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768A - System for Navigating Guide for Blind People - Google Patents

System for Navigating Guide for Blind Peop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768A
KR20180126768A KR1020170061573A KR20170061573A KR20180126768A KR 20180126768 A KR20180126768 A KR 20180126768A KR 1020170061573 A KR1020170061573 A KR 1020170061573A KR 20170061573 A KR20170061573 A KR 20170061573A KR 20180126768 A KR20180126768 A KR 20180126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ne
visually impaired
navigation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5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남
Original Assignee
(주) 애니설리반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애니설리반학교 filed Critical (주) 애니설리반학교
Priority to KR1020170061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6768A/en
Publication of KR20180126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7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8Sticks for blind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61H2201/5012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Abstract

A navigation system for a blind person can transmit a walking path by using a walking stick for the blind person and can photograph a surrounding object while keeping the level of a camera part to check the surrounding objects quickly and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The present invention adds various functions to the walking stick for the blind person so that the blind person can cope with an unexpected situation and support independent walking to provide the convenience of living. The navigation system includes a GPS module,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an ultrasonic wave sensor part, a speaker part, and a control part.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System for Navigating Guide for Blind People}{System for Navigating Guide for Blind People}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를 전달하고, 카메라부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주변의 사물을 촬영하여 주변의 사물을 빠른 시간에 파악하여 위급 상황을 대비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ute guidance apparatus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route guidance apparatus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ich transmits a walking route using a walking stick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system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시각 장애인들은 자신이 원하는 목적지를 찾아갈 때 안내견을 이용해 길을 찾는 경우, 안내견의 훈련, 사용자와의 매칭 및 교육, 사후 관리 등 관리 비용이 높기 때문에 대다수의 시각 장애인들이 이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Visually impaired people have difficulty in using most visually impaired people because of the high cost of management such as guide dog training, matching with user, education and post management when they search for directions by their guide dogs.

대다수의 시각 장애인들은 지팡이에 의존하여 바닥면에 설치된 점자 블록을 인식하여 실외로 외출하게 된다.The majority of visually impaired people rely on sticks to recognize the braille blocks installed on the floor and go outdoors.

즉, 시각 장애인들은 복수의 점차 블록으로 이루어진 점자 블록 유도라인을 따라 보행하고, 각 점자 블록의 엣지 성분을 지팡이로 여러 번 접촉시키거나 발바닥 느낌을 통해 인식함으로서 보행하게 된다.That is, the visually impaired persons walk along the braille block guidance line made up of a plurality of gradually blocks, and walk on the edge by touching the edge component of each braille block several times with the staff or by recognizing through the sole feel.

그러나 시각 장애인들이 지팡이나 발바닥을 통한 자신의 감각만으로 점자 블록을 인지하여 보행을 하기에 목적지까지 가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점자 블록의 의미 판단에 따른 스트레스가 발생하며, 일정 시간 이상 지팡이를 이용함에 따라 체력 소모가 많아지는 단점이 있다.However, visually handicapped people are aware of the Braille block only by their senses through their canes or soles, so it takes a lot of time to get to the destination, and stress is caused by the meaning judgment of the Braille block. Which in turn increases the amount of physical power consumed.

실제로 시각 장애인이 유도 블록에만 의지하다가 사고가 발생하거나 사고가 날 수 있는 상황에 빠진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시각 장애인이 성인된 이후 후천적으로 발생한 경우, 초보자가 지팡이만을 의지하여 목적지를 찾아가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Indeed, blind people often rely solely on the induction block to fall into a situation where an accident or accident can occur. Especially, if a blind person is acquired after being grown up,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for a beginner to rely on a staff only to visit a destina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를 전달하고, 카메라부의 수평을 유지하면서 주변의 사물을 촬영하여 주변의 사물을 빠른 시간에 파악하여 위급 상황을 대비할 수 있는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lking path for a visually handicapped person, which is capable of transmitting a walking path and capturing objects in the vicinity while maintaining the level of the camera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uidance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은,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길이 방향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팡이 본체; A wand body made of a r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지팡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팡이 본체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A GPS module formed inside the cane body and generat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ne body;

