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988B1 - Ict 기술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Ict 기술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988B1
KR102533988B1 KR1020200161280A KR20200161280A KR102533988B1 KR 102533988 B1 KR102533988 B1 KR 102533988B1 KR 1020200161280 A KR1020200161280 A KR 1020200161280A KR 20200161280 A KR20200161280 A KR 20200161280A KR 102533988 B1 KR102533988 B1 KR 102533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mobility
driving
mode
appl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5879A (ko
Inventor
정성욱
강석민
최훈성
배종우
Original Assignee
(주)초이스밸류
배종우
주식회사 메이키스트엑스
정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초이스밸류, 배종우, 주식회사 메이키스트엑스, 정성욱 filed Critical (주)초이스밸류
Publication of KR20210065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ICT 기술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의 관리자가 수행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퍼스널 모빌리티 및 헬멧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퍼스널 모빌리티의 기기 정보, 헬멧의 기기 정보, 제한 속도 정보 및 안전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주행 모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모드에 상기 안전 모드가 적용된 경우,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탑승자에 대한 헬멧 착용 여부에 따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Description

ICT 기술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DRIVING MODE PROVIDING METHOD OF PERSONAL MOBILITY USING ICT TECHNOLOGY}
본 발명은 ICT 기술을 활용하여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의 확장과 함께 이동성이 증대되면서 기존의 대중 교통수단보다 이동시 제약이 적은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일부에서는 마이크로 모빌리티(Micro Mobility)라 함)란 근거리 및 중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전기구동 방식의 개인용 이동수단을 통칭하며, 소형전기자동차, 세그웨이(Segway), 전기자전거, 전기오토바이, 전동스쿠터, 전기휠체어 등이 포함된다.
퍼스널 모빌리티는 1~2인 사용을 위한 개인 이동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차량 형태와 휠의 수에 따라 유형이 나누어지며, 차량 형태는 지붕 유무에 따라 개방형/폐쇄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휠의 개수에 따라 1개의 휠을 가지고 레저용으로 사용되는 세그웨이 형태의 이동체, 2개의 휠을 가지는 전기자전거 혹은 전동스쿠터, 3개 이상 휠을 가지는 소형 전기차 등으로 구분되나, 그 형태나 용도가 중첩되는 방향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자에게 실제로 제공하기 위한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에 있어 사용자의 특성을 고려하는 다양한 주행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성 및 퍼스널 모빌리티가 사용될 장소 특성에 따라 다양한 주행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사용자에 적합한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의 관리자가 수행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퍼스널 모빌리티 및 헬멧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등록된 퍼스널 모빌리티의 기기 정보, 헬멧의 기기 정보, 제한 속도 정보 및 안전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주행 모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 모드에 상기 안전 모드가 적용된 경우,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탑승자에 대한 헬멧 착용 여부에 따라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 모드에 상기 안전 모드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모드를 생성하고, 상기 주행 모드에 상기 안전 모드가 적용된 경우,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기기 정보 및 헬멧의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모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는 상기 안전 모드가 적용된 주행 모드를 선택한 탑승자가 헬멧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 주행이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생성된 주행 모드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탑승자는 상기 QR 코드를 스캔하여 식별된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퍼스널 모빌리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성 및 퍼스널 모빌리티가 사용될 장소 특성에 따라 다양한 주행 모드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사용자에 적합한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관리자 등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 및 헬멧의 기기 정보 등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주행모드 등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100)은 퍼스널 모빌리티(110), 헬멧(120), 사용자 단말(130)의 어플리케이션(131) 및 서버(14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100)의 관리자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기기 정보 및 헬멧(120)의 기기 정보를 서버(140)에 등록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는 등록된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기기 정보, 헬멧(120)의 기기 정보, 제한 속도 정보 및 안전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주행 정보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주행 모드를 생성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100)의 사용자는 관리자가 생성한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퍼스널 모빌리티(110)를 운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행 모드는 사용자의 특성 및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사용될 장소의 특성에 따라 선택 가능한 항목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131)은 퍼스널 모빌리티(11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자가 생성한 복수의 주행 모드들 중 일정 기준에 따른 제한 속도 정보 또는 안전 모드 정보가 설정된 주행 모드만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어플리케이션(131)은 사용자의 서비스 가입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나이를 식별할 수 있으며, 만약 사용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성인인 사용자에 비해 비교적 낮은 제한 속도가 설정된 주행 모드를 제공하여 미성년자인 사용자의 주행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운행이 가능할 수 있다.
