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972B1 - 부잔교 연결 브라켓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부잔교 연결 브라켓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972B1
KR102530972B1 KR1020210160522A KR20210160522A KR102530972B1 KR 102530972 B1 KR102530972 B1 KR 102530972B1 KR 1020210160522 A KR1020210160522 A KR 1020210160522A KR 20210160522 A KR20210160522 A KR 20210160522A KR 102530972 B1 KR102530972 B1 KR 10253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racket
frame
fastening
conne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피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피기업
Priority to KR1020210160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972B1/ko
Priority to KR1020230058008A priority patent/KR20230074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잔교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파이프 및 발판을 연결하고, 상기 부력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연결 브라켓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장치는, 상기 연결 브라켓은 서로 인접한 제 1 연결 브라켓 및 제 2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일단은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의,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결 브라켓이 배열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바라보는 제 1 측면의 제 1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연결 브라켓의 상기 제 1 측면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는 제 2 측면의 상기 제 1 위치보다 낮은 제 2 위치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프레임; 및 일단은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의 상기 제 1 측면의 상기 제 1 위치보다 낮은 제3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연결 브라켓의 상기 제 2 측면의 상기 제 2 위치보다 높은 제 4 위치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잔교 연결 브라켓 고정 장치{DEVICE FOR FIXING CONNECTION BRACKETS OF FLOATING BRIDGE}
본 발명은 부잔교에 사용되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부잔교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파이프 및 발판을 연결하는 연결 브라켓을 서로 고정하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잔교(浮棧橋)라 함은, 부두에 방주(方舟)를 연결하여 띄워서 수면의 높이에 따라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한 잔교를 말하는 것으로서, 선박의 접안 및 하역용으로 수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부잔교는 특히 조수간만의 차가 많은 해상에서 해수면의 변동에 관계없이 선박의 접안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항만시설의 일부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잔교의 일 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부잔교(1)는 부력 파이프(2), 연결 브라켓(3) 및 발판(4)을 포함한다.
부력 파이프(210)는 부력을 제공한다. 연결 브라켓(220)은 부력 파이프(210) 간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면에 발판(230)을 지지한다.
이 때, 연결 브라켓(220)은 복수개가 부력 파이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는데 비록, 연결 브라켓(220)은 부력 파이프(210)에 고정되고, 발판(230)은 연결 브라켓(220)에 의해 고정되나, 그것만으로는 부잔교(200)의 구성이 서로 충분히 고정되지 못해 파도가 거칠어지는 등의 경우 부잔교(200)가 과도하게 출렁거리게 되거나 심한 경우 부잔교(200) 자체가 파손될 수 있다. 특히, 연결 브라켓(220)은 일반적으로 부력 파이프로부터 위로 연장되게 제공됨으로써, 부력 파이프(210)가 파도 등에 의해 출렁거리게 될 경우, 연결 브라켓(220)의 상면에 놓이는 발판(230)에는 그보다 큰 출렁임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잔교를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고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잔교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파이프 및 발판을 연결하고, 상기 부력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연결 브라켓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는, 상기 연결 브라켓은 서로 인접한 제 1 연결 브라켓 및 제 2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일단은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의,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결 브라켓이 배열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바라보는 제 1 측면의 제 1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연결 브라켓의 상기 제 1 측면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는 제 2 측면의 상기 제 1 위치보다 낮은 제 2 위치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프레임; 및 일단은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의 상기 제 1 측면의 상기 제 1 위치보다 낮은 제3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연결 브라켓의 상기 제 2 측면의 상기 제 2 위치보다 높은 제 4 위치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 2 연결 브라켓으로부터 멀리 위치되고,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이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 2 연결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나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의 사이 영역이 상기 하나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에 대해 상기 다른 하나로부터 먼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 1 위치, 상기 제 2 위치, 상기 제 3 위치 및 상기 제 4 위치에 각각 내측으로 만입되는 체결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상기 일단,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상기 타단,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기 일단 및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기 타단에는 각각 상기 체결 홈에 삽입 되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 홈 및 상기 체결 돌기에는 상기 체결 돌기의 돌출 방향을 따라 볼트가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볼트 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 2 브라켓으로부터 멀리 위치되고, 상기 하나에 제공되는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이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 2 연결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는 상기 체결 홈의 깊이보다 긴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장치는 부잔교를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잔교의 일 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적용되는 부잔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잔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장치 및 도 3에 도시된 연결 브라켓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 홈, 제 2 연결 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 돌기 및 제 1 연결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 돌기 간의 체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 1 횡관에 체결되는 연결 브라켓 중 제 1 연결 프레임의 일단이 향하는 방향의 끝에 배치되는 연결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 홈 및 제 1 연결 프레임의 일단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 간의 체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체결 돌기의 다른 예의 돌출 길이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 1 연결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장치 및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 브라켓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삽입 돌기 및 돌기 삽입 홈 간의 체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장치가 적용되는 부잔교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잔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도 보강된 부력 파이프를 구비하는 부잔교(200)는 부력 파이프(210)와, 연결 브라켓(220)과, 발판(230), 마감 파이프(240) 및 고정 장치(300)로 구성된다.
