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304B1 -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304B1
KR102530304B1 KR1020210067474A KR20210067474A KR102530304B1 KR 102530304 B1 KR102530304 B1 KR 102530304B1 KR 1020210067474 A KR1020210067474 A KR 1020210067474A KR 20210067474 A KR20210067474 A KR 20210067474A KR 102530304 B1 KR102530304 B1 KR 102530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headlight body
led
led assembl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9636A (ko
Inventor
석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차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차이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차이코
Priority to KR1020210067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304B1/ko
Publication of KR20220159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2Force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LED 광원의 위치 조절을 통해 헤드라이트 밝기를 최적의 상태로 맞춤으로써 우수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라이트 본체 상에 결합되어 있는 LED 어셈블리의 위치를 앞쪽과 뒷쪽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헤드라이트 밝기를 맞출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헤드라이트를 구현함으로써, 우수한 전방 시야 확보는 물론 다양한 운전자들이 자신의 취향이나 요구에 맞게 헤드라이트 밝기는 조정할 수 있는 등 기능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헤드라이트{A headlight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ED 광원의 위치 조절을 통해 헤드라이트 밝기를 최적의 상태로 맞춤으로써 우수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는 야간 및 악천후 운전 시에 전방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명 장치로서,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서 고정된 광도와 고정된 상/하향 조사각도로 불빛을 조사하는 단순한 ON/OFF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헤드라이트는 KS 규격 및 자동차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따라 주행빔의 광도 등이 적정 수준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이와 더불어 자동차 조광 안전기준법에서는 전방 15m 이내에서 하향빔이 10m 이내의 조사 범위 내에 있는 장애물 등을 관측 및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헤드라이트는 렌즈, 전구, 반사경 등을 조립한 형태의 것이 주로 적용되어 왔으나, 근래에는 대부분 일체식 구조로 된 실드빔 전구가 주로 사용되며, 상/하향 헤드라이트 일체형 전조등 또는 상향 헤드라이트와 하향 헤드라이트가 분리된 형태로 각각 한 쌍씩 좌우에 구비되어 있는 것들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성능이 뛰어나고 수명이 길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이 적은 LED 광원을 적용한 헤드라이트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는 대향빔용(광축이 아래쪽을 향하여 마주 오는 차에 눈부심을 주지 않도록 하는 용도)과 주행빔용(광축이 노면과 수평으로 되어 멀리까지 조사할 수 있는 용도)이 동일한 기준으로 설계되어 출고된다.
현재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는 자동차의 기종과 설계성능에 따라 10배 이상의 조사 광도 차이를 가지며, 도로 위의 기상이 양호한 상태에서 장애물의 존재나 움직임 등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양호한 운전자의 야간 시력을 전제로 하여 획일적인 고정 광도와 고정 조사각으로 조사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운전자는 헤드라이트 스위치 조작에 따라 하향각을 조사하는 대향빔 또는 상향각만을 조사하거나, 하향각과 상향각을 동시에 조사하는 주행빔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한편, 신규 자동차에 장착되어 있는 헤드라이트는 물론 기존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교체하는 경우, 헤드라이트 케이스 상의 정위치(세팅 위치)에 체결되는 순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헤드라이트를 장착하게 되는데, 이때 차종별 사양에 따른 오차, 여러 종류의 브라켓이 갖는 오차, 차량마다 최적의 밝기 위치가 다른 점 등으로 인해 헤드라이트를 제위치에 정확하게 장착했다 하더라도 어떤 경우에는 빛이 밝게 비춰지고 어떤 경우에는 빛이 어둡게 비춰지는 등 많은 소비자들이 불만을 표시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차종에 관계없이 다양한 운전자들이 자신의 취향이나 요구에 맞는 빛의 밝기를 제공하여 운전자에게 최적의 전방 시야를 확보해주면서도 법규에 정해진 조도 및 광분포를 만족하는 헤드라이트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50822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4151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8784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232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헤드라이트 본체 상에 결합되어 있는 LED 어셈블리의 위치를 앞쪽과 뒷쪽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헤드라이트 밝기를 맞출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헤드라이트를 구현함으로써, 우수한 전방 시야 확보는 물론 다양한 운전자들이 자신의 취향이나 요구에 맞게 헤드라이트 밝기는 조정할 수 있는 등 기능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는 각각의 안쪽면에 LED 어셈블리 장착홈과 후단부에 냉각핀을 가지면서 서로 안쪽면을 맞댄 상태에서 결합되어 하나의 원통형 블록 형태를 이루는 제1헤드라이트 본체 및 제2헤드라이트 본체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라이트 본체와, PCB 기판과 LED 바, 그리고 LED로 구성되어 헤드라이트 본체의 LED 어셈블리 장착홈 내에 삽입 설치됨과 더불어 LED 어셈블리 장착홈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되면서 위치를 앞쪽 또는 뒷쪽으로 옮길 수 있으며 헤드라이트 본체의 앞쪽으로 노출되는 LED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 어셈블리와, 상기 헤드라이트 본체의 후단 냉각핀측에 설치되어 냉각핀의 방열작용을 위한 공기를 제공하는 팬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LED 어셈블리의 LED 바에는 적어도 1곳에 바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장공이 형성되고, 이러한 장공을 가지는 LED 바는 헤드라이트 본체의 LED 어셈블리 