상기 지팡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거리 측정을 위한 초음파를 발생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방출하는 초음파 발신부;An ultrasonic transmitter formed inside the cane body and generating ultrasonic waves for distance measurement and emitting the ultrasonic wav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지팡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초음파 발신부에서 방출되는 기준 신호가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는 변별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부;An ultrasonic sensor part formed inside the cane body and receiving a discrimination signal in which a reference signal emitted from the ultrasonic wave emitting part is reflected by an obstacle;

상기 지팡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 및 실시간 길 안내 서비스를 음성 안내로 출력하는 스피커부;A speaker unit formed inside the cane main body and outputting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n obstacle and a real-time road guidance service to a voice guide;

마이크부로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해당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부;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microphone unit and analyzing the voice information to generate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information;

상기 초음파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변별 신호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물체의 거리를 산출하고, 장애물과 기설정된 위험 거리 이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진동 모듈을 구동하여 진동의 세기를 강하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ler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of the object using the time difference of the discrimin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ultrasonic sensor part and driving the vibration module to output a strong intensity of the vibration as the distance approaches the predetermined danger distance;

상기 지팡이 본체의 상단 양측면에 결합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로 이루어진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및A can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comprising a camera module coupled to both sides of an upper end of the cane body to photograph a forward image; And

상기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로부터 음성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의 현재 위치 정보와 음성 정보를 나타내는 목적지 간의 최단 경로를 검색하고, 이를 기초로 보행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로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voic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walking staff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shortest path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aff memb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destination representing the voice information is searched for, And a navigation mediation server provided as a guide staff.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를 이용하여 보행 경로를 전달하고, GPS 모듈과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시각 장애인의 현재 위치를 빠른 시간 안에 파악할 수 있어 위험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 walking route using a walking stick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nd can grasp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n a short time using the GPS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have.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여 시각 장애인이 돌발 상황에도 대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독립 보행을 지원하여 생활의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dds various functions to a can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so that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cope with an unexpected situation, thereby supporting independent walking and providing convenience of liv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서 카메라 모듈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navigation system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ine of a can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n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movement of a camera module in a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ute guidance method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line of a can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n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briefly show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은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100),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200) 및 관제 센터(300)를 포함한다.The navigation system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100), a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and a control center (300).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100)는 길이 방향의 봉 형상으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원통형의 지팡이 본체(101)를 포함한다. 지팡이 본체(101)의 재질에는 제한이 없으며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The wand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includes a cylindrical wand body 101 having a longitudinal bar shape and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material of the cane body 101, and the cane body 101 may be made of a flexible plastic material that provides an elastic force.

지팡이 본체(101)의 내부에는 진동 모듈(108), GPS 모듈, 통신부(107), 초음파 발신부(109a), 초음파 센서부(109b), 제어부(105), 스피커부(104), 마이크부(106) 및 음성 인식부(103)를 포함한다.A vibration module 108, a GPS module, a communication unit 107, an ultrasonic wave transmission unit 109a, an ultrasonic sensor unit 109b, a control unit 105, a speaker unit 104, a microphone unit 106 and a voice recognition unit 103. [

지팡이 본체(101)는 다단 접철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부 끝단에 시각 장애인이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가락 양각 형상의 손잡이부(101a)를 형성하고, 손잡이부(101a)의 내측에 일정한 진동 패턴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듈(108)을 구비한다.The cane body 101 can be constructed in a multi-stage folding type. The handle 101a having a finger-embossed shap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cane body 101 so that a blind person can easily grasp it, And a vibration module 108 for generating a vibration signal.

손잡이부(101a)는 사용자가 실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이 높은 고무 재질로 구성한다.The handle portion 101a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ving high frictional force so that the user does not slip by mistake.

GPS 모듈은 하나 이상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인공위성(10)으로부터 수신한 GPS 전파 신호로부터 항법 데이터(Navigation Data)를 추출하여 이동통신망(20)을 통해 위치 계산 서버(미도시)로 송신한다.The GPS module extracts navigation data from a GPS radio wave signal received from one or more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atellites 10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data to a position calculation server (not show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20.

