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733B1 - Pedestrian Aids Capable Of Obstacle Recognition - Google Patents

Pedestrian Aids Capable Of Obstacle Recogn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7733B1
KR102527733B1 KR1020210012177A KR20210012177A KR102527733B1 KR 102527733 B1 KR102527733 B1 KR 102527733B1 KR 1020210012177 A KR1020210012177 A KR 1020210012177A KR 20210012177 A KR20210012177 A KR 20210012177A KR 102527733 B1 KR102527733 B1 KR 102527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bstacle
sound output
output uni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2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9512A (en
Inventor
최지원
Original Assignee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2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7733B1/en
Publication of KR2022010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95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7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77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3/00Stick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53Support for the device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97Control means thereof wireless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로서,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센서를 포함하는 지팡이 유닛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알람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알람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팡이 유닛은 소정 길이를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단에 형성되며,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몸체부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을 지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발판부, 장애물의 인식을 진행하는 신호인 장애물 인식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센서부, 상기 장애물 인식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장애물의 존재 여부와 관련된 정보인 알람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지팡이 유닛과 상기 음향 출력 유닛이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including a cane unit including a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and an audio output unit receiving alarm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and outputting the alarm information in an audio format, , The cane unit has a body portion provided to hold a predetermined length, a handle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provided to be gripped, a foothold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provided to support the ground, and an obstacle The sensor unit for generating an obstacle recognition signal, which is a signal for recognizing the obstacle, the control unit provided to receive the obstacle recognition signal and generate alarm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stacle, and the wand unit and the sound outpu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to enable communication.

Description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Pedestrian Aids Capable Of Obstacle Recognition}Pedestrian Aids Capable Of Obstacle Recognition}

본 발명은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인의 보행 보조 수단인 지팡이에 사용자의 보행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는 바위, 가로등 등의 장애물에 대한 알람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위험상황에 대한 인식률을 높일 수 있어, 장애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발생을 억제 할 수 있음은 물론, 돌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는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obstac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ne, which is a walking assistance means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provide an alarm signal for an obstacle such as a rock or a street lamp that may be located on a user's walking pat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capable of preparing for an unexpected situation as well as suppressing a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an obstacle by increasing a user's recognition rate of a dangerous situation.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인의 경우, 시각을 통하여 주위 정보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각 장애인이 이동할 때에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전용 지팡이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의 장애물 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In general,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because they cannot recognize surrounding information through their eyes, when the visually impaired move, they use a cane exclusively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obstacles in the walking path.

뿐만 아니라, 횡단 보도나 보행로 상에 설치된 유도 블럭과 계단이나 출입구의 벽면 등에 부착된 점자판 또는 안내견의 도움을 받아 시각적인 불편함을 해소하고 있다. In addition, visual inconvenience is eliminated with the help of guide blocks installed on crosswalks or walking paths, braille boards attached to stairs or walls of entrances, or guide dogs.

그중에서도, 지팡이는 휴대 및 관리의 편의성으로 인해 보조 기구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Among them, a cane has been widely used as an auxiliary device due to its convenience in carrying and managing.

그러나, 사물을 식별할 수 없는 상황에서 지팡이만을 이용하여 정확히 장애물을 식별하는 것도 어렵고, 정확한 이동 경로를 식별하는 것도 어려운 것과 더불어, 정확히 상황 판단이 어려워 많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However, in a situation where an object cannot be identifie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an obstacle using only a cane,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identify a moving path, and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judge a situation, which can expose a person to many risks.

또한, 유도 블럭이 설치되어 있거나 점자판 등이 부착되어 있다 하더라도 실제 유도 블럭과 점자판을 찾는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an induction block is installed or a braille board is attached,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o find the actual induction block and braille board.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는 유도 블럭의 수가 많지도 않고 유도 블럭 중간에 차량 방지용 기둥이 세워져 있는 경우도 많이 보인다.In addition, in Korea, there are not many induction blocks, and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a pillar for preventing vehicles is erected in the middle of the induction blocks.

