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3639B1 -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3639B1
KR102533639B1 KR1020220172429A KR20220172429A KR102533639B1 KR 102533639 B1 KR102533639 B1 KR 102533639B1 KR 1020220172429 A KR1020220172429 A KR 1020220172429A KR 20220172429 A KR20220172429 A KR 20220172429A KR 102533639 B1 KR102533639 B1 KR 102533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lighting
rail
hol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뮤지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뮤지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뮤지엄
Priority to KR102022017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15Adjustabl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for power operation, e.g. by 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6Hoisting or lowering devices, e.g. for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3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remote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21V5/045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the lens having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는, 설치면에 직접 장착되거나 설치면에 시공된 레일 상에 탑재되며,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운용되는 리모컨과 연동하여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내부에 장착하며, 하부면에 제1결속축이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는 시공본체부; 상기 시공본체부의 제1결속축의 동축 상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연장부에 의해 제2결속부와 일체형 구조로 연결되는 제1결속부; 상기 제1결속부의 상단 내부에 장착되고, 제1결속축과 동축 상에 장착되어, 제1결속축을 기준으로 제1결속부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결속부의 연장부 하단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제1결속축의 가상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제2결속부; 상기 제2결속부의 일측단 내부에 장착되고, 제1결속축의 가상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과 평행한 선 상에 장착되어, 제2결속부를 기준으로 조명본체부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결속부의 일측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제2구동부의 회전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며, 연장길이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영사부를 내장하는 조명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면에 시공되는 조명의 조명 조사방향과 초점위치를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에 의해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Automatically Controlled Lighting}
본 발명은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에 의해 조명 조사방향과 조명 초점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등은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시켜 발광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와 기능을 가진 조명등이 회사 및 가정, 도로 등 사회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고, 광원의 종류에 따라 백열등, 형광등, 할로겐등, 수은등으로 구분되며, 설치 형태에 따라 천장등 및 천장매립등과 같은 실내조명등, 경관조명등 및 투과등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조명등은 특정 공간으로 빛을 출사하기 위한 목적과, 특정 시설물의 외관을 화려하게 장식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조명장치이다. 특히 인테리어 및 미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목적의 조명등이 연구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조명등은 통상적으로 빛을 출사하기 위한 전원부, 광원소자 및 전기소자 등을 포함하는 조명부와, 일측이 개구되어 내부에 조명부가 설치되며 개구부를 통해 빛이 출사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확산판과, 방열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조명등은 조명부가 하우징에 설치될 때 조명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회전부가 구성되지 않아 조명부에서 출사되는 빛은 특정 각도로만 출사되는 특성을 갖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빛의 초점위치를 변형하여 다른 조명효과를 거두고자 하는 경우 하우징 자체를 소망의 초점위치에 대응되도록 재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조명부를 회전시켜 다양한 조명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조명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680280호(발명의 명칭 : 건물 천정의 방향조정 조명기구)에 개시된 조명기구는 천정의 상단으로 하부 중앙에 통공이 형성된 반구형의 베어링커버를 부착하고, 그 중앙의 중공부에는 통공으로 나선부지주가 노출되도록 반구형의 베어링을 끼워서 반구형 베어링이 베어링 커버 내에서 수평상태로 360도 회전되게 하며, 나선부지주와 결합되는 회전부재에는 상하로 절곡될 수 있도록 조정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조정부재의 일단에는 힌지핀에 의해 상하로 절곡될 수 있도록 조명등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 나사홈을 형성하고, 나선부지주가 나사홈에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종래의 조명기구는 베어링커버 및 나선부지주의 조작을 통해 수평상태의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조정부재의 회전을 통해 수직상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빛이 출사되는 조명부를 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명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조명기구는 베어링커버, 나선부지주 및 조정부재들이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일일이 볼트 체결을 통해 상호 결합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조립 및 설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떨어지며, 높은 점유면적으로 인해 공간소모가 큰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종래의 조명기구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조명램프가 길이를 갖는 조정부재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되고, 이에 따라 조명램프의 무게가 한계치를 초과하거나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한계치 이상의 풍압을 받을 경우 조정부재가 무게 또는 풍압을 견디지 못하고 소망의 위치로부터 이탈하여 정밀도가 떨어지는 한계를 갖는다.
