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308B1 - 투명판이 배치된 흡음형 방음패널 - Google Patents
투명판이 배치된 흡음형 방음패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8308B1 KR102528308B1 KR1020220043231A KR20220043231A KR102528308B1 KR 102528308 B1 KR102528308 B1 KR 102528308B1 KR 1020220043231 A KR1020220043231 A KR 1020220043231A KR 20220043231 A KR20220043231 A KR 20220043231A KR 102528308 B1 KR102528308 B1 KR 1025283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absorbing
- frame
- sound
- absorbing material
- storage spa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2—Selection of materials
- G10K11/168—Plu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e.g. sandwich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18—Panels, e.g. active sound-absorption panels or noise barrier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30—Means
- G10K2210/321—Physical
- G10K2210/3223—Materials, e.g. special compositions or g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벽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음패널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방음부 및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들이 연결되어 상기 방음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상기 방음부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하여, 다양한 주파수에 해당되는 소리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방음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음벽에 사용되는 투명판이 배치된 흡음형 방음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지면에 돌출된 앵커볼트에 바닥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H형 강철 기둥 사이에 다수의 방음판이 삽입 및 고정되는 구조로 형성되고, 흡음재가 내장된 방음패널이 별도의 지지대를 통해 강철 기둥에 결합된다.
또한, 방음벽 너머로 전달되는 소음은 저주파음, 중주파음 및 고주파음으로 분류할 수 있고, 다공성 구조와 같이 고주파음에 대한 방음 또는 흡음을 위해 사용되는 구조는 중주파나 고주파음에 대한 방음 또는 흡음효과가 낮기 때문에 저주파음, 중주파음 및 고주파음을 동시에 방음 또는 흡음시키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24021호는 멀티형 방음패널을 갖는 방음벽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14660호는 파손 투명패널과 프레임의 부분 교체가 용이한 유지보수형 방음패널과 방음지주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다양한 주파수를 가지는 소음에 대한 방음 또는 흡음기능이 개선된 방음패널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방음벽에 사용되고 투명한 방음부재가 부착되었음에도 흡음효율이 향상된 방음패널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이격되고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지주들, 상기 지주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지주들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주들을 연결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방음벽에 설치되는 방음패널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방음부 및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들이 연결되어 상기 방음부의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상기 방음부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음패널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상기 방음부의 외측방향으로 적층되게 내장되고, 폴리에스터(Polyester) 소재로 제작되는 제1 흡음재들 및 상기 제1 흡음재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1 흡음재들보다 밀도가 높은 폴리에스터 소재로 제작된 제2 흡음재를 구비하는 흡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흡음재는 상기 제1 흡음재들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부는 폴리에스터 소재로 제작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흡음재들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제3 흡음재 및 상기 프레임부의 내측면 및 상기 제3 흡음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흡음재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의 폴리에스터로 제작되는 제4 흡음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들 각각은 관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방음부와 결합되고 내부공간을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시키는 제1 관통홀들이 전면에 형성되는 후방프레임, 상기 후방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외측커버프레임 및 상기 후방프레임 및 외측커버프레임 사이를 연결시키며 상기 수납공간을 커버하는 타공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패널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삽입되는 폴리에스터 소재의 단일흡음재를 구비하는 흡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에 인접한 상기 외측커버프레임의 내측면에 상기 외측커버프레임의 내부공간을 상기 수납공간과 연결시키는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음패널은 투명한 소재의 방음부를 감싸는 프레임부에 내장되는 복수의 흡음재들을 통해 저주파, 중주파 및 고주파에 해당되는 소리의 흡음 및 차단 효과가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즉, 단순히 중주파 또는 고주파의 소음 흡음뿐만 아니라 저주파 소음의 흡음효율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방음패널은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관통홀들을 통해 형성된 공기층들에 의해 저주파에 대한 흡음 및 차단 효과가 개선되므로, 프레임부에 내장된 흡음재들과 함께 다양한 주파수를 가지는 소리의 방음효과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패널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음패널을 A-A' 및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3은 도 1의 방음패널을 C-C' 및 D-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패널들의 단면도들.
