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1726B1 -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1726B1 KR102531726B1 KR1020210022036A KR20210022036A KR102531726B1 KR 102531726 B1 KR102531726 B1 KR 102531726B1 KR 1020210022036 A KR1020210022036 A KR 1020210022036A KR 20210022036 A KR20210022036 A KR 20210022036A KR 102531726 B1 KR102531726 B1 KR 1025317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terminal pin
- ground
- pins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4—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 H01R13/6466—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adding capacitive elements on substrate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는 내부에 전도성 단자핀 그룹을 수용하는 다수의 안착부를 구비한 하우징; 전도성의 복수의 단자핀을 포함하는 단자핀 그룹으로서, 상기 단자핀 그룹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 1 접지 단자핀과 복수의 제 1 신호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1 그룹 단자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보다는 높은 위치에 삽입되어 배치되되 복수의 제 2 접지 단자핀과 복수의 제 2 신호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2 그룹 단자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보다는 상측에 배치되되 복수의 제 3 전원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3 그룹 단자핀;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과 상기 제 3 그룹 단자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4 전원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4 그룹 단자핀;을 포함하는, 단자핀 그룹;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단자핀 그룹에 정렬되어 배치되되 일부가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 및 제 2 그룹 단자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의 접지 단자핀 및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의 접지 단지판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32GT/s (PCle 레인) 및 24Gb/s (SAS 레인) 속도를 제공하여 차세대 서버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고속 신호 전송용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및 고속 디지털 전송 인터페이스의 끊임없는 진화에 따라 각종 규격의 커넥터는 예를 들어 자동차, 컴퓨터아 주변기기, 휴대용 장치, 의료 등 각종 이용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그 데이터 전송량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키고 생활상의 편리를 가져왔으나, 신호의 완전성 및 호환성의 설계와 테스트에 있어서 큰 도전을 받고 있다.
고속 플러그 커넥터는 데이터 전송 속도 향상을 위해 금속단자의 신호 전송 경로를 따라서 특성 임피던스가 가능한한 균일하게 표준 임피던스에 부합하도록 해야 한다. 그 뿐만 아니라, 단자간의 전기적인 간섭을 최소한으로 억제 시켜야 한다. 차세대 서버를 비롯하여 각종 기기들에 32GT/s 이상의 데이터 전송속도가 요구되어, 현재 이를 만족하는 커넥터의 표준을 전문학회에서 논의하고 있으며, 전송특성이 더욱 향상된 표준이 곧 채택될 전망이다. 따라서, 종래기술보다 상기 특성 임피던스의 균일성과 단자간 전기적인 간섭의 최소화가 더욱 향상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 단자의 두께와 너비, 주위를 구성하는 커넥터 하우징의 물질특성과 그 구조가 특성 임피던스를 좌우하며, 단자간 전기적 간섭을 막기위한 접지판(그라운드 플레이트)과 인접접지단자도 해당단자의 특성임피던스를 변화시킨다. 종래 기술에서는, 접지판의 면적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여 단자간 전기적 간섭이 남아 있거나, 접지단자와 접지판의 전기적 연결이 불완전하여 전송특성의 향상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접지 구성요소가 커넥터의 하우징의 강성에는 전혀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구현할 수 있는 고속 데이터 전송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단자의 신호 전송경로를 따라서 특성 임피던스가 더욱 균일한 고속 데이터 전송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접지판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접지구성요소간의 전기적 연결특성이 향상된 고속 데이터 전송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내부의 구조성 강성이 개선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는 내부에 전도성 단자핀 그룹을 수용하는 다수의 안착부를 구비한 하우징; 전도성의 복수의 단자핀을 포함하는 단자핀 그룹으로서, 상기 단자핀 그룹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 1 접지 단자핀과 복수의 제 1 신호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1 그룹 단자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보다는 높은 위치에 삽입되어 배치되되 복수의 제 2 접지 단자핀과 복수의 제 2 신호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2 그룹 단자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보다는 상측에 배치되되 복수의 제 3 전원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3 그룹 단자핀;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과 상기 제 3 그룹 단자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4 전원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4 그룹 단자핀;을 포함하는, 단자핀 그룹;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단자핀 그룹에 정렬되어 배치되되 일부가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 및 제 2 그룹 단자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의 접지 단자핀 및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의 접지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은,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과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과 상기 제 4 그룹 단자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그라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과 상기 제 3 그룹 단자핀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의 접지 단자핀 및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의 접지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본체; 및 상기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만곡되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측 표면 위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만곡되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하측 표면 아래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상측 연장부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 사이에 상측 엠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측 연장부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 사이에 