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098B1 -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098B1
KR102528098B1 KR1020210091329A KR20210091329A KR102528098B1 KR 102528098 B1 KR102528098 B1 KR 102528098B1 KR 1020210091329 A KR1020210091329 A KR 1020210091329A KR 20210091329 A KR20210091329 A KR 20210091329A KR 102528098 B1 KR102528098 B1 KR 102528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il
plasma
casing
dischar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0925A (ko
Inventor
장현수
Original Assignee
(주)중원냉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원냉열 filed Critical (주)중원냉열
Priority to KR102021009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098B1/ko
Publication of KR2023001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07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receiving heat exchange fluid entering and leaving the unit as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combatting or avoiding Legionella bacter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4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목적은 코일 주변의 낮은 온도로 인해 밀도가 높아진 공기를 순환시키고, 순환 공기 중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다량의 양이온과 음이온이 방출되게 함으로써 공기의 살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공기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매체가 내부를 순환하도록 이루어진 코일;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양이온과 음이온을 공기 중으로 방출하는 플라즈마 방전기; 및 주변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인하여 밀도와 습기의 포화도가 높게 형성된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에 인입되어 다량의 양이온과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하는 살균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Air handling unit with high-efficiency plasma discharge structure}
본 발명은 냉방이나 난방을 목적으로 하는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인하여 밀도와 습기의 포화도가 높게 형성된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에 인입되어 다량의 양이온과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하고, 살균기능을 갖는 공기를 코일로 분사하여 코일 표면의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함으로써 코일을 청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공기조화 장치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 실내 공기를 살균하도록 하는 공기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 장치(Air handling unit)이라 함은 열교환이 가능한 코일과 송풍기와 공기필터 및 케이싱이 조합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만들어진 장치로서, 주택/사무실/창고 등 다양한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코일은 냉수, 온수, 냉매 등의 열교환매체가 흐르는 지그재그 형태의 도관을 포함하고, 공기조화 장치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공기와 열교환매체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도록 구성되며, 코일을 지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송풍기를 지나 공조대상공간으로 공급된다.
한편, 공조대상으로 공급되는 공기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유동 경로 중에 플라즈마 방전기나 자외선 발생장치에 의해 양이온과 음이온을 생성시켜 이를 공기 중으로 방출하여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사멸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실내에서 환류되거나 새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플라즈마 방전기나 자외선 발생장치에 유입시켜 양이온과 음이온을 생성시키므로 양이온과 음이온을 생성 효율이 낮다.
또한 코일을 순환하는 차가운 냉수 또는 냉매가 공기와 열교환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수증기가 코일의 표면에서 응축되어 코일 표면에 물방울이 맺히고, 이로 인해 코일의 표면이 축축히 젖게 되므로,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하기 좋은 환경이 조성된다.
특히, 코일 표면에 번식하는 대표적인 세균인 레지오넬라균은 면역력이 약한 아동과 노인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며, 각종 세균 및 곰팡이의 번식으로 인해 악취가 발생되는 등 쾌적한 공조가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공기조화 장치를 이용하여 냉방함에 있어서, 코일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관리작업을 통해 코일 표면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코일은 열교환매체가 흐르는 도관이 지그재그의 형태로 꼬여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열교환매체와 공기의 열교환 효율을 높이기 위한 판형태의 방열핀을 포함하여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어 유지관리작업을 통해 코일의 구석구석까지 청결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어렵고, 코일의 유지관리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공기조화 장치의 정상적인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9060호(2008.03.18.