도 5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패널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방음패널을 A-A' 및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3은 도 1의 방음패널을 C-C' 및 D-D'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들.
도 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패널들의 단면도들.
도 5는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패널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음패널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3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패널(100)은 방음부(200) 및 프레임부(400)를 포함하고, 다른 실시예로써 프레임부(400)의 내부에 내장되는 흡음부(500)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방음패널(100)은 기초구조(4)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주(10)들 사이를 연결하는 지지대(2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지지대(20)와 슬롯 결합되고, 복수의 방음패널(100)들 각각이 지지대(20)들 사이에 배치되면서 방음벽이 설치된다.
복수의 지주(10)들 각각의 일단은 에이치빔(H-Beam)의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하부에 설치되는 기초구조(4)의 일측 및 타측에 이격된 위치에서 기초구조(4)와 각각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지지대(20)들 각각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빔(Beam) 형태로 형성되고, 지주(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일단 및 타단 배면 일부분이 지주(10)들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주(10)들 사이를 연결한다.
방음패널(100)은 하부 프레임(401) 및 상부 프레임(402) 각각이 상하부에 이격 배치된 지지대(20)의 슬롯홈에 삽입되면서 지지대(20)들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방음부(200)는 방음부재(210)를 포함한다.
방음부(200)는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및 유리를 포함하는 투명한 소재들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고, 윈도우(Window)형태로 형성되어 프레임부(400)의 안쪽공간(400a)에 배치된 상태에서 테두리 일부분이 프레임부(4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방음부재(210)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이 전방 및 후방을 향하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수직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일부분은 프레임부(400)에 형성되는 하부 프레임(401), 상부 프레임(402), 일측 프레임(403) 및 타측 프레임(404)에 삽입된다.
프레임부(400)는 하부 프레임(401), 상부 프레임(402), 일측 프레임(403) 및 타측 프레임(404)을 포함하고, 하부 프레임(401), 상부 프레임(402), 일측 프레임(403) 및 타측 프레임(404)들 각각은 후방프레임(410), 외측커버프레임(420), 외측연결프레임(430), 상부연결프레임(440), 고정부재(445) 및 타공판(450)을 각각 포함한다.
프레임부(400)는 내부에 수납공간(5)이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 프레임(401), 상부 프레임(402), 일측 프레임(403) 및 타측 프레임(404)들이 연결되어 방음부(200)의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방음부(2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및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401)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육면체 형태의 수납공간(5)이 형성되며, 후방 상부면 일부분은 상부연결프레임(440)을 통해 방음부재(210)의 하부 테두리와 결합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프레임(410)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전면 및 배면이 상부면 및 저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으며, 내부에 제1 공간(1)이 형성되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된다.
후방프레임(410)의 상부면은 상부연결프레임(440)을 통해 방음부재(210)의 하부테두리와 연결되고, 전면에는 수납공간(5) 및 제1 공간(1)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1 관통홀(410a)들이 형성된다.
제1 관통홀(410a)들을 통해 제1 공간(1)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방음패널(100)로 이동되는 저주파에 해당되는 소리는 제1 공간(1)에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 및 차단된다.
외측커버프레임(420)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부면 및 저면이 전면 및 배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으며 내부에 제2 공간(2)이 형성되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된다.
외측커버프레임(420)의 배면은 후방프레임(410)의 전면 하부에 연결되고, 상부면에는 수납공간(5) 및 제2 공간(2)을 연결시키는 복수의 제2 관통홀(420a)들이 형성된다.
제2 관통홀(420a)들을 통해 제2 공간(2)에 공기층이 형성되고, 방음패널(100)로 이동되는 저주파에 해당되는 소리는 제2 공간(2)에 형성된 공기층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 및 차단된다.
