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9762B1 -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9762B1
KR102529762B1 KR1020220126160A KR20220126160A KR102529762B1 KR 102529762 B1 KR102529762 B1 KR 102529762B1 KR 1020220126160 A KR1020220126160 A KR 1020220126160A KR 20220126160 A KR20220126160 A KR 20220126160A KR 102529762 B1 KR102529762 B1 KR 102529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n
asset
information
collateral
re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영
연창학
황학선
김명준
이동민
원하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록오디세이
Priority to KR102022012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97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9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9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담보 대출을 금융사가 실행하여, 사업자의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를 수신하고, 사업자가 해당 담보 대출의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이 예치되는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담보 기반의 수익계좌의 잔액 및 해당 대출에 대한 상환금액에 기초하여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담보 대출의 자산의 가치에 대한 자산가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담보 대출에 대한 상환 위험성을 판단함으로써, 담보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가 담보 대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Method, Server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Managing an Entrepreneur's Asset-based Loan}
본 발명은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담보 대출을 금융사가 실행하여, 사업자의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를 수신하고, 사업자가 해당 담보 대출의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이 예치되는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담보 기반의 수익계좌의 잔액 및 해당 대출에 대한 상환금액에 기초하여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담보 대출의 자산의 가치에 대한 자산가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담보 대출에 대한 상환 위험성을 판단함으로써, 담보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가 담보 대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통적인 금융 상품에 해당하는 부동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 상품 외에도 금융 활성화를 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동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 상품이 활성화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과 같이 전통적으로 가치가 부여되어 있는 동산에 대한 담보 대출 상품이 등장하였으며, 더 나아가서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생산 설비를 담보로 하는 대출 상품,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냉동육을 담보로 하는 육류담보대출, 심지어는 회사가 가지고 있는 빅데이터 등과 같은 무형자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 상품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가치 자산 외에 다양한 자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 상품이 등장함에 따라 대출을 실행하는 금융사의 입장에서는 대출의 규모를 크게 키울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하나, 반대로 담보의 가치가 불명확하고, 어떠한 변수에 의해 가치의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대출에 대한 상환 위험성이 커질 수 밖에 없으며, 결과적으로 대출 상품을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동산을 담보로 하는 경우에, 동산의 가치를 산정하는데 기초가 되는 정보는 해당 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차주(借主)에 의존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대출을 실행하는 금융사의 입장에서는 담보물의 가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차량을 담보로 하는 경우에 차주가 주행거리를 조작하거나, 사고 이력을 숨기는 경우에 금융사에서는 차량의 가치를 실제보다 높게 산정하게 되며, 회사의 재고를 담보로 하는 경우에도 차주가 장부를 임의로 조작하는 경우에 가치가 과대 평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금융사의 입장에서는 대출 규모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담보 대출 상품을 개발하는 것과 동시에, 담보가 되는 다양한 형태의 자산의 가치를 용이하게 판단하여 궁극적으로는 대출 상환에 대한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관리 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담보 대출을 금융사가 실행하여, 사업자의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를 수신하고, 사업자가 해당 담보 대출의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이 예치되는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담보 기반의 수익계좌의 잔액 및 해당 대출에 대한 상환금액에 기초하여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담보 대출의 자산의 가치에 대한 자산가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담보 대출에 대한 상환 위험성을 판단함으로써, 담보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가 담보 대출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금융사 관리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고,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에서 수행하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금융사가 실행한 사업자의 담보 기반의 대출에 따른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를 외부의 금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대출계좌관리단계; 상기 사업자가 상기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을 예치한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상기 외부의 금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금액에 기초하여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하는 상환이력도출단계; 및 상기 대출의 담보가 되는 자산의 가치에 대한 자산가치정보를 내부적으로 산출하거나 혹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기 자산에 대한 기준가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하는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출에 대한 대출현황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대출현황인터페이스제공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는, 상기 대출잔액정보가 표시되는 대출잔액표시영역;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 주기별로 해당 주기에서의 상환이력정보가 표시되는 상환이력표시영역; 및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자산의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도에 대한 상태엘리먼트가 표시되는 대출위험상태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가치정보는,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대출 기간별로 차등적으로 설정된 기준가치값을 포함하고,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는, 상기 자산가치정보 및 현재 시점의 기준가치값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자산이력관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산이력관리단계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자산에 대한 기본자산정보를 외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상기 기본자산정보를 트랜잭션으로 기록하도록 요청하는 기본자산정보등록단계; 상기 기본자산정보가 분산원장에 기록된 이후 상기 자산의 가치가 변동되는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자산을 관리하는 외부의 자산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자산의 가치가 변동되는 사건에 대한 가치변동사건정보를 수신하는 가치변동사건수신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상기 자산에 대한 가치변동사건정보를 트랜잭션으로 기록하도록 요청하는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는,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에 이미지파일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이미지파일에 대한 이미지해시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하여금 상기 이미지해시정보를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으로 기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금융사 관리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고,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여,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서버로서, 상기 금융사가 실행한 사업자의 담보 기반의 대출에 따른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를 외부의 금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대출계좌관리단계; 상기 사업자가 