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983B1 - 배터리 냉각플레이트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냉각플레이트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983B1
KR102526983B1 KR1020220143252A KR20220143252A KR102526983B1 KR 102526983 B1 KR102526983 B1 KR 102526983B1 KR 1020220143252 A KR1020220143252 A KR 1020220143252A KR 20220143252 A KR20220143252 A KR 20220143252A KR 102526983 B1 KR102526983 B1 KR 102526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plate
unit
calibration
gripp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귀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에스티
Priority to KR1020220143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14Straightening 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7Liquids
    • H01M10/6568Liquids characterised by flow circuits, e.g. loops, located externally to the cells or cell ca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변형된 냉각플레이트를 프레스하되, 변형된 부분의 변형 정도에 따라 플레이트의 평탄화를 교정하여 전체 평탄화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냉각 플레이트와 배터리의 면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 냉각 플레이트 교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배터리 냉각플레이트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CONTROL APPARATUS FOR PLATE FLATNESS AND CONTROL METHOD OF SAME}
본 발명은 자동차 배터리 냉각플레이트 하단에 배치되는 배터리가 적절한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냉각플레이트의 수평도를 교정하는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배터리 냉각시스템은 전기 구동자동차의 배터리의 과열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각종 차량용 모터, 모터 드라이버 등의 효율적인 성능 향상을 위한 시스템이다. 배터리 전력의 사용은 자동차의 주행시간 지속능력 및 주행능력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어서 전기구동 자동차에 적용되는 배터리 열관리 시스템은 고효율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전기자동차의 경우, 배터리가 높은 전력을 사용해 많은 열이 발생하며, 배터리의 최대 온도와 최소온도 차이는 배터리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크게 좌우하는 요소이며 냉각시스템을 이용해 배터리의 온도를 최대한 균일하게 유지하여 온도가 과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이를 위해 배터리 냉각 장치가 사용된다. 배터리 냉각 장치는 일반적으로 배터리셀 사이에 냉각수가 흘르는 냉각 유로를 배치하거나 방열핀을 삽입하여 냉각시키는 장치이다. 특히 냉각수를 이용하는 냉각장치의 경우 뜨거운 배터리 모듈 내부에 배치되고, 냉각수가 흐르는 관이 형성된 냉각 플레이트를 통해 냉각수가 흐르고, 냉각 플레이트 하단 외표면에 접촉되어 배치되는 배터리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감온되며, 배터리를 식힌 후 뜨거운 냉각수는 냉매가 차갑게 식혀준다. 이때 냉각 플레이트의 관과 배터리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바, 관의 외표면의 평탄화가 우수할수록 배터리와 면접촉이 균일하며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냉각 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열전도 소재이며, 앞면과 뒷면으로 구성되어 앞면과 뒷면이 가온된 프레스에서 열에 의해 융착되며 성형 및 결합되는 바, 융착되는 과정과 성형 후 감온되는 과정에서 플레이트에 열변형이 수반되어 플레이트가 전체적으로 휘어지고 배터리와 면접촉되는 부분이 일부 들뜨거나 눌러붙어 공간이 발생하는바 배터리 냉각이 원활하지 않고, 심하게는 배터리가 폭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배터리의 온도가 과하게 상승되거나 냉각된 경우 배터리를 적절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배터리 냉각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배터리의 수명을 단축시키며 자동차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냉각 플레이트의 하단을 고정지그로 고정한 상태에서 플레이트의 상단의 부분 부분을 수작업으로 수십회~수백회 두드리며 플레이트의 평탄화를 교정하였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해 플레이트의 많은 부분을 수십회~수백회 두드리는 작업은 두드리는 부분의 특별한 좌표나 압력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하고 있어 시간,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정확한 교정이 쉽지 않아 품질이 일률적이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며 배터리 냉각 효율성 향상을 위해 성형된 배터리 냉각 플레이트의 열변형에 의한 평탄화를 교정하여 배터리와 냉각 플레이트의 면접촉률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배터리 냉각 플레이트의 열변형을 교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 플레이트 교정장치를 제안한다.