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0288B1 -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0288B1
KR102530288B1 KR1020220060009A KR20220060009A KR102530288B1 KR 102530288 B1 KR102530288 B1 KR 102530288B1 KR 1020220060009 A KR1020220060009 A KR 1020220060009A KR 20220060009 A KR20220060009 A KR 20220060009A KR 102530288 B1 KR102530288 B1 KR 102530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ensor
management server
weigh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철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극동파워테크
Priority to KR1020220060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0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0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0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4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assification, e.g. of video objec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mmu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의 복도에서 CCD카메라를 통한 화재발생원의 감시를 강화하여 화재발생을 예방하고,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화재를 신속하게 검출하며, 검출결과에 따라 즉시 진압할 수 있도록 화재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화재 발생 초기에 즉시 1차 진화가 개시될 뿐만 아니라, 후속 제어되는 소화수 분출을 통해 2차 진압이 가능하여 화재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명피해가 발행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며,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관 상의 소화수 충전 유무를 주기적으로 자동 체크하고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Firefighting management system for apartment buildings}
본 발명은 소방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의 복도에서 CCD카메라를 통한 화재발생원의 감시를 강화하여 화재발생을 예방하고,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화재를 신속하게 검출하며, 검출결과에 따라 즉시 진압할 수 있도록 화재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화재 발생 초기에 즉시 1차 진화가 개시될 뿐만 아니라, 후속 제어되는 소화수 분출을 통해 2차 진압이 가능하여 화재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명피해가 발행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며,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관 상의 소화수 충전 유무를 주기적으로 자동 체크하고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에는 화재시 이를 알리기 위한 자동화재탐지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에 의하여 발생하는 열이나 연기 또는 화염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하여 감지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인식하고, 벨 또는 사이렌 등의 음향장치에 의하여 공동주택의 관리자 및 세대원에게 화재발생경보를 발하는 설비로서 일반적으로 수신기, 감지기, 발신기, 음향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소방관리에 사용되는 화재 수신기는 감지기 또는 발신기로부터 발하여지는 신호를 직접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공통 신호로서 수신하여 화재의 발생을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리자 또는 소방서 측으로 경보하여 주는 것으로서, P형 수신기, R형 수신기, M형 수신기, GP형 수신기, GR형 수신기 등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자동화재탐지설비는 대부분 세대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의 경우 복도에는 화재탐지설비가 매우 띠엄띠엄 설치되어 있거나 혹은 아예 없는 경우가 많고, 화재 발생시 화재를 초기에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는 수단이 갖추어져있지 않다.
보통은 탱크에 물이 채워진 상태로 복도 한쪽 끝에 설비된 장비를 끌고 다니면서 소화작업, 즉 진화작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마저도 소방대원이 올라오지 않으면 누구하나 진화작업할 엄두를 못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노후화된 아파트의 경우에는 더 심해 한번 화재가 발생되면 커다란 재산피해는 물론 심각한 인명손상까지 초래되게 된다.
