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502B1 - 백라이트 무드등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무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7502B1
KR102237502B1 KR1020190047550A KR20190047550A KR102237502B1 KR 102237502 B1 KR102237502 B1 KR 102237502B1 KR 1020190047550 A KR1020190047550 A KR 1020190047550A KR 20190047550 A KR20190047550 A KR 20190047550A KR 102237502 B1 KR102237502 B1 KR 10223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light
color
plate
main bod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100A (ko
Inventor
설재민
Original Assignee
설재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재민 filed Critical 설재민
Priority to KR1020190047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50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라이트 무드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 투명판으로 디자인이 구현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디자인판;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디자인판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빔을 조사하여 배경 영상을 출력하는 빔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무드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무드등{Backlight Mood lamp}
본 발명은 백라이트 무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LED를 이용하여 디자인판에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조명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배경 영상을 함께 출력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 시킨 백라이트 무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드등은 우리 일반 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은은한 조명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조도이므로, 수면을 취할 때에도 불편함이 없으며, 야간 이동시에도 너무 어둡지 않아 안전하게 이동이 가능하여야 한다.
종래에 있어서 상기 무드등은 불투명 유리 본체의 내부에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설치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보통이어서 그 제작이 번거롭게 됨은 물론 무게가 무겁고 파손 등의 우려가 많아 취급 및 설비가 어렵게 되고, 전력소모가 많고 전구를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는 등 사후관리가 번거롭게 되며,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할 수 없게 되므로 분위기 연출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투적인 디자인, 낮은 활용도로 인해 사용자의 수요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LED를 이용하여 디자인판에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조명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배경 영상을 함께 출력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 시킨 백라이트 무드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은 본체; 투명판으로 디자인이 구현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디자인판;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디자인판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빔을 조사하여 배경 영상을 출력하는 빔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무드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빔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빔하우징; 상기 빔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빔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및 상기 빔하우징에 교체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빔을 조사받아 배경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백라이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는 색이 다른 다수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는 후방으로 빔을 조사하는 제1 백라이트 및 전방으로 빔을 조사하는 제2 백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무드등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백라이트로부터 조사되는 빔의 색을 조절하고 빔을 발산시키는 색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빔부 정면측에 상기 색조절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색조절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는 결착부 및 상기 삽입부 내부 하측에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색조절부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색조절부는 조절하우징; 상기 조절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조사되는 빔의 색을 변화시키는 색필터부; 상기 조절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색필터부 정면측에 설치되어, 색이 변화된 빔을 발산시키는 제1 렌즈 및 상기 조절하우징 정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렌즈로부터 발산된 빔을 투과시켜 상기 디자인판에 색이 변화된 빔이 조사되도록 하는 제2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색필터부는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색판; 상기 색판에 상기 색판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색 필름; 상기 색판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 이; 상기 기어 이와 맞물리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는 발산된 빔을 투과시키는 제1 평면렌즈; 상기 제1 평면렌즈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발산된 빔을 투과시키는 제2 평면렌즈 및 상기 제1 평면렌즈 상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발산된 빔을 굴절시켜 투과시키는 오목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빔부를 회전시키고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빔부가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하측에 연결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 및 상기 회전판 하측에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회전판을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빔부는 양측면에 수직되게 형성된 각도회전축 및 상기 각도회전축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면에 상기 빔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가이드판; 상기 고정홈에 수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양단에 구비되는 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고정홈에 상응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은 LED를 이용하여 디자인판에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조명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배경 영상을 함께 출력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때, 디자인판을 디자인을 가지는 형상을 형성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더 줄 수 있고, 디자인판의 디자인에 맞는 배경 영상을 백라이트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자인판 및 백라이트 필름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활용가치가 매우 높으며, 가격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무드등이 단순히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측면을 넘어서 광고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을 도시한 정면 및 배면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의 색조절부 및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색조절부가 결합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결합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의 색조절부 및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색필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을 도시한 배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의 고정부 및 가이드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을 도시한 정면 및 배면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의 색조절부 및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색조절부가 결합부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결합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의 색조절부 및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색필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은 본체(1), 디자인판(2), 조명부(3) 및 빔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체(1)는 백라이트 무드등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하며, 디자인판(2), 조명부(3) 및 빔부(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본체(1)는 사각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는 디자인판(2) 및 빔부(4)가 설치될 수 있도록, 디자인판설치홈(10) 및 빔부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판설치홈(10)은 본체(1) 상면 전측에 형성되어, 상측에서 디자인판(2)이 삽입되어 지면에 대해 수직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1)에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빔부연결부는 빔부(4)가 본체(1)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도 연결시켜 전원을 공급받도록 수 있다.
