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758B1 - 포장필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포장필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758B1
KR102533758B1 KR1020220084702A KR20220084702A KR102533758B1 KR 102533758 B1 KR102533758 B1 KR 102533758B1 KR 1020220084702 A KR1020220084702 A KR 1020220084702A KR 20220084702 A KR20220084702 A KR 20220084702A KR 102533758 B1 KR102533758 B1 KR 102533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ackaging film
sheet
reservo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지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진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진피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진피앤씨
Priority to KR102022008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시트의 일측면에는 PET시트가 접착되고 타측면에는 PE시트가 접착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제품 생산성은 향상시키면서 불량률은 줄일 수 있는 포장필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필름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of packaging film}
본 발명은 포장필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시트의 일측면에는 PET시트가 접착되고 타측면에는 PE시트가 접착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제품 생산성은 향상시키면서 불량률은 줄일 수 있는 포장필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등을 유통함에 있어서는 일정한 양으로 계량하고 이렇게 일정량으로 계량된 식품을 각각 포장한 후 유통시키게 되는데, 식품의 포장을 위해서는 포장필름이 사용된다.
식품에 사용되는 포장필름은 포장하는 식품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밀봉성과 방수성, 투기성, 항균성 등을 고려하여 만들어지며,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즉, 식품포장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삼면 포장지, 지퍼가 있어 남은 내용물을 밀폐 보관할 수 있는 지퍼 포장지, 내용물을 넣은 후 세울 수 있는 스탠드 포장지, 내용물을 충진하고 밀봉하여 가압가열 살균 또는 멸균 처리할 수 있는 레토르트 포장지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포장필름은 내용물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종이나 필름을 2겹 이상의 다층 구조로 합지하여 제작하게 되는데, 합지에는 종래 대부분이 유기용제가 사용된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지 처리하고 있다.
유기용제는 독성 및 아주 강한 냄새를 갖는 것으로서, 짧은 시간에 피로감을 증대시키고 호흡기나 소화기 또는 뇌신경을 포함한 인체 전반에 걸쳐 장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포장필름 등 포장재료에 대한 위생성 및 안전성에도 위해 요소가 있어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포장필름 원단의 합지시 합지 불량이 발생되므로 무용제를 적용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37479호2020.08.1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알루미늄 시트의 일측면에는 PET시트가 접착되고 타측면에는 PE시트가 접착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제품 생산성은 향상시키면서 불량률은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포장필름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포장필름 제조장치는, 투명한 PET시트(1)가 권취되는 제1 권취롤(100); 상기 PET시트(1)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제1 접착제 도포부(200); 알루미늄 시트(2)가 권취되는 제2 권취롤(300); 일면에 소정 무늬가 인쇄된 PE시트(3)가 귄취되는 제3 권취롤(400); 상기 알루미늄 시트(2)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제2 접착제 도포부(500); 상기 PET시트(1)와 알루미늄 시트(2) 및 PE시트(3)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이송롤(600); 상기 PET시트(1)와 알루미늄 시트(2)를 압착시키는 제1 합지부(700); 상기 알루미늄 시트(2)와 PE시트(3)를 압착시켜 포장필름을 제조하는 제2 합지부(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 접착제 도포부(200)(500)는, 상기 일정량의 접착제가 저장되는 저장통(210)(510); 상기 저장통(210)(510)에 접착제 원료를 공급하는 공급통(220)(520); 상기 공급통(220)(520)에서 저장통(210)(510)으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흐름을 차단하는 밸브(230)(530); 상기 저장통(210)(510)에 저장된 접착제의 응고현상을 방지하는 응고 방지부(240)(540); 상기 밸브(230)(5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밸브(230)(5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50)(550)를 포함한다.