부력 파이프(210)는 부잔교(200)에 부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부력 파이프(210)는 엘보관(211), 제 1 횡관(212) 및 제 2 횡관(213)으로 구성된다.
엘보관(211)은 PE(POLYETHYLENE) 재질로 제공되고, 원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에 곡선부가 형성된다.
제 1 횡관(212)은 엘보관(211)과 동일 지름의 직선관 형상으로 제공되며 엘보관(211)의 양단에 열융착된다.
제 2 횡관(213)은 엘보관(211)과 동일 지름의 직선관 형상으로 제공되며 양단에 앤드캡(E)이 열융착되어 양측 제 1 횡관(212) 사이에 배열된다. 이때, 각각의 제 1 횡관(212)과 제 2 횡관(213)은 복수개가 서로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상태로 열융착되어 설계 길이로 일체화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220)은 부력 파이프(210) 및 발판(230)을 연결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브라켓(220)은 부력 파이프(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된다. 예를 들면, 연결 브라켓(220)은 엘보관(211), 제 1 횡관(212) 및 제 2 횡관(213)에 각각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제 1 횡관(212)들과 제 2 횡관(213)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제 1 횡관(212)들에 체결된 연결 브라켓(220) 및 각각의 제 2 횡관(213)들에 체결된 연결 브라켓(220)은 제 1 횡관(212) 및 제 2 횡관(213)이 서로 평행하게 나열된 상태에서, 서로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220)은 PE 재질로 격자 형태의 상부 프레임(221)과, 상부 프레임(221)의 하부에 부력 파이프(210)가 삽입되는 파이프 삽입링(222)이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 연결 브라켓(220)의 상부 프레임(221)은 내부에 강도 보강을 위해 격자 형태의 보강판(225)이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횡관(212)들 및 제 2 횡관(213)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연결 브라켓(220)이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제 1 횡관(212) 및 제 2 횡관(213)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체결되는 연결 브라켓(220) 중 양 쪽 끝단에 위치되는 연결 브라켓(220)의 다른 연결 브라켓(220)과 연결되는 면의 반대 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 홈(330)이 형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발판(230)은 PE 재질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수직으로 복수의 지지대(231)가 형성되며, 상면에 미끄럼 방지돌기(233)가 구비되어 연결 브라켓(220)의 상부 프레임(221)의 상면에 볼트 결합된다. 이때, 발판(230)은 제 1 횡관(212)과 제 2 횡관(213)의 길이에 맞게 복수개가 서로 열융착될 수 있다.