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 교정장치는 제1리프팅부(100), 교정부(200); 검사부(500); 및 제2리프팅부(300)를 포함하되, 제1리프팅부(100)는, 냉각플레이트(10)의 제1면(11)이 상면에 오도록 컨베이어에 안착된 채 피딩된 후 제1그리퍼(110)에 의해 제1면(11)을 압착 및 리프팅하는 제1그리퍼(110) 및 냉각플레이트(10)의 제2면(12)을 압착 및 교정부(200)로 이동시키는 제2그리퍼(310)를 포함하고, 교정부(200)는, 상기 제2그리퍼(310)에 의해 제2면(12)이 상측면으로 향하게 안착되는 교정면(230), 교정면(230)에 안착된 냉각플레이트(10)의 말단부를 압착고정하는 고정부(210) 및 교정면(230)의 상측에는 냉각플레이트(10) 제2면(12)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복수회 가압하는 프레스부를 포함하고, 검사부(500)는, 교정면(230)의 일측에 설치되고, 교정면(230)에 안착된 냉각플레이트(10)의 일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기공급부 및 공기배출부 및 냉각수를 공급 및 배출하는 냉각수 공급부 및 냉각수 배출부를 포함하고, 제2리프팅부(300)는, 상기 제2그리퍼(210)가 상기 교정된 냉각플레이트(10)의 제2면(12)을 압착하여 이동시키면 이를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 교정장치에 의한 교정방법은, 냉각플레이트(10)의 제1면(11)이 상면을 향하게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피딩되면, 제1그리퍼(110)가 제1면(11)을 압착하여 제2면(12)이 노출되도록 들어올리는 제1리프팅 단계, 제1그리퍼(110)가 제2면(12)을 압착하여 교정부(200)의 교정면(230)으로 이동 및 제2면(12)이 상면을 향하도록 교정면(230)에 안착시키는 제1이동단계, 교정면(230)에 안착된 냉각플레이트(10)의 제2면(12)의 말단부를 고정부(210)가 압착 및 고정하는 고정단계, 교정면 일측에 배치되는 공기공급부 및 공기배출부가 냉각플레이트(10)의 공기공급관 및 공기배출관을 통해 공기를 공급한 후 회수하여 가스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냉각플레이트(10)의 용접완성도를 확인하는 누수확인단계, 교정면 일측에 배치되는 냉각수 공급부 및 냉각수 배출부가 냉각플레이트(10)의 냉각수 공급관 및 회수관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고 회수하여 관로의 완성도를 확인하는 관로확인단계, 누수확인과 관로확인이 완료된 후 제2면(12)의 상측에서 프레스부가 제2면(1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제2면(12)을 복수회 가압하는 교정단계 및 교정단계 이후 제2그리퍼(310)가 제2면(12)을 압착하여 배출부(400)로 이동 및 배출시키는 제2이동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교정단계는, 냉각 플레이트의 제1면(11) 및 제2면(12)이 융착결합된 융착부위, 비융착부위, 제1면(11) 및 제2면(12)이 융착결합된 말단부를 순서대로 가압 교정하는 단계이고, 가압하는 부위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 플레이트 교정 장치 및 방법의 경우 열변형된 냉각플레이트를 프레스 하되, 변형된 부분의 변형 정도에 따라 플레이트의 평탄화를 교정하여 전체 평탄화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플레이트와 배터리의 면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 교정방법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 교정장치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 교정방법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 교정장치이다.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는 배터리가 삽입되고 모터에 의해 가동되어 발열되는 경우 이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각플레이트(10)를 의미하며, 용도를 한정하지 않으나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내장되는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를 일 예로 하였다. 상기 냉각플레이트(10)는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하나의 플레이트를 형성하며 제1플레이트는 외표면에 배터리가 안착되도록 배터리 안착부를 형성하며 제2플레이트는 냉각수가 유동하는 관로가 돌출되어 있다. 이때 제1플레이트의 일면을 제1면(11)으로 하였고, 제2플레이트의 일면을 제2면(12)으로 하였으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결합된 면과 반대면을 각 제1면(11) 및 제2면(12)으로 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 교정장치는, 제1리프팅부(100), 교정부(200), 검사부(500) 및 제2리프팅부(300)를 포함한다.
제1리프팅부(100)는, 냉각플레이트(10)의 제1면(11)이 상면에 오도록 컨베이어에 안착된 채 피딩된 후 피딩된 냉각플레이트(10)의 제2면(12)이 노출되면, 제2면(12)을 압착하여 교정부(200)로 이동시키는 제2그리퍼(310)를 포함한다.