이러한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는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단순히 보행을 보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장애물을 탐지하여 음향 출력기 및 진동 등으로 알려주는 기능이 부가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As technology develops, such a cane for the visually impaired is developing into a form in which a function of detecting an obstacle and notifying it through a sound output device and vibration is added beyond simply providing a function of assisting walking.

특히 장애물을 탐지하는 기술은 시각 장애인의 안전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의 장애물 탐지 기법이 적용된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가 공개되고 있는 추세이다.In particular, since technology for detecting obstacl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the visually impaired, canes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which various obstacle detection techniques are applied are being released.

하지만, 종래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는 장애물을 인식하여 알람 정보를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데 문제가 있다. However, conventional canes for the visually impaired have a problem in recognizing an obstacle and outputting alarm information as a sound signal.

더욱이, 시각 장애인은 한 손으로 지팡이를 파지 하게 됨에 따라 파지를 진행한 손의 가동성이 제한된 상태이기 때문에, 주변 소음으로부터 장애물에 관한 음성 신호를 방해받았을 경우 장애물을 감지하지 못하여 더욱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Moreover, as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grips the cane with one hand, the mobility of the gripping hand is limited, so if the voice signal about the obstacle is interrupted by ambient noise, the obstacle cannot be detected, leading to a greater accident this still exists

또한, 종래 무선 음향 출력기 및 인식 센서는 충전이 필요하여 보행자가 걷는 중 방전이 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and recognition sensor require charging,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edestrian may be discharged while walking.

결론적으로, 시각 장애인들에게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보행 보조 수단인 지팡이의 경우 보행에는 많은 도움을 주고 있지만, 단순히 이동의 측면에서만 도움을 주고 있으며, 아직까지 장애물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In conclusion, a cane, which is the most common walking aid for the visually impaired, helps a lot in walking, but only in terms of movement, and there are still difficulties in providing information about obstacle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2019-0001478' '손잡이 교체 가능한 다기능 지팡이' (2017.12.11)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20-2019-0001478' 'Multi-functional cane with replaceable handle' (2017.1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장애물 인식 신호로부터 수신 받은 음성 신호가 방해받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보행 경로 상에 위치할 수 있는 바위, 가로등 등의 장애물에 대한 인식 신호를 생성 후 음향 출력 기기를 통해 사용자의 귀에 직접적으로 상기 인식 신호를 음향 신호로 출력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위험 상황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고, 장애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order to solve the situation in which the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obstacle recognition signal is interrupted, the user's walking path for obstacles such as rocks and streetlights. After generating the recognition signal, the recognition signal is directly output to the user's ear as a sound signal through the sound output device, so the user can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dangerous situations and obstacle recognition that can suppress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obstacles Its purpose is to provide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this.

본 발명은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로서,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센서를 포함하는 지팡이 유닛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알람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알람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지팡이 유닛은 소정 길이를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단에 형성되며,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몸체부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을 지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발판부, 장애물의 인식을 진행하는 신호인 장애물 인식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센서부, 상기 장애물 인식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장애물의 존재 여부와 관련된 정보인 알람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 및 상기 지팡이 유닛과 상기 음향 출력 유닛이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including a cane unit including a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and an audio output unit receiving alarm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and outputting the alarm information in an audio format, , The cane unit has a body portion provided to hold a predetermined length, a handle portion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provided to be gripped, a foothold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provided to support the ground, and an obstacle The sensor unit for generating an obstacle recognition signal, which is a signal for recognizing the obstacle, the control unit provided to receive the obstacle recognition signal and generate alarm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stacle, and the wand unit and the sound outpu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to enable communication.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판부는, 상기 지팡이 유닛과 상기 음향 출력 유닛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발판부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발판부가 지면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인가되는 외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전력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caffolding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caffolding portion so as to generate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cane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and transmits an external force applied while the scaffolding portion contacts the grou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generation unit capable of receiving and generating power.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부는, 상기 몸체부를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하였을 때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장애물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ensor unit may include an obstacle recognition sensor formed in front of the handle unit when the body unit is vertically disposed on the groun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음향 출력 유닛은, 상기 손잡이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sound output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handle part.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음향 출력 유닛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소정의 수용 공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andl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predetermined accommodating space formed to accommodate the sound output unit.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 유닛은 사용자가 보행 보조 장치를 통한 보행 시, 계단 및 가로등과 같은 장애물에 대한 알람 정보를 사용자의 귀에 직접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output unit may directly output alarm information about obstacles such as stairs and streetlights to the user's ears when the user walks through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이를 통해, 주변 소음으로 인해 음향 신호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보행 시 장애물로 인한 사고 위험성을 낮춰 안전한 보행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walking effect by reducing the risk of an accident due to an obstacle while walking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acoustic signal cannot be clearly recognized due to ambient noise.