이러한 초기 진화작업에 앞서 화재발생원을 사전에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추어져 있지 않아 화재 예방에도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소화수관으로 공급되어야 할 소화수가 공급되어 있지 않을 경우 초기 진압이 어려움으로 이에 대한 검지 기술도 필요한 시점이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382265호(2022.03.30.)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조기진압 시스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공동주택,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의 복도에서 CCD카메라를 통한 화재발생원의 감시를 강화하여 화재발생을 예방하고,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화재를 신속하게 검출하며, 검출결과에 따라 즉시 진압할 수 있도록 화재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화재 발생 초기에 즉시 1차 진화가 개시될 뿐만 아니라, 후속 제어되는 소화수 분출을 통해 2차 진압이 가능하여 화재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명피해가 발행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며,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관 상의 소화수 충전 유무를 주기적으로 자동 체크하고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공동주택의 관리실에 구비된 관리서버(100)와, 상기 관리서버(100)에 실장되어 머신러닝과 딥러닝 방식을 사용해 영상이나 사진을 인식하고 분석하여 화재발생 패턴을 분류하는 영상분석기(110)와, 상기 영상분석기(11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공동주택의 복도식 통로의 양쪽 끝지점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영상분석기(110)로 송신하는 CCD카메라(120)와, 상기 관리서버(1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공동주택의 복도식 통로 천정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화재감지기(200)와, 상기 화재감지기(200)와 병행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100)와 유선으로 연결된 밸브제어기(300)와, 상기 복도식 통로의 벽면에 매설되고 다수의 분기관(320)을 갖는 소화수관(310)과, 상기 분기관(320)의 관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제어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330)와, 상기 화재감지기(200)와 병행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화재 발생시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기(400)와, 상기 소화수관(310)에 설치되어 내부에 소화수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관리서버(100)로 검출신호를 송신하는 수감지센서(3110) 및 상기 분기관(320)들 사이 공간상의 벽면에 설치된 자동진화기(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동주택, 특히 복도식 공동주택의 복도에서 CCD카메라를 통한 화재발생원의 감시를 강화하여 화재발생을 예방하고,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화재를 신속하게 검출하며, 검출결과에 따라 즉시 진압할 수 있도록 화재시 발생되는 열기에 의해 화재 발생 초기에 즉시 1차 진화가 개시될 뿐만 아니라, 후속 제어되는 소화수 분출을 통해 2차 진압이 가능하여 화재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인명피해가 발행하지 않도록 사전에 차단하며, 소화수를 공급하는 소화수관 상의 소화수 충전 유무를 주기적으로 자동 체크하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소화수관의 배관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분기관과 분사노즐의 조립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자동진화기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화재감지 및 감지된 신호에 따라 화재경보를 발하고 동시에 화재가 감지된 주변에서 자동적으로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반응하여 분사되는 자동진화기를 구비하여 초기 진압 효율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의 예시와 같이, 공동주택의 관리실에 구비된 관리서버(100)와, 상기 관리서버(100)에 실장되어 머신러닝과 딥러닝 방식을 사용해 영상이나 사진을 인식하고 분석하여 화재발생 패턴을 분류하는 영상분석기(110)와, 상기 영상분석기(11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공동주택의 복도식 통로의 양쪽 끝지점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영상분석기(110)로 송신하는 CCD카메라(120)와, 상기 관리서버(1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공동주택의 복도식 통로 천정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화재감지기(200)와, 상기 화재감지기(200)와 병행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100)와 유선으로 연결된 밸브제어기(300)와, 상기 복도식 통로의 벽면에 매설되고 다수의 분기관(320)을 갖는 소화수관(310)과, 상기 분기관(320)의 관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제어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330)와, 상기 화재감지기(200)와 병행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화재 발생시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기(400)와, 상기 소화수관(310)에 설치되어 내부에 소화수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관리서버(100)로 검출신호를 송신하는 수감지센서(3110) 및 상기 분기관(320)들 사이 공간상의 벽면에 설치된 자동진화기(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CCD카메라(120)는 실시간으로 영상을 촬영하되, 정해진 시간단위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영상분석기(110)로 송신하도록 제어된다.
이 경우, 촬영된 영상은 공동주택의 복도 내부이며, 복도 내부에서 평상시와 다른 상황이 연출되면 영상분석기(110)는 1차적으로 특징점이 있다고 보고 이를 학습했던 화재와 관련된 영상과 비교 분석하여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분석하게 된다.
이를 테면, 어린이나 청소년 등이 라이터나 성냥 혹은 기타 불꽃을 발생시키는 도구를 들고 불꽃을 일으키는 장면이 있다면 이는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독한다.
이와 같이 영상분석기(110)가 CCD카메라(120)의 송신데이터를 분석하여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는 경우로 판독한 경우, 관리서버(100)는 즉시 경보기(400)를 제어하여 경보를 발령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통지함으로써 화재 발생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조치할 수 있다.
