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4395B1 - 의류 관리기 - Google Patents

의류 관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4395B1
KR102534395B1 KR1020220019698A KR20220019698A KR102534395B1 KR 102534395 B1 KR102534395 B1 KR 102534395B1 KR 1020220019698 A KR1020220019698 A KR 1020220019698A KR 20220019698 A KR20220019698 A KR 20220019698A KR 102534395 B1 KR102534395 B1 KR 102534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ling
clothes
guard frame
elev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훈
정지훈
박지현
이성록
서민정
김언태
이재엽
이서현
Original Assignee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19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규모 공간이나 사무실 등지에 배치되어, 착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잔류된 미세먼지나, 냄새, 그리고 세균들을 세정과 탈취 및 살균 등 스타일링 처리하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 관리기{Clothes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규모 공간이나 사무실 등지에 배치되어, 착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잔류된 미세먼지나, 냄새, 그리고 세균들을 세정과 탈취 및 살균 등 스타일링 처리하는 의류 관리기에 관한 것이다.
외출 후 돌아오면 옷에는 다양한 냄새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탈취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옷의 냄새를 제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옷은 옷걸이에 걸어 옷장에 수납하여 보관하거나 행거에 걸어 보관하고 있다. 옷을 수납하는 옷장에는 옷장 내부 상부 위치에 양측 고정대에 의해 고정된 옷걸이 봉이 구비되어 있고, 옷걸이 봉에는 의복을 걸은 옷걸이의 고리부분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옷장은 곰팡이 및 미생물, 벌레 등이 존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들의 증식에 의해 의복을 손상 시킬 우려가 많았다.
이러한 영향은 장마철(우기)이나 습기가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에 특히 심하다. 따라서 옷장 내의 의복들도 정기적이고 효율적으로 탈취 및 살균 필요하다.
옷을 옷걸이에 걸어 열린 장소의 행거에 보관할 경우에는 환기가 잘 되어 곰팡이와 세균의 증식이 덜 할 수는 있으나, 이 또한 장시간 보관되는 옷의 냄새와 세균을 완전 탈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음식점 등에서 옷을 옷걸이에 걸어 행거에 보관할 경우에는 음식 냄새와 세균이 옷에 바로 침투하여 장시간 머물게 되어 위생상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여전히 탈취 및 살균이 필요하다.
더불어, 최근에는 옷걸이 내부에 방습제나 탈취제를 수납하거나 다양한 탈취제를 옷에 뿌려 냄새와 세균을 제거(탈취)하고 정화하고 있지만, 옷 전체 부분을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는 한시적인 처방으로 보다 효율적인 대안을 필요로 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4318호에 의하면 옷장 내 옷걸이 봉에 걸린 의복과 관련하여 곰팡이의 원인인 습기와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참숯 옷걸이 봉을 개시하고 있으나 단순히 옷걸이 봉에 참숯을 넣는 것이어서 그 효과가 미비하다.
또한, 근래에 살균과 탈취 기능을 가진 '의류 관리기'라고 하는 비교적 부피가 크고 그 내부에 대상 의복을 내장하며 복잡한 내부 구조를 가지는 가전제품이 등장하였으나, 이는 고가일 뿐만 아니라 이동이 불가능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KR 10-2021-0126448 A KR 10-1639063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소규모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며, 특히 스타일링을 요하는 의류의 표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의류의 표면을 구간별로 집중 스타일링을 도모하여서 의류의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의류 관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상부에 헹거고리가 형성되며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부와; 상기 옷걸이부에 거치된 의류를 커버하며, 외벽에 복수의 투과공들이 형성된 타공체로 이루어진 중공의 가드 프레임; 및 상기 가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의류를 스타일링하는 스타일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타일링부는, 상기 의류가 수납된 가드 프레임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면서, 가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의류를 스타일링하는 가동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타일링부는 상기 가드 프레임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 캐리어와; 상기 승강 캐리어에 탑재되어 가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의류를 스타일링하는 하나 이상의 스타일링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승강 가이드를 통해 가드 프레임의 외벽에 승강구조로 설치된 승강 캐리어에는 상하 이송력을 제공하는 승강유닛이 탑재되어, 상기 승강 캐리어를 포함하는 승강형 스타일링 장치는 승강유닛을 통해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가드 