그리고, 지팡이 유닛과 음향 출력 유닛이 무선 통신 연결됨에 따라, 사용자가 지팡이 유닛을 파지하고 음향 출력 유닛을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진행할 경우, 종래의 기술인 단순히 유선 연결로 음향 출력이 마련될 때보다 통신선에 의해 손의 가동 범위가 축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cane unit and the sound output unit are wirelessly connected, when the user grips the cane unit and walks while wearing the sound output unit on the ear, compared to the prior art sound output simply by wired connection. A phenomenon in which the movable range of the hand is reduced by the communication line can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발판부가 전력생성부를 포함함에 따라, 보행 시 장애물 인식 센서 및 음향 출력 유닛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footrest unit includes a power generation unit, it is possible to generate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obstacle recognition sensor and the sound output unit while walking.

이로 인해, 사용자가 보행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도중에 충전된 전력이 모두 소진되어 방전이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all of the charged power is exhausted and discharged while the user is using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센서부가 장애물 인식 센서를 더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의 보행 경로인 전방을 향해 장애물 인식 센서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sens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obstacle recognition sensor, so that the obstacle recognition sensor can be installed toward the front of the user's walking path.

이로 인해, 상기 장애물 인식에 필요한 최소한의 센서의 갯수로도 장애물 인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제작 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s by enabling obstacle recognition with the minimum number of sensors required for the obstacle recognition.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손잡이부가 수용 공간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 유닛을 상기 수용 공간에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andl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ccommodating space, the sound output unit may b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이로 인해, 상기 수용 공간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 유닛의 휴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For this reason, as the accommodation space is included, the portability of the sound output unit can be further improved.

그리고, 전력 생성부에서 생성된 전력을 통해 수용 공간 내 안착된 음향 출력 유닛에 대한 충전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enable charging of the sound output unit se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through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이로 인해, 충전된 수용 공간 내 음향 출력 유닛이 안착이 되면, 음향 출력 유닛이 즉시 충전되므로 음향 출력 유닛을 별도로 충전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상시 충전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sound output unit is seated in the filled accommodation space, the sound output unit is immediately charged, so that the sound output unit does not need to be charged separately, so that the sound output unit can be charged at all times,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를 사용하는 모습을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의 동작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의 손잡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is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al configuration of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 handle portion of a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knowledgeabl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lso,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components than the recited compon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지팡이 유닛(100)과 음향 출력 유닛(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the wand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1000)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1000)를 사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0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tate of using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0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us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1000)는 지팡이 유닛(100) 및 음향 출력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0 capable of recognizing obsta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ne unit 100 and a sound output unit 200 .

먼저, 상기 보행 보조 장치(1000)는 사용자가 보행 과정에서 하중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보행 과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First,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0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moothly perform the walking process by applying a load during the walking process.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는 신체의 거동이 불편한 노인 또는 재활환자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user may be an elderly person or a rehabilitation patient with poor physical movement.