상기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을 예치한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상기 외부의 금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금액에 기초하여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하는 상환이력도출단계; 및 상기 대출의 담보가 되는 자산의 가치에 대한 자산가치정보를 내부적으로 산출하거나 혹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기 자산에 대한 기준가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하는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금융사 관리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고,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에서 수행하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서비스서버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하의 단계들은: 상기 금융사가 실행한 사업자의 담보 기반의 대출에 따른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를 외부의 금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대출계좌관리단계; 상기 사업자가 상기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을 예치한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상기 외부의 금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금액에 기초하여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하는 상환이력도출단계; 및 상기 대출의 담보가 되는 자산의 가치에 대한 자산가치정보를 내부적으로 산출하거나 혹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기 자산에 대한 기준가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하는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자에게 자산 기반의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의 관리자가 대출현황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대출에 대한 사업자의 대출계좌, 해당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에 대한 담보 기반 수익계좌, 기설정된 상환금액에 대한 상환이력정보, 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른 대출의 상환 위험성에 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는, 실시간으로 도출된 자산에 대한 가치에 해당하는 자산가치정보 및 기준가치정보의 차이값에 따라 실시간 가치가 기준 가치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므로,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의 관리자가 대출의 리스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산이력관리단계는, 대출의 담보가 되는 자산의 가치가 변동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들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므로, 대출을 받은 사업자가 임의로 가치 변동에 대한 정보들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등의 행위를 방지함으로써, 자산에 대한 정보들을 금융사와 사업자가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대출의 담보가 되는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이 우선적으로 예치되는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서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금액을 차감한 후에 잔액을 상기 대출을 받은 사업자의 사업자계좌로 이체함으로써, 금융사가 선순위로 상환을 보장받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자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 상품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한 가치의 변동 이력을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의 자산을 담보로 하여 금융사에서 대출을 실행하는 과정 및 대출의 실행에 따라 담보에 포함되는 자산에 의해 창출되는 수익을 관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사 관리자 단말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출현황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에서 기준가치정보 및 자산가치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이력관리단계의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이력관리단계에서 가치변동사건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의 자산을 담보로 하여 금융사에서 대출을 실행하는 과정 및 대출의 실행에 따라 담보에 포함되는 자산에 의해 창출되는 수익을 관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사업자와 금융사 사이의 대출이 실행되는 과정을 우선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사업자와 금융사 사이에서 실행되는 대출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는 방법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사업자는 대출을 받는 주체에 해당하며, 상기 사업자는 대출, 더 구체적으로는 담보 대출을 받기 위하여 복수의 자산을 소유하고 있는 주체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자산은 동산 및 부동산을 포함하여 가치가 평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산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산은 동산을 포함하며, 상기 동산은 차량, 재고, 설비, 예술품 등의 유형의 자산 및 빅데이터, 특허 등의 무형의 자산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금융사는 상기 사업자에게 대출을 제공하는, 즉 사업자의 대출 요청에 따라 상기 대출을 실행하는 주체에 해당한다. 상기 금융사는 사업자가 소유하고 있는 복수의 자산을 담보로 포함시켜 담보 대출을 실행하며, 상기 금융사는 담보 대출에 따른 대출금액을 약정된 사업자의 대출계좌에 입금하거나, 혹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한도대출(마이너스 통장)과 같이, 한도가 설정된 대출계좌가 사업자에게 발급될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금융사에서 실행한 대출에 따라 운용되는 계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추가적으로 대출의 실행에 따라 담보에 포함되는 자산에 의해 창출되는 수익을 관리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는 방법은 총 3 개의 계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출계좌는 대출의 실행에 따라 상기 금융사에서 사업자에게 대출해 준 금액이 입금되는 사업자 소유의 계좌에 해당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대출계좌에 입금된 금액을 사용하거나, 상기 대출계좌에 설정된 한도 내에서 금액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B)에 도시된 담보 기반 수익계좌는 해당 대출의 실행에 따라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에 의하여 창출된 수익이 예치되는 계좌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업자가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에 의하여 창출된 수익금을 예치하게 되며, 이러한 의무는 상기 대출의 실행 시에 상기 금융사 및 상기 사업자 사이의 계약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되는 수익금은,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에 의해 직접적으로 창출되는 수익금뿐만 아니라, 상기 복수의 자산에 의해 간접적으로 파생되는 수익금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의 (B)에서는 사업자가 소유한 복수의 자산 가운데 담보로 포함된 복수의 자산(자산#1, 자산#2 및 자산#3)에 의해 창출되는 수익(수익#1, 수익#2 및 수익#3)이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자산에 의해 창출되는 수익금은 해당 자산의 가치보다 작을 수도, 혹은 클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도 1의 (B)에 도시된 사업자계좌는 사업자가 가용 가능한 금액이 예치되는 계좌로써,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된 금액 가운데 상기 대출의 실행에 따라 상환해야 하는 금액(상환금)을 차감하고 남은 잔액이 상기 사업자계좌로 예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환금은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에 납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규약은 상기 대출의 실행 시에 상기 금융사 및 상기 사업자 사이의 계약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서 상환금을 금융사에 납부하고, 상환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상기 사업자계좌로 이체하는 과정은 상기 대출에 의해 설정된 대출주기에 따라 주기별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대출주기가 대출 실행일로부터 2년의 기간 동안 매달 소정의 상환금을 납부하는 것인 경우에,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는 매달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이 이체되고, 해당 달에 이체된 수익금에서 해당 달에 상환해야 할 상환금이 금융사에게 납부되며, 상환금을 제외한 잔액이 사업자계좌로 매달 이체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정은 상기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와 연계된 외부의 금융서버(4000)를 통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술한 과정 가운데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서 상환금을 제외한 나머지 수익금을 사업자계좌로 이체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서버(1000)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상환금이 납부된 이후에 상기 사업자계좌로 상환금을 제외한 나머지 수익금을 이체되도록 하는 요청을 상기 외부의 금융서버(4000)에 송신함으로써, 상기 외부의 금융서버(4000)가 상기 상환금을 제외한 나머지 수익금을 상기 사업자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대출계좌, 담보 기반 수익계좌 및 사업자계좌에 예치되어 있는 금액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외부의 금융서버(4000)에 상기 대출계좌에 이체되어 있는 대출금액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외부의 금융서버(4000)로부터 현재 대출계좌에 남아있는 대출잔액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 상기 사업자계좌에 대해서도 상기 외부의 금융서버(4000)로부터 각 계좌에 남아있는 잔액정보(담보수익잔액정보 및 사업자잔액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의 금융서버(4000)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은 서비스서버(1000)에서 금융사가 해당 대출에 대한 정보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서비스서버(10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본 발명의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 사업자 단말(3000), 금융서버(4000), 가치평가서버(5000), 자산관리서버(60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은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를 사용주체로 하며, 더 구체적으로, 상기 금융사에서 해당 대출을 관리하는 관리자를 사용주체로 할 수 있다.