통신망(20)은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망일 수 있고 이동통신망 등의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20 may b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측위 프로토콜은 위치 측위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계층의 규격을 표준화하고 있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측위 프로토콜은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100)와 위치 계산 서버 간에 GPS 전파 신호 및 무선랜 신호를 송수신이 가능하다.The positioning protocol refers to a protocol standardizing the application layer specification for position location. The positioning protocol i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GPS propagation signals and wireless LAN signals between the blind staff 100 and the position calculation server.

통신부(107)는 지팡이 본체(101)의 내측에 위치하여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100)와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200) 또는 관제 센터(300)와 소정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07 is located inside the wand main body 101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predetermined data to the wand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100 and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or the control center 300.

초음파 발신부(109a)는 거리 측정을 위한 초음파를 발생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방출한다. 초음파 센서부(109b)는 초음파 발신부(109a)에서 방출되는 기준 신호가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는 변별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05)로 전송한다.The ultrasonic transmitter 109a generates ultrasonic waves for distance measurement and emits the ultrasonic wav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ultrasonic sensor unit 109b receives the discrimination signal reflected by the obstacle from the reference signal emitted from the ultrasonic transmitter unit 109a and transmits the discrimina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105. [

제어부(105)는 초음파 센서부(109b)로부터 수신한 변별 신호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물체의 거리를 산출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105 calculates the distance of the object using the time difference of the discrimin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ultrasonic sensor unit 109b.

제어부(105)는 초음파 발신부(109a)와 초음파 센서부(109b)를 통해 시각 장애인의 진행 방향에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과의 근접 거리를 계산한 후, 기설정된 음성 정보로 스피커부(104)를 통해 안전 거리를 확보하도록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The control unit 105 detects an obstacl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lind person through the ultrasonic transmission unit 109a and the ultrasonic sensor unit 109b and calculates a proximity distance to the obstacle, To secure the safety distance.

제어부(105)는 장애물과 기설정된 위험 거리 이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진동 모듈(108)을 구동하여 진동의 세기를 강하게 출력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05 drives the vibration module 108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to be strongly output as the obstacle approaches the predetermined danger distance.

스피커부(104)는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 및 실시간 길 안내 서비스를 음성 안내로 출력한다.The speaker unit 104 outputs the distance information to the obstacle and the real-time guidance servi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05 to the voice guidance.

마이크부(106)는 시각 장애인이 목적지를 음성으로 입력하거나 위급 신호를 음성으로 입력한다.The microphone unit 106 inputs a destination voice by a visually impaired person or inputs an emergency signal by voice.

음성 인식부(103)는 마이크부(106)로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해당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음성 정보는 목적지 이름 또는 주소 내지 좌표 정보일 수 있다.The voice recognition unit 103 receives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microphone unit 106 and analyzes the voice information to generate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information. For example, the voice information may be the destination name or address or coordinate information.

제어부(105)는 음성 인식부(103)에서 분석된 음성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200)로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05 transmits the voic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103 to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200)는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100)로부터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100)의 현재 위치 정보와 음성 정보를 나타내는 목적지 간의 최단 경로를 검색하고, 이를 기초로 보행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보행 경로 데이터를 통신망(20)을 통해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100)로 전송한다.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searches for the shortest path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destination indicating the voice information when the voic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wand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ransmits the generated walking path data to the wand 100 for the visually impai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

여기서, 보행 경로 데이터는 최단 거리 정보, 최단 시간에 따른 보행 경로 정보, 출발지 정보, 경유지 정보, 목적지 정보, 도착 예상 시간 정보, 실시간 방향 정보를 포함한다.Here, the walking route data includes the shortest distance information, the walking rou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hortest time, the starting point information, the waypoint informatio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the arrival expectation time information, and the real time direction information.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100)는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200)로부터 보행 경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직진, 좌회전, 우회전, 후진 등을 포함한 실시간 방향 정보를 음성 안내 데이터로 제공하거나 진동 모듈(108)에 의해 진동 패턴으로 전달할 수 있다.When receiving the walking path data from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the wand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100 provides real-time dir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traight line, the left turn, the right turn, and the backward direction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destination as voice guidance data, Can be transmitted in a vibrational pattern by the antenna 108.