그리고, 상기 지팡이 유닛(1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wand unit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음향 출력 유닛(200)은 상기 지팡이 유닛(10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것으로, 사용자가 신체 일부에 착용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Next,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wand unit 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wear it on a part of the body.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은 사용자의 귀 부분에 착용되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지팡이 유닛(100)과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More preferably, as shown in FIG. 2 ,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worn on the user's ear and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wand unit 100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서,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은 상기 지팡이 유닛(100)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의 유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output the presence or absence of obstacles located in front of the cane unit 100 in a sound format.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The sound output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o be described later.

상술한 바와 같이, 지팡이 유닛(100)과 음향 출력 유닛(200)이 구비됨에 따라, 유선으로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이 구비되는 상황보다 손의 가동 범위가 확대되어, 휴대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cane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are provided, the movable range of the hand is expanded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provided by wire, thereby improving portability. can

보다 상세하게는, 음향 출력 유닛(200)은 무선 통신 연결로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지팡이 유닛(100)을 파지하고 음향 출력 유닛(200)을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진행할 경우, 종래 기술처럼 단순히 유선 연결로 음향 출력이 마련될 때보다 통신선에 의해 손의 가동 범위가 축소되는 상황을 억제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provid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ion, when the user grips the cane unit 100 and walks while wearing the sound output unit 200 on the ear,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suppress a situation in which the movable range of the hand is reduced by the communication line compared to when the sound output is simply provided by wired connection.

이로 인해, 보행 시 상기 보행 보조 장치(1000) 사용 중 손의 가동 범위가 확대되어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movable range of the hand during use of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0 during walking is expanded, and convenience of use may be further improved.

상기 지팡이 유닛(100)과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The cane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지팡이 유닛(100)과 음향 출력 유닛(2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Next, referring to FIG. 3 , the wand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10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0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팡이 유닛(100)은 몸체부(110), 손잡이부(120), 발판부(130), 전력생성부(131), 센서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3, the cane un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10, a handle part 120, a footrest part 130, a power generating part 131, and a sensor part 140.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여기서, 상기 몸체부(110)는 소정의 길이를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body portion 110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hold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바 형상을 구비한 제 1몸체(111)와 바 형상을 구비한 제 2몸체(112) 및 길이 조절부(113)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rst body 111 having a bar shape, a second body 112 having a bar shape, and a length adjusting unit 113.

여기서, 상기 제 1몸체(111)와 상기 제 2몸체(112)는 상호 삽입되는 구조를 보유하도록 형성된다.Here,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are formed to have a mutually inserted structure.

보다 상세하게는, 제 1몸체(111)의 직경이 제 2몸체(112)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하여, 제 2몸체(112)가 제 1몸체(111)로 삽입될 수 있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제 2몸체(112)의 직경이 제 1 몸체(111)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하여, 제 1몸체(111)가 제 2몸체(112)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More specifically, the diameter of the first body 11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body 112, so that the second body 112 is design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111, or The diameter of the second body 112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body 111 so that the first body 111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body 112.

이로 인해, 상기 1몸체(111)와 상기 제 2몸체(112)는 상호 삽입된 상태에서 길이 조절 진행 시 상기 1몸체(111)와 상기 제 2몸체(112)의 상호간 위치를 고정을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Due to this,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and when the length is adjusted, the role of fixing the mutual position of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do

이때, 길이 조절부(113)는 상기 제 1몸체(111)와 상기 제 2몸체(112)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length adjustment unit 113 i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between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여기서, 상기 길이 조절부(113)는 제 1몸체(111)와 제 2몸체(112)가 서로 삽입하며 길이 조절을 할 때 제 1몸체(111)와 제 2몸체(112)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length adjusting part 113 serves to fix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when the first body 111 and the second body 112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and adjusted in length. It is characterized by doing.

이로 인해, 사용자 신체의 길이나 상황 및 편의에 맞춰 상기 몸체부(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ue to th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body portion 11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user's body, circumstances and convenience.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20)는 상기 몸체부(110) 상단에 형성되며,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handle portion 120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ody portion 110,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be able to grip.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12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Here, the handle part 12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상기 발판부(130)는 상기 몸체부(110)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을 지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scaffolding portion 13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110,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to support the ground.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판부(130)는 지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프링 또는 스펀지 소재와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보유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소재라면 적용 가능하다.More preferably, the scaffolding portion 13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such as a spring or sponge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the impact of the gr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material can mitigate the impact Applicable.

