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999B1 -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위생장치 - Google Patents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위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999B1
KR102294999B1 KR1020200163303A KR20200163303A KR102294999B1 KR 102294999 B1 KR102294999 B1 KR 102294999B1 KR 1020200163303 A KR1020200163303 A KR 1020200163303A KR 20200163303 A KR20200163303 A KR 20200163303A KR 102294999 B1 KR102294999 B1 KR 102294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injection nozzle
water tank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하
김건엽
김동수
Original Assignee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퓨리바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3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999B1/ko
Priority to PCT/KR2020/018253 priority patent/WO202211435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위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변기의 살균, 세정 및 탈취를 모두 행할 수 있는 변기 위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위생장치{Toilet sanitary apparatus with cleaning, steriliz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s}
본 발명은 변기 위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세식 변기(양변기)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여 용변을 보도록 구성된 좌변부와 좌변부에 공급되는 물을 저수하여 두는 수조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수세식 변기에는 항상 물기가 존재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번식할 우려가 높고, 용변을 처리하는 기구라는 점에서 사용시나 사용 후에 악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개인당 하나씩 사용할 수 없고, 공공장소나 가정에서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번식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변기를 통하여 매개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변기를 살균하는 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는 변기의 덮개부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하여 변기의 좌대를 살균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자외선 램프가 좌대를 따라 설치되어 좌변부의 살균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은 변기 사용시나 사용 후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는 없고, 살균을 행하더라도 변기의 좌변부가 좌대가 오염된 상태라면, 살균 직후 부터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다시 번식하기 시작하게 되며, 또한, 좌변부에 공급되는 물이 저수되는 수조부가 오염되어 있는 상태라면 좌변부 내를 아무리 소독하여도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번식을 완전히 억제할 수는 없다는 문제가 있다.
KR 10-1796266 B1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변기의 살균, 세정 및 탈취를 모두 행할 수 있는 변기 위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좌변부 및 상기 좌변부 일측에 위치하는 수조부를 포함하는 변기에 설치되는 위생장치로서, 상기 좌변부 일측에 위치하는 본체부; 상기 수조부 일측에 위치하는 수조살균모듈; 상기 본체부 일측에서 상기 좌변부의 상부 둘레 측을 덮도록 위치하는 좌대; 및 상기 본체부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좌변부 일측에 위치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 일측에서 상기 좌변부 상부로 연장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부; 상기 흡입부 타측에 위치하는 배출구;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와 연통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습필터; 상기 제습필터 후단에 위치하며, 이산화티타늄이 첨착된 활성탄으로 구성되는 제1탈취필터; 상기 제1탈취필터 후단에 위치하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자외선 조사부; 상기 제1자외선 조사부 후단에 위치하며, 이산화티타늄이 첨착된 활성탄으로 구성되는 제2탈취필터; 및 상기 흡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로 유출되도록 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세정제를 공급하는 세정제 공급부; 상기 덮개부 하부에 위치하며, 둘레측을 따라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되며,공급되는 물 및 상기 세정제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제가 상기 분사구를 통하여 분사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분사노즐 일측에 위치하는 열풍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살균모듈은, 상기 수조부 내에 저수된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자외선 조사부; 및 상기 수조부 내에 저수된 물에 살균제를 공급하는 살균제 공급부;를 포함하는 위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덮개부 하부에 위치하는 제3자외선 조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대의 표면은 이산화티타늄으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노즐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분사노즐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노즐의 단부에 위치하는 수면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좌변부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수면 감지 센서에서 감지되는 수면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이 상기 좌변부 내에 저수된 물의 수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공급되는 물을 분사노즐의 분사구를 통하여 일정시간 좌변부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고, 세정제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제를 분사노즐의 분사구를 통하여 일정시간 좌변부 내에 분사되도록 하며, 공급되는 물을 다시 분사노즐의 분사구를 통하여 일정시간 좌변부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고, 열풍 공급부를 동작시켜, 좌변부 