도 1은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49357호(고안의 명칭 : 조명기구용 설치구조)에 개시된 조명기구용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한번 시공하면 조명 방향을 수정하기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사다리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조명 방향을 수정한다 할지라도 조명의 초점 거리가 맞지 않아 조명의 선명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는 별도의 렌즈를 추가 장착해야 하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종래기술은 시공면에 직접 타공하여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시공하는 구조로서 설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 체결부재를 제거한 후 탈거하여 옮겨 재차 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80280호 (등록일자: 2007년02월01일)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면에 시공되는 조명의 조명 조사방향과 초점위치를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에 의해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는, 설치면에 직접 장착되거나 설치면에 시공된 레일 상에 탑재되며,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운용되는 리모컨과 연동하여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내부에 장착하며, 하부면에 제1결속축이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는 시공본체부; 상기 시공본체부의 제1결속축의 동축 상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연장부에 의해 제2결속부와 일체형 구조로 연결되는 제1결속부; 상기 제1결속부의 상단 내부에 장착되고, 제1결속축과 동축 상에 장착되어, 제1결속축을 기준으로 제1결속부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제1결속부의 연장부 하단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제1결속축의 가상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제2결속부; 상기 제2결속부의 일측단 내부에 장착되고, 제1결속축의 가상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과 평행한 선 상에 장착되어, 제2결속부를 기준으로 조명본체부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제2결속부의 일측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제2구동부의 회전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며, 연장길이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영사부를 내장하는 조명본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본체부는, 상기 조명본체부의 하부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고, 영사부를 중심으로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슬라이딩 삽입구; 상기 슬라이딩 삽입구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거나 외부로 토출되는 구조의 삽출로드; 상기 삽출로드의 하단에 장착되고, 조명본체부의 하부면과 밀착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는 구조이며, 내부에 영사부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을 집광하는 광학렌즈를 장착하는 렌즈부; 및 상기 조명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삽출로드의 삽입 깊이 또는 토출 길이를 변경하여 렌즈부의 위치를 변경하는 로드 삽출 구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영사부는, 순차적으로 켜짐과 꺼짐 반복 구동되는 복수의 광원 유닛으로 이루어진 조명부; 상기 조명부에서의 광이 입사되면, 공간상에 깊이 방향으로의 위치가 이격된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재생되는 홀로그램 광학부; 상기 홀로그램 광학부에서 재생된 광을 영상 신호에 따라 변조하고, 한 프레임의 영상이 광원 유닛의 개수와 같은 개수와 같은 복수 개로 나뉘어지고, 깊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상 될 복수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조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조명부와 홀로그램 광학부 사이의 광경로에 배치되고, 복수의 광원 유닛에서 조명된 광이 각기 다른 입사각으로 홀로그램 광학부에 입사하도록 경로를 바꾸며, 프레넬 렌즈를 포함하는 광경로변환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광학부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이 각각 기록된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 또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이 서로 다른 방향의 광을 참조광으로 하여 다중 기록된 하나의 홀로그램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은 배경 영상 및 전면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에 각각 기록된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은 서로 다른 방향의 광을 기준광으로 하여 기록되며, 상기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의 재질은 포토 리지스트(photoresist) 또는 포토 폴리머(photopolymer)이고, 상기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의 재질은 전기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홀로그래픽 고분자 분산형 액정(holographi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HPDLC)이며, 상기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는 상기 복수의 광원 유닛의 구동에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켜짐과 꺼짐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는, 설치면에 시공되어 일측방 또는 양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하부면에 시공본체부를 연장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레일본체부; 상기 레일본체부의 내부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레일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시공본체부의 구동휠이 안착하여 구름 구동할 수 있는 구조의 구동레일; 및 상기 레일본체부의 하부면 양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레일본체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시공본체부의 안착휠이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의 밀착레일;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공본체부는, 상기 레일본체부의 하부면 정중앙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되어 연장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구동휠이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레일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의 삽입구동본체; 상기 삽입구동본체의 정중앙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삽입구동본체의 위치를 구동레일을 따라 변경하는 구조의 구동휠; 상기 