지팡이 본체(101)는 상단 양측면에 돌출된 거치대(110)에 의해 카메라 모듈(120)이 결합된다. 즉 지팡이 본체(101)는 좌측 거치대(111)와 우측 거치대(112)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좌측 거치대(111)와 상기 우측 거치대(112)의 일측 끝단 사이에 카메라 모듈(120)이 결합된다.The cane body 101 is coupled to the camera module 120 by a cradle 110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end. That is, in the cane body 101, the left and right cradles 111 and 112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amera module 120 is coupled between the left cradle 111 and one end of the right cradle 112 do.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카메라 모듈(12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에서 카메라 모듈의 움직임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movement of a camera module in a wand for a visually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20)은 지표면과 나란하게 평행을 유지하면서 전방을 향하여 배치된다.The camera module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forward direction while keeping parallel with the ground surface.

카메라 모듈(120)은 구 형태의 회전몸체(121)와 상기 회전몸체(121)의 하부면에 일정 중량의 무게추(122)를 결합하여 회전몸체(121)가 요동에 따라 크게 흔들리지 않고, 지표면과 나란하게 평행을 유지하게 한다.The camera module 120 includes a spherical rotating body 121 and a weight 122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21 so that the rotating body 121 is not largely swung with the swinging motion, So as to maintain parallelism.

회전몸체(121)는 양측면에 고정샤프트(113)에 의해 상기 좌측 거치대(111)와 상기 우측 거치대(112)에 연결된다. 여기서, 고정샤프트(113)는 회전몸체(121)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후, 그 상태를 고정 및 유지하기 위한 기어 조합으로 구성된다.The rotating body 121 is connected to the left cradle 111 and the right cradle 112 by fixing shafts 113 on both sides. Here, the fixed shaft 113 is composed of a gear combination for rotating and rotating the rotating body 121 at a certain angle, and for fixing and maintaining the state.

카메라 모듈(120)은 오뚜기 형태로 무게추(122)의 작동에 의해 항상 지표면과 나란하게 평행을 유지하게 한다.The camera module 120 always keeps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by operation of the weight 122 in the form of a crosshair.

회전몸체(121)는 내부 원형몸체(123) 및 외부 원형몸체(127)를 포함한다.The rotating body 121 includes an inner circular body 123 and an outer circular body 127.

내부 원형몸체(123)는 내부가 비어 있는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카메라부(124)가 지지대(125)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The inner circular body 123 forms an inner space portion in which the interior is hollow and the camera portion 124 is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portion by a support 125.

외부 원형몸체(127)는 상기 내부 원형몸체(123)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부 원형몸체(123)보다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고, 내부 원형몸체(123)와의 사이에 완충부재(130)가 일정 간격마다 결합되어 있으며, 나머지 내부 원형몸체(123)와의 사이 영역에 충격흡수물질(126)을 충진한다.The outer circular body 127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circular body 123 so as to surround the inner circular body 123 and the buffer member 13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lar body 123 at regular intervals Absorbing material 126 is filled in the region between the inner circular body 123 and the remaining inner circular body 123.

충격흡수물질(126)은 충격을 받으면 축소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재료이면 어떠한 물질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례로 다공성 발포알루미늄을 들 수 있다.The shock absorbing material 126 may be any material as long as it is deformed and deformed when it is impacted and absorbs shock. Examples of the porous aluminum foam include aluminum foam.

다공성 발포알루미늄은 다공성으로 가볍고 방향성이 없으며 가공이 자유롭고 우수한 강성을 가지는 기계적 특성을 가지며, 에너지 충격흡수능력이 우수하다.Porous foamed aluminum is porous, lightweight, has no directionality, is machinable, ha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with excellent rigidity, and has excellent energy shock absorption capability.

완충부재(130)는 회전몸체(121)가 상하좌우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충격을 흡수하여 흔들림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한다.The cushioning member 130 functions to absorb the impact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rotating body 121 so as to minimize swinging.