장착홈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공을 이용하여 제1헤드라이트 본체 및 제2헤드라이트 본체에 체결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함께 체결됨으로써 장공이 갖는 여유 길이만큼 헤드라이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LED 어셈블리의 LED 바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서 LED 어셈블리의 위치 조절 시 눈금을 보면서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라이트 본체의 제1헤드라이트 본체 및 제2헤드라이트 본체의 각 안쪽면에는 서로 꼭 맞게 끼워지는 위치결정용 홈과 위치결정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헤드라이트 본체의 냉각핀은 헤드라이트 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헤드라이트 본체의 축선과 동축을 이루는 원형의 궤적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핀 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헤드라이트의 위치를 앞뒤로 조절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헤드라이트 밝기를 맞출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헤드라이트를 채택함으로써, 우수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운전자들이 자신의 취향이나 요구에 맞게 헤드라이트 밝기는 조정할 수 있는 등 기능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헤드라이트 위치 조절 시 LED 어셈블리에 새겨져 있는 눈금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위치 조절이 쉽고 정확하고 미세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헤드라이트의 세팅 위치가 각기 다른 다양한 차량에 대해서도 헤드라이트의 위치, 즉 해당 운전자에 맞는 최적의 밝기를 나타낼 수 있는 헤드라이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모든 차종에 적용이 가능한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에서 LED 어셈블리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는 헤드라이트 본체 상에 결합되어 있는 LED 어셈블리의 위치를 앞쪽과 뒷쪽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헤드라이트 밝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는 하나의 원통형 블록 형태를 이루는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라이트 본체(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는 하나의 원통형 블록을 블록 축선 방향을 따라 절단한 대칭형의 반원통형 블록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의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가 서로의 안쪽면을 맞댄 상태로 결합되면서 하나의 원통형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 헤드라이트 본체(12)를 이루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에는 고정나사(19)의 체결을 위한 관통홀(23)과 나사홀(24)이 각각 형성되며, 이때의 관통홀(23)과 나사홀(24)은 본체 직경 방향을 관통함과 더불어 본체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2개 정도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가 서로의 안쪽면을 밀착시키면서 맞댄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관통홀(23)과 나사홀(24)에 고정나사(19)가 체결되므로서,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는 고정나사(19)의 체결에 의해 일체식으로 결합되면서 헤드라이트 본체(12)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라이트 본체(12)의 소재로는 항공용 알루미늄 소재 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헤드라이트 본체(12)의 내부, 즉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의 각 안쪽면에는 사각홈 형태의 LED 어셈블리 장착홈(10)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LED 어셈블리 장착홈(10)에는 LED 어셈블리(16)의 LED 바(14)가 삽입되는 구조로 장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의 각 안쪽면에는 일정 폭과 깊이를 가지면서 본체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사각의 홈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되는 사각의 홈은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가 결합함에 따라 사각홀 형태의 LED 어셈블리 장착홈(10), 즉 LED 바(14)의 두께와 폭에 상응하는 크기의 단면적을 가지는 사각홀 형태의 LED 어셈블리 장착홈(10)을 이루게 되며, 이러한 LED 어셈블리 장착홈(10) 내에 LED 바(14)가 수용되는 구조로 장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 및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의 각 안쪽면에는 서로 꼭 맞게 끼워지는 위치결정용 홈(21)과 위치결정용 돌기(22)가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의 안쪽면에는 양쪽에 각각 위치결정용 홈(21)과 위치결정용 돌기(22)가 형성되고, 상기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의 안쪽면에도 양쪽에 각각 위치결정용 돌기(22)와 위치결정용 홈(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의 결합 시,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의 위치결정용 홈(21)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의 위치결정용 돌기(22),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의 위치결정용 돌기(22)는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의 위치결정용 홈(21)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
결국, 상기 위치결정용 홈(21)과 위치결정용 돌기(22) 간의 걸림 구조에 의해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가 본체 반경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지 않게 결합위치가 규제되므로서,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는 하나의 원통형 블록 형태를 이루며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위치결정용 홈(21)과 위치결정용 돌기(22) 간의 걸림 구조를 이용하여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를 손쉽게 정확한 형태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헤드라이트 본체(12)의 조립을 위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헤드라이트 본체(12)의 후단부에는 LED 어셈블리(16)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냉각핀(11)이 형성된다.
