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909B1 -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909B1
KR102527909B1 KR1020210008819A KR20210008819A KR102527909B1 KR 102527909 B1 KR102527909 B1 KR 102527909B1 KR 1020210008819 A KR1020210008819 A KR 1020210008819A KR 20210008819 A KR20210008819 A KR 20210008819A KR 102527909 B1 KR102527909 B1 KR 10252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or
dog
joint
leg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902A (ko
Inventor
최금연
임수근
김예진
서창완
최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페이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페이지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페이지원
Priority to KR1020210008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9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A01K13/007Leg, hoof or foot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9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A61B5/296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electromyography [EM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9/00Bandages, poultices, compresses specially adapted to veterinary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견의 관절을 보호함과 아울러 치료 및 수술후 관절의 움직임을 지나치게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관절을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기립, 보행, 착석을 보조할 수 있는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는 반려견의 보호대상관절부위 및 다리 부위에 착용하여 반려견 관절의 운동 각도를 적절히 제한하며, 적절한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관절을 지지 및 보호하여 관절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움직임을 보조함으로써 반려견의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Dog joint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견의 관절을 보호함과 아울러 치료 및 수술후 관절의 움직임을 지나치게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관절을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기립, 보행, 착석을 보조할 수 있는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가 핵가족 및 개인 중심의 사회로 변화되면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이 형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현상으로 인해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반려동물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동물은 반려견이다. 반려견은 단순 소유물의 개념을 넘어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인생의 동반자로 여겨지고 있다. 즉, 반려견은 사람과의 정서적 교감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존재가 되고 있는 것이다.
반려견이 살아가는 환경은 다양할 수 있으나, 도시 환경상 대부분 집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집안 내부 환경이 반려견에게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집안 바닥은 반려견에게 미끄러운 빙판과 같다. 마치, 사람이 미끄러운 재질의 양말을 싣고 미끄러운 재질의 바닥을 걷는 것과 마찬가지인 것이다. 또한, 성인의 키에 맞게 구비되는 침대, 소파, 가구 등은 반려견에게 높은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집안 내부 환경으로 인해 반려견의 골절 및 탈구 등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집안에서 함께 생활하는 반려견은 주로 소형견이 대부분이며, 소형견은 선천적으로 관절이 약하기 때문에 골절 및 탈구 등의 문제가 자주 발생한다. 골절의 경우에는 병원에서 치료를 통해 대응하게 되지만, 탈구는 쉽게 발견되지 않는 경우도 있어, 대응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다. 탈구를 방지하게 되면, 불구 또는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대응이 필요하다. 이에 탈구에 대한 수술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반려견의 관절에 발생된 부상이나 질환을 치료 또는 수술한 후에는 일정기간동안 관절을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관절의 부상이나 질환을 치료 또는 수술한 후에는 부목 등을 다리 부분에 고정하여 관절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으나, 이 경우, 반려견의 움직임이 지나치게 제한되어 근력의 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관절의 움직임을 지나치게 제한하지 않으면서도, 관절을 과도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나 관절의 치료 및 수술 후에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4024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2590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06148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려견의 다리 부위에 착용하여 반려견 관절의 운동 각도를 적절히 제한하며, 적절한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관절을 지지 및 보호하여 관절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는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는 반려견의 보호대상관절부위에 대해 상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 상부보호대와, 상기 보호대상관절부위에 대해 하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 하부보호대와, 상기 상부보호대에 대해 상기 하부보호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착용본체와; 상기 착용본체에 구비되어 반려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착용본체가 회전 작동될 시, 상기 착용본체의 회전 작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하거나 회전 작동을 보조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하는 토크제공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상부보호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부힌지부와, 상기 하부보호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힌지부와, 상기 상부힌지부와 상기 하부힌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토크제공수단은 상기 상부보호대의 하부힌지부와 상기 하부보호대의 상부힌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힌지부에 형성되는 스프링지지부와, 상기 하부힌지부에 마련된 스프링하우징과, 일 측이 상기 상부힌지부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하부힌지부에 체결되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하우징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 측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조절홈부는 상기 스프링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 단을 삽입할 수 있게 복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상부보호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부힌지부와, 상기 하부보호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힌지부와, 상기 상부힌지부와 상기 하부힌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일 단이 상기 상부힌지부 또는 상기 하부힌지부에 고정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토크제공수단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힌지부 또는 상기 하부힌지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보호대상관절부위 주변의 근육에 접촉되도록 상기 상부보호대 또는 상기 하부보호대에 설치되어 반려견의 근전도를 측정하는 근전도센서와, 상기 근전도센서에서 측정된 근전도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상부보호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부힌지부와, 상기 하부보호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힌지부와, 상기 상부힌지부와 상기 하부힌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토크제공수단은 상기 상부힌지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전자석과 상기 상부전자석과 대향되는 상기 하부힌지부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전자석을 포함하는 전자석구동부와, 상기 보호대상관절부위 주변의 근육에 접촉되도록 상기 상부보호대 또는 상기 하부보호대에 설치되어 반려견의 근전도를 측정하는 근전도센서와, 상기 근전도센서에서 측정된 근전도정보에 따라 상기 전자석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보호대의 하부와 상기 하부보호대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상부보호대와 상기 하부보호대에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양측에 상기 보호대상관절부위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토크제공수단은 상기 상부보호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하부보호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보호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하부보호대 각각에는 상기 와이어부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연장된 복수의 장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는 반려견의 보호대상관절부위 및 다리 부위에 착용하여 반려견 관절의 운동 각도를 적절히 제한하며, 적절한 활동성을 보장하면서 관절을 지지 및 보호하여 관절의 탈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움직임을 보조함으로써 반려견의 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100)는 착용본체(110)와, 토크제공수단(150)을 구비한다.
