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6351B1 -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6351B1
KR102526351B1 KR1020220188121A KR20220188121A KR102526351B1 KR 102526351 B1 KR102526351 B1 KR 102526351B1 KR 1020220188121 A KR1020220188121 A KR 1020220188121A KR 20220188121 A KR20220188121 A KR 20220188121A KR 102526351 B1 KR102526351 B1 KR 102526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fitting groove
jig
lower assembly
ji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규
Original Assignee
박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규 filed Critical 박영규
Priority to KR102022018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5/00Pres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ressing means other than those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하부아세이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상부아세이를 상호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지그본체를 구성하여 지그본체에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한 후, 상부아세이를 상부에서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조립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조립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Press part assembly jig and assembl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하부아세이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상부아세이를 상호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지그본체를 구성하여 지그본체에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한 후, 상부아세이를 상부에서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조립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조립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차단기는 개폐기구, 트립장치 등을 절연물의 용기 내에 일체로 조립한 것이며, 통상 사용 상태의 전로를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또는 절연물 용기 외부의 전기 조작장치 등에 의해 개폐하도록 하고, 과부하 및 단락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기구를 말한다.
종래 누전차단기의 일예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품이 수납되어지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2)와, 상기 커버(2)의 상부에 결합되는 핸들(3)과, 상기 핸들(3)의 하부에 결합되는 레버(4)와, 상기 레버(4)가 힌지결합되는 양측 사이드 플레이트(5)와, 상기 양측 사이드 플레이트(5)에 힌지결합되는 래치(6)와, 상기 양측 사이드 플레이트(5)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6)를 홀딩하는 래치홀더(7)와, 상기 래치(6)를 관통하여 양측면에 쌍을 이루는 상태로 결합되는 상부링크(8)와, 상기 상부링크(8)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는 하부링크(9)와, 상기 하부링크(9)의 하단에 결합되어 핸들(3)의 조작에 따라 연동되는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연동되는 가동자(11)와, 상기 가동자(11)와 접속 및 이격되는 고정자(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누전차단기는 도 1과 같은 온상태에서 과부하로 인해 차단기가 트립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홀더(7)에서 래치(6)가 해제되어 래치(6)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래치(6)의 회전에 의해 상부링크(8) 및 하부링크(9)가 연동되어 샤프트(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동자(11)가 고정자(12)에서 이격된다.
통상 누전차단기에서 개폐기구를 구성하는 메커니즘 아세이는 상부아세이와 하부아세이를 각각 분리 조립한 후, 이들을 상호 결합하여 구성하게 된다. 즉,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하부아세이를 조립하고,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상부아세이를 조립한 후, 상부아세이와 하부아세이를 상호 끼움 결합하여 완성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각각 손으로 잡고 조립함으로, 조립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0179278호, 가정용 누전차단기의 기구부 어셈블리.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2014316호, 회로 차단기의 트립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하부아세이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상부아세이를 상호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지그본체를 구성하여 지그본체에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한 후, 상부아세이를 상부에서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조립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조립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하부아세이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상부아세이를 상호 끼움 결합할 수 있는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로서, 상기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한 후, 상부아세이를 상부에서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조립할 수 있는 지그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본체는: 소정 크기를 갖는 지그몸체부; 상기 지그몸체부의 상부에서 하부아세이의 형상을 따라 상부만이 개구되게 요입 형성되어 상기 하부아세이를 끼울 수 있는 하부아세이 끼움홈부; 및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그몸체부의 상부에서 상부아세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만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상부아세이를 끼운 후 상부아세이를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조립할 수 있는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와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는 상기 지그몸체부에서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형태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는 상기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의 양측으로 위치하도록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일측끼움홈부와 타측끼움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끼움홈부와 타측끼움홈부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지그몸체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하부아세이의 사이드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게 측벽끼움홈부가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하부아세이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상부아세이를 상호 끼움 결합하는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를 이용한 조립 방법으로, 상기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지그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그본체에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에서 지그본체에 끼워 고정되는 상부아세이를 상부에서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조립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계의 지그본체는: 소정 크기를 갖는 지그몸체부와, 상기 지그몸체부의 상부에서 하부아세이의 형상을 따라 상부만이 개구되게 요입 형성되어 상기 하부아세이를 끼울 수 있는 하부아세이 끼움홈부, 및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그몸체부의 상부에서 상부아세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만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상부아세이를 끼운 후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에 조립할 수 있는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는 상기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의 양측으로 위치하도록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일측끼움홈부와 