완충부재(130)는 내부 원형몸체(123)의 외부면에서 연장되는 연결부(131)와, 상기 연결부(131)의 일면에 결합된 슬라이드부(132) 및 상기 슬라이드부(132)가 슬라이드되어 삽입되는 결합하우징(133)을 포함한다.The buffer member 130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131 exten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ircular body 123 and a slide portion 132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131. The slide portion 132 is slidably inserted (Not shown).

연결부(131)는 내부 원형몸체(123)의 외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결합된다.The connecting portion 131 extend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ircular body 123 and is engaged.

슬라이드부(132)는 연결부(131)의 일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된다.The slide part 132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connection part 131 and is coupled.

슬라이드부(132)는 외부 둘레를 따라 링 형태의 제1 스프링부재(136)가 결합되어 있다.The slide portion 132 is coupled with a first spring member 136 in the form of a ring along the outer periphery thereof.

결합하우징(133)은 내부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슬라이드부(132)가 결합되며, 슬라이드부(132)가 슬라이드되어 내부 공간부로 삽입된다.The coupling housing 133 has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nd one end opened to connect the slide portion 132 to the opened portion, and the slide portion 132 is slid into the inner space portion.

결합하우징(133)은 슬라이드부(132)의 일면으로부터 결합하우징(133)의 바닥면까지 제2 스프링부재(135)가 결합된다. 제2 스프링부재(135)에 의해 슬라이드부(132)가 삽입되었다 탄성력으로 복원한다.The coupling housing 133 is coupled with the second spring member 135 from one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132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housing 133. The slide portion 132 is inserted by the second spring member 135 and is restored by the elastic force.

카메라부(124)는 지팡이 본체(101)의 외부 충격에도 최대한 흔들림이 적어야 하고 지표면과 나란하게 평행을 유지해야 정상적인 외부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카메라 모듈(120)은 전술한 완충부재(130)와 무게추(122), 충격흡수물질(126)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The camera unit 124 should be as small as possible in the external impact of the cane body 101 and should be kept parallel to the ground surface so that normal external photography is possible. To this end, the camera module 120 includes the cushioning member 130, the weight 122, and the shock-absorbing material 126 as components.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20)은 전방을 주시하고 수평을 유지하며 흔들림을 최소화하면서 외부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camera module 120 photographs an external image while keeping a front view, keeping a horizontal position, and minimizing a shak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ute guidance method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05)는 네비게이션 설정 버튼(미도시)이 선택되는 네비게이션 모드 또는 위급 모드 설정 버튼(미도시)이 선택되는 위급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S102).The control unit 105 determines whether the navigation mode in which the navigation setting button (not shown) is selected or the emergency mode in which the emergency mode setting button (not shown) is selected (S100, S102).

시각 장애인은 지팡이 본체(101)에 형성된 네비게이션 설정 버튼(미도시)을 누르면서 마이크부(106)를 통해 목적지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한다.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nputs the destination information by voice through the microphone unit 106 while depressing a navigation setting button (not shown) formed on the cane body 101.

음성 인식부(103)는 마이크부(106)로 입력되는 음성 정보(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해당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voice recognition unit 103 receives voice information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to the microphone unit 106 and analyzes the voice information to generate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information.

제어부(105)는 음성 인식부(103)에서 분석된 음성 정보와 GPS 모듈(102)로부터 계산된 현재 위치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200)로 전송한다(S104).The control unit 105 transmits the voice information analyzed by the voice recognition unit 103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GPS module 102 to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at step S104.

제어부(105)는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200)로부터 보행 경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직진, 좌회전, 우회전, 후진 등을 포함한 실시간 방향 정보를 음성 안내 데이터로 제공한다(S106, S108).When receiving the walking route data from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the control unit 105 provides real-time direc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straight line, the left turn, the right turn, and the backward direction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destination as voice guidance data (S106, S108) .