착용본체(110)는 상부보호대(120)와, 하부보호대(130)와, 연결부(140)를 구비한다.
상부보호대(120)는 반려견의 슬개골이나 무릎관절 등과 같이 탈구가 발생하기 쉬운 보호대상관절부위(2)에 대해 상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부보호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다리 부분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일 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상부보호대(120)는 개방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상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하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측 다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려견의 상측 다리 부분의 두께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하부보호대(130)는 반려견의 슬개골이나 무릎관절 등과 같이 탈구가 발생하기 쉬운 보호대상관절부위(2)에 대해 하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부보호대(130)는 하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부보호대(120)와 마찬가지로 하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일 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하부보호대(130)는 개방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하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하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하측의 다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려견의 하측의 다리 부분 두께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상부보호대(120) 및 하부보호대(130)에는 각각 상부보호대(120)의 착용위치 및 하부보호대(130)의 착용위치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밴드와 하부고정밴드가 각각 구비된다.
상부고정밴드는 상부보호대(120)의 개방된 부분의 적어도 일 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측에 타 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고정밴드의 타 단은 벨크로 방식으로 상부보호대(1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하부고정밴드는 하부보호대(130)의 개방된 부분의 적어도 일 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측에 타 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고정밴드의 타 단 또한 상부고정밴드와 마찬가지로 벨크로 방식으로 하부보호대(1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연결부(140)는 상부보호대(120)에 대해 하부보호대(130)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보호대상관절부위(2)에 위치한다.
연결부(140)는 상부힌지부(141)와, 하부힌지부(142)와, 회전축(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힌지부(141)는 상부보호대(120)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부힌지부(141)는 보호대상관절부위(2)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하부힌지부(142)는 하부보호대(130)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돌출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하부힌지부(142)는 보호대상관절부위(2)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부힌지부(14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회전축(143)은 상부힌지부(141)와 하부힌지부(1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부힌지부(141)와 하부힌지부(14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토크제공수단(150)은 착용본체(110)에 구비되어 반려견의 동작에 따라 착용본체(110)가 회전 작동될 시, 착용본체(110)의 회전 작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하거나 착용본체(110)의 회전 작동을 보조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토크제공수단(150)은 상부보호대(120)의 하부힌지부(142)와 하부보호대(130)의 상부힌지부(14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스프링지지부(151)와, 스프링하우징(152)과, 토션스프링(1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프링지지부(151)는 하부힌지부(142)를 향하는 상부힌지부(141)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회전축(143)을 삽입 설치할 수 있게 중앙에 통과구멍이 형성된다.
스프링하우징(152)은 하부힌지부(142)의 일 면으로부터 하부힌지부(142)와 멀어지는 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는 스프링지지부(15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공간이 마련된다.
토션스프링(153)은 상부힌지부(141)와 하부힌지부(142)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 측이 상부힌지부(141)의 일 면에 구비된 스프링고정돌기(141A)에 고정되고, 타 측은 스프링하우징(152)에 체결된다.
