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7250B1 -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27250B1 KR102527250B1 KR1020200126885A KR20200126885A KR102527250B1 KR 102527250 B1 KR102527250 B1 KR 102527250B1 KR 1020200126885 A KR1020200126885 A KR 1020200126885A KR 20200126885 A KR20200126885 A KR 20200126885A KR 102527250 B1 KR102527250 B1 KR 1025272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route
- transportation
- user
- movem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99 gr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 G06Q50/3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서비스장치는,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다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한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근거로 교통수단과 관련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해 신뢰도 측정 결과를 근거로 교통수단의 노선정보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가령 버스 등의 교통수단에 대한 노선정보를 구축하여 노선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참여시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 노선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무선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IT 서비스들이 생활 편리성을 위하여 개발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버스정보 시스템(BIS, Bus Information System)을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버스정보 시스템이라 하면, 버스의 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버스 정거장에서 기다리는 버스 이용자에게 쉽고도, 간편하게 버스 시간 등을 안내하거나, 버스간의 배차 간격을 조정하는데 이용함으로써 버스의 운행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시스템을 총칭하는 개념으로서 사용하여 왔다. 이러한 버스정보 시스템의 실시간 운행정보를 제공하거나 운행 관리를 위해서는 버스노선정보, 버스정류장 정보, 차량정보, 운수회사, 관할관청 등에 대한 정보가 미리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시골이나 개발도상국 또는 후진국 등의 경우에는 버스가 특정 경로를 운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버스정보 시스템에 그 버스노선정보와 버스정류장 정보 등이 구축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버스노선정보, 버스정류장정보 등의 구축을 위해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사 측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각각의 정보를 수집하고, 정보를 구축하는 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가령 버스 등의 교통수단에 대한 노선정보를 구축하여 노선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할 때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참여시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 노선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서비스장치는,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다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통수단과 관련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해 신뢰도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교통수단의 노선정보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교통수단의 전체 노선 중 일부 구간마다 상기 다수 사용자의 이동정보가 모두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뢰도의 측정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사용자의 이동정보는 제외하여 상기 신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제공하는 상기 교통수단의 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상기 위치정보의 전송을 위한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위치정보의 전송을 중단하는 중단 버튼이 선택되거나 상기 교통수단 내의 QR 코드가 중복 스캔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교통수단에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다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통수단과 관련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해 신뢰도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교통수단의 노선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교통수단의 전체 노선 중 일부 구간마다 상기 다수 사용자의 이동정보가 모두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뢰도의 측정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사용자의 이동정보는 제외하여 상기 신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제공하는 상기 교통수단의 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상기 위치정보의 전송을 위한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위치정보의 전송을 중단하는 중단 버튼이 선택되거나 상기 교통수단 내의 QR 코드가 중복 스캔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교통수단에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는,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로서,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은,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다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통수단과 관련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해 신뢰도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교통수단의 노선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버스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 즉 승객들로부터 버스노선 구축에 필요한 정보를 받는다면 정보 구축의 시간과 비용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으며, 이때 정보 구축에 협조한 이용자에게는 소정의 보상을 줌으로써 상호 상생협력이 가능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교통수단의 노선정보를 구축함으로써 