하측 엠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상측 연장부는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의 제 2 접지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하측 연장부는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의 제 1 접지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상측 연장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선단측에서 만곡되어 배치된 선단 만곡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 연장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후단측에 만곡되어 배치된 후단 만곡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의 제 2 접지 단자핀의 수평부는 폭이 일정하게 넓은 광폭부, 폭이 일정하게 좁은 협폭부, 및 폭이 가변하는 각형 확장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각형 확장부의 하면 및 상기 각형 확장부로부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후단 방향의 협폭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촉 돌기를 각각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제 2 접지 단자핀에 인접한 제 2 신호 단자핀의 수평부는 상기 제 2 접지 단자핀의 각형 확장부에 대응하여 협폭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후단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핀 그룹을 지지하는 리테이닝 바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구현할 수 있는 고속 데이터 전송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단자의 신호 전송경로를 따라서 특성 임피던스가 더욱 균일한 고속 데이터 전송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접지판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접지구성요소간의 전기적 연결특성이 향상된 고속 데이터 전송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내부의 구조성 강성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 단자의 접지 단자핀과 하우징 내의 접지 구성요소간의 접지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접촉 단자부 그룹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상열 인서트 몰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열 인서트 몰드 조립체의 조립된 상태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중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부분을 위에서 내려볼 때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아래에서 올려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조립한 경우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조립한 경우 B-B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에서 상열 인서트 몰드 조립체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접촉 단자부 그룹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상열 인서트 몰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열 인서트 몰드 조립체의 조립된 상태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a는 도 7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중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부분을 위에서 내려볼 때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아래에서 올려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조립한 경우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2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조립한 경우 B-B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에서 상열 인서트 몰드 조립체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100)는, 회로 기판(미도시) 상에서 대응하는 형상의 커넥터 부재와 전기적으로 체결되어 전원과 신호를 전송하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로서, 내부에 전도성 단자핀 그룹(150)을 수용하는 다수의 안착부(116b, 116c, 116d)를 구비하며 비전도성을 가지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복수의 그룹 전도성 단자핀을 포함하는 전도성 단자핀 그룹(150), 플레이트 형상으로 되되, 상기 전도성 단자핀 그룹의 접지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전도성 재질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120), 단자의 신호경로상 특성임피던스를 표준값에 가깝게 제어할 목적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후방에 장착되어 전도성 단자핀 그룹(150)을 지지하며, 신호 단자 주변을 감싸주어 신호 특성을 제어하는 리테이닝 바(130); 및 회로 기판(미도시) 상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100)를 유지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부재(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핀 그룹(150)은, 상기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 1 접지 단자핀(150a2)과 복수의 제 1 신호 단자핀(150a1)을 포함하는 제 1 그룹 단자핀(150a);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보다는 높은 위치에 삽입되어 배치되되 복수의 제 2 접지 단자핀(150b1)과 복수의 제 2 신호 단자핀(150b2)을 포함하는 제 2 그룹 단자핀(150b);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보다는 상측에 배치되되 복수의 제 3 전원 단자핀(150c1, 150c2)을 포함하는 제 3 그룹 단자핀(150c);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150b)과 상기 제 3 그룹 단자핀(150c)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4 전원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4 그룹 단자핀(150d);을 포함한다.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120)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단자핀 그룹(150)에 정렬되어 배치되되 일부가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 및 제 2 그룹 단자핀(150b)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의 접지 단자핀(150a2) 및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150b)의 접지 단자핀(150b1)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도 1에서 -y 방향은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100)의 전방(또는 선단)을 정의하고, +y 방향은 그 후방(또는 후단)을 정의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100)의 하우징(110)은 세장형의 하우징 본체(111)를 구비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100)의 하우징 본체(111)에는 전방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그룹 단자핀(150b)가 안착되는 제 2 그룹 단자핀 안착부(116b), 상기 제 3 그룹 단자핀(150C)가 안착되는 제 3 그룹 단자핀 안착부(116c), 및 상기 제 4 그룹 단자핀(150d)가 안착되는 제 4 그룹 단자핀 안착부(116d)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는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하부에 구비된 삽입홈(미도시)에 안착되어 장착된다.
