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569B1 -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 Google Patents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2569B1
KR102532569B1 KR1020220146699A KR20220146699A KR102532569B1 KR 102532569 B1 KR102532569 B1 KR 102532569B1 KR 1020220146699 A KR1020220146699 A KR 1020220146699A KR 20220146699 A KR20220146699 A KR 20220146699A KR 102532569 B1 KR102532569 B1 KR 102532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support member
connecting ring
chin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6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토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토스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토스타
Priority to KR1020220146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2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2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2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18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 A63B21/1627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for anchoring on or between the vertical posts of a door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61H2201/1607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9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레이트부의 상부와 연결하여 문틀 사이에 결합한 철봉에 거는 연결고리부; 옷걸이 형상으로 상기 연결고리부의 하부와 연결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 양쪽 부분의 홈에 연결하며 사용자의 머리를 통과시켜 목 부분을 고정하는 목견인밸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Neck pulling apparatus connected steel bar of door frame}
본 발명은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 철봉에 견인벨트를 직결하여 목 디스크용 견인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질환인 허리 디스크와 같이 스마트폰, 컴퓨터 모니터 구독 등 장시간 지속되는 잘못된 자세로 인하여 추간판탈출증, 협착증 등 목 디스크도 소리 없이 다가오는 고질적인 목통증을 유발하는 주범이 된다. 일반적인 물리치료의 경우 병원에서 전자식 견인장치를 사용하여 음압치료 혹인 견인치료라는 진료항목으로 치료하게 된다. 목 디스크의 경우 상당한 기간 진행되거나 갑작스런 충격에 의한 증상이 대부분이며, 지속적인 물리치료와 자세 개선운동을 통해서 치료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병원용 음압 치료를 가정에서 할 수 있다면 치료에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목 디스크의 경우는 다양한 종류의 목견인 장치나 자세 교정에 요구되는 장치가 필요로 하게 된다. 만약 추간판탈출증과 같은 증상의 가지고 있는 사람의 경우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목 근육 등 근육 등에 염좌가 생겨 엄청난 고통에 시달릴 수 있다.
이러한 목 디스크를 치료하기 위하여 목견인 장치가 다양한데, 대부분은 앉아서 물리 운동을 제공하는 목견인 장치이며, 튜브형과 기구물로 목디스크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제품이 가장 대중적인 제품이다. 아울러 바닥에 누워서 목에 밴드를 하고 벽이나 문 쪽에 고정된 벨트를 당겨서 치료하는 장치와 누워서 기어를 회전시켜 목에 견인하는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장치도 있다. 또한, 문틀 철봉과 같이 기구물에 장착하여 목을 견인하는 장치도 많이 있는데 이 경우 대부분은 팔의 힘으로 당겨서 치료하거나 상체를 좌우 앞뒤로 움직이면서 치료하는 장치가 있다.
하지만 목 디스크의 경우 상당기간 잘못된 자세에서 비롯된 것으로 목 견인을 통한 치료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하중이 목에 적용되느냐에 따라서 천차만별로 견인 치료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얼마나 강한 힘으로 견인을 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도 없고 치료에 대한 기록도 없는 것이 실정이다. 또한 목 디스크 환자들의 경험담을 통해 보면 목견인장치가 기구물이 파손되거나 줄이 끊어지거나 하여 부상을 당하기도 한다. 아울러 목이라는 예민한 부분의 견인장치 이므로 좌우 흔들림이나 고정이 완전하지 않아 발생되는 뒤틀림에 대한 보완 문제도 해결해야 하는 실정이다. 가장 큰 문제는 충분한 견인을 안정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개인용 또는 물리 운동용 목견인 장치의 출현이 아직도 필요한 실정이며, 특히 소모적인 제품 사용으로 매번 기기를 구입해야 하는 부분에 대한 경제성을 제공하는 목견인 장치의 출현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목견인 벨트를 적용하고 문틀 또는 철봉 구조물의 철봉에 직결할 수 있는 연결고리를 결합 구성하여 보다 빠르게 흔들림 없이 목견인 치료를 할 수 있는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는 플레이트부의 상부와 연결하여 문틀 사이에 결합한 철봉에 거는 연결고리부; 옷걸이 형상으로 상기 연결고리부의 하부와 연결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 양쪽 부분의 홈에 연결하며, 사용자의 머리를 통과시켜 목 부분을 고정하는 