이와 같은 빔부연결부는 USB 단자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연결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는 전원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조명부(3), 빔부(4)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데, 배터리로 구비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조명부(3), 빔부(4) 온/오프를 조절하고, 조명부(3), 색조절부(5)의 색조절, 회전부(12) 온/오프 등 백라이트 무드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스위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디자인판(2)은 투명판으로 디자인이 구현되어, 본체(1)의 디자인판설치홈(10)에 삽입되는 것으로 본체(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디자인판(2)은 투명판에 홈을 각인하는 것으로 디자인이 구현될 수 있는데, 이에 조명부(3)로부터 빛을 받으면 새겨진 홈을 따라 빛이 나타나게 되어 시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판(2)은 아크릴판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투명 판들이 적용될 수 있다.
조명부(3)는 본체(1)에 형성되어 디자인판(2)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조명부(3)는 본체(1)의 디자인판설치홈(10) 하면에 형성되어 삽입된 다지인판(2)의 하면에서 빛을 조사하는게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조명부(3)는 LED를 포함할 수 있고, LED는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명부(3)는 색이 다른 다수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디자인판(2)에 다양한 색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백라이트 무드등이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빔부(4)는 본체(1)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빔을 조사하여 배경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빔부(4)가 디자인판(2)의 후방으로 빔을 조사하여 배경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조명부(3)로부터 빛을 조사받아 불빛을 내는 디자인판(2)과 디자인판(2)의 디자인에 맞는 배경영상의 조화로 시각적인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
이러한 빔부(4)는 빔하우징(40), 백라이트(41a, 41b) 및 백라이트 필름(42)을 포함할 수 있다.
빔하우징(40)은 본체(1)에 설치될 수 있는데, 하측에 USB가 형성되어 빔부연결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USB 외에 빔부연결부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빔하우징(40)은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백라이트(41a, 41b), 백라이트 필름(42)이 설치될 수 있으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빔하우징(40)은 제1 백라이트(41a)가 조사하는 빔이 후방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후면에 형성된 제1 개구홀, 제2 백라이트(41b)가 조사하는 빔이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정면에 형성된 제2 개구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빔하우징(40)은 제1 개구홀 양측에 백라이트 필름(42)이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필름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삽입홈은 제1 개구홀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고, 하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하측에서 백라이트 필름(42)이 슬라이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백라이트 필름(42)이 교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백라이트 필름(42)을 교체하는 것으로 출력되는 배경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백라이트(41a, 41b)는 빔하우징(40) 내부에 설치되어 빔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백라이트(41a, 41b)는 제1 백라이트(41a)를 포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제2 백라이트(4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백라이트(41a)는 후방으로 빔을 조사할 수 있고, 제2 백라이트(41b)는 전방으로 빔을 조사하는 것으로 디자인판(2)에 빔을 조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백라이트(41b)를 포함할 경우, 백라이트 무드등은 색조절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백라이트 필름(42)은 빔하우징(40)에 교체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는데, 필름삽입홈에 삽입 및 인출되는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 필름(42)은 백라이트(41a, 41b)로부터 빔을 조사받아 배경 영상이 후방에 위치한 벽면에 출력되도록 한다.
백라이트 필름(42)에 따라 출력되는 배경 영상이 변경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은 색조절부(5)를 더 포함하고, 본체(1)는 결합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백라이트(41a, 41b)는 제1 백라이트(41a) 및 제2 백라이트(41b)를 포함하는 상태일 수 있다.
본체(1)는 빔부(4) 정면측에 색조절부(5)가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부(11)는 삽입부(110), 결착부(111) 및 탄성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10)는 본체(1) 상면에 형성되어 색조절부(5)가 삽입될 수 있다.