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 주변의 낮은 온도로 인해 밀도가 높아진 공기를 순환시키고, 순환 공기 중에서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다량의 양이온과 음이온이 방출되게 함으로써 공기의 살균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 표면의 세균 및 바이러스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없이도 코일을 청정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공기 유입구와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설치되며, 공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공기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매체가 내부를 순환하도록 이루어진 코일;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양이온과 음이온을 공기 중으로 방출하는 플라즈마 방전기; 및 주변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인하여 밀도와 습기의 포화도가 높게 형성된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에 인입되어 다량의 양이온과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하는 살균유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균유도관은 코일로부터 플라즈마 방전기를 경유하여 다시 코일로 연장되는 순환배관으로 구성되어 코일 주변의 낮은 온도로 인하여 밀도와 포화도가 높게 형성된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를 경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살균유도관의 흡입측 단부는 코일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습도의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를 순환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방전기의 전단에서 살균유도관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플라즈마 방전기의 전단으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관; 및 상기 공기유입관과 살균유도관의 연결부에 설치되며, 공기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살균유도관을 통해 유입되는 순환공기 중 어느 하나의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로 공급되도록 유로를 제어하는 3방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 장치는 팬코일 유니트, 공기살균기, 공기순환기,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냉난방기 중에 하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즈마 방전기에서 방출되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결합에 의해 생성되는 하이드로페록시 라디칼(HOO-)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하이드로페록시 라디칼(HOO-)을 공기와 함께 코일의 표면에 분사하여 코일 표면의 세균과 바이러스를 제거함으로써, 코일을 보다 위생적인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전한 공조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주변의 낮은 온도에 의해 밀도가 높아진 공기를 플라즈마 방전기로 순환시키면서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게 되면, 상온의 공기 보다 많은 전자와 기체분자로 인해 양이온과 음이온의 방출양이 증가하게 되므로, 제균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의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유도관에 플라즈마 방전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공기의 선택적인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관과 3방밸브가 추가된 공기조화 장치의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의 구조도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유도관에 플라즈마 방전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3은 공기의 선택적인 유입을 위한 공기유입관과 3방밸브가 추가된 공기조화 장치의 구조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는 케이싱(110), 제1송풍기(120), 에어필터(130), 코일(140), 플라즈마 방전기(150), 살균유도관(160), 제2송풍기(1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10)은 코일(140)이 내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며, 한 쪽 측면에는 공기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반대쪽 측면 또는 상면에는 공기 배출구(112)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110)의 하단부에는 공기와 차가운 열교환매체의 열교환으로 인해 발생되는 응축수를 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드레인 팬(113)이 설치되며, 상기 드레인 팬(113)에 모인 응축수는 드레인 배관을 통해 지정된 장소로 배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송풍기(120)는 외부 공기가 케이싱(110)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11)를 통해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공기 배출구(112)를 통해 다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것으로, 공기 배출구(112)에 설치되어 케이싱(110) 내부 공기를 공기 배출구(112)를 통해 강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에어필터(130)는 공기와 함께 케이싱(110)으로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으로, 공기 유입구(111)에 설치되어 케이싱(110)으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에어필터(130)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등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필터가 하나 이상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코일(140)은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되거나 가열되게 하는 것으로, 케이싱(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굽어지게 형성된 도관(141)과, 상기 도관(141)과 연결되게 설치된 다수의 방열핀(142)으로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140)은 냉각탑에 의해 냉각된 냉수를 공급받거나,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공급받거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밸브를 지나 저온저압으로 만들어진 냉매를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방전기(150)는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양이온과 음이온을 공기 중으로 방출하여 공기에 살균기능을 부여하는 것으로,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수소이온(H+)을 방출하는 제1전극부(151)와,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수퍼옥사이드아니온(O2 -)을 방출하는 제2전극부(152)와, 상기 제1전극부(151)와 제2전극부(152)에서 플라즈마 방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제1,2전극부(151,152)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53)와, 상기 제1전극부(151)와 제2전극부(152) 및 전원공급부(153)가 설치되는 하우징(1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전극부(151)는 제1방전전극(155)과 유도전극(156)으로 이루어지며, 전원공급부(153)로부터 플러스 성분의 고전압(2kV~4kV)을 공급받아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면서 양이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전극부(152)는 제2방전전극(157)과 접지전극(158)으로 이루어지며, 전원공급부(153)로부터 마이너스 성분의 고전압(2kV~4kV)을 공급받아 플라즈마 방전을 