교정부(200)는, 상기 제2그리퍼(310)에 의해 제2면(12)이 압착되어 교정부(200)로 이동하면, 제2면(12)이 상측면으로 향하게 안착되는 교정면(230)과 교정면(230)에 안착된 냉각플레이트(10)의 말단부를 압착고정하는 고정부(210)를 포함한다. 고정부(210)는 도 1과 같이 제2면(12)의 말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바 형상이며, 작동 전 열려 있으나 냉각플레이트(10)가 교정면(230)에 안착되면 폴딩되어 냉각플레이트(10)의 말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한 후, 교정이 완료되면 감압하여 다시 열리며 고정을 해제한다. 고정부(210)는 후술하는 프레스(220)가 일면을 상부에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면이 편평한 바 형상일 수 있다. 이때 고정부(210)가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방법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할 수 있고, 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라 압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는 방식은 특히 제한하지 않는다.
나아가 교정면(230)의 상측부에는 냉각플레이트(10) 제2면(12)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하며 복수회 가압하는 프레스부를 포함한다. 프레스부는 프레스(22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제2면(12)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이동하며 제2면(12)을 프레스 가압하는데,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융착결합되어 두께가 두꺼운 부위를 먼저 가압하여 평탄화시킨 후, 비융착부위로 이동하며 가압하여 평탄화시킨다. 이때, 융착부위의 두께가 비융착부위의 두께에 비하여 두꺼운 바, 융착부위를 가압하는 압력을 비융착부위를 가압하는 압력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고, 냉각플레이트(10)의 중심부에서 말단부위로 갈수록 또는 홀이 형성된 부위에는 융착결합에 의한 변형이 큰 바 압력정도를 조절하여 평탄화 교정을 진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변형정도가 가장 큰 냉각플레이트(10)의 말단부를 가장 선행하여 제1프레스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210)가 냉각플레이트(10)를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부(210)의 상면을 프레스한 후, 제1플레이트와 제2플레이트가 융착결합된 부위를 프레스할 수 있고, 이후 비융착결합된 부위를 프레스할 수 있다. 이때, 제1면(11)의 관로는 냉각수가 냉각플레이트(10) 전체를 유동할 수 있도록 U 자 모양의 복수개 관로가 연결되어 굴곡지게 형성되는데, 바 형상의 프레스가 직선형 관로와 수평한 방향으로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제2프레스단계를 진행하여 융착부위를 가압하고, 이후 직선형 관로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제3프레스단계를 진행하여 비융착부위를 가압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변형이 큰 부위에서 변형이 작은 부위를 순차적으로 가압교정함으로써 교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스부의 프레스(220)는 에어프레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에어공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라 적절한 압력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교정부는 프레스(220)가 냉각플레이트(10) 길이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며, 가로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도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냉각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로봇을 사용할 수 있고, 가로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프레스할 수 있도록 무한궤도체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프레스는 냉각플레이트(10)의 평탄도를 교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210)의 상면과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부위가 편평한 면 구조일 수 있다.
한편 검사부(500)는, 교정면(230)의 일측에 설치되고, 교정면(230)에 안착된 냉각플레이트(10)의 일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기공급부 및 공기배출부 및 냉각수를 공급 및 배출하는 냉각수 공급부 및 냉각수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공급부 및 공기배출부는 냉각플레이트(10)의 일측에 배치된 공기공급배관과 공기배출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고, 공급된 공기를 회수하여 공기누수여부를 통해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의 융착결합의 완성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 공급부 및 냉각수 배출부는 냉각플레이트(10)의 일측에 배치된 냉각수 공급배관 및 냉각수 배출배관으로 냉각수를 관로를 통해 공급하고, 공급된 냉각수를 회수하여 관로의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공기를 공급하고 냉각수를 공급하는 방법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제한하지 않는다.
제2리프팅부(300)는 상기 제2그리퍼(310)가 상기 교정된 냉각플레이트(10)의 제2면(12)을 압착하여 이동시키면 이를 교정부(200)의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400)를 포함한다. 상술한 가압에 의한 냉각플레이트(10)의 교정이 완료되면, 제2리프팅부(300)의 제2그리퍼(310)는 냉각플레이트(10)의 제2면(12)을 압착하여 들어올리고 배출부(400)로 이동시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리프팅부(100), 제2리프팅부(300)의 각 그리퍼는 플레이트의 넓은면을 압착하여 고정한 채 들어올리고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고, 압착의 압력과 이동범위,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며 교정부(200)의 교정면(230)에 정확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방법이면 그 방법은 특히 제한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 교정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 교정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나아가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1그리퍼(110)에 의해 제1면(11)이 제1리프팅부(100)에 상면이 향하도록 안착된 후, 제2그리퍼(310)가 제1면(11)을 압착하여 제2면(12)이 노출되도록 들어올리는 제1리프팅 단계, 제2그리퍼(310)가 노출된 제2면(12)을 압착하여 들어올리고 교정부(200)의 교정면(230)으로 이동시킨 후 제2면(12)이 상면을 향하도록 교정면(230)에 안착시키는 제1이동단계를 포함한다.
