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705B1 -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705B1
KR102533705B1 KR1020210031330A KR20210031330A KR102533705B1 KR 102533705 B1 KR102533705 B1 KR 102533705B1 KR 1020210031330 A KR1020210031330 A KR 1020210031330A KR 20210031330 A KR20210031330 A KR 20210031330A KR 102533705 B1 KR102533705 B1 KR 102533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racket
junction box
fixing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958A (ko
Inventor
엄재홍
Original Assignee
(주) 대하전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하전선 filed Critical (주) 대하전선
Priority to KR1020210031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70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 터미널과 고정브라켓을 후크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터미널이 조립된 브라켓을 하우징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고정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터미널에 고정되므로 인해 조립된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Assembly process of junction box for solar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 터미널과 브라켓을 후크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터미널이 조립된 브라켓을 하우징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고정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터미널에 고정되므로 인해 조립된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빛을 직접 전력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태양전지 모듈 (Photovoltaic Module)은 평판형상으로 된 베이스판의 상면에 다수의 솔라셀(solar cell)이 설치되고, 솔라셀의 상부에는 투명한 재질로 된 커버판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태양전지 모듈의 후면부에는, 태양전지 모듈로부터 인출된 도체 재질의 리본부재가 구비되며, 리본부재와 케이블부재의 안정적인 전기연결을 위한 정션박스가 설치된다.
정션박스의 내측에는 터미널부재가 설치되며, 터미널부재의 양측에는 리본부재와 케이블부재가 각각 접속된다.
또한, 터미널부재에는 바이패스형 다이오드가 설치되어 발전량이 저하되는 솔라셀을 우회하여 전기가 흐르도록 안내하며, 다이오드에는 히트싱크가 설치되어 다이오드가 과열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정션박스는, 다이오드와 히트싱크의 연결이 체결부재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접촉 불량에 의해 방열작용이 원활히 이루지지 않아 오작동 및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정션박스의 히트싱크는 접촉 불량이 발생되기 쉬워 방열효율의 향상에 한계가 있으므로 큰 용량의 히트싱크의 설치가 요구되어 제품의 크기를 줄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09-0109202호에 정션박스 및 그 제조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정션박스의 제조방법은,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는 터미널부재에 다이오드를 장착시키는 결합단계와, 상기 다이오드를 금형에 안착시켜 상기 금형에 작업 대상물을 주입하는 몰딩단계 및 상기 금형을 해체하고 작업 대상물을 경화시켜 방열부와 상기 다이오드를 밀착시키는 경화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부는 상기 다이오드와 상기 터미널부재의 전체를 감싸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정션박스의 제조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는 터미널부재에 다이오드를 장착시켜 결합시킨 후, 다이오드를 금형에 안착시켜 금형에 작업 대상물을 주입하는 것에 의해 정션박스를 제조하도록 되어 있어서, 다이오드가 장착된 터미널부재와 케이스와의 결합이 작업 대상물을 주입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작업 대상물 주입시 다이오드가 장착된 터미널부재가 케이스로부터 들뜨게되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09-0109202호, 출원일; 2009년11월12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 터미널과 브라켓을 후크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터미널이 조립된 브라켓을 하우징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고정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터미널에 고정되므로 인해 조립된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은, 제1,2,3터미널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홀을 통하여 지그에 터미널을 안착시키는 안착단계와, 상기 안착단계에 의해 지그에 안착 고정된 터미널의 제1,2터미널과 제2,3터미널에 태양전지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리드부와 몸체부로 구성된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용접으로 고정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에 의해 터미널에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고정된 터미널을 뒤집은 후, 브라켓의 상면에 위치시켜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복수 개의 고정홀을 일치시킨 후 소정의 힘을 가하여 고정 결합시키는 터미널 결합단계와, 상기 터미널 결합단계에 의해 터미널이 상면에 결합 고정된 브라켓을 하우징의 하부를 통하여 내측으로 삽입시켜 상기 브라켓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하여 고정 결합시키는 브라켓 결합단계와, 상기 브라켓 결합단계에 의해 브라켓이 결합된 하우징을 압착기에 안착시킨 후, 제1터미널과 제3터미널에 형성된 제1,2접속부에 각각의 조립공정에 의해 조립 고정된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갖는 제1,2케이블을 