제어부(105)는 GPS 모듈(102)와 연동하여 갱신되는 현재 위치 정보를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2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05 periodically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updated in conjunction with the GPS module 102 to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

제어부(105)는 초음파 발신부(109a)와 초음파 센서부(109b)를 통해 시각 장애인의 진행 방향에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과의 근접 거리를 계산한 후, 기설정된 음성 정보로 스피커부(104)를 통해 안전 거리를 확보하도록 한다(S110).The control unit 105 detects an obstacl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lind person through the ultrasonic transmission unit 109a and the ultrasonic sensor unit 109b and calculates a proximity distance to the obstacle, So as to secure a safety distance (S110).

제어부(105)는 장애물이 기설정된 위험 거리 이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진동 모듈(108)을 구동하여 진동의 세기를 강하게 출력하도록 제어한다(S112).The control unit 105 drives the vibration module 108 to control the intensity of the vibration to be strongly output as the obstacle approaches a predetermined danger distance (S112).

제어부(105)는 카메라 모듈(120)을 이용하여 전방의 영상 정보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200)로 전송한다.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200)는 시각 장애인의 진행 방향이 목적지로 향하고 있는지 영상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고, 목적지의 이동 경로를 이탈한 경우, 경로를 이탈하였음을 제어부(105)로 전송하여 음성 출력하도록 한다. 이어서,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200)는 경로를 재탐색하여 재설정된 보행 경로 데이터를 제어부(105)로 전송한다.The control unit 105 captures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front using the camera module 120 and transmits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determines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hether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is directed to the destination. If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leaves the travel route of the destination,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transmits to the control unit 105 Voice output. Then,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200 searches the route again, and transmits the reset gait route data to the control unit 105.

시각 장애인은 위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지팡이 본체(101)에 형성된 위급 모드 설정 버튼(미도시)을 누르게 된다(S102).When an emergency occurs, the visually impaired person presses an emergency mode setting button (not shown) formed in the cane body 101 (S102).

제어부(105)는 위급 모드 선택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GPS 모듈(102)에서 계산된 현재 위치 정보를 통신망(20)을 통해 관제 센터(300) 또는 기설정된 지인의 전화번호로 전송한다(S114).When the emergency mode selection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105 transmits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GPS module 102 to the control center 300 or the telephone number of a predetermined acquaintance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20 (S114 ).

제어부(105)는 스피커부(104)를 통해 주변 영상을 촬영하겠으니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100)를 360도 회전하라는 음성 안내를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105 outputs a voice guidance for rotating the wand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by 360 degrees since the surrounding unit is photographed through the speaker unit 104. [

카메라 모듈(120)은 주변 영상을 파노라마 형태로 촬영하여 파노라마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S116).The camera module 120 photographs a surrounding image in a panorama form to generate panorama image information (S116).

제어부(105)는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 정보를 관제 센터(300) 또는 기설정된 지인의 전화번호로 전송하여 위급 상황을 알리게 된다(S118).The control unit 105 transmits the generated panorama image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300 or a telephone number of a predetermined acquaintance to inform the emergency situation (S11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by the apparatus and / or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such an embodimen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101: 지팡이 본체
101a: 손잡이부 102: GPS 모듈
103: 음성 인식부 104: 스피커부
105: 제어부 106: 마이크부
107: 통신부 108: 진동 모듈
109a: 초음파 발신부 109b: 초음파 센서부
110: 거치대 111: 좌측 거치대
112: 우측 거치대 113: 고정샤프트
120: 카메라 모듈 121: 회전몸체
122: 무게추 123: 내부 원형몸체
124: 카메라부 125: 지지대
126: 충격흡수물질 127: 외부 원형몸체
130: 완충부재 131: 연결부
132: 슬라이드부 133: 결합하우징
134: 내부 공간부 135: 제2 스프링부재
136: 제1 스프링부재 200: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
300: 관제 센터
100: Visually impaired wand 101: Wand body
101a: Handle 102: GPS module
103: Voice recognition unit 104: Speaker unit
105: control unit 106: microphone unit
107: communication unit 108: vibration module
109a: Ultrasonic wave transmitting part 109b: Ultrasonic wave sensor part
110: cradle 111: left cradle
112: right holder 113: stationary shaft
120: camera module 121: rotating body
122: weight weight 123: inner round body
124: camera part 125: support
126: Shock absorbing material 127: Outer round body
130: buffer member 131:
132: slide portion 133: engaging housing
134: inner space part 135: second spring member
136: first spring member 200: navigation mediation server
300: Control center