아울러, 화재가 이미 발생된 상황이라면 화재감지기(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그 상황에 따라 초기 진압하도록 시스템이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화재감지기(200)와 상기 관리서버(300)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관리서버(300)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때문에, 특정 화재감지기(200)로부터 화재발생이 검출되면 그 위치가 어디인지 관리서버(100)는 즉시 인식할 수 있으므로 해당 화재감지기(200)와 병설된 경보기(400)를 통해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주변 사람들을 대피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관리서버(100)가 시스템적으로 자동 실행하기 때문에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화재감지기(200)는 공지된 연기감지기 혹은 열감지기가 될 수 있다.
한편, 소화수관(310)에는 항상 소화수가 충만된 상태로 유지되고 일정수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검출시 밸브만 개방시키면 즉시 소화수 분사가 가능하여 초기 진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100)는 수신된 화재감지기(200)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와 병설된 경보기(400)를 동작시켜 경보를 발령시킴과 동시에 상기 경보기(400)를 기준으로 그 전방에 좌우에 마련된 솔레노이드밸브(330)를 모두 개방시키도록 밸브제어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개방되는 솔레노이드밸브(330)는 경보기(400)를 기준으로 좌,우 각각 2개씩 총 4개일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330)의 개방은 솔레노이드밸브(330) 설치시 밸브제어기(300)에 고유의 할당번호를 등록함으로써 경보기(400)를 중심으로 할당된 솔레노이드밸브(330)의 번호를 확인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은 처리는 전자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빠른시간에 처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30)를 지난 분기관(320)의 선단에는 소화수분사노즐(340)이 설치되는데, 상기 소화수분사노즐(340)은 도 3과 같이 좀 독특한 구조를 갖고 설치되어 소화수 분사시 방사 범위를 넓히면서 슈팅가능하게 하여 초기 진압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소화수분사노즐(340)은 도 3의 예시와 같이, 분기관(320)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노즐하우징(341)과, 상기 노즐하우징(341)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사선형분사구(342)와, 상기 노즐하우징(341)의 내경에서 돌출된 턱부(343)와, 선단은 상기 턱부(343)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344c)을 갖고 상기 걸림턱(344c)이 형성된 선단면에서 돌출된 원추부(344a) 및 후단면에 요입형성된 홈부(344b)를 갖는 슬라이더(344)와, 상기 노즐하우징(341)의 개방단을 밀폐하는 밀폐캡(346)과, 상기 홈부(344b)에 삽입되어 선단은 홈부(344b)의 천정면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밀폐캡(346)에 걸림되는 스프링(345)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솔레노이드밸브(330)가 개방되면 공급되는 소화수의 수압에 의해 슬라이더(344)가 밀리면서 스프링(345)이 압축되면서 원추부(344a)가 가리고 있던 사선형분사구(342)가 개방되면서 소화수가 분출되면서 방사상으로 비산되면서 화재 발생지점 주변을 폭 넓게 감싸 진압하게 되어 진압효율을 높인다. 이것은 초기 진압시 매우 유용하며 효과적이다. 즉, 초기 발화지점을 폭넓게 커버하면서 소화토록 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막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더구나, 수압 변동에 따라 원추부(344a)가 유동하기 때문에 맥동을 유도하여 분사 비산시 시간에 따라 분사압, 분사각이 변하기 때문에 더욱 더 효과적인 초기 진압이 가능하다.
이것은 원추부(344a)가 유동하면서 사선형분사구(342)의 개도를 자동으로 조절하기 때문에 개도가 작아지면 멀리 비산되면서 고압분사가 가능하고, 개도가 커지면 가까이 비산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압으로 분사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소화시키기 때문에 초기 진화 효율이 높아진다.