또다른 일례로, 어플리케이션(131)은 사용자가 미성년자인 경우, 안전 모드가 설정된 주행 모드를 제공하여 미성년자인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운행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131)은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사용될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관리자가 생성한 복수의 주행 모드들 중 일정 기준에 따른 제한 속도 정보 또는 안전 모드 정보가 설정된 주행 모드만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어플리케이션(131)은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사람이 많은 공원에서 레저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비교적 낮은 제한 속도가 설정된 주행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주행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운행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어플리케이션(131)은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자전거 전용 도로 등에서 이동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비교적 높은 제한 속도가 설정된 주행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주행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운행이 가능할 수 있다.
또다른 일례로, 어플리케이션(131)은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사람이 많은 공원에서 레저 목적으로 사용되어 비교적 느린 속도로 제한될 경우, 안전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주행 모드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자전거 전용 도로 등에서 이동 목적으로 사용되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주행 가능할 경우, 안전 모드가 설정된 주행 모드들을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행 모드들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적합한 주행 모드들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관리자 등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131)은 관리자 등록이 필요한 경우, 관리자 등록을 수행하고자 하는 관리자에게 회원 가입 절차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의 회원 가입 탭을 통해 관리자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관리자 정보는 관리자의 이름 및 어플리케이션(131)의 로그인 정보인 아이디(ID)와 비밀 번호(P/W)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입력된 관리자 정보는 서버(14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서버(140)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수신된 관리자 정보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수신된 관리자 정보가 유효 관리자로 판단되면, 서버(140)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입력된 관리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어플리케이션(131)으로 관리자 등록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31)은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관리자 등록 완료 메시지를 통해 관리자의 회원 가입을 성공적으로 종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 및 헬멧의 기기 정보 등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131)은 기기 정보를 등록하고자 하는 관리자에게 서비스 로그인을 위한 절차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131)이 서비스 로그인을 위한 별도의 로그인 탭을 제공하면, 관리자는 자신의 관리자 정보, 즉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서비스 로그인을 시도할 수 있다.
서버(140)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입력된 관리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관리자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관리자가 유효 관리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140)는 만약 해당 관리자가 유효 관리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어플리케이션(131)으로 로그인 불가 메시지를 전송하고, 해당 관리자가 유효 관리자인 것으로 확인되면, 어플리케이션(131)으로 로그인 성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로그인이 성공적으로 수행된 경우, 어플리케이션(131)은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기기 정보를 스캔 할 수 있다. 이때,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전원은 켜져 있어야 하며, 어플리케이션(131)은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주변에 위치한 퍼스널 모빌리티(110)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가 어플리케이션(13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퍼스널 모빌리티(110)를 선택하면, 서버(140)는 선택된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기기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기기 정보는 해당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이름과 MAC ADDRES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주행 모드에 안전 모드를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자는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기기 정보 이외에 헬멧(120)의 기기 정보도 서버(140)에 등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행 모드에 안전 모드를 적용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어플리케이션(131)은 헬멧(120)의 기기 정보를 추가적으로 스캔할 수 있다. 이때, 헬멧(120)의 전원은 켜져 있어야 하며, 어플리케이션(131)은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통해 자동으로 주변에 위치한 헬멧(120)을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관리자가 어플리케이션(131)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헬멧(120)을 선택하면, 서버(140)는 선택된 헬멧(120)의 기기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헬멧(120)의 기기 정보는 해당 헬멧(120)의 이름과 MAC ADDRES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서버(140)로부터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기기 정보 및 헬멧(120)의 기기 정보에 대한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131)은 기기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주행 모드에 안전 모드를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어플리케이션(131)은 헬멧(120)에 대한 추가적인 기기 정보 스캔 없이 서버(140)로부터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기기 정보에 대한 등록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기기 등록을 완료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주행모드 등록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131)은 주행모드를 등록하고자 하는 관리자로부터 주행모드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으며, 주행 정보는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제한 속도 정보 및 안전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퍼스널 