내에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위생장치에 의하면, 변기의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서, 변기의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번식을 막고, 동시에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체부에서 탈취에 사용되는 탈취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탈취필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좌변부의 세정시 분사노즐이 좌변부에 담기는 것을 방지하며, 좌변부의 효과적인 세정과 건조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조부 내에 저수된 물의 살균을 행함으로써, 세균이나 바이러스의번식을 원천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장치가 변기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장치의 구성인 본체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장치의 구성인 본체부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장치의 구성인 덮개부에 있어서, 도 1의 이점쇄선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장치가 변기에 설치된 상태에서 좌변부와 수조부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기존의 탈취필터 소재와 본 발명의 탈취필터 소재인 이산화티타늄 첨착 활성탄의 흡착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탈취필터에 사용된 이산화티타늄 첨착 활성탄 악취물질이 흡착된 상태(좌)와, 탈취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는 모습(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위생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위생장치는 좌변부(10) 및 좌변부(10) 일측에 위치하는 수조부(20)를 포함하는 양변기에 설치되어, 이의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위생장치는, 본체부(100), 좌대(200), 덮개부(300) 및 수조살균모듈(400)을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좌변부(10)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변부(10) 상부 둘레의 일측에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체부(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하우징(110), 제습필터(120), 제1탈취필터(130), 제1자외선 조사부(140), 제2탈취필터(150), 팬(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본체부(100)의 외관을 이루며, 그 내부에 소정 공간이 마련된 상자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흡입구(112) 및 배출구(113)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위치하는 흡입부(111)의 단부 측에 다수의 흡입구(112)가 형성된다. 이로써, 흡입부(111)는 본체부(100)가 좌변부(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좌변부(10) 둘레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장되어 위치하게 되며, 흡입구(112)를 통하여 좌변부(10) 내의 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배출구(113)는 흡입부(111)의 타측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도 1에는 하우징(110) 상부에 다수의 배출구(113)가 형성되나, 하우징(110)의 후방측 즉, 좌변부(10)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출구(113)를 통하여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10) 내부에서 배출구(113)가 위치하는 측을 후단 측, 그 반대측을 전단 측이라 칭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 내부의 흡입구(112) 측에는 흡입구(112)로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110) 전단 측으로 가이드하는 격벽(116)이 설치될 수 있다.
제습필터(120)는 하우징(110) 내부 일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흡입구(112)와 상기 격벽(116)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110) 선단 측에 위치함으로써 흡입구(112)와 연통될 수 있다.
제습필터(120)는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재가 충진된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습재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실리카겔, 습윤제 등 수분을 흡수하는 하나 이상의 고상, 액상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구(112)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는 제습필터(120)에 의해 흡수되어 제거된다. 제습필터(120)를 통하여 공기의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후술하는 각 탈취필터를 수분으로부터 보호한다.
제1탈취필터(130)는 제습필터(120) 후단에 위치한다. 제1탈취필터(130)는 표면에 이산화티타늄(TiO2)가 첨착된 활성탄이 충진된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활성탄에는 수많은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물질이 활성탄의 기공에 흡착되어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2탈취필터(150)는 제1탈취필터(130) 후단에 위치하며, 제1탈취필터(130)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이산화티타늄(TiO2)가 첨착된 활성탄이 충진된 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각 탈취필터(130, 150)에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이 첨착된 활성탄을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사용되는 다른 소재의 필터와 대비하여 악취물질 흡착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또한, 복수의 탈취필터(130, 150)를 구비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공기 중의 악취물질을 흡착하여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자외선 조사부(140)는 상기 제1탈취필터(130) 후단, 구체적으로 제1탈취필터(130)와 제2탈취필터(150) 사이에 위치한다.
제1자외선 조사부(140)는 상기 제1탈취필터(130)와 제2탈취필터(150) 사이에 위치하여, 제1 탈취필터 및 제2탈취필터(150) 각각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구성이다.
제1자외선 조사부(140)는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램프 등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면 된다.
제1자외선 조사부(140)에서 제1탈취필터(130) 및 제2탈취필터(150)의 활성탄 표면의 이산화티타늄에 조사됨으로써 촉매반응을 일으키고, 이와 같은 촉매 반응에 의해 활성탄에 흡착된 악취물질이 산화되어 제거된다. 즉, 제1탈취필터(130) 및 제2탈취필터(150)의 흡착 기능이 일부 재생되게 된다(도 9 참조).