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은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해당 대출과 관련된 정보들을 제공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부터 사업자에게 제공한 대출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함으로써, 1 이상의 대출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거나, 어느 하나의 대출의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한 현재 가치를 확인하거나, 현재 가치에 따라 해당 대출에 대한 미상환 위험성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자 단말(3000)은 금융사로부터 대출을 받은 사업자를 사용주체로 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사업자 단말(3000)을 통해 담보에 포함된 자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금융서버(4000)는 상술한 대출계좌, 담보 기반 수익계좌 및 사업자계좌를 관리하는 주체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융서버(4000)는 상기 금융사에 의해 운용되거나, 혹은 상기 금융사에 의해 운용되지 않으나, 상기 금융사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금융서버(4000)는 각 계좌에 대한 정보를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 서비스서버(1000), 사업자 단말(30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금융서버(4000)는 상기 대출계좌에 현재 이체되어 있는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현재 이체되어 있는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 및 상기 사업자계좌에 현재 이체되어 있는 잔액에 대한 사업자잔액정보를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 상기 서비스서버(1000) 및 상기 사업자 단말(30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도 2에 도시된 금융서버(4000) 외에 타 금융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타 금융서버는 상기 사업자계좌가 상기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가 관리하는 계좌가 아니라, 타 금융사가 관리하는 계좌인 경우에,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타 금융서버로부터 상기 사업자계좌에 대한 사업자잔액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가치평가서버(5000)는 상기 대출의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한 현재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과정들을 수행하며, 해당 과정을 통해 도출된 자산에 대한 자산가치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치평가서버(5000)는 상기 사업자 단말(3000), 후술하는 자산관리서버(6000)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해당 자산과 관련된 정보들을 수신 혹은 수집하고, 해당 정보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당 자산에 대한 현재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치평가서버(5000)는 평가하고자 하는 자산이 차량인 경우에, 대출의 실행 시점에서 사업자 단말(3000)로부터 수신한 현재 차량의 컨디션 및 해당 차량에 대한 중고 시세 정보를 고려하여 대출 실행 시점에서의 자산가치정보를 도출하며, 이후에 차량의 컨디션이 변경되거나(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거리 업데이트), 혹은 차량의 가치가 변동되는 이벤트가 발생(예를 들어, 차량 사고)되었을 때, 상기 사업자 단말(3000), 상기 자산관리서버(6000) 혹은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로부터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시점에서의 현재 자산의 자산가치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상기 가치평가서버(5000)는 서비스서버(1000)와 별개의 외부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술한 가치평가서버(5000)에서 수행하는 동작들은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자산관리서버(6000)는, 해당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한 정보들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자산관리서버(6000)는 상기 복수의 자산에 대한 보험을 운영하는 보험사의 서버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해당 자산에 대한 고장, 훼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사건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가치변동사건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서비스서버(10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산에 대한 사건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사업자 단말(3000) 혹은 상기 자산관리서버(6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별도의 단말로부터 가치변동사건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를 상기 서비스서버(10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상기 자산관리서버(6000)로부터 제공받는 가치변동사건정보는 해당 자산의 가치의 변동에 따라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는 해당 자산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정보에 해당하므로, 이해관계자에 의해 정보가 변조 혹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 상의 분산원장에 기록됨으로써,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는, 상기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한 이력들이 저장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에 포함된 복수의 노드 각각의 분산 원장에 트랜잭션으로 기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의 요청에 따라 담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한 정보들을 분산 원장으로 기록함으로써, 자산에 대한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자산의 현재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사업자 단말(3000) 또는 상기 가치평가서버(5000)는 해당 자산에 대한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에 요청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로부터 수신한 해당 자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자산에 대한 자산가치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가운데 어느 하나의 노드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서버(1000)의 내부 구성요소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서버(1000)는 대출계좌관리부(1100), 담보수익계좌관리부(1200), 상환이력도출부(1300), 대출위험상태판단부(1400), 대출현황인터페이스제공부(1500), 자산이력관리부(1600) 및 DB(1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출계좌관리부(1100)는 대출계좌관리단계(S100)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대출계좌를 관리하는 외부의 금융서버(4000)로부터 상기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대출계좌관리부(1100)는 상기 금융서버(4000)로부터 자동적으로 대출잔액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금융서버(4000)에 대출잔액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담보수익계좌관리부(1200)는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S110)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를 관리하는 외부의 금융서버(4000)로부터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담보수익계좌관리부(1200)는 상기 금융서버(4000)로부터 자동적으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실시간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금융서버(4000)에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상환이력도출부(1300)는 상환이력도출단계(S120)를 수행하는 것으로, 해당 대출에 대한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한다. 상기 상환이력정보는 해당 대출에 의해 기설정된 대출주기 별로 상환금을 금융사에게 납부하였는지에 대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부(1400)는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를 수행하는 것으로, 해당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하여 각 자산의 현재 가치 및 해당 자산에 대하여 기설정된 기준가치를 비교하여, 해당 자산의 현재 가치가 기설정된 기준가치 대비 얼마나 변동되었는지를 산출하고, 변동되는 정도에 따라 해당 대출에 대한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한다.