마감 파이프(240)는 PE 재질의 각관으로서 연결 브라켓(220) 상단 테두리 및 발판(230) 테두리에 볼트 결합되도록 프레임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마감 파이프(240)는 복수개가 서로 열융착되어 일체화되고,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장치 및 도 3에 도시된 연결 브라켓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장치(300)는 연결 브라켓(220)을 서로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300)는 제 1 횡관(212)들과 제 2 횡관(213)들을 체결시키기 위해 서로 체결되는 연결 브라켓(220)들 중 양쪽 끝단에 위치되는 연결 브라켓(220)들 간을 서로 고정시킨다. 즉, 고정 장치(300)는 제 1 횡관(212)에 체결되는 연결 브라켓(220)들을 서로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장치(300)는 제 1 연결 프레임(310), 제 2 연결 프레임(320) 및 체결 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브라켓(220)은 제 1 횡관(212)에 체결되는 연결 브라켓(220)들 중 서로 인접하는 제 1 연결 브라켓(220a) 및 제 2 연결 브라켓(2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은 PE(POLYETHYLENE) 재질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연결 프레임(310)은 바(bar)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은 제 1 연결 브라켓(220a)의 제 1 측면(223a)의 제 1 위치에 연결된다. 제 1 측면(223a)은 제 1 연결 브라켓(220a)의 위에서 바라볼 때 연결 브라켓(220)이 배열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바라보는 측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측면(223a)은 제 1 연결 브라켓(220a)의 상부 프레임(221)의 위에서 바라볼 때 연결 브라켓(220)이 배열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바라보는 측면일 수 있다.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타단(312)은 제 2 연결 브라켓(220b)의 제 2 측면(223b)의 제 2 위치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측면(223b)은 제 2 연결 브라켓(220b)의 제 1 측면(223a)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는 측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2 측면(223b)은 제 2 연결 브라켓(220b)의 상부 프레임(221)의 위에서 바라볼 때 연결 브라켓(220)이 배열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바라보는 측면일 수 있다. 제 2 위치는 제 1 위치보다 낮은 위치이다.
제 2 연결 프레임(320)은 바(bar)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일단(321)은 제 1 연결 브라켓(220a)의 제 1 측면(223a)의 제 3 위치에 연결된다. 제 3 위치는 제 1 위치보다 낮은 위치이다.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타단(322)은 제 2 연결 브라켓(220b)의 제 2 측면(223b)의 제 4 위치에 연결된다. 제 4 위치는 제 2 위치보다 높은 위치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위치 및 제 4 위치는 서로 동일한 높이로 제공되고, 제 2 위치 및 제 3 위치는 서로 동일한 높이로 제공될 수 있다.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서 교차되도록 연결 브라켓(220)에 체결되므로,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제 1 연결 브라켓(220a) 및 제 2 연결 브라켓(220b)으로부터 멀리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 연결 프레임(310)이 제 2 연결 프레임(320)보다 제 1 연결 브라켓(220a) 및 제 2 연결 브라켓(220b)으로부터 멀리 위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아래의 제 1 연결 프레임(310)이 제 2 연결 프레임(320) 중 하나에 대한 설명은 다른 하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체결 홈, 제 2 연결 프레임의 타단에 형성된 체결 돌기 및 제 1 연결 프레임의 일단에 형성된 체결 돌기 간의 체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 홈(330)은 제 1 위치, 제 2 위치, 제 3 위치 및 제 4 위치에 각각 원통형으로 내측으로 만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 및 타단(312)과,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일단(321) 및 타단(322)에는 각각의 체결 홈(330)에 삽입되는 체결 돌기(341, 342, 343, 344)가 형성된다. 각각의 체결 홈(330) 및 체결 돌기(341, 342, 343, 344)에는 체결 돌기(341, 342, 343, 344)의 돌출 방향을 따라 볼트(301)가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볼트 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은 볼트 홀을 관통한 볼트(301)가 너트(302)와 체결됨으로써, 연결 브라켓(220)에 고정될 수 있다. 볼트(301)에는 와셔(303)가 끼워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브라켓(220)은 제 1 횡관(21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3개 이상이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2 개의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2 개의 제 2 연결 프레임(320)이 하나의 연결 브라켓(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체결 홈(330)에는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타단(322)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4) 및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가 함께 삽입되거나,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타단(312)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2)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일단(321)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3)가 함께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21) 및 타단(322)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3, 344)는 체결 홈(330)에 맞물리는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고, 볼트(301) 체결 시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되게 하기 위해 제 2 연결 프레임(320)이 서로 접촉되는 영역이 넓어지도록 체결 홈(330)의 깊이와 