상기 응고 방지부(240)(540)는, 상기 저장통(210)(510)의 일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홀(241)(541); 상기 가이드홀(241)(541)을 통해 저장통(210)(510)의 바닥에 위치하여 수평이동하면서 접착제의 응고를 방지하는 응고방지부재(242)(542); 상기 응고방지부재(242)(542)의 단부에 기어로 맞물려 응고방지부재를 수평이동시키는 구동모터(243)(543)를 포함하며, 상기 응고방지부재(242)(542)는, 제1 부재(242a)(542a)가 상기 가이드홀(241)(541) 상에 위치하고, 제2 부재(242b)(542b)는 상기 저장통(210)(510)의 내부에 바닥면과 일정 높이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제2 부재(242b)(542b)의 양측에 형성되어 접착제를 교반하여 응고를 방지하는 제1 브러쉬(242c)(542c); 상기 제2 부재(242b)(542b)의 중앙부에는 접착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접착롤러의 표면을 고르게 하는 제2 브러쉬(242d)(542d)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합지부(800)를 통해 합지되어 제조된 포장필름의 하부를 가압하여상기 포장필름이 최종완성 롤에 권취될 때, 처짐현상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9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짐방지부(900)는, 상기 포장필름 하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로드(910); 상기 고정로드(910)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공(920); 상기 가이드공(920)에 가이드축(931)이 결합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며 포장필름의 하부를 지지하는 처짐방지부재(930); 상기 가이드공(920)과 가이드축(931) 사이에 장착되어 처짐방지부재(930)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스프링(940); 상기 가이드공(920)과 인접한 고정로드(9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조절홈(950); 상기 가이드축(931)에 조절홈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결합홈(960);상기 조절홈(950)과 결합홈(960)에 결합되어 처짐방지부재(930)를 고정하는 고정키(970); 상기 고정로드(9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처짐방지부재(930)의 양측 단부를 가이드하여 상기 처짐방지부재(930)가 수직으로 승강하도록 하는 승강가이드(98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 시트의 일측면에는 PET시트가 접착되고 타측면에는 PE시트가 접착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키면서 불량률은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 제조장치의 PET시트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접착제가 도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 제조장치의 PET시트와 알루미늄 시트가 합지되는 상태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 제조장치의 알루미늄 시트와 PE시트가 합지되는 상태의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 제조장치의 제1,2 접착제 도포부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응고방지부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응고방지부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처짐방지부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 제조장치의 PET시트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접착제가 도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 제조장치의 PET시트와 알루미늄 시트가 합지되는 상태의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 제조장치의 알루미늄 시트와 PE시트가 합지되는 상태의 사진이다.
본 발명 포장필름 제조장치는, 투명한 PET시트(1)가 권취되는 제1 권취롤(100); 상기 PET시트(1)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제1 접착제 도포부(200); 알루미늄 시트(2)가 권취되는 제2 권취롤(300); 일면에 소정 무늬가 인쇄된 PE시트(3)가 귄취되는 제3 권취롤(400); 상기 알루미늄 시트(2)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제2 접착제 도포부(500); 상기 PET시트(1)와 알루미늄 시트(2) 및 PE시트(3)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이송롤(600); 상기 PET시트(1)와 알루미늄 시트(2)를 압착시키는 제1 합지부(700); 상기 알루미늄 시트(2)와 PE시트(3)를 압착시켜 포장필름을 제조하는 제2 합지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권취롤(100)은 포장필름 제조장치의 프레임 전방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PET 시트(1)가 권취되며, 상기 PET시트(1)는 이송롤(600)을 통해 안내되면서 전방으로 이송된다.
상기 PET시트(1)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알루미늄 시트(2)의 일측면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1 권취롤(100)은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PET시트(1)의 여유분을 추가로 장착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착제 도포부(200)는, 저장통(210), 공급통(220), 밸브(230), 응고 방지부(240), 제어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통(210)은 접착롤러의 하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일정량의 접착제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공급통(220)은 저장통(210)으로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탱크이며, 공급호스를 통해 저장통(210)으로 긍급된다.
상기 밸브(230)는 상기 공급호스 상에 형성되어 접착제의 흐름을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
상기 응고 방지부(240)는 저장통(210)에 저장된 접착제가 응고되지 않도록 섞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응고 방지부(240)는 저장통(210)의 일측면 상부에 가이드홀(24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241)을 통해 저장통(210) 내측으로 위치하여 수평이동하면서 접착제의 응고를 방지하는 응고방지부재(242)가 구비된다.
상기 응고방지부재(242)는 제1,2부재(242a)(242b)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부재(242a)는 가이드홀(241) 상에 위치하고, 제2 부재(242b)는 저장통(210) 내부의 바닥면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부재(242b)의 상면 및 하면의 양측에는 접착제를 교반하여 응고를 방지하는 제1 브러쉬(242c)가 형성되며, 제2 부재(242b)의 상면 중앙부에는 접착롤러의 표면을 고르게 하는 제2 브러쉬(242d)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브러쉬(242c)는 접착롤러에 접촉되지 않고, 제2 브러쉬(242d)는 접착롤러의 하부에서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1 브러쉬(242c)는 접착제의 교반효율을 극대화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응고방지부재(242)의 제1 부재(242a) 단부에는 종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기어에는 구동모터(243)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구동기어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상기 제어부(250)는 밸브(2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밸브(230)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권취롤(300)은 프레임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알루미늄 시트(2)가 권취된다.