시골이나 개발도상국과 같이 선진화된 교통 서비스로부터 소외되어 있는 사용자들에게 교통수단 이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노선정보 생성시 신뢰도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구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1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노선정보 생성시 신뢰도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구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1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노선정보 생성시 신뢰도 측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서비스 시스템(90)은 가령 노선정보 구축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장치(100), 위성항법장치(GPS)(105), 통신망(110) 및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위성항법장치(105)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노선정보 서비스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통신망(110)을 구성하는 네트워크장치(예: 무선교환장치 등)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가령 버스(97)나 전철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소유하는 스마트폰이나 국내S사의 갤*시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소지하는 사용자들, 가령 버스(97)의 탑승자들은 도 1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나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제공하는 앱저장소(예: 앱스토어, 구글플레이 등)에서 앱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버스(97) 등의 교통수단에 대한 노선정보 생성을 위한 과정에 참여할 수 있다. 물론 앱을 실행하지 않는 경우도 주소정보로 접속하여 얼마든지 참여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가령 버스 노선정보 생성을 위한 과정에 참여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도 1의 버스(97)에 탑승한 후 버스(97)의 내부, 임의 위치나 좌석의 등받이 등에 부착되어 있는 QR 코드(99)를 스캔하여 자신이 탑승한 버스(97)의 식별정보가 인식되도록 한다. QR 코드(99)는 버스의 식별정보, 가령 차량정보, 운수회사, 관할관청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QR 코드(99)를 스캔한 후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가 버스(97)에 탑승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물론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상(예: 앱 화면상)에 표시되는 버튼 등을 선택할 수 있지만,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QR 코드(99)를 스캔하는 동작 이후에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GPS 정보를 취득하여 생성한 위치정보를 QR 코드(99) 등의 코드 정보와 함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내부에 GPS 모듈을 포함하므로 가령 위성항법장치(105)와 통신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좌표정보의 형태로 취득 혹은 생성하여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로 제공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위성항법장치(105)가 아니라 하더라도 주변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장치(예: 공유기나 통신사 기지국 등)가 있다면 이를 통해 현재 위치를 계산하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GPS를 통해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GPS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측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삼각 측량에 의해 계산되는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하철의 경우 터널 내부로 진입하는 경우에는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음영지역에 해당하므로 이의 경우에는 터널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공유기 등과 연계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내부에 가속도센서나 자이로센서와 같은 방향센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위의 센서들을 가동시켜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앱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GPS 신호가 양호하게 수신되는 경우에는 해당 GPS 신호를 근거로 생성하는 위치정보 즉 좌표정보를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로 제공하지만, 만약 신호가 양호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주변의 무선공유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무선공유기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신호세기 등을 이용해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계산하여 제공하거나, 가속도센서 등의 센서를 가동시켜 방향과 가속도 센서의 가속도 측정에 따른 거리를 계산하여 이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계산해 제공할 수 있다. 가속도(a)를 적분 연산하는 경우 속도(v)값을 얻을 수 있고, 다시 속도(v)를 적분 연산하면 거리(d)값을 얻을 수 있다. 주변의 무선공유기 및 센서를 음영지역 진입시 활용하는 것은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생성 과정에 참여하는 사용자 즉 탑승자들이 자신의 목적지에 도착하여 버스(97) 등의 교통수단에서 하차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하차 사실을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화면에서 위치정보의 전송을 중단하기 위한 중단 버튼을 선택하여 알릴 수 있으며, 또는 QR 코드(99)를 한번 더 촬영하는 형태로 하차 사실을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로 통보할 수 있다. 물론 주변의 무선공유기나 기지국과의 통신 상태, 또는 버스(97) 내의 통신장치나 운전자의 스마트폰 등과 통신하여 버스(97)와 거리가 지정 범위를 벗어날 때 자동으로 하차를 인식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차 사실을 통지할 수도 있다.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정보 구축 서비스의 참여에 대한 대가로서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에서 제공하는 보상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보상은 서비스 구축에 참여한 사용자들의 참여 정도를 평가하고, 가령 적극적 참여인지 여부 등을 평가하여 이를 근거로 도서상품권과 같은 온라인상품권을 제공받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보상받을 수 있다.
