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920B1 -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920B1
KR102532920B1 KR1020230009176A KR20230009176A KR102532920B1 KR 102532920 B1 KR102532920 B1 KR 102532920B1 KR 1020230009176 A KR1020230009176 A KR 1020230009176A KR 20230009176 A KR20230009176 A KR 20230009176A KR 102532920 B1 KR102532920 B1 KR 102532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odule
hollow member
ai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억
Original Assignee
다원에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원에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원에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09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7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gas bubbles, e.g.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집진을 수행하면서 해당 필터의 나머지 부분의 역세척을 진행하여 역세척 및 집진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역세척에 기인한 집진 중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대폭 향상시킨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를 제공하며,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는 집진 몸체, 필터 유닛, 커버 모듈, 역세척 모듈, 공기 제공 모듈, 승하강 모듈 및 포집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는 역세척 및 집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집진 공정의 중단 없이 역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DUST COLLECTOR CAPABLE OF FILTERING DURING REVERSE CLEANING}
본 발명은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진장치 또는 집진기는 공기 및 이물질이 혼합된 혼합물로부터 이물질을 필터링함으로써 공기질을 개선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중력을 이용하는 중력 침각 방식, 분진 입자의 관성을 이용하는 관성 분리 방식, 사이클론 원리를 이용한 원심 분리 방식 및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 방식 등이 개발된 바 있다.
이들 중 여과 방식 집진기는 제조 비용이 낮고 집진 성능이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과 방식 집진기는 필터의 외부로부터 필터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여과 기류를 형성하여 필터에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하고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도록 하여 공기에 혼합된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한편, 이물질이 필터의 외측면에 지속적으로 흡착될 경우 공기 또한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필터 효율이 크게 감소된다.
필터 효율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필터의 외측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해야 하는데, 필터의 외측면에 흡착된 이물질은 역세척 장치에 의하여 제거된다.
역세척 장치는 여과 기류를 차단하여 필터 내외부를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한 상태에서 필터의 내부에서 필터의 외부를 향하는 역방향으로 고압의 기류를 제공하는 역기류 방식 또는 필터의 내부에서 필터의 외부를 향하는 역방향으로 고압의 압축 공기를 단속적으로 분사하는 에어 펄싱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역기류 방식 또는 에어 펄싱 방식을 이용하여 필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세척 장치는 공통적으로 역세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필터의 역세척을 수행하는 시간 동안 일시적으로 집진 공정이 전체적으로 중단되어야 하고, 이로 인해 집진 효율이 크게 감소된다.
공개특허 10-2017-0139765, 백필터 탈진용 분사장치(공개일자 : 2017년12월20일)
본 발명은 필터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집진을 수행하면서 해당 필터의 나머지 부분의 역세척을 진행하여 역세척 및 집진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역세척에 기인한 집진 중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대폭 향상시킨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로부터 수납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장된 측벽 및 상기 바닥판과 마주하며 상기 측벽에 결합되며 적어도 1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에는 이물질 및 공기가 혼합된 혼합물이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된 집진 몸체;
상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필터 유닛; 상기 상판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 유닛을 통과한 상기 공기가 모이며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커버 모듈; 상기 커버 모듈을 관통하여 각각의 상기 필터 유닛의 상기 측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을 갖는 중공 부재, 상기 중공 부재에 상기 바닥부와 마주하게 연통되며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을 따라 접촉되는 제1 판, 상기 제1 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는 제2 판 및 상기 측면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2 판 및 상기 제1 판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판들 사이에 배치된 중공을 갖는 연통 부재를 포함하는 역세척 모듈; 상기 중공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중공 부재로 압축 공기를 제공하여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제1 및 제2 판들 사이를 통해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공기 제공 모듈;
상기 중공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 부재를 승하강시켜 상기 역세척 유닛을 상기 측면부의 내부에서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모듈; 및 상기 커버 모듈과 상기 상판을 관통하며 상기 중공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 부재와 함께 승하강되는 지지 부재, 상기 측면부가 삽입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타측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포집판, 상기 제1 포집판과 마주하며 상기 측면부가 삽입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포집판 및 상기 제1 및 제2 포집판들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3 포집판을 포함하는 포집 모듈을 포함한다.