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571B1 -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571B1
KR102530571B1 KR1020210065618A KR20210065618A KR102530571B1 KR 102530571 B1 KR102530571 B1 KR 102530571B1 KR 1020210065618 A KR1020210065618 A KR 1020210065618A KR 20210065618 A KR20210065618 A KR 20210065618A KR 102530571 B1 KR102530571 B1 KR 102530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unit
deodorizing
wat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8294A (ko
Inventor
최병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065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571B1/ko
Publication of KR2022015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8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4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7/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rotating vanes, discs, drums or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impinging the gas to be cleaned essentially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onto the liqui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0Venturi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23/23105Arrangement or manipulation of the gas bubbling devices
    • B01F23/2312Diffusers
    • B01F23/23121Diffusers having injection means, e.g. nozzles with circumferential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악취성분을 제거하도록 미세기포, 산화제, 및 촉매제가 포함된 처리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처리수공급부; 상기 처리수공급부의 일측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기체가 유입되면 중심을 향해서 회전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환되어 처리수가 분사되면서 처리수와 기체의 악취 성분이 흡착 처리되는 탈취몸체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수가 흡착되어 선회하는 선회류 형태의 기체가 통과하면서 충돌에 의해 압축 후 분산되어 불순물의 흡착효율이 향상되는 회전형분산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형분산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격벽을 벤츄리 노즐 형태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충돌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도록 노즐와류믹스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노즐와류믹스부를 통과한 기체가 복수의 격자 위치에서 안내되면서 소용돌이 형태로 통과하여 선회류 형태로 회전 확산하면서 처리수를 분사하면서 흡착을 실시하여 정화 배출하는 기체탈취부; 및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측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와류믹스부와 상기 기체탈취부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안쪽면에서 중앙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구역별로 상기 처리수공급부에서 선택적으로 처리수를 공급하여 불순물을 미세기포에 부상 분리 처리하는 흡착수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Swirl Flow Type Deodorizing Device Advanced Oxidation Process}
본 발명은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폐수 처리장에서 발생된 분진 또는 음식물에 포함된 악취 성분을 탈취하는 탈취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미세기포, 산화제, 및 촉매제가 포함된 액체를 분사하면서 복수의 위치에서 접촉에 의해 압축과 확산을 반복하여 불순물을 산화 제거하고, 기체와 액상을 상호 분리한 상태로 상술된 액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정화를 실시함에 따라 탈취 효율이 향상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각종 오폐수 처리장 및 음식물의 퇴비화, 사료화 시설 등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틸아민, 황화메틸 등의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탈취장치를 사용하고 있으나, 탈취의 효율저하 및 관리 부주의로 인하여 민원이 발생하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해가스인 악취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대책으로 토양 탈취법, 흡착법, 미생물처리법, 바이오 필터법, 일반 세정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설치비와 유지관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관리상의 어려움과 설치 후 탈취효율이 저하됨으로 인하여 많은 민원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일반 세정방식에는 분사노즐과 충진물의 관리상 문제와 세정 후의 세정수 미립자가 대기권으로 배출됨으로 인하여 악취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가 지적되었다.
특히, 정화되는 악취 가스에 분진이 많이 포함되거나, 음식물쓰레기에서 발생되는 미립자 형태의 취기성 연기인 흄(fume)이 포함되면 불순물의 입자가 작아 제거하기 어렵고, 입자 내에 악취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정화된 기체에 잔존하게 되면 악취가 제거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악취를 포함한 기체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흡착을 실시하여 외부에 배출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래 기술의 세정수를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는 악취성분이 포함된 기체가 공급되면 세정수를 분사하여 악취성분을 흡착에 의해 낙하한 후 배출하는 방식으로 단순한 세정수의 공급만으로 흡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정액에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약품을 혼합시키는 경우에는 지속적인 정화에 따라 잔존된 세정액의 약품의 화학작용으로 인한 악취가 발생되어 정기적인 청소를 실시하여야 함에 따라 유지 보수의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분진과 미립자인 흄은 세정수의 분사만으로는 포집에 의해 제거가 어려워 정화 후에도 잔존된 불순물에 의해 지속적으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오폐수 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에서 악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미세기포, 산화제, 및 촉매제가 포함된 액체를 분사하면서 복수의 위치에서 접촉에 의해 압축과 확산을 반복하여 불순물을 산화 제거하고, 기체와 액상을 상호 분리한 상태로 상술된 액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정화를 실시함에 따라 탈취 효율이 향상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는 악취성분을 제거하도록 미세기포, 산화제, 및 촉매제가 포함된 처리수를 발생시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처리수공급부; 상기 처리수공급부의 일측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기체가 유입되면 중심을 향해서 회전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환되어 처리수가 분사되면서 처리수와 기체의 악취 성분이 흡착 처리되는 탈취몸체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수가 흡착되어 선회하는 선회류 형태의 기체가 통과하면서 충돌에 의해 압축 후 분산되어 불순물의 흡착효율이 향상되는 회전형분산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형분산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격벽을 벤츄리 노즐 형태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충돌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도록 노즐와류믹스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노즐와류믹스부를 통과한 기체가 복수의 격자 위치에서 안내되면서 소용돌이 형태로 통과하여 선회류 형태로 회전 확산하면서 처리수를 분사하면서 흡착을 실시하여 정화 배출하는 기체탈취부; 및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와류믹스부와 상기 기체탈취부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안쪽면에서 중앙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구역별로 상기 처리수공급부에서 선택적으로 처리수를 공급하여 불순물을 미세기포에 부상 분리 처리하는 흡착수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리수공급부는, 미세기포가 포함되는 처리수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수발생장치; 상기 미세기포수발생장치와 상기 탈취몸체부의 유입부분과, 상기 기체탈취부, 및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각각 연결되어 미세기포수 형태의 처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수공급관; 미세기포에 산화제가 포함된 처리수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산화수발생장치; 상기 미세기포산화수발생장치와 상기 탈취몸체부의 유입부분과, 상기 기체탈취부, 및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각각 연결되어 미세기포수 형태의 처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산화수공급관; 미세기포에 산화제와 촉매제가 포함된 처리수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촉매산화수발생장치; 및 상기 미세기포촉매산화수발생장치와 상기 탈취몸체부의 유입부분과, 상기 기체탈취부, 및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각각 연결되어 미세기포수 형태의 처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촉매산화수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취몸체부는, 상기 처리수공급부와 연결되는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통형의 수조 형태의 중앙에 공급되는 악취 가스가 선회류 회전되도록 원형으로 내부에 상기 기체탈취부가 위치하는 기체탈취공간을 구획하는 기체탈취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탈취격벽으로 구획된 상부로 악취기체가 선회류로 회전되면서 상기 처리수공급부에서 공급된 처리수와 접촉에 의해 수막현상으로 흡착되는 흡착선회류공간을 가지고, 상기 흡착선회류공간의 하부에 선회류 통과되는 위치로 상기 회전형분산부가 설치되는 회전형분산공간을 가지며, 상기 회전형분산공간의 하부에 상기 노즐와류믹스부가 설치되는 노즐와류믹스공간을 