프레임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탑재된 스타일링 유닛을 통해 가드 프레임 내에 거치된 의류의 각 부위를 순차적으로 스타일링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 캐리어에는 상기 가드 프레임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용 스타일링 유닛과, 상기 가드 프레임 내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진공압을 통해 의류에 잔류된 이물질과 냄새를 흡기하여 제거하는 진공 흡입용 스타일링 유닛과, 상기 가드 프레임 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의류의 잔류 세균을 제거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탑재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캐리어는 가드 프레임의 외벽을 감싸는 환형체로 구성하고, 상기 중공의 환형체의 일측 내벽과 이측 내벽에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스타일링 유닛을 각각 배치하여, 상기 가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의류는 승강 캐리어의 일측 내벽과 타측 내벽에 배치된 스타일링 유닛에 의해 일면과 이면을 포함하는 양면이 동시에 스타일링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소규모 공간이나 사무실 등지에 배치되어, 착용자가 착용한 의류에 잔류된 미세먼지나 냄새, 그리고 세균들을 세정과 탈취 및 살균처리하는 의류 관리기를 제안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관리기는 처리공간 내에 단순히 스팀이나 진공 흡입력, 자외선 등을 조사하는 형태가 아니라, 스캐너와 같이 의류의 표면을 따라 직접 이동하면서 스팀과 진공 흡입력과 자외선을 직접적으로 제공하여 의류를 스타일링하므로, 의류의 스타일링이 단시간 내에 효율적으로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의류의 오염도에 따라 스타일링 시간을 증감하여서 의류의 전체적으로 고른 스타일링이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류 관리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류 관리기를 통한 의류의 스타일링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류 관리기에 있어, 가동 스타일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3의 "A"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류 관리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류 관리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류 관리기를 통한 의류의 스타일링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류 관리기에 있어, 가동 스타일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상기 도 3의 "A"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의류 관리기(1)는, 주로 원룸이나 사무실 등의 소규모 공간에 설치되어, 착용을 마친 개인의 의류를 세정과 탈취 및 살균 등의 스타일링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의류 관리기(1)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에 헹거고리(11)가 형성되며 의류(30)를 거치하는 옷걸이부(10)와; 상기 옷걸이부(10)에 거치된 의류(30)를 수납하는 가드 프레임(40); 및 상기 가드 프레임(40)에 내에 수납된 의류를 스타일링하는 스타일링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옷걸이부(10)에 거치된 의류(30)를 커버하는 가드 프레임(40)을, 외벽에 복수의 투과공(41)들이 형성된 타공체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타일링부(50)는 상기 의류(30)가 수납된 가드 프레임(40)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면서, 가드 프레임(40) 내에 수납된 의류(30)를 스타일링하는 가동형으로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드 프레임(40)에는 주변물에 고정되는 고정헹거(42)와, 의류(30)가 거치된 옷걸이부(10)를 견착하는 옷걸이 헹거(43)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30)를 거치한 옷걸이부(10)를 옷걸이 헹거(43)에 견착하여 가드 프레임(40)의 수납공간 내에 의류(30)가 배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드 프레임(40)의 일측에는 도 2와 같이 측면 개폐창(45)이 형성되어, 사용자는 측면 개폐창(45)을 통해 의류(30)가 걸린 옷걸이부(10)를 진출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타일링부(50)가 배치된 가드 프레임(40)의 외측에는 커버부(20)를 덧씌워, 상기 가드 프레임(40)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스타일링부(50)에 의한 의류(30)의 스타일링 과정에 의류(30)에서 분리된 먼지나 세균들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드 프레임(40)의 외벽에 승강 가이드(44)를 배치하고, 상기 승강 가이드(44)에 스타일링부(50)를 승강구조로 배치하여서, 상기 스타일링부(50)는 승강 가이드(44)를 통해 상하 왕복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스타일링부(50)는, 상기 가드 프레임(40)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 캐리어(51)와; 상기 승강 캐리어(51)에 탑재되어 가드 프레임(40) 내에 수납된 의류(30)를 스타일링하는 하나 이상의 스타일링 유닛(53, 54, 5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 캐리어(51)를 가드 프레임(40)의 외벽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중공 환형체로 구성하고, 상기 중공 환형체의 일측 내벽과 이측 내벽에 각각 스타일링 유닛(53, 54, 55)들을 대칭되게 배치한다.