외측연결프레임(430)은 양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커버프레임(420)의 전면에 결합되며, 전방 테두리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외측걸림부재(431)를 통해 타공판(450)의 일부분과 결합된다.
상부연결프레임(440)은 내부의 방음부재 수납홈이 상부공간을 향해 개방된 채널의 단면구조를 가진 양측으로 길게 연장된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저면이 후방프레임(410)의 상부면에 연결된다.
상기 방음부재 수납홈에는 방음부재(210)의 하부 테두리가 삽입되고, 상부연결프레임(440)의 방음부재 수납홈에 해당되는 내측면에는 방음부재(210)를 향해 돌출되는 보강부재 또는 리브(Rib)들이 형성된다.
고정부재(445)는 내부의 공간이 전방을 향해 개방된 채널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부재(445)의 배면은 상부연결프레임(440)의 전면에 연결되며, 내부에는 타공판(450)의 일부분이 삽입 및 고정된다.
타공판(450)의 일단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고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부분이 상부 및 하부를 향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 일부분은 고정부재(445)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부재(445)와 결합된다.
타공판(450)의 타단은 일단의 전방 테두리에서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절곡 및 연장되어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부분이 전방 및 후방을 향하는 수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타단 일부분은 외측걸림부재(431)의 배면에 밀착되면서 외측연결프레임(430)에 고정된다.
타공판(450)에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태의 복수의 타공홀(455)들이 일정한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후방프레임(410), 외측커버프레임(420), 외측연결프레임(430), 상부연결프레임(440) 및 타공판(450)을 통해 밀폐되는 수납공간(5)을 외부공간과 연결시킨다.
도 2(b), 3(a) 및 3(b)를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402), 일측 프레임(403) 및 타측 프레임(404)들은 방음부재(210)를 사이에 두고 하부 프레임(401)과 이격되는 점을 제외하면 단면 구조는 하부 프레임(401)의 단면 구조와 동일하므로 후방프레임(410), 외측커버프레임(420), 외측연결프레임(430), 외측걸림부재(431), 상부연결프레임(440), 고정부재(445) 및 타공판(45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패널로써, 방음패널은 흡음부(500)를 더 포함하고, 흡음부(500)는 단일흡음재(550)를 포함한다.
흡음부(500)는 단일의 폴리에스터(Polyester) 소재로 제작되고, 수납공간(5)에 내장되며, 흡음부(500)의 밀도는 60K(kg/m) 또는 100K(kg/m)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흡음부(500)의 외측면은 후방프레임(410), 외측커버프레임(420), 외측연결프레임(430), 상부연결프레임(440) 및 타공판(45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단일흡음재(550)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프레임(401), 상부 프레임(402), 일측 프레임(403) 및 타측 프레임(404) 내부의 수납공간(5)에 삽입되어 저주파, 중주파 또는 고주파로 구성된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시킨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부(600)를 포함하는 방음패널(120)은 도 1 및 2에 개시되는 방음패널(100)과 흡음부(600)를 제외하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방음패널(120)은 흡음부(600)를 더 포함하고, 흡음부(600)는 제1 흡음재(610, 615)들 및 제2 흡음재(620)를 포함한다.
흡음부(600)는 하부 프레임(401), 상부 프레임(402), 일측 프레임(403) 및 타측 프레임(404) 내부에 위치하는 수납공간(5)에 내장되고, 복수의 제1 흡음재(610, 615)들 및 제2 흡음재(620)를 통해 저주파, 중주파 및 고주파에 해당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제1 흡음재(610)는 폴리에스터(Polyester) 60K 밀도 및 40T의 두께를 가지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커버프레임(420)에 인접한 위치에서 수납공간(5)에 삽입되며, 전면 및 배면은 타공판(450)의 타단 및 후방프레임(410)과 밀착된다.