가지고, 상기 노즐와류믹스공간의 하부에 상기 흡착수처리부가 설치되는 흡착수처리공간을 가지는 탈취몸체; 상기 탈취몸체의 상부의 편심된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탈취되는 악취 성분을 가진 가스가 유입되면 선회류로 회전되도록 편심된 일측에 설치된 탈취유입관; 상기 탈취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흡착선회류공간의 상부 위치에 하부 방향으로 처리수를 분사하여 흡착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흡착분사체; 상기 탈취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수처리공간의 하부에서 상기 탈취몸체의 바깥 둘레를 감싸는 수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흡착분사체에 처리수가 분사되는 상태에서 악취 가스가 선회되면서 상기 탈취몸체의 안쪽면에 접촉에 의한 형성된 수막으로 불순물이 흡착된 상태로 담겨지고, 불순물이 침전된 상태로 오버플로우 형태로 상기 회전형분산공간으로 공급하는 흡착수거조; 및 상기 흡착수거조의 일측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수거조 내의 수위와 온도를 조절하도록 조절공급관을 통해서 조절수를 공급하고, 상기 흡착수거조에 침전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조절배출관이 연결된 수량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탈취몸체의 바깥 둘레에 일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형분산공간의 방사상 위치 중에 일부 선택된 위치에 상기 회전형분산부의 가동 정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에 투명창 형태로 구비된 외부표시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전형분산부는,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선회류 형태로 공급되어 일차적으로 불순물이 제거되어 선회류 형태로 공급되는 위치에 하부의 상기 탈취몸체부의 안쪽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제1 분산외부지지체; 상기 제1 분산외부지지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탈취부의 기체를 탈취하는 바깥 둘레 위치에 상기 제1 분산외부지지체 사이에 공간인 제1 선회류충돌공간을 가지는 링 형태의 제1 분산내부지지체; 상기 제1 분산외부지지체와 상기 제1 분산내부지지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방사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악취가스가 충돌에 의해 분산되면서 통과되는 각도의 판 형태로 구비된 제1 선회류안내충돌판; 상기 제1 분산외부지지체의 하부에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분산외부지지체의 하부에 제1 선회류안내충돌판을 통과하여 충돌에 의해 압축 분산한 후에 확산되는 공간인 확산공간을 가지도록 떨어진 하부 위치에 상기 탈취몸체부의 안쪽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제2 분산외부지지체; 상기 제2 분산외부지지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탈취부의 기체를 탈취하는 바깥 둘레 위치에 상기 제2 분산외부지지체 사이에 공간인 제2 선회류충돌공간을 가지는 링 형태의 제2 분산내부지지체; 및 상기 제2 분산외부지지체와 상기 제2 분산내부지지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방사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악취가스가 충돌에 의해 분산되면서 통과되는 각도의 판 형태로 구비된 제2 선회류안내충돌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와류믹스부는,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형분산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탈취몸체부의 기체가 탈취되는 하부끝에서 상기 탈취몸체부의 안쪽면 방향으로 단면적이 하부 방향을 축소하도록 경사져 상기 회전형분산부에서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충돌한 후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일차충돌이동공간을 가지는 일차충돌격벽; 상기 일차충돌격벽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일차충돌이동공간의 하부끝의 이동 공급되는 부분에 벤츄리 노즐 형태로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가압되어 상기 탈취몸체부의 중심 방향으로 유입되는 벤츄리유입구를 가지는 벤츄리지지격벽; 상기 일차충돌격벽의 하부에 상기 벤츄리지지격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벤츄리유입구에 중심방향으로 떨어진 일측에 위치하여 가압된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충돌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는 제1 와류발생공간을 가지고, 하부에 상기 벤츄리지지격벽과 벤츄리노즐 형태가 되도록 떨어져 와류가 발생된 상태에서 중심으로 배출되는 벤츄리와류배출구를 가지는 제1 와류발생격벽; 상기 벤츄리지지격벽의 하부에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상기 탈취몸체부의 안쪽면에 고정된 상태로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벤츄리유입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하부유통공간을 가지는 하부차단격벽; 및 상기 제1 와류발생격벽의 다른쪽인 상기 탈취몸체부의 중심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로 가로지른 형태로 상부 방향이 한쪽인 상기 탈취몸체부의 안쪽면 방향으로 경사진 격벽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벤츄리와류배출구로 배출된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충돌하면서 와류를 형성하는 제2와류발생공간을 가지며, 상부로 발생된 와류가 상기 격벽경사부를 따라서 상기 기체탈취부의 하부로 공급되는 와류배출구를 가지는 제2 와류발생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체탈취부는,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서 상기 노즐와류믹스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종횡으로 나뉘어진 격자 형태로 구획되고, 구획된 격자별로 사분할된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각도로 상기 노즐와류믹스부를 통과한 악취가스가 각 격자별로 안내되면서 소용돌이 형태로 공급되면 상기 처리수공급부로 연결되어 분사된 처리수로 흡착 정화하도록 구비된 제1 기체탈취부; 상기 제1 기체탈취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 기체탈취부 내에서 분사된 처리수의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도록 오버플로우 형태로 담겨지는 제1 집수체; 상기 제1 집수체의 중앙에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집수체에서 담겨지는 처리수를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배출하도록 구비된 제1 배출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1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종횡으로 나뉘어진 격자 형태로 구획되고, 구획된 격자별로 사분할된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각도로 상기 제1 기체탈취부를 통과한 악취가스가 각 격자별로 안내되면서 소용돌이 형태로 공급되면 상기 처리수공급부로 연결되어 분사된 처리수로 흡착 정화하도록 구비된 제2 기체탈취부; 상기 제2 기체탈취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 기체탈취부 내에서 분사된 처리수의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도록 오버플로우 형태로 담겨지는 제2 집수체; 상기 제2 집수체의 중앙에 상기 제1 배출관을 통과하여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집수체에서 담겨지는 처리수를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배출하도록 구비된 제2 배출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2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수공급부에 연결되어 처리수가 분사된 환경에서 선회류 형태로 회전 흡입하여 내부에서 흡착 처리한 후에 상부 방향에 이단으로 선회류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선회류회전탈취부;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부 내에서 분사된 처리수의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도록 오버플로우 형태로 담겨지는 회전탈취집수체;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부의 중앙에 상기 제2 배출관을 통과하여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탈취집수체에서 담겨지는 처리수를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배출하도록 구비된 회전탈취배출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부를 통과한 악취가스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체디미스트; 및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상기 기체디미스트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디미스트를 통과하여 정화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기체탈취부는, 상기 탈취몸체부의 선회류가 발생되도록 구획된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와류믹스부의 상부에 통과한 악취가스가 공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종횡으로 나뉘어진 사각의 격자 형태로 구획된 제1 다중격자구획체가 내부에 설치된 제1 소용돌이발생몸체; 상기 제1 소용돌이발생몸체의 내부에 복수로 구획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중격자구획체로 사각의 격자 형태로 구획된 공간을 사분할한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각 위치별로 상부 방향으로 각변의 모서리 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하여 중앙에서 사분할된 각 모서리 부분으로 악취가스가 안내되면서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블레이드 형태로 경사진 제1 경사안내충돌판; 및 상기 제1 소용돌이발생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체탈취부 사이에 상기 제1 경사안내충돌판에서 소용돌이 형태로 상승 공급되는 제1 기체탈취공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처리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처리수를 분사하는 제1 탈취분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 기체탈취부는,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1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통과한 악취가스가 공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종횡으로 나뉘어진 사각의 격자 형태로 구획된 제2 다중격자구획체가 내부에 설치된 제2 소용돌이발생몸체; 상기 제2 소용돌이발생몸체의 내부에 복수로 구획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다중격자구획체로 사각의 격자 형태로 구획된 공간을 사분할한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각 위치별로 상부 방향으로 각변의 모서리 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하여 중앙에서 사분할된 각 모서리 부분으로 악취가스가 