삽입구동본체의 일측방과 타측방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고, 레일본체부의 상부면과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며, 구동레일 내부와 밀착하여 슬라이딩 위치변경되는 구조이고, 시공본체부가 구동휠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의 균형유지결속부; 및 상기 시공본체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양측에 대칭형태로 배치되며, 균형유지결속부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밀착레일의 하부면과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의 안착휠;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공본체부는, 상기 시공본체부의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대칭형태로 장착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며, 균형유지결속부의 만입홈과 대응되는 구조의 반구형 구조가 상단에 형성되고, 균형유지결속부의 만입홈 내측면에 장착된 자력발생부와 자성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소재로 구성된 자성결속부; 상기 균형유지결속부의 하부면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자성결속부의 반구형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의 만입홈; 상기 만입홈에 내측면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거나 자력을 소멸시키는 매그스위치(Magswitch) 구조의 자력발생부; 상기 균형유지결속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 구동하며, 만입홈의 정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견인와이어를 권취하거나 풀어내는 구조의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과 자성결속부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의 견인와이어; 및 상기 삽입구동본체와 균형유지결속부를 일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시공본체부, 제1결속부, 제1구동부, 제2결속부, 제2구동부 및 조명본체부를 구비함으로써, 설치면에 시공되는 조명의 조명 조사방향과 초점위치를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에 의해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정에 장착되는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가 설치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의 조명본체부를 통해 스크린 영상이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명본체부의 영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영상부의 홀로그램 광학부가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을 형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본체부의 영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홀로그램 소자의 회절효율을 예시적으로 보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를 레일본체부를 이용하여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를 레일본체부를 이용하여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A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가 설치면에 시공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시공본체부(120), 제1결속부(131), 제1구동부(141), 제2결속부(132), 제2구동부(142) 및 조명본체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설치면에 시공되는 조명의 조명 조사방향과 초점위치를 사용자의 리모컨 조작에 의해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100)의 시공본체부(120)는, 설치면에 직접 장착되거나 설치면에 시공된 레일 상에 탑재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운용되는 리모컨과 연동하여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내부에 장착하며, 하부면에 제1결속축(121)이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100)의 제1결속부(131)는, 시공본체부(120)의 제1결속축(121)의 동축 상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연장부(133)에 의해 제2결속부(132)와 일체형 구조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100)의 제1구동부(141)는, 제1결속부(131)의 상단 내부에 장착되고, 제1결속축(121)과 동축 상에 장착되어, 제1결속축(121)을 기준으로 제1결속부(131)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시키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100)의 제2결속부(132)는, 제1결속부(131)의 연장부(133) 하단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제1결속축(121)의 가상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100)의 제2구동부(142)는, 제2결속부(132)의 일측단 내부에 장착되고, 제1결속축(121)의 가상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과 평행한 선 상에 장착되어, 제2결속부(132)를 기준으로 조명본체부(110)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100)의 조명본체부(110)는, 제2결속부(132)의 일측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제2구동부(142)의 회전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며, 연장길이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영사부(160)를 내장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조명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슬라이딩 삽입구(111), 삽출로드(112), 렌즈부(113) 및 로드 삽출 구동부(11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슬라이딩 삽입구(111)는 조명본체부(110)의 하부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영사부(160)를 중심으로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구조이다. 삽출로드(112)는 슬라이딩 삽입구(111)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거나 외부로 토출되는 구조이다. 렌즈부(113)는 삽출로드(112)의 하단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조명본체부(110)의 하부면과 밀착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는 구조이며, 내부에 영사부(160)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을 집광하는 광학렌즈를 장착하는 구조이다. 