동일한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일단(321) 및 타단(322)의 체결 돌기(343, 344)가 제공되는 면의 반대 면에는 각각 제 1 연결 프레임(320)의 일단(311) 및 타단(312)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 342)가 삽입되도록 각각의 체결 돌기(313, 344) 내로 만입되는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은 원통형으로 내측으로 만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삽입 홈의 만입 깊이는 모두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 및 타단(312)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 342)는 삽입 홈에 맞물리는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고, 볼트(301) 체결 시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되게 하기 위해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이 서로 접촉되는 영역이 넓어지도록 삽입 홈의 깊이와 동일한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게 제공되고, 또한,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은 각 부분의 두께가 일정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체결 홈(330)의 깊이, 삽입 홈의 깊이 및 각 체결 돌기(341, 342, 343, 344)의 돌출 길이는 서로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체결 돌기(341, 342, 343, 344)는 체결 홈(330) 또는 삽입 홈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의 끝단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 돌기(341, 342, 343, 344)들이 체결 홈(330) 또는 삽입 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구조로 제공되어, 체결 돌기(341, 342, 343, 344)를 체결 홈(330) 또는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볼트 체결을 수행함으로써 볼트 체결 시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을 보다 쉽게 정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고,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체결 돌기(341, 342, 343, 344)로 분산되어 볼트(301)에만 집중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연결 브라켓(220)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제 1 횡관에 체결되는 연결 브라켓 중 제 1 연결 프레임의 일단이 향하는 방향의 끝에 배치되는 연결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 홈 및 제 1 연결 프레임의 일단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 간의 체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 1 횡관(212)에 체결되는 연결 브라켓(220) 중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 또는 타단(312)이 향하는 방향의 끝에 배치되는 연결 브라켓(220)에는 각각 1 개의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1 개의 제 2 연결 프레임(320)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체결 홈(330)에는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 또는 타단(312)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 또는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일단(321) 또는 타단(322)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3) 중 하나씩만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 및 타단(321)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 34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홈에 맞물리는 구조 상 체결 홈(330)에 맞물리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 및 타단(312)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 342)가 삽입 홈의 내부에 완전히 맞물릴 수 있도록, 고정 장치(300)는 체결 캡(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 캡(340)은 양 끝단이 개방되는 원통형 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체결 캡(340)은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 및 타단(312)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 342)의 외측 직경에 맞물리는 내측 직경을 가지고, 체결 홈(330)의 내측 직경에 맞물리는 외측 직경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 및 타단(312)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 342)는 체결 캡(340)이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 홈(330)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 캡(340)이 제공됨으로써,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 및 타단(312)의 체결 돌기(341, 342)는 체결 홈(330)에 보다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 및 타단(312)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 342)에 맞물리는 체결 홈(330)을 가지는 별도의 연결 브라켓이 요구되지 않는다. 체결 캡(340)은 체결 홈(330)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외주면의 체결 홈(330)으로 삽입되는 방향을 향하는 일측 끝단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될 수 있다. 