또한, 제1자외선 조사부(1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단세포 유기물 등을 사멸시키거나, DNA, RNA를 파괴할 수 있어, 각 탈취필터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사멸시켜 제거할 수 있다.
팬(160)은 제2탈취필터(150) 후단에 위치한다. 팬(160)은 흡입구(112)를 통하여 공기가 하우징(110) 내로 흡입되어 배출구(113)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팬(160)은 상기와 같이, 배출구(113)가 하우징(110)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전단 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상부로 배출시키는 임펠러 형태의 팬(160)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팬(160)은 상기와 같이 흡입구(112)를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113) 측으로 배출시키는 것으로서, 흡입구(112) 측에 위치하여도 된다.
다음,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수조살균모듈(400)을 설명한다.
수조살균모듈(400)은 변기의 수조부(20) 일측에 위치하며, 제2자외선 조사부(410) 및 살균제 공급부(420)를 포함한다.
제2자외선 조사부(410)는 수조부(20) 일측에 위치하며, 수조부(20) 내에 저수된 물에 자외선을 조사한다.
제2자외선 조사부(410)는 상기 제1자외선 조사부(140)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램프 등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면 되며, 수조부(20)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실링 등을 통하여 방수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살균제 공급부(420)는 수조부(20) 일측에서, 수조부(20) 내에 저수된 물에 살균제를 공급하여 수조부(20) 내의 물을 살균한다.
살균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고, 살균효과가 있는 약품 등을 공급하면 되며, 예를 들면, 살균력을 갖는 NaOCl, NaOH, NaClO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수조살균모듈(400)을 통하여 변기의 수조부(20) 내부에 저수된 물을 살균함으로써 수조부(20) 내의 세균 번식은 물론, 변기 사용시 수조부(20) 내의 물이 공급되는 좌변부(10) 내부에서의 세균 번식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대(200)는 본체부(100) 일측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좌대(200)는 링 형상을 이루며 그 일측이 본체부(100) 일측에서 힌지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변기 사용시에 좌변부(10)의 상부 둘레측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좌대(200)의 표면은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으로 코팅된다. 이로써, 후술하는 덮개부(300)의 제3자외선 조사부(3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과의 광촉매 반응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덮개부(3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덮개부(300)는 본체부(100) 상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덮개부(300)는 변기의 좌변부(10) 상부와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며 그 일측이 본체부(100) 상부 일측에서 힌지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변기 사용 후에 좌변부(10) 및 좌변부(10) 상의 좌대(200)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부(300)는 세정모듈(310) 및 제3자외선 조사부(320)를 포함한다.
세정모듈(310)은 세정제 공급부(314), 분사노즐(311), 구동부(315), 및 열풍 공급부(316) 및 덮개(301)를 포함한다.
분사노즐(311)은 덮개부(300)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덮개부(300)가 좌변부(10) 및 좌대(20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링 형상의 좌대(200) 중앙부를 통하여 좌변기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분사노즐(311)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분사구(312)가 위치하여, 분사노즐(311)로 공급되는 물이 분사구(312)를 통하여 분사노즐(311)의 둘레 방향으로 분사된다.
분사노즐(311)은 수전구 등의 물 공급부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분사노즐(311)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위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사노즐(311)의 선단부에는 수면 감지 센서(313)가 구비된다, 수면 감지 센서(313)는, 덮개부(300)가 덮힌 상태에서 분사노즐(311)의 길이가 길어져 좌변부(10) 내부로 삽입될 때 분사노즐(311)의 선단과 수면과의 거리를 감지한다.
구동부(315)는 분사노즐(311)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와 같이 분사노즐(311)의 길이 조절 동작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열풍 공급부(316)는 분사노즐(311)의 주위에 위치하여, 열풍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열풍은 열풍 공급부(316)에 형성된 통풍 슬릿(317)을 통하여 덮개부(300) 외부, 즉 좌변부(10) 내로 공급된다.
세정제 공급부(314)는 분사노즐(311) 일측에 구비되어, 세정제를 분사노즐(311)에 공급한다. 세정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계면 활성제, 락스 등을 들 수 있다.