일으키면서 음이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전극부(151)와 제2전극부(152)는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채로 제1방전전극(155)과 제2방전전극(157)의 일부가 하우징(154)의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전극부(151)에서 방출되는 수소이온(H+)과 제2전극부(152)에서 방출되는 수퍼옥사이드아니온(O2 -)의 결합에 의해 우수한 산화력을 갖는 하이드로페록시 라디칼(HOO-)이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하이드로페록시 라디칼(HOO-)이 공기와 함께 유동하여 코일(140)의 표면에 분사됨으로써 코일(140) 표면의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살균유도관(160)은 플라즈마 방전기(150)에서 방출되는 수소이온(H+)과 수퍼옥사이드아니온(O2 -)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하이드로페록시 라디칼(HOO-)이 공기와 함께 코일(140)의 표면으로 분사되도록 공기를 유도하는 관으로, 플라즈마 방전기(150)로부터 코일(140)로부터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코일(140)에 근접한 살균유도관(160)의 끝단에는 미도시된 다수의 노즐이 분산되게 설치되어 공기의 분사범위를 확장시킴으로써, 공기가 코일(140)의 전체 표면에 고르게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송풍기(170)는 플라즈마 방전기(150)에서 방출되는 수소이온(H+)와 수퍼옥사이드아니온(O2 -)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하이드로페록시 라디칼(HOO-)이 포함된 공기가 살균유도관(160)을 통해 유동하여 코일(140)의 표면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것으로, 살균유도관(160)의 중간에 설치되며, 플라즈마 방전기(150) 주변의 공기를 살균유도관(160)을 통해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살균유도관(160)을 통해 코일(140)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살균유도관(160)은 코일(140) 주변의 차가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150)를 경유한 뒤 코일(140)의 표면으로 분사되도록 코일(140)로부터 플라즈마 방전기(150)를 경유하여 다시 코일(140)로 연장되는 구조의 순환배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살균유도관(160)이 순환배관으로 구성될 경우, 공기조화 장치가 냉방이나 냉동 모드로 작동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밀도를 가지며 과포화된 공기를 플라즈마 방전기(150)로 공급하게 되므로, 살균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공기조화 장치가 냉방이나 냉동 모드로 작동할 경우, 코일(140) 주변의 공기는 열교환매체와의 열교환으로 인해 냉각되어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되며, 공기의 밀도는 온도에 반비례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코일(140) 주변의 낮은 온도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많은 분자를 포함하여 높은 밀도를 가지며, 이와 더불어 과포화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높은 밀도의 과포화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150)를 경유하게 되면, 제1전극부(151)와 제2전극부(152)에서 일어나는 플라즈마 방전에 의해 보다 많은 양의 수소이온(H+)과 수퍼옥사이드아니온(O2 -)이 방출되며, 이로 인해 하이드로페록시 라디칼(HOO-)의 생성량이 증가되므로 공기의 살균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살균유도관(160)을 순환배관으로 구성함에 있어서, 살균유도관(160)의 흡입측 단부(160a)는 코일(140)의 높이 방향으로 기준으로 중앙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코일(140)의 표면에 형성되는 응축수는 중력에 의해 코일(140)의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면서 코일(140) 하단부에 상대적으로 높은 습도의 분위기를 형성하게 되므로, 코일(140) 하단부의 다습한 공기를 플라즈마 방전기(150)로 공급함으로써 공기의 살균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겨울철과 같이 외부 온도가 낮은 시기에는 코일(140) 주변의 공기를 대신하여 외부 공기가 살균유도관(160)으로 흡입되도록 하는 공기유입관(180)과, 외부 공기와 코일(140) 주변 공기 중 어느 하나의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150)로 공급되도록 유로를 제어하는 3방밸브(1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관(180)은 플라즈마 방전기(150)의 전단에서 살균유도관(160)으로부터 분기되어 외부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이러한 공기유입관(180)은 외부 공기를 플라즈마 방전기(150) 전단의 살균유도관(160)으로 유입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3방밸브(190)는 살균유도관(160)과 공기유입관(180)의 연결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공기유입관(180) 측 유로를 폐쇄하여 코일(140) 주변의 공기가 살균유도관(160)을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작동하거나, 살균유도관(160)의 흡입측 유로를 폐쇄하여 외부 공기가 살균유도관(160)을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3방밸브(190)는 관리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유로를 전환하도록 작동하거나, 코일(140) 주변 온도와 외부 온도차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공기가 살균유도관(160)으로 유입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는 제1송풍기(120)의 작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공기 유입구(111)를 통해 케이싱(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케이싱(110)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코일(140)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열교환매체와 열교환되어 냉각 또는 가열된 후, 공기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조화 장치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제2송풍기(170)와 플라즈마 방전기(150)가 함께 작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코일(140) 주변의 공기 일부는 살균유도관(160)으로 흡입되어 플라즈마 방전기(150)를 경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순환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150)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플라즈마 방전기(150)에 마련된 제1전극부(151)에서는 플라즈 방전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H2O)이 전리되어 수소이온(H+)이 방출되고, 제2전극부(152)에서는 다량의 전자가 방출되어 공기 중의 산소분자(O2)에 흡착되어 수퍼옥사이드아니온(O2 -)을 형성하게 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수소이온(H+)과 수퍼옥사이드아니온(O2 -)이 결합되어 하이드로페록시 라디칼(HOO-)이 생성된다.