로드 삽출 구동부(114)는 조명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삽출로드(112)의 삽입 깊이 또는 토출 길이를 변경하여 렌즈부(113)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로드 삽출 구동부(114)는 회전축을 가지는 모터 또는 액츄에이터로서, 회전축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는 삽출로드(112)와 결속되는 이동판(114a)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이동판(114a)의 상하 높이가 변경되고, 이로인해 이동판(114a)에 결속된 삽출로드(112)는 슬라이딩 삽입구(111)를 통해 삽입되거나 토출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의 조명본체부를 통해 스크린 영상이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조명본체부의 영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영상부의 홀로그램 광학부가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을 형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본체부의 영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홀로그램 소자의 회절효율을 예시적으로 보인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사부(160)는 특정 구조의 조명부(161), 홀로그램 광학부(163), 디스플레이 패널(164) 및 광경로변환부(16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사부(160)의 조명부(161)는, 순차적으로 켜짐과 꺼짐 반복 구동되는 복수의 광원 유닛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홀로그램 광학부(163)는, 조명부(161)에서의 광이 입사되면, 공간상에 깊이 방향으로의 위치가 이격된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재생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64)은 홀로그램 광학부(163)에서 재생된 광을 영상 신호에 따라 변조하고, 한 프레임의 영상이 광원 유닛의 개수와 같은 개수와 같은 복수 개로 나뉘어지고, 깊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상 될 복수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조할 수 있다. 또한, 광경로변환부(162)는 조명부(161)와 홀로그램 광학부(163) 사이의 광경로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광원 유닛에서 조명된 광이 각기 다른 입사각으로 홀로그램 광학부(163)에 입사하도록 경로를 바꾸며, 프레넬 렌즈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홀로그램 광학부(163)는,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이 각각 기록된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163a, 163b, 163c) 또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이 서로 다른 방향의 광을 참조광으로 하여 다중 기록된 하나의 홀로그램 소자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은 배경 영상 및 전면 영상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에 각각 기록된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은 서로 다른 방향의 광을 기준광으로 하여 기록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의 재질은 포토 리지스트(photoresist) 또는 포토 폴리머(photopolymer)이고,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의 재질은 전기적으로 켜짐과 꺼짐이 제어되는 홀로그래픽 고분자 분산형 액정(holographi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HPDLC)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는 상기 복수의 광원 유닛의 구동에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켜짐과 꺼짐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홀로그램소자(163a) 및 제2홀로그램소자(163b)가 공간상에 위치가 이격된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을 형성하는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8에는, 홀로그램 매질(163a')에 스크린 영상에 해당하는 홀로그램을 기록하여 제1홀로그램소자(163a)를 제작하고 이로부터 스크린 영상이 재생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스크린 영상에 해당하는 홀로그램은 예를 들어, 확산자(10) 영상을 홀로그램 매질(163a')에 기록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홀로그램 매질(163a')은 빛에 예민한 감광성 매질로서 포토리지스트(photoresist), 포토폴리머(photopolymer)와 같은 재료로 형성되며, 영상 데이터를 담고 있는 물체광과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기준광의 광학적 간섭무늬에 의해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광을 확산자(10)에 조사하면 확산자(10) 영상 데이터를 담은 물체광(Lo)이 확산자(10)로부터 나오는데, 이 물체광(Lo)과 어떤 영상 데이터도 포함하지 않는 기준광(Lr1)이 간섭하여 형성되는 간섭무늬가 홀로그램 매질(163a')에 기록된다. 이 때, 기준광(Lr1)을 형성하는 광으로는 간섭성이 좋은 레이저빔이 사용된다. 도 11에서 제1홀로그램소자(163a)는 이와 같이 홀로그램 매질(163a')에 거리 d1만큼 이격되어 위치한 확산자(10)의 영상 홀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1홀로그램소자(163a)에 기록시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기준광(Lr1)이 조사되면, 기준광(Lr1)은 제1홀로그램소자(163a)에 형성된 홀로그램에 의해 회절을 일으키고 이에 의해 물체광(Lo)이 복원된다. 복원된 물체광(Lo)은 확산자 영상을 나타내며, 이는 곧 제1홀로그램 소자(163a)로부터 거리 d1 만큼 이격된 공간상에 스크린(S1)이 형성되는 것과 같다.
도 9 내지 도 10에는 홀로그램 매질(163b')에 스크린 영상에 해당하는 홀로그램을 기록하여 제2홀로그램소자(163b)를 제작하고 이로부터 스크린 영상이 재생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번에는 확산자(10)를 홀로그램 매질(163b')로부터 거리 d2 만큼 이격시킨 후, 확산자(10) 영상을 담은 물체광(Lo)과 영상 데이터를 담지 않은 기준광(Lr2)이 홀로그램 매질(163b')에 조사되게 한다. 이 때, 기준광(Lr2)이 홀로그램 매질(163b')에 입사하는 각은 도 7 및 도 8에서의 기준광(Lr1)과는 다르게 한다. 물체광(Lo)과 기준광(Lr2)이 간섭하여 형성되는 간섭무늬가 홀로그램 매질(163b')에 기록된다. 도 13에서 제2홀로그램소자(163b)는 이와 같이 홀로그램 매질(163b')에 거리 d2에 위치한 확산자의 영상 홀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제2홀로그램소자(163b)에 기록시에 사용한 기준광(Lr2)이 조사되면, 물체광(Lo)이 복원되어 제2홀로그램소자(163b)로부터 거리 d2만큼 이격된 곳에 스크린(S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영사부(160)는 이와 같은 원리로 제작된 제1 및 제2홀로그램소자(163a, 163b)를 채용하며, 원리적으로, 홀로그램은 기록에 사용한 기준광의 각도에서만 재생되는 특성을 이용하게 된다. 즉, 홀로그램은 기록시의 기준광과 동일한 각도로 재생할 경우 최대의 효율을 나타내며 이 각도를 브래그(Bragg) 각도라 하는데, 이 각도를 벗어남에 따라 회절효율은 급격히 떨어진다. 회절효율을 나타낸 도 12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브래그(Bragg) 각도를 벗어난 정도를 나타내며, 세로축은 회절 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프를 참조하면, 브래그 각도를 벗어남에 따라 회절 효율이 0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적용하게 되면 각각의 제1 및 제2홀로그램소자(163a, 163b)에 기록된 홀로그램을 재생 시 조명광의 각도를 각각의 브래그 각도에 맞게 조절하는 경우 제1 및 제2홀로그램소자(163a, 163b)가 겹쳐 있더라도 상호간에 간섭없이 각각에 기록된 이미지를 재생할 수 있다.
제1 및 제2광원유닛(161a, 161b)에서는 제1 및 제2홀로그램소자(163a, 163b) 각각의 기준광에 해당하는 각도로 광이 제1 및 제2 홀로그램소자(163a, 163b) 각각에 입사하도록 광을 순차 조명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홀로그램소자(163a, 163b)로부터 서로 다른 위치에 결상되는 광이 순차적으로 재생된다.