덮개(301)는 세정모듈(310) 앞쪽에서 힌지동작 하도록 구성되어, 분사노즐(311)과 통풍 슬릿(317)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3자외선 조사부(320)는 분사노즐(311)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자외선 조사부(140) 및 제2자외선 조사부(410)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발광다이오드(LED) 또는 램프 등으로 구성된다.
제3자외선 조사부(320)는 덮개부(300)가 좌변부(10) 및 좌대(20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좌변부(10) 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제어부(170)는 본체부(100) 내부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덮개부(300) 및 수조살균모듈(400)과 연결되어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70)와 연결된 표시부(115) 및 조작부(114)가 구비된다. 표시부(115) 및 조작부(114)는 본체부(100)의 하우징(110) 외주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부(115)는 다수의 LED로 구성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 등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수단으로 구성되고, 조작부(114)는 다수의 기능 조작 버튼,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조작부(114)에 의한 조작 상태나, 제어부(170)에 의한 동작 상태가 표시부(115)에 표시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조작부(114)를 통하여 조작한 동작에 따라서, 또는 자동으로 본체부(100), 덮개부(300) 및 수조살균모듈(400)의 각 구성을 제어하며, 상세히는 후술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기 위생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덮개부(3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덮개부(300)는 살균기능과 세정기능을 수행한다.
살균기능의 경우, 좌대(200) 및 덮개부(300)가 닫히면, 즉, 덮개부(300)가 좌대(200)와 좌변부(10)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제어부(170)는 제3자외선 조사부(320)를 동작시켜 자외선을 좌대(200)와 좌변부(10) 측으로 조사한다.
이로써, 좌대(200) 및 좌변부(10) 내부의 살균이 이루어지며, 자와선과 좌대(200)에 코팅된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 반응에 의해 보다 향상된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세정기능의 경우, 좌대(200) 및 덮개부(300)가 닫히면, 제어부(170)는 구동부(315)를 동작시켜 분사노즐(311)이 좌변부(10) 내부로 연장되도록 한다.
이때, 분사노즐(311) 선단에 위치한 수면 감지 센서(313)에 의해 분사노즐(311)의 선단과 좌변부(10) 내부에 저수된 물 사이의 거리가 감지되며, 제어부(170)는 수면 감지 센서(313)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거리에 따라 구동부(315)의 동작을 제어하여 분사노즐(311)의 선단이 좌변부(10) 내의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분사노즐(311)의 선단이 좌변부(10) 내의 물에 잠긴 상태로 물이나 세정제가 분사되어 세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분사되는 물에 의해 좌변부(10) 내의 물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분사노즐(311)이 좌변부(10) 내에 위치되면, 제어부(170)는 수전구 등의 물 공급부로부터 분사노즐(311)에 물을 공급하여 분사노즐(311)의 분사구(312)를 통하여 일정시간 물을 좌변부(10) 내부로 분사한다.
이때, 물 공급부로부터 고온의 물을 분사하여 좌변부(10) 내부의 오염물질 등이 세정되기 쉬운 상태로 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는 세정제 공급부(314)로부터 분사노즐(311)로 일정시간 세정제가 공급되도록 하고, 공급된 세정제는 분사구(312)를 통하여 좌변부(10) 내에 분사됨으로써 세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다시 물을 분사노즐(311)을 통하여 일정시간 분사되도록 하여, 좌변부(10) 내부에 남은 세정제를 헹구어 낸다.
이후, 제어부(170)는 열풍 공급부(316)를 동작시켜, 좌변부(10) 내에 열풍을 공급하여 물기를 건조시킨다.
다음,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수조살균모듈(4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제2자외선 조사부(410) 및 살균제 공급부(420)를 동작시켜, 수조부(20) 내부에 저수된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살균제를 공급함으로써 수조부(20) 내 저수된 물의 살균을 행한다.
이로써, 수조부(20) 내 또는 저수된 물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체부(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체부(100)는 좌변부(10) 내의 탈취를 행하는 구성이다.
제어부(170)는 팬(160)을 동작시켜, 좌변부(10) 내의 공기가 흡입구(112)를 통하여 본체부(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자외선 조사부를 동작시켜 자외선이 제1탈취필터(130) 및 제2탈취필터(150)에 조사되도록 한다.
흡입구(112)를 통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격벽(116)을 따라서 제습필터(120)로 유입되어,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제습필터(120)의 흡습재에 의해 흡수되어 제거된다.
