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332B1 -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 - Google Patents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332B1
KR102528332B1 KR1020210116560A KR20210116560A KR102528332B1 KR 102528332 B1 KR102528332 B1 KR 102528332B1 KR 1020210116560 A KR1020210116560 A KR 1020210116560A KR 20210116560 A KR20210116560 A KR 20210116560A KR 102528332 B1 KR102528332 B1 KR 102528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fixing
earthquake
steel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3515A (ko
Inventor
김형석
김상윤
송홍범
김지수
김한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16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332B1/ko
Publication of KR20230033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3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창문이 설치되는 홀을 기준으로 둘레 또는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노출되는 면에 형성되는 스티프너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다각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 시 상기 스티프너와 접하는 복수개의 H형강 및 상기 복수개의 H형강을 이어주는 모서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Seismic Window Steel Frame}
본 발명은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다각형상의 프레임을 가진 복수개의 H형강과 상기 H형강을 이어주는 모서리부로 구성하여 운반을 용이하게 하고, 프레임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스티프너를 모서리부와 같은 취약 부분에는 복수개를 설치하여 내진성을 보다 증가시킨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창호 철골 프레임은 창호보다 큰 구조물로서 창호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창호에 보강력을 더해준다. 특히 건물에 설치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외력에 견딜만한 충분한 강도와 강성, 시공하는데 있어 충분한 경제성 및 안정성이 요구된다.
한편, 최근의 건설공사는 구조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 지하공간 활용의 증가 등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 안전영향평가 등 건물 공사에 대한 관심과 주의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 건설공사는 내진 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그에 따른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창호 설계를 하는데 있어서도, 내진 보강을 위해 댐퍼 추가, 철골 연결구 보강, CFT 보강 등 내진 보강 창호 철골 프레임 공법이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내진 보강 창호 철골 프레임 공법에 관한 일례로서, 한국등록특허 제 10-1951095호 '학교 건축물 창호 개구부를 활용한 내진보강공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내진 보강 구조물을 추가 설치해야 하다 보니 공사기간이 늘어나거나 공사현장으로 옮겨야 할 자재들이 늘어나 운반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이 H형강과 모서리부로 분리 가능하여 운반이 용이하고, 스티프너를 H형강의 취약부분과 중심부분으로 나누고, 나눈 부분에 따라 설치하는 양을 다르게 함으로서 원료를 아낄 수 있는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창문이 설치되는 홀을 기준으로 둘레 또는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노출되는 면에 형성되는 스티프너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다각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다각형성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 시 상기 스티프너와 접하는 복수개의 H형강 및 상기 복수개의 H형강을 이어주는 모서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H형강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H형강은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형강홀 및 상기 형강홀을 관통하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고정돌기 중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고정돌기들끼리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내부고정부 및 상기 복수개의 내부고정부 중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내부고정부들을 고정시키는 외부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창문이 설치되는 홀을 기준으로 둘레 또는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되, 회동이 가능한 회동플레이트; 상기 고정플레이트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H형강과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은, 복수개의 H형강과 복수개의 다각형상의 모서리부로 분리되어 제작되므로 운반이 매우 간편하고, 부피가 작아 협소한 장소로도 이동이 가능하여, 어떤 장소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티프너가 H형강의 중심부분에는 1중, 모서리 부근의 취약부분에는 다중으로 설치되어, 프레임의 보강력이 높아지고 스티프너 사용을 최소화하여 원료를 아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를 통해 H형강과 베이스플레이트 간에 고정력을 더해줘 종래 기술의 철골 프레임보다 외력에 견디는 힘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동부는 창문이 설치되는 홀에 따라 자유롭게 외부형 또는 내부형으로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활용도가 우수하여 산업 전반적으로 큰 의의를 내포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이 외부형으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이 내부형으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스티프너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고정부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고정부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고정부와 고정돌기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고정부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와 H형강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고정부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와 H형강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베이스플레이트의 기본/가변 상태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베이스플레이트를 기본 상태로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베이스플레이트를 가변 상태로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이 외부형으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이 내부형으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스티프너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프레임을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고정부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고정부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고정부와 고정돌기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고정부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와 H형강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9의 고정부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와 H형강이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1)은 건물의 창문이 설치되는 홀(H)에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1)은 내진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되고 외력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설치되어,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1)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창문을 보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1)은 후술할 베이스플레이트(10)가 창문이 설치되는 홀(H)을 기준으로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내부형 또는 외부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내부형과 외부형은 베이스플레이트(10)가 설치되는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H형강(31)이 베이스플레이트(10)에 결합되는 위치가 다를 수 있다.