상술한 홀로그램 광학부(163)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홀로그램소자(163a, 163b)를 형성하는 홀로그램 매질로 홀로그래픽 고분자 분산형 액정(holographi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HPDLC)을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은 액정셀 내에 폴리머를 분산시켜 형성된 재질로, 전기적 제어에 따라 투명 상태 및 확산 상태로 제어되는 성질을 갖는다. 특히, 액정셀 내에 포토 폴리머를 분산시켜 형성된 HPDLC에 홀로그램 기록하는 경우, 홀로그램 영상이 전기적으로 스위칭 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64)은 홀로그램 광학부(163)에서 이와 같이 재생된 광을 영상신호에 따라 변조하여 영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액정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홀로그램소자(163a, 163b)는 디스플레이 패널(164) 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164)은 제1 및 제2홀로그램소자(163a, 163b)에서 재생된 광을 영상신호에 따라 변조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64)은 한 프레임의 영상을 복수개의 영상으로 나누어 시분할(time multiplexing) 방식으로 교대로 구현한다. 예를 들어, 한 프레임의 영상은 두 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으로 나뉘고 디스플레이 패널(164)은 각각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에 따라 광을 변조한다. 두 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은 배경영상(I1)과 전면영상(I2)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64)이 배경영상(I1)과 전면영상(I2)을 교대로 구현하는 주기는 탑승자 또는 탑승대기자의 눈의 깜박임에 비해 짧아야 한 프레임의 영상으로 인식되며, 예를 들어 1/120초 보다 짧다. 배경영상(I1)은 전면영상(I2)에 대해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탑승자 또는 탑승대기자에게 d2와 d1의 차이에 해당하는 d 만큼의 깊이감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입체감 있는 영상이 인지될 수 있다.
광경로변환부(162)는 조명부(161)와 홀로그램 광학부(163) 사이의 광경로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광원유닛(161a, 161b)에서의 광이 각기 다른 각도로 홀로그램 광학부(163)에 입사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광경로변환부(162)는 제1 및 제2광원유닛(161a, 161b)에서의 광이 제1 및 제2홀로그램소자(163a, 163b)에 홀로그램 기록시에 사용된 기준광의 각도를 갖도록 광경로를 변환한다. 이를 위하여, 광경로변환부(162)는 제1 및 제2광원유닛(161a, 161b)을 탑재하는 고정판(161c)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된 프레넬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넬 렌즈는 광을 집광시켜 콜리메이팅 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61c)에 대해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광원유닛(161a, 161b)에서의 광이 각기 다른 입사각으로 프레넬 렌즈에 입사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광원유닛(161a, 161b)에서의 광은 프레넬 렌즈(121)를 지난 후 홀로그램 광학부(163)에 서로 다른 각으로 입사하는 경로를 갖게 된다. 프레넬 렌즈가 상기 고정판(161c)에 대해 기울어진 정도는 제1 및 제2홀로그램소자(163a, 163b)에 홀로그램 기록시의 기준광 각도를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광경로변환부(162)로 하나의 프레넬 렌즈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및 제2광원유닛(161a, 161b)으로부터의 광경로 상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경로변환부재가 채용될 수 있으며, 기타, 복수의 집광렌즈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판(161c)과 광경로변환부(162)의 고정단에 회전구동부(161d, 162a)를 탑재하여 각각의 기울기를 최적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도 11 참조)
제어부(150)는 조명부(161)와 디스플레이 패널(164)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64)에서 두 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신호를 순차로 변조하는 것에 동기되어 제1 및 제2광원유닛(161a, 161b)의 켜짐과 꺼짐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홀로그램소자(163a, 163b)가 홀로그래픽 고분자 분산형 액정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 및 제2홀로그램소자(163a, 163b) 각각이 조명신호 및 영상신호에 동기하여 스위칭 되도록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홀로그램 광학부(163)에서 복수의 스크린 영상을 형성하는 작용과 함께, 디스플레이 패널(164)과 조명부(161)의 동기된 구동에 따라 탑승자 또는 탑승대기자는 깊이감이 d 만큼 차이나는 두 영상(I1, I2)을 보게 되어 3차원 영상을 인지하게 된다. 또한, 조명부(161)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원 유닛(161a, 161b)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64)에서 2차원 영상 신호에 따라 광을 변조함으로써 일반적인 2차원 영상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뒷편에 배치되는 I2 영상은 자연 풍경을 나타내는 영상을 구현하고, 상대적으로 앞에 배치되는 I1 영상에는 동식물 또는 도형을 나타내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뒷편에 배치되는 I2 영상을 다양한 사진 또는 삽화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를 레일본체부를 이용하여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를 레일본체부를 이용하여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도 14의 A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100)는 특정 구조의 레일본체부(171), 구동레일(172) 및 밀착레일(173)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레일본체부(171)는 설치면에 시공되어 일측방 또는 양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로서, 하부면에 시공본체부(120)를 연장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한다. 