이때의 냉각핀(11)은 헤드라이트 본체(1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냉각핀(11)은 헤드라이트 본체(12)의 축선과 동축을 이루는 원형의 궤적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핀 조합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LED 어셈블리(16)에서 발생하는 열이 헤드라이트 본체(12)로 전달되고, 계속해서 헤드라이트 본체(12)로 전달된 열이 헤드라이트 본체(12)에 일체 형성되면서 충분한 접촉면적을 확보하고 있는 냉각핀(11)에 전해지게 되면, 이때의 냉각핀(11)은 공기와의 접촉을 통한 열교환 작용을 이용하여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헤드라이트 본체(12)의 후단부에는 냉각핀(11)의 내측으로 팬(17)이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되는 팬(17)은 LED 어셈블리(16)의 PCB 기판(13)측과 전선(미도시)으로 연결되면서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팬(17)은 원형의 궤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냉각핀(11)의 내측에 동축 구조를 이루며 끼워짐과 동시에 다수 개의 클립(25)에 의해 고정되면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팬(17)의 작동에 의해 만들어진 공기의 흐름이 냉각핀(11)측으로 공급되고, 결국 냉각핀(11)은 활발한 공기 흐름과의 열교환을 통해 방열작용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헤드라이트에 팬(17)과 냉각핀(11)의 조합을 적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열을 배출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헤드라이트의 기능과 수명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LED는 열 배출이 꼭 필요하며, 열을 효율적으로 배출하지 못하면 주행 중에도 LED가 어두워지거나 수명이 짧아져 고장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품의 보디에 항공용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고 팬(17)과 냉각핀(1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터보 냉각 시스템을 도입하여 안정적으로 열을 배출할 수 있게 되므로서, 헤드라이트의 우수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헤드라이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는 실질적으로 차량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수단으로 LED 어셈블리(16)를 포함한다.
상기 LED 어셈블리(16)는 PCB 기판(13)과 LED 바(14), 그리고 LED(15)로 구성되며, 헤드라이트 본체(12)의 LED 어셈블리 장착홈(10) 내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원판 형태의 PCB 기판(15)과 길다란 바 형태의 LED 바(14)는 서로 수직 자세로 결합되고(예컨대, LED 바가 PCB 기판 전면 중심부에서 앞쪽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결합되고), 이렇게 결합되는 PCB 기판(15)은 헤드라이트 본체(12)의 내부 공간 뒷쪽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LED 바(15)는 헤드라이트 본체(12)의 LED 어셈블리 장착홈(10) 내에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LED(15)는 LED 바(14)의 선단부 양편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이렇게 설치되는 LED(15)는 PCB 기판(13)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LED 바(14)는 통전이 가능한 구리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렇게 구리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LED 바(14)가 PCB 기판(13)과 LED(15) 사이에 연결되면서 PCB 기판(13)측과 LED(15)측 간에 전기적인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되므로서, PCB 기판(13)측에서 LED(15)측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LED 바(14)의 끝에 있는 LED(15)는 헤드라이트 본체(12)의 앞쪽으로 노출되어 빛을 전방으로 조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LED(15)를 포함하는 LED 바(14)는 LED 어셈블리 장착홈(10) 내에 장착되어 LED 어셈블리 장착홈(1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되면서 그 위치를 앞쪽 또는 뒷쪽으로 옮길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LED 어셈블리(16)의 LED 바(14)에는 적어도 1곳에, 예를 들면 LED 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떨어져 있는 2곳에 바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장공(18)이 형성되고, 이때의 장공(18)은 헤드라이트 본체(12)에 형성되어 있는 2곳의 관통홀(23) 및 나사홀(24)의 위치와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장공(18)을 가지는 LED 바(14)는 헤드라이트 본체(12)의 LED 어셈블리 장착홈(10) 내에 삽입되고, 즉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 사이에 삽입되고,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를 결합시켜주는 고정나사(19)가 관통홀(23)과 나사홀(24)에 체결될 때, 고정나사(19)가 내측의 장공(18)을 통과하면서 LED 바(14)도 함께 체결되므로서, LED 바(14)는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 및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 사이에서 고정나사 체결력에 의해 압착 고정되는 구조로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 및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와 함께 결속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나사(18)를 약간 풀게 되면, 고정나사 체결력이 느슨해지면서 LED 바(14)를 앞뒤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LED 바(14)의 위치를 앞쪽 또는 뒷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며, 결국 LED 바(14)의 끝에 있는 LED(15)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LED 바(14)는 장공(18)이 갖는 여유 길이만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LED 바(14)의 위치 조절 후 재차 고정나사(19)를 조이게 되면, LED 바(14)의 조절된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LED 어셈블리(16)의 LED 바(14)에는 소정의 단위, 예를 들면 0.5mm 단위의 눈금(20)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때의 눈금(20)을 보면서, 즉 헤드라이트 본체(12)의 선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눈금(20)를 맞춰가면서 LED 바(14)의 위치를 앞쪽으로 빼내거나 뒷쪽으로 집어넣을 수 있게 되므로서, LED 어셈블리(16)의 위치 조절 시 눈금(20)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고 정확하게, 미세하게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에서 LED 어셈블리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LED 바(14)의 위치 조절을 통해 헤드라이트의 밝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먼저, 상기 LED 바(14)의 위치, 즉 LED(15)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서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나사(19)를 약간 풀어준다.