따라서, 상기 가드 프레임(40) 내에 수납된 의류(30)는 승강 캐리어(51)의 일측 내벽과 타측 내벽에 배치된 스타일링 유닛(53, 54, 55)들에 의해 일면과 이면을 포함하는 양면이 동시에 스타일링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 가이드(44)를 통해 가드 프레임(40)의 외벽에 승강구조로 설치된 승강 캐리어(51)의 상하 이송력을 제공하는 승강유닛(52)을 탑재하여, 상기 승강 캐리어(51)를 포함하는 스타일링부(50)는 승강유닛(52)을 통해 제공되는 상하 이송력에 의해 가드 프레임(40)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유닛(52)은, 도 4와 도 5와 같이 상기 승강 캐리어(51)에 회동구조로 배치되며 가드 프레임(40)의 외벽에 외접하여 배치되는 구동롤러(52b)와, 상기 구동롤러(52b)에 정역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52a)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52a)의 정역 구동에 의해 가드 프레임(40)의 외접된 구동롤러(52b)는 정역으로 회전하면서, 승강 캐리어(51)는 가드 프레임(40)의 외벽을 따라 상하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캐리어(51)에는 가드 프레임(40) 내에 배치된 의류(30)의 세정과, 탈취, 및 살균하는 각종 스타일링 유닛(53, 54, 55)들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 캐리어(51)에, 상기 가드 프레임(40)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용 스타일링 유닛(53)과, 상기 가드 프레임(40) 내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의류(30)에 잔류된 이물질과 냄새를 흡기하여 제거하는 진공 흡입용 스타일링 유닛(54)과, 상기 가드 프레임(40) 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의류(30)의 잔류 세균을 제거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유닛(55)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팀 공급용 스타일링 유닛(53)은, 저수조(53a)와, 저수조(53a)에 저수된 물을 초음파 발진하여 가습하는 초음파 진동자(53b)와, 상기 초음파 진동자(53b)에 의해 생성된 스팀을 가드 프레임(40) 내로 분사하는 송풍팬(53c)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진공 흡입용 스타일링 유닛(54)은 진공 흡기력을 생성하는 진공 흡입팬(54a)과, 상기 진공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필터(54b)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타일링부(50)는 승강유닛(52)으로부터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의류(30)가 수납된 가드 프레임(40)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고, 이러한 과정에 상기 스팀 분사용 스타일링 유닛(53)은 의류(30)의 표면에 스팀을 분사하고, 상기 진공 흡입용 스타일링 유닛(54)은 스팀이 분사된 의류(30)를 진공 흡기하여 의류(30)에 잔류된 오염물과 냄새를 제거하는 한편, 상기 자외선 조사용 스타일링 유닛(55)은 세정 탈취가 완료된 의류의 표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에 의해 의류에 살균을 도모하여서, 가드 프레임(40) 내에 거치된 의류(30)의 세정 탈취와 살균을 포함하는 스타일링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가동 스타일링부(50)를 가동형으로 구성하여, 도 3과 같이 의류(30)의 각부위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각 스타일링 유닛(53, 54, 55)을 통해 세정 탈취 및 살균을 도모하도록 구성하면, 단시간 내에 의류의 각 부위의 고른 스타일링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 캐리어(51)에 의류(30)의 부위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 스캔센서(56)를 마련하여, 제어부(미도시)는 승강유닛(52)을 제어하여 상기 오염도 스캔센서(56)를 통해 감지되는 의류(30) 각 부위의 오염도에 따라 승강 캐리어(51)의 이동속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즉, 상기 오염도 스캔센서(56)에 의해 의류의 오염도가 심한 부위는 승강유닛(52)에 의한 승강 캐리어(51)의 이동속도를 늦게 하거나 일시 정지하여서,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심한 의류의 해당 부위에 집중적으로 스타일링을 실시하게 된다.