다른 한편, 상기 자동진화기(500)는 도 4의 예시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자동진화기(500)는 항상 소화수가 분사되기 전에 폭발하여 진압한 후에 소화수가 분사되도록 밸브제어기(300)와 연계동작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를 위해 도 2의 예시와 같이, 상기 자동진화기(500)의 전방에는 리미트스위치(LS)가 설치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LS)는 분기관(320)에 장착되어 자동진화기(500)가 폭발에 의해 전면이 떨어져나갈 때 리미트스위치(LS)가 동작하면서 그 신호를 밸브제어기(300)로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면, 그때 밸브제어기(300)는 소화수 공급을 위한 제어절차에 돌입하게 된다.
아울러,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자동진화기(50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유닛하우징(510)과, 상기 유닛하우징(510)에 내장된 사각형상의 제1튜브(520)와, 상기 제1튜브(520) 앞에 배치된 압력판(530)과, 상기 압력판(530) 앞에 장입된 소화분말(540)과, 상기 소화분말(540) 앞에 배치된 사각형상의 제2튜브(550)와, 상기 제2튜브(55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상기 유닛하우징(510)의 개방된 부분에 후크결합되는 창살커버(560)와, 상기 창살커버(560)를 관통하여 상기 제1튜브(520)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파이프(5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2튜브(520,550)에는 메탄가스가 압축된 상태로 주입되며, 열을 받아 일정이상의 온도에 이르게 되면 폭발하면서 전방에 있는 구조물, 이를 테면 창살커버(560), 소화분말(540), 압력판(530)을 개방된 부분을 통해 비산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분말(540)은 얇은 비닐에 싸여 밀봉된 상태로 장입되며, 압력판(530)은 제1튜브(520) 폭발시 상기 소화분말(540)을 균일하게 밀어 비산시키기 위해 존재한다.
또한, 상기 창살커버(560)는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하우징(510)에 둘레단의 일부분이 후크(562) 결합되고, 가로와 세로방향으로는 리브(564)와 세그먼트(566)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폭발시 상대적으로 얇은 리브(564)가 잘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특히, 리브(564)들 사이로는 구멍이 생기기 때문에 화재시 열기가 제2튜브(550) 쪽으로 쉽고 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뿐만 아니라, 열전달파이프(570)는 화재시 받은 열기가 제1튜브(520)로 빠르게 전달되게 공간을 형성하여 제1튜브(520)도 빠르게 팽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하여, 화재 초기에 열을 받아 팽창 후 폭발하는 제1,2튜브(520.550)에 의해 소화분말(540)이 전방으로 쏟아져 화재 원점을 즉시 진압함으로써 화재가 커지는 것을 막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닛하우징(510)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리튬실리케이트 5중량부, 실리콘수지 30중량부, 과황산 암모늄 10중량부, 질화규소 5중량부, 콘드로이틴-황산 10중량부, 탄화규소 5중량부, 칼슘메틸실란트리오레이트 5중량부, 이산화티탄 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ABS 수지는 고내열성, 고내구성 수지재료이며; 실리콘수지는 완충성,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해 첨가되고; 리튬실리케이트(Lithium silicate)는 방수성 도막 형성에 기여하고 내오염성을 강화시키며; 과황산 암모늄(Ammonium Persulfate)은 산도를 조절하여 산화를 방지하여 보존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질화규소는 가볍고 열팽창율이 적어 상온이나 고온에서 강도, 파괴에 대한 인성, 열충격 저항성, 내산화성, 내식성이 우수하고; 콘드로이틴-황산은 건조화를 방지하여 점착성이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며; 탄화규소는 내용해성·내용융성·내산화성 외에 열전도도가 크다.
그리고, 칼슘메틸실란트리오레이트는 내화학성, 내약품성을 증대시키며; 이산화티탄은 방열효율을 높이고, 전열면적을 넓히기 위해 첨가되고; 페트로레이텀은 내부식성, 그 내침식성과 크랙발생을 억제하여 장수명화, 즉 내구성을 갖추게 한다.