내부형은 베이스플레이트(10)가 상기 홀(H)의 내주면에 설치될 경우일 수 있고, 외부형은 베이스플레이트(10)가 상기 홀(H)의 둘레에 설치될 경우일 수 있다.
상기 창호 철골 프레임(1)은 사각형으로 구비되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삼각형, 오각형과 같이 다각형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1)은 베이스플레이트(10), 스티프너(20), 프레임(3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창호 철골 프레임(1)은 내부형 또는 외부형으로 설치된 베이스플레이트(10)의 노출면에 프레임(30)이 결합되되, 베이스플레이트(10)와 프레임(30)이 결합되는 공간에 스티프너(20)가 구비되어 접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내부형 또는 외부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가진 판판한 사각형의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 하지 않는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결합자재(11) 및 결합홀(1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내부형 또는 외부형으로 설치될 때 결합자재(11)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자재(11)는 볼트로 구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한정하지 않고 못, 리벳과 같이 여러 가지 자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자재(11)는 결합홀(12)을 관통하여 설치할 위치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결합홀(12)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형성된 구성으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홀(12)은 베이스플레이트(10)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스티프너(2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노출면 또는 후술할 H형강(31)의 노출면에 형성되어 프레임(30)의 내구성을 보강할 수 있다.
스티프너(20)가 베이스플레이트(10)에 형성될 경우, 스티프너(20)는 모든 베이스플레이트(10)의 노출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1)이 내부형인 경우 상부, 하부에 위치한 베이스플레이트(10)에만 스티프너(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의 필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의 베이스플레이트(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티프너(2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노출면에 형성될 때, 베이스플레이트(10)의 중심 부분, 양단부분에 따라 다른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티프너(2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중심부분에는 1개, 양단부분에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결합되는 H형강(31)의 비교적 외력에 강한 중심부분에는 최소한의 스티프너(20)가 위치되도록 하고, 외력에 취약한 H형강(31)의 양단부분에는 복수개가 위치되도록 하여, 원료사용을 최소화하면서 내진성이 효과적으로 보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프레임(30)은 상기 홀(H)의 형상을 따라 사각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한정하지 않고, 다각형 등 창문 또는 홀(H)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프레임(30)은 베이스플레이트(10)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30)은 베이스플레이트(1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와 결합되는 방식 또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1)이 내부형인 경우 프레임(30)은 외주면의 방향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와 결합될 수 있고,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1)이 외부형인 경우 프레임(30)은 전면 또는 후면의 방향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30)은 복수개의 H형강(31)과 후술할 모서리부(32)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30)은 H형강(31), 모서리부(32) 및 모서리자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H형강(31)이 각각 완전히 접할 수 있도록 H형강(31)의 양단은 프레임(30)의 형상에 맞춰 대각선의 형태로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형강(31)의 양단이 절단되지 않아 H형강(31)끼리 떨어져서 모서리부(32)만 사용하여 결합될 경우 외력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복수개의 H형강(31)이 완전히 접하지 않아 H형강(31) 사이에 생긴 공간을 모서리부(32)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H형강(31)들을 연결 결합할 수 있다.
이에 프레임(30)은 복수개의 H형강(31) 및 모서리부(32)가 결합된 상태가 아닌 분리된 상태로 운반 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H형강(31)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베이스플레이트(10)와 결합 시 스티프너(20)와 접할 수 있다.