구동레일(172)은 레일본체부(171)의 내부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레일본체부(17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시공본체부(120)의 구동휠(123)이 안착하여 구름 구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또한, 밀착레일(173)은 레일본체부(171)의 하부면 양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레일본체부(17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시공본체부(120)의 안착휠(125)이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공본체부(120)는 특정 구조의 삽입구동본체(122), 구동휠(123), 균형유지결속부(124) 및 안착휠(125)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시공본체부(120)의 삽입구동본체(122)는, 레일본체부(171)의 하부면 정중앙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되어 연장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구동휠(123)이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레일(172)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구동휠(123)은 삽입구동본체(122)의 정중앙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삽입구동본체(122)의 위치를 구동레일(172)을 따라 변경하는 구조이다. 균형유지결속부(124)는 삽입구동본체(122)의 일측방과 타측방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레일본체부(171)의 상부면과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며, 구동레일(172) 내부와 밀착하여 슬라이딩 위치변경되는 구조이고, 시공본체부(120)가 구동휠(123)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또한, 안착휠(125)은 시공본체부(120)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양측에 대칭형태로 배치되며, 균형유지결속부(124)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밀착레일(173)의 하부면과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언급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일본체부(171)에 형성된 구동레일(172)에 구동휠(123)을 안착시키고, 이와 동시에 밀착레일(173)에 안착휠(125)을 안착시킬 수 있고, 안착휠(125)의 상방 밀착 구조와 균형유지결속부(124)에 의해 시공본체부(120)가 일측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시공면에 장착된 레일본체부(171)를 따라 시공본체부(12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공본체부(120)는 특정 구조의 자성결속부(126), 만입홈(124a), 자력발생부(124b), 권취드럼(124c), 견인와이어(127) 및 링크부재(128)를 포함하는 구성이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공본체부(120)의 자성결속부(126)는, 시공본체부(120)의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대칭형태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며, 균형유지결속부(124)의 만입홈(124a)과 대응되는 구조의 반구형 구조가 상단에 형성되고, 균형유지결속부(124)의 만입홈(124a) 내측면에 장착된 자력발생부(124b)와 자성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소재로 구성된다. 균형유지결속부(124)의 하부면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된 만입홈(124a)은 자성결속부(126)의 반구형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이다. 이때, 자력발생부(124b)는 만입홈(124a)에 내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거나 자력을 소멸시키는 매그스위치(Magswitch) 구조이다. 또한, 균형유지결속부(124)의 내부에 장착되는 권취드럼(124c)은,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 구동하며, 만입홈(124a)의 정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견인와이어(127)를 권취하거나 풀어내는 구조이다. 상기 언급한 견인와이어(127)는 권취드럼(124c)과 자성결속부(126)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이다. 또한, 링크부재(128)는 삽입구동본체(122)와 균형유지결속부(124)를 일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공하고자 하는 시공면에 설치된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100)는 점검이 필요하거나 부품교체가 필요할 경우, 작업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자력발생부(124b)를 자성이 소멸되도록 제어한 후 권취드럼(124c) 작동시켜 견인와이어(127)를 풀어냄으로써, 시공본체부(120)를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위치변경시킬 수 있다. 작업자의 작업 반경 안에 안정적으로 위치 변경된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100)는 손쉽게 점검 또는 부품교체 작업될 수 있다. 점검 또는 부품교체작업 후 작업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권취드럼(124c)을 작동시켜 시공본체부(120)를 상방으로 견인하여 원래의 위치로 회귀시킨 후, 자력발생부(124b)를 자성이 생성되도록 제어하여 시공본체부(120)의 안정적인 결속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며, 점검 및 부품교체를 포함하는 유지관리가 손쉬운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110: 조명본체부
111: 슬라이딩 삽입구
112: 삽출로드
113: 렌즈부
114: 로드 삽출 구동부
114a: 이동판
120: 시공본체부
121: 제1결속축
122: 삽입구동본체
123: 구동휠
124: 균형유지결속부
124a: 만입홈
124b: 자력발생부
124c: 권취드럼
125: 안착휠
126: 자성결속부
127: 견인와이어
128: 링크부재
131: 제1결속부;
132: 제2결속부
133: 연장부
141: 제1구동부
142: 제2구동부
150: 제어부
160: 영사부
161: 조명부
162: 광경로변환부
163: 홀로그램 광학부
163a: 홀로그램 소자
163b: 홀로그램 소자
163c: 홀로그램 소자
164: 디스플레이 패널
171: 레일본체부
172: 구동레일
173: 밀착레일

Claims (7)

  1. 설치면에 직접 장착되거나 설치면에 시공된 레일 상에 탑재되며,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운용되는 리모컨과 연동하여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내부에 장착하며, 하부면에 제1결속축(121)이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로 장착되는 시공본체부(120);
    상기 시공본체부(120)의 제1결속축(121)의 동축 상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연장부(133)에 의해 제2결속부(132)와 일체형 구조로 연결되는 제1결속부(131);
    상기 제1결속부(131)의 상단 내부에 장착되고, 제1결속축(121)과 동축 상에 장착되어, 제1결속축(121)을 기준으로 제1결속부(131)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 시키는 제1구동부(141);