타측끼움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끼움홈부와 타측끼움홈부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지그몸체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하부아세이의 사이드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게 측벽끼움홈부가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와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는, 상기 지그몸체부에서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형태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아세이를 경사각을 따라 상부에서 눌러내리면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에 의하면,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지그본체를 구성하여 지그본체에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한 후, 상부아세이를 상부에서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조립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조립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온상태의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배선용 차단기의 트립상태의 도면이고,
도 3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하부아세이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상부아세이가 상호 끼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에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하부아세이를 지그본체의 일측에 배치하여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에 하부아세이를 끼워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7은 도 6표시에서 상부아세이를 끼워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에서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끼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에서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끼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3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하부아세이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상부아세이가 상호 끼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에 끼워 고정할 수 있는 하부아세이를 지그본체의 일측에 배치하여 나타낸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에 하부아세이를 끼워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7은 도 6표시에서 상부아세이를 끼워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에서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끼움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에서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끼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하부아세이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상부아세이를 상호 끼움 결합할 수 있는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로서, 상기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한 후, 상부아세이를 상부에서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조립할 수 있는 지그본체(1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그본체(100)는 소정 크기를 갖는 지그몸체부(110)와, 상기 지그몸체부(110)의 상부에서 하부아세이(31)의 형상을 따라 상부만이 개구되게 요입 형성되어 상기 하부아세이(31)를 끼울 수 있는 하부아세이 끼움홈부(120), 및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12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그몸체부(110)의 상부에서 상부아세이(3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만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상부아세이(32)를 끼운 후 상부아세이를 눌러내려 하부아세이(31)와 상부아세이(32)를 상호 조립할 수 있는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1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120)와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130)는 상기 지그몸체부(110)에서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형태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120)는 상기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130)의 양측으로 위치하도록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일측끼움홈부(122)와 타측끼움홈부(124)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끼움홈부(122)와 타측끼움홈부(124)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지그몸체부(110)의 양측면에는 상기 하부아세이(31)의 사이드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게 측벽끼움홈부(126)가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부아세이(31)는 프레스 가공된 사이드 플레이트가 리벳팅핀의 양측으로 설치되고, 사이드 플레이트의 안쪽으로 링크부재와 힌지축 등이 구비되는데, 힌지축 및 링크부재는 사이드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120)가 일측끼움홈부(122)와 타측끼움홈부(124)가 소정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야 하부아세이를 끼움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120)의 내측면에는 하부아세이(31)가 밀착될 수 있게 하는 밀착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밀착부재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착부재에 의해 하부아세이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지그본체(100)와 하부아세이(31)는 모두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밀착부재를 설치함에 의해 금속재질끼리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를 이용한 조립 방법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하부아세이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상부아세이를 상호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하부아세이(31) 상부아세이(32)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지그본체(100)를 구비하고, 상기 지그본체(100)에 하부아세이(31)와 상부아세이(32)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지그본체(100)에 끼워 고정되는 상부아세이(32)를 상부에서 눌러내려 하부아세이(31)와 상부아세이(32)를 상호 조립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그본체(100)는 소정 크기를 갖는 지그몸체부(110)와, 상기 지그몸체부(110)의 상부에서 하부아세이(31)의 형상을 따라 상부만이 개구되게 요입 형성되어 상기 하부아세이를 끼울 수 있는 하부아세이 끼움홈부(120), 및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12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그몸체부(110)의 상부에서 상부아세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만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상부아세이를 끼운 후 상부아세이틀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조립할 수 있는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13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120)는 상기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130)의 양측으로 위치하도록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일측끼움홈부(122)와 타측끼움홈부(124)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끼움홈부(122)와 타측끼움홈부(124)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지그몸체부(110)의 양측면에는 상기 하부아세이의 사이드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게 측벽끼움홈부(126)가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120)와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130)는, 상기 지그몸체부(110)에서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형태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아세이를 경사각을 따라 상부에서 눌러내리면서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끼움 결합할 수 있는 지그본체를 구성하여 지그본체에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한 후 상부아세이를 상부에서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조립할 수 있게 함에 의해 조립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00 - 지그본체 110 - 지그몸체부