뿐만 아니라, 도 5의 예시와 같이 소화수관(310)의 길이 일부에는 수감지센서(3110)를 더 설치하고, 상기 수감지센서(3110)는 관리서버(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화수관(310) 내부에 물이 차 있는지 없는지를 실시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감지센서(3110)는 상기 소화수관(310)을 관통하여 내부와 연통되도록 나사체결된다.
또한, 상기 수감지센서(311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 및 나사체결되는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센서하우징(3112)과, 상기 센서하우징(3112)의 내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3114)과, 상기 걸림턱(3114)에 걸림되는 센서플랜지(3116)를 갖고 수압에 따라 유동되는 유동자(3118)와, 상기 유동자(3118)의 하단면에 요입 형성되어 수압이 집중되도록 구비된 압력유도홈(3120)과, 상기 유동자(3118)의 상단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돌부(3122)와, 상기 센서하우징(3112)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도록 체결되는 센서커버(3124)와, 상기 센서커버(3124)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반원형돌부(3122)가 접촉되었을 때 압력검출신호를 송신하는 압력센서(3126)와, 상기 압력센서(3126)와 관리서버(1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리드선(3128)과, 상기 센서플랜지(3116)와 센서커버(312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동자(3118)를 탄성운동시키는 코일스프링(3130)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소화수관(310) 상에 물이 차 있으면 수압을 받아 유동자(3118)의 반원형돌부(3122)가 압력센서(3126)를 가압하고, 그 압력신호를 관리서버(100)로 송신하여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물이 차 있지 않으면 유동자(3118)가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코일스프링(3130)에 의해 밀려나면서 압력센서(3126)를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압력신호가 없음을 관리서버(100)가 인식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에 따라, 소방시설을 자동으로 상시 점검할 수 있게 된다.
100: 관리서버 200: 화재경보기
300: 밸브제어기 400: 경보기
500: 자동진화기

Claims (1)

  1. 공동주택의 관리실에 구비된 관리서버(100)와, 상기 관리서버(100)에 실장되어 머신러닝과 딥러닝 방식을 사용해 영상이나 사진을 인식하고 분석하여 화재발생 패턴을 분류하는 영상분석기(110)와, 상기 영상분석기(11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공동주택의 복도식 통로의 양쪽 끝지점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을 상기 영상분석기(110)로 송신하는 CCD카메라(120)와, 상기 관리서버(100)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공동주택의 복도식 통로 천정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화재감지기(200)와, 상기 화재감지기(200)와 병행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100)와 유선으로 연결된 밸브제어기(300)와, 상기 복도식 통로의 벽면에 매설되고 다수의 분기관(320)을 갖는 소화수관(310)과, 상기 분기관(320)의 관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제어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330)와, 상기 화재감지기(200)와 병행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1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화재 발생시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기(400)와, 상기 소화수관(310)에 설치되어 내부에 소화수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여 상기 관리서버(100)로 검출신호를 송신하는 수감지센서(3110) 및 상기 분기관(320)들 사이 공간상의 벽면에 설치된 자동진화기(50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320)의 단부에는 소화수분사노즐(340)이 더 설치되되, 상기 소화수분사노즐(340)은 분기관(320)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는 노즐하우징(341)과, 상기 노즐하우징(341)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 사선형분사구(342)와, 상기 노즐하우징(341)의 내경에서 돌출된 턱부(343)와, 선단은 상기 턱부(343)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344c)을 갖고 상기 걸림턱(344c)이 형성된 선단면에서 돌출된 원추부(344a) 및 후단면에 요입형성된 홈부(344b)를 갖는 슬라이더(344)와, 상기 노즐하우징(341)의 개방단을 밀폐하는 밀폐캡(346)과, 상기 홈부(344b)에 삽입되어 선단은 홈부(344b)의 천정면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밀폐캡(346)에 걸림되는 스프링(345)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진화기(500)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유닛하우징(510)과, 상기 유닛하우징(510)에 내장된 사각형상의 제1튜브(520)와, 상기 제1튜브(520) 앞에 배치된 압력판(530)과, 상기 압력판(530) 앞에 장입된 소화분말(540)과, 상기 소화분말(540) 앞에 배치된 사각형상의 제2튜브(550)와, 상기 제2튜브(550)의 전방을 커버하도록 상기 유닛하우징(510)의 개방된 부분에 후크결합되는 창살커버(560)와, 상기 창살커버(560)를 관통하여 상기 제1튜브(520)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파이프(57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튜브(520,550)에는 메탄가스가 압축된 상태로 주입되며; 상기 창살커버(560)는 유닛하우징(510)에 둘레단의 일부분이 후크(562) 결합되고, 가로와 세로방향으로는 리브(564)와 세그먼트(566)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닛하우징(510)은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copolymer)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리튬실리케이트 5중량부, 실리콘수지 30중량부, 과황산 암모늄 10중량부, 질화규소 5중량부, 콘드로이틴-황산 10중량부, 탄화규소 5중량부, 칼슘메틸실란트리오레이트 5중량부, 이산화티탄 5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성형하여 제조되고;