목견인밸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고리부는 상부 내측에는 좌우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각형 카라비너 형상으로 형성하며, 하부 내측에는 플레이트부의 사각형 홀과 연결할 수 있는‘ㄷ’자형 고리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고리부를 플레이트부의 사각형 홀에 연결 시 연결고리부 상부를 홀에 삽입하여 하부의‘ㄷ’자형 고리와 결합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는 옷걸이 형상으로 상부 중앙에 연결고리부의 하부‘ㄷ’자형 고리와 결합할 수 있는 사각형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단 좌우 양측에 목견인벨트부의 결합 폭을 2단계 또는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2~3개의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견인밸트부는 목 뒷부분을 감싸는 목지지부재와, 상기 목지지부재의 양 끝단에 플레이트부의 홈에 연결하는 고리와, 상기 목지지부재와 일체형으로 환자의 턱을 지지하여 감싸는 턱지지부재, 및 상기 턱지지부재와 일체형으로 목지지부재와 턱지지부재 사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지지부재와 턱지지부재에는 얼굴 감쌀 때 목 부분의 피부를 보호하며,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견인력에 의한 압박력을 흡수하기 위한 제1 및 제2 쿠션부재를 각각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재는 목지지부재와 턱지지부재의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2~4개의 고정찍찍이에 각각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재는 착용 중 땀 등의 오염물을 청소할 수 있도록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재는 목지지부재와 턱지지부재 사이로 머리를 삽입 후 목 부분을 목과 이어진 머리의 뒷머리를 감싸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2개의 조절부재를 당겨 조절부재 끝부분에 구비된 찍찍이밴드를 목지지부재 후면의 고정찍찍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목 디스크 증상으로 고통 받고 있는 환자 또는 그와 유사한 통증으로 신체활동에 불편을 겪고 있는 사람의 머리부 경추를 몸의 하중을 이용하여 당겨 신경을 압박하고 있던 경추가 늘어나 신경압박으로 인한 고통을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견인밸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고리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는 연결고리부(100), 플레이트부(200), 및 목견인 밸트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부(100)는 플레이트부(200)의 상부 중앙에 형성된 사각형 홀(210)에 연결하여 문틀 사이에 결합한 철봉(B)에 걸 수 있다.
상기 연결고리부(100)는 상부 내측에는 좌우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각형 카라비너 형상으로 형성되어 철봉(B)에 걸 수 있으며, 하부 내측에는 플레이트부(200)의 사각형 홀(210)과 연결할 수 있는‘ㄷ’자형 고리(110)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고리부(100)는 강철,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연결고리부(100)를 플레이트부(200)의 홀(210)에 연결 시 연결고리부(100) 상부를 플레이트부(200)의 홀(210)에 삽입하여 하부의‘ㄷ’자형 고리(110)가 결합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고리부(100)가 플레이트부(200)의 홀(210)에 견고히 결합되어 플레이트부(200)의 좌우상하 움직임에도 빠지지 않는다.
상기 플레이트부(200)는 옷걸이 형상으로 상부 중앙에 연결고리부(100)의 하부‘ㄷ’자형 고리(110)와 결합할 수 있는 사각형 홀(21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부(200)는 스테인레스 스틸, 강철, 우레탄, 알루미늄, 텅스텐 등의 소재로 가공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플레이트부(200)는 목견인벨트부(300)의 결합 폭을 2단계 또는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2~3개의 홈(220)을 좌우 양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얼굴 형태와 견인 선호도에 따라 목견인밸트부(300)의 2~3개의 홈(220)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견인 운동 시 턱에 가해지는 압박을 완화시켜서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견인밸트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목견인밸트부(300)는 사용자의 머리를 통과시켜 목 부분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목견인밸트부(300)는 목 뒷부분을 감싸는 목지지부재(310)와, 상기 목지지부재(310)의 양 끝단에 플레이트부(200)의 홈(220)에 연결하는 고리(340)와, 상기 목지지부재(310)와 일체형으로 환자의 턱을 지지하여 감싸는 턱지지부재(320), 및 상기 턱지지부재(320)와 일체형으로 목지지부재(310)와 턱지지부재(320) 사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지지부재(310)와 턱지지부재(320)에는 얼굴 감쌀 때 목 부분의 피부를 보호하며,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견인력에 의한 압박력을 흡수하기 위한 제1 및 제2 쿠션부재(350)(360)를 각각 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재(350)(360)는 목지지부재(310)와 턱지지부재(320)의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2~4개의 고정찍찍이(311)(321)에 각각 부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재(350)(360)는 착용 중 땀 등의 오염물을 청소할 수 있도록 착탈이 가능하다.