안내되면서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블레이드 형태로 경사진 제2 경사안내충돌판; 및 상기 제2 소용돌이발생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체탈취부 사이에 상기 제2 경사안내충돌판에서 소용돌이 형태로 상승 공급되는 제2 기체탈취공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처리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처리수를 분사하는 제2 탈취분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부는,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2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공급된 기체가 회전되는 흡착된 입자가 처리수 형태로 상기 회전탈취집수체로 낙하하는 선회류회전탈취공간을 가지는 선회류회전탈취몸체;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몸체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의 위치로 복수 위치에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체탈취부에서 정화된 기체가 흡입 시 한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라운드 형태로 한방향을 향해서 회전흡입공간을 가지는 회전흡입체;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류회전탈취공간과 연통되어 탈취된 가스가 확산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1 확산몸체; 상기 제1 확산몸체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 위치로 복수로 바깥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몸체 내부에서 회전되는 기체가 동일 회전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한방향으로 휘어진 라운드형 날 형태로 구비된 제1 확산블레이드; 상기 제1 확산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류회전탈취공간과 상기 제1 확산몸체와 연통되어 탈취된 가스가 이차로 확산되도록 구비된 제2 확산몸체; 상기 제2 확산몸체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 위치로 복수로 바깥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몸체 내부에서 회전되는 기체가 동일 회전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한방향으로 휘어진 라운드형 날 형태로 구비된 제2 확산블레이드; 및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몸체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류회전탈취공간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판형태로 구비되어 낙하하는 처리수와 접촉되면서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취몸체부의 일측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수의 처리 시에 수위를 조절하도록 공급 및 배출하는 수위조절장치;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탈취부의 흡착 처리수가 공급되도록 개방된 상부 중앙에 삽입되면서 상기 노즐와류믹스부에서 통과한 처리수가 공급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처리공급공간을 가지고, 내부의 공간이 격벽으로 안쪽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상하로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며, 구획된 각각 위치별로 상호 연통되면서 상기 처리수공급부에서 미세기포수, 미세기포산화수, 및 미세기포촉매산화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처리수를 산화 처리하는 처리몸체; 및 상기 처리몸체의 상부에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공급공간의 바깥둘레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노즐와류믹스부에서 배출되는 처리수가 오버플로우 형태로 공급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처리공급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처리몸체는, 상기 처리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몸체의 안쪽 벽에서 중심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상하로 구획하는 미세기포처리공간을 가지고, 하부에는 처리수가 교환되도록 연통되는 통공 형태의 미세기포처리유통공이 형성된 미세기포처리격벽; 및 상기 미세기포처리격벽에서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상하로 나머지 공간을 2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미세기포처리격벽 방향으로 구획된 산화처리공간과, 중심 방향으로 촉매산화처리공간을 각각 가지고, 하부에 상기 산화처리공간과 상기 촉매산화처리공간을 상호 연통하는 관통공 형태의 산화처리유통공이 형성된 산화처리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폐수 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에서 악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미세기포, 산화제, 및 촉매제가 포함된 액체를 분사하면서 복수의 위치에서 접촉에 의해 압축과 확산을 반복하여 불순물을 산화 제거하고, 기체와 액상을 상호 분리한 상태로 상술된 액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정화를 실시함에 따라 탈취 효율이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설치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일부를 생략한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일부를 생략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부분인 회전형분사부에 선회류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 부분인 회전형분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부분인 노즐와류믹스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부분인 기체탈취부의 소용돌이 발생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 부분인 기체탈취부의 소용돌이 발생 원리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는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 부분인 선회류탈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부분의 선회류탈취부의 흡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부분인 선회류탈취부의 분산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설치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일부를 생략한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일부를 생략한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100)는 오폐수의 처리시 발생되는 악취성분을 가지는 기체를 공급받아 흡착효율이 향상되도록 미세기포가 포함된 미세기포수,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 산화제와 산화를 촉진시키는 촉진 산화제가 포함된 처리수를 분사하면서 정화를 실시하고, 공급되는 기체와 처리수의 접촉을 향상시키도록 충돌과 분산 및 와류를 발생한 후 회전하면서 흡입 및 분산을 실시하여 탈취 효율이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런,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100)는 처리수공급부(110), 탈취몸체부(120), 회전형분산부(130), 노즐와류믹스부(140), 기체탈취부(150), 및 흡착수처리부(160)를 포함한다.
처리수공급부(110)는 악취를 포함한 기체에서 악취 성분을 산화 제거하면서 흡착을 촉진시키도록 미세기포, 산화제, 및 촉매제가 포함된 처리수를 발생시켜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처리수공급부(110)는 미세기포수발생장치(111), 미세기포수공급관(112), 미세기포산화수발생장치(113), 미세기포산화수공급관(114), 미세기포촉매산화수발생장치(115), 및 미세기포촉매산화수공급관(116)을 포함한다.
미세기포수발생장치(111)는 미세기포가 포함되는 처리수를 발생시킨다. 미세기포수는 마이크로와 나노 형태의 공기 입자를 미세기포 형태로 물에 포함시켜 오염 기체에 분사 시에 오염물질이 미세기포와 흡착되면서 제거하는 제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미세기포수발생장치(111)는 통상적인 미세기포수가 발생하는 장치가 모두 포함될 수 있음에 따라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미세기포수공급관(112)은 미세기포수발생장치(111)와 와류발생부(130), 기체탈취부(140), 및 흡착수처리부(150)에 각각 연결되어 미세기포수 형태의 처리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미세기포산화수발생장치(113)는 미세기포에 산화제가 포함된 처리수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미세기포산화수는 상술된 미세기포수에 산화제가 포함되어 악취 성분을 산화에 의해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미세기포산화수공급관(114)은 미세기포산화수발생장치(113)와 와류발생부(130), 기체탈취부(140), 및 흡착수처리부(150)에 각각 연결되어 미세기포산화수 형태의 처리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미세기포촉매산화수발생장치(115)는 미세기포에 산화제와 촉매제가 포함된 처리수를 발생시킨다. 미세기포촉매산화수는 상술된 미세기포수에 산화제와 촉매제가 포함되어 악취 성분을 촉매제로 산화를 촉진하면서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미세기포촉매순환수공급관(116)은 미세기포촉매산화수발생장치(115)와 와류발생부(130), 기체탈취부(140), 및 흡착수처리부(150)에 각각 연결되어 미세기포수 형태의 처리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탈취몸체부(120)는 미세기포산화수공급관(114)과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기체가 유입되면 중심을 향해서 회전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환되어 처리수가 분사되면서 처리수와 기체의 악취 성분이 흡착 처리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탈취몸체부(120)는 탈취몸체(121), 탈취유입관(122), 흡착분사체(123), 흡착수거조(124), 및 수량조절장치(125), 및 외부표시창(128)을 포함한다.
탈취몸체(121)는 미세기포산화수공급관(114)과 연결되는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통형의 수조 형태의 중앙에 공급되는 악취 가스가 선회류 회전되도록 원형으로 내부에 기체탈취부(150)가 위치하는 기체탈취공간(121b)을 구획하는 기체탈취격벽(121a)을 구비한다.
또한, 탈취몸체(121)의 내부에 기체탈취격벽(121a)으로 구획된 상부로 악취기체가 선회류로 회전되면서 미세기포산화수공급관(114)에서 공급된 미세기포산화수와 접촉에 의해 수막현상으로 흡착되는 흡착선회류공간(121c)을 가지고, 흡착선회류공간(121c)의 하부에 선회류 통과되는 위치로 회전형분산부(130)가 설치되는 회전형분산공간(121d)을 가지며, 회전형분산공간(121d)의 하부에 노즐와류믹스부(140)가 설치되는 노즐와류믹스공간(121e)을 가지고, 노즐와류믹스공간(121e)의 하부에 흡착수처리부(160)가 설치되는 흡착수처리공간(121f)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탈취유입관(122)은 탈취몸체(121)의 상부의 편심된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탈취되는 악취 성분을 가진 가스가 유입되면 선회류로 회전되도록 편심된 일측에 설치된다.