압착 접속시키는 케이블 접속단계와, 상기 케이블 접속단계에 의해 제1,2접속부에 제1,2케이블이 접속 연결되면, 하우징에 홀더를 안착시킨 후, 융착기를 통하여 상기 홀더를 하우징에 융착시키는 홀더 융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 후, 정션박스가 태양광 모듈에 설치됨에 따른 태양광 모듈측으로부터 배선된 연결선과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용접 접속시킬 수 있도록 제1,2,3터미널에 형성된 제1,2,3배선홀 각 일측에 예납하는 예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 결합단계 후, 상기 브라켓의 배면 양측에 정션박스를 태양광 모듈에 실란트를 매개로 고정시 실란트가 경화되기 전까지 상기 정션박스를 태양광 모듈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양면테이프 부착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에 따르면, 터미널과 브라켓을 후크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터미널이 조립된 브라켓을 하우징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인해, 조립 고정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터미널에 고정되므로 인해 조립된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의 안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의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예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터미널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브라켓 결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양면테이프 부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케이블 접속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홀더 융착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수커넥터 조립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암커넥터 조립공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은, 조립 고정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터미널에 고정되므로 인해 조립된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터미널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홀을 통하여 지그에 터미널을 안착시키는 안착단계(S110)와, 상기 안착단계(S110)에 의해 지그에 안착 고정된 터미널의 제1,2터미널과 제2,3터미널에 태양전지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리드부와 몸체부로 구성된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용접으로 고정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S120)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S120)에 의해 터미널에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고정된 터미널을 뒤집은 후, 브라켓의 상면에 위치시켜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복수 개의 고정홀을 일치시킨 후 소정의 힘을 가하여 고정 결합시키는 터미널 결합단계(S130)와, 상기 터미널 결합단계(S130)에 의해 터미널이 상면에 결합 고정된 브라켓을 하우징의 하부를 통하여 내측으로 삽입시켜 상기 브라켓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하여 고정 결합시키는 브라켓 결합단계(S140)와, 상기 브라켓 결합단계(S140)에 의해 브라켓이 결합된 하우징을 압착기에 안착시킨 후, 제1터미널과 제3터미널에 형성된 제1,2접속부에 각각의 조립공정에 의해 조립 고정된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갖는 제1,2케이블을 압착 접속시키는 케이블 접속단계(S150)와, 상기 케이블 접속단계(S150)에 의해 제1,2접속부에 제1,2케이블이 접속 연결되면, 하우징에 홀더를 안착시킨 후, 융착기를 통하여 상기 홀더를 하우징에 융착시키는 홀더 융착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S120) 후, 정션박스가 태양광 모듈에 설치됨에 따른 태양광 모듈측으로부터 배선된 연결선과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용접 접속시킬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터미널에 형성된 제1,2,3배선홀 각 일측에 예납하는 예납단계(S1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브라켓 결합단계(S140) 후, 상기 브라켓의 배면 양측에 정션박스를 태양광 모듈에 실란트를 매개로 고정시 실란트가 경화되기 전까지 상기 정션박스를 태양광 모듈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양면테이프 부착단계(S14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의 안착단계(S110)는, 터미널의 제1,2,3터미널을 지그에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한 안착단계(S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에 형성된 돌기가 제1,2,3터미널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홀을 관통하도록 상기 터미널의 제1,2,3터미널을 지그에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한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S120)는 상기 안착단계(S110)에 의해 지그에 안착 고정된 터미널의 제1,2터미널과 제2,3터미널에 태양전지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용접으로 고정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한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정단계(S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몸체부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리드부를 제1터미널에 임시로 가용접하는 리드부 가용접단계(S121)와, 상기 리드부 가용접단계(S121)에 의해 리드부가 제1터미널에 가용접되면, 몸체부를 제2터미널에 용접하는 몸체부 용접단계(S122)와, 상기 몸체부 용접단계(S122)에 의해 몸체부가 제2터미널에 용접되면, 상기 리드부를 제1터미널에 용접하는 리드부 용접단계(S123)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몸체부와 리드부를 제3터미널과 제2터미널에 용접한다.