유입되는 공기에서 미리 입자성 물질과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활성탄으로 구성된 제1탈취필터(130)와 제2탈취필터(150)의 손상 또는 악취물질의 흡착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습필터(120)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공기는 제1탈취필터(130)로 유입되며, 악취물질이 활성탄에 형성된 미세기공에 흡착되어 1차로 제거되고, 자외선 조사부를 지나 제2탈취필터(150)로 유입되어 악취물질이 2차로 제거된다.
이때, 제1탈취필터(130)에서 제2탈취필터(150)로 유입되는 공기에, 자외선 조사부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공기에 포함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사멸된다.
또한, 자외선이 제1탈취필터(130) 및 제2탈취필터(150)로 조사됨으로써, 활성탄에 흡착된 악취물질이 이산화티타늄의 광촉매 반응에 의해 산화되어 제거된다. 이로써, 제1탈취필터(130) 및 제2탈취필터(150)의 흡착능이 일부 재생되게 된다.
상기 덮개부(300), 본체부(100) 및 수조살균모듈(400)의 동작은 각각 별개로 또는 둘 이상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170)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조작부(114)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위생장치에 의하면, 변기의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어서, 변기의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번식을 막고, 동시에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체부에서 탈취에 사용되는 탈취필터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탈취필터의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좌변부의 세정시 분사노즐이 좌변부에 담기는 것을 방지하며, 좌변부의 효과적인 세정과 건조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조부 내에 저수된 물의 살균을 행함으로써, 세균이나 바이러스의번식을 원천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좌변부
20: 수조부
100: 본체부
200: 좌대
300: 덮개부
400: 수조살균모듈

Claims (5)

  1. 좌변부(10) 및 상기 좌변부(10) 일측에 위치하는 수조부(20)를 포함하는 변기에 설치되는 위생장치로서,
    상기 좌변부 일측에 위치하는 본체부(100);
    상기 수조부(20) 일측에 위치하는 수조살균모듈(400);
    상기 본체부(100) 일측에서 상기 좌변부(10)의 상부 둘레 측을 덮도록 위치하는 좌대(200); 및
    상기 본체부(100)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좌변부(10) 일측에 위치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 내부 일측에 배치되는 제어부(170);
    상기 하우징(110) 일측에서 상기 좌변부(10) 상부로 연장되는 흡입구(112)가 형성된 흡입부(111);
    상기 흡입부(111) 타측에 위치하는 배출구(113);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112)와 연통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습필터(120);
    상기 제습필터(120) 후단에 위치하며, 이산화티타늄이 첨착된 활성탄으로 구성되는 제1탈취필터(130);
    상기 제1탈취필터(130) 후단에 위치하며,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1자외선 조사부(140);
    상기 제1자외선 조사부(140) 후단에 위치하며, 이산화티타늄이 첨착된 활성탄으로 구성되는 제2탈취필터(150); 및
    상기 흡입구(112)를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배출구(113)로 유출되도록 하는 팬(160);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300)는,
    세정제를 공급하는 세정제 공급부(314);
    상기 덮개부(300) 하부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위치하고, 둘레측을 따라 다수의 분사구(312)가 형성되며, 공급되는 물 및 상기 세정제 공급부(314)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제가 상기 분사구(312)를 통하여 분사되는 분사노즐(311);
    상기 분사노즐(311)의 단부에 위치하는 수면 감지 센서(313);
    상기 분사노즐(311)의 길이를 조절하는 구동부(315); 및
    상기 분사노즐(311) 일측에 위치하는 열풍 공급부(316);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살균모듈(400)은,
    상기 수조부(20) 내에 저수된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자외선 조사부(410); 및
    상기 수조부(20) 내에 저수된 물에 살균제를 공급하는 살균제 공급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덮개부(300)가 상기 좌변부(10)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수면 감지 센서(313)에서 감지되는 수면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311)이 상기 좌변부(10) 내에 저수된 물의 수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구동부(315)를 제어하는,
    위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300) 하부에 위치하는 제3자외선 조사부(3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대(200)의 표면은 이산화티타늄으로 코팅된,
    위생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70)는,
    공급되는 물을 분사노즐(311)의 분사구(312)를 통하여 일정시간 좌변부(10)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고,
    세정제 공급부(314)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제를 분사노즐(311)의 분사구(312)를 통하여 일정시간 좌변부(10) 내에 분사되도록 하며,
    공급되는 물을 다시 분사노즐(311)의 분사구(312)를 통하여 일정시간 좌변부(10) 내부로 분사되도록 하고,
    열풍 공급부(316)를 동작시켜, 좌변부(10) 내에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는,
    위생장치.