여기서, 상기 전력생성부(131)는, 상기 발판부(13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ower generation unit 131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unit 130.

그리고, 상기 전력생성부(131)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ower generation unit 13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상기 센서부(140)는 장애물 인식을 진행하는 신호인 장애물 인식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sensor unit 1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n obstacle recognition signal, which is a signal for proceeding with obstacle recognition.

여기서, 상기 센서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nsor unit 14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t least one or more sensors 141.

여기서, 상기 센서(141)는 장애물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센서(141)는 상기 몸체부(110)를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하였을 때 손잡이부(120)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ensor 14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ognizes an obstacle, and the sensor 141 is formed in front of the handle part 120 when the body part 110 is plac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Characterized in that to be

이로 인해, 사용자의 경로인 전방에 상기 센서(141)가 형성되므로, 장애물 인식에 필요한 최소한의 센서(141)의 갯수로도 장애물 인식이 가능하게 되에 따라, 제작 시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sensor 141 is formed in front of the user's path, obstacle recognition is possible with the minimum number of sensors 141 required for obstacle recognition,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effect can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센서부(14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And, the sensor unit 14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to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음향 출력 유닛(200)은 상기 센서부(140)로부터 받은 알람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알람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audio output unit 200 receives the alarm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40 and outputs the alarm information in an audio format.

이를 통해, 주변 소음으로 인해 알람 정보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하게 알람 정보를 전달 가능하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liver alarm information to a user even in a situation in which the alarm information cannot be clearly recognized due to ambient noise.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음향 출력 장치를 신체 일부에 착용함에 따라, 보행자가 지팡이 유닛(100)을 파지하고 음향 출력 유닛(200)을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진행할 경우, 장애물에 대한 알람 정보가 사용자의 귀에 직접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a pedestrian walks while holding the cane unit 100 and wearing the sound output unit 200 on the ear as the user wears the audio output device on a part of the body, alarm information about the obstac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s output directly to the user's ear.

이로 인해, 보행 시 상기 보행 보조 장치(1000) 사용 중 계단 및 가로등과 같은 장애물로 인한 사고 위험성을 낮출 수도 있다.As a result,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obstacles such as stairs and streetlights while using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0 while walking may be reduced.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지팡이 유닛(100)과 음향 출력 유닛(2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4 ,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wand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1000)의 동작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al configuration of a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0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1000)는, 지팡이 유닛(100)과 음향 출력 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지팡이 유닛(100)과 음향 출력 유닛(200)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4 ,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0 capable of recognizing obstac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ne unit 100 and a sound output unit 200, and the cane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apable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먼저, 상기 지팡이 유닛(100)은 전력생성부(131), 센서부(140), 제어부(150) 및 통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First, the wand unit 100 may include a power generator 131, a sensor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nd a communication unit 160.

여기서, 상기 전력생성부(131)는 상기 발판부(130)의 저면에 구비된다. Here, the power generating unit 131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unit 130 .

그리고, 상기 전력 생성부(131)는 상기 지팡이 유닛(100)과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power generating unit 13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cane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판부(130)가 지면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인가되는 외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caffold portion 130 can generate power by receiv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ground.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력생성부(131)의 내부에 발전기와 콘덴서 및 축전지가 설치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 generator, a condenser, and a storage battery may be installed inside the power generating unit 131 .

더 나아가, 상기 전력생성부(131)는 내부에 설치된 장치 이외에도, 지면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인가되는 외력을 동력 에너지로 전환하여 일정한 전력을 생성하는 그 어떠한 구성으로 전력생성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power generation unit 131 may include the power generation unit 131 in any configuration that generates constant power by converting the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ground into power energy, in addition to the device installed therein. can

이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1000)를 사용하여 보행 중 지팡이 유닛(100)의 센서부(140) 및 음향 출력 유닛(200)의 충전된 전력이 모두 소모되어 방전이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charged power of the sensor unit 140 of the cane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are all consumed and discharged while the user is walking using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0 capable of recognizing the obstacle. Since the situa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further improved.