이후 교정면(230)에 안착된 냉각플레이트(10)의 제2면(12)의 말단부를 고정부(210)가 압착 및 고정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고정부(210)가 냉각플레이트(10)의 말단부를 고정시킨 후, 고정면 일측에 배치되는 공기공급부 및 공기배출부가 냉각플레이트(10)의 공기공급관 및 공기배출관을 통해 공기를 공급한 후 회수하여 가스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냉각플레이트(10)의 용접완성도를 확인하는 누수확인단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고정면 일측에 배치되는 냉각수 공급부 및 냉각수 배출부가 냉각플레이트(10)의 냉각수 공급관 및 회수관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고 회수하여 관로의 완성도를 확인하는 관로확인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누수확인단계 및 관로확인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융착결합된 용접부위의 결합완성도와 관로를 통해 냉각수가 누수되지 않는지 확인할 수 있다.
누수확인과 관로확인이 완료된 후 제2면(12)의 상측에서 프레스부(220)가 제2면(1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제2면(12)을 복수회 가압하는 교정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 플레이트의 제1면(11) 및 제2면(12)이 융착결합된 융착부위, 비융착부위, 제1면(11) 및 제2면(12)이 융착결합된 말단부를 순서대로 가압 교정하는 단계이고, 가압하는 부위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압력을 감소시킨다.
자세하게는 융착부위와 같이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부위를 먼저 가압하여 평탄화 시킨 후 비융착부위와 같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부위를 가압하여 평탄화 시킨다. 이때 두께가 두꺼운 부위를 가압하는 압력이 두께가 얇은 부위를 가압하는 압력에 비하여 크게 하여 평탄화시킬 수 있고, 두께가 두꺼운 부위를 먼저 평탄화시켜 기준면을 제공한 후, 두께가 얇은 부위를 평탄화시켜 플레이트의 전체 평탄도를 맞출 수 있다. 나아가 말단부위나 홀이 형성된 부위는 융착 과정에서 변형정도가 크기 때문에 이 부위보다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부위에 비하여 더 큰 압력으로 평탄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프레스(220)로 압력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정밀하게 평탄화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교정단계 이후 제2그리퍼(310)가 제2면(12)을 압착하여 교정부(200)의 일측에 배치되는 배출부(400)로 이동 및 배출시키는 제2이동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 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냉각플레이트(10)의 휘어진 부분을 수십~수백회 두드리지 않고도 정확하고, 정밀하고 손쉽게 교정이 필요한 교정 필요 지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프레스로 교정이 필요한 지점을 가압함으로써 냉각플레이트(10)의 평탄화 정도를 교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번 첨언한다.
10 냉각플레이트
11 제1면
12 제2면
100 제1리프팅부
110 제1그리퍼
200 교정부
210 고정바
220 프레스
230 교정면
300 제2리프팅부
310 제2그리퍼
400 배출부
500 검사부
510 공기 공급 및 배출부
520 냉각수 공급 및 배출부

Claims (2)

  1. 제1리프팅부(100);
    교정부(200); 검사부(500); 및 제2리프팅부(300); 를 포함하되,
    제1리프팅부(100)는,
    냉각플레이트(10)의 제1면(11)이 상면에 오도록 컨베이어에 안착된 채 피딩된 후 제1그리퍼(110)에 의해 제1면(11)을 압착 및 리프팅하는 제1그리퍼(110); 및
    냉각플레이트(10)의 제2면(12)을 압착 및 교정부(200)로 이동시키는 제2그리퍼(310); 를 포함하고,
    교정부(200)는,
    상기 제2그리퍼(310)에 의해 제2면(12)이 상측면으로 향하게 안착되는 교정면(230);
    교정면(230)에 안착된 냉각플레이트(10)의 말단부를 압착고정하는 고정부(210); 및
    교정면(230)의 상측에는 냉각플레이트(10) 제2면(12)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복수회 가압하는 프레스부(220); 를 포함하고,
    검사부(500)는, 교정면(230)의 일측에 설치되고,
    교정면(230)에 안착된 냉각플레이트(10)의 일측에 배치되어 공기를 공급 및 배출하는 공기공급부 및 공기배출부; 및
    냉각수를 공급 및 배출하는 냉각수 공급부 및 냉각수 배출부;를 포함하고,
    제2리프팅부(300)는,
    상기 제2그리퍼가 상기 교정된 냉각플레이트(10)의 제2면(12)을 압착하여 이동시키면 이를 일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 교정장치.