결착부(111)는 삽입부(110) 내부 양측면에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색조절부(5)의 결착홈(500)에 삽입되고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착홈(500)에 삽입 및 이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결착부(111)는 결착돌기 및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결착돌기는 내측이 굴곡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외측에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본체(1)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탄성부(112)는 삽입부(110) 내부 하측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색조절부(5)를 받칠 수 있고, 탄성력을 주어 삽입부(110)에서 용이하게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탄성부(112)는 색조절부(5)가 삽입되면 가압되고, 삽입된 상태에서 색조절부(5)를 가압하는 힘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 다시 가압되면 색조절부(5)에 탄성력을 가하여 결착부(111)로부터의 고정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부(112)는 색조절부(5)를 지지하는 판 형태의 탄성판 및 상기 탄성판에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색조절부(5)는 본체(1)에 설치되어, 제2 백라이트(41b)로부터 조사되는 빔의 색을 조절하고 빔을 발산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색조절부(5)는 조명부(3)로부터 빛을 조사받아 빛나는 디자인판(2)에 색을 가지는 빔이 조사되게 함으로써, 조명부(3)의 빛 색과 빔의 색을 중첩시켜 디자인판(2)에 나타나는 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조명부(3)를 통해서만 디자인판(2)에 나타나는 색을 조절하는 것이 아닌 색조절부(5)를 통해 디자인판(2)에 나타나는 색을 조절함으로써, 더 폭넓은 범위 안에서 디자인판(2)에 나타나는 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색조절부(5)는 결합부(11)에 삽입되어 빔부(4)와 최대한 밀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색조절부(5)와 빔부(4) 사이에서 빛이 새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색조절부(5)는 조절하우징(50), 색필터부(51), 제1 렌즈(52) 및 제2 렌즈(5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절하우징(50)은 색필터부(51), 제1 렌즈(52) 및 제2 렌즈(53)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조절하우징(50)은 제1 조절하우징 및 제2 조절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하우징은 내부에 색필터부(51)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하면에 제2 백라이트(41b)와 상응되도록 형성된 제2 백라이트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2 백라이트홀을 통해 제2 백라이트(41b)가 조사하는 빔이 내부로 조사될 수 있다.
제2 조절하우징은 제1 렌즈(52) 및 제2 렌즈(53)가 설치되는 부분으로, 제1 조절하우징 상부 중심에, 즉, 제1 백라이트(41a) 위치와 대등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정면이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렌즈(52)는 제2 조절하우징 내부에 설치되고, 제2 렌즈(53)는 개구된 정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조절하우징(50)은 결합부(11)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결착홈(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착홈(500)은 조절하우징(50) 양측면 하측에 형성되어 결착부(111)가 삽입될 수 있다. 결착부(111)가 이탈되면 조절하우징(50)의 고정이 해제되어 색조절부(5)를 결합부(1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색필터부(51)는 조절하우징(50) 내부에 설치되어, 제2 백라이트(41b)로부터 조사되는 빔의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색필터부(51)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판(510), 색 필름(511), 기어 이(512), 회전기어(513) 및 제1 모터(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색판(510)은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색 필름(511)은 색판(510)에 색판(510)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색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색 필름(511)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색판(510)이 회전됨에 따라 제2 백라이트(41b)에 상응하는 색 필름(511)이 교체됨으로써, 제2 백라이트(41b) 빔에 입혀지는 색이 변할 수 있고, 이에 색이 조절될 수 있다.
기어 이(512)는 색판(510) 외주면에 형성되어 회전기어(513)와 맞물릴 수 있다. 이에 회전기어(513)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색판(510)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회전기어(513)는 기어 이(512)와 맞물려 색판(5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모터(514)는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회전기어(51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렌즈(52)는 조절하우징(50) 내부에서 색필터부(51) 정면측에 설치되어, 색이 변화된 빔을 발산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렌즈(5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렌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2 렌즈(53)는 조절하우징(50) 정면에 설치되어, 제1 렌즈(52)로부터 발산된 빔을 투과시켜 디자인판(2)에 색이 변화된 빔을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렌즈(53)는 제1 평면렌즈(530), 제2 평면렌즈(531), 오목렌즈(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평면렌즈(530)는 발산된 빔을 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정면이 사각형상을 이룰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평면렌즈(531)는 제1 평면렌즈(530)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발산된 빔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오목렌즈(532)는 제1 평면렌즈 상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발산된 빔을 굴절시켜 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오목렌즈(532)는 제1 렌즈(52)로부터 발산된 빔을 상하측으로 좀더 발산시킴으로써 빔의 조사범위를 보다 더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색이 입혀진 빔을 제1 렌즈(52) 및 제2 렌즈(53)를 통과시켜 발산시킴으로써, 디자인판(2)에 더 폭넓게 빔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색 중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을 도시한 배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의 고정부 및 가이드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의 본체(1)는 회전부(12)를 더 포함하고, 빔부(4)는 각도회전축(43) 및 가이드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12), 각도회전축(43) 및 가이드부(44)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다른 백라이트 무드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회전부(12), 각도회전축(43) 및 가이드부(44)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체(1)는 빔부(4)를 회전시키고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빔부(4)는 제1 실시예와 같이 빔부연결부에 의해 본체(1)와 연결되는 것이 아닌 회전부(12)에 의해 설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 건전지 등이 구비되어 작동할 수 있다.