통신망(11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1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1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접속망으로서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1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1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통신망(11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여기서,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가령 서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골 지역이나 개발도상국, 가령 아직까지 버스정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지 않은 곳 등에 노선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노선정보 등의 데이터를 구축하기 위한 동작을 선행할 수 있다. 따라서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노선정보 구축(또는 생성) 장치라 명명될 수도 있다.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버스(97) 등의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을 시스템 구축 과정에 참여시키고 또 참여한 사용자들에게는 서비스 참여에 상응하는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하여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광고 등을 통해 참여자를 모집할 수 있을 것이다.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노선정보 구축을 위한 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서비스 접속이 있는 경우 해당 접속한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노선정보 생성을 위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가령, 앱을 통해 현재 사용자가 탑승하고 이동하고 있는 버스(97)에 대한 QR 코드의 코드 정보가 제공되고, 또 이와 함께 위치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이를 매칭 및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DB(120a)에 저장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시간, 날짜, 장소 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DB(120a)에 저장시킨 후 이를 분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수개월에 걸쳐 데이터를 수집한 후 분석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인공지능(AI)의 딥러닝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장점은 기존의 확률, 통계를 이용하는 룰 기반 프로그램에 비해 예측에 있으므로, 지역 특성 데이터가 더 반영되는 경우에는 이를 근거로 노선정보 이외에도 다양한 정보를 버스(97)의 승객들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낮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에 참여하는 사용자들로부터 노선정보 구축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밤에는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노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 터미널에서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동일 버스(97)에 탑승한 후 데이터를 제공한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근거로 노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노선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의 시스템 즉 CPU 등이 이를 인식한다는 정도로 이해해도 좋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은 형태로 인식할 수도 있다. 사용자별로 좌표값을 근거로 이동경로를 추적하여 이동정보를 생성하거나 궤적을 그리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특정 버스(97)에 탑승한 사용자별 노선정보의 궤적을 그리거나 추적한 후 서로 공통되는 동일 구간의 노선정보를 버스 노선으로 확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버스(97)의 전체 노선 중 일부 구간에서 탑승자들의 이동경로가 모두 동일하게 검출될 때 해당 일부 구간은 버스(97)의 노선으로 확정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들의 이동정보는 서로 다른 날짜의 데이터를 근거로 버스 노선을 최종적으로 확정할 수 있다. 가령, 초기에 확정한 노선을 주기적으로 갱신하는 형태로 수정하여 노선을 확정할 수도 있다. 도 2의 (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 시간에, 동일 장소에서 동일 버스에 탑승하여 QR 코드(99)의 코드정보와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여러가지 요인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할 수는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기종이 고사양인지 저사양인지도 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주변의 전파 방해 등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오차 범위를 벗어나는, 다시 말해 다른 사용자들의 궤적(혹은 이동경로)과 오차가 많이 벗어나는 사용자의 이동경로는 노선 구간의 확정시 배제시킬 수 있다.
도면번호 200이 실제 버스(97)의 이동경로라 가정할 때, 물론 이는 시스템이 모르는 상태이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사용자들의 위치정보를 취합하여 도면번호 210은 승객 1에 의해 얻어지는 이동경로이고, 도면번호 220은 승객 2에 의해 얻어지는 이동경로라 하면, 승객 2의 경우 특정 구간이 승객 1 또는 다른 다수의 사용자들의 이동경로에서 많이 벗어나는 경우 신뢰도가 떨어지는 이동경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의 경우에는 신뢰도 측정시 승객 2의 이동경로 전체를 배제시키거나 다수의 사용자들과 차이가 나는 일부 구간에 대하여만 배제시켜 버스(97)의 노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뢰도가 떨어지는 이동경로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기종에 따라 발생할 수도 있지만, GPS 수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음영지역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동일 버스(97)에 탑승하여 해당 버스(97)의 노선에 대한 정보, 즉 사용자별 현재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해당 버스(97)의 노선에 대한 신뢰도, 또는 사용자별 현재 위치정보, 더 정확하게는 위치정보에 의한 이동경로의 신뢰도를 측정한다고 볼 수 있다. 신뢰도 측정은 다른 사용자들과 비교하여 경로를 많이 벗어나는 경우 해당 사용자의 특정 구간에 대한 노선정보는 신뢰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우선 노선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이후 주기적으로 확정된 노선정보를 수정해 갈 수도 있다. 그러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1개월 ~ 수개월에 걸쳐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를 종합 분석하여 노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를 진행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좀더 설명하면,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신뢰성 있는 버스 노선정보의 생성을 위하여 날짜, 시간, 탑승구간 등을 달리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생성한 다수의 이동경로정보(혹은 이동정보)를 구축한다. 이때 다수의 이동경로정보는 사용자들이 동일한 구간을 탑승했을지라도 GPS 정보의 오류가 있는 경우 이동경로에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는 도 2의 (b)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이동경로정보를 비교하여 오차 범위 내의 이동경로정보만을 축적하여 버스노선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생성된 버스노선정보는 신뢰성이 높아진다.