    상기 제1결속부(131)의 연장부(133) 하단에 일체형 구조로 장착되고, 제1결속축(121)의 가상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의 제2결속부(132);
    상기 제2결속부(132)의 일측단 내부에 장착되고, 제1결속축(121)의 가상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과 평행한 선 상에 장착되어, 제2결속부(132)를 기준으로 조명본체부(110)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142); 및
    상기 제2결속부(132)의 일측단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제2구동부(142)의 회전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구조이며, 연장길이 방향으로 조명을 조사하는 영사부(160)를 내장하는 조명본체부(110);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본체부(110)는,
    상기 조명본체부(110)의 하부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고, 영사부(160)를 중심으로 대칭형태로 배치되는 슬라이딩 삽입구(111);
    상기 슬라이딩 삽입구(111)에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거나 외부로 토출되는 구조의 삽출로드(112);
    상기 삽출로드(112)의 하단에 장착되고, 조명본체부(110)의 하부면과 밀착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는 구조이며, 내부에 영사부(160)로부터 조사되는 조명을 집광하는 광학렌즈를 장착하는 렌즈부(113); 및
    상기 조명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삽출로드(112)의 삽입 깊이 또는 토출 길이를 변경하여 렌즈부(113)의 위치를 변경하는 로드 삽출 구동부(114);
    를 포함하고,
    상기 영사부(160)는,
    순차적으로 켜짐과 꺼짐 반복 구동되는 복수의 광원 유닛으로 이루어진 조명부(161);
    상기 조명부(161)에서의 광이 입사되면, 공간상에 깊이 방향으로의 위치가 이격된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을 형성하는 광이 재생되는 홀로그램 광학부(163);
    상기 홀로그램 광학부(163)에서 재생된 광을 영상 신호에 따라 변조하고, 한 프레임의 영상이 광원 유닛의 개수와 같은 개수와 같은 복수 개로 나뉘어지고, 깊이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결상 될 복수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을 순차적으로 변조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64); 및
    상기 조명부(161)와 홀로그램 광학부(163) 사이의 광경로에 배치되고, 복수의 광원 유닛에서 조명된 광이 각기 다른 입사각으로 홀로그램 광학부(163)에 입사하도록 경로를 바꾸며, 프레넬 렌즈를 포함하는 광경로변환부(16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로그램 광학부(163)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이 각각 기록된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163a, 163b, 163c) 또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이 서로 다른 방향의 광을 참조광으로 하여 다중 기록된 하나의 홀로그램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서브 프레임 영상은 배경 영상 및 전면 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에 각각 기록된 복수개의 스크린 영상은 서로 다른 방향의 광을 기준광으로 하여 기록되며,
    상기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의 재질은 포토 리지스트(photoresist) 또는 포토 폴리머(photopolymer)이고,
    상기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의 재질은 전기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홀로그래픽 고분자 분산형 액정(holographi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HPDLC)이며,
    상기 복수개의 홀로그램 소자는 상기 복수의 광원 유닛의 구동에 동기하여 순차적으로 켜짐과 꺼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는,
    설치면에 시공되어 일측방 또는 양측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속적으로 연장된 구조이고, 하부면에 시공본체부(120)를 연장 방향을 따라 위치 변경 가능한 구조로 장착하는 레일본체부(171);
    상기 레일본체부(171)의 내부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레일본체부(17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시공본체부(120)의 구동휠(123)이 안착하여 구름 구동할 수 있는 구조의 구동레일(172); 및
    상기 레일본체부(171)의 하부면 양측에 대칭형태로 형성되고, 레일본체부(17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시공본체부(120)의 안착휠(125)이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의 밀착레일(17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본체부(120)는,
    상기 레일본체부(171)의 하부면 정중앙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되어 연장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구동휠(123)이 안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레일(172)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의 삽입구동본체(122);
    상기 삽입구동본체(122)의 정중앙에 장착되고,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 구동하여 삽입구동본체(122)의 위치를 구동레일(172)을 따라 변경하는 구조의 구동휠(123);
    상기 삽입구동본체(122)의 일측방과 타측방에 대칭 형태로 배치되고, 레일본체부(171)의 상부면과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속되며, 구동레일(172) 내부와 밀착하여 슬라이딩 위치변경되는 구조이고, 시공본체부(120)가 구동휠(123)을 중심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의 균형유지결속부(124); 및
    상기 시공본체부(120)의 상부에 장착되고, 양측에 대칭형태로 배치되며, 균형유지결속부(124)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밀착레일(173)의 하부면과 밀착되어 회전할 수 있는 구조의 안착휠(12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공본체부(120)는,
    상기 시공본체부(120)의 상부면 일측과 타측에 대칭형태로 장착되고,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며, 균형유지결속부(124)의 만입홈(124a)과 대응되는 구조의 반구형 구조가 상단에 형성되고, 균형유지결속부(124)의 만입홈(124a) 내측면에 장착된 자력발생부(124b)와 자성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소재로 구성된 자성결속부(126);
    상기 균형유지결속부(124)의 하부면에 소정 깊이만큼 만입된 구조로 형성되고, 자성결속부(126)의 반구형 구조와 대응되는 구조의 만입홈(124a);