다음, 상기 고정나사(19)를 약간 풀어놓은 상태에서,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 사이가 약간 뜨게 되고, 이때의 LED 바(14)는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 사이에서 느슨한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 LED 바(14)를 잡고 바깥쪽(앞쪽)으로 잡아 당기거나 안쪽(뒷쪽)으로 밀어 넣으면, 이때의 LED 바(14)는 바깥쪽(앞쪽)으로 빠져나오거나 안쪽(뒷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LED 바(14)의 위치 조절 시 눈금(20)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LED 바(14)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다음, 상기 LED 바(14)의 위치를 조절한 후 이 상태에서 재차 고정나사(19)를 조이게 되면, LED 바(14)는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와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 사이에 꽉 끼인 상태로 고정되고, 결국 LED 바(14)의 조절된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LED(15)를 포함하는 LED 바(14)의 위치 조절을 마친 헤드라이트를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면 사용자는 헤드라이트의 최적의 밝기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운전자 자신이 추구하는 헤드라이트 밝기가 각기 다르고, 또 차종별로 정위치에 헤드라이트를 설치한 경우라도 그 밝기가 각기 다르며, 또 LED(15)의 위치를 앞쪽으로 위치시켜 조절하거나 뒷쪽으로 위치시켜 조절했다 하더라도 리플렉터(미도시) 등의 헤드라이트 주변 부품들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밝아지기도 하고 어두워지기도 하므로, 위와 같은 조작을 처음에 몇 번 반복하다 되면 헤드라이트의 밝기를 최적의 상태로 쉽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LED 어셈블리의 위치를 앞쪽과 뒷쪽으로 조절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헤드라이트 밝기를 맞출 수 있는 새로운 헤드라이트를 적용함으로써, 우수한 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다양한 운전자들이 자신의 취향이나 요구에 맞게 헤드라이트 밝기는 조정할 수 있는 등 헤드라이트의 기능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LED 어셈블리 장착홈
11 : 냉각핀
12 : 헤드라이트 본체
12a : 제1헤드라이트 본체
12b : 제2헤드라이트 본체
13 : PCB 기판
14 : LED 바
15 : LED
16 : LED 어셈블리
17 : 팬
18 : 장공
19 : 고정나사
20 : 눈금
21 : 위치결정용 홈
22 : 위치결정용 돌기
23 : 관통홀
24 : 나사홀
25 : 클립

Claims (5)

  1. 각각의 안쪽면에 LED 어셈블리 장착홈(10)과 후단부에 냉각핀(11)을 가지면서 서로 안쪽면을 맞댄 상태에서 결합되어 하나의 원통형 블록 형태를 이루는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 및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의 조합형으로 이루어지는 항공용 알루미늄 소재의 헤드라이트 본체(12);
    PCB 기판(13)과 LED 바(14), 그리고 LED(15)로 구성되어 헤드라이트 본체(12)의 LED 어셈블리 장착홈(10) 내에 삽입 설치됨과 더불어 LED 어셈블리 장착홈(10)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드되면서 위치를 앞쪽 또는 뒷쪽으로 옮길 수 있으며 헤드라이트 본체(12)의 앞쪽으로 노출되는 LED(15)를 이용하여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LED 어셈블리(16);
    상기 헤드라이트 본체(12)의 후단 냉각핀(11)측에 설치되어 냉각핀(11)의 방열작용을 위한 공기를 제공하는 팬(17);
    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핀(11)은 헤드라이트 본체(12)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되는 냉각핀(11)은 헤드라이트 본체(12)의 축선과 동축을 이루는 원형의 궤적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핀 조합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헤드라이트 본체(12)의 후단부에는 냉각핀(11)의 내측으로 팬(17)이 설치되고, 상기 팬(17)은 원형의 궤적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냉각핀(11)의 내측에 동축 구조를 이루며 끼워짐과 동시에 다수 개의 클립(25)에 의해 고정되면서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항공용 알루미늄 소재를 사용하고 팬(17)과 냉각핀(1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터보 냉각 시스템을 도입하여 안정적으로 열을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어셈블리(16)의 LED 바(14)에는 적어도 1곳에 바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장공(18)이 형성되고, 이러한 장공(18)을 가지는 LED 바(14)는 헤드라이트 본체(12)의 LED 어셈블리 장착홈(10)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공(18)을 이용하여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 및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에 체결되는 고정나사(19)에 의해 함께 체결됨으로써 장공(18)이 갖는 여유 길이만큼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어셈블리(16)의 LED 바(14)에는 눈금(20)이 표시되어 있어서 LED 어셈블리(16)의 위치 조절 시 눈금(20)을 보면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라이트 본체(12)의 제1헤드라이트 본체(12a) 및 제2헤드라이트 본체(12b)의 각 안쪽면에는 서로 꼭 맞게 끼워지는 위치결정용 홈(21)과 위치결정용 돌기(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5. 삭제