위에서와 같은 과정을 통해 버스노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 구축이 완료되는 경우,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가령 버스 정류장으로 어떠한 버스가 진입하고 있고, 운수회사는 어디이며, 관할관청은 어디인지 등과 관련한 버스정보를 활용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들에게 운수회사나 관할관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지만, 버스노선정보, 버스정류장정보, 차량정보 등은 버스 정류장의 전광판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노선정보 등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구축하는 구축 서버와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서비스 서버를 구축하는지에 대하여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제어부(310), 노선정보생성부(320) 및 저장부(3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3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노선정보생성부(3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3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통신망(110)을 경유하여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앱을 통해 접속을 요청하는 경우, 이를 통해 생성되는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QR 코드를 스캔한 스캔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100)로 현재 위치 정보를 전송해 달라고 요청하는 버튼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앱 실행시 앱 화면상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보내기 버튼이 표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화면상의 버튼을 클릭했을 때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가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화면 버튼을 활용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QR 코드의 스캔 시점을 기준으로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여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는 도 1의 버스(97)에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와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버스(97)에서 하차시에도 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면상에 노선정보 보내기 중단 버튼을 표시해주고 하차시에는 이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탑승시와 마찬가지로 QR 코드를 다시 한번 스캔하도록 하여 하차 사실을 통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도 3의 통신 인터페이스부(300), 노선정보생성부(320) 및 저장부(3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제어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00)를 통해 도 1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저장부(3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노선정보생성부(3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령 버스정보 시스템의 구축을 위하여 노선정보생성부(320)를 제어하여 내부에 탑재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노선정보생성부(320)에서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지정 포맷으로 생성한 후 1의 DB(120a)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노선정보생성부(3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앱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탑승한 가령 버스(97)의 QR 코드를 스캔하는 경우 이를 근거로 사용자가 탑승한 버스(97)를 인식하고, 이어 해당 버스(97)에 탑승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제공하는 현재 위치정보를 근거로 버스(97)의 노선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동일 버스(97)에 탑승하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들의 이동정보 혹은 이동경로정보는 다소 오차가 있을 수는 있지만, 가령 서로 다른 좌석에 착석하는 경우 다소 오차는 있을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 기준 범위 내에 존재한다. 따라서, 이를 감안하여 사용자별 현재 위치정보를 근거로 사용자별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고, 이의 과정에서 특정 사용자의 이동경로가 다른 사용자들과 많이 벗어나는 경우에는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해당 일부 구간에서의 특정 사용자의 데이터를 신뢰성 평가시 배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선정보생성부(320)는 버스(97) 내에 탑승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제공하는 현재 위치정보를 근거로 버스(97)의 노선을 생성하며, 이의 과정에서 모든 사용자가 포함되는 구간의 노선정보를 신뢰성 있는 노선정보로 결정한다. 예를 들어, 버스(97)의 전체 노선을 A, B, C, D 구간으로 구분한다고 가정할 때, B 구간에서 모든 사용자들의 이동경로가 동일하다면 해당 구간은 버스(97)의 노선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다음날 측정하여 A 노선도 확정되었다면 A 구간과 B 구간까지 노선을 확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특정 구간에서 모든 사용자들의 이동경로가 신뢰성을 가질 정도로 동일 또는 유사하게 측정될 때 이를 근거로 버스(97)의 전체 노선에 대한 노선을 확정할 수 있다. 