상기 알루미늄 시트(2)는 상기 이송롤(600)에 의해 안내되어 PET시트(1)와 합지될 것이다.
상기 제3 권취롤(400)은 알루미늄 시트(2)가 권취되는 제2 권취롤(300)의 후방에 위치하며, 제3 권취롤(400)에는 일면에 소정 무늬가 인쇄된 PE시트(3)가 권취된다.
또한, 상기 제2 접착제 도포부(500)는 알루미늄 시트(2)의 일면에 접착제롤 도포하게 된다.
상기 제2 접착제 도포부(500)는 저장통(510), 공급통(520), 밸브(530), 응고 방지부(540), 제어부(550)로 구성된다.
상기 저장통(510)은 접착롤러의 하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일정량의 접착제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 공급통(520)은 저장통(510)으로 접착제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탱크이며, 공급호스를 통해 저장통(510)으로 긍급된다.
상기 밸브(530)는 상기 공급호스 상에 형성되어 접착제의 흐름을 공급 및 차단하게 된다.
상기 응고 방지부(540)는 저장통(510)에 저장된 접착제가 응고되지 않도록 섞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응고 방지부(540)는 저장통(510)의 일측면 상부에 가이드홀(54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541)을 통해 저장통(510) 내측으로 위치하여 수평이동하면서 접착제의 응고를 방지하는 응고방지부재(542)가 구비된다.
상기 응고방지부재(542)는 제1,2부재(542a)(542b)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부재(542a)는 가이드홀(541) 상에 위치하고, 제2 부재(542b)는 저장통(510) 내부의 바닥면에 일정 높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부재(542b)의 상면 및 하면의 양측에는 접착제를 교반하여 응고를 방지하는 제1 브러쉬(542c)가 형성되며, 제2 부재(542b)의 상면 중앙부에는 접착롤러의 표면을 고르게 하는 제2 브러쉬(542d)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브러쉬(542c)는 접착롤러에 접촉되지 않고, 제2 브러쉬(542d)는 접착롤러의 하부에서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제1 브러쉬(542c)는 접착제의 교반효율을 극대화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응고방지부재(542)의 제1 부재(542a) 단부에는 종동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종동기어에는 구동모터(543)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구동기어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즉, 상기 응고방지부(540)는 구동모터(543)의 구동으로 응고방지부재(542)가 저장통(510) 내부에서 반복적인 수평이동하면서 접착제를 교반하여 응고되지 않게 하며 접착롤러의 표면을 고르게 하므로 접착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550)는 밸브(5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밸브(530)의 개방 및 폐쇄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롤(600)은 PET시트(1)와 알루미늄 시트(2) 및 PE시트(3)를 평팽하게 유지하여 전방으로 가이드하는 롤러이다.
상기 제1 합지부(700)는 한 쌍의 롤러로 형성되어 이송롤(600)을 따라 가이드되는 PET시트(1)와 알루미늄 시트(2)를 압착시켜 합지시키게 된다.
상기 제2 합지부(800)는 제1 합지부(70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롤러로 형성되어 이송롤(600)을 따라 가이드되는 알루미늄 시트(2)와 PE시트(3)를 압착시켜 합지시키게 된다.
즉, 본 발명은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된 콘트롤장치에 의해 포장필름 제조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PET시트(1)가 이송롤(600)에 의해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이송되고, 이송되는 PET 시트(1)는 이송롤(600)과 접착롤러(10) 사이로 공급된다.
상기 접착롤러(10)는 제1 접착제 도포부(200)의 저장통(210)에 저장된 접착제에 하부가 침지되어 있으며, 상기 PET시트(1)의 일면에는 접착롤러(10)에 묻어있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상기 PET시트(1)는 이송롤(600)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되어 제1 합지부(700)에 위치하게 되고, 제2 권취롤(300)에 권취된 알루미늄 시트(2)도 제1 합지부(700)에 위치하게 되며, PET시트(1)에 도포된 접착제에 알루미늄 시트(2)가 밀착되어 제1 합지부(700)에 의해 압착되면서 1차로 합지된다.
1차로 합지된 포장필름이 이송롤(600)에 가이드되어 전방으로 이송되고, 이송되는 포장필름은 이송롤(600)과 접착롤러(10) 사이로 공급된다.
