로 빼낼 때에도 지게차 포크(3)의 결합공(5)에 포크 고정부(50)의 고정핀(53)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중 지게차 포크(3)와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가 분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forklift truck is pulled back out of the container for loading the forklift aiding device 10 in the process of pushing the heavy object into the container, the fork fixing part 50 is fixed to the coupling hole 5 of the forklift fork 3, Since the pin 53 can be maintained in the engaged state, the separation of the forklift fork 3 and the forklift auxiliary mechanism 10 for loading a container during operatio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다음으로 작업이 끝단 후 지게차 포크(3)와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를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지게차 운전자는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를 지정된 장소로 이동시킨 후 상기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를 바닥에 평행하게 내려놓고 천천히 후진해서 지게차 포크(3)를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에서 분리시키면 된다. Next, when the forklift fork 3 and the forklift auxiliary device 10 for loading a container have to be separated, the forklift driver moves the forklift auxiliary device 10 for container loading to a designated place, The forklift assisting mechanism 10 may be lowered parallel to the floor and slowly lowered to separate the forklift fork 3 from the forklift assisting mechanism 10 for loading a container.

즉 포크 고정부(50)의 무게추(54)가 지면에 접촉하면 수평바(52)는 힌지구(51)를 중심으로 무게추 방향으로 상승하고 고정핀(53) 방향은 하강하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10)가 완전히 지면에 놓여져야만 고정핀(53)이 지게차 포크(3)의 결합공(5)에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at is, when the weight 54 of the fork fixing part 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he horizontal bar 52 rises in the direction of the weighing center about the hinge part 51 and the direction of the fixing pin 53 descends, This is because the fixing pin 53 can be separated from the coupling hole 5 of the forklift fork 3 only if the loading fork lift assisting mechanism 10 is completely placed on the ground.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and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0 :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
20 : 본체부,
30 : 완충부,
40 : 포크 결합부,
50 : 포크 고정부.
10: Forklift auxiliary equipment for container loading,
20:
30: buffer,
40: fork coupling part,
50: Forks stationary.

Claims (5)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일 측에 장착되고 컨테이너의 내부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운반롤러가 구비되는 완충부; 상기 본체부의 반대 측에 장착되고 지게차의 포크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포크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합부는 격자 형상으로 양측에 돌출부가 본체부에 고정결합되고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지게차 포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되며 하부에는 핀 결합공이 형성되는 포크 결합구간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
A body portion formed in a ladder shape; A buffer part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having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for smoothly moving the inside of the container; And a fork coupling part moun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engaged with or separated from a fork of a forklift,
The fork coupling part is formed in a lattice shape and has a protruding part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on both sides thereof, and a fork coupling part formed integrally with the fork coupling part, A forklift auxiliary device for loading container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합부를 구성하는 포크 결합구간의 하부에는 삽입되는 지게차 포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포크 고정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fork fixing portion is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fork coupling portion constituting the fork coupling portion to fix a forklift fork inserted therei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고정부는,
상기 포크 결합부를 구성하는 포크 결합구간의 하부에 장착되는 힌지구;
상기 힌지구를 중심으로 시소작동하는 수평바;
상기 수평바의 일 측에 장착되는 무게추;
상기 수평바의 반대 측에 장착되고 핀 결합공을 통과하여 지게차 포크의 고정 결합공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적재용 지게차 보조기구.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ork-
A hinge region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fork engaging section constituting the fork engaging section;
A horizontal bar operating seesaw around the hinge region;
A weight attach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bar;
And a fixing pin moun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orizontal bar and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xed coupling hole of the forklift fork through the pin coupling hole.
KR1020150129999A 2015-09-15 2015-09-15 Fork lift aids for container stacking KR1016275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99A KR101627534B1 (en) 2015-09-15 2015-09-15 Fork lift aids for container stac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999A KR101627534B1 (en) 2015-09-15 2015-09-15 Fork lift aids for container stac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534B1 true KR101627534B1 (en) 2016-06-07

Family

ID=5619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999A KR101627534B1 (en) 2015-09-15 2015-09-15 Fork lift aids for container stac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53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162Y1 (en) 2019-02-21 2020-08-20 (주)주파집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498A (en) * 1993-05-14 1994-11-22 Seirei Ind Co Ltd Fork structure of fork-lift truck
KR100200398B1 (en) * 1994-04-20 1999-06-15 엠. 라벤 토마스 Tire-stacking device and accessories therefor
KR19990024017U (en) * 1997-12-10 1999-07-05 추호석 Auxiliary Fork Assembly of Forklift
KR100666966B1 (en) 2005-09-02 2007-01-11 양대근 Auto piling apparatus for container
KR20130138389A (en) * 2012-06-11 2013-12-19 김지영 Additional leg for fork of forklif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1498A (en) * 1993-05-14 1994-11-22 Seirei Ind Co Ltd Fork structure of fork-lift truck
KR100200398B1 (en) * 1994-04-20 1999-06-15 엠. 라벤 토마스 Tire-stacking device and accessories therefor
KR19990024017U (en) * 1997-12-10 1999-07-05 추호석 Auxiliary Fork Assembly of Forklift
KR100666966B1 (en) 2005-09-02 2007-01-11 양대근 Auto piling apparatus for container
KR20130138389A (en) * 2012-06-11 2013-12-19 김지영 Additional leg for fork of forklif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162Y1 (en) 2019-02-21 2020-08-20 (주)주파집 A Cradle for an Electric Device in a C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371A (en) Skid for heavy payloads
NL2010743C2 (en) Container.
CA2995935C (en) Pallet made of corrugated paperboard
KR101627534B1 (en) Fork lift aids for container stacking
KR200482115Y1 (en) multi heaping and carrying cart
JP2017506614A (en) Elastic flipper for container spreader
JP2012041063A (en) Pallet for conveyance and assembly thereof
KR101088128B1 (en) Material conveyer and hoist stand
KR101999669B1 (en) boxes for transportation
EP2706016A1 (en) Pallet for transportation of goods
GB2440676A (en) Restraint for fork-lift truck
CZ18550U1 (en) Wooden pallet, particularly for transporting instruments sensitive to shaking
CN110498142B (en) Container glass conveyer
KR101284227B1 (en) Move bogie lift
KR20120051414A (en) Pallet and method of transporting cargo
CN209796888U (en)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that carries cargo
JP5429204B2 (en) Transport vehicle
CN211308374U (en) Logistics conveying device with protection device
US20140262625A1 (en) Movable load backrest for a lift truck
KR101587252B1 (en) A safety device of packing for cargoes and its packing process
KR20190136505A (en) Equipped with support means Clamping lift for freight of glass plate
KR101961832B1 (en) Product transfer facility
CN208377369U (en) Three-dimensional automatic storehouse specialized package
CN110803095A (en) Logistics conveying device with protection device
CN218477575U (en) Can store inspection AGV with beer jar lid that bad material was draw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