회전부(12)는 회전판(120), 제2 모터(121) 및 받침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120)은 본체(1)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빔부(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회전판(120)은 제2 모터(121)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고, 빔부(4)가 설치되어 각도 조절도 가능하도록 수용홈(1200) 및 고정부(120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1200)은 회전판(120) 상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빔부(4)가 전후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울기에 대한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1201)는 회전판(120) 상면에 수용홈(1200)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빔부(4)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1201)는 빔부(4)에 설치된 가이드부(44)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1201a)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1201a)은 고정부(1201) 내면에 각각 형성되어 가이드부(44)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홈(1201a)은 원형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홈(1201a)은 고정돌기(1201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1201b)는 가이드부(44)의 고정홈(4400)에 상응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고정돌기(1201b)가 고정홈(4400)에 삽입되면 빔부(4)의 각도가 그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사용자의 힘에 의해 빔부(4)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어 각도가 조절되면, 고정돌기(1201b)가 고정홈(4400)에서 이탈되어 가이드부(44)가 회전되고 다시 고정홈(4400)에 삽입됨에 따라 빔부(4)가 그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제2 모터(121)는 회전판(120) 하측에 연결되어 회전판(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받침부재(122)는 회전판(120) 하측에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회전판(1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받침부재(122)는 회전되지 않되 회전판(12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빔부(4)는 각도회전축(43) 및 가이드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회전축(43)은 빔부(4)의 빔하우징(40) 양측면에 수직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끝단에 가이드부(44)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44)는 각도회전축(43)에 각각 설치되며, 가이드판(440), 스프링(441) 및 가압판(44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판(440)은 가이드부(44)의 몸체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판(440)은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44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홈(4400)은 고정돌기(1201b)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고정돌기(1201b)가 고정홈(4400)에 삽입됨에 따라 가이드판(440)의 회동이 정지될 수 있다. 즉, 빔부(4)의 기울기가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441)은 고정홈(4400)에 수용될 수 있고, 가압판(442)은 스프링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고정홈(4400)에 고정돌기(1201b)가 삽입되면, 가압판(442)이 가압되고, 스프링(441)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하여, 고정돌기(1201b)에 대한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빔부(4)를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회전시켜 좌우방향에 대한 배경 영상의 출력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빔부(4)를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기울기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여 상하방향에 대한 배경 영상의 출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은 LED를 이용하여 디자인판에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조명 효과를 줄 뿐만 아니라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배경 영상을 함께 출력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때, 디자인판을 디자인을 가지는 형상을 형성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더 줄 수 있고, 디자인판의 디자인에 맞는 배경 영상을 백라이트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시각적인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디자인판 및 백라이트 필름을 교체하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활용가치가 매우 높으며, 가격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무드등이 단순히 인테리어 소품으로서의 측면을 넘어서 광고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무드등을 제1 및 제2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본체
10: 디자인판설치홈
11: 결합부
110: 삽입부
111: 결착부
112: 탄성부
12: 회전부
120: 회전판
1200: 수용홈
1201: 고정부
1201a: 가이드홈
1201b: 고정돌기
121: 제2 모터
122: 받침부재
2: 디자인판
3: 조명부
4: 빔부
40: 빔하우징
41a: 제1 백라이트
41b: 제2 백라이트
42: 백라이트 필름
43: 각도회전축
44: 가이드부
440: 가이드판
4400: 고정홈
441: 스프링
442: 가압판
5: 색조절부
50: 조절하우징
500: 결착홈
51: 색필터부
510: 색판
511: 색 필름
512: 기어 이
513: 회전기어
514: 제1 모터
52: 제1 렌즈
53: 제2 렌즈
530: 제1 평면렌즈
531: 제2 평면렌즈
532: 오목렌즈

Claims (11)

  1. 본체;
    투명판으로 디자인이 구현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디자인판;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디자인판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빔을 조사하여 배경 영상을 출력하는 빔부를 포함하고,
    상기 빔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빔하우징;
    상기 빔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빔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및
    상기 빔하우징에 교체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백라이트로부터 빔을 조사받아 배경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는 백라이트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는,
    후방으로 빔을 조사하는 제1 백라이트 및
    전방으로 빔을 조사하는 제2 백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백라이트로부터 조사되는 빔의 색을 조절하고 빔을 발산시키는 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무드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색이 다른 다수개의 LED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무드등.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빔부 정면측에 상기 색조절부가 설치될 수 있도록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색조절부가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 내부 양측면에 형성되는 결착부 및
    상기 삽입부 내부 하측에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색조절부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착부가 삽입될 수 있는 결착홈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무드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조절부는,
    조절하우징;
    상기 조절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조사되는 빔의 색을 변화시키는 색필터부;
    상기 조절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색필터부 정면측에 설치되어, 색이 변화된 빔을 발산시키는 제1 렌즈 및
    상기 조절하우징 정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렌즈로부터 발산된 빔을 투과시켜 상기 디자인판에 색이 변화된 빔이 조사되도록 하는 제2 렌즈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무드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색필터부는,
    원형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색판;
    상기 색판에 상기 색판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되, 서로 다른 색을 가지는 색 필름;
    상기 색판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 이;
    상기 기어 이와 맞물리는 회전기어 및
    상기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제1 모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무드등.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발산된 빔을 투과시키는 제1 평면렌즈;
    상기 제1 평면렌즈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발산된 빔을 투과시키는 제2 평면렌즈 및
    상기 제1 평면렌즈 상하측에 각각 형성되어 발산된 빔을 굴절시켜 투과시키는 오목렌즈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무드등.