스프링하우징(152)에는 토션스프링(153)의 타 측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홈부(152A)가 구비된다. 위치조절홈부(152A)는 스프링하우징(152)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토션스프링(153)의 타 단을 삽입할 수 있게 복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100)는 토크제공수단(150)을 통해 반려견이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때 토션스프링(153)의 탄성에 의해 반려견이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보조(착용본체(110)의 회전 작동을 보조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할 수도 있고, 반려견이 기립한 상태에서 앉으려 할 때 풀썩 주저 않지 않도록 보조(착용본체(110)의 회전 작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100)는 위치조절홈부(152A)에 대한 토션스프링(153)의 체결 위치를 조절 즉, 착용본체(110)에 작용하는 토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반려견의 보호대상관절부위(2)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200)는 착용본체(210)와, 토크제공수단(250)을 구비한다.
착용본체(210)는 상부보호대(220)와, 하부보호대(230)와, 연결부(240)를 구비한다.
상부보호대(220)는 반려견의 슬개골이나 무릎관절 등과 같이 탈구가 발생하기 쉬운 보호대상관절부위(2)에 대해 상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부보호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다리 부분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일 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상부보호대(220)는 개방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상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하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측 다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려견의 상측 다리 부분의 두께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하부보호대(230)는 반려견의 슬개골이나 무릎관절 등과 같이 탈구가 발생하기 쉬운 보호대상관절부위(2)에 대해 하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부보호대(230)는 하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부보호대(220)와 마찬가지로 하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일 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하부보호대(230)는 개방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하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하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하측의 다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려견의 하측의 다리 부분 두께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상부보호대(220) 및 하부보호대(230)에는 각각 상부보호대(220)의 착용위치 및 하부보호대(230)의 착용위치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밴드와 하부고정밴드가 각가 구비된다.
상부고정밴드는 상부보호대(220)의 개방된 부분의 적어도 일 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측에 타 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고정밴드의 타 단은 벨크로 방식으로 상부보호대(2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하부고정밴드는 하부보호대(230)의 개방된 부분의 적어도 일 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측에 타 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고정밴드의 타 단 또한 상부고정밴드와 마찬가지로 벨크로 방식으로 하부보호대(2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연결부(240)는 상부보호대(220)에 대해 하부보호대(230)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보호대상관절부위(2)에 위치한다.
연결부(240)는 상부힌지부(241)와, 하부힌지부(242)와, 회전축(2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힌지부(241)는 상부보호대(220)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부힌지부(241)는 보호대상관절부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하부힌지부(242)는 하부보호대(230)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돌출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하부힌지부(242)는 보호대상관절부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부힌지부(24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회전축(243)은 상부힌지부(241)와 하부힌지부(2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부힌지부(241)와 하부힌지부(242)를 관통하여 설치되며, 일 단이 상부힌지부(241) 또는 하부힌지부(242)에 고정된다. 회전축(243)은 상부힌지부(241)에 일 단이 고정되어 상부힌지부(241)에 대해 하부힌지부(2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거나, 하부힌지부(242)에 타 단이 고정되어 하부힌지부(242)에 대해 상부힌지부(24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토크제공수단(250)은 착용본체(210)에 구비되어 반려견의 동작에 따라 착용본체(210)가 회전 작동될 시, 착용본체(210)의 회전 작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하거나 회전 작동을 보조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 토크제공수단(250)은 구동모터(251)와, 근전도센서(미도시)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동모터(251)는 회전축(243)을 회전시키도록 상부힌지부(241) 또는 하부힌지부(242)에 설치 및 고정되고, 회전축(243)에 연결된다. 구동모터(251)는 기어드스텝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근전도센서는 보호대상관절부위(2) 주변의 근육에 접촉되도록 상부보호대(220) 또는 하부보호대(230)에 설치되어 반려견의 근전도를 실시간 측정하며, 측정된 근전도정보는 실시간으로 제어부에 송출된다.
제어부는 근전도센서에서 측정된 근전도정보에 따라 구동모터(251)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에는 반려견이 걷거나, 앉은 상태에서 기립하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앉을 때의 근전도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근전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근정도 정보에 따라 반려견의 보행을 보조하도록 구동모터(251)를 제어하거나, 반려견이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때 반려견의 기립을 돕도록 구동모터(251)를 제어하거나, 반려견이 기립한 상태에서 앉을 때 반려견의 착석을 돕도록 구동모터(251)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반려견이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때에는 착용본체(210)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토크가 발생하도록 구동모터(251)의 회전방향 및 출력을 제어하고, 반려견이 기립한 상태에서 앉을 때에는 착용본체(210)가 접어지는 것을 다소 억제하는 방향으로 토크가 발생하도록 구동모터(251)의 회전방향 및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300)는 착용본체(310)와, 토크제공수단(350)을 구비한다.