체결 캡(340)은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 및 타단(312)의 체결 돌기(341, 342)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짧은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일단(311) 및 타단(312)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 34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체결 캡(340)이 끼워지지 않은 상태로 체결 홈(330)에 삽입되어 볼트(301)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은 체결 돌기(341, 342, 343, 344)가 형성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전체적으로 곧고 납작한 바(Bar)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은 연결 브라켓(220)에 설치되면 일부 영역이 서로 중첩되어 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체결 돌기의 다른 예의 돌출 길이를 비교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 중 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하나의 체결 돌기,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제 1 연결 프레임(310)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 342)는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이 연결 브라켓(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도록 체결 홈(330)의 깊이보다 긴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5와 관련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 2 연결 프레임(320)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3, 344)의 돌출 길이가 체결 홈(330)의 깊이와 동일하게 제공되는 경우, 제 1 연결 프레임(310)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 342)의 돌출 길이는 제 2 연결 프레임(320)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3, 344)의 돌출 길이보다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두께 이상 더 길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은 연결 브라켓(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므로, 파도나 바람 등에 의해 부잔교(200)의 움직임이 발생될 때,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이 서로 마찰되어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제 1 연결 프레임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실시 예와 달리,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이 연결 브라켓(220)에 체결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 중 보다 외측에 위치되는 하나 즉, 상술한 실시 예에서 제 1 연결 프레임(310)은 사이 영역(313)이 일단(311) 및 타단(312)에 대해 제 2 연결 프레임(320)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절곡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은 연결 브라켓(2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므로, 파도나 바람 등에 의해 부잔교(200)의 움직임이 발생될 때,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이 서로 마찰되어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장치 및 고정 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연결 브라켓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삽입 돌기 및 돌기 삽입 홈 간의 체결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도 9의 고정 장치(300)의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은 제 1 연결 브라켓(220a)의 제 1 측면(223a)을 바라보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바라볼 때, 교차되는 중심부가 서로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중심부에는 제 2 연결 프레임(320)을 향해 돌출되는 삽입 돌기(345)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중심부에는 삽입 돌기(345)가 맞물려 삽입되는 돌기 삽입 홈(3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중심부는 삽입 돌기(345) 및 돌기 삽입 홈(346)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볼트(301) 및 너트(302)의 결합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삽입 돌기(345) 및 돌기 삽입 홈(346)은 원통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삽입 돌기(345)는 돌기 삽입 홈(346)의 만입 깊이보다 긴 돌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볼트(301)에는 와셔(303)가 끼워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연결 프레임(310) 및 제 2 연결 프레임(320)의 중심부 또한 서로 고정됨으로써, 도 4의 고정 장치에 비해 연결 브라켓(220)이 서로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어 부잔교가 보다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의 고정 장치(300)가 적용되는 부잔교의 그 외의 구성, 구조 및 기능 등은 도 4의 부잔교의 구성, 구조 및 기능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특징 또한 도 9의 고정 장치(3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의 특징이 도 9의 고정 장치(300)에 적용되는 경우, 제 1 연결 프레임(310)에 제공되는 체결 돌기(341, 342) 및 삽입 돌기(345)는 제 1 연결 프레임(310)이 제 2 연결 프레임(320)에 의해 휘어지지 않고 연결 브라켓(2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서로의 돌출 길이에 대응하는 도출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특징이 도 9의 고정 장치(300)에 적용되는 경우, 제 1 연결 프레임(310)의 사이 영역(313)은 제 1 연결 프레임(310)이 제 2 연결 프레임(320)에 의해 휘어지지 않고 삽입 돌기(345)가 돌기 삽입 홈(346)에 삽입될 수 있는 정도로 절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장치(300)는 부력 파이프(210) 외의 구성을 제공하여 연결 브라켓(220) 간을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부잔교(200)를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부잔교 210: 부력 파이프
211: 엘보관 212, 213: 제 1, 2횡관
220: 연결 브라켓 220a: 제 1 연결 브라켓
220b: 제 2 연결 브라켓 230: 발판2
40: 마감 파이프 300: 고정 장치
310: 제 1 연결 프레임 320: 제 2 연결 프레임
330: 체결 홈 340: 체결 캡

Claims (4)