    상기 만입홈(124a)에 내측면에 장착되고,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거나 자력을 소멸시키는 매그스위치(Magswitch) 구조의 자력발생부(124b);
    상기 균형유지결속부(124)의 내부에 장착되고, 제어부(150)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 구동하며, 만입홈(124a)의 정중앙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견인와이어(127)를 권취하거나 풀어내는 구조의 권취드럼(124c);
    상기 권취드럼(124c)과 자성결속부(126)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구조의 견인와이어(127); 및
    상기 삽입구동본체(122)와 균형유지결속부(124)를 일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링크부재(1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KR1020220172429A 2022-12-12 2022-12-12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KR102533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429A KR102533639B1 (ko) 2022-12-12 2022-12-12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2429A KR102533639B1 (ko) 2022-12-12 2022-12-12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639B1 true KR102533639B1 (ko) 2023-05-18

Family

ID=86545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2429A KR102533639B1 (ko) 2022-12-12 2022-12-12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63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9609A (ja) * 1995-11-16 1997-10-03 Barry Wright Inc 照明装置
KR200350120Y1 (ko) * 2004-02-07 2004-05-10 (주)엔티뱅크 트랙 이동식 조명 시스템
KR100680280B1 (ko) 2006-07-31 2007-02-08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건물 천정의 방향조정 조명기구
KR100720829B1 (ko) * 2006-07-20 2007-05-23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등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전기공사 공법
KR20070088110A (ko) * 2006-02-24 2007-08-29 김재원 이동 조명장치
KR100813696B1 (ko) * 2006-09-18 2008-03-14 김영훈 승강 이송장치를 구비한 착탈식 조명시스템
KR20110107953A (ko) * 2010-03-26 2011-10-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로봇
KR20150010543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알토 트랙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밍 제어 시스템
KR101979514B1 (ko) * 2017-11-28 2019-05-16 김형두 모듈형 레일조명기구
KR20190067262A (ko) * 2010-09-07 2019-06-14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모듈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9609A (ja) * 1995-11-16 1997-10-03 Barry Wright Inc 照明装置
KR200350120Y1 (ko) * 2004-02-07 2004-05-10 (주)엔티뱅크 트랙 이동식 조명 시스템
KR20070088110A (ko) * 2006-02-24 2007-08-29 김재원 이동 조명장치
KR100720829B1 (ko) * 2006-07-20 2007-05-23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등의 위치이동이 가능한 전기공사 공법
KR100680280B1 (ko) 2006-07-31 2007-02-08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건물 천정의 방향조정 조명기구
KR100813696B1 (ko) * 2006-09-18 2008-03-14 김영훈 승강 이송장치를 구비한 착탈식 조명시스템
KR20110107953A (ko) * 2010-03-26 2011-10-0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로봇
KR20190067262A (ko) * 2010-09-07 2019-06-14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모듈
KR20150010543A (ko) * 2013-07-18 2015-01-28 주식회사 알토 트랙 조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밍 제어 시스템
KR101979514B1 (ko) * 2017-11-28 2019-05-16 김형두 모듈형 레일조명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9459B2 (en) Landscape light
CN101815897B (zh) Led手术室光源
CN101918755B (zh) 动态火焰装置
US73862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c illumination
CN102483219B (zh) 具有可旋转光形成器件的光效应系统
JP6739059B2 (ja) 照明装置
CN105008984B (zh) 立体影像显示装置
CN101688653A (zh) 照明装置
US6072606A (en) Close-lit holographic nightlight display lighting system
JP2006308785A5 (ko)
CN106402719A (zh) 蜡烛灯
JP2009193958A (ja) 照明器具、照明器具を制御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GB2321955A (en) Method and device giving apparent continous illumination
KR102533639B1 (ko) 자동 컨트롤 조명장치
GB2444074A (en) Electric Simulated Fire having a light source generating multiple colours
US6926427B2 (en) Projector attachment for ellipsoidal lamp
US9915921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image recording medium
KR101120461B1 (ko) 빛의 조사범위를 조절하는 조명제어장치
US5902032A (en) Luminaire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lumias with a low wattage extended light source
US20220412537A1 (en) Diffused light focusing method for use in film, television, and photographic media
WO2023026749A1 (ja) フィルター装置
US11959630B2 (en) Lighting device with motorised collimation control
JP4072514B2 (ja) 特殊照明効果を有する照明装置
JP2000284675A (ja) 特殊映像再生観察装置
KR102237502B1 (ko) 백라이트 무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