제1 흡음재(610)가 일측 프레임(403) 및 타측 프레임(404)에 내장되는 경우, 제1 흡음재(61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고 일측면 및 타측면이 전면 및 배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흡음재(610)가 일측 프레임(403) 및 타측 프레임(404)에 내장되는 경우, 방음부재(210)와 이격되면서 외측커버프레임(420)에 인접한 위치에 삽입되며, 전면 및 배면은 타공판(450)의 타단 및 후방프레임(410)과 밀착된다.
제1 흡음재(615)는 폴리에스터(Polyester) 60K 밀도 및 40T의 두께를 가지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타공판(450)의 일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수납공간(5)에 삽입되며, 전면 및 배면은 타공판(450)의 타단 및 후방프레임(410)과 밀착된다.
제1 흡음재(615)가 일측 프레임(403) 및 타측 프레임(404)에 내장되는 경우, 제1 흡음재(615)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고 일측면 및 타측면이 전면 및 배면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흡음재(615)가 일측 프레임(403) 및 타측 프레임(404)에 내장되는 경우, 제1 흡음재(615)는 타공판(450)의 일단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전면 및 배면은 타공판(450)의 타단 및 후방프레임(410)과 밀착된다.
제2 흡음재(620)는 폴리에스터(Polyester) 100K 밀도 및 5T의 두께를 가지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흡음재(610) 및 제1 흡음재(615)의 사이에 배치되며, 전면 및 배면은 타공판(450)의 타단 및 후방프레임(410)과 밀착된다.
따라서, 방음패널(120)은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제1 흡음재(610, 615)들을 통해서 고주파에 해당되는 소음이 흡수되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제2 흡음재(620)를 통해 중주파에 해당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때문에 다양한 주파수에 해당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부(602)를 포함하는 방음패널(140)은 도 4(a)에 개시되는 방음패널(120)과 흡음부(600)를 제외하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방음패널(140)은 흡음부(602)를 포함하고, 흡음부(602)는 제1 흡음재(610, 615)들, 제2 흡음재(620) 및 제3 흡음재(630)를 포함한다.
도 4(b)에 도시되는 제1 흡음재(610, 615)들 및 제2 흡음재(620)는 도 3(a)에 도시되는 제1 흡음재(610, 615)들 및 제2 흡음재(620)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전후방 두께는 작고, 소재는 동일하도록 제작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흡음재(630)는 폴리에스터(Polyester) 60K 밀도 및 40T의 두께를 가지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후방프레임(410) 및 제1 흡음재(610, 615)들 사이에 해당되는 수납공간(5)에 배치된다.
제3 흡음재(630)의 추가를 통해 제2 흡음재(620)가 배치되는 공간을 통해 흡수효과가 낮아질 수 있는 고주파에 해당되는 소리의 흡수 및 차단효과가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부(604)를 포함하는 방음패널(160)은 도 3(b)에 개시되는 방음패널(140)과 흡음부(604)를 제외하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방음패널(160)은 흡음부(604)를 포함하고, 흡음부(604)는 제1 흡음재(610, 615)들, 제2 흡음재(620), 제3 흡음재(630) 및 제4 흡음재(640)를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되는 제1 흡음재(610, 615)들, 제2 흡음재(620) 및 제3 흡음재(630)는 도 3(b)에 도시되는 제1 흡음재(610, 615)들, 제2 흡음재(620) 및 제3 흡음재(630)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전후방 두께는 작고, 소재는 동일하도록 제작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흡음재(640)는 폴리에스터(Polyester) 100K 밀도 및 5T의 두께를 가지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후방프레임(410) 및 제3 흡음재(630)들 사이에 해당되는 수납공간(5)에 배치된다.
제4 흡음재(640)는 전면 및 배면이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적을 가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배면이 후방프레임(41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제4 흡음재(640)의 추가를 통해 제1 흡음재(610, 615)를 지나는 중주파에 해당되는 소리의 흡수 및 차단효과가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출원인이 본원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활용한 실험과정 및 시험결과를 개시하여, 본원발명의 실시예의 소음효율이 높음을 객관적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우선 시험은 1개의 비교예와 본원발명의 구조를 단계적으로 적용한 총 4개의 실시예에 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에 대한 정의와 시험조건, 시험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 기재한다.