흡착분사체(123)는 탈취몸체(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세기포산화수공급관(114)과 연결되어 흡착선회류공간(121c)의 상부 위치에 하부 방향으로 처리수를 분사하여 흡착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흡착수거조(124)는 탈취몸체(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수처리공간의 하부에서 탈취몸체(121)의 바깥 둘레를 감싸는 수조 형태로 구비되어 흡착분사체(123)에 처리수가 분사되는 상태에서 악취 가스가 선회되면서 탈취몸체(121)의 안쪽면에 접촉에 의한 형성된 수막으로 불순물이 흡착된 상태로 담겨지고, 불순물이 침전된 상태로 오버플로우 형태로 회전형분산공간(121d)으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수량조절장치(125)는 흡착수거조(124)의 일측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수거조(124) 내의 수위와 온도를 조절하도록 조절공급관(126)을 통해서 조절수를 공급하고, 흡착수거조(124)에 침전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조절배출관(127)이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외부표시창(128)은 탈취몸체(121)의 바깥 둘레에 일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형분산공간(121d)의 방사상 위치 중에 일부 선택된 위치에 회전형분산부(130)의 가동 정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에 투명창 형태로 구비된다.
도 4는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부분인 회전형분사부에 선회류가 공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 부분인 회전형분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회전형분산부(130)는 탈취몸체부(12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수가 흡착되어 선회하는 선회류 형태의 기체가 통과하면서 충돌에 의해 압축 후 분산되어 불순물의 흡착효율이 향상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회전형분산부(130)는 제1 분산외부지지체(131), 제1 분산내부지지체(132), 제1 선회류안내충돌판(133), 제2 분산외부지지체(135), 제2 분산내부지지체(136), 및 제2 선회류안내충돌판(137)을 포함한다.
제1 분산외부지지체(131)는 회전형분산공간(121d)의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선회류 형태로 공급되어 일차적으로 불순물이 제거되어 선회류 형태로 공급되는 위치에 하부의 탈취몸체(121)의 안쪽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구비된다.
제1 분산내부지지체(132)는 제1 분산외부지지체(131)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기체탈취격벽(121a)의 상부 바깥 둘레 위치에 제1 분산외부지지체(131) 사이에 공간인 제1 선회류충돌공간(131a)을 가지는 링 형태로 구비된다.
제1 선회류안내충돌판(133)은 제1 분산외부지지체(131)와 제1 분산내부지지체(13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방사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악취가스가 충돌에 의해 분산되면서 통과되는 각도의 판 형태로 구비된다.
제2 분산외부지지체(135)는 제1 분산외부지지체(131)의 하부에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분산외부지지체(131)의 하부에 제1 선회류안내충돌판(133)을 통과하여 충돌에 의해 압축 분산한 후에 확산되는 공간인 확산공간(134)을 가지도록 떨어진 하부 위치에 탈취몸체(121)의 안쪽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구비된다.
제2 분산내부지지체(136)는 제2 분산외부지지체(135)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탈취격벽의 바깥 둘레 위치에 제2 분산외부지지체(135) 사이에 공간인 제2 선회류충돌공간(136a)을 가지는 링 형태로 구비된다.
제2 선회류안내충돌판(137)은 제2 분산외부지지체(135)와 제2 분산내부지지체(136)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방사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악취가스가 충돌에 의해 분산되면서 통과되는 각도의 판 형태로 구비된다.
도 6은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부분인 노즐와류믹스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노즐와류믹스부(140)는 탈취몸체(121)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형분산부(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격벽을 벤츄리 노즐 형태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충돌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노즐와류믹스부(140)는 일차충돌격벽(141), 벤츄리지지격벽(142), 제1 와류발생격벽(143), 하부차단격벽(144), 및 제2 와류발생격벽(145)을 포함한다.
일차충돌격벽(141)은 노즐와류믹스공간(121e)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선회류안내충돌판(137)의 하부에 위치하여 회전형분산공간(121d)의 하부 끝에서 노즐와류믹스공간(121e)의 상부 위치에 탈취몸체의 안쪽면 방향으로 단면적이 하부 방향을 축소하도록 경사져 제2 선회류안내충돌판(137)에서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충돌한 후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일차충돌이동공간(141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벤츄리지지격벽(142)은 일차충돌격벽(14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차충돌이동공간(141a)의 하부끝의 이동 공급되는 부분에 벤츄리 노즐 형태로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가압되어 탈취몸체(121)의 중심 방향으로 유입되는 벤츄리유입구(142a)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제1 와류발생격벽(143)은 일차충돌격벽(141)의 하부에 벤츄리지지격벽(14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벤츄리유입구(142a)에 중심방향으로 떨어진 일측에 위치하여 가압된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충돌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는 제1 와류발생공간(143a)을 가지고, 하부에 벤츄리지지격벽(142)과 벤츄리노즐 형태가 되도록 떨어져 와류가 발생된 상태에서 중심으로 배출되는 벤츄리와류배출구(143b)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하부차단격벽(144)은 벤츄리지지격벽(142)의 하부에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탈취몸체(121)의 안쪽면에 고정된 상태로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벤츄리유입구(142a)를 통해서 공급되는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하부유통공간(144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제2 와류발생격벽(145)은 제1 와류발생격벽(143)의 다른쪽인 탈취몸체(121)의 중심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로 가로지른 형태로 상부 방향이 한쪽인 탈취몸체(121)의 안쪽면 방향으로 경사진 격벽경사부(145a)를 가지고, 벤츄리와류배출구(143b)로 배출된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충돌하면서 와류를 형성하는 제2와류발생공간(145b)을 가지며, 상부로 발생된 와류가 격벽경사부(145a)를 따라서 기체탈취부(150)의 하부로 공급되는 와류배출구(145c)를 가지도록 구비된다.
기체탈취부(150)는 탈취몸체부(120)의 내부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노즐와류믹스부(140)를 통과한 기체가 복수의 격자 위치에서 안내되면서 소용돌이 형태로 통과하여 선회류 형태로 회전 확산하면서 처리수를 분사하면서 흡착을 실시하여 정화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기체탈취부(150)는 제1 기체탈취부(151), 제1 집수체(152), 제1 배출관(152a), 제2 기체탈취부(153), 제2 집수체(154), 제2 배출관(154a), 선회류회전탈취부(155), 회전탈취집수체(156), 회전탈취배출관(156a), 기체디미스트(157), 및 배출덕트(158)를 포함한다.
도 7은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부분인 기체탈취부의 소용돌이 발생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 부분인 기체탈취부의 소용돌이 발생 원리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제1 기체탈취부(151)는 탈취몸체(121)의 내부 중앙에 위치한 기체탈취공간(121b)의 하부인 노즐와류믹스부(14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종횡으로 나뉘어진 격자 형태로 구획되고, 구획된 격자별로 사분할된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각도로 제2 와류발생격벽(145)을 통과한 악취가스가 각 격자별로 안내되면서 소용돌이 형태로 공급되면 미세기포촉매산화수공급관(116)으로 연결되어 분사된 미세기포촉매산화수로 흡착 정화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1 기체탈취부(151)는 제1 소용돌이발생몸체(151a), 제1 경사안내충돌판(151c), 및 제1 탈취분사체(151e)를 포함한다.