모빌리티(11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성 및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사용될 장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주행 모드를 생성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100)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관리자는 퍼스널 모빌리티(11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제한 속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관리자가 성인인 사용자에 대응하는 주행 모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비교적 빠른 속도의 제1 제한 속도 정보를 입력하였다면, 미성년자인 사용자에 대응하는 주행 모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1 제한 속도보다 느린 제2 제한 속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는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사용될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제한 속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사람이 많은 공원에서 레저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관리자는 비교적 느린 속도의 제3 제한 속도 정보를 입력하였다면, 자전거 전용 도로 등에서 이동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제3 제한 속도 보다 빠른 제4 제한 속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관리자는 퍼스널 모빌리티(11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나이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안전 모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관리자는 미성년자인 사용자에 대응하는 주행 모드를 제공하기 위하여 안전 모드가 선택되도록 안전 모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관리자는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사용될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다른 안전 모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례로,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사람이 많은 공원에서 레저 목적으로 사용되어 비교적 느린 속도로 제한될 경우, 관리자는 안전 모드를 선택하지 않을 수 있고, 자전거 전용 도로 등에서 이동 목적으로 사용되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주행 가능할 경우, 반드시 안전 모드가 선택되도록 안전 모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31)은 관리자에 의해 서버(140)에 등록된 복수의 퍼스널 모빌리티(110)들 중 어느 하나의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선택되면, 선택된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주행 모드에 안전 모드가 적용되는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만약, 주행 모드에 안전모드가 적용되는 것으로 식별되면, 어플리케이션(131)은 관리자에 의해 서버(140)에 등록된 복수의 헬멧(120)들 중 어느 하나의 헬멧(120)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후 서버(140)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수신된 주행 정보,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기기 정보 및 헬멧(120)의 기기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모드를 생성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관리자에 의해 주행 모드에 안전 모드를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식별되면, 서버(140)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수신된 주행 정보 및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기기 정보만을 이용하여 주행 모드를 생성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어플리케이션(131)은 필요시 서버(140)에 등록된 주행 모드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3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어플리케이션(131)은 퍼스널 모빌리티(110)를 운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의해 서버(140)에 등록된 복수의 주행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주행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주행 모드를 퍼스널 모빌리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어플리케이션(131)은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주행을 시작하고, 선택된 주행 모드에 안전 모드가 적용되었는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만약 선택된 주행 모드에 안전 모드가 적용되었다고 식별되면, 어플리케이션(131)은 헬멧(120)으로부터 사용자의 헬멧 착용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퍼스널 모빌리티(110)는 어플리케이션(131)을 통해 주행 모드가 수신되면, 수신된 주행 모드에 안전 모드가 적용되었는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만약 수신된 주행 모드에 안전 모드가 적용되었다고 식별되면, 퍼스널 모빌리티(110)는 어플리케이션(131)으로부터 사용자의 헬멧 착용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헬멧(120)을 착용하였다고 식별되면, 퍼스널 모빌리티(110)는 수신된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주행을 시작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헬멧을 착용하지 않았다고 식별되면, 퍼스널 모빌리티(110)는 주행을 중지하고, 어플리케이션(131)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헬멧 착용 여부를 재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은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131)에 로그인 가능한 관리자인 경우에 대한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주행 방법을 제시한다. 만약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131)에 로그인 가능하지 않은 일반 사용자인 경우, 일반 사용자는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130) 혹은 퍼스널 모빌리티(110)를 통해 제공되는 QR 코드를 식별함으로써 주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의 주행 방법은 관리자의 주행 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어플리케이션(131)은 외부에서 수신된 다양한 추가 데이터를 통해 퍼스널 모빌리티(110)의 안전 주행을 유도할 수 있다. 일례로, 어플리케이션(131)은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지도 데이터 및 GPS 센서를 통한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위치한 장소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퍼스널 모빌리티(110)가 인도 상에 존재하거나 전방에 급커브길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어플리케이션(131)은 퍼스널 모빌리티(110)로 감속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퍼스널 모빌리티(110)를 운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
110 : 퍼스널 모빌리티
120 : 헬멧
130 : 사용자 단말
131 : 어플리케이션
140 : 서버

Claims (4)