[비교예와 실시예의 정의]
비교예 : 본원발명의 청구항 제1 항의 구조에서 제1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은 구조로, 프레임의 형상은 동일하고, 내부에 제1 흡음재(610)만으로 채워진 구성
실시예 1 : 본원발명의 청구항 제6 항의 구조에서 청구항 제5항의 흡음부 구성만으로 채워져,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이 형성된 구조
실시예 2 : 본원발명의 도 4의 (a)와 동일한 구조
실시예 3 : 본원발명의 도 4의 (b)와 동일한 구조
실시예 4 : 본원발명의 도 5와 동일한 구조
[시험조건]
1) 잔향실 용적 및 표면적 : 323.0 ㎥, 289.8 ㎡, 부정형 7면체 콘크리트
2) 시료 면적 : 10.7 ㎡
3) 온습도 조건 : 온도 (18.0±0.0) ℃, 습도 (47.0±0.0) % R.H.
4) 시험장비
Real time FFT Analyzer - PULSE 3560B (B&K, Denmark)
Microphone - Type 4942 (B&K, Denmark)
Sound Level Calibrator- Type 4231 (B&K, Denmark)
Omnidirectional Sound Source - Type 4292-L (B&K, Denmark)
Power Amplifier - Type 2734 (B&K, Denmark)
Notebook
5) 음원 : 백색잡음 (음원중단법 이용)
6) 측정주파수 : 50Hz ~ 10,000HZ (1/3 Octave band)
7) 허용 주파수 : 100Hz ~ 5,000Hz (1/3 Octave band)
8) 음원의 크기 : 약 95dB~100dB (50Hz ~ 10,000Hz)
9) 측정점 : 음원점 2개소, 수음점 5개소 총 10개소 측정 (2회 반복 측정)
[시험방법]
1) 흡음 성능 측정 시료를 잔향실 바닥에 설치한다.
2) KS F 2805에 의거하여 마이크로폰 및 무지향성 스피커를 설치한다.
(단, 마이크로폰 등의 교정은 1년 이내에 점검한 것을 허용)
3) 시험편을 잔향실 바닥에 A형 설치법에 따라 설치한 후 잔향시간을 측정한다.
상기와 같은 시험조건 및 시험방법을 활용하여 비교예 및 실시예들의 시험결과는 아래와 같이 확인되었다. 아래의 표에서 Tc는 비교예 잔향시간, Te1은 실시예 1, Te2는 실시예 2, Te3는 실시예 3, Te4는 실시예 4에 대한 잔향시간으로 정의하였고 단위는 초단위로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주파수 (Hz) |
100 | 125 | 160 | 200 | 250 | 315 | 400 | 500 | 630 |
Tc | 17.28 | 14.45 | 12.98 | 9.36 | 9.21 | 8.60 | 8.66 | 7.35 | 6.81 |
Te1 | 15.35 | 11.30 | 9.88 | 7.20 | 7.14 | 6.11 | 6.01 | 6.02 | 6.00 |
Te2 | 14.80 | 10.98 | 9.21 | 7.01 | 6.95 | 5.87 | 5.24 | 5.21 | 4.56 |
Te3 | 14.77 | 10.49 | 8.41 | 6.48 | 5.99 | 4.78 | 4.84 | 4.65 | 4.21 |
Te4 | 14.29 | 10.32 | 8.20 | 6.31 | 5.40 | 4.55 | 4.12 | 4.15 | 3.95 |
주파수 (Hz) |
800 | 1,000 | 1,250 | 1,600 | 2,000 | 2,500 | 3,150 | 4,000 | 5,000 |
Tc | 6.13 | 5.30 | 5.47 | 5.86 | 4.54 | 3.44 | 2.55 | 1.87 | 1.33 |
Te1 | 5.81 | 5.10 | 5.35 | 5.54 | 4.47 | 3.31 | 2.56 | 1.64 | 1.22 |
Te2 | 4.55 | 4.34 | 4.22 | 4.33 | 3.21 | 2.95 | 2.27 | 1.55 | 1.19 |
Te3 | 4.11 | 4.13 | 3.91 | 3.66 | 2.94 | 2.55 | 1.89 | 1.53 | 1.17 |
Te4 | 3.95 | 3.97 | 3.72 | 3.26 | 2.78 | 2.35 | 1.91 | 1.47 | 1.11 |
상기한 시험결과를 해석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비교예 1의 잔향시간인 Tc와 실시예 1의 잔향시간인 Te1을 비교해보면, 630Hz부터 5,000Hz 까지의 잔향시간은 큰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100HZ부터 500Hz까지의 잔향시간 차이는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실시예 1에 형성된 제1 관통홀(410a) 및 제2 관통홀(420a)이 저주파의 소음을 효율적으로 흡수하는 것을 입증하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Te1과 Te2를 비교하면 315Hz부터 2,000Hz 까지의 잔향시간이 