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는 상기 중공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중공 부재에 단속적으로 압축 공기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공기 펄스 형성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제공 모듈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며, 승하강되는 중공 부재와 상기 공기 공급 모듈 사이에는 길이가 신축되는 제1 주름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펄스 형성 모듈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며, 승하강되는 중공 부재와 상기 공기 펄스 형성 모듈 사이에는 길이가 신축되는 제2 주름 부재가 형성된다.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는 상기 역세척 모듈의 상기 제1 판 및 제2 판들 중 적어도 1개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판들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은 납작한 코인 형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판들에 진동을 제공하는 코인 진동 모터를 포함한다.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는 상기 역세척 모듈의 상기 제1 판 및 제2 판들 중 적어도 1개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판들에 초음파을 제공하는 초음파 발생 유닛을 더 포함한다.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의 상기 포집 모듈의 상기 제2 집진판 및 상기 제3 집진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포집 모듈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필터 유닛의 상기 측면부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필터 유닛에 재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토출부가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는 필터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집진을 수행하면서 해당 필터의 나머지 부분의 역세척을 진행하여 역세척 및 집진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역세척에 기인한 집진 중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 유닛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역세척 모듈 및 포집 모듈을 발췌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역세척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립된 역세척 모듈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특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특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특허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용어인 "이물질"은 목재를 가공한 후 생성된 부산물인 톱밥,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먼지, 시멘트, 모래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900)는 집진 몸체(100), 필터 유닛(200), 커버 모듈(300), 역세척 모듈(400), 공기 제공 모듈(500), 승하강 모듈(600) 및 포집 모듈(700)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집진 몸체(100)는, 예를 들어, 바닥판(110), 측벽(120) 및 상판(130)을 포함한다.
바닥판(110)은 집진된 이물질이 모이는 곳으로 바닥판(110)은 이물질이 수거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120)은 바닥판(110)의 테두리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측벽(120)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 및 공기가 혼합된 혼합물이 유입되는 유입부(125)가 적어도 1개 형성된다.
상판(13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판(130)은 측벽(120)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판(130)에는 후술될 필터 유닛(200)이 결합되기 위한 관통홀(135)이 형성된다.
비록 도 1에는 상판(130)에 2개의 관통홀(135)이 형성되고 2개의 관통홀(135)에 2개의 필터 유닛(200)이 결합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상판(130)에는 적어도 3개의 관통홀(135)이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3개의 관통홀(135)에는 각각 필터 유닛(200)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필터 유닛의 발췌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필터 유닛(200)은 바닥부(210), 측면부(220) 및 플랜지부(23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필터 유닛(220)는 바닥부(210) 및 측면부(220)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는 프레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10)는, 예를 들어,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부(210)가 원판 형상인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바닥부(210)는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부(220)는 바닥부(210)의 테두리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부(210) 및 측면부(220)는 폴리에틸렌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바닥부(210) 및 측면부(220)는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고 공기는 통과 시키는 메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부(230)는 내측면 및 외측면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랜지부(230)에는 측면부(220)가 결합된다.
측면부(220)는 상판(130)에 형성된 관통홀(135)에 삽입되며, 플랜지부(230)는 상판(130)의 상면에 밀착된다. 플랜지부(230)가 상판(13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플랜지부(230)는 상판(130)에 움직이지 않게 상판(130)에 고정된다.
필터 유닛(200)이 집진 몸체(100)의 상판(130)에 형성된 관통홀(135)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진 몸체(100)의 유입구(125)를 통해 공기 및 이물질이 혼합된 혼합물이 유입되면 혼합물은 압력차에 의하여 필터 유닛(200)으로 이동된다.
혼합물을 이루는 이물질은 필터 유닛(200)에서 필터링되고, 혼합물에 포함된 공기는 필터 유닛(200)을 통과하여 집진 몸체(100)의 상판(130)을 통과한다.
상판(130)에는 커버 모듈(300)이 결합되는데 커버 모듈(300)은 필터 유닛(200)을 통과한 공기를 후속 공정으로 제공한다. 커버 모듈(300)은 커버 측면판(310) 및 커버 상판(320)을 포함한다.
커버 측면판(310)은 상판(130)의 테두리를 따라서 펜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 상판(320)은 커버 측면판(310)의 상단에 상판(130)과 나란하게 결합된다.
커버 측면판(310)에는 필터 유닛(200)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어 후속 공정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배출구(315)가 형성된다.
이하, 필터 유닛(200)에서 필터링을 수행하면서 동시에 필터 유닛(200)의 역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역세척 모듈(40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역세척 모듈 및 포집 모듈을 발췌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역세척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조립된 역세척 모듈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역세척 모듈(400)은 중공 부재(410), 제1 판(420), 제2 판(430) 및 연통 부재(440)를 포함한다.