상기 제 4 그룹 단자핀 안착부(116d)는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 안착부(116b) 및 상기 제 3 그룹 단자핀 안착부(116c)보다 높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제 2 그룹 단자핀 안착부(116b) 및 상기 제 3 그룹 단자핀 안착부(116c) 사이에 배치된 리브부(114)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 본체(111)의 양측단부에는 사이드부(113)가 배치되되, 상기 사이드부(113)의 내측에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에 체결될 대응되는 커넥터 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공(112)이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부(113)에는 상기 고정부재(140)를 양측에서 둘러싸도록 각각 제 1 리브(117) 및 제 2 리브(119)가 구비된다. 상기 제 1 리브(117)에서 후방 방향(+y) 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5)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150b)은 제 2 그룹 단자핀의 각 단자핀의 +y 방향 단부를 둘러싸도록 된 상열 인서트 몰드(152)에 일부가 몰딩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11)의 후방 방향에 체결된다.
도 4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접촉 단자부 그룹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단자핀 그룹(150)은, 상기 하우징(110; 도 1)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 1 접지 단자핀(150a2)과 복수의 제 1 신호 단자핀(150a1)을 포함하는 제 1 그룹 단자핀(150a)을 포함하되, 제 1 그룹 단자핀(150a)은 단자핀 그룹(150)에서 가장 아래에 배치되되 하우징 본체(111)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다른 그룹 단자핀에 비하여 가장 폭넓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의 제 1 접지 단자핀(150a2)는 제 1 신호 단자핀(150a1) 보다 -y 방향으로 그 단부가 길게 연장된다.
한편, 상기 단자핀 그룹(150)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보다는 높은 위치에 삽입되어 배치되되 복수의 제 2 접지 단자핀(150b1)과 복수의 제 2 신호 단자핀(150b2)을 포함하는 제 2 그룹 단자핀(150b)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보다는 상측에 배치되되 복수의 제 3 전원 단자핀(150c1, 150c2)을 포함하는 제 3 그룹 단자핀(150c)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150b)의 제 2 접지 단자핀(150b1)은 제 2 신호 단자핀(150b2) 보다 -y 방향으로 그 단부가 길게 연장되며,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 3 그룹 단자핀(150c)의 제 3 전원 단자핀(150c1, 150c2)는 전방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면에서 차이가 있지만, 길이의 차이를 제외하고 각각의 제 3 전원 단자핀은 수평부(150c11, 150c21), 상기 수평부(150c11, 150c21)의 후단으로부터 수직하게 하향하여 연장되는 수직부(150c13, 150c23) 및 상기 수직부(150c13, 150c23)로부터 다시 수평하게 후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150c13)를 각각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핀 그룹(150)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150b)과 상기 제 3 그룹 단자핀(150c)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4 전원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4 그룹 단자핀(150d);을 포함한다.
제 4 그룹 단자핀(150d)의 복수의 제 4 전원 단자핀은 모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부(150d1)와 상기 수평부(150d1)의 후단에서 경사지게 하향 연장되는 경사부(150d2)를 구비한다.