H형강(31)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되어 모서리부(32)와 연결되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한정하지 않고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마름모와 같이 여러 가지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모서리부(32)는 복수개의 H형강(31)을 이어주는 구성으로 H형강(31)과 결합고정 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H형강(31)이 배치된 형상에 따라 모서리부(32)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H형강(31)이 사각형의 형상에 맞춰 배치되면 모서리부(32)는 'ㄱ'자 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모서리자재(33)는 복수개의 H형강(31)이 모서리부(32)에 의해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때, 모서리자재(33)는 삼각형의 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모서리부(32)에 의해 연결되는 부위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또한, 모서리자재(33)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1개만 형성되거나 모서리부(32)에 의해 연결되는 부위에 각각 다른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도 9 내지 13을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10)는 복수개의 고정돌기(13), H형강(31)은 형강홀(311) 및 고정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돌기(13)는 형강홀(311)을 관통하여 H형강(31)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13)는 탄소강, 크롬 몰리브덴 강, ECC 콘크리트, 스테인리스와 같이 여러 가지 금속으로 구성 될 수 있다.
고정돌기(13)는 형강홀(311)과 맞닿는 부분에 용접, 접착 결합과 같은 여러 가지 결합방식으로 H형강(31)에 고정 될 수 있다.
이때, 고정돌기(13)는 베이스플레이트(10)와 H형강(31) 간에 고정력을 더해 줄 수 있다.
형강홀(311)은 H형강(31)의 일단에 복수개로 형성된 구성으로 고정돌기(13)가 관통될 수 있다.
이때, 형강홀(311)은 스티프너(20)와 접하지 않도록 H형강(31)의 양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형강홀(311)의 크기와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고정돌기(13)가 관통하는데 간섭이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312)는 형강홀(311)을 관통한 복수개의 고정돌기(13)를 H형강(31)에 고정시켜 고정력을 더해주는 장점이 있다.
고정부(312)는 도면을 참조하면 육면체의 형상으로 되어있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고정돌기(13)가 형강홀(311)을 관통하여 H형강(31)에 고정되는데 간섭이 없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312)는 내부고정부(3121) 및 외부고정부(3122)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고정부(3121)는 동일 선상에 위치해 있는 고정돌기(13)들끼리 고정시키고, H형강(31)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부고정부(3121)는 H형강(31)에 용접결합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착 결합, 볼트 너트 결합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외부고정부(3122)는 상기 복수개의 내부고정부(3121) 중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내부고정부(3121)들을 볼트 너트 결합과 같은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외부고정부(3122)는 H형강(31)에 용접하여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착 결합, 볼트 너트 결합과 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14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기본/가변 상태에 따른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를 기본 상태로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베이스플레이트를 가변 상태로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7의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의 모습을 나타낸 후면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1)의 베이스플레이트(10)는 가변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는 회동플레이트(14), 힌지부(15) 및 결합플레이트(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동플레이트(14)는 회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홀(H)을 기준으로 둘레 또는 내주면 중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힌지부(15)는 상기 회동플레이트(14) 일단에 형성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때, 힌지부(15)는 결합플레이트(16)에 지지된 상태로 회동플레이트(14)를 회동시킬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16)는 힌지부(15)를 중심으로 회동플레이트(14)와 연결되고 스티프너(20)와 접할 수 있다.
결합플레이트(16)는 회동되지 않고 H형강(31)과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결합플레이트(16)가 H형강(31)에 결합 고정될 시 용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1)을 설치할 시 베이스플레이트(10)가 기본 상태로 사용될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H)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플레이트(10)가 홀(H)의 둘레에 설치될 수도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는 기본 상태로 사용될 경우, 회동플레이트(14)의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회동플레이트(14)를 결합플레이트(16)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회동플레이트(14)와 결합플레이트(16)를 용접하여 고정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1)의 베이스플레이트(10)를 가변된 상태로 홀(H)의 내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의 회동 기능을 이용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베이스플레이트(10)를 가변시켜 홀(H)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상태에 따라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1)을 내부형으로 설치한 경우만 도시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동플레이트(14)를 가변하여 외부형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베이스플레이트(10)는 고정자재(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자재(17)는 회동플레이트(10)를 가변된 상태로 홀(H)에 설치할 경우, 회동플레이트(10)가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회동플레이트(14)와 결합플레이트(16) 사이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자재(17)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고정자재(17)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자재(17)가 복수개로 설치되었을 시 모두 같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각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자재(17)는 회동플레이트(14)를 기본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