중공 부재(410)는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에 삽입되는 사이즈 및 측면부(22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진다. 중공 부재(410)는, 예를 들어, 중공이 형성된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부재(410)에 형성된 중공(415)을 통해 역세척을 위한 고압의 공기가 제공된다. 중공 부재(410)는 상판(130) 및 커버 모듈(300)을 관통하며, 중공 부재(410)는 고정된 상판(130) 및 고정된 커버 모듈(300)에 대하여 승하강이 가능하게 상판(130) 및 고정된 커버 모듈(300)에 결합된다.
제1 판(420)은 필터 유닛(200)의 바닥판(21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바닥판(210)이 원판 형상일 경우 제1 판(420)도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판(420)은 측면부(220)에 삽입되는 사이즈로 형성되며, 제1 판(420)의 외측면은 측면부(220)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제1 판(420)의 외측면이 측면부(220)에 접촉되어 측면부(220)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제1 판(420)의 외측면은 둥글게 라운드 가공될 수 있다.
제1 판(420)은 중공 부재(410)의 하단에 결합된다. 제1 판(420)의 중앙부에는 제1 관통홀(422)이 형성되고, 중공 부재(410)는 제1 관통홀(422)에 삽입된 후 중공 부재(410) 및 제1 판(420)은 용접 등에 의하여 결합된다.
제1 판(420)에는 제1 관통홀(422)을 중심으로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 복수개의 제2 관통홀(42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제2 관통홀(424)들은 후술될 연통 부재(440)에 결합된다.
제2 판(430)은 제1 판(420)과 이격된 상태로 제1 판(420)에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판(430)에는 제1 판(420)에 형성된 각각의 제2 관통홀(424)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관통홀(424)과 대응하는 사이즈를 갖는 제3 관통홀(432)이 형성된다.
연통 부재(4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이격된 제1 및 제2 판(420,430)들이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중공 부재(410)에서 제공된고압의 공기가 제1 및 제2 판(420,430)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 및 제2 판(430)의 하부에 대응하는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1 판(420)의 상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로서 역할 한다.
연통 부재(440)는, 예를 들어, 중공(445)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을 가질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역세척 모듈(400)의 중공 부재(410)는 공기 제공 모듈(500)에 연결된다.
공기 제공 모듈(500)은 중공 부재(410)로 압축된 고압의 공기를 제공하여 압축 공기가 역세척 모듈(400)의 제1 및 제2 판(420,430)들 대응하는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도록 하여 측면부(220)의 일부가 역세척 되도록 한다.
공기 제공 모듈(500)로부터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로 제공된 고압의 공기는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의 일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를 위해서 공기 제공 모듈(500)로부터 발생되어 제1 및 제2 판(420,430)들 사이를 통과하여 측면부(220)로 제공되는 공기의 압력은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을 향하는 공기의 압력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공기 제공 모듈(500)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고 중공 부재(410)는 후술될 승하강 모듈(600)에 의하여 승하강 되기 때문에 공기 공급 모듈(500) 및 중공 부재(410) 사이에는 길이가 신축되는 제1 주름 부재(560)가 배치된다.
한편, 공기 제공 모듈(500)은 제1 및 제2 판(420,430)들 사이로 일정한 압력을 갖는 공기를 토출하는데, 필터 유닛(200)에 피착된 이물질의 역세척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중공 부재(410)에는 공기 펄스 형성 모듈(550)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공기 펄스 형성 모듈(550)은 중공 부재(410)로 단속적으로 압축 공기를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공기 펄스 형성 모듈(550)로부터 중공 부재(410)로 압축 공기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경우, 제1 및 제2 판(420,430)들 사이로부터 토출되어 측면부(220)의 내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는 공기의 압력은 펄스 형태로 단속적으로 증가되어 필터 유닛(200)에 피착된 이물질의 역세척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 펄스 형성 모듈(550)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고, 중공 부재(410)는 후술될 승하강 모듈(600)에 의하여 승하강되기 때문에 공기 펄스 형성 모듈(550) 및 중공 부재(410)의 사이에는 길이가 신축되는 제2 주름 부재(570)가 배치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승하강 모듈(600)은 중공 부재(410)에 결합되며, 이로 인해 승하강 모듈(600)은 중공 부재(410)를 포함하는 역세척 모듈(400)이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의 내부에서 승강 및 하강되도록 한다.