도 5는 도 2의 상열 인서트 몰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상열 인서트 몰드 조립체의 조립된 상태를 하측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다.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150b)의 제 2 접지 단자핀(150b1)은 수평부(150b11)는 폭이 일정하게 넓은 광폭부(150b18), 폭이 일정하게 좁은 협폭부(150b7), 및 폭이 가변하는 각형 확장부(150b16)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접지 단자핀(150b1)은 상기 각형 확장부(150b16)의 하면 및 상기 각형 확장부(150b16)로부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후단 방향의 협폭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접촉 돌기(150b15)를 각각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접지 단자핀(150b1)에 인접한 제 2 신호 단자핀(150b2)의 수평부(150b21)는 상기 제 2 접지 단자핀의 각형 확장부에 대응하여 협폭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2 접지 단자핀(150b1) 및 상기 제 2 신호 단자핀(150b2)는 각각 수평부(150b11, 150b21), 상기 수평부(150b11, 150b21)의 후단에서 수직하게 하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50b13, 150b23) 및 상기 수직부(150b13, 150b23)의 하측 단부에서 다시 +y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150b14, 150b24)를 각각 구비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150b11, 150b21)의 일부, 그리고 수직부(150b13, 150b23)의 일부는 상열 인서트 몰드(152)에 둘러싸이되, 단부(150b14, 150b24)는 상열 인서트 몰드(152)로부터 노출된다. 상기 상열 인서트 몰드(152)는 제 2 그룹 단자핀(150b)의 만곡된 형상을 따라 사이드(152a)가 형성되므로 내측부(152b는 상열 인서트 몰드의 내부로 만곡되어 들어간 형태로 된다. 접촉돌기(150b15)는 상열 인서트 몰드(152)의 내측부(152b)로부터 노출된다.
도 7은 도 2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8a는 도 7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중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부분을 위에서 내려볼 때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7의 그라운드 플레이트 중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아래에서 올려볼 때의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120)은,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100)가 제롭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과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150b)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126);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과 상기 제 4 그룹 단자핀(150d)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그라운드 플레이트(124); 및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과 상기 제 3 그룹 단자핀(150c)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그라운드 플레이트(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126)는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의 접지 단자핀(150a2) 및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150b)의 접지 단자핀(150b1)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126)는, 플레이트 본체(126a); 및 상기 플레이트 본체(126a)로부터 만곡되어 상기 플레이트 본체(126a)의 상측 표면 위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126c) 및 상기 플레이트 본체(126a)로부터 만곡되어 상기 플레이트 본체(126a)의 하측 표면 아래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126h)를 포함한다.
도 8a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126)는 상기 상측 연장부(126c)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126a)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상측 엠보(126g)를 포함한다. 상기 상측 엠보(126g)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126a)의 일부가 상측으로 융기된 구성요소이다. 상기 플레이트 본체(126a)의 선단(-y 방향)에는 선단부(126d)가 배치되고 선단부(126)의 후단에는 관통공(126b)이 구비된다. 상기 선단부(126d)의 선단에는 돌기(126e)가 구비된다.
도 8b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126)는 상기 하측 연장부(126h)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126a)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하측 엠보(126j)를 포함한다. 상기 하측 엠보(126j)는 상기 플레이트 본체(126a)의 일부가 하측으로 돌출된 구성요소이다.