120 - 하부아세이 끼움홈부 130 -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

Claims (4)

  1.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하부아세이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상부아세이를 상호 끼움 결합할 수 있는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에 있어서,
    상기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한 후, 상부아세이를 상부에서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조립할 수 있는 지그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본체는:
    소정 크기를 갖는 지그몸체부;
    상기 지그몸체부의 상부에서 하부아세이의 형상을 따라 상부만이 개구되게 요입 형성되어 상기 하부아세이를 끼울 수 있는 하부아세이 끼움홈부; 및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그몸체부의 상부에서 상부아세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만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상부아세이를 끼운 후 상부아세이를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조립할 수 있는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와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는 상기 지그몸체부에서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형태로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는 상기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의 양측으로 위치하도록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일측끼움홈부와 타측끼움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끼움홈부와 타측끼움홈부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지그몸체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하부아세이의 사이드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게 측벽끼움홈부가 요입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2. 삭제
  3. 삭제
  4.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하부아세이와, 프레스 가공되어 조립된 상부아세이를 상호 끼움 결합하는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를 이용한 조립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끼워 고정할 수 있는 지그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지그본체에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순차적으로 끼워 고정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에서 지그본체에 끼워 고정되는 상부아세이를 상부에서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와 상부아세이를 상호 조립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계의 지그본체는:
    소정 크기를 갖는 지그몸체부와, 상기 지그몸체부의 상부에서 하부아세이의 형상을 따라 상부만이 개구되게 요입 형성되어 상기 하부아세이를 끼울 수 있는 하부아세이 끼움홈부, 및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그몸체부의 상부에서 상부아세이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만이 요입 형성되어 상기 상부아세이를 끼운 후 눌러내려 하부아세이에 조립할 수 있는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는 상기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의 양측으로 위치하도록 소정 거리를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일측끼움홈부와 타측끼움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끼움홈부와 타측끼움홈부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상기 지그몸체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하부아세이의 사이드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게 측벽끼움홈부가 요입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아세이 끼움홈부와 상부아세이 조립공간부는, 상기 지그몸체부에서 소정 경사각을 이루는 형태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상부아세이를 경사각을 따라 상부에서 눌러내리면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를 이용한 조립 방법.
KR1020220188121A 2022-12-29 2022-12-29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KR102526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121A KR102526351B1 (ko) 2022-12-29 2022-12-29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8121A KR102526351B1 (ko) 2022-12-29 2022-12-29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351B1 true KR102526351B1 (ko) 2023-04-27

Family

ID=8610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8121A KR102526351B1 (ko) 2022-12-29 2022-12-29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3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083A (ko) * 1996-11-05 1998-08-05 김광호 브러쉬리스 모터의 로우터 어셈블리 조립용 지그 및 조립 방법
KR0179278B1 (ko) 1996-08-24 1999-05-15 이종수 가정용 누전차단기의 기구부 어셈블리
KR20110071887A (ko) * 2009-12-22 2011-06-29 유한프리시전(주) 부품 조립체의 탄성체 조립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4316B1 (ko) 2015-10-07 2019-08-27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회로 차단기의 트립장치
JP2022014948A (ja) * 2020-07-08 2022-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9278B1 (ko) 1996-08-24 1999-05-15 이종수 가정용 누전차단기의 기구부 어셈블리
KR19980034083A (ko) * 1996-11-05 1998-08-05 김광호 브러쉬리스 모터의 로우터 어셈블리 조립용 지그 및 조립 방법
KR20110071887A (ko) * 2009-12-22 2011-06-29 유한프리시전(주) 부품 조립체의 탄성체 조립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4316B1 (ko) 2015-10-07 2019-08-27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회로 차단기의 트립장치
JP2022014948A (ja) * 2020-07-08 2022-01-21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1386A1 (en) Low-voltage circuit breaker with residual current tripping device
JPWO2014010110A1 (ja) スイッチギヤ
KR102526351B1 (ko) 프레스 부품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조립 방법
CN1758401B (zh) 跳闸指示摇臂开关
EP3291274B1 (en) Fusion welding isolation mechanism for operat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EP1202314A2 (en) Multipolar circuit breaker
US5847339A (en) Handle portions of multipole breakers
CN212209390U (zh) 断路器分合闸操作机构
US6345097B1 (en) Cam retainer for flip-style portable phone
JP2011142012A (ja) 回路遮断器
JPH0676723A (ja) 多極形回路遮断器
JPH0216502Y2 (ko)
CN219917791U (zh) 能够连接rj45插头的电动操作机构
KR101926043B1 (ko) 기중 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JPH0142918Y2 (ko)
US10297400B2 (en) Multi-pole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and trip cam assembly therefor
JPS6136058Y2 (ko)
KR20180020488A (ko) 회로차단기
KR20180065858A (ko) 커넥터
JPS6035145Y2 (ja) スイツチ
JPS6367726B2 (ko)
JPH0142919Y2 (ko)
JPH0883558A (ja) 多極形回路しゃ断器
JPS6025808Y2 (ja) 回路しや断器
JPH03161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