다음으로, 상기 센서부(140)는 사용자의 보행 방향인 상기 손잡이부(120)의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을 식별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sensor 141 capable of identifying an obstacle located in front of the handle unit 120 in the user's walking direction.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부(140)는 적외선 센서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ore preferably, of course, the sensor unit 140 may be provided as an infrared sensor.

더 나아가,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적외선 센서 이외에도, 광센서 등 상기 장애물을 식별 가능한 그 어떠한 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sensor unit 140 may be provided with any sensor capable of identifying the obstacle, such as an optical sensor, in addition to the infrared sensor.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부(140)로부터 장애물 인식 신호를 수신 받아, 알람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된다.Next, the controller 150 receives an obstacle recognition signal from the sensor unit 140 and generates alarm information.

이때, 상기 알람 정보는, 보행자의 보행 방향에서 발생하는 장애물의 존재 여부에 대한 감지를 진행한 정보인 장애물 인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150)에서 생성된다.At this time, the alarm information is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150 based on obstacle recognition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btained by detecting whether or not there is an obstacle occurring in the walking direction of the pedestrian.

상기 제어부(15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 요소들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 및 데이터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process signals and data input through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to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지팡이 유닛(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을 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50 may operate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wand unit 100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상기 통신부(160)는 상기 지팡이 유닛(100)과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이 무선 통신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wand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

예를 들어, 통신부(160)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6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with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a voice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ext/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a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ies.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지팡이 유닛(1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써,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and unit 100,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The GPS module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여기에서,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indicated by latitude and longitude.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GPS module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by measuring the exact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using three different distances according to a triangulation method.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A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and time information from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with one satellite may be used.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GPS module can obtain accurate time along with three-dimensional speed information as well as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positions from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satellites.

다른 예로서, 상기 지팡이 유닛(100)은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지팡이 유닛(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wand unit 100 utilizes a Wi-Fi module, the wand unit 100 is based on information of a wireless access point (AP) that transmits or receives a wireless signal with the Wi-Fi module. position can be obtained.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지팡이 유닛(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may perform any function among other modu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order to obtain data on the location of the wand unit 100 in substitution or addition.

즉, 위치정보모듈은 상기 지팡이 유닛(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wand unit 100,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acquir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다음으로,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은 알람정보출력부(210)와 통신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210 and a communication unit 220.

여기서, 상기 알람정보출력부(210)는 장애물 인식 신호를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21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outputs an obstacle recognition signal as a sound signal.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부(140)에서 수신 받은 인식 신호를 상기 제어부(150)를 통해 생성된 장애물의 존재 여부와 관련된 알람 정보를 상기 통신부(220)로 수신 받아 알람정보출력부(210)에서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recogni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140 receives alarm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istence of an obstacle generated through the control unit 150 to the communication unit 220, and the alarm information output unit 21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output as a sound signal from.

다음으로, 상기 통신부(220)는 상기 지팡이 유닛(100)과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이 무선 통신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Next, the communication unit 220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allow the wand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to communicate wirelessly.

예를 들어, 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a voice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ext/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refers to a module for short-distance communication.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may be used a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ies.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음향 출력 유닛(200)의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써,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for acquiring the current location of the audio output unit 200, and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include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module or a Wireless Fidelity (WiFi) module.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The GPS module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여기에서,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coordinate information indicated by latitude and longitude.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GPS module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by measuring the exact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and using three different distances according to a triangulation method.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A method of obtaining distance and time information from three satellites and correcting an error with one satellite may be used.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In particular, the GPS module can obtain accurate time along with three-dimensional speed information as well as latitude, longitude, and altitude positions from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satellites.