상기 상측 연장부(126c)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선단측에서 만곡되어 배치된 선단 만곡부(126f)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본체(126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 연장부(126h)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후단측에 만곡되어 배치된 후단 만곡부(126i)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본체(126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9는 도 2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조립한 경우 A-A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2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를 조립한 경우 B-B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126)의 상기 상측 연장부(126c)는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150b)의 제 2 접지 단자핀(150b1)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접지 단자핀(150b1)의 하면에 배치된 접촉돌기(150b15)가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126)의 상기 상측 연장부(126c)의 상측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한편,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126)의 상기 하측 연장부(126h)의 하측 표면은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150a)의 제 1 접지 단자핀(150a2)의 상측 표면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126)의 플레이트 본체(126a)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 엠보(126g)가 상측 연장부(126c)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상측 엠보(126g)는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상측 연장부(126c)의 전기적 경로를 단축하게 되고, 아울러 상측 엠보(126g)가 상측 연장부(126c)를 하측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게 되므로 구조적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
마찬가지로,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126)의 플레이트 본체(126a)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하측 엠보(126j)가 하측 연장부(126h)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하측 엠보(126j)는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하측 연장부(126h)의 전기적 경로를 단축하게 되고, 아울러 하나 이상의 하측 엠보(126j)가 하측 연장부(126h)를 하측에서 견고하게 눌러서 지지하게 되므로 구조적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상기 하측 연장부(126h)의 선단 방향(-y 방향)에는 상측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면서 종료되는 상향팁(126k)이 구비되되, 상기 상향팁(126k)는 상기 선단부(126d)에 접촉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에서 상열 인서트 몰드 조립체가 체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의 전기적 접촉관계를 갖도록 된 제 1 그룹 단자핀(150a)과 제 2 그룹 단자핀(150b)은 상기 하우징(110)에 내부에 삽입되어 소정의 접지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이건 발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건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건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이건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해석과 관련하여, 이건 발명은 이건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건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차이점은 이건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자체적 의미가 특별히 이건 발명에서 정의되지 않은 용어의 경우 일반적인 의미로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균등적 범위의 다른 용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110: 하우징 120: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
130: 리테이닝 바 140: 고정부재
150: 단자핀 그룹 150a: 제 1 그룹 단자핀
150b: 제 2 그룹 단자핀 150c: 제 3 그룹 단자핀
150d: 제 4 그룹 단자핀
110: 하우징 120: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
130: 리테이닝 바 140: 고정부재
150: 단자핀 그룹 150a: 제 1 그룹 단자핀
150b: 제 2 그룹 단자핀 150c: 제 3 그룹 단자핀
150d: 제 4 그룹 단자핀
Claims (10)
- 내부에 전도성 단자핀 그룹을 수용하는 다수의 안착부를 구비한 하우징;
전도성의 복수의 단자핀을 포함하는 단자핀 그룹으로서, 상기 단자핀 그룹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 1 접지 단자핀과 복수의 제 1 신호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1 그룹 단자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 보다는 높은 위치에 삽입되어 배치되되 복수의 제 2 접지 단자핀과 복수의 제 2 신호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2 그룹 단자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보다는 상측에 배치되되 복수의 제 3 전원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3 그룹 단자핀;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과 상기 제 3 그룹 단자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 4 전원 단자핀을 포함하는 제 4 그룹 단자핀; 을 포함하는, 단자핀 그룹;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단자핀 그룹에 정렬되어 배치되되 일부가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 및 제 2 그룹 단자핀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의 접지 단자핀 및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의 접지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을 포함하되,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의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본체; 상기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만곡되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상측 표면 위로 연장되는 상측 연장부; 상기 플레이트 본체로부터 만곡되어 상기 플레이트 본체의 하측 표면 아래로 연장되는 하측 연장부; 상기 상측 연장부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상측 엠보; 및 상기 하측 연장부와 상기 플레이트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하측 엠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 그룹은,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과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과 상기 제 4 그룹 단자핀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그라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과 상기 제 3 그룹 단자핀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의 접지 단자핀 및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의 접지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연장부는 상기 제 2 그룹 단자핀의 제 2 접지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연장부는 상기 제 1 그룹 단자핀의 제 1 접지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연장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선단측에서 만곡되어 배치된 선단 만곡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측 연장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의 후단측에 만곡되어 배치된 후단 만곡부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2036A KR102531726B1 (ko) | 2021-02-18 | 2021-02-18 |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