여기서, 상기 제2터미널과 제3터미널에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몸체부를 각각 용접하기 위해 용접기로 제2터미널과 제3터미널을 예열할 때, 열이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측으로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제2터미널과 제3터미널로부터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0.5mm~1.5mm 이격시킨 후 납땜한다.
상기한 터미널 결합단계(S130)는,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S120)에 의해 터미널에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고정된 터미널을 브라켓의 상면에 고정되게 결합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한 터미널 결합단계(S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S120)에 의해 터미널에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고정된 터미널을 뒤집은 후,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돌기에 상기 터미널의 제1,2,3터미널에 서로에 대하여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고정홀을 일치시켜 소정의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고정돌기가 고정홀에 각각 관통함에 따른 브라켓에 터미널을 결합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돌기는, 브라켓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수직되게 돌출된 고정돌기용 수직부와, 상기 고정돌기용 수직부의 타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절곡 연장되는 것에 의해 끝단부는 브라켓의 상면과 이격되게 형성된 고정돌기용 절곡부로 구성된다.
상기한 브라켓 결합단계(S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결합단계(S130)에 의해 터미널이 상면에 결합 고정된 브라켓을 사각 틀 형상의 하우징에 고정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즉, 상기한 브라켓 결합단계(S140)는 터미널이 상면에 결합 고정된 브라켓을 하우징의 하부를 통하여 내측으로 삽입시켜 상기 브라켓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하여 고정 결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한 브라켓의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으로부터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좌,우측면 및 전,후면에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가압돌기와, 상기 가압돌기와 가압돌기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걸림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하우징의 결합부는, 상기 브라켓의 가압돌기를 가압되게 수용가능하도록 내측면 하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압고정용 수용홈과, 상기 가압고정용 수용홈과 가압고정용 수용홈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걸림돌기로 구성된다.
상기한 케이블 접속단계(S1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 결합단계(S140)에 의해 브라켓이 결합된 하우징을 압착기에 안착시킨 후, 제1터미널과 제3터미널에 형성된 제1,2접속부에 각각의 조립공정에 의해 조립 고정된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갖는 제1,2케이블을 압착 접속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먼저, 수커넥터의 조립공정을 살펴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하우징 전용 삽입 지그를 사용하여, 수컨택트 홀더를 핀 하우징에 삽입한다(S11).
다음, 핀 컨택트를 제1케이블의 단자에 결착시킨 상태에서(S12), 핀 컨택트가 부착된 제1케이블에 너트 커넥터, 핀치링 및 시일 커넥터의 순으로 핀 컨택트가 부착된 제1케이블에 이들을 끼워서 결착을 준비한다(S13).
이제, 상기 너트 커넥터, 핀치링 및 시일 커넥터와 역순으로, 핀 하우징에 이들을 차례대로 결합시키도록 하는바, 먼저 상기 핀 하우징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핀 하우징 내의 수컨택트 홀더에) 핀 컨택트를 결합시키고(S14), 이후, 핀 하우징에 시일 커넥터 및 핀치링을 삽입한 후, 마지막으로 상기 너트 커넥터를 나사 체결하되 특히 조임 지그를 사용하여 충분히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의해 조립이 완료된다(S15).
또한, 상기한 암커넥터의 조립은(도 11 참조), 소켓 하우징 전용 삽입 지그를 사용하여, 암컨택트 홀더를 소켓 하우징에 삽입한다(S21).
다음, 소켓 컨택트를 제2케이블의 단자에 결착시킨 상태에서(S22), 소켓 컨택트가 부착된 제2케이블에 너트 커넥터, 핀치링 및 시일 커넥터의 순으로 핀 컨택트가 부착된 단자 케이블에 이들을 끼워서 결착을 준비한다(S23).
이제, 상기 너트 커넥터, 핀치링 및 시일 커넥터와 역순으로, 핀 하우징에 이들을 차례대로 결합시키도록 하는 바, 먼저 상기 소켓 하우징에(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켓 하우징 내의 암컨택트 홀더에) 소켓 컨택트를 결합시키고(S24), 이후, 소켓 하우징에 시일 커넥터 및 핀치링을 삽입한 후, 마지막으로 상기 너트 커넥터를 나사 체결하되 특히 조임 지그를 사용하여 충분히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조립이 완료된다(S25).