다른 예로서,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은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sound output unit 200 utilizes a Wi-Fi module, the sound output unit ( 200) can be obtained.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If necessar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may perform any function among other modules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 order to obtain data on the location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in substitution or addition.

즉, 위치정보모듈은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at is,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acquir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1000)의 손잡이부(120) 세부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5 ,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handle part 120 of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0 capable of recognizing obstacle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1000)의 손잡이부(120)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FIG.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handle part 120 of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1000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은, 상기 손잡이부(12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sound output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handle part 120 .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120)는 소정의 수용 공간(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handle part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121).

여기서, 상기 수용 공간(121)은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ccommodation space 12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sound output unit 200 .

또한, 상기 손잡이부(120)가 상기 수용 공간(121)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을 수용 공간(121)에 보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s the handle part 120 includes the accommodating space 121, the sound output unit 200 can be stor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21.

이로 인해,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의 휴대성을 보다 향상시켜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portability of the audio output unit 200 may be further improved to provide convenience in use.

또한, 상기 수용 공간(121)에 음향 출력 유닛(200)이 안착되면, 충전된 소정의 수용 공간(121)을 통해,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이 충전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se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1,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charged through the filled accommodation space 121.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용 공간은 자력에 의해 음향 출력 유닛(200)과 수용 공간(121)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accommodating space is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audio output unit 200 and the accommodating space 121 are not separated by magnetic force.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상기 전력생성부(131)에서 생산된 전력을 이용하여 수용 공간(121) 내 안착된 음향 출력 유닛(200)에 대한 충전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specifical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enable charging of the sound output unit 200 se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121 us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or 131 described above.

이로 인해, 충전된 수용 공간(121) 내 음향 출력 유닛(200)이 안착이 되면, 음향 출력 유닛(200)이 즉시 충전되므로, 음향 출력 유닛(200)을 별도로 충전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상시 충전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Due to this, when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seated in the filled accommodation space 121, the sound output unit 200 is immediately charged, so that the sound output unit 200 does not need to be charged separately, so that constant charging is possible. This makes it possible to further improve us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s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1000 :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
100 : 지팡이 유닛
110 : 몸체부
111 : 제 1 몸체
112 : 제 2 몸체
113 : 길이 조절부
120 : 손잡이부
121 : 수용공간
130 : 발판부
131 : 전력생성부
140 : 센서부
141 : 센서
150 : 제어부
160 : 통신부
200 : 음향 출력 유닛
210 : 신호 출력부
220 : 통신부
1000: walking aid capable of recognizing obstacles
100: wand unit
110: body part
111: first body
112: second body
113: length control unit
120: handle part
121: accommodation space
130: scaffolding
131: power generation unit
140: sensor unit
141: sensor
150: control unit
160: communication department
200: sound output unit
210: signal output unit
220: Communication Department