PCT/KR2022/002373 WO2022177329A1 (ko) | 2021-02-18 | 2022-02-17 |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2036A KR102531726B1 (ko) | 2021-02-18 | 2021-02-18 |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8192A KR20220118192A (ko) | 2022-08-25 |
KR102531726B1 true KR102531726B1 (ko) | 2023-05-12 |
Family
ID=82930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2036A KR102531726B1 (ko) | 2021-02-18 | 2021-02-18 |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31726B1 (ko) |
WO (1) | WO2022177329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149882A1 (en) | 2011-12-13 | 2013-06-13 | Yu Luo |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bar to reduce cross talking |
US20140004744A1 (en) * | 2012-06-29 | 2014-01-02 | Hsiu-Yuan Hsu |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 grounding bars |
CN103594871A (zh) | 2012-08-18 | 2014-02-19 | 温州意华通讯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211062977U (zh) * | 2019-12-12 | 2020-07-21 | 昆山宏泽电子有限公司 | 具有高防干扰功能的电连接器 |
US20210044060A1 (en) | 2019-08-07 | 2021-02-11 | Foxconn (Kunshan) Computer Connector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4876B1 (ko) * | 2004-06-21 | 2006-09-19 |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 임피던스 특성의 향상구조를 갖는 소켓 커넥터 |
JP4565031B2 (ja) * | 2008-09-17 | 2010-10-20 | 山一電機株式会社 | 高速伝送用コネクタ、高速伝送コネクタ用プラグ、および、高速伝送コネクタ用ソケット |
DE102010063486A1 (de) * | 2010-12-20 | 2012-06-21 | Robert Bosch Gmbh |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vorgeordneter Kontaktklemme |
KR102366174B1 (ko) * | 2015-10-19 | 2022-02-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JP7293756B2 (ja) * | 2019-03-15 | 2023-06-20 | I-Pex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
2021
- 2021-02-18 KR KR1020210022036A patent/KR10253172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2-17 WO PCT/KR2022/002373 patent/WO202217732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149882A1 (en) | 2011-12-13 | 2013-06-13 | Yu Luo |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bar to reduce cross talking |
US20140004744A1 (en) * | 2012-06-29 | 2014-01-02 | Hsiu-Yuan Hsu |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 grounding bars |
CN103594871A (zh) | 2012-08-18 | 2014-02-19 | 温州意华通讯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US20210044060A1 (en) | 2019-08-07 | 2021-02-11 | Foxconn (Kunshan) Computer Connector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CN211062977U (zh) * | 2019-12-12 | 2020-07-21 | 昆山宏泽电子有限公司 | 具有高防干扰功能的电连接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177329A1 (ko) | 2022-08-25 |
KR20220118192A (ko) | 2022-08-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236638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parate grounding pieces | |
US7114963B2 (en) | Modular high speed connector assembly | |
US8523583B2 (en) | Receptacl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 |
US7789708B2 (en) | Connector with bifurcated contact arms | |
CN107658584B (zh) | 连接器 | |
US8177564B1 (en) | Receptacl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 |
US7806698B2 (en) | Edge card connector assembly with high-speed terminals | |
US8152568B2 (en) | Cable assembly with new interface | |
KR101292368B1 (ko) | 다극 커넥터 | |
US9263835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better anti-EMI performance | |
CN107706675A (zh) | 具有触头组件的插座连接器 | |
US7845961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arrangement | |
US20060063432A1 (en) |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US6811434B2 (en) | Stacked electrical connector | |
US7993161B2 (en) | Low profile connector with combo solder tails | |
US20120156900A1 (en) | Cable assembly having balanced supporting ribs | |
US20070275579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metallic shell | |
US20150087172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11183796B2 (en) | First terminal assembly, first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US20120264333A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back shell | |
JP5597418B2 (ja) | 基板実装用コネクタ | |
US10826246B2 (en) | Contact arrangement of electrical connector | |
US8523611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modules with differential pairs on both sides of a printed circuit board | |
US8100703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butting ribs against PCB | |
US7670187B2 (en) | Stacked card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