착용본체(310)는 상부보호대(320)와, 하부보호대(330)와, 연결부(340)를 구비한다.
상부보호대(320)는 반려견의 슬개골이나 무릎관절 등과 같이 탈구가 발생하기 쉬운 보호대상관절부위(2)에 대해 상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부보호대(3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다리 부분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일 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상부보호대(320)는 개방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상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하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측 다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려견의 상측 다리 부분의 두께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하부보호대(330)는 반려견의 슬개골이나 무릎관절 등과 같이 탈구가 발생하기 쉬운 보호대상관절부위(2)에 대해 하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부보호대(330)는 하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부보호대(320)와 마찬가지로 하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일 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하부보호대(330)는 개방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하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하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하측의 다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려견의 하측의 다리 부분 두께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상부보호대(320) 및 하부보호대(330)에는 각각 상부보호대(320)의 착용위치 및 하부보호대(330)의 착용위치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밴드와 하부고정밴드가 각가 구비된다.
상부고정밴드는 상부보호대(320)의 개방된 부분의 적어도 일 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측에 타 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고정밴드의 타 단은 벨크로 방식으로 상부보호대(3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하부고정밴드는 하부보호대(330)의 개방된 부분의 적어도 일 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측에 타 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고정밴드의 타 단 또한 상부고정밴드와 마찬가지로 벨크로 방식으로 하부보호대(3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연결부(340)는 상부보호대(320)에 대해 하부보호대(330)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보호대상관절부위(2)에 위치한다.
연결부(340)는 상부힌지부(341)와, 하부힌지부(342)와, 회전축(3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힌지부(341)는 상부보호대(320)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부힌지부(341)는 보호대상관절부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하부힌지부(342)는 하부보호대(330)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돌출되며,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하부힌지부(342)는 보호대상관절부가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부힌지부(34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회전축(343)은 상부힌지부(341)와 하부힌지부(3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부힌지부(341)와 하부힌지부(342)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토크제공수단(350)은 착용본체(310)에 구비되어 반려견의 동작에 따라 착용본체(310)가 회전 작동될 시, 착용본체(310)의 회전 작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하거나 회전 작동을 보조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한다.
토크제공수단(350)은 전자석구동부와, 근전도센서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전자석구동부는 상부힌지부(341)의 하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전자석(351)과, 상부전자석(351)과 대향되는 하부힌지부(342)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하부전자석(35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전자석(351)과 하부전자석(352)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도, 전원이 공급될 시 발생하는 전자기력이 상호 간에 미칠 수 있는 거리로 이격된다.
상부전자석(351)과 하부전자석(352) 각각은 반려견 다리 부위의 앞쪽 부분과 뒷쪽 부분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간 인력을 발생시키거나 척력을 발생시킨다.
근전도센서는 보호대상관절부위(2) 주변의 근육에 접촉되도록 상부보호대(320) 또는 하부보호대(330)에 설치되어 반려견의 근전도를 실시간 측정하며, 측정된 근전도정보는 실시간으로 제어부에 송출된다.
제어부는 근전도센서에서 측정된 근전도정보에 따라 전자석구동부의 작동을 각각 제어한다. 제어부에는 반려견이 걷거나, 앉은 상태에서 기립하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앉을 때의 근전도에 대한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으며, 근전도센서에서 측정되는 근정도 정보에 따라 반려견의 보행을 보조하도록 전자석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거나, 반려견이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때 반려견의 기립을 돕도록 전자석구동부을 제어하거나, 반려견이 기립한 상태에서 앉을 때 반려견의 착석을 돕도록 전자석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반려견이 앉은 상태에서 기립할 때 에는 다리 앞쪽 부분에 설치된 전상부전자석(351)과 하부전자석(352) 사이에는 인력을 발생시키되 기립 동작이 완료되기까지 인력을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하고, 다리 뒷쪽 부분에 설치된 상부전자석(351)과 하부전자석(352) 사이에는 척력을 발생시키되 기립동작이 완료되기까지 척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게 전자석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반려견이 기립한 상태에서 앉을 때에는 다리 앞쪽 부분에 설치된 전상부전자석(351)과 하부전자석(352) 사이에는 인력을 발생시키되 앉는 동작이 완료되기까지 인력을 점진적으로 증가되게 하고, 다리 뒷쪽 부분에 설치된 상부전자석(351)과 하부전자석(352) 사이에는 척력을 발생시키되 앉는 동작이 완료되기까지 척력이 점진적으로 감소되게 전자석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400)는 착용본체(410)와, 토크제공수단(450)을 구비한다.