물론 확정 노선은 주기적으로 위의 방식으로 신뢰도를 측정하여 수정이 필요한 구간에서는 수정하여 노선을 갱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노선정보생성부(320)는 QR 코드를 스캔한 스캔 데이터를 통해 버스(97)를 식별할 수 있고, 해당 스캔 데이터에는 버스(97)의 식별정보뿐 아니라 버스회사 등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이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다수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제공하는 현재 위치정보를 사용자별로 분류하고, 이를 분석하여 버스(97)의 노선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기생성된 노선 정보를 근거로 버스(97)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정류장 등의 전광판에 버스(97)의 도착 여부에 대한 노선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 후 제어부(31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와 데이터는 실무상 용어가 혼용되고 있으므로 용어의 개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QR 코드의 스캔 데이터는 스캔 정보라 명명될 수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가령 저장부(330)는 룩업테이블(LUT)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UT의 좌측에는 버스(97)의 식별정보가 저장될 수 있고, 우측에는 버스(97)의 운수회사, 관할관청 등에 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QR 코드의 스캔 정보를 근거로 LUT의 좌측의 정보와 일치 여부를 판단한 후, 일치할 때 우측의 운수회사, 관할 관청 등에 대한 정보를 함께 출력되도록 하여 활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3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도 1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의 동작 초기에 노선정보생성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구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4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가령 도 1의 버스(97)를 이용하는 사용자 즉 승객은 버스(97)에 탑승하여 노선정보 구축을 위한 앱을 실행한다(S400). 앱 화면에는 QR 코드 스캔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QR 코드(99)를 스캔한다(S410). QR 코드(99)는 버스 내부의 임의 위치에 부착되거나 앞좌석의 등받이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스캔에 따라 스캔 데이터를 수신하여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가 탑승한 버스(97)가 어떤 버스인지 식별할 수 있다.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수신되는 정보가 어떤 버스에 대한 정보인지 구별한다.
나아가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QR 코드(99)의 스캔 이후 현재 위치정보를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로 주기적으로 전송한다(S420). QR 코드(99)가 스캔되면 앱 화면에는 가령 노선정보 보내기 버튼이 존재하는 화면이 나타날 수 있고,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가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로 전송된다. 가령 현재 위치정보는 사용자 단말장치(100) 내에 GPS 모듈을 포함하므로 위성항법장치(105)와 통신을 수행하여 현재 위치정보를 좌표값의 형태로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에서 삼각 측량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해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버튼을 최초에 클릭하면 이후부터는 주기적으로(예: 10초, 30초 등)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가능할 수 있으며, 또다른 예로는 QR 코드(99)가 스캔되면 앱 화면에는 노선 정보 보내기 버튼의 생성없이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이 가능할 수 있다. 이는 시스템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프로그램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서도 다양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위성항법장치(105)를 이용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주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장치를 이용해서도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하는지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주변에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공유기는 고정되어 있고, 고정 좌표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로부터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방향과 거리를 계산해 현재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 대표적이다. 방향과 거리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포함되는 가속도센서나 자이로센서 등을 통해 계산될 수 있다.
또한,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가령 버스(97)에 탑승한 사용자들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위치정보를 근거로 버스(97)의 이동경로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S430). 여기서, 이동경로정보는 버스(97)의 사용자별 노선정보라 명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동일 버스(97)에 탑승하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하더라도, 버스(97)에 탑승하고 있는 위치가 다르다는 것은 제외하고, 사용자 단말장치(100)가 고사양인지 저사양인지에 따라 측위되는 위치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GPS 통신이 안되는 음영지역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버스(97)의 전체 노선 중 일부인 특정 구간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정보를 전송해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확인한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A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주기적으로 전송한 현재 위치정보를 추적 혹은 연결하여 사용자 A의 이동위치에 대한 궤적(혹은 이동경로)을 추적하여 버스(97)에 탑승한 사용자 A의 이동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B나 사용자 C의 경우에도 사용자 A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 구간에서 다수의 사용자들의 위치정보 혹은 이동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하는 사용자의 이동정보를 배제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포함되는 이동정보를 신뢰하여 해당 구간을 버스의 이동경로정보 즉 노선으로 결정한다.