상기 접착롤러(10)는 제2 접착제 도포부(500)의 저장통(510)애 조장된 접착제에 하부가 침지되어 있으며, 상기 포장필름의 알루미늄 시트(2) 일면에는 접착롤러(10)에 묻어있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상기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된 포장필름은 이송롤(60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어 제2 합지부(800)에 위치하게 되고, 제3 권취롤(400)에 권취된 PE시트(3)도 제2 합지부(800)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알루미늄 시트(2)에 도포된 접착제에 PE시트(3)가 밀착되어 제2 합지부(800)에 의해 압착되면서 2차로 합지된다.
상기와 같이 1,2차에 걸쳐 합지된 포장필름은 이송롤(600)에 가이드되어 최종완성 롤에 권취되어 제품화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합지부(800)를 통해 합지되어 제조된 포장필름의 하부를 가압하여상기 포장필름이 최종완성 롤에 권취될 때, 처짐현상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9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처짐방지부(900)는, 상기 포장필름 하부의 프레임에 고정로드(910)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로드(910)의 단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길게 가이드공(920)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고정로드(910)는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공(920)는 수직 방향으로 처짐방지부재(930)가 결합되며, 상기 처짐방지부재(930)의 양측 하부에는 가이드축(931)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축(931)이 가이드공(920)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하강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공(920)과 가이드축(931) 사이에는 스프링(940)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940)은 처짐방지부재(930)를 탄력있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공(920)과 인접한 고정로드(9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절홈(95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축(931)에는 조절홈(950) 방향으로 결합홈(960)이 형성된다.
상기 처짐방지부재(930)를 상부로 가압하여 조절홈(950)과 결합홈(960)을 일치시킨 후 고정키(970)를 결합하게 되면 상기 처짐방지부재(930)의 높이가 조절되어 포장필름(A)의 하부를 탄력있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처짐방지부재(930)의 승하강시 처짐방지부재(93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로드(910)의 상부에 승강가이드(980)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가이드(980)는 처짐방지부재(930)의 승하강시 처짐방지부재(930)의 양측 단부를 가이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제1 권취롤
200: 제1 접착제 도포부
300: 제2 권취롤
400: 제3 권취롤
500: 제2 접착제 도포부
600: 이송롤
700: 제1 합지부
800: 제2 합지부
900: 처짐방지부

Claims (4)

  1. 투명한 PET시트(1)가 권취되는 제1 권취롤(100);
    상기 PET시트(1)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제1 접착제 도포부(200);
    알루미늄 시트(2)가 권취되는 제2 권취롤(300);
    일면에 소정 무늬가 인쇄된 PE시트(3)가 귄취되는 제3 권취롤(400);
    상기 알루미늄 시트(2)의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는 제2 접착제 도포부(500);
    상기 PET시트(1)와 알루미늄 시트(2) 및 PE시트(3)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이송롤(600);
    상기 PET시트(1)와 알루미늄 시트(2)를 압착시키는 제1 합지부(700);
    상기 알루미늄 시트(2)와 PE시트(3)를 압착시켜 포장필름을 제조하는 제2 합지부(800);
    상기 제2 합지부(800)를 통해 합지되어 제조된 포장필름(A)의 하부를 가압하여상기 포장필름(A)이 최종완성 롤에 권취될 때, 처짐현상을 방지하는 처짐방지부(9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처짐방지부(900)는,
    상기 포장필름(A) 하부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로드(910);
    상기 고정로드(910)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공(920);
    상기 가이드공(920)에 가이드축(931)이 결합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며 포장필름(A)의 하부를 지지하는 처짐방지부재(930);
    상기 가이드공(920)과 가이드축(931) 사이에 장착되어 처짐방지부재(930)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스프링(940);
    상기 가이드공(920)과 인접한 고정로드(9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조절홈(950);
    상기 가이드축(931)에 조절홈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결합홈(960);
    상기 조절홈(950)과 결합홈(960)에 결합되어 처짐방지부재(930)를 고정하는 고정키(970);
    상기 고정로드(9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처짐방지부재(930)의 양측 단부를 가이드하여 상기 처짐방지부재(930)가 수직으로 승강하도록 하는 승강가이드(9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필름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접착제 도포부(200)(500)는,
    일정량의 접착제가 저장되는 저장통(210)(510);
    상기 저장통(210)(510)에 접착제 원료를 공급하는 공급통(220)(520);
    상기 공급통(220)(520)에서 저장통(210)(510)으로 공급되는 접착제의 흐름을 차단하는 밸브(230)(530);
    상기 저장통(210)(510)에 저장된 접착제의 응고현상을 방지하는 응고 방지부(240)(540);
    상기 밸브(230)(5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밸브(230)(5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50)(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필름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응고 방지부(240)(540)는,
    상기 저장통(210)(510)의 일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가이드홀(241)(541);
    상기 가이드홀(241)(541)을 통해 저장통(210)(510)의 바닥에 위치하여 수평이동하면서 접착제의 응고를 방지하는 응고방지부재(242)(542);
    상기 응고방지부재(242)(542)의 단부에 기어로 맞물려 응고방지부재를 수평이동시키는 구동모터(243)(543)를 포함하며,
    상기 응고방지부재(242)(542)는,
    제1 부재(242a)(542a)가 상기 가이드홀(241)(541) 상에 위치하고, 제2 부재(242b)(542b)는 상기 저장통(210)(510)의 내부에 바닥면과 일정 높이 이격되게 위치하며,
    상기 제2 부재(242b)(542b)의 양측에 형성되어 접착제를 교반하여 응고를 방지하는 제1 브러쉬(242c)(542c);
    상기 제2 부재(242b)(542b)의 중앙부에는 접착롤러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접착롤러의 표면을 고르게 하는 제2 브러쉬(242d)(542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필름 제조장치.