종래의 경우, 대출의 위험성을 판단하는 과정은 대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직접 리스크를 판단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대량의 자산을 하나씩 관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서비스서버(1000)에 포함된 대출위험상태판단부(1400)를 통해 자동적으로 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른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하므로, 효과적으로 금융사 측에서 대출 실행에 따른 미상환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제공부(1500)는 대출현황인터페이스제공단계(S140)를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대출계좌관리부(1100), 상기 담보수익계좌관리부(1200), 상기 상환이력도출부(1300) 및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부(1400) 각각에서 수행한 결과들을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를 통해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에 제공한다. 즉,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는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에 디스플레이되며,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를 통해 상기 대출을 관리하는 금융사 측에서 해당 대출과 관련된 정보들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산이력관리부(1600)는 자산이력관리단계(S200 내지 S220)를 수행하는 것으로, 대출의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한 정보들을 외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정보들을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로 하여금 분산원장의 트랜잭션으로 기록되도록 요청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자산이력관리부(1600)는 담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한 이력들을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의 분산원장에 기록함으로써, 해당 이력들이 투명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 포함된 DB(1700)에는 본 발명의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도출되거나, 혹은 상기 서비스서버(1000)가 외부의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DB(1700)에는 상기 서비스서버(1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금융사 혹은 금융사의 관리자에 대한 관리자정보, 상기 서비스서버(10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업자에 대한 사업자정보, 해당 대출에 대한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 해당 대출에 대한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 해당 대출에 대한 상환이력정보, 대출의 상환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수신한 자산가치정보 및 기준가치정보, 해당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산 각각의 현재 가치를 평가하거나, 자산의 이력을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의 분산원장에 기록하기 위한 기본자산정보 및 가치변동사건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의 세부 단계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과 통신을 수행하고,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1000)에서 수행하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금융사가 실행한 사업자의 담보 기반의 대출에 따른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를 외부의 금융서버(4000)로부터 수신하는 대출계좌관리단계(S100); 상기 사업자가 상기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을 예치한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상기 외부의 금융서버(4000)로부터 수신하는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S110);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금액에 기초하여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하는 상환이력도출단계(S120); 및 상기 대출의 담보가 되는 자산의 가치에 대한 자산가치정보를 내부적으로 산출하거나 혹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기 자산에 대한 기준가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하는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출계좌관리단계(S100)는, 금융서버(4000)로부터 금융사에서 실행한 사업자의 담보 기반 대출에 따라 설정된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대출계좌관리단계(S100)는 실시간으로 금융서버(4000)로부터 대출잔액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대출계좌의 잔액이 변동될 때마다 금융서버(4000)로부터 대출잔액정보를 수신하거나, 혹은 기설정된 주기별로 상기 서비스서버(1000)에서 상기 금융서버(4000)로 대출잔액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상기 대출잔액정보를 주기별로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S110)는, 금융서버(4000)로부터 금융사에서 실행한 사업자의 담보 기반 대출에 따라 설정된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는 사업자의 자산 가운데 해당 대출의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 각각에 의하여 창출된 수익금이 예치되는 계좌에 해당하며, 상기 복수의 자산 각각에 의하여 창출된 수익금은 상기 사업자 단말(3000)을 통해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로 예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는 해당 대출의 실행에 따라 사업자가 납부해야 할 상환금을 우선적으로 변제하기 위한 계좌로 이해될 수 있다. 즉,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는 담보에 포함된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에 대하여 1 순위로 변제 받을 수 있는 권리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권리를 실행하기 위하여 담보 기반 수익계좌라는 별도의 계좌를 사용하여 대출을 받은 사업자가 담보에 포함된 자산을 통해 창출한 수익금을 예치하도록 하며,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된 수익금에서 1 순위의 권리를 갖는 금융사에서 상환금을 가져가고, 상환금을 제외한 잔액을 사업자가 가져가게 된다.
즉, 상기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S110)를 통해 금융서버(4000)로부터 수신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통해 금융사 측에서는 상환금을 온전히 회수할 수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사업자 측에서는 상환금을 변제하고 남은 잔액이 얼마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상환이력도출단계(S120)는, 상기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S110)를 통해 수신한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 즉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 및 해당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대출주기별로 상환해야할 상환금액에 기초하여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상환이력도출단계(S120)는, 현재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이체되어 있는 금액과 해당 대출주기에서 상환해야 하는 금액을 비교하여 상환이 가능한지에 대한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한다.
예를 들어, 현재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천 만원이 이체되어 있고, 이번 달(대출주기)에서 500 만원을 상환해야 하는 것으로 기설정된 경우에, 상기 상환이력도출단계(S120)에서는 해당 대출주기에서는 정상적으로 상환될 수 있음에 대한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하고, 만약, 이번 달(대출주기)에서 1,100 만원을 상환해야 하는 것으로 기설정된 경우에, 상기 상환이력도출단계(S120)에서는 해당 대출주기에서는 정상적으로 상환될 수 없음에 대한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환이력도출단계(S120)는 자체적으로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상환이력도출단계(S120)는 외부의 금융서버(4000)로부터 대출에 따라 설정된 대출기간 동안의 대출주기 별로 상환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상환이력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는, 해당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산의 현재 가치를 기준으로 해당 대출에 따른 상환금을 정상적으로 납부할 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는 복수의 자산에 대한 현재 가치에 대한 자산가치정보를 직접 산출하거나 혹은 외부 구성요소(상술한 가치평가서버(50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산가치정보 및 해당 대출의 실행에 따라 금융사에서 설정한 복수의 자산에 대한 기준가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기준가치정보의 차이를 도출하고, 도출된 차이값의 크기에 따라 해당 대출에 대한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에서는 담보에 포함된 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정상적으로 상환금을 납부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하므로, 금융사 측에서 대출에 따른 리스크를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의 구체적인 수행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제공단계(S140)는,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를 제공하며,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에는 상기 대출계좌관리단계(S100)에서 수신한 대출잔액정보, 상기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S110)에서 수신한 담보수익잔액정보, 상기 상환이력도출단계(S120)에서 도출된 상환이력정보 및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에서 도출된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에 대한 판단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에 디스플레이된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에 대해서는 도 5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제공단계(S140)는,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뿐만 아니라, 해당 대출을 받은 사업자의 사업자 단말(30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를 해당 사업자 단말(30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출에 대한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를 제공하는 대출현황인터페이스제공단계(S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는, 상기 대출잔액정보가 표시되는 대출잔액표시영역(A1);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 주기별로 해당 주기에서의 상환이력정보가 표시되는 상환이력표시영역(A4); 및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자산의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도에 대한 상태엘리먼트(E1)가 표시되는 대출위험상태표시영역(A5);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도면은 상술한 대출현황인터페이스제공단계(S140)를 통해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가 디스플레이된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의 화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는 대출잔액표시영역(A1), 담보수익잔액표시영역(A2), 사업자표시영역(A3), 상환이력표시영역(A4) 및 대출위험상태표시영역(A5)을 포함한다.