사용자가 버스(97)에서 하차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 전송은 중단되어야 한다. 물론 중단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앱 화면상에 노선정보 보내기 중단 버튼이 존재하고 사용자가 이 버튼을 클릭하는 것이다. 또는 사용자가 하차시 QR 코드 스캔을 한번 더 하면 노선정보 보내기가 자동으로 중단될 수 있다.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사용자별 복수의 이동경로정보를 이용하여 버스의 노선정보 즉 노선을 생성한다(S440). 날짜, 시간, 장소를 달리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장치(100)들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복수의 이동경로정보를 축적하여 버스의 노선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버스(97)의 노선을 확정하고 또한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노선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노선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기저장된 노선정보를 수정 즉 갱신할 수 있다. 또는 해당 버스의 운수회사에서 노선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면 이를 근거로 기저장된 노선정보를 갱신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시골이나 개발도상국과 같이 버스(97)가 현재 운행되고 있지만, 데이터 구축이 되어 있지 않아 버스(97)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형태로 버스 노선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곳에서는 신속하게 버스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사용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물론, 버스정보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 많은 인력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축시 필요한 비용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5는 도 1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5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다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한다(S500). 앞서는 앱을 사용하여 QR 코드를 스캔해 버스(97)에 관련되는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설명한 바 있지만, 사용자가 온라인상에서 주소정보를 입력해 접속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앱을 이용하는 것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수신한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근거로 교통수단과 관련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생성하며, 생성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해 신뢰도 측정 결과를 근거로 교통수단의 노선(정보)을 결정한다(S51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5의 노선정보 서비스장치(12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스(97)를 이용하는 사용자 혹은 이용자들을 참여시켜 버스 노선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버스에 GPS 통신 등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장착하고 이를 통해 버스(97)의 노선정보를 생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으며, 또한 자이로센서나 가속도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속도가 중단되는 경우에는 버스 정류장으로 인식하는 등 이와 같은 방식으로 시골이나 개발도상국에서 버스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용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장치 105: 위성항법장치(GPS)
110: 통신망 120: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노선정보생성부 330: 저장부
110: 통신망 120: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300: 통신 인터페이스부 310: 제어부
320: 노선정보생성부 330: 저장부
Claims (7)
-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다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통수단과 관련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해 신뢰도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교통수단의 노선정보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동일 시간에 동일 장소에서 동일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사용자들이 상기 교통수단에 부착된 코드의 코드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때, 승객 1에 의해 얻어지는 이동경로와 승객 2에 의해 얻어지는 이동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승객 2의 경우 상기 승객 1 및 상기 다수 사용자의 이동경로와 비교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신뢰도 측정시 상기 승객 2의 이동경로 전체를 배제시키거나 다수의 사용자들과 차이가 나는 일부 구간에 대하여 배제시켜 상기 노선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교통수단의 전체 노선이 A 및 B 구간으로 구분될 때 상기 A 및 B 구간에서 다수 사용자들의 이동경로가 동일 또는 상기 기준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A 및 B 구간을 노선으로 확정하고, 상기 기준범위를 결정할 때 동일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좌석에 착석하는 경우의 오차를 반영하는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제공하는 상기 교통수단의 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상기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생성하는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화면상에 상기 위치정보의 전송을 위한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버튼이 선택될 때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위치정보의 전송을 중단하는 중단 버튼이 선택되거나 상기 교통수단 내의 QR 코드가 중복 스캔될 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교통수단에서 하차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다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현재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수신한 사용자별 위치정보를 근거로 상기 교통수단과 관련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한 