제1 소용돌이발생몸체(151a)는 탈취몸체(121)의 내부에 선회류가 발생되도록 구획된 기체탈취격벽(121a)의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와류발생격벽(145)을 통과한 악취가스가 공급되는 상부 위치에 설치되어 종횡으로 나뉘어진 사각의 격자 형태로 구획된 제1 다중격자구획체(151b)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제1 경사안내충돌판(151c)은 제1 소용돌이발생몸체(151a)의 내부에 복수로 구획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제1 다중격자구획체(151b)로 사각의 격자 형태로 구획된 공간을 사분할한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각 위치별로 상부 방향으로 각변의 모서리 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하여 중앙에서 사분할된 각 모서리 부분으로 악취가스가 안내되면서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블레이드 형태로 경사지도록 구비된다.
제1 탈취분사체(151e)는 제1 소용돌이발생몸체(15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기체탈취부(153) 사이에 상기 제1 경사안내충돌판(151c)에서 소용돌이 형태로 상승 공급되는 제1 기체탈취공간(121b)의 상부에 위치하여 미세기포촉매산화수공급관(116)에 연결되어 미세기포촉매산화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제1 집수체(152)는 제1 기체탈취공간(121b)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조 형태로 구비되어 제1 기체탈취공간(121b) 내에서 분사된 처리수의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도록 오버플로우 형태로 담겨지도록 구비된다.
제1 배출관(152a)은 제1 집수체(152)의 중앙에 흡착수처리부(160)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집수체(152)에서 담겨지는 처리수를 흡착수처리부(160)에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제2 기체탈취부(153)는 기체탈취공간(121b)의 내부 위치로 제1 소용돌이발생몸체(15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종횡으로 나뉘어진 격자 형태로 구획되고, 구획된 격자별로 사분할된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각도로 제1 경사안내충돌판(151c)을 통과한 악취가스가 각 격자별로 안내되면서 소용돌이 형태로 공급되면 미세기포촉매산화수공급관(116)에 연결되어 분사된 미세기포촉매산화수를 흡착 정화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2 기체탈취부(153)는 제2 소용돌이발생몸체(153a), 제2 경사안내충돌판(153c), 및 제2 탈취분사체(153e)를 포함한다.
제2 소용돌이발생몸체(153a)는 탈취몸체(121)의 내부 중앙에 제1 탈취분사체(151e)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경사안내충돌판(151c)의 통과한 상부에 악취가스가 공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종횡으로 나뉘어진 사각의 격자 형태로 구획된 제2 다중격자구획체(153b)가 내부에 설치된다.
제2 경사안내충돌판(153c)은 제2 소용돌이발생몸체(153a)의 내부에 복수로 구획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다중격자구획체(153b)로 사각의 격자 형태로 구획된 공간을 사분할한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각 위치별로 상부 방향으로 각변의 모서리 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하여 중앙에서 사분할된 각 모서리 부분으로 악취가스가 안내되면서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블레이드 형태로 경사지도록 구비된다.
제2 탈취분사체(153e)는 제2 소용돌이발생몸체(153a)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기체탈취부(153) 사이에 상기 제2 경사안내충돌판(153c)에서 소용돌이 형태로 상승 공급되는 제2 기체탈취공간(121b)의 상부에 위치하여 미세기포촉매산화수공급관(116)에 연결되어 분사된 미세기포촉매산화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제2 집수체(154)는 제2 기체탈취공간(121b)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 기체탈취공간(121b) 내에서 분사된 처리수의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도록 오버플로우 형태로 담겨지도록 구비된다.
제2 배출관(154a)은 제2 집수체(154)의 중앙에 제1 배출관(152a)을 통과하여 흡착수처리부(160)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집수체(154)에서 담겨지는 미세기포촉매산화수를 흡착수처리부(160)에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도 9는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 부분인 선회류탈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부분의 선회류탈취부의 흡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11은 도 1의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에 주요부분인 선회류탈취부의 분산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선회류회전탈취부(155)는 탈취몸체(121)의 내부 중앙에 제2 탈취분사체(153e)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세기포촉매산화수공급관(116)에 연결되어 미세기포촉매산화수가 분사된 환경에서 선회류 형태로 회전 흡입하여 내부에서 흡착 처리한 후에 상부 방향에 이단으로 선회류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선회류회전탈취부(155)는 선회류회전탈취몸체(155a), 회전흡입체(155c), 제1 확산몸체(155e), 제1 확산블레이드(155f), 제2 확산몸체(155g), 제2 확산블레이드(155h), 및 확산판(155i)을 포함한다.
선회류회전탈취몸체(155a)는 탈취몸체(121)의 내부 중앙에 제2 기체탈취부(153)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기체탈취부(153)의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공급된 기체가 회전되는 흡착된 입자가 처리수 형태로 회전탈취집수체(156)로 낙하하는 선회류회전탈취공간(155b)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회전흡입체(155c)는 선회류회전탈취몸체(155a)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의 위치로 복수 위치에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기체탈취부(153)에서 정화된 기체가 흡입 시 한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라운드 형태로 한방향을 향해서 회전흡입공간(157d)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제1 확산몸체(155e)는 선회류회전탈취몸체(155a)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기체탈취부(153)의 상부에 위치하여 선회류회전탈취공간(155b)과 연통되어 탈취된 가스가 확산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제1 확산블레이드(155f)는 제1 확산몸체(155e)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 위치로 복수로 바깥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고, 선회류회전탈취몸체(155a) 내부에서 회전되는 기체가 동일 회전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한방향으로 휘어진 라운드형 날 형태로 구비된다.
제2 확산몸체(155g)는 제1 확산몸체(155e)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선회류회전탈취공간(155b)과 제1 확산몸체(155e)와 연통되어 탈취된 가스가 이차로 확산되도록 구비된다.
제2 확산블레이드(155h)는 제2 확산몸체(155g)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 위치로 복수로 바깥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고, 선회류회전탈취몸체(155a) 내부에서 회전되는 기체가 동일 회전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한방향으로 휘어진 라운드형 날 형태로 구비된다.
이렇게, 제1 확산블레이드(155f)와 제2 확산블레이드(155h)를 회전하여 통과한 기체는 기체디미스트(157)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확산판(155i)은 선회류회전탈취몸체(155a)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선회류회전탈취공간(155b)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판형태로 구비되어 낙하하는 처리수와 접촉되면서 확산시키도록 구비된다.
회전탈취집수체(156)는 선회류회전탈취부(155)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조 형태로 구비되어 선회류회전탈취부(155) 내에서 분사된 처리수의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도록 오버플로우 형태로 담겨지도록 구비된다.
회전탈취배출관(156a)은 선회류회전탈취부(155)의 중앙에 제2 배출관(154a)을 통과하여 흡착수처리부(160)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탈취집수체(156)에서 담겨지는 처리수를 흡착수처리부(160)에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기체디미스트(157)는 탈취몸체(121)의 내부 중앙에 선회류회전탈취부(155)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선회류회전탈취부(155)를 통과한 악취가스의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구비된다.
배출덕트(158)는 탈취몸체(121)의 내부 중앙에 기체디미스트(157)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기체디미스트(157)를 통과하여 정화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흡착수처리부(160)는 탈취몸체부(120)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노즐와류믹스부(140)와 기체탈취부(150)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안쪽면에서 중앙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구역별로 상기 처리수공급부(110)에서 선택적으로 처리수를 공급하여 불순물을 미세기포에 부상 분리 처리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흡착수처리부(160)는 수위조절장치(161), 처리몸체(162), 및 처리공급격벽(164)을 포함한다.