Claims (4)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센서부(140)를 포함하는 지팡이 유닛(100); 및
상기 센서부(140)로부터 생성된 알람 정보를 수신 받으며, 상기 알람 정보를 음향 포맷으로 출력하는 음향 출력 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지팡이 유닛(100)은,
소정 길이를 보유하도록 구비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 상단에 형성되며, 파지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단이 개구되면서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을 수용하는 소정 면적의 수용 공간(121)을 포함하는 손잡이부(120);
상기 몸체부(110) 하단에 형성되며, 지면을 지지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발판부(130);
장애물의 인식을 진행하는 신호인 장애물 인식 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센서부(140);
상기 장애물 인식 신호를 수신 받아, 상기 장애물의 존재 여부와 관련된 정보인 알람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제어부(150); 및
상기 지팡이 유닛(100)과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이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통신부(160);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130)는,
상기 지팡이 유닛(100)과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상기 발판부(130)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발판부(130)가 지면에 접촉하는 과정에서 인가되는 외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전력생성부(131);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출력 유닛(200)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되며 자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
A cane unit 100 including a sensor unit 140 capable of recognizing obstacles; and
An audio output unit 200 that receives alarm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nsor unit 140 and outputs the alarm information in an audio format,
The wand unit 100,
Body portion 110 provided to hold a predetermined length;
a handle part 120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body part 110, provided to be grippable, and including an accommodating space 121 of a predetermined area accommodating the sound output unit 200 while the upper end is open;
I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110, scaffolding portion 130 provided to support the ground;
The sensor unit 140 for generating an obstacle recognition signal, which is a signal for proceeding with recognition of an obstacle;
a control unit 150 configured to receive the obstacle recognition signal and generate alarm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obstacle; and
A communication unit 160 provided to en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wand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includes,
The scaffolding portion 13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caffolding portion 130 so as to generate power necessary for driving the cane unit 100 and the sound output unit 200, in the process of contacting the scaffolding portion 130 with the ground Including; power generation unit 131 capable of generating power by receiving an applied external force;
The sound output unit 200,
The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n obsta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from the upper end of the handle part to the lower end and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handle part by a magnetic for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몸체부(110)를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하였을 때 상기 손잡이부(120)의 전방 측에 형성되는 장애물 인식 센서(1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물 인식이 가능한 보행 보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or unit 140,
An obstacle recognition sensor 141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handle part 120 when the body part 110 is plac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ground; walking assistance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obstacl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KR1020210012177A 2021-01-28 2021-01-28 Pedestrian Aids Capable Of Obstacle Recognition KR1025277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177A KR102527733B1 (en) 2021-01-28 2021-01-28 Pedestrian Aids Capable Of Obstacle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2177A KR102527733B1 (en) 2021-01-28 2021-01-28 Pedestrian Aids Capable Of Obstacle Recogn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512A KR20220109512A (en) 2022-08-05
KR102527733B1 true KR102527733B1 (en) 2023-05-02

Family

ID=8282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2177A KR102527733B1 (en) 2021-01-28 2021-01-28 Pedestrian Aids Capable Of Obstacle Recogn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773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058Y1 (en) * 1999-11-02 2000-05-15 이정옥 Multipurpose walking stic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828B1 (en) * 2012-07-19 2014-05-2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Walking stick for blind person
KR20190001478U (en) 2017-12-11 2019-06-19 김범련 Handle changeable multi-functional stick
KR20210004730A (en) * 2019-07-05 2021-01-13 윤여표 A cane with various func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058Y1 (en) * 1999-11-02 2000-05-15 이정옥 Multipurpose walking sti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9512A (en)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437B1 (en) Crosswalk guiding system for a blindperson
JP41398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193721B1 (en) Walk assistance apparatus for blind people
KR101810576B1 (en) Drone Apparatus for Assisting a Visually Handicapped Pers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109546B1 (en) Way guidance apparatus for eyesight handicapped person and mobile terminal
JP2006345974A (en) Walking aid device for blind person
KR20160133318A (en) Smart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blind and Smart walking assistance system using the same
KR1008462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traffic information
KR20180126768A (en) System for Navigating Guide for Blind People
KR102314482B1 (en) Smart stick for blind
JP2021174467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527733B1 (en) Pedestrian Aids Capable Of Obstacle Recognition
KR101873489B1 (en) Crossroad passing support system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60000897A (en) Personal guidance system for blind persons using wrist type device based ble
US11908316B2 (en) Walking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JP4396891B2 (en) Guidance guid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KR101849594B1 (en) Wireless headset, walking assista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lking assistant with lidar
KR102001625B1 (en) A Method for Guiding a Movement of a Visually Impaired by A Robot Dog
KR101721932B1 (en) Apparatus for guiding roa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81589A (en) Front detection device of glasses type
KR20140003391U (en) GPS Navigation Shoes for blind
KR101613022B1 (en) Wearable Haptic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walking guidance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20170004142A (en) GPS pedestrian navigation and location-based awareness Alarms sound for the visually impaired
KR20190097906A (en) Waiking staff for visually handicapped
KR102005247B1 (en) A remote control to transmit wireless signals at regular intervals for bli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