  9. 본체;
    투명판으로 디자인이 구현되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디자인판;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디자인판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빔을 조사하여 배경 영상을 출력하는 빔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빔부를 회전시키고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빔부가 설치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 하측에 연결되어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제2 모터 및
    상기 회전판 하측에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회전판을 지지하는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빔부는,
    양측면에 수직되게 형성된 각도회전축 및
    상기 각도회전축에 각각 설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면에 상기 빔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용홈 및
    상기 수용홈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가이드판;
    상기 고정홈에 수용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 양단에 구비되는 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고정홈에 상응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무드등.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47550A 2019-04-23 2019-04-23 백라이트 무드등 KR10223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50A KR102237502B1 (ko) 2019-04-23 2019-04-23 백라이트 무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50A KR102237502B1 (ko) 2019-04-23 2019-04-23 백라이트 무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00A KR20200124100A (ko) 2020-11-02
KR102237502B1 true KR102237502B1 (ko) 2021-04-06

Family

ID=7339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50A KR102237502B1 (ko) 2019-04-23 2019-04-23 백라이트 무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5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263A (ja) * 2003-04-11 2004-11-11 Seiko Epson Corp 展示装置
KR101796557B1 (ko) * 2016-11-07 2017-11-10 (주)피티인사이트 수면의식 그림자놀이 교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6667A (ko) * 2010-04-20 2011-10-26 영일특장 주식회사 탐조등
KR20180013426A (ko) * 2016-07-29 2018-02-07 나무애그림 주식회사 멀티 백보드 기반의 3차원 후광 연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263A (ja) * 2003-04-11 2004-11-11 Seiko Epson Corp 展示装置
KR101796557B1 (ko) * 2016-11-07 2017-11-10 (주)피티인사이트 수면의식 그림자놀이 교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00A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1274B1 (en) Background light effects led light fixture with light guided second light sources
US20110085323A1 (en) Led projection night light
JP2009525582A (ja) 照明窓のブラインドアセンブリ
CN103119354B (zh) 光输出装置
CN107143778A (zh) 一种led黑板灯
CN215636986U (zh) 光学透镜模组及照明装置
KR102237502B1 (ko) 백라이트 무드등
AU2013371192B2 (en) Fluorescent lamp-type LED lighting device
CN212252309U (zh) 灯具及光圈调节结构
CN105717948A (zh) 一种模拟天空亮度分布的装置
KR100976374B1 (ko) 조사방향제어와 조명의 강약조절 및 조명배열과 비상전원기능을 갖는 조명등기구
CN209165186U (zh) 组合式灯具及其led发光模块
CN106851921B (zh) 一种棱柱型发光模块的调光控制方法
KR20120061732A (ko) 조명 반사 케이스
CN207132178U (zh) 一种led射灯
CN217875475U (zh) 防炫光灯具
CN213420782U (zh) 射灯
CN202003117U (zh) 一种可以改变照射角度的led摄像灯
CN213065778U (zh) 黑板灯
CN211475618U (zh) 一种彩色led点光源
CN214064792U (zh) 水纹灯
CN221035418U (zh) 灯具
KR101723291B1 (ko) 눈부심 방지 가능한 조명장치
CN220379555U (zh) 一种新型纸雕灯
CN216383705U (zh) 一种可替换投影片的投影机构和投影手电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