Claims (5)

길이 방향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팡이 본체;
상기 지팡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지팡이 본체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GPS 모듈;
상기 지팡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거리 측정을 위한 초음파를 발생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방출하는 초음파 발신부;
상기 지팡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초음파 발신부에서 방출되는 기준 신호가 장애물에 의해 반사되는 변별 신호를 수신하는 초음파 센서부;
상기 지팡이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 및 실시간 길 안내 서비스를 음성 안내로 출력하는 스피커부;
마이크부로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해당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인식부;
상기 초음파 센서부로부터 수신한 변별 신호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물체의 거리를 산출하고, 장애물과 기설정된 위험 거리 이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 진동 모듈을 구동하여 진동의 세기를 강하게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지팡이 본체의 상단 양측면에 결합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로 이루어진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및
상기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로부터 음성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의 현재 위치 정보와 음성 정보를 나타내는 목적지 간의 최단 경로를 검색하고, 이를 기초로 보행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로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
A wand body made of a r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GPS module formed inside the cane body and generat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ane body;
An ultrasonic transmitter formed inside the cane body and generating ultrasonic waves for distance measurement and emitting the ultrasonic wav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 ultrasonic sensor part formed inside the cane body and receiving a discrimination signal in which a reference signal emitted from the ultrasonic wave emitting part is reflected by an obstacle;
A speaker unit formed inside the cane main body and outputting distanc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an obstacle and a real-time road guidance service to a voice guide;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eiving voice information input to the microphone unit and analyzing the voice information to generate data corresponding to the voice information;
A controller for calculating the distance of the object using the time difference of the discrimin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ultrasonic sensor part and driving the vibration module to output a strong intensity of the vibration as the distance approaches the predetermined danger distance;
A can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comprising a camera module coupled to both sides of an upper end of the cane body to photograph a forward image; And
When the voic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re received from the walking staff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shortest path between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staff member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the destination representing the voice information is searched for, And a navigation mediation server provided as a guid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구 형태의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일정 중량의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몸체는 내부가 비어 있는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고, 내부 공간부의 중심부에 카메라부가 지지대에 의해 고정된 내부 원형몸체; 및
상기 내부 원형몸체를 둘러싸도록 상기 내부 원형몸체보다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부 원형몸체와의 사이에 완충부재가 일정 간격마다 결합되는 외부 원형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완충부재는 상기 내부 원형몸체의 외부면에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일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고, 외부 둘레를 따라 링 형태의 제1 스프링부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부와, 내부에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되어 개방된 부분으로 슬라이드부가 결합되고, 상기 슬라이드부가 슬라이드되어 내부 공간부로 삽입되며,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면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제2 스프링부재가 결합되는 결합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mera module includes a rotating body having a spherical shape and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Wherein the rotating body forms an inner space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inner circular body fixed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portion by the support portion of the camera portion; And
And an outer circular body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inner circular body so as to surround the inner circular body and having a buffer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circular body and the inner circular body at regular intervals,
Each of the cushioning members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circular body, a slide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coupling housing in which a second spring member is coupled from one surface of the slide portion to the bottom surface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portion, Wherein the guidanc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visually impair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원형몸체와 상기 외부 원형몸체 사이에 충격을 받으면 축소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물질인 충격흡수물질이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hock absorbing material is filled with a shock absorbing material that is deformed and deformed when an impact is applied between the inner circular body and the outer circular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전방의 영상 정보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중개 서버는 시각 장애인의 진행 방향이 목적지로 향하고 있는지 영상 정보와 상기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판단하고, 목적지의 이동 경로를 이탈한 경우, 경로 이탈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며, 경로를 재탐색하여 재설정된 보행 경로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aptures forward video information using the camera module, transmits the captured video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determines whether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visually handicapped person is directed to a destination based on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f the navigation mediator leaves the travel route of the destination, the navigation mediation server transmits the route departur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And generates and transmits the reset gait data to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팡이 본체에 형성된 위급 모드 설정 버튼이 선택되어 위급 모드 선택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GPS 모듈에서 계산된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관제 센터 또는 기설정된 지인의 전화번호로 전송하고,
상기 카메라 모듈은 주변 영상을 파노라마 형태로 촬영하여 파노라마 영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 정보를 상기 관제 센터 또는 상기 기설정된 지인의 전화번호로 전송하여 위급 상황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emergency mode setting button formed on the cane main body is selected and the emergency mode selection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calculated by the GPS module to the control center or a telephone number of a predetermined acquaintance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camera module photographs a surrounding image in a panorama form to generate panorama image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generated panoramic image information to the control center or the telephone number of the predetermined acquaintance to inform the emergency situation.
KR1020170061573A 2017-05-18 2017-05-18 System for Navigating Guide for Blind People KR201801267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573A KR20180126768A (en) 2017-05-18 2017-05-18 System for Navigating Guide for Blind Peop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573A KR20180126768A (en) 2017-05-18 2017-05-18 System for Navigating Guide for Blind Peop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768A true KR20180126768A (en) 2018-11-28