승하강 모듈(600)은 중공 부재(410)에 결합된 연결 부재(610), 연결 부재(510)에 지면에 대하여 세워지게 배치된 피니언 기어(620), 피니언 기어(620)에 치차 결합된 랙 기어(630) 및 랙 기어(630)에 결합된 모터(640)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모듈(600)의 모터(640)의 회전에 의하여 랙 기어(630)가 회전됨에 따라 피니언 기어(620)가 승강 또는 하강되고 이로 인해 연결 부재(510)가 승강 또는 하강되면서 역세척 모듈(400)의 중공 부재(410)가 최종적으로 승강 또는 하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승하강 모듈(600)의 모터(640)는 회전 속도가 가변되며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서보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승하강 모듈(600)의 모터(640)의 회전 속도를 가변할 경우, 중공 부재(410)의 승강 또는 하강 속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역세척 모듈(400)이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의 상단 및 하단을 왕복하는데 소요되는 스트로크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혼합물에 이물질이 많이 포함된 경우 상기 스트로크 시간을 단축시키고, 혼합물에 상대적으로 이물질이 적게 포함된 경우 상기 스트로크 시간을 보다 길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역세척 모듈(400)에 의하여 필터 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은 낙하 도중 필터 유닛(200)으로 흡입되는 유체 흐름에 의하여 필터 유닛(200)에 재부착되어 역세척 모듈(400)의 효율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포집 모듈(700)은 역세척 모듈(400)에 의하여 분리된 이물질이 필터 유닛(200)에 재흡착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한다.
포집 모듈(700)은 지지 부재(710), 제1 포집판(720), 제2 포집판(730), 제3 포집판(740) 및 이물질 토출부(75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710)는 기둥 형상을 갖고, 지지 부재(710)는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커버 모듈(300) 및 상판(130)을 관통하며, 지지 부재(710)의 일부는 역세척 모듈(400)의 중공 부재(410)에 결합된다. 따라서 지지 부재(710)는 중공 부재(410)를 포함하는 역세척 모듈(400)과 동일하게 승강 및 하강된다.
제1 포집판(720)은 내부에 제1 개구(725)가 형성된 도우넛 형상을 갖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는 제1 포집판(720)의 제1 개구(725)에 삽입된다. 제1 포집판(720)은 역세척 모듈(400)의 제1 판(420)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포집판(720)에는 지지 부재(710)가 결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지지 부재(710)가 제1 포집판(720)에 결합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제1 지지 부재(710)는 후술될 제3 포집판(740)에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제2 포집판(730)은 내부에 제2 개구(735)가 형성된 도우넛 형상을 갖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는 제2 포집판(730)의 제2 개구(735)에 삽입된다. 제2 포집판(730)은 역세척 모듈(400)의 제2 판(430)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2 포집판(730)은 제1 포집판(720)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3 포집판(740)은 펜스 형상으로, 제3 포집판(740)은 제1 포집판(720)의 외측면 및 제2 포집판(730)의 외측면을 연결한다.
제1 내지 제3 포집판(720,730,740)을 포함하는 포집 모듈(700)은 역세척 모듈(400)의 제1 및 제2 판(420,430)들 사이로 제공된 압축 공기에 의하여 필터 유닛(200)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필터 유닛(200)에 재흡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포집 모듈(700)의 내부로 제공된 이물질을 포집 모듈(700)로부터 배출하기 위해서 포집 모듈(700)의 제2 포집판(730) 또는 제3 포집판(740)에는 이물질 토출부(750)가 형성된다.
이물질 토출부(750)는 포집 모듈(700)로 유입된 이물질이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필터 유닛(200)으로 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낙하 되도록 하여 이물질이 필터 유닛(200)에 재흡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물질 토출부(750)는 포집 모듈(700)에 적어도 1개 바람직하게 복수개가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역세척 모듈(400)에 의한 역세척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역세척 모듈(400)의 제1 판 및 제2 판(420,430)들 중 적어도 1개에는 제1 및 제2 판(420,430)들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 유닛(800)이 배치될 수 있다.