  2. 냉각플레이트(10)의 제1면(11)이 상면을 향하게 컨베이어에 안착되어 피딩되면, 제1그리퍼(110)가 제1면(11)을 압착하여 제2면(12)이 노출되도록 들어올리는 제1리프팅 단계;
    제2그리퍼(310)가 제2면(12)을 압착하여 교정부(200)의 교정면(230)으로 이동 및 제2면(12)이 상면을 향하도록 교정면(230)에 안착시키는 제1이동단계;
    교정면(230)에 안착된 냉각플레이트(10)의 제2면(12)의 말단부를 고정부(210)가 압착 및 고정하는 고정단계;
    교정면 일측에 배치되는 공기공급부 및 공기배출부가 냉각플레이트(10)의 공기공급관 및 공기배출관을 통해 공기를 공급한 후 회수하여 가스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고 냉각플레이트(10)의 용접완성도를 확인하는 누수확인단계;
    교정면 일측에 배치되는 냉각수 공급부 및 냉각수 배출부가 냉각플레이트(10)의 냉각수 공급관 및 회수관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고 회수하여 관로의 완성도를 확인하는 관로확인단계;
    누수확인과 관로확인이 완료된 후 제2면(12)의 상측에서 프레스부(220)가 제2면(1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제2면(12)을 복수회 가압하는 교정단계; 및
    교정단계 이후 제2그리퍼(310)가 제2면(12)을 압착하여 배출부(400)로 이동 및 배출시키는 제2이동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교정단계는,
    냉각 플레이트의 제1면(11) 및 제2면(12)이 융착결합된 융착부위, 비융착부위, 제1면(11) 및 제2면(12)이 융착결합된 말단부를 순서대로 가압 교정하는 단계이고, 가압하는 부위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냉각플레이트(10) 교정방법.
KR1020220143252A 2022-10-31 2022-10-31 배터리 냉각플레이트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KR102526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252A KR102526983B1 (ko) 2022-10-31 2022-10-31 배터리 냉각플레이트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3252A KR102526983B1 (ko) 2022-10-31 2022-10-31 배터리 냉각플레이트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983B1 true KR102526983B1 (ko) 2023-04-28

Family

ID=86143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3252A KR102526983B1 (ko) 2022-10-31 2022-10-31 배터리 냉각플레이트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98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577A (ko) * 2019-04-24 2020-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력변환 장치용 냉각 시스템
KR20210079665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577A (ko) * 2019-04-24 2020-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력변환 장치용 냉각 시스템
KR20210079665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모듈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3449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etal separator for fuel cell
CN105033564A (zh) 一种管件反变形焊接夹具及利用该夹具阻止管件变形的方法
CN105880908A (zh) 控制薄板件对接的焊接变形的装置及方法
US11201336B2 (en)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apparatus for joint separator
CN108262554B (zh) 一种用于焊接多层铝板的焊机及其焊接工艺
KR102526983B1 (ko) 배터리 냉각플레이트 교정장치 및 교정방법
CN109014721B (zh) 一种焊接变形控制方法及装置
JP2795339B2 (ja) 積層構体の溶接方法
CN106077918A (zh) 一种用于板件埋弧焊拼接的真空吸附式焊接装置
US965127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vacuum solar thermal panel and related vacuum solar thermal panel
CN108955325B (zh) 真空装置用导热板及其制造方法
KR20070080710A (ko) 평판디스플레이의 제조를 위한 칩의 가압 접합방법 및 장치
US20150156821A1 (en) Heating element for a plastic-tube butt-welding machine,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type radiator, and plastic-tube butt-welding machine
CN103008950B (zh) 一种可施加压力进行电子束辅助热作用连接的工具
US11717920B2 (en) Laser welding apparatus and laser processing device
CN211028752U (zh) 一种重卡汽车防撞梁总成焊接工装
US20190022788A1 (en) Heating and cooling apparatus for bonding mach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90072337A (ko) 레이저 융착 장치
KR20220014922A (ko) 강판 교정 장치
KR101395793B1 (ko) 박판 금속 파이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14054936A (zh) 一种封闭环缝法兰低应力控形装配焊接方法
JP3035212B2 (ja) ろう付方法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クッションレール
CN103033072B (zh) 翅管式换热器
CN112108536A (zh) 一种大型薄壁铝合金t型壁板结构双光束焊后矫形方法
US20230023750A1 (en) Method for the media-tight connection of two plate-shaped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