수위조절장치(161)는 탈취몸체(121)의 일측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수의 처리 시에 수위를 조절하도록 공급 및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처리몸체(162)는 탈취몸체(121)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기체탈취부(150)의 흡착 처리수가 공급되도록 개방된 상부 중앙에 삽입되면서 노즐와류믹스부(140)에서 통과한 처리수가 공급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처리공급공간(163)을 가지고, 내부의 공간이 격벽으로 안쪽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상하로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며, 구획된 각각 위치별로 상호 연통되면서 처리수공급부(110)에서 미세기포수, 미세기포산화수, 및 미세기포촉매산화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처리수를 산화 처리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처리몸체(162)는 미세기포처리격벽(162a), 및 산화처리격벽(162d)을 포함한다.
미세기포처리격벽(162a)은 처리몸체(162)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처리몸체(162)의 안쪽 벽에서 중심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상하로 구획하는 미세기포처리공간(162b)을 가지고, 하부에는 처리수가 교환되도록 연통되는 통공 형태의 미세기포처리유통공(162c)이 형성된다.
산화처리격벽(162d)은 미세기포처리격벽(162a)에서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상하로 나머지 공간을 2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미세기포처리격벽 방향으로 구획된 산화처리공간(162e)과, 중심 방향으로 촉매산화처리공간(162f)을 각각 가지고, 하부에 산화처리공간(162e)과 촉매산화처리공간(162f)을 상호 연통하는 관통공 형태의 산화처리유통공(162g)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처리공급격벽(164)은 처리몸체(162)의 상부에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처리공급공간(163)의 바깥둘레에 상부로 돌출되어 노즐와류믹스부(140)에서 배출되는 처리수가 오버플로우 형태로 공급되어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탈취장치 110 : 처리수공급부
111 : 미세기포수발생장치 112 : 미세기포공급관
113 : 미세기포산화수발생장치 114 : 미세기포산화수공급관
115 : 미세기포촉매산화수발생장치
116 : 미세기포촉매산화수공급관
120 : 탈취몸체부 121 : 탈취몸체
121a : 기체탈취격벽 121b : 기체탈취공간
121c : 흡착선회류공간 121d : 회전형분산공간
121e : 노즐와류믹스공간 121f : 흡착수처리공간
122 : 탈취유입관 123 : 흡착분사체
124 : 흡착수거조 125 : 수량조절장치
126 : 조절공급관 127 : 조절배출관
128 : 외부표시창 130 : 회전형분산부
131 : 제1 분산외부지지체 132 : 제1 분산내부지지체
132a : 제1 선회류충돌공간 133 : 제1 선회류안내충돌판
134 : 확산공간 135 : 제2 분산외부지지체
136 : 제2 분산내부지지체 136a : 제2 선회류충돌공간
137 : 제2 선회류안내충돌판 140 : 노즐와류믹스부
141 : 일차충돌격벽 141a : 일차충돌이동공간
142 : 벤츄리지지격벽 142a : 벤츄리유입구
143 : 제1 와류발생격벽 143a : 제1 와류발생공간
143b : 벤츄리와류배출구 144 : 하부차단격벽
144a : 하부유통공간 145 : 제2 와류발생격벽
145a : 격벽경사부 145b : 제2 와류발생공간
145c : 와류배출구 150 : 기체탈취부
151 : 제1 기체탈취부 151a: 제1 소용돌이발생몸체
151b : 제1 다중격자구획체 151c : 제1 경사안내충돌판
151d : 제1 기체탈취공간 151e : 제1 탈취분사체
152 : 제1 집수체 152a : 제1 배출관
153 : 제2 기체탈취부 153a : 제2 소용돌이발생몸체
153b : 제2 다중격자구획체 153c : 제2 경사안내충돌판
153d : 제2 기체탈취공간 153e : 제2 탈취분사체
154 : 제2 집수체 154a : 제2 배출관
155 : 선회류회전탈취부 155a : 선회류회전탈취몸체
155b : 선회류회전탈취공간 155c : 회전흡입체
155d : 회전흡입공간 155e : 제1 확산몸체
155f : 제1 확산블레이드 155g : 제2 확산몸체
155h : 제2 확산블레이드 155i : 확산판
156 : 회전탈취집수체 156a : 회전탈취배수관
157 : 기체디미스트 158 : 배출덕트
160 : 흡착수처리부 161 : 수위조절장치
162 : 처리몸체 162a : 미세기포처리격벽
162b : 미세기포처리공간 162c : 미세기포처리유통공
162d : 산화처리격벽 162e : 산화처리공간
162f : 촉매산화처리공간 162g : 산회처리유통공
163 : 처리공급공간 164 : 처리공급격벽

Claims (12)

  1. 악취성분을 제거하도록 미세기포, 산화제, 및 촉매제가 포함된 처리수를 발생시켜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처리수공급부;
    상기 처리수공급부의 일측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기체가 유입되면 중심을 향해서 회전되는 선회류 형태로 변환되어 처리수가 분사되면서 처리수와 기체의 악취 성분이 흡착 처리되는 탈취몸체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수가 흡착되어 선회하는 선회류 형태의 기체가 통과하면서 충돌에 의해 압축 후 분산되어 불순물의 흡착효율이 향상되는 회전형분산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형분산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복수의 격벽을 벤츄리 노즐 형태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충돌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도록 노즐와류믹스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서 상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노즐와류믹스부를 통과한 기체가 복수의 격자 위치에서 안내되면서 소용돌이 형태로 통과하여 선회류 형태로 회전 확산하면서 처리수를 분사하면서 흡착을 실시하여 정화 배출하는 기체탈취부; 및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와류믹스부와 상기 기체탈취부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공급받아 안쪽면에서 중앙 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구역별로 상기 처리수공급부에서 선택적으로 처리수를 공급하여 불순물을 미세기포에 부상 분리 처리하는 흡착수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탈취몸체부는,
    상기 처리수공급부와 연결되는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통형의 수조 형태의 중앙에 공급되는 악취 가스가 선회류 회전되도록 원형으로 내부에 상기 기체탈취부가 위치하는 기체탈취공간을 구획하는 기체탈취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기체탈취격벽으로 구획된 상부로 악취기체가 선회류로 회전되면서 상기 처리수공급부에서 공급된 처리수와 접촉에 의해 수막현상으로 흡착되는 흡착선회류공간을 가지고, 상기 흡착선회류공간의 하부에 선회류 통과되는 위치로 상기 회전형분산부가 설치되는 회전형분산공간을 가지며, 상기 회전형분산공간의 하부에 상기 노즐와류믹스부가 설치되는 노즐와류믹스공간을 가지고, 상기 노즐와류믹스공간의 하부에 상기 흡착수처리부가 설치되는 흡착수처리공간을 가지는 탈취몸체;
    상기 탈취몸체의 상부의 편심된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탈취되는 악취 성분을 가진 가스가 유입되면 선회류로 회전되도록 편심된 일측에 설치된 탈취유입관;
    상기 탈취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상기 흡착선회류공간의 상부 위치에 하부 방향으로 처리수를 분사하여 흡착에 의해 불순물을 제거하는 흡착분사체;
    상기 탈취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수처리공간의 하부에서 상기 탈취몸체의 바깥 둘레를 감싸는 수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흡착분사체에 처리수가 분사되는 상태에서 악취 가스가 선회되면서 상기 탈취몸체의 안쪽면에 접촉에 의한 형성된 수막으로 불순물이 흡착된 상태로 담겨지고, 불순물이 침전된 상태로 오버플로우 형태로 상기 회전형분산공간으로 공급하는 흡착수거조; 및
    상기 흡착수거조의 일측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수거조 내의 수위와 온도를 조절하도록 조절공급관을 통해서 조절수를 공급하고, 상기 흡착수거조에 침전된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조절배출관이 연결된 수량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공급부는,
    미세기포가 포함되는 처리수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수발생장치;
    상기 미세기포수발생장치와 상기 탈취몸체부의 유입부분과, 상기 기체탈취부, 및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각각 연결되어 미세기포수 형태의 처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수공급관;
    미세기포에 산화제가 포함된 처리수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산화수발생장치;
    상기 미세기포산화수발생장치와 상기 탈취몸체부의 유입부분과, 상기 기체탈취부, 및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각각 연결되어 미세기포수 형태의 처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산화수공급관;
    미세기포에 산화제와 촉매제가 포함된 처리수를 발생시키는 미세기포촉매산화수발생장치; 및
    상기 미세기포촉매산화수발생장치와 상기 탈취몸체부의 유입부분과, 상기 기체탈취부, 및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각각 연결되어 미세기포수 형태의 처리수를 공급하는 미세기포촉매산화수공급관;을 포함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몸체의 바깥 둘레에 일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형분산공간의 방사상 위치 중에 일부 선택된 위치에 상기 회전형분산부의 가동 정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에 투명창 형태로 구비된 외부표시창;을 더 포함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형분산부는,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선회류 형태로 공급되어 일차적으로 불순물이 제거되어 선회류 형태로 공급되는 위치에 하부의 상기 탈취몸체부의 안쪽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제1 분산외부지지체;