  1. 부잔교에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파이프 및 발판을 연결하고, 상기 부력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열되는 연결 브라켓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서로 인접한 제 1 연결 브라켓 및 제 2 연결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일단은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의, 위에서 바라볼 때 상기 연결 브라켓이 배열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바라보는 제 1 측면의 제 1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연결 브라켓의 상기 제 1 측면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는 제 2 측면의 상기 제 1 위치보다 낮은 제 2 위치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프레임; 및
    일단은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의 상기 제 1 측면의 상기 제 1 위치보다 낮은 제3 위치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연결 브라켓의 상기 제 2 측면의 상기 제 2 위치보다 높은 제 4 위치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제 1 위치, 상기 제 2 위치, 상기 제 3 위치 및 상기 제 4 위치에 각각 내측으로 만입되는 체결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상기 일단,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의 상기 타단,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기 일단 및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의 상기 타단에는 각각 상기 체결 홈에 삽입되는 체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 홈 및 상기 체결 돌기에는 상기 체결 돌기의 돌출 방향을 따라 볼트가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볼트 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 중 하나는 다른 하나보다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 2 연결 브라켓으로부터 멀리 위치되고,
    상기 하나에 제공되는 상기 체결 돌기는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이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 2 연결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는 상기 체결 홈의 깊이보다 긴 돌출 길이를 가지는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제 2 연결 프레임이 상기 제 1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제 2 연결 브라켓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나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 사이의 사이 영역이 상기 하나의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에 대해 상기 다른 하나로부터 먼 방향으로 절곡되는 고정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10160522A 2021-11-19 2021-11-19 부잔교 연결 브라켓 고정 장치 KR10253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522A KR102530972B1 (ko) 2021-11-19 2021-11-19 부잔교 연결 브라켓 고정 장치
KR1020230058008A KR20230074073A (ko) 2021-11-19 2023-05-03 부잔교 연결 브라켓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522A KR102530972B1 (ko) 2021-11-19 2021-11-19 부잔교 연결 브라켓 고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008A Division KR20230074073A (ko) 2021-11-19 2023-05-03 부잔교 연결 브라켓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972B1 true KR102530972B1 (ko) 2023-05-10

Family

ID=863860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522A KR102530972B1 (ko) 2021-11-19 2021-11-19 부잔교 연결 브라켓 고정 장치
KR1020230058008A KR20230074073A (ko) 2021-11-19 2023-05-03 부잔교 연결 브라켓 고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8008A KR20230074073A (ko) 2021-11-19 2023-05-03 부잔교 연결 브라켓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309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0783A (ja) * 2017-03-09 2018-09-27 株式会社B&B技術事務所 ブレースおよびブレース取付構造
KR102166067B1 (ko) * 2020-04-02 2020-10-15 김난영 강도 보강된 부력 파이프를 구비하는 피이 부잔교
KR20210091871A (ko) * 2020-01-15 2021-07-23 조진택 조립형 부유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0783A (ja) * 2017-03-09 2018-09-27 株式会社B&B技術事務所 ブレースおよびブレース取付構造
KR20210091871A (ko) * 2020-01-15 2021-07-23 조진택 조립형 부유체
KR102166067B1 (ko) * 2020-04-02 2020-10-15 김난영 강도 보강된 부력 파이프를 구비하는 피이 부잔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073A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278B1 (ko) 추가부력체를 설치할 수 있는 부력체지지홀더와 이를 이용한 해상부유구조물
KR100977015B1 (ko) 콘크리트 부유체 및 이를 이용한 부유조립체
KR101448948B1 (ko)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잔교
KR102014812B1 (ko) 해상 구조물용 부력체
US8500502B2 (en) Floating device for pipes
KR102050997B1 (ko) 해상부유 구조물
KR102166067B1 (ko) 강도 보강된 부력 파이프를 구비하는 피이 부잔교
KR101349966B1 (ko) 조립식 폰툰
KR20030053669A (ko) 부유식 방파제
KR102530972B1 (ko) 부잔교 연결 브라켓 고정 장치
KR101298679B1 (ko) 부력파이프 교차식 고강도 부잔교
KR20110090540A (ko) 해양 어업용 가두리 구조물
US6213683B1 (en) Flexible film weir
US11732821B2 (en) Protection apparatus
KR102005924B1 (ko) 내파성 구조방식을 이용한 해상 태양광 발전용 구조체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KR102395682B1 (ko) 롤링 방지용 부잔교
KR101312920B1 (ko) 보강부재가 형성된 폰툰, 폰툰조립체 및 폰툰조립체 제조방법
KR102365694B1 (ko) 부잔교의 연결장치
KR102064125B1 (ko) 조인트 파이프를 구비한 부잔교
KR102462301B1 (ko) 수상 구조물용 부력체
US8651149B2 (en) Fluid filled jacket for concrete pipe
KR101433352B1 (ko) 코너 보강부를 가지는 저장탱크
CN218000675U (zh) 一种水上管道固定装置
JP7403800B2 (ja) 水面浮遊物の拡散防止水中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