  1. 퍼스널 모빌리티 시스템의 서버가 수행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나이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게 입력되는 최고 주행 속도와 관련된 제한 속도 정보 및 헬멧 착용 유무와 관련된 안전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이용될 장소의 이용 목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르게 입력되는 최고 주행 속도와 관련된 제한 속도 정보 및 헬멧 착용 유무와 관련된 안전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나이 특성 및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이용될 장소의 이용 목적 특성에 따라 각각 수신된 제한 속도 정보들 및 안전 모드 정보들을 이용하여 조합함으로써 서로 다른 복수의 주행 모드들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나이 특성 및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이용될 장소의 이용 목적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생성된 복수의 주행 모드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주행 모드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추출된 주행 모드들 중 어느 하나의 주행 모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주행 모드에 기초하여, 지도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지도 데이터 및 GPS 센서를 통한 GPS 데이터를 통해 분석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주행하는 도로의 용도가 인도이고, 종류가 급커브길인 경우,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의 안전 주행을 유도하기 위한 감속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로 전송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모드는,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나이 정보 및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가 이용될 장소 정보에 따른 사용 목적에 기초하여 제한 속도의 크기 및 안전 모드의 적용 여부가 달라지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스널 모빌리티는,
    상기 선택된 주행 모드에 안전 모드가 적용되었는 지의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안전 모드의 적용이 식별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헬멧 착용 여부에 따라 주행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
  4. 삭제
KR1020200161280A 2019-11-27 2020-11-26 Ict 기술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 KR102533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55 2019-11-27
KR20190154255 2019-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879A KR20210065879A (ko) 2021-06-04
KR102533988B1 true KR102533988B1 (ko) 2023-05-19

Family

ID=7639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280A KR102533988B1 (ko) 2019-11-27 2020-11-26 Ict 기술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565B1 (ko) * 2022-12-05 2023-06-28 류혜림 퍼스널 모빌리티의 헬멧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260B1 (ko) * 2011-05-06 2017-08-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Qr코드를 이용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5715B1 (ko) * 2017-01-31 2018-09-10 주식회사 이랜텍 전기 자전거 구동 제어 시스템
JP2018203129A (ja) * 2017-06-07 2018-12-27 貫▲ホン▼科技股▲ふん▼有限公司 原動機付自転車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0350A (ko) * 2008-10-10 2010-04-20 강재홍 식별 정보를 이용한 자전거의 관리 시스템
KR102536865B1 (ko) * 2016-07-22 2023-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94532A (ko) * 2018-02-05 2019-08-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륜차 운전자를 위한 안전 시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2260B1 (ko) * 2011-05-06 2017-08-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Qr코드를 이용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85715B1 (ko) * 2017-01-31 2018-09-10 주식회사 이랜텍 전기 자전거 구동 제어 시스템
JP2018203129A (ja) * 2017-06-07 2018-12-27 貫▲ホン▼科技股▲ふん▼有限公司 原動機付自転車の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879A (ko)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3283B2 (en) Controlling autonomous vehicles in connection with transport services
US11959761B1 (en) Passenger profiles for autonomous vehicles
US10074223B2 (en) Secured vehicle for user use only
TWI738810B (zh) 用於車輛平台的設備以及方法
US11809197B2 (en) Autonomous vehicle hailing and pickup location refinement through use of an identifier
US11068788B2 (en) Automatic generation of human-understandable geospatial descriptors
US10358142B2 (en) Safe driving support via automotive hub
US976070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iver authentication through embedded sensing
EP313380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rtable device in vehicle
Ismail et al. Automated analysis of pedestrian–vehicle conflicts: Context for before-and-after studies
US9928734B2 (en) Vehicle-to-pedestrian communication systems
CN107369207A (zh) 在无人驾驶车辆中提供增强虚拟现实内容的系统和方法
US20200353947A1 (en) Intervehicle communication and notification
KR102533988B1 (ko) Ict 기술을 활용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주행 모드 제공 방법
KR20160051922A (ko) 차량의 음악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936664A (zh) 消息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3005275A1 (zh) 交通行为识别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2100341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idewalk detection for personal mobility vehicles
Khosravi et al. Assistive system to improve pedestrians’ safety and mobility in a connected vehicle technology environment
Hazoor et al. Development of a novel intelligent speed adaptation system based on available sight distance
JP2018124860A (ja)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Fink et al. The Autonomous Vehicle Assistant (AVA): Emerging technology design supporting blind and visually impaired travelers in autonomous transportation
KR102297601B1 (ko)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통해 개인용 탑승장치에 대한 배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용 탑승장치 배정 서비스 서버
KR20180137724A (ko) 음성 인식에 기반한 영상 공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영상 공유 시스템
KR102443980B1 (ko) 차량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