착용본체(410)는 상부보호대(420)와, 하부보호대(430)와, 연결부(440)를 구비한다.
상부보호대(420)는 반려견의 슬개골이나 무릎관절 등과 같이 탈구가 발생하기 쉬운 보호대상관절부위(2)에 대해 상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부보호대(4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다리 부분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일 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상부보호대(420)는 개방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상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하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측 다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려견의 상측 다리 부분의 두께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하부보호대(430)는 반려견의 슬개골이나 무릎관절 등과 같이 탈구가 발생하기 쉬운 보호대상관절부위(2)에 대해 하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부보호대(430)는 하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부보호대(420)와 마찬가지로 하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이 용이하도록 일 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하부보호대(430)는 개방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하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하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하측의 다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반려견의 하측의 다리 부분 두께에 상관없이 착용이 가능하다.
상부보호대(420) 및 하부보호대(430)에는 각각 상부보호대(420)의 착용위치 및 하부보호대(430)의 착용위치를 각각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밴드와 하부고정밴드가 각가 구비된다.
상부고정밴드는 상부보호대(420)의 개방된 부분의 적어도 일 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측에 타 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고정밴드의 타 단은 벨크로 방식으로 상부보호대(42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하부고정밴드는 하부보호대(430)의 개방된 부분의 적어도 일 측에 일 단이 고정되고 타 측에 타 단이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부고정밴드의 타 단 또한 상부고정밴드와 마찬가지로 벨크로 방식으로 하부보호대(43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연결부(440)는 상부보호대의 하부와 하부보호대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연장되고, 상부보호대와 하부보호대에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양측에 보호대상관절부위(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441)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착용부는 상부보호대(420)와 연결부(440)와 하부보호대(43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토크제공수단(450)은 상부보호대(420)와 연결부(440)와 하부보호대(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부재(4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와이어부재(451)는 외력이 가해질 시 휘어졌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부보호대(420)와 연결부(440)와 하부보호대(430) 각각에는 와이어부재(451)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연장된 복수의 장착부(445)가 마련된다.
장착부(445)는 착용본체(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착용본체(4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장착홀(446)로 구성된다. 장착홀(446)은 착용본체(410)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 장착부(445)는 2개의 장착홀(446)이 마련된 것을 적용하였으나, 이와 다르게 3개 이상의 장착홀(446)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400)는 복수의 장착홀(446)에 와어어부재를 선택적으로 삽입 장착하여 착용본체(410)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반려견이 보호대상관절부위(2)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움직임을 제한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는 여러개의 와이어부재(451)를 장착부(445)에 장착하고, 보호대상관절부위(2)를 어느 정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는 1개 내지 2개의 와이어부재(451)를 장착부(445)에 장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착용본체
120 : 상부보호대
130 : 하부보호대
140 : 연결부
150 : 토크제공수단

Claims (5)

  1. 반려견의 보호대상관절부위에 대해 상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 상부보호대와, 상기 보호대상관절부위에 대해 하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 하부보호대와, 상기 상부보호대에 대해 상기 하부보호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착용본체와;
    상기 착용본체에 구비되어 반려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착용본체가 회전 작동될 시, 상기 착용본체의 회전 작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하거나 회전 작동을 보조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하는 토크제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보호대는 일 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를 갖고, 개방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상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하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측 다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며,
    상기 하부보호대는 일 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를 갖고, 개방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하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하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하측의 다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부보호대의 하부에 형성되는 상부힌지부와, 상기 하부보호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힌지부와, 상기 상부힌지부와 상기 하부힌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토크제공수단은 상기 상부보호대의 하부힌지부와 상기 하부보호대의 상부힌지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힌지부에 형성되는 스프링지지부와, 상기 하부힌지부에 마련된 스프링하우징과, 일 측이 상기 상부힌지부에 고정되고 타 측은 상기 하부힌지부에 체결되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하우징에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 측 체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위치조절홈부는 상기 스프링하우징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 단을 삽입할 수 있게 복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반려견의 보호대상관절부위에 대해 상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 상부보호대와, 상기 보호대상관절부위에 대해 하측의 다리 부분을 감싸 착용 가능하게 형성된 하부보호대와, 상기 상부보호대에 대해 상기 하부보호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착용본체와;