진동 발생 유닛(800)은 납작한 코인 형상으로 제1 및 제2 판(420,430)들에 진동을 제공하는 코인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발생 유닛(800)은 제1 및 제2 판(420,430)들에 진동을 인가하여 제1 및 제2 판(420,430)들과 접촉되는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에 진동을 인가하여 측면부(220)의 외측면에 피착된 이물질이 보다 쉽게 측면부(2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역세척 모듈(400)에 의한 역세척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 역세척 모듈(400)의 제1 판 및 제2 판(420,430)들 중 적어도 1개에는 제1 및 제2 판(420,430)들에 초음파를 인가하는 초음파 발생 유닛(850)이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 유닛(850)은 제1 및 제2 판(420,430)들에 초음파에 의한 진동을 인가하여 제1 및 제2 판(420,430)들과 접촉되는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에 초음파에 기인한 진동을 인가하여 측면부(220)의 외측면에 피착된 이물질이 보다 쉽게 측면부(2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 1에는 필터 유닛(200)이 2개인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필터 유닛(200)은 2개 이상이 상판(130)에 결합되고, 필터 유닛(200)의 개수에 대응하여 역세척 모듈(400) 및 포집 모듈(7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역세척 공정 및 집진 공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역세척 모듈(400)의 제1 및 제2 판(420,430)들 사이의 폭은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의 전체 길이의 약 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판(420,430)들 사이의 폭이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의 전체 길이의 약 20%일 경우, 필터 유닛(200)은 5의 배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역세척 모듈(400)이 필터 유닛(200)의 측면부(220)에 대하여 왕복하는 상기 스트로크 시간은 5분 내지 20분일 수 있으며, 역세척 모듈(400)의 상기 스트로크 시간은 단위 부피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역세척 모듈(400)의 제1 판(420) 및 제2 판(430)의 간격은 일정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단위 부피의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이 많을 경우 제1 및 제2 판(420,430)들 사이의 간격 및 포집 모듈(700)의 제1 및 제2 포집판(720,730)들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간격 조절 부재는, 예를 들어, 체결 나사 및 너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역세척 모듈(400)의 각각의 중공 부재(410)가 동시에 승강 및 하강되는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이와 다르게 각 역세척 모듈(400)의 중공 부재(410)는 크랭크 방식 또는 링크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집진 몸체(100)의 내부에 공기의 단위 부피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을 센싱하는 이물질 감지 센서를 배치하고, 공기의 단위 부피에 포함된 이물질의 양에 대응하여 역세척 모듈(400)의 상기 스트로크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는 필터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집진을 수행하면서 해당 필터의 나머지 부분의 역세척을 진행하여 역세척 및 집진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역세척에 기인한 집진 중단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집진 몸체 200...필터 유닛
300...커버 모듈 400...역세척 모듈
500...공기 제공 모듈 600...승하강 모듈
700...포집 모듈

Claims (5)

  1.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로부터 수납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장된 측벽 및 상기 바닥판과 마주하며 상기 측벽에 결합되며 적어도 1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측벽에는 이물질 및 공기가 혼합된 혼합물이 유입되는 유입부가 형성된 집진 몸체;
    상기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상판에 결합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필터 유닛;
    상기 상판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 유닛을 통과한 상기 공기가 모이며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커버 모듈;
    상기 커버 모듈을 관통하여 각각의 상기 필터 유닛의 상기 측면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을 갖는 중공 부재, 상기 중공 부재에 상기 바닥부와 마주하게 연통되며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을 따라 접촉되는 제1 판, 상기 제1 판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는 제2 판 및 상기 측면부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2 판 및 상기 제1 판을 통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판들 사이에 배치된 중공을 갖는 연통 부재를 포함하는 역세척 모듈;
    상기 중공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중공 부재로 압축 공기를 제공하여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제1 및 제2 판들 사이를 통해 상기 측면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공기 제공 모듈;
    상기 중공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 부재를 승하강시켜 상기 역세척 유닛을 상기 측면부의 내부에서 승하강 시키는 승하강 모듈; 및