    상기 제1 분산외부지지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탈취부의 기체를 탈취하는 바깥 둘레 위치에 상기 제1 분산외부지지체 사이에 공간인 제1 선회류충돌공간을 가지는 링 형태의 제1 분산내부지지체;
    상기 제1 분산외부지지체와 상기 제1 분산내부지지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방사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악취가스가 충돌에 의해 분산되면서 통과되는 각도의 판 형태로 구비된 제1 선회류안내충돌판;
    상기 제1 분산외부지지체의 하부에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분산외부지지체의 하부에 제1 선회류안내충돌판을 통과하여 충돌에 의해 압축 분산한 후에 확산되는 공간인 확산공간을 가지도록 떨어진 하부 위치에 상기 탈취몸체부의 안쪽 둘레를 감싸는 링 형태로 구비되어 있는 제2 분산외부지지체;
    상기 제2 분산외부지지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탈취부의 기체를 탈취하는 바깥 둘레 위치에 상기 제2 분산외부지지체 사이에 공간인 제2 선회류충돌공간을 가지는 링 형태의 제2 분산내부지지체; 및
    상기 제2 분산외부지지체와 상기 제2 분산내부지지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방사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되는 악취가스가 충돌에 의해 분산되면서 통과되는 각도의 판 형태로 구비된 제2 선회류안내충돌판;을 포함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와류믹스부는,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형분산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탈취몸체부의 기체가 탈취되는 하부끝에서 상기 탈취몸체부의 안쪽면 방향으로 단면적이 하부 방향을 축소하도록 경사져 상기 회전형분산부에서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충돌한 후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일차충돌이동공간을 가지는 일차충돌격벽;
    상기 일차충돌격벽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일차충돌이동공간의 하부끝의 이동 공급되는 부분에 벤츄리 노즐 형태로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가압되어 상기 탈취몸체부의 중심 방향으로 유입되는 벤츄리유입구를 가지는 벤츄리지지격벽;
    상기 일차충돌격벽의 하부에 상기 벤츄리지지격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벤츄리유입구에 중심방향으로 떨어진 일측에 위치하여 가압된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충돌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는 제1 와류발생공간을 가지고, 하부에 상기 벤츄리지지격벽과 벤츄리노즐 형태가 되도록 떨어져 와류가 발생된 상태에서 중심으로 배출되는 벤츄리와류배출구를 가지는 제1 와류발생격벽;
    상기 벤츄리지지격벽의 하부에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한쪽 끝이 상기 탈취몸체부의 안쪽면에 고정된 상태로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벤츄리유입구를 통해서 공급되는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하부유통공간을 가지는 하부차단격벽; 및
    상기 제1 와류발생격벽의 다른쪽인 상기 탈취몸체부의 중심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로 가로지른 형태로 상부 방향이 한쪽인 상기 탈취몸체부의 안쪽면 방향으로 경사진 격벽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벤츄리와류배출구로 배출된 악취기체와 흡착처리수가 충돌하면서 와류를 형성하는 제2와류발생공간을 가지며, 상부로 발생된 와류가 상기 격벽경사부를 따라서 상기 기체탈취부의 하부로 공급되는 와류배출구를 가지는 제2 와류발생격벽;을 포함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탈취부는,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서 상기 노즐와류믹스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종횡으로 나뉘어진 격자 형태로 구획되고, 구획된 격자별로 사분할된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각도로 상기 노즐와류믹스부를 통과한 악취가스가 각 격자별로 안내되면서 소용돌이 형태로 공급되면 상기 처리수공급부로 연결되어 분사된 처리수로 흡착 정화하도록 구비된 제1 기체탈취부;
    상기 제1 기체탈취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1 기체탈취부 내에서 분사된 처리수의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도록 오버플로우 형태로 담겨지는 제1 집수체;
    상기 제1 집수체의 중앙에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집수체에서 담겨지는 처리수를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배출하도록 구비된 제1 배출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1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종횡으로 나뉘어진 격자 형태로 구획되고, 구획된 격자별로 사분할된 중심을 기준으로 각각 다른 각도로 상기 제1 기체탈취부를 통과한 악취가스가 각 격자별로 안내되면서 소용돌이 형태로 공급되면 상기 처리수공급부로 연결되어 분사된 처리수로 흡착 정화하도록 구비된 제2 기체탈취부;
    상기 제2 기체탈취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2 기체탈취부 내에서 분사된 처리수의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도록 오버플로우 형태로 담겨지는 제2 집수체;
    상기 제2 집수체의 중앙에 상기 제1 배출관을 통과하여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집수체에서 담겨지는 처리수를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배출하도록 구비된 제2 배출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2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수공급부에 연결되어 처리수가 분사된 환경에서 선회류 형태로 회전 흡입하여 내부에서 흡착 처리한 후에 상부 방향에 이단으로 선회류 회전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선회류회전탈취부;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부의 하부 중앙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수조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부 내에서 분사된 처리수의 기설정된 수위를 유지하도록 오버플로우 형태로 담겨지는 회전탈취집수체;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부의 중앙에 상기 제2 배출관을 통과하여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탈취집수체에서 담겨지는 처리수를 상기 흡착수처리부에 배출하도록 구비된 회전탈취배출관;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부를 통과한 악취가스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체디미스트; 및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상기 기체디미스트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디미스트를 통과하여 정화한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덕트;를 포함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체탈취부는,
    상기 탈취몸체부의 선회류가 발생되도록 구획된 중앙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노즐와류믹스부의 상부에 통과한 악취가스가 공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종횡으로 나뉘어진 사각의 격자 형태로 구획된 제1 다중격자구획체가 내부에 설치된 제1 소용돌이발생몸체;
    상기 제1 소용돌이발생몸체의 내부에 복수로 구획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다중격자구획체로 사각의 격자 형태로 구획된 공간을 사분할한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각 위치별로 상부 방향으로 각변의 모서리 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하여 중앙에서 사분할된 각 모서리 부분으로 악취가스가 안내되면서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블레이드 형태로 경사진 제1 경사안내충돌판; 및
    상기 제1 소용돌이발생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체탈취부 사이에 상기 제1 경사안내충돌판에서 소용돌이 형태로 상승 공급되는 제1 기체탈취공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처리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처리수를 분사하는 제1 탈취분사체;를 포함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체탈취부는,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1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통과한 악취가스가 공급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종횡으로 나뉘어진 사각의 격자 형태로 구획된 제2 다중격자구획체가 내부에 설치된 제2 소용돌이발생몸체;
    상기 제2 소용돌이발생몸체의 내부에 복수로 구획된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다중격자구획체로 사각의 격자 형태로 구획된 공간을 사분할한 중심에서 바깥 방향으로 각 위치별로 상부 방향으로 각변의 모서리 방향으로 이동을 안내하여 중앙에서 사분할된 각 모서리 부분으로 악취가스가 안내되면서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블레이드 형태로 경사진 제2 경사안내충돌판; 및