따라서, 플라즈마 방전기(150)를 경유하는 공기에는 우수한 산화력을 갖는 하이드로페록시 라디칼(HOO-)이 포함되며, 이러한 공기를 코일(140)의 표면으로 분사함으로써 코일(140) 표면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사멸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공기조화 장치가 냉각모드로 작동 할 경우, 코일(140) 주변의 낮은 온도의 과포화 공기를 플라즈마 방전기(150)로 순환시키게 되면, 보다 많은 양의 하이드로페록시 라디칼(HOO-)이 생성되므로, 순환공기에 의한 제균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장치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기조화 장치와 마찬가지로 공기와 열교환매체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도록 이루어지되, 하이드로페록시 라디칼(HOO-)을 포함하여 살균기능을 갖는 공기를 코일(140)의 표면으로 분사하여 코일(140) 표면의 각종 세균 및 바이러스를 사멸시키도록 구성되므로, 보다 청정한 공조환경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케이싱 111: 공기 유입구
112: 공기 배출구 120: 제1송풍기
130: 에어필터 140: 코일
150: 플라즈마 방전기 160: 살균유도관
170: 제2송풍기 180: 공기유입관
190: 3방밸브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공기 유입구(111)와 공기 배출구(112)가 형성된 케이싱(110);
    상기 케이싱(110)에 설치되며, 공기 유입구(11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공기 배출구(112)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120);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매체가 내부를 순환하도록 이루어진 코일(140);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양이온과 음이온을 공기 중으로 방출하는 플라즈마 방전기(150); 및
    주변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인하여 밀도와 습기의 포화도가 높게 형성된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150)에 인입되어 다량의 양이온과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하는 살균유도관(160);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유도관(160)은 코일(140)로부터 플라즈마 방전기(150)를 경유하여 다시 코일(140)로 연장되는 순환배관으로 구성되어 코일(140) 주변의 낮은 온도로 인하여 밀도와 포화도가 높게 형성된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150)를 경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살균유도관(160)은 코일(140)로부터 플라즈마 방전기(150)를 경유하여 다시 코일(140)로 연장되는 순환배관으로 구성되어 코일(140) 주변의 낮은 온도로 인하여 밀도와 포화도가 높게 형성된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150)를 경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
  4. 공기 유입구(111)와 공기 배출구(112)가 형성된 케이싱(110);
    상기 케이싱(110)에 설치되며, 공기 유입구(11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공기 배출구(112)를 통해 빠져나가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120);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경로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열교환매체가 내부를 순환하도록 이루어진 코일(140);
    플라즈마 방전을 통해 양이온과 음이온을 공기 중으로 방출하는 플라즈마 방전기(150); 및
    주변의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인하여 밀도와 습기의 포화도가 높게 형성된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150)에 인입되어 다량의 양이온과 음이온이 방출되도록 하는 살균유도관(160);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유도관(160)은 코일(140)로부터 플라즈마 방전기(150)를 경유하여 다시 코일(140)로 연장되는 순환배관으로 구성되어 코일(140) 주변의 낮은 온도로 인하여 밀도와 포화도가 높게 형성된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150)를 경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라즈마 방전기(150)의 전단에서 살균유도관(16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플라즈마 방전기(150)의 전단으로 유입시키는 공기유입관(180); 및
    상기 공기유입관(180)과 살균유도관(160)의 연결부에 설치되며, 공기유입관(18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살균유도관(160)을 통해 유입되는 순환공기 중 어느 하나의 공기가 플라즈마 방전기(150)로 공급되도록 유로를 제어하는 3방밸브(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
  5. 청구항 3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 장치는 팬코일 유니트, 공기살균기, 공기순환기, 공기조화기, 공기청정기, 냉난방기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
KR1020210091329A 2021-07-13 2021-07-13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 KR102528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329A KR102528098B1 (ko) 2021-07-13 2021-07-13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1329A KR102528098B1 (ko) 2021-07-13 2021-07-13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925A KR20230010925A (ko) 2023-01-20
KR102528098B1 true KR102528098B1 (ko) 2023-05-11

Family

ID=85108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1329A KR102528098B1 (ko) 2021-07-13 2021-07-13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0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9381B2 (ja) * 2008-02-28 2013-04-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3528A (ko) * 2006-01-05 2007-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39060Y1 (ko) 2007-05-28 2008-03-18 주식회사 다원센추리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팬코일 유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9381B2 (ja) * 2008-02-28 2013-04-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0925A (ko) 2023-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800B1 (ko) 습도조절 및 살균유닛이 구비된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396688B2 (ja) 空気調和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4524875A (ja) 銀イオン水を用いた加湿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1202815A (ja) 空気清浄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装置
JP4439532B2 (ja) 空気調和機
KR20100128813A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JP4033885B2 (ja) 空気調和機
KR100530387B1 (ko) 응축열을 재활용하는 공기조화기
KR100894398B1 (ko) 밀폐형공기청정기
CN202675465U (zh) 一种立柜式空调
JP2003232560A (ja) 空気調和機
JP2003232559A (ja) 空気調和機
KR102528098B1 (ko) 고효율 플라즈마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장치
KR20130092093A (ko)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KR20110102586A (ko) 냉난방 겸용 공기살균정화기
JP4090489B2 (ja) 空気調和機
JP2007305436A (ja) イオン放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節装置
JP6951518B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212591850U (zh) 烘干机
KR19980074442A (ko) 공기정화가습기
JP6335418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CN113218001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16591955U (zh)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KR101789018B1 (ko) 친환경 하우스 재배를 위한 살균, 제습, 발열 송풍기
KR101938689B1 (ko) 미세먼지포집 및 가습기능을 갖는 에너지 절약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