KR1020200163303A 2020-11-27 2020-11-27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위생장치 KR102294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303A KR102294999B1 (ko) 2020-11-27 2020-11-27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위생장치
PCT/KR2020/018253 WO2022114355A1 (ko) 2020-11-27 2020-12-14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위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303A KR102294999B1 (ko) 2020-11-27 2020-11-27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위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4999B1 true KR102294999B1 (ko) 2021-08-30

Family

ID=77502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303A KR102294999B1 (ko) 2020-11-27 2020-11-27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위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4999B1 (ko)
WO (1) WO20221143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211B1 (ko) * 2022-11-24 2024-01-05 석혜은 비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483A (ja) * 1993-03-15 1994-09-20 Inax Corp 脱臭便器
JP2002276999A (ja) * 2001-03-16 2002-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換気浄化装置
JP2006316607A (ja) * 2005-04-13 2006-11-24 Inax Corp 防汚設備及び紫外線照射装置
KR20170017710A (ko) * 2015-08-06 2017-02-15 구교필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방법
KR101796266B1 (ko) 2017-05-08 2017-11-10 김영환 양변기 살균장치
KR102025342B1 (ko) * 2018-09-03 2019-09-25 이민 좌변기용 스팀살균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4483A (ja) * 1993-03-15 1994-09-20 Inax Corp 脱臭便器
JP2002276999A (ja) * 2001-03-16 2002-09-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換気浄化装置
JP2006316607A (ja) * 2005-04-13 2006-11-24 Inax Corp 防汚設備及び紫外線照射装置
KR20170017710A (ko) * 2015-08-06 2017-02-15 구교필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방법
KR101796266B1 (ko) 2017-05-08 2017-11-10 김영환 양변기 살균장치
KR102025342B1 (ko) * 2018-09-03 2019-09-25 이민 좌변기용 스팀살균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211B1 (ko) * 2022-11-24 2024-01-05 석혜은 비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355A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3142B2 (ja) 消臭殺菌照明装置
WO2017038504A1 (ja) 大便器の脱臭方法、大便器および大便器の脱臭装置
KR102230674B1 (ko) 신발용 살균, 탈취, 건조장치
KR101918568B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 소독기
KR20110002508A (ko) 잔류 오존제거가 용이한 순환식 플라즈마 멸균기
KR102294999B1 (ko) 세정, 살균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변기 위생장치
KR101788769B1 (ko) 비데장치
KR200348688Y1 (ko) 살균기가 구비된 핸드 드라이어
CA23113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appliance exhaust and removing contaminants from objects
KR102350241B1 (ko) 마스크 살균, 건조 및 탈취를 위한 장치
KR20100013178A (ko) 살균 및 악취제거가 가능한 음이온 발생 비데
KR102427415B1 (ko) 오존과 저온 프라즈마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 탈취 시스템
KR102141131B1 (ko)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장치
KR20090107104A (ko) 치과용 바 세척 및 살균기
KR101186596B1 (ko) 캐비닛형 탈취 및 방제장치
KR20210047548A (ko) 오존 및 oh 라디칼을 이용한 축사용 공기정화 시스템
JP4394584B2 (ja) 薬剤拡散装置
US20230218789A1 (en) Disinfecting device including rotatable chamber base
KR20000074699A (ko) 냉장고의 탈취장치
JP4779146B2 (ja) 脱臭装置
KR102464970B1 (ko) 소독장치를 구비한 챔버 시스템
KR102384363B1 (ko) 공기 살균 기능이 있는 멀티살균장치
CN213721677U (zh) 可作为空气消毒器使用的干手器
KR102559971B1 (ko) 광촉매 공기 살균기
KR200377807Y1 (ko) 플러그인 타입의 소형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