상기 대출잔액표시영역(A1)은, 현재 대출계좌에 예치되어 있는 잔액 정보, 즉 상기 대출계좌관리단계(S100)를 통해 금융서버(4000)로부터 수신한 대출잔액정보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출잔액정보는 상기 대출계좌의 현재 잔액에 대한 정보 외에도 상기 대출계좌에 대한 계좌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보수익잔액표시영역(A2)은, 현재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되어 있는 잔액 정보, 즉 상기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S110)를 통해 금융서버(4000)로부터 수신한 담보수익잔액정보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보수익잔액정보는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현재 잔액에 대한 정보 외에도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대한 계좌정보 및 가장 최근에 상환금에 대한 정산이 실행된 일자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업자표시영역(A3)은,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에 표시된 대출을 받은 사업자에 대한 사업자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사업자표시영역(A3)에는 사업자정보에 포함된 사업자의 명칭정보(도 5의 'ㅇㅇ모터스') 및 사업자의 업종정보(도 5의 '자동차 임대업(자동차 구독 서비스)')가 표시되며, 상기 사업자표시영역(A3)을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의 사용주체가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사업자의 사업자정보에 포함된 전체 정보가 표시되는 등의 해당 사업자에 대한 세부정보들이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상환이력표시영역(A4)은, 해당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금액에 대한 상환여부에 대한 이력, 즉 상기 상환이력도출단계(S120)를 통해 도출된 상환이력정보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환이력도출단계(S120)를 통해 도출되는 상환이력정보는 해당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대출기간 동안의 대출주기별 상환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상환이력표시영역(A4)에서와 같이, 대출주기가 1 개월 단위인 경우에, 상기 상환이력정보는 대출 실행일로부터 매달 별로 상환이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상환이력표시영역(A4)에서는 2022년 1월 내지 12월 각각이 표시되어 있고, 8월 및 9월에서는 상환금이 미납되어 있으며, 9월에 미납된 금액이 8월에 미납된 금액보다 큰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환이력정보는 각 대출주기별로 해당 대출주기에서 정상적으로 상환금이 납부된 경우에 상환금에 포함된 상환이자금액정보 및 상환원금금액정보를 포함하고, 해당 대출주기에서 상환금이 미납된 경우에 미납된 금액에 해당하는 미납금액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상환이력표시영역(A4)에는 정상적으로 상환금이 납부된 대출주기에 대해서는 상환이자금액정보 및 상환원금금액정보를 표시하며, 상환금이 미납된 대출주기에 대해서는 해당 대출주기에 납부해야할 상환금과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현재 이체되어 있는 금액(담보수익잔액정보)의 차이값에 해당하는 미납금액정보를 표시하며, 만약 2 이상의 연속된 대출주기 동안 연속적으로 상환금이 정상적으로 납부된 경우에는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요소(도 5의 '연속납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환이력표시영역(A4)에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가장 최근의 대출주기에서의 상환 결과(예를 들어, '완료' 및 '미납' 가운데 어느 하나의 상태), 연속적으로 상환금을 미납한 경우에 미납한 횟수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대출위험상태표시영역(A5)은, 해당 대출의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에 대한 현재 가치에 대한 정보, 즉,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를 통해 수신한 현재 시점의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에서 판단한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에 대한 정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상태엘리먼트(E1)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출위험상태표시영역(A5)에는 해당 대출의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을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명칭(도 5의 'XX 차량평가 서비스') 및 상기 복수의 자산의 현재 가치에 대한 총액정보(도 5의 '총 120,870,000원')이 표시되며, 상기 총액정보는 현재 시점에서의 각 자산의 자산가치정보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대출위험상태표시영역(A5)에 표시되는 상태엘리먼트(E1)는 상기 복수의 자산의 현재 가치에 따라 도출된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도의 정도에 따라 시각적으로 상이한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자산의 현재 가치가 기설정된 기준가치보다 큰 경우에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도가 낮은, 즉 양호한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태엘리먼트(E1)는 양호한 상태에 상응하는 색상(도 5에서는 녹색)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자산의 현재 가치가 기설정된 기준가치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도가 높은, 즉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상태엘리먼트(E1)는 위험한 상태에 상응하는 색상(예를 들어, 적색)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대출위험상태표시영역(A5)에 표시되는 상태엘리먼트(E1)를 통해 금융사의 관리자는 상태엘리먼트(E1)를 통해서 현재 대출의 리스크를 용이하기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2000)에 디스플레이되는 대출현황인터페이스(L1)에는 실행 중인 대출에 대한 기본정보만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대출주기별 상환금 납부 현황,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의 현재 가치에 기반한 대출의 미상환 위험도를 추가적으로 표시함으로서, 대량의 대출 상품을 관리하는 금융사 측에서 용이하게 대출 상품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에서 기준가치정보 및 자산가치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준가치정보는,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대출 기간별로 차등적으로 설정된 기준가치값을 포함하고,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는, 상기 자산가치정보 및 현재 시점의 기준가치값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는, 상기 대출이 실행됨에 따라 금융사에서 설정한 기준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산에 대한 실시간 가치에 대한 자산가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가치정보는, 상기 대출의 대출기간(대출계약기간) 동안에 기설정된 대출 기간(대출주기)별로 차등적으로 설정된 복수의 기준가치값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출의 대출기간이 대출 실행일(계약일)로부터 4년이고, 대출 1년 차까지는 해당 자산의 잔존가치 대비 80%의 금액을 기준가치값으로 하고, 대출 2년 차까지는 해당 자산의 잔존가치 대비 60%의 금액을 기준가치값으로 하고, 대출 3년 차까지는 해당 자산의 잔존가치 대비 40%의 금액을 기준가치값으로 하고, 대출 4년 차까지는 해당 자산의 잔존가치 대비 20%의 금액을 기준가치값으로 한다. 이와 같이, 대출기간 내의 구간 별로 차등적으로 설정된 기준가치값은 금융사에서 대출을 실행했을 때, 적어도 원금을 회수하기 위하여 설정한 담보의 가치에 대한 최소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산가치정보는, 대출의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에 대한 실시간 가치에 대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산가치정보는 대출의 실행일(계약일)에서의 잔존가치로부터 해당 자산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내구도 하락, 사고 발생 등의 사건에 따라 실시간으로 감가상각된 가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자산가치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치평가서버(5000) 혹은 사업자 단말(3000)에서 도출되어 서비스서버(1000)에서 수신하거나, 혹은 상기 서비스서버(1000)의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에서 직접 산출될 수도 있다.