    상기 소화수관(310)의 길이 일부에는 수감지센서(3110)를 더 설치하고, 상기 수감지센서(3110)는 관리서버(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소화수관(310) 내부에 물의 존재여부를 실시간 검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수감지센서(3110)는 내부가 비어 있고 상단 및 나사체결되는 하단이 개방되어 있는 센서하우징(3112)과, 상기 센서하우징(3112)의 내경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3114)과, 상기 걸림턱(3114)에 걸림되는 센서플랜지(3116)를 갖고 수압에 따라 유동되는 유동자(3118)와, 상기 유동자(3118)의 하단면에 요입 형성되어 수압이 집중되도록 구비된 압력유도홈(3120)과, 상기 유동자(3118)의 상단면에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돌부(3122)와, 상기 센서하우징(3112)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하도록 체결되는 센서커버(3124)와, 상기 센서커버(3124)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반원형돌부(3122)가 접촉되었을 때 압력검출신호를 송신하는 압력센서(3126)와, 상기 압력센서(3126)와 관리서버(1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리드선(3128)과, 상기 센서플랜지(3116)와 센서커버(3124)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유동자(3118)를 탄성운동시키는 코일스프링(3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
KR1020220060009A 2022-05-17 2022-05-17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 KR102530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009A KR102530288B1 (ko) 2022-05-17 2022-05-17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009A KR102530288B1 (ko) 2022-05-17 2022-05-17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0288B1 true KR102530288B1 (ko) 2023-05-10

Family

ID=8638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009A KR102530288B1 (ko) 2022-05-17 2022-05-17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02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65B1 (ko) 2021-03-30 2022-04-08 윤점숙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조기진압 시스템
KR102397133B1 (ko) * 2021-09-13 2022-05-13 대평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에 대비한 소방 안전 자동화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265B1 (ko) 2021-03-30 2022-04-08 윤점숙 공동주택 화재시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조기진압 시스템
KR102397133B1 (ko) * 2021-09-13 2022-05-13 대평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에 대비한 소방 안전 자동화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2273403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US76195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hazardous or potentially hazardous conditions
MX2008011510A (es) Sistema de extincion de incendios.
KR10227340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KR20200132337A (ko)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KR102175419B1 (ko) 와이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건축물 소방화재 감시 시스템
KR10129640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무인 자동 소화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417542Y1 (ko) 미세물분무 소화설비용 화재감지 경보장치
KR10253028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관리 시스템
KR102448818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관리 시스템
CN109663258B (zh) 一种智能控制消防系统
KR101704409B1 (ko)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JP2010046316A (ja) 消火システム
KR102530287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예방 시스템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253028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 진화 시스템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KR102420385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 안전 시스템
KR102395973B1 (ko) 로봇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2439692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진화장비 구축 시스템
KR20170093597A (ko) 소방용 cctv 시스템
KR102409061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화재 감시 시스템
KR101682405B1 (ko) 3차원 스캐닝을 이용한 캐넌 관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