상기한 홀더 융착단계(S1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접속단계에 의해 제1,2접속부에 수커넥터와 암커넥터가 각각 갖추어진 제1,2케이블이 접속 연결되면, 하우징에 홀더를 안착시킨 후, 융착기를 통하여 상기 홀더를 하우징에 융착시키는 단계이다.
그로 인해 상기 제1,2케이블을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그에 형성된 돌기가 복수 개의 고정홀을 각각 관통되게 터미널의 제1,2,3터미널을 지그에 안착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터미널의 제1,2,3터미널이 지그에 안착 고정되면,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리드부를 제1터미널에 임시로 가용접한 후, 몸체부를 제2터미널에 용접한다.
상기 몸체부가 제2터미널에 용접되면, 가용접된 리드부를 제1터미널에 용접시켜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다른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몸체부와 리드부를 제3터미널과 제2터미널에 용접한다.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터미널에 용접 고정되면, 터미널을 뒤집은 후 즉,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저면에 위치되게 뒤집은 상태에서 브라켓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터미널에 형성된 고정홀이 일치되게 상기 브라켓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후, 고정돌기와 고정홀을 통하여 브라켓에 터미널을 결합 고정되도록 상기 터미널의 제1,2,3터미널에 힘을 가하여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면에 터미널이 결합 고정된 브라켓을 하우징의 하부를 통하여 내측으로 힘을 가하면서 삽입시킨다.
그로 인해 상기 브라켓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브라켓이 하우징 내측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브라켓이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면, 제1터미널과 제3터미널에 형성된 제1,2접속부에 수커넥터와 암커넥터가 갖추어진 제1,2케이블을 압착기를 이용하여 압착 연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2케이블이 제1,2접속부에 압착되어 접속 연결되면, 홀더를 하우징에 안착시킨 후, 융착기를 통하여 상기 홀더를 하우징에 융착시키는 것에 의의해 제조된다.
이상과 같이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고정된 터미널과 브라켓을 후크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터미널이 조립된 브라켓을 하우징에 가압하는 것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고정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용접에 의해 터미널에 고정되므로 인해 조립된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은,
    제1,2,3터미널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홀을 통하여 지그에 터미널을 안착시키는 안착단계(S110)와;
    상기 안착단계(S110)에 의해 지그에 안착 고정된 터미널의 제1,2터미널과 제2,3터미널에 태양전지 사이의 발전 전압간 전위차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역전류를 방지하기 위해 리드부와 몸체부로 구성된 복수 개의 바이패스 다이오드를 용접으로 고정하는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S120)와;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S120)에 의해 터미널에 바이패스 다이오드가 고정된 터미널을 뒤집은 후, 브라켓의 상면에 위치시켜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복수 개의 고정홀을 일치시킨 후 소정의 힘을 가하여 고정 결합시키는 터미널 결합단계(S130)와;
    상기 터미널 결합단계(S130)에 의해 터미널이 상면에 결합 고정된 브라켓을 하우징의 하부를 통하여 내측으로 삽입시켜 상기 브라켓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고정부와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통하여 고정 결합시키는 브라켓 결합단계(S140)와;
    상기 브라켓 결합단계(S140)에 의해 브라켓이 결합된 하우징을 압착기에 안착시킨 후, 제1터미널과 제3터미널에 형성된 제1,2접속부에 각각의 조립공정에 의해 조립 고정된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갖는 제1,2케이블을 압착 접속시키는 케이블 접속단계(S150)와;
    상기 케이블 접속단계(S150)에 의해 제1,2접속부에 제1,2케이블이 접속 연결되면, 하우징에 홀더를 안착시킨 후, 융착기를 통하여 상기 홀더를 하우징에 융착시키는 홀더 융착단계(S160)를 포함하되,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 고정단계(S120) 후, 정션박스가 태양광 모듈에 설치됨에 따른 태양광 모듈측으로부터 배선된 연결선과 용이하면서 신속하게 용접 접속시킬 수 있도록 제1,2,3터미널에 형성된 제1,2,3배선홀 각 일측에 예납하는 예납단계(S125)와,