또한, 자산에 대한 자산가치정보를 도출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출 실행 시점에서의 자산에 대한 잔존가치를 산출하고, 상기 잔존가치를 기준으로 시간의 추이에 따라 자연적으로 감소하는 가치감소분, 해당 자산에 발생하는 별도의 사건(예를 들어, 자산이 차량인 경우에 교통사고의 발생, 관리 부주의로 인한 자연 감소분 이상의 내구도 하락)에 따른 가치감소분을 적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자산에 대한 실시간 자산가치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B)에서는 대출 계약일(실행일)로부터 2년 차 까지는 자산에 대한 자산가치정보가 자연적으로 노후화되는 가치감소분만 적용되다가, 2년 차 내지 3년 차 사이의 시점에서 해당 자산에 대한 사고가 발생하여 해당 자산의 자산가치정보가 급격하게 하락하는 것으로 산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자산가치정보는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한 실시간 가치를 종합하여 산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는, 상술한 기준가치정보 및 자산가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출에 대한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는 현재 시점에서의 자산가치정보와 상기 기준가치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대출 기간(대출주기) 가운데 현재 시점에 상응하는 대출 기간에 대하여 설정된 기준가치값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차이값의 크기에 따라 해당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을 예로 들면, 도 6의 (B)에 도시된 사고 발생 시점까지는 자산가치정보가 해당 대출 기간(대출주기) 각각에 설정된 기준가치값 이상이나, 사고 발생 시점에서부터 대출 계약일(실행일)로부터 3년 차가 되는 시점까지는 자산가치정보가 해당 대출 기간(2년 차 내지 3년 차)에 설정된 기준가치값보다 작게된다. 따라서,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에서는, 사고 발생 시점에서부터 3년 차가 되는 시점까지는 해당 대출의 미상환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한편, 더 구체적으로, 해당 대출의 미상환 위험도는 자산가치정보 및 기준가치값의 차이값이 0 이상인 경우(자산가치정보가 기준가치값 이상)에 미상환 위험도가 낮은(양호) 것으로, 차이값이 0 미만인 경우(자산가치정보가 기준가치값 미만)에 미상환 위험도가 높은(위험) 것으로 단순 판단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는 차이값의 크기에 따라 위험도를 차등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산가치정보에서 기준가치값을 뺀 차이값이 0 미만 -10 이상인 경우에 위험의 정도가 제1 위험수준인 것으로 판단하고, 차이값이 -10 미만 -20 이상인 경우에 위험의 정도가 제2 위험수준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반대로 차이값이 0 이상 10 미만인 경우에, 위험의 정도가 제1 양호수준인 것으로 판단하고, 차이값이 10 이상 20 미만인 경우에 위험의 정도가 제2 양호수준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과 같이,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에 대한 정도를 3 이상의 단계로 차등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는, 해당 대출의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에 대한 실시간 가치와 해당 복수의 자산에 대하여 금융사에서 설정한 기준가치값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자산의 실시간 가치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금융사 측에 제공함으로써, 금융사 측에서 대량의 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용이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산이력관리단계(S200 내지 S220)의 수행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자산이력관리단계(S200 내지 S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산이력관리단계(S200 내지 S22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자산에 대한 기본자산정보를 외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의 분산원장에 상기 기본자산정보를 트랜잭션으로 기록하도록 요청하는 기본자산정보등록단계(S200); 상기 기본자산정보가 분산원장에 기록된 이후 상기 자산의 가치가 변동되는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자산을 관리하는 외부의 자산관리서버(6000)로부터 상기 자산의 가치가 변동되는 사건에 대한 가치변동사건정보를 수신하는 가치변동사건수신단계(S210);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의 분산원장에 상기 자산에 대한 가치변동사건정보를 트랜잭션으로 기록하도록 요청하는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산이력관리단계(S200 내지 S220)는 상기 기본자산정보등록단계(S200), 상기 가치변동사건수신단계(S210) 및 상기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S220)를 포함하며, 상기 자산이력관리단계(S200 내지 S220)가 수행됨에 따라 상기 대출의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에 대한 이력들이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의 분산원장에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대출에 관련되어 있는 이해관계자들이 자산의 이력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분산원장에 기록되어 있는 자산의 이력들을 기반으로 상술한 가치평가서버(5000) 혹은 사업자 단말(3000)에서 해당 자산에 대한 실시간 가치에 해당하는 자산가치정보를 도출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도출된 자산가치정보는 서비스서버(1000)에서 수신하여 상술한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S130)에서 자산 가치 변동에 따른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기본자산정보등록단계(S200)는, 서비스서버(1000)의 외부 구성요소, 바람직하게는 대출을 받은 사업자의 사업자 단말(3000)로부터 자산에 대한 기본자산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기본자산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로 하여금 분산원장에 트랜잭션 상에 기록하도록 요청한다.
상기 기본자산정보는,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하여 기초가 되는 정보로써, 예를 들어, 해당 자산의 이름, 종류, 구입가격, 소유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본자산정보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 각각의 분산원장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기본자산정보등록단계(S200)에서 대출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가 분산원장에 기록된 후에, 자산에 어떠한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에, 해당 사건에 대한 정보를 해당 자산의 이력으로 분산원장에 추가적으로 기록함으로써, 해당 자산의 이력을 용이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후술하는 상기 가치변동사건수신단계(S210) 및 상기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S220)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치변동사건수신단계(S210)는,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산 가운데 적어도 1 이상의 자산의 가치가 변동되는 경우에, 서비스서버(1000)의 외부 구성요소로부터 자산의 가치가 변동되었음에 대한 가치변동사건정보를 수신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를 송신하는 외부 구성요소는 예컨대, 해당 자산과 관련된 보험사에서 운용하는 보험사 서버와 같이 자산관리서버(6000)에 해당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를 송신하는 외부 구성요소에는, 해당 대출을 받은 사업자의 사업자 단말(3000)이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는 해당 자산에 대한 가치가 변동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자산이 차량이고 해당 차량에 대해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는 교통사고에 대한 현장사진정보, 차량의 파손 상태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S220)는, 상기 가치변동사건수신단계(S210)를 통해 수신한 가치변동사건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로 하여금 분산원장의 트랜잭션으로 기록되도록 요청하며, 이에 따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는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를 분산원장에 기록함으로써, 해당 자산에 대한 가치가 변동되는 사건에 대한 이력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S220)는,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에 이미지파일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이미지파일에 대한 이미지해시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로 하여금 상기 이미지해시정보를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으로 기록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에 이미지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S220)에서는 이미지 자체를 분산원장에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인 소정의 과정을 통해 상기 이미지파일을 포함하는 가치변동사건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의 분산원장에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S220)는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에 포함된 이미지파일을 사용하여 상기 이미지파일에 대한 이미지해시정보를 도출한다. 상기 이미지해시정보는 이미지파일의 데이터를 소정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기설정된 크기를 갖는 문자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알고리즘은 Secure Hash Algorithm(SHA), Message-Digest algorithm 5(MD5) 등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S220)는 도출된 상기 이미지해시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의 분산원장의 트랜잭션으로 기록되도록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에 요청한다.