    상기 제2 소용돌이발생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체탈취부 사이에 상기 제2 경사안내충돌판에서 소용돌이 형태로 상승 공급되는 제2 기체탈취공간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처리수공급부와 연결되어 처리수를 분사하는 제2 탈취분사체;를 포함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부는,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부 중앙에 상기 제2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공급된 기체가 회전되는 흡착된 입자가 처리수 형태로 상기 회전탈취집수체로 낙하하는 선회류회전탈취공간을 가지는 선회류회전탈취몸체;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몸체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의 위치로 복수 위치에서 돌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체탈취부에서 정화된 기체가 흡입 시 한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라운드 형태로 한방향을 향해서 회전흡입공간을 가지는 회전흡입체;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기체탈취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선회류회전탈취공간과 연통되어 탈취된 가스가 확산 배출되도록 구비된 제1 확산몸체;
    상기 제1 확산몸체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 위치로 복수로 바깥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몸체 내부에서 회전되는 기체가 동일 회전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한방향으로 휘어진 라운드형 날 형태로 구비된 제1 확산블레이드;
    상기 제1 확산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류회전탈취공간과 상기 제1 확산몸체와 연통되어 탈취된 가스가 이차로 확산되도록 구비된 제2 확산몸체;
    상기 제2 확산몸체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 위치로 복수로 바깥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몸체 내부에서 회전되는 기체가 동일 회전방향으로 확산되도록 한방향으로 휘어진 라운드형 날 형태로 구비된 제2 확산블레이드; 및
    상기 선회류회전탈취몸체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회류회전탈취공간의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판형태로 구비되어 낙하하는 처리수와 접촉되면서 확산시키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몸체부의 일측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수의 처리 시에 수위를 조절하도록 공급 및 배출하는 수위조절장치;
    상기 탈취몸체부의 내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체탈취부의 흡착 처리수가 공급되도록 개방된 상부 중앙에 삽입되면서 상기 노즐와류믹스부에서 통과한 처리수가 공급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처리공급공간을 가지고, 내부의 공간이 격벽으로 안쪽면에서 중심방향으로 상하로 복수의 구역으로 구획하며, 구획된 각각 위치별로 상호 연통되면서 상기 처리수공급부에서 미세기포수, 미세기포산화수, 및 미세기포촉매산화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처리수를 산화 처리하는 처리몸체; 및
    상기 처리몸체의 상부에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공급공간의 바깥둘레에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노즐와류믹스부에서 배출되는 처리수가 오버플로우 형태로 공급되어 수위를 조절하는 처리공급격벽;을 포함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몸체는,
    상기 처리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처리몸체의 안쪽 벽에서 중심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상하로 구획하는 미세기포처리공간을 가지고, 하부에는 처리수가 교환되도록 연통되는 통공 형태의 미세기포처리유통공이 형성된 미세기포처리격벽; 및
    상기 미세기포처리격벽에서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져 상하로 나머지 공간을 2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격벽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미세기포처리격벽 방향으로 구획된 산화처리공간과, 중심 방향으로 촉매산화처리공간을 각각 가지고, 하부에 상기 산화처리공간과 상기 촉매산화처리공간을 상호 연통하는 관통공 형태의 산화처리유통공이 형성된 산화처리격벽;을 포함하는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KR1020210065618A 2021-05-21 2021-05-21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KR102530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618A KR102530571B1 (ko) 2021-05-21 2021-05-21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618A KR102530571B1 (ko) 2021-05-21 2021-05-21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294A KR20220158294A (ko) 2022-12-01
KR102530571B1 true KR102530571B1 (ko) 2023-05-10

Family

ID=8444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618A KR102530571B1 (ko) 2021-05-21 2021-05-21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83572B (zh) * 2024-01-31 2024-04-05 国家能源集团煤焦化有限责任公司 一种焦炉煤气水洗喷淋除尘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49B1 (ko) 2007-08-02 2008-02-15 주식회사두합크린텍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탈취ㆍ공기살균 장치 및 그방법
KR101687388B1 (ko) 2016-02-18 2016-12-16 정재억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유체처리설비
KR101997185B1 (ko) 2019-01-28 2019-07-08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촉매산화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약액 세정 탈취장치
KR102097559B1 (ko) * 2019-08-09 2020-04-06 (주)대승엔지니어링 고속 난류형 고도산화 부상분리 공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2140908B1 (ko) * 2020-03-11 2020-08-06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와류 믹스 탈취장치
KR102155989B1 (ko) * 2020-03-11 2020-09-16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949B1 (ko) 2007-08-02 2008-02-15 주식회사두합크린텍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탈취ㆍ공기살균 장치 및 그방법
KR101687388B1 (ko) 2016-02-18 2016-12-16 정재억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유체처리설비
KR101997185B1 (ko) 2019-01-28 2019-07-08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촉매산화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약액 세정 탈취장치
KR102097559B1 (ko) * 2019-08-09 2020-04-06 (주)대승엔지니어링 고속 난류형 고도산화 부상분리 공정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KR102140908B1 (ko) * 2020-03-11 2020-08-06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와류 믹스 탈취장치
KR102155989B1 (ko) * 2020-03-11 2020-09-16 주식회사 대승엔지니어링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8294A (ko)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855B1 (ko) 회전식 세정액 분무 유니트를 갖는 탈취장치
KR102155989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KR100972921B1 (ko) 회전 격판식 선회류 세정 및 탈취장치
KR101401992B1 (ko) 다단 멀티필터형 회절식 탈취기
KR101664148B1 (ko) 미세기포 버블기가 구비된 약액 세정 탈취장치
KR101997185B1 (ko) 촉매산화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약액 세정 탈취장치
KR101883659B1 (ko) 악취가스 균일분배 기능을 갖는 2액 동시세정 탈취 탑
KR101738143B1 (ko) 연속식 악취가스 탈취장치
KR101918005B1 (ko) 다단 탈취 필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2단 세정 탈취 장치
KR101999165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1591849B1 (ko) 세정식 탈취장치
KR102530571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선회류형 탈취장치
KR101965612B1 (ko)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갖는 악취제거용 탈취기
KR102140908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와류 믹스 탈취장치
KR102001359B1 (ko) 악취가스 저감 장치
KR102530575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부압충돌 탈취장치
KR102128552B1 (ko) 2단 약액에 의한 악취제거장치
KR100902791B1 (ko) 탈취 장치
KR102086738B1 (ko) 오존과 광촉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악취저감장치
JP2018176078A (ja) 空気浄化装置
KR102395853B1 (ko) 자기부상 회전식 급속 기액혼합 탈취장치
KR101025327B1 (ko)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KR20040072303A (ko) 와류 믹스식 탈취장치 및 상기 탈취장치를 이용한 탈취방법
KR102530603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와류믹스 탈취장치
JP3792378B2 (ja) 湿式オゾン脱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