크게 차이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중주파 대의 소음을 제1 흡음재와 제2 흡음재의 적층을 통해서 중음대의 소음이 효율적으로 흡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Te2 및 Te3, Te4를 비교하면 전 주파수에서 전체적으로 Te4의 잔향시간이 Te2나 Te3에 비해서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제1 흡음재(610, 615)와 제2 흡음재(620)와 제3 흡음재(630)의 각 적층방식에 따른 배열이 전 주파수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소음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패널은 비교예에 비해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160: 방음패널
Claims (6)
- 서로 이격되고 수직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지주들, 상기 지주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양단이 상기 지주들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지주들을 연결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방음벽에 설치되는 방음패널에 있어서,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방음부(200); 및
내부에 수납공간(5)이 형성되는 복수의 프레임들이 연결되어 상기 방음부(200)의 테두리를 둘러싸면서 상기 방음부(200)와 결합되며, 상기 지지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프레임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400)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방음부(200)와 결합되고 내부공간을 상기 수납공간(5)과 연결시키는 제1 관통홀(410a)들이 전면에 형성되는 후방프레임(410);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후방프레임(41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수납공간(5)의 외측을 커버하며, 내부의 공간을 수납공간(5)과 연결시키는 제2 관통홀(420a)들이 형성되는 외측커버프레임(420); 및
상기 후방프레임(410) 및 외측커버프레임(420) 사이를 연결시키며 상기 수납공간(5)을 커버하는 타공판(450);을 포함하며,
상기 수납공간(5)에서 상기 외측커버프레임(42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흡음재(610), 상기 수납공간(5)의 내측에서 상기 타공판(45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흡음재(615), 상기 제1 흡음재(610, 615)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1 흡음재(610, 615)들보다 밀도가 높은 폴리에스터 소재로 제작된 제2 흡음재(620), 상기 제1 및 제2 흡음재(610, 615, 620)들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 흡음재(630) 및 상기 후방프레임(410)과 제3 흡음재(630) 사이에 배치되고 제3 흡음재(63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의 폴리에스터로 제작되는 제4 흡음재(640)를 구비하는 흡음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음재(620)는,
상기 제1 흡음재(610, 615)들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패널.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3231A KR102528308B1 (ko) | 2022-04-07 | 2022-04-07 | 투명판이 배치된 흡음형 방음패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3231A KR102528308B1 (ko) | 2022-04-07 | 2022-04-07 | 투명판이 배치된 흡음형 방음패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28308B1 true KR102528308B1 (ko) | 2023-05-11 |
Family