사용자별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측정해 신뢰도 측정 결과를 근거로 상기 교통수단의 노선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동일 시간에 동일 장소에서 동일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사용자들이 상기 교통수단에 부착된 코드의 코드정보와 현재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때, 승객 1에 의해 얻어지는 이동경로와 승객 2에 의해 얻어지는 이동경로를 생성하고, 상기 승객 2의 경우 상기 승객 1 및 상기 다수 사용자의 이동경로와 비교하여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신뢰도 측정시 상기 승객 2의 이동경로 전체를 배제시키거나 다수의 사용자들과 차이가 나는 일부 구간에 대하여 배제시켜 상기 노선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교통수단의 전체 노선이 A 및 B 구간으로 구분될 때 상기 A 및 B 구간에서 다수 사용자들의 이동경로가 동일 또는 상기 기준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A 및 B 구간을 노선으로 확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기준범위를 결정할 때 동일 교통수단에 탑승하는 사용자들이 서로 다른 좌석에 착석하는 경우의 오차를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노선정보 서비스장치의 구동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6885A KR102527250B1 (ko) | 2020-09-29 | 2020-09-29 |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6885A KR102527250B1 (ko) | 2020-09-29 | 2020-09-29 |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3464A KR20220043464A (ko) | 2022-04-05 |
KR102527250B1 true KR102527250B1 (ko) | 2023-05-02 |
Family
ID=8118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6885A KR102527250B1 (ko) | 2020-09-29 | 2020-09-29 |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27250B1 (ko)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6876B1 (ko) | 2000-05-18 | 2005-06-22 | 강신란 | 버스 노선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10098529A (ko) | 2010-02-26 | 2011-09-01 |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 버스 노선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
KR101654948B1 (ko) | 2010-03-04 | 2016-09-22 | 한상우 | 역노선 버스 생성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통근차량 서비스 제공방법 |
KR101265158B1 (ko) | 2011-05-26 | 2013-05-27 | (주)제이로고스 | 버스 정보 시스템 및 그의 정보 처리 방법 |
KR20160054187A (ko) * | 2014-11-06 | 2016-05-16 |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 대중교통 이용정보 제공 시스템 |
KR20160081051A (ko) * | 2014-12-30 | 2016-07-08 | 주식회사 아이티원 |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버스정보 시스템 |
KR101703967B1 (ko) | 2015-09-25 | 2017-02-07 | 허승복 |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버스 운행 관리 시스템 |
KR102079935B1 (ko) * | 2017-03-13 | 2020-02-2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측위 인프라 db 갱신을 위한 사용자 참여형 데이터 선별 장치 및 그 방법 |
-
2020
- 2020-09-29 KR KR1020200126885A patent/KR102527250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3464A (ko) | 2022-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486697C2 (ru) |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программа,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 |
CN101940055B (zh) | 以基于邻近性的自组织网络为基础的位置跟踪 | |
US9758183B2 (en) | Location fingerprinting for transit systems | |
US20130184012A1 (en) | Radio model updating | |
JP2021524180A (ja) | ピアツーピアの位置更新 | |
US9392415B2 (en) | Modeling connectivity of transit systems | |
CN101098276B (zh) | 针对无线lan设备的基于位置的调谐服务的方法和系统 | |
RU2595551C1 (ru) | Навигатор для общественного транспорта | |
US10757671B2 (en) | Location fingerprinting for a transit system | |
JP5438111B2 (ja) | 運転者を少なくとも1人の同乗する人と自動的かつ直接的に接触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CN109275090A (zh) | 信息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
JP6488136B2 (ja) | サーバ装置 | |
KR20160077932A (ko) | 군중 혼잡도를 예측하는 방법, 장치 및 단말 | |
JP2012178108A (ja) | 文書情報記録装置、文書情報記録方法、文書情報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文書情報記録システム | |
US2018019586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ndoor and outdoor mobile device navigation | |
Tuveri et al. | Beep4me: automatic ticket validation to support fare clearing and service planning | |
CN102169638B (zh) | 一种位置服务悬赏方法、位置服务终端及位置服务器 | |
KR102527250B1 (ko) |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KR20220043469A (ko) | 이용자 참여형 노선정보 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그리고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
CN107750339B (zh) | 基于无线信号特性使用移动装置检测用户的场境 | |
US20130288703A1 (en) | Localization based on individual location patterns | |
KR102310327B1 (ko) | 지하철 통신 품질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JP7192701B2 (ja) |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7105463B2 (ja) |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 |
CN111814824A (zh) | 一种关联关系的获取方法、装置、服务器及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