이와 같이, 상기 기본자산정보등록단계(S200)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의 분산원장에 기본자산정보를 트랜잭션으로 기록되도록 요청하고, 상기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S220)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의 분산원장에 가치변동사건정보를 트랜잭션으로 기록되도록 요청하며, 만약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에 이미지파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이미지파일에 대한 이미지해시정보를 도출하며, 상기 이미지해시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의 분산원장에 트랜잭션으로 기록되도록 요청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미지파일 자체를 분산원장에 기록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이미지해시정보를 분산원장에 기록함으로써, 분산원장의 기록에 필요로 하는 컴퓨팅 자원의 양을 줄이면서도, 이미지파일에 대한 변조 여부 등을 손쉽게 검증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7000)의 분산원장의 트랜잭션으로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한 이력들을 기록함으로써, 자산의 이력을 이해관계자들이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더 구체적으로는 분산원장에 기록된 자산의 이력을 토대로 가치평가서버(5000) 혹은 사업자 단말(3000)에서 해당 자산의 실시간 가치를 평가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서비스서버(1000)는 도 9에 도시된 컴퓨팅장치(11000)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팅장치(1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장치(11000)는 도 2에 도시된 서비스서버(1000)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 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장치(11000)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9의 실시예는, 컴퓨팅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장치(11000)는 도 9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장치는 도 9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컴퓨팅장치(110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컴퓨팅장치(110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자에게 자산 기반의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의 관리자가 대출현황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대출에 대한 사업자의 대출계좌, 해당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에 대한 담보 기반 수익계좌, 기설정된 상환금액에 대한 상환이력정보, 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른 대출의 상환 위험성에 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는, 실시간으로 도출된 자산에 대한 가치에 해당하는 자산가치정보 및 기준가치정보의 차이값에 따라 실시간 가치가 기준 가치보다 작은 경우에 해당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므로, 대출을 실행한 금융사의 관리자가 대출의 리스크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산이력관리단계는, 대출의 담보가 되는 자산의 가치가 변동되는 이벤트에 대한 정보들을 블록체인 상에 기록하므로, 대출을 받은 사업자가 임의로 가치 변동에 대한 정보들을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등의 행위를 방지함으로써, 자산에 대한 정보들을 금융사와 사업자가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대출의 담보가 되는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이 우선적으로 예치되는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서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금액을 차감한 후에 잔액을 상기 대출을 받은 사업자의 사업자계좌로 이체함으로써, 금융사가 선순위로 상환을 보장받을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자산을 담보로 하는 대출 상품을 관리하는데 있어서,복수의 자산 각각에 대한 가치의 변동 이력을 용이하게 추적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7)

  1. 금융사 관리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고,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에서 수행하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금융사가 실행한 사업자의 담보 기반의 대출에 따른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를 외부의 금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대출계좌관리단계;
    상기 사업자가 상기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을 예치한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상기 외부의 금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금액에 기초하여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하는 상환이력도출단계; 및
    상기 대출의 담보가 되는 자산의 가치에 대한 자산가치정보를 내부적으로 산출하거나 혹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기 자산에 대한 기준가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하는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에 의하여 창출된 수익은 상기 사업자의 사업자계좌와 독립된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되고,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 주기에서는,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된 수익금에서 해당 주기에서 납부해야 할 상환금이 금융사에 납부되고, 상환금을 제외한 나머지 수익금이 상기 사업자의 사업자계좌에 이체되고,
    상기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출에 대한 대출현황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대출현황인터페이스제공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는,
    상기 대출잔액정보가 표시되는 대출잔액표시영역;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되어 있는 잔액정보가 표시되는 담보수익잔액표시영역;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 주기별로 해당 주기에서 정상적으로 상환금이 납부된 경우에 상환금에 포함된 상환이자금액정보 및 상환원본금액정보를 표시하고, 해당 주기에서 상환금이 미납된 경우에 해당 주기에 납부해야할 상환금과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현재 이체되어 있는 금액의 차이값에 해당하는 미납금액정보가 표시되는 상환이력표시영역; 및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자산의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도에 대한 상태엘리먼트가 표시되는 대출위험상태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가치정보는,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대출 기간별로 차등적으로 설정된 기준가치값을 포함하고,
    상기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는,
    상기 자산가치정보 및 현재 시점의 기준가치값의 차이값이 기설정된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자산이력관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산이력관리단계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자산에 대한 기본자산정보를 외부의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상기 기본자산정보를 트랜잭션으로 기록하도록 요청하는 기본자산정보등록단계;
    상기 기본자산정보가 분산원장에 기록된 이후 상기 자산의 가치가 변동되는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자산을 관리하는 외부의 자산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자산의 가치가 변동되는 사건에 대한 가치변동사건정보를 수신하는 가치변동사건수신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하여금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상기 자산에 대한 가치변동사건정보를 트랜잭션으로 기록하도록 요청하는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를 포함하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치변동사건등록단계는,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에 이미지파일이 포함된 경우에, 상기 이미지파일에 대한 이미지해시정보를 도출하고,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하여금 상기 이미지해시정보를 상기 가치변동사건정보에 대한 트랜잭션으로 기록하도록 요청하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6. 금융사 관리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고,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여,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서버로서,
    상기 금융사가 실행한 사업자의 담보 기반의 대출에 따른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를 외부의 금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대출계좌관리단계;
    상기 사업자가 상기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을 예치한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상기 외부의 금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금액에 기초하여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하는 상환이력도출단계; 및
    상기 대출의 담보가 되는 자산의 가치에 대한 자산가치정보를 내부적으로 산출하거나 혹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기 자산에 대한 기준가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하는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에 의하여 창출된 수익은 상기 사업자의 사업자계좌와 독립된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되고,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 주기에서는,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된 수익금에서 해당 주기에서 납부해야 할 상환금이 금융사에 납부되고, 상환금을 제외한 나머지 수익금이 상기 사업자의 사업자계좌에 이체되고,
    상기 서비스서버는,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출에 대한 대출현황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대출현황인터페이스제공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는,
    상기 대출잔액정보가 표시되는 대출잔액표시영역;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되어 있는 잔액정보가 표시되는 담보수익잔액표시영역;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 주기별로 해당 주기에서 정상적으로 상환금이 납부된 경우에 상환금에 포함된 상환이자금액정보 및 상환원본금액정보를 표시하고, 해당 주기에서 상환금이 미납된 경우에 해당 주기에 납부해야할 상환금과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현재 이체되어 있는 금액의 차이값에 해당하는 미납금액정보가 표시되는 상환이력표시영역; 및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자산의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도에 대한 상태엘리먼트가 표시되는 대출위험상태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서비스서버.