ID=86378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3231A KR102528308B1 (ko) | 2022-04-07 | 2022-04-07 | 투명판이 배치된 흡음형 방음패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8308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2397A (ko) * | 2002-05-29 | 2003-12-06 | 유니슨 주식회사 | 고흡음성을 갖는 방음판 및 그 제조방법 |
KR100724021B1 (ko) | 2006-07-28 | 2007-06-04 | 주용산업주식회사 | 멀티형 방음패널을 갖는 방음벽 |
KR101375769B1 (ko) * | 2013-10-18 | 2014-03-18 | 주용산업주식회사 | 투명 방음판에서의 소음 흡수 및 소멸 가능한 투명 방음판 프레임 |
KR102222881B1 (ko) * | 2020-06-12 | 2021-03-04 | 양완수 | 방음성능을 향상시킨 흡음패널 구조체 |
KR102309937B1 (ko) * | 2021-04-14 | 2021-10-06 | 박춘종 | 전면 착탈식 유지보수형 방음벽 |
KR20220014660A (ko) | 2020-07-29 | 2022-02-07 | 현대에코산업(주) | 파손 투명패널과 프레임의 부분 교체가 용이한 유지보수형 방음패널과 방음지주 |
-
2022
- 2022-04-07 KR KR1020220043231A patent/KR1025283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2397A (ko) * | 2002-05-29 | 2003-12-06 | 유니슨 주식회사 | 고흡음성을 갖는 방음판 및 그 제조방법 |
KR100724021B1 (ko) | 2006-07-28 | 2007-06-04 | 주용산업주식회사 | 멀티형 방음패널을 갖는 방음벽 |
KR101375769B1 (ko) * | 2013-10-18 | 2014-03-18 | 주용산업주식회사 | 투명 방음판에서의 소음 흡수 및 소멸 가능한 투명 방음판 프레임 |
KR102222881B1 (ko) * | 2020-06-12 | 2021-03-04 | 양완수 | 방음성능을 향상시킨 흡음패널 구조체 |
KR20220014660A (ko) | 2020-07-29 | 2022-02-07 | 현대에코산업(주) | 파손 투명패널과 프레임의 부분 교체가 용이한 유지보수형 방음패널과 방음지주 |
KR102309937B1 (ko) * | 2021-04-14 | 2021-10-06 | 박춘종 | 전면 착탈식 유지보수형 방음벽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52699B2 (ja) | 広帯域吸音構造及び吸音材 | |
US4285184A (en) | Method of sound-proof window construction for building structures | |
JP5749453B2 (ja) | 防音室構造 | |
KR200477936Y1 (ko) | 공기층을 포함하는 고흡음 방음 패널 | |
KR101109854B1 (ko) | 조립식 방음부스 | |
JP2007100394A (ja) | 吸音パネル | |
CN105803965A (zh) | 一种宽频带吸声单元板 | |
WO2015114929A1 (ja) | 吸音パネル及び防音壁設備 | |
CN205529956U (zh) | 一种宽频带吸声单元板 | |
US2024002668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 wall assembly having an acoustic panel | |
US11035119B2 (en) | Partition wall | |
KR102528308B1 (ko) | 투명판이 배치된 흡음형 방음패널 | |
CN201467447U (zh) | 组装式金属消声箱 | |
US20200123766A1 (en) | Partition Wall | |
KR101961197B1 (ko) | 방음체 및 이를 포함한 조립식 방음부스와, 이의 제작방법 | |
JP2010001709A (ja) | 音響を考慮した居室構造 | |
KR102635232B1 (ko) | 흡음률을 향상시킨 투명방음패널 | |
CN202788532U (zh) | 一种隔声减振装置 | |
KR20140032683A (ko) | 가설 방음판의 후면판넬 및 상기 가설 방음판 | |
KR101863125B1 (ko) | 바닥충격음 저감용 베이스트랩 | |
KR102133435B1 (ko) | 바닥충격음 저감용 천장 및 벽체 패널과 이의 시공방법 | |
JP4154080B2 (ja) | 回折音波低減用パネル組立体及びそれを用いた防音壁 | |
JP3843389B2 (ja) | 吸音構造体 | |
JP4673504B2 (ja) | 吸遮音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防音壁 | |
KR101458116B1 (ko) | 연질 막형 흡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시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