Family

ID=6456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573A KR20180126768A (en) 2017-05-18 2017-05-18 System for Navigating Guide for Blind Peop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6768A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383B1 (en) * 2019-01-28 2020-08-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ane to guide the road
KR20210059104A (en) * 2019-11-14 2021-05-25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stick for blind
KR20210098005A (en) * 2020-01-31 2021-08-10 울산과학기술원 Gait assistive device
CN113332110A (en) * 2021-06-02 2021-09-03 西京学院 Scene auditory perception-based blind-guiding flashlight and blind-guiding method
KR20220109530A (en) * 2021-01-28 2022-08-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stick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383B1 (en) * 2019-01-28 2020-08-2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Cane to guide the road
KR20210059104A (en) * 2019-11-14 2021-05-25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stick for blind
KR20210098005A (en) * 2020-01-31 2021-08-10 울산과학기술원 Gait assistive device
KR20220109530A (en) * 2021-01-28 2022-08-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stick
CN113332110A (en) * 2021-06-02 2021-09-03 西京学院 Scene auditory perception-based blind-guiding flashlight and blind-guiding method
CN113332110B (en) * 2021-06-02 2023-06-27 西京学院 Blind guiding flashlight and blind guiding method based on scenery auditory percep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6768A (en) System for Navigating Guide for Blind People
Radhika et al. Implementation of smart stick for obstacle detection and navigation
JP413984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ortable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Bousbia-Salah et al. A navigation aid for blind people
US11705018B2 (en) Personal navigation system
KR101091437B1 (en) Crosswalk guiding system for a blindperson
Bouhamed et al. New electronic cane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for obstacle detection and recognition
KR101193721B1 (en) Walk assistance apparatus for blind people
KR102351584B1 (en) System for providing navigation servic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KR101250952B1 (en) System for navigating walking of blind person
KR101810576B1 (en) Drone Apparatus for Assisting a Visually Handicapped Pers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ubbiah et al. Smart cane for visually impaired based on IOT
KR20190111262A (en) Portable device for measuring distance from obstacle for blind person
Alhmiedat et al. A prototype navigation system for guiding blind people indoors using NXT Mindstorms
CN113576854A (en) Information processor
JP6671078B2 (en) Moving body
KR102081193B1 (en) Walking assistance device for the blind and walking system having it
Malla et al. Obstacle Detection and Assistance for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Using an IoT-Enabled Smart Blind Stick.
Mishra et al. Clear Vision-Obstacle detection using Bat Algorithm Optimization Technique
KR100563193B1 (en) Signal transformation method and guidance system providing auditory and tactile indoor/outdoor traveling information for the blind
Srinivas et al. Smart Blind stick connected system using Arduino
KR101235585B1 (en) Omni-directional apparatus and system for announce blind persons, method for announce us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RU141620U1 (en) CANE SCANNER FOR DISABLED PERSONS
KR20170004142A (en) GPS pedestrian navigation and location-based awareness Alarms sound for the visually impaired
JP2023540554A (en) Mobility support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mov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