KR1020210067474A 2021-05-26 2021-05-26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KR102530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74A KR102530304B1 (ko) 2021-05-26 2021-05-26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474A KR102530304B1 (ko) 2021-05-26 2021-05-26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636A KR20220159636A (ko) 2022-12-05
KR102530304B1 true KR102530304B1 (ko) 2023-05-09

Family

ID=84392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474A KR102530304B1 (ko) 2021-05-26 2021-05-26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3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5399B1 (ja) * 1999-05-10 2001-10-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20177856A (ja) * 2019-04-22 2020-10-29 Ipf株式会社 車両用灯具の配光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753Y1 (ko) * 1994-06-25 1997-04-23 경원산업 주식회사 축전지의 부표식 전해액량 표시구
KR20100073339A (ko) * 2008-12-23 2010-07-01 서강정보대학산학협력단 매입형 가로등 장치
KR101195110B1 (ko) 2010-11-11 2012-10-29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헤드램프 조립체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224515B1 (ko) 2011-01-19 2013-01-25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헤드램프 조립체
KR20130108784A (ko) 2012-03-26 2013-10-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차 전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JP3215399U (ja) * 2017-09-29 2018-03-22 鐘松 湯 一体型自動車用ledランプ
KR102234227B1 (ko) 2019-07-17 2021-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율주행 차량의 헤드라이트 제어방법 및 이를 위한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5399B1 (ja) * 1999-05-10 2001-10-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020177856A (ja) * 2019-04-22 2020-10-29 Ipf株式会社 車両用灯具の配光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636A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0757B2 (ja) 自動車のリヤ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用の側方取付け型発光ダイオードモジュール
KR100989390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구조
US7726858B2 (en) Vehicle light using LED light source
JP2008288221A (ja) 車両用灯具
KR101375465B1 (ko) Led 광원을 가진 교체식 차량 램프
JP6814069B2 (ja) 車両用灯具
US20180163940A1 (en) Vehicular headlamp
JP5166917B2 (ja) 車両用前照灯
KR100993226B1 (ko) Led광원모듈
US11365858B2 (en) Lighting module, vehicle lamp and vehicle
JP5658016B2 (ja) 車両用灯具
JP2005235431A (ja) 車両用灯具
KR102530304B1 (ko)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JP3173307U (ja) 2つの機能を持った車両用led灯具の構造
KR101200102B1 (ko) 단일렌즈형 led광원모듈
KR101987916B1 (ko) 차량용 램프와 그 램프의 조향각 조정방법
JP2016081688A (ja) シングル型高輝度led前照灯
US20220299186A1 (en) Vehicle lighting tool
KR101789652B1 (ko) 차량용 엘이디 조명 램프
JP6545975B2 (ja) 車輌用灯具
EP2985180A1 (en) Light source unit and vehicle lamp
JP2018501621A (ja) 車両用ledランプモジュール
KR101472481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용 안개등
KR200480827Y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200070865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