    상기 커버 모듈과 상기 상판을 관통하며 상기 중공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 부재와 함께 승하강되는 지지 부재, 상기 측면부가 삽입되는 제1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타측 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1 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 포집판, 상기 제1 포집판과 마주하며 상기 측면부가 삽입되는 제2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포집판 및 상기 제1 및 제2 포집판들의 외측면을 연결하는 제3 포집판을 포함하는 포집 모듈을 포함하는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중공 부재에 단속적으로 압축 공기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공기 펄스 형성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제공 모듈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며, 승하강되는 중공 부재와 상기 공기 공급 모듈 사이에는 길이가 신축되는 제1 주름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펄스 형성 모듈은 지정된 위치에 고정되며, 승하강되는 중공 부재와 상기 공기 펄스 형성 모듈 사이에는 길이가 신축되는 제2 주름 부재가 형성되는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모듈의 상기 제1 판 및 제2 판들 중 적어도 1개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판들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발생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 발생 유닛은 납작한 코인 형상으로 상기 제1 및 제2 판들에 진동을 제공하는 코인 진동 모터를 포함하는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척 모듈의 상기 제1 판 및 제2 판들 중 적어도 1개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판들에 초음파을 제공하는 초음파 발생 유닛을 더 포함하는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모듈의 상기 제2 집진판 및 상기 제3 집진판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포집 모듈로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필터 유닛의 상기 측면부에 대하여 사선 방향으로 배출되어 상기 필터 유닛에 재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토출부가 돌출된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
KR1020230009176A 2023-01-25 2023-01-25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 KR102532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176A KR102532920B1 (ko) 2023-01-25 2023-01-25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176A KR102532920B1 (ko) 2023-01-25 2023-01-25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920B1 true KR102532920B1 (ko) 2023-05-17

Family

ID=8654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176A KR102532920B1 (ko) 2023-01-25 2023-01-25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92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1095B1 (en) * 1996-11-12 2002-09-18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itute Cyclone dust collector
KR101089388B1 (ko) * 2010-11-23 2011-12-02 주식회사 청호씨에이 송풍체가 구비된 집진기 필터용 탈리장치
KR20110133694A (ko) * 2010-06-07 2011-12-14 이충중 필터백 청소용 노즐
KR20160007268A (ko) * 2014-07-11 2016-01-20 이충중 이동식 필터 백 재생장치
KR20170139765A (ko) 2016-06-10 2017-12-20 한국기계연구원 백필터 탈진용 분사장치
US20190240607A1 (en) * 2018-02-05 2019-08-08 Seiko Epson Corporation Collection device, collection method, and fibrous feedstock recycl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41095B1 (en) * 1996-11-12 2002-09-18 Japan Nuclear Cycle Development Institute Cyclone dust collector
KR20110133694A (ko) * 2010-06-07 2011-12-14 이충중 필터백 청소용 노즐
KR101089388B1 (ko) * 2010-11-23 2011-12-02 주식회사 청호씨에이 송풍체가 구비된 집진기 필터용 탈리장치
KR20160007268A (ko) * 2014-07-11 2016-01-20 이충중 이동식 필터 백 재생장치
KR20170139765A (ko) 2016-06-10 2017-12-20 한국기계연구원 백필터 탈진용 분사장치
US20190240607A1 (en) * 2018-02-05 2019-08-08 Seiko Epson Corporation Collection device, collection method, and fibrous feedstock recycl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31459A (en) Self-cleaning pulsed air cleaner
US4364751A (en) Self-cleaning pulsed air cleaner
CN1270663C (zh) 水循环吸尘器
USRE32185E (en) Self-cleaning pulsed air cleaner
KR102498701B1 (ko) 사이클론과 필터백을 이용한 초음파 탈진구조의 멀티집진장치
CN1502294A (zh) 真空吸尘器用集尘过滤器及带有该过滤器的真空吸尘器
KR102532920B1 (ko) 역세척 도중 필터링이 가능한 집진 장치
CN117531694A (zh) 一种鱼缸部件的筛选包装方法
CN109806682B (zh) 一种烟尘颗粒过滤装置
CN215391286U (zh) 一种带有防尘功能的开料机
CN213912761U (zh) 一种脱硫脱硝除尘装置
CN210964306U (zh) 一种脉冲布袋除尘器
CN202129220U (zh) 一种风分离筛装置
CN218460096U (zh) 一种粉圆筛分装置
CN215276323U (zh) 移动焊接烟尘净化器
CN219540973U (zh) 一种石油焦炭的筛分和除尘装置
CN217829272U (zh) 一种铁粉生产用粉尘回收设备
CN214972537U (zh) 一种布袋收尘器
CN117427424B (zh) 一种集尘器滤芯反清洗装置
CN213409334U (zh) 一种药剂除尘筛分装置
CN211802799U (zh) 一种干果的传输式筛选装置
CN220092079U (zh) 一种多粒径颗粒物料的筛分装置
CN221063512U (zh) 一种用于快速筛分的简易装置
CN214763784U (zh) 一种应用于地下水循环井的高效过滤筛
JP3754174B2 (ja) 湿式篩による分級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