10 : 베이스플레이트
11 : 결합자재
12 : 결합홀
13 : 고정돌기
14 : 회동플레이트
15 : 힌지부
16 : 결합플레이트
17 : 고정자재
20 : 스티프너
30 : 프레임
31 : H형강
311 : 형강홀
312 : 고정부
3121 : 내부고정부
3122 : 외부고정부
32 : 모서리부
33 : 모서리자재
H : 창문이 설치되는 홀

Claims (4)

  1.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창문이 설치되는 홀을 기준으로 둘레 또는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노출되는 면에 형성되는 스티프너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다각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 시 상기 스티프너와 접하는 복수개의 H형강 및
    상기 복수개의 H형강을 이어주는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H형강과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정한 길이를 가지되, 일측에 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H형강은,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형강홀 및
    상기 형강홀을 관통한 상기 고정돌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복수개의 고정돌기 중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고정돌기들끼리 고정시키는 복수개의 내부고정부 및
    상기 복수개의 내부고정부 중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내부고정부들을 고정시키는 외부고정부를 포함하는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창문이 설치되는 홀을 기준으로 둘레 또는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다수의 베이스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되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노출되는 면에 형성되는 스티프너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다각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다각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 시 상기 스티프너와 접하는 복수개의 H형강 및
    상기 복수개의 H형강을 이어주는 모서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창문이 설치되는 홀을 기준으로 둘레 또는 내주면을 따라 설치되되, 회동이 가능한 회동플레이트;
    상기 회동플레이트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H형강과 결합되는 결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
KR1020210116560A 2021-09-01 2021-09-01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 KR102528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60A KR102528332B1 (ko) 2021-09-01 2021-09-01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560A KR102528332B1 (ko) 2021-09-01 2021-09-01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515A KR20230033515A (ko) 2023-03-08
KR102528332B1 true KR102528332B1 (ko) 2023-05-03

Family

ID=85507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560A KR102528332B1 (ko) 2021-09-01 2021-09-01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3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96B1 (ko) 2008-04-14 2010-09-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철골 보와 기둥의 셀프센터링 접합부 구조
KR102017728B1 (ko) * 2019-03-29 2019-09-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어댑터가 구비된 내진보강프레임 구조
KR102177097B1 (ko) * 2020-07-01 2020-11-10 주식회사 동양구조이앤알 다수의 댐퍼와 철골구조물이 결합된 내진보강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296B1 (ko) 2008-04-14 2010-09-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철골 보와 기둥의 셀프센터링 접합부 구조
KR102017728B1 (ko) * 2019-03-29 2019-09-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정어댑터가 구비된 내진보강프레임 구조
KR102177097B1 (ko) * 2020-07-01 2020-11-10 주식회사 동양구조이앤알 다수의 댐퍼와 철골구조물이 결합된 내진보강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3515A (ko) 202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3332B2 (en) Framework connecting device of prefabricated building structure
JP6863776B2 (ja) 継手構造および建築用構造体
KR102311223B1 (ko) 다가구 필로티 기둥의 diy 보강용 내진보강 공법
JP4710067B2 (ja) 柱梁接合構造
KR102528332B1 (ko) 내진형 창호 철골 프레임
JP5709150B1 (ja) 組立式足場
JP2004169298A (ja) 柱と梁の接合構造、柱と梁の接合方法
JP5142574B2 (ja) 木造建築物
JP4853422B2 (ja)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JP4945428B2 (ja) 補強構造
KR20130122790A (ko) 유닛 건물의 연결 구조 및 유닛 건물
KR101444225B1 (ko) 마이크로파일
JP6837826B2 (ja) 建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JP4309783B2 (ja) 中空鋼管鉄塔を補強するための添接丸材による補強構造
JP4752382B2 (ja) 鉄骨軸組構造の低層建築物、耐力壁パネル、耐力壁パネル取付部材、耐力壁パネルの取付方法
JP6895080B2 (ja) 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457173B1 (ko) 건축용 골조
JP5143526B2 (ja) 建築物の柱脚構造
JP3772320B2 (ja) 既存建築物の耐震補強方法
JP3046750B2 (ja) 建築物の仕口
JP5922736B2 (ja) 木造建築物用連結補強構造
JP4478102B2 (ja) 通し柱構造
JP2020143502A (ja) 耐力壁
JP7374411B2 (ja) 道路面耐震補強構造
JP3371815B2 (ja) 既存建築物の制震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