    상기 착용본체에 구비되어 반려견의 동작에 따라 상기 착용본체가 회전 작동될 시, 상기 착용본체의 회전 작동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하거나 회전 작동을 보조하는 방향으로 토크를 제공하는 토크제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보호대는 일 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를 갖고, 개방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상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하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측 다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며,
    상기 하부보호대는 일 측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개방된 구조를 갖고, 개방된 부분을 양측으로 벌린 후 하측의 다리 부분에 착용하면 탄성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면서 하측의 다리 부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상부보호대의 하부와 상기 하부보호대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연장되고, 상기 상부보호대와 상기 하부보호대에 일체로 형성되며, 서로 대향되는 양측에 상기 보호대상관절부위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절개부가 마련되고,
    상기 토크제공수단은 상기 상부보호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하부보호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와이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보호대와 상기 연결부와 상기 하부보호대 각각에는 상기 와이어부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연장된 복수의 장착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
KR1020210008819A 2021-01-21 2021-01-21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 KR10252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819A KR102527909B1 (ko) 2021-01-21 2021-01-21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819A KR102527909B1 (ko) 2021-01-21 2021-01-21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02A KR20220105902A (ko) 2022-07-28
KR102527909B1 true KR102527909B1 (ko) 2023-05-02

Family

ID=82607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819A KR102527909B1 (ko) 2021-01-21 2021-01-21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9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455B1 (ko) * 2023-03-30 2024-01-10 (주)케이아이테크노 반려견 소음감소를 위한 노이즈캔슬링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6164A2 (en) * 2005-01-10 2006-07-20 Cyberkinetics Neurotechnology Systems, Inc. Joint movement system
KR101943273B1 (ko) 2018-08-28 2019-01-28 이정우 압력 센서를 갖는 무릎 보조기 및 무릎 교정기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1489B1 (ko) * 1995-08-10 1998-09-15 이정식 발효음료 및 발효음료 제조방법
KR102186859B1 (ko) * 2014-01-09 2020-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행 보조 기구 및 보행 보조 기구의 제어 방법
KR101766201B1 (ko) * 2015-11-26 2017-09-06 (주)헬스메드 기능성 무릎 보호대
KR101925908B1 (ko) 2016-04-08 2019-03-15 주식회사 닥터펫스타 고관절 및 무릎인대보호 기능을 갖는 애견용 의류
KR102061489B1 (ko) 2018-05-04 2020-02-11 한국과학기술원 슬개골 탈구 방지 보호대
KR20200001671U (ko) * 2019-01-18 2020-07-28 김정현 반려견용 무릎관절 보조구
KR102140249B1 (ko) 2019-09-26 2020-07-31 김기성 반려동물 움직임 제한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76164A2 (en) * 2005-01-10 2006-07-20 Cyberkinetics Neurotechnology Systems, Inc. Joint movement system
KR101943273B1 (ko) 2018-08-28 2019-01-28 이정우 압력 센서를 갖는 무릎 보조기 및 무릎 교정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02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98630B (zh) 行走辅助机及行走辅助机组
JP3955304B2 (ja) 腰部装具
US7402145B1 (en) Method of neuromusculoskeletal proprioceptive re-education and development of a living body using corrective chair and vibration
US5176598A (en) Foot ambulator apparatus
US4735198A (en) Injury reduction and stabilizing harness
KR102527909B1 (ko) 반려견 관절 보호장치
US8584624B2 (en) Equine support boot
JP2007307216A (ja) 歩行補助具
US5894748A (en) Portable restraint and confinement device
WO2005117770A2 (en) Joint protection device
JPH11503624A (ja) 浮揚膝蓋骨パッドを備えた動的な膝蓋骨保護体
BR0110095A (pt) Aparelho endoventricular para o tratamento e correção de cardiomiopatias
WO2007102258A1 (ja) 引っ張り癖犬対応散歩ベルト
KR101267394B1 (ko) 휴대용 무릎 관절 재활 운동 기구
US8443763B2 (en) Equine support boot
US4510888A (en) Shield assembly for an area of an animal to be protected
US20160324614A1 (en) Animal Protection Device
KR102410969B1 (ko) 어깨 외전 보조기
KR20200082898A (ko) 애완동물 움직임 방지용 거치대
KR102149884B1 (ko) 수면 자세 교정 기구
JP2017035372A (ja) 膝補助装具
JP2004509137A5 (ko)
KR102268890B1 (ko) 반려동물 무릎 보조기
KR102511115B1 (ko) 남성 장애우용 성보조기구
KR101682410B1 (ko) 애완동물용 보행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