  4. 삭제
KR1020220084702A 2022-07-10 2022-07-10 포장필름 제조장치 KR102533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702A KR102533758B1 (ko) 2022-07-10 2022-07-10 포장필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702A KR102533758B1 (ko) 2022-07-10 2022-07-10 포장필름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758B1 true KR102533758B1 (ko) 2023-05-17

Family

ID=86547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702A KR102533758B1 (ko) 2022-07-10 2022-07-10 포장필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7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7892A (ja) * 2005-03-25 2006-11-02 Showa Denko Kk 接着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41910A (ja) * 2007-03-26 2008-10-09 Nitto Denko Corp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226714A (ja) * 2012-04-26 2013-11-07 Shinsei Shika Kogyo Kk ラミネート装置およびラミネート方法
KR20170027459A (ko) * 2015-09-02 2017-03-10 삼아알미늄 (주) 진공단열재용 복합강화 난연성 외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KR102141707B1 (ko) * 2020-04-05 2020-08-05 이규득 필름합지 시스템
KR102137479B1 (ko) 2020-03-25 2020-08-10 주식회사 아이앤티산업 식품 포장필름 제조용 무용제 코팅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97892A (ja) * 2005-03-25 2006-11-02 Showa Denko Kk 接着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241910A (ja) * 2007-03-26 2008-10-09 Nitto Denko Corp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226714A (ja) * 2012-04-26 2013-11-07 Shinsei Shika Kogyo Kk ラミネート装置およびラミネート方法
KR20170027459A (ko) * 2015-09-02 2017-03-10 삼아알미늄 (주) 진공단열재용 복합강화 난연성 외포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KR102137479B1 (ko) 2020-03-25 2020-08-10 주식회사 아이앤티산업 식품 포장필름 제조용 무용제 코팅장치
KR102141707B1 (ko) * 2020-04-05 2020-08-05 이규득 필름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28080A (zh) 用于lcd玻璃板的约束密集封装系统
DE231235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kontinuierlichen rolle selbstklebender etikette
CN112009018A (zh) 一种纸箱加工用胶水纸封设备及其使用方法
EP3483080B1 (de) Leimversorgung für etikettieraggregat mit leimdrucker
CN205873398U (zh) 一种纺织用织布印花包装装置
CN106944303A (zh) 一种海绵涂胶机
KR102533758B1 (ko) 포장필름 제조장치
CN114657814B (zh) 斜坡过胶流水线
CN207000897U (zh) 铝合金贴膜机
CN216419946U (zh) 一种保护膜柔性涂覆硅胶处理剂装置
AU2013270440B2 (en) Method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 protective cover to internal surfaces of a cargo container.
CN108043658A (zh) 一种板材涂胶装置
KR101251259B1 (ko) 직물원단의 고무코팅장치
CN113767977A (zh) 一种猕猴桃鲜果涂膜、辐照协同保鲜设备
CN207914031U (zh) 一种板材涂胶装置
CN111115268A (zh) 一种lcd液晶玻璃生产线
KR101874326B1 (ko) 스킨포장 기능을 겸용하는 진공포장기의 포장방법
US7546798B2 (en) Wringing device
CN218229735U (zh) 一种无纺布角磨片贴标设备
CN220738206U (zh) 一种用于输送带下表面的隔离剂涂抹装置
CN213353721U (zh) 一种能自动加胶的纸箱生产用裱胶装置
US2018029044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Soft Good
JPH02233253A (ja) 印刷インキ用袋、印刷機械におけるインキ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CN219802692U (zh) 一种真空压膜机
KR100543947B1 (ko) 주름종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