1. 의류 관리기
10. 옷걸이부 11. 헹거고리
20. 커버부
30. 의류
40. 가드 프레임
41. 투과공 42. 고정헹거
43. 옷걸이 헹거 44.승강 가이드
45. 측면 개폐창
50. 스타일링부
51. 승강 캐리어 52. 승강유닛
52a.구동모터 52b.구동롤러
53. 스팀 분사용 스타일링 유닛
53a. 저수조 53b. 초음파 진동자
53c. 송풍팬 54. 진공 흡입용 스타일링 유닛
54a. 진공 흡입팬 54b. 집진필터
55. 자외선 조사용 스타일링 유닛
56. 오염도 스캔센서

Claims (3)

  1. 상부에 헹거고리가 형성되며 의류를 거치하는 옷걸이부와;
    상기 옷걸이부에 거치된 의류를 커버하며, 외벽에 복수의 투과공들이 형성된 타공체로 이루어진 중공의 가드 프레임; 및
    상기 가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의류를 스타일링하는 스타일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타일링부는,
    상기 의류가 수납된 가드 프레임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면서 가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의류를 스타일링하는 가동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타일링부는 상기 가드 프레임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승강 캐리어와; 상기 승강 캐리어에 탑재되어 가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의류를 스타일링하는 하나 이상의 스타일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캐리어는 가드 프레임의 외벽을 감싸는 환형체로 구성하고, 상기 중공의 환형체의 일측 내벽과 타측 내벽에 각각 상기 하나 이상의 스타일링 유닛을 대칭되게 배치하여, 상기 가드 프레임 내에 수납된 의류가 상기 승강 캐리어의 일측 내벽과 타측 내벽에 배치된 스타일링 유닛에 의해 일면과 이면을 포함하는 양면이 동시에 스타일링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승강 캐리어에 의류의 부위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 스캔센서를 마련하여, 의류의 각 부위에서 상기 오염도 스캔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오염도에 따라 상기 승강 캐리어의 이동속도를 조절하여, 의류의 부위별 오염도에 대응하여 스타일링 시간이 증감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승강 가이드를 통해 가드 프레임의 외벽에 승강구조로 설치된 승강 캐리어에는 상하 이송력을 제공하는 승강유닛이 탑재되어,
    상기 승강 캐리어를 포함하는 승강형 스타일링 장치는 승강유닛을 통해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가드 프레임의 외벽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탑재된 스타일링 유닛을 통해 가드 프레임 내에 거치된 의류의 각 부위를 순차적으로 스타일링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캐리어에는 상기 가드 프레임 내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용 스타일링 유닛과, 상기 가드 프레임 내에 진공압을 제공하여 진공압을 통해 의류에 잔류된 이물질과 냄새를 흡기하여 제거하는 진공 흡입용 스타일링 유닛과, 상기 가드 프레임 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의류의 잔류 세균을 제거하는 자외선 살균 램프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관리기.
KR1020220019698A 2022-02-15 2022-02-15 의류 관리기 KR102534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698A KR102534395B1 (ko) 2022-02-15 2022-02-15 의류 관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698A KR102534395B1 (ko) 2022-02-15 2022-02-15 의류 관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395B1 true KR102534395B1 (ko) 2023-05-19

Family

ID=8654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698A KR102534395B1 (ko) 2022-02-15 2022-02-15 의류 관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3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16A (ko) * 2010-03-03 201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639063B1 (ko) 2015-06-10 2016-07-13 주식회사 크린에이드 일체형 탈취 포대를 이용한 휴대용 스타일러
JP2017086134A (ja) * 2015-11-02 2017-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衣類メンテナンス装置
KR20210126448A (ko) 2020-04-10 2021-10-20 이보람 신발 겸용 의류 관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9916A (ko) * 2010-03-03 2011-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639063B1 (ko) 2015-06-10 2016-07-13 주식회사 크린에이드 일체형 탈취 포대를 이용한 휴대용 스타일러
JP2017086134A (ja) * 2015-11-02 2017-05-25 三菱電機株式会社 衣類メンテナンス装置
KR20210126448A (ko) 2020-04-10 2021-10-20 이보람 신발 겸용 의류 관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5207B1 (ko) 자동 신발청소기 겸용 수납장
US8377223B2 (en) Method for eliminating odors in a dishwasher machine
KR20110067864A (ko) 의류세척장치
KR102101243B1 (ko) 의류 건조 및 의류처리 장치
KR102534395B1 (ko) 의류 관리기
KR101468112B1 (ko) 화장솔 자동 세척장치
KR20120002300A (ko) 살균 건조부를 포함하는 비데
KR101849941B1 (ko) 옷걸이형 의류 살균 탈취기 및 그 작동 방법
KR100416317B1 (ko) 신발용 자외선 소독기
KR200296964Y1 (ko) 신발소독건조기.
KR20160001539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294999B1 (ko)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위생장치
KR200446830Y1 (ko) 싱크대 살균기
KR20020043496A (ko) 신발소독건조기.
JP2002058726A (ja) マットレスの現場クリーニング方法
JP2022525181A (ja) 補綴アクセサリ滅菌器
KR102553271B1 (ko) 칫솔 세척 살균기
JP3423164B2 (ja) 脱臭器
CN213489276U (zh) 一种医用耳鼻喉科器械支撑托架
KR200356492Y1 (ko) 건조기가 부착된 초음파 진동자와 이산화티탄 광촉매를 이용한 의료 공구 및 재료 살균 세척기
KR960013913B1 (ko) 먼지 정화용 살균 옷장
KR100840737B1 (ko) 신발용 건조 및 소독장치
KR100633601B1 (ko) 식기 세척기
JP2633869B2 (ja) 食器乾燥機
KR200335695Y1 (ko) 자동차 매트 살균기에 있어서, 건조대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