  7. 금융사 관리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고, 1 이상의 프로세서 및 1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서비스서버에서 수행하는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서비스서버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하의 단계들은:
    상기 금융사가 실행한 사업자의 담보 기반의 대출에 따른 대출계좌의 잔액에 대한 대출잔액정보를 외부의 금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대출계좌관리단계;
    상기 사업자가 상기 대출의 담보에 포함되는 자산에 의해 창출된 수익금을 예치한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에 대한 담보수익잔액정보를 상기 외부의 금융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담보수익계좌관리단계;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의 잔액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금액에 기초하여 상환이력정보를 도출하는 상환이력도출단계; 및
    상기 대출의 담보가 되는 자산의 가치에 대한 자산가치정보를 내부적으로 산출하거나 혹은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기 자산에 대한 기준가치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성을 판단하는 대출위험상태판단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담보에 포함된 복수의 자산에 의하여 창출된 수익은 상기 사업자의 사업자계좌와 독립된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되고,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 주기에서는,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된 수익금에서 해당 주기에서 납부해야 할 상환금이 금융사에 납부되고, 상환금을 제외한 나머지 수익금이 상기 사업자의 사업자계좌에 이체되고,
    상기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금융사 관리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대출에 대한 대출현황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대출현황인터페이스제공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대출현황인터페이스는,
    상기 대출잔액정보가 표시되는 대출잔액표시영역;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예치되어 있는 잔액정보가 표시되는 담보수익잔액표시영역;
    상기 대출에 따라 기설정된 상환 주기별로 해당 주기에서 정상적으로 상환금이 납부된 경우에 상환금에 포함된 상환이자금액정보 및 상환원본금액정보를 표시하고, 해당 주기에서 상환금이 미납된 경우에 해당 주기에 납부해야할 상환금과 상기 담보 기반 수익계좌에 현재 이체되어 있는 금액의 차이값에 해당하는 미납금액정보가 표시되는 상환이력표시영역; 및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자산의 자산가치정보 및 상기 대출의 미상환 위험도에 대한 상태엘리먼트가 표시되는 대출위험상태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0220126160A 2022-10-04 2022-10-04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2529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60A KR102529762B1 (ko) 2022-10-04 2022-10-04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160A KR102529762B1 (ko) 2022-10-04 2022-10-04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9762B1 true KR102529762B1 (ko) 2023-05-08

Family

ID=8638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160A KR102529762B1 (ko) 2022-10-04 2022-10-04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97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2669A (zh) * 2023-09-05 2023-10-10 深圳市明心数智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贷款数据分析方法、系统及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8703A (ja) * 2004-01-20 2005-08-04 Autobus:Kk 担保対象物の資産価値管理システム、担保対象物の資産価値管理方法、担保対象物の資産価値管理プログラム、担保対象物の資産価値管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20200091882A (ko) * 2017-11-22 2020-07-31 솔트 블락체인 인코포레이티드 증분적으로 완성되는 디지털 자산 담보 지갑
KR20200092192A (ko) *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하나은행 담보물 점검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8703A (ja) * 2004-01-20 2005-08-04 Autobus:Kk 担保対象物の資産価値管理システム、担保対象物の資産価値管理方法、担保対象物の資産価値管理プログラム、担保対象物の資産価値管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20200091882A (ko) * 2017-11-22 2020-07-31 솔트 블락체인 인코포레이티드 증분적으로 완성되는 디지털 자산 담보 지갑
KR20200092192A (ko) * 2019-01-24 2020-08-03 주식회사 하나은행 담보물 점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62669A (zh) * 2023-09-05 2023-10-10 深圳市明心数智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贷款数据分析方法、系统及介质
CN116862669B (zh) * 2023-09-05 2023-12-22 深圳市明心数智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贷款数据分析方法、系统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77389A1 (en) Supply chain finance system
US20210264532A1 (en) Using a Distributed Ledger to Track a VIN Lifecycle
KR102469300B1 (ko) 스마트 계약의 토큰화된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80075527A1 (en) Credit score platform
US109569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verifiable invoice and credit financing
US20160225073A1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predicting a customer's credit score
US20100138311A1 (en) Software Escrow Service
KR102529762B1 (ko) 사업자의 자산 기반의 대출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1303300B1 (ko) 담보거래 서비스 방법
US201403101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erchant debit card program including a plurality of issuers
CN111260362A (zh) 一种区块链网络的信息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11038750B2 (en) Management of configuration modifications in distributed data systems
US20220172214A1 (en) Method for generating transferable tranches
CN113536319B (zh) 接口风险预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121476B1 (ko) 대환 대출 플랫폼을 통한 신용 등급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EP4062347A1 (en) Digital currency
CN111598693A (zh) 一种基于区块链的账户管理方法、系统及装置
KR101222937B1 (ko) 동일 담보계좌를 이용한 복수 대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200948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conditional payment transaction
EP36716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 conditional payment transaction
US202200840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irect trading of electronic transactions
CN115205038A (zh) 区块链跨链金融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878282B1 (ko) 중고 자동차를 이용한 피투피 대출 서비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220051496A (ko) 레그테크(RegTech)의 비즈니스 분야에서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불완전판매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30531B1 (ko) 유가증권 거래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