    상기 브라켓 결합단계(S140) 후, 상기 브라켓의 배면 양측에 정션박스를 태양광 모듈에 실란트를 매개로 고정시 실란트가 경화되기 전까지 상기 정션박스를 태양광 모듈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양면테이프를 부착하는 양면테이프 부착단계(S14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다이오드의 고정단계(S120)는, 몸체부의 위치 이동을 방지하도록 리드부를 제1터미널에 임시로 가용접하는 리드부 가용접단계(S121)와, 상기 리드부 가용접단계(S121)에 의해 리드부가 제1터미널에 가용접되면, 몸체부를 제2터미널에 용접하는 몸체부 용접단계(S122)와, 상기 몸체부 용접단계(S122)에 의해 몸체부가 제2터미널에 용접되면, 상기 리드부를 제1터미널에 용접하는 리드부 용접단계(S12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31330A 2021-03-10 2021-03-10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 KR102533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330A KR102533705B1 (ko) 2021-03-10 2021-03-10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330A KR102533705B1 (ko) 2021-03-10 2021-03-10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958A KR20220126958A (ko) 2022-09-19
KR102533705B1 true KR102533705B1 (ko) 2023-05-17

Family

ID=83460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330A KR102533705B1 (ko) 2021-03-10 2021-03-10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7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499B1 (ko) * 2011-03-16 2012-06-20 주식회사 엘스콤 이중사출구조로 일체화된 태양전지모듈용 접속단자함
JP2015032672A (ja) * 2013-08-01 2015-02-16 日本端子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202A (ko) 2008-04-15 2009-10-20 김종훈 휴대전화를 이용한 팩스 전송 시스템
KR20120042559A (ko) * 2010-10-25 2012-05-03 커넥스일렉트로닉스(주) 태양 전지 모듈용 정션박스
KR20190106338A (ko) * 2018-03-08 2019-09-18 (주) 대하전선 태양광 모듈의 단자 박스 내에 들어가는 터미널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499B1 (ko) * 2011-03-16 2012-06-20 주식회사 엘스콤 이중사출구조로 일체화된 태양전지모듈용 접속단자함
JP2015032672A (ja) * 2013-08-01 2015-02-16 日本端子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958A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47665B (zh) 单元模块、电池模块、电池组及车辆
CN102195071B (zh) 可逆式电池组件和用于自动大量生产的工具
US20050236031A1 (en) Terminal box for a solar battery modul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 terminal box
CN102884640B (zh) 用于光伏模块的连接器组件
KR101864290B1 (ko) 고전압 배터리의 icb 모듈 조립구조
CN102779871A (zh) 光伏组件接线盒
KR101611435B1 (ko) 태양전지 패널용 정션박스
KR102533705B1 (ko) 태양광 모듈용 정션박스의 조립공정
CN202196791U (zh) 光伏组件接线盒
CN104937724A (zh) 用于光伏封装件的座组件
CN113678314A (zh) 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WO2022163477A1 (ja) 電源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2789768A (zh) 电气装置的组件和这种组件的制造方法
CN213521798U (zh) 一种光伏连接器的导电模块组件
CN111726073B (zh) 光伏组件接线盒的加工方法
CN203071109U (zh) 一种太阳能接线盒自锁结构
CN204243124U (zh) 一种快装蓄电池模组及应用该快装蓄电池模组的电动车
CN205985440U (zh) 电连接器
CN104485439A (zh) 一种快装蓄电池模组及应用该快装蓄电池模组的电动车
CN212695950U (zh) 一种高稳定性的光伏接线盒
CN219227545U (zh) 双玻组件用三分体光伏接线装置
CN218162390U (zh) 一种低成本光伏组件接线盒
CN104466070A (zh) 一种快装蓄电池系统及应用该系统的电动车
CN215579155U (zh) 折弯状插针及动力电池
CN217216489U (zh) 光伏组件用一体式连接器接线盒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