상기 조절부재(330)는 목지지부재(310)와 턱지지부재(320) 사이로 머리를 삽입 후 목 부분을 감싸도록 2개의 조절부재(330)를 당겨 조절부재(330) 끝부분에 구비된 찍찍이밴드(미도시)를 목지지부재(310) 후면의 고정찍찍이(미도시)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목지지부재(310)와 턱지지부재(320) 사이에 머리를 삽입한 후 목과 이어진 머리의 뒷머리를 감싸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찍찍이밴드를 고정찍찍이에 조절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연결고리부 110: 고리
200: 플레이트부 210: 홀
220: 홈 300: 목견인밸트부
310: 목지지부재 311,321: 고정찍찍이
312: 고정찍찍이 320: 턱지지부재
330: 조절부재 340: 고리
350,360: 쿠션부재

Claims (10)

  1. 플레이트부의 상부와 연결하여 문틀 사이에 결합한 철봉에 거는 연결고리부;
    옷걸이 형상으로 상기 연결고리부의 하부와 연결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 양쪽 부분의 홈에 연결하며, 사용자의 머리를 통과시켜 목 부분을 고정하는 목견인밸트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고리부는 상부 내측에 좌우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각형 카라비너 형상으로 형성하고, 하부 내측에 플레이트부의 사각형 홀과 연결할 수 있는‘ㄷ’자형 고리로 형성하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단 좌우 양측에 목견인벨트부의 결합 폭을 2단계 또는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는 2~3개의 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부를 플레이트부의 사각형 홀에 연결 시 연결고리부 상부를 홀에 삽입하여 하부의‘ㄷ’자형 고리와 결합되도록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옷걸이 형상으로 상부 중앙에 연결고리부의 하부‘ㄷ’자형 고리와 결합할 수 있는 사각형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견인밸트부는,
    목 뒷부분을 감싸는 목지지부재와,
    상기 목지지부재의 양 끝단에 플레이트부의 홈에 연결하는 고리와,
    상기 목지지부재와 일체형으로 환자의 턱을 지지하여 감싸는 턱지지부재, 및
    상기 턱지지부재와 일체형으로 목지지부재와 턱지지부재 사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지지부재와 턱지지부재에는 얼굴 감쌀 때 목 부분의 피부를 보호하며,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견인력에 의한 압박력을 흡수하기 위한 제1 및 제2 쿠션부재를 각각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재는 목지지부재와 턱지지부재의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2~4개의 고정찍찍이에 각각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쿠션부재는 착용 중 땀 등의 오염물을 청소할 수 있도록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목지지부재와 턱지지부재 사이로 머리를 삽입 후 목 부분을 목과 이어진 머리의 뒷머리를 감싸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2개의 조절부재를 당겨 조절부재 끝부분에 구비된 찍찍이밴드를 목지지부재 후면의 고정찍찍이에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KR1020220146699A 2022-11-07 2022-11-07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KR102532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699A KR102532569B1 (ko) 2022-11-07 2022-11-07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6699A KR102532569B1 (ko) 2022-11-07 2022-11-07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2569B1 true KR102532569B1 (ko) 2023-05-15

Family

ID=8639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6699A KR102532569B1 (ko) 2022-11-07 2022-11-07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25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0874A (en) * 1978-06-28 1981-02-17 Rude Kennon G Therapeutic neck traction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0874A (en) * 1978-06-28 1981-02-17 Rude Kennon G Therapeutic neck traction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39124B2 (ja) 拘束・再配置・けん引・運動装置
US11202522B2 (en) Suspension pillow
KR101895751B1 (ko) 척추 디스크, 척추 측만 견인 치료 장치
US20020183177A1 (en) Restraint and exercise device
US20200060919A1 (en) User-actuated dynamic tension traction apparatus
US11019946B2 (en) Head and neck rest device
US5158098A (en) Pelvic belt with hand mounts for spinal unloading
US20210298980A1 (en) Spinal Alignment System and Method
KR101529298B1 (ko)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102532569B1 (ko) 문틀 철봉 직결형 목견인장치
KR20150025851A (ko) 체중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용 좌석 걸이장치
KR102376666B1 (ko) 허리 지지 교정벨트
KR101294556B1 (ko) 척추 견인 지지 교정벨트
KR101297399B1 (ko) 체중에 따른 탄발복원력을 이용한 척추 견인장치
US20210236367A1 (en) Cervical traction orthotic chiropractic neck alignment device for spi-nal curve tension stretching forward head posture pain relief and phys-ical therapy
KR101481811B1 (ko) 의자 보조기구
JP2000139977A (ja) 腰痛治療椅子
KR101244838B1 (ko) 허리디스크 운동장치
JP2004530483A (ja) 拘束及び運動装置
US9005149B1 (en) Spinal decompression and sleep therapy system
KR102139153B1 (ko) 요추 보호 장치
JP2000210318A (ja) 腰痛治療器具
KR101062115B1 (ko) 척추 교정 운동 장치
KR200493